KR102150593B1 -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593B1
KR102150593B1 KR1020180142882A KR20180142882A KR102150593B1 KR 102150593 B1 KR102150593 B1 KR 102150593B1 KR 1020180142882 A KR1020180142882 A KR 1020180142882A KR 20180142882 A KR20180142882 A KR 20180142882A KR 102150593 B1 KR102150593 B1 KR 102150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ire harness
upper rail
sea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186A (ko
Inventor
정호진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8014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5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어퍼레일,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고 어퍼레일의 하부가 레일홈에 삽입되며, 어퍼레일의 하부에 결합되어 어퍼레일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구름수단과, 어퍼레일을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에 전원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와이어 하네스가 내장된 로어레일을 포함하여 와이어 하네스와 어퍼레일을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로어레일에 내장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양측 연결이 용이하여 조립이 용이해지며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와이어 하네스와 구동부가 로어레일의 내측공간에 정리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SEAT RAIL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와 어퍼레일을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로어레일에 내장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양측 연결이 용이하여 조립이 용이해지며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와이어 하네스와 구동부가 로어레일의 내측공간에 정리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해지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의 전후 이동은 기본적으로 슬라이드레일을 이용하는데, 슬라이드레일의 로어레일은 차량 실내의 플로어에 고정되고, 어퍼레일에 시트의 쿠션프레임이 고정됨으로써 로어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어퍼레일과 함께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의 전후 이동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후 이동 장치를 모터에 의해 구동하고 있다.
특히, 모터를 이용하여 어퍼레일을 전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며 제어신호를 전달해주어 어퍼레일을 이동시키는 전선이 요구되는데, 어퍼레일과 모터가 함께 전후 이동되므로 모터와 전원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꼬이지 않으면서 외관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는 공간도 함께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대한 일예가 일본특허 공개특허공보 2013-04940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와이어 하네스 배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 플로어(20)와 슬라이드 시트(10) 사이에 시트레일(22)이 마련되며, 시트레일(22)의 측부와 인접하여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며 와이어 하네스의 여분 길이를 수용하는 여분 길이 흡수 박스(24)가 배치된다.
그런데, 레일에 조립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하네스의 타측 단부를 밀폐된 공간의 레일과 연결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여분 길이 흡수 박스에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시킨 후 이 와이어 하네스를 레일과 한번 더 연결시켜야 함에 따라 조립시 어려움이 많으며 조립공수가 늘어나고 조립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여분 길이 흡수 박스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되고, 시트레일 구조가 차지하는 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차량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특허 공개특허공보 2013-04940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와 어퍼레일을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로어레일에 내장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양측 연결이 용이하여 조립이 용이해지며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와이어 하네스 및 구동부가 로어레일의 내측공간에 정리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해지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별도의 여분 길이 흡수 박스가 필요하지 않아 부품 수가 줄어들고, 시트레일 구조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차량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개선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어퍼레일,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고 어퍼레일의 하부가 레일홈에 삽입되며, 어퍼레일의 하부에 결합되어 어퍼레일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구름수단과, 어퍼레일을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에 전원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와이어 하네스가 내장된 로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로어레일은 구동부와 구름수단이 내장되도록 내측에 마련되는 하부공간, 와이어 하네스와 가이드체인이 내장되도록 내측에 마련되는 상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공간의 내부에 벤딩된 'U' 형상으로 내장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고, 외측이 상부공간의 내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측단이 상부공간의 내부에서 어퍼레일에 고정되어 어퍼레일과 함께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며, 타측단이 상부공간의 내부에서 후방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가이드체인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로어레일은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이 나누어져 마련되도록 양쪽 내측벽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름수단은 어퍼레일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며 로어레일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어 구름이동하는 한쌍의 전방 구름부재와 한쌍의 후방 구름부재, 한쌍의 전방,후방 구름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지지부에 접촉되어 구름이동하는 한쌍의 중앙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며 외측이 상부공간의 내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측단이 어퍼레일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로어레일의 상부공간의 후방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가이드체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퍼레일은 메인 와이어 하네스링 커넥터와 연결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단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단이 구비된 위치에서 상측으로 관통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는 가운데가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벤딩되며 양단이 어퍼레일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개구부를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하네스와 구동부가 로어레일에 내장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양측 연결이 용이하여 조립이 용이해지며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와이어 하네스와 구동부가 로어레일의 내측공간에서 각각 상측공간과 하측공간에 정리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해지며 와이어 하네스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롱슬라이드 이동하는 시트레일 구조에서도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로어레일의 부피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어퍼레일의 전후 슬라이드시에 배선과의 간섭이 방지되며 전원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별도의 여분 길이 흡수 박스가 필요하지 않아 부품 수가 줄어들고, 시트레일 구조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차량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의 작동예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서 구름수단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서 가이드체인이 조립된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서 가이드체인이 구비됨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의 작동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서 구름수단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서 가이드체인이 조립된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서 가이드체인이 구비됨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는 시트의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어퍼레일(100),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고 어퍼레일(100)의 하부가 레일홈(221)에 삽입되며 어퍼레일(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어퍼레일(10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구름수단(140)과 어퍼레일(100)을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300)에 전원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와이어 하네스(400)가 내장된 로어레일(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는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로부터 시트의 쿠션프레임을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조로, 로어레일(200)이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며 어퍼레일(100)이 시트의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로어레일(200)로부터 시트의 쿠션프레임과 함께 전후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이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는 로어레일(200)에 구동부(300), 구름수단(140), 와이어 하네스(400)가 내장됨에 따라, 시트레일이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되어 차체 플로어 패널 상에 전후로 길게 장착되는 롱슬라이드형 시트레일에도 적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어퍼레일(10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한쌍의 브라켓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브라켓은 시트의 쿠션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장착부(120), 프레임장착부(120)의 일측단에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로어레일(200)의 레일홈(221)에 삽입되는 연결부(130), 연결부(130)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구름수단(140)이 장착되는 이동부(110)로 구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브라켓은 연결부(130)가 맞닿게 조립된다. 즉, 각각의 연결부(130)가 맞닿으며, 프레임장착부(120)가 연결부(130)의 상측단에서 수직 절곡되며 돌출 형성되어 시트의 쿠션프레임과 결합되고, 이동부(110)가 연결부(130)의 하측단에서 하향 경사지며 돌출된 후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름수단(140)이 장착된다.
로어레일(200)은 중공형상으로 마련되어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고, 상부는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어퍼레일(100)의 하부인 이동부(110)가 삽입되는 레일홈(221)이 마련된다. 그리고, 로어레일(200)의 양단에는 내측공간을 밀폐시키는 엔드캡(202)이 각각 마련되어 결합된다.
또한, 레일홈(221)의 폭을 줄이기 위해 로어레일(200)은 상측면에 레일홈(221)으로 돌출되게 조립되어 레일홈(221)의 일부를 덮는 레일커버(2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로어레일(200)의 상측에서 함몰 형성된 홈에 레일커버(201)의 돌기가 끼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레일커버(201)는 레일홈(22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230)의 양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로어레일(20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로어레일(200)은 내측에 구동부(300), 구름수단(140), 와이어 하네스(400)가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어퍼레일(10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구동부(300)는 일예로 모터 와이어링(31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모터가 구동되며, 모터구동시 함께 회전하는 리드너트와, 리드너트와 스크류 결합되는 리드스크류(3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드스크류(320)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로어레일(200)의 내측에 마운팅부재로 장착되어 모터 구동시 모터와 리드너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리드너트, 리드스크류(320), 모터가 내부에 장착되는 케이스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가 어퍼레일(100)의 이동부(110)에 결합됨에 따라 모터 구동시 어퍼레일(100)과 구동부(300)는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고,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 구름수단(140)이 어퍼레일(100)의 하부인 이동부(110)에 결합되어 로어레일(200)의 내측에서 어퍼레일(100)을 지지한다.
와이어 하네스(400)는 구동부(300)에 전원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일측단은 자동차의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부와 연결되며 타측단은 시트제어기와 연결되는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401)와 연결된다. 그리고 시트제어기는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401)와 모터 와이어링(310)이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부(300)는 시트제어기로부터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된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단,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401), 모터 와이어링(310)은 모터 구동시 어퍼레일(100)과 함께 전후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로어레일(200)에 구름수단(140)과 와이어 하네스(400)가 각각 분리되어 내장될 수 있도록, 구동부(300)가 내장되는 하부공간(210)과 와이어 하네스(400)가 내장되는 상부공간(220)으로 나누어져 구비되며, 이에 따라 어퍼레일(100)의 전후 슬라이드시에 와이어 하네스(400)와의 간섭이 방지되며 와이어 하네스(400)가 구동부(300)에 전원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로어레일(200)의 내측공간이 상부공간(220)과 하부공간(210)으로 나누어져 마련되도록, 로어레일(200)은 양쪽 내측벽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지지부(230)의 상측면은 와이어 하네스(400)가 안착되는데 와이어 하네스(400)가 내장되는 공간을 제한하여 와이어 하네스(400)가 다양한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는 자유도를 제한한다. 즉, 와이어 하네스(400)는 로어레일(200)의 내부공간의 상측면과 지지부(230) 사이, 및 양쪽 내측벽에 지지되어 어퍼레일(100)과 함께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단이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더라도 와이어 하네스(400)의 꼬임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부(230)의 하측면은 구름수단(140)이 로어레일(200)의 내측 바닥면상에서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로어레일(200)로부터 어퍼레일(100)의 상하유동을 제한한다.
도 3의 (a)는 어퍼레일(100)이 전방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의 (b)는 어퍼레일(100)이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어퍼레일(100)이 전방에 위치할 때, 와이어 하네스(400)는 일측이 어퍼레일(10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이 로어레일(2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원부와 연결된다. 이때, 로어레일(200)의 후측단에 결합되는 엔드캡(202)에는 와이어 하네스(400)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어퍼레일(100)이 후방에 위치할 때, 와이어 하네스(400)의 타측은 고정되며 일측이 벤딩되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다시 어퍼레일(10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도 3의 (a)처럼 와이어 하네스(400)와의 간섭 없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단이 어퍼레일(100)에 고정되며,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단과 연결되는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401)가 어퍼레일(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어퍼레일(100)에는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어퍼레일(100)은 이동부(110)의 상측에서 프레임장착부(120)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개구부(121)를 포함하며, 개구부(121)를 통해 상부공간(220)이 상측으로 개구되고 상부공간(220)에 내장된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단과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401)가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400)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401)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시트제어기와도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구부(121)를 통해 돌출되게 조립되는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이 개구부(121) 내측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개구부(121)의 양측에 고정되어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단을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브라켓(420)이 구비된다.
고정브라켓(420)은 가운데가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벤딩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양단이 지지부(230)의 양측면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이처럼 와이어 하네스(400)가 고정브라켓(420)의 볼록한 형상으로 벤딩된 가운데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브라켓(420)이 어퍼레일(100)에 체결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400)의 일측과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40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며 안정감을 부여한다.
한편, 구름수단(140)은 로어레일(200)의 내측 바닥면상에서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로어레일(200)로부터 어퍼레일(100)의 상하유동을 제한하도록, 어퍼레일(100)의 적어도 6곳 이상에 구름부재가 설치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구름부재는 이동부(110)의 양측에 쌍으로 구비되는데, 한쌍의 전방 구름부재(141)와 한쌍의 후방 구름부재(143)는 로어레일(20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어 구름이동하며, 전방 구름부재(141)와 후방 구름부재(143) 사이에 위치하는 한쌍의 중앙 구름부재(142)는 지지부(230)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구름이동한다.
다시 말해서, 로어레일(200)의 바닥면과 지지부(230)의 하측면 사이에는 구름부재가 위치했을 때 원활한 구름이동과 어퍼레일(100)유동 방지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임의의 갭(G1,G2)이 마련되야 하는데, 임의의 갭(G1,G2)만큼 어퍼레일(100)이 상하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부(23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중앙 구름부재(142)가 구비된다.
한쌍의 전방 구름부재(141)와 한쌍의 후방 구름부재(143)는 로어레일(200)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지지부(230)의 하측면과는 임의의 갭(G1)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로어레일(200) 내측에서 어퍼레일(10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한쌍의 중앙 구름부재(142)는 지지부(230)의 하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로어레일(200)의 바닥면과는 임의의 갭(G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름수단(140)이 로어레일(200)의 바닥면과 지지부(230)의 하측면을 모두 지지하고 있어서 로어레일(200) 내측에서 어퍼레일(100)이 상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한쌍의 전방,후방 구름부재(141,143)와 지지부(230)의 하측면 사이의 임의의 갭(G1)과 한쌍의 중앙 구름부재(142)와 로어레일(200)의 바닥면 사이의 임의의 갭(G2)은 다른 치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쌍의 전방,후방 구름부재(141,143)와 지지부(230)의 하측면 사이의 임의의 갭(G1)은 작을수록 어퍼레일(100)의 유동이 줄어들게 된다. 일예로 한쌍의 전방,후방 구름부재(141,143)와 지지부(230)의 하측면 사이의 임의의 갭(G1)은 대략 0.6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쌍의 전방,후방 구름부재(141,143)가 안정적으로 구름운동하면서도 어퍼레일(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중앙 구름부재(142)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마련되어 임의의 갭(G2)이 한쌍의 전방,후방 구름부재(141,143)와 지지부(230)의 하측면 사이의 임의의 갭(G1)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어퍼레일(1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는 보조 구름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구름수단(150)은 어퍼레일(100)의 이동부(110)에 장착되어 로어레일(200)의 양쪽 내측벽을 지지하면서 어퍼레일(10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 양쪽 내측벽을 구름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로어레일(200)의 양쪽 내측벽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231)가 구비되며, 보조 구름수단(150)이 돌출부(231)에 지지되어 구름이동된다.
그리고, 로어레일(200)의 바닥면에는 로어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구름수단(140)의 좌우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1)가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는 와이어 하네스(4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체인(41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체인(410)은 상부공간(220)의 내부에 벤딩된 'U' 형상으로 내장되는 와이어 하네스(400)를 감싸며 외측이 상부공간(220)의 내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단이 상부공간(220)의 내부에서 어퍼레일(100)에 고정되어 어퍼레일(100)과 함께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며 타측단이 로어레일(200)의 상부공간(220)의 내부에서 후방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체인(410)은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는 일측단이 어퍼레일(100)에 고정되고 전후 이동이 없는 타측단이 로어레일(200)의 상부공간(220)의 후방에 고정된다.
도 6을 참고하여 가이드체인(410)의 고정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도 6의 (a)는 가이드체인(410)의 일측단이 어퍼레일(100)에 고정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의 (a)를 참고하면, 가이드체인(410)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는, 어퍼레일(100)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의 결합부(111)가 연결부(130)에 삽입 결합되어 가이드체인(410)의 일측단과 맞닿으며, 가이드체인(410)의 일측단과 결합부(111)에 삽입된 후 걸림구조로 걸림 체결되는 제2고정수단(402)이 마련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는 타측단이 로어레일(200)의 상부공간(220)의 후방에 고정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가이드체인(410)의 타측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는 일예로 로어레일(200)과 가이드체인(410)의 타측단에 삽입된 후 걸림구조로 걸림 체결되는 제1고정수단(401)으로 마련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체인(41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다수개의 유닛들이 연결된 구조로, 로어레일(200)의 상부공간(220)의 내측형상과 대응되어 평상시에는 직선을 유지하다가 어퍼레일(10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에 각 유닛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가이드체인(410)의 벤딩위치가 이동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롱슬라이드의 경우, 도 7의 (a)처럼 로어레일(200) 내측에 와이어 하네스(400)가 단독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와이어 하네스(400)가 이리저리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와이어 하네스(400)가 접히거나 와이어 하네스(400)가 서로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반면 도 7의 (b)처럼 로어레일(200) 내측에 와이어 하네스(400)가 가이드체인(410)에 감싸진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가이드체인(410)으로 인해 와이어 하네스(400)의 벤딩되는 부분 외에는 직선이 유지되며, 와이어 하네스(400)가 서로 부딪히는 경우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와이어 하네스와 구동부가 로어레일에 내장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양측 연결이 용이하여 조립이 용이해지며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와이어 하네스와 구동부가 로어레일의 내측공간에서 각각 상측공간과 하측공간에 정리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해지며 와이어 하네스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롱슬라이드 이동하는 시트레일 구조에서도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로어레일의 부피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어퍼레일의 전후 슬라이드시에 배선과의 간섭이 방지되며 전원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별도의 여분 길이 흡수 박스가 필요하지 않아 부품 수가 줄어들고, 시트레일 구조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차량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어퍼레일 110: 이동부
120: 프레임장착부 121: 개구부
130: 연결부 140: 구름수단
141: 전방 구름부재 142: 중앙 구름부재
143: 후방 구름부재 150: 보조 구름수단
200: 로어레일 210: 하부공간
211: 가이드부 220: 상부공간
221: 레일홈 230: 지지부
231: 돌출부 300: 구동부
310: 모터 와이어링 320: 리드스크류
400: 와이어 하네스 401: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
410: 가이드체인 420: 고정브라켓

Claims (7)

  1. 시트의 쿠션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어퍼레일; 및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고 상기 어퍼레일의 하부가 레일홈에 삽입되며, 상기 어퍼레일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어퍼레일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구름수단과, 상기 어퍼레일을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에 전원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와이어 하네스가 내장된 로어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레일은 상기 구동부와 구름수단이 내장되도록 내측에 마련되는 하부공간, 상기 와이어 하네스와 가이드체인이 내장되도록 내측에 마련되는 상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공간의 내부에 벤딩된 'U' 형상으로 내장되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고, 외측이 상기 상부공간의 내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측단이 상기 상부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어퍼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어퍼레일과 함께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며, 타측단이 상기 상부공간의 내부에서 후방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가이드체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과 상기 가이드체인의 타측단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걸림 체결되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가이드체인의 일측단과 맞닿도록 상기 어퍼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체인의 일측단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걸림 체결되는 제2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은,
    상기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이 나누어져 마련되도록, 양쪽 내측벽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수단은,
    상기 어퍼레일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로어레일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어 구름이동하는 한쌍의 전방 구름부재와 한쌍의 후방 구름부재; 및
    상기 어퍼레일의 상기 한쌍의 전방,후방 구름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어 구름이동하는 한쌍의 중앙 구름부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레일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어퍼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로어레일의 양쪽 내측벽에 지지되어 구름이동하는 한쌍의 보조 구름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레일은,
    메인 와이어링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단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단이 구비된 위치에서 상측으로 관통 형성된 개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가운데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벤딩되며 양단이 상기 어퍼레일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KR1020180142882A 2018-11-19 2018-11-19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KR102150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82A KR102150593B1 (ko) 2018-11-19 2018-11-19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82A KR102150593B1 (ko) 2018-11-19 2018-11-19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186A KR20200058186A (ko) 2020-05-27
KR102150593B1 true KR102150593B1 (ko) 2020-09-01

Family

ID=7091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882A KR102150593B1 (ko) 2018-11-19 2018-11-19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811A (ko)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슬라이드레일 전원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2498B (zh) * 2019-01-02 2020-09-22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长行程座椅的供电机构
KR102333932B1 (ko) * 2020-06-22 2021-12-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KR102333936B1 (ko) * 2020-06-29 2021-12-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레일의 개방통로 커버링 장치
KR102336768B1 (ko) * 2020-07-31 2021-12-08 대원정밀공업(주) 케이블이 삽입설치된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KR102336774B1 (ko) * 2020-07-31 2021-12-08 대원정밀공업(주) 케이블 노출방지용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KR102448461B1 (ko) * 2020-09-03 2022-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유닛
KR102421228B1 (ko) * 2021-01-27 2022-07-15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402A (ja) * 2011-08-02 201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470Y1 (ko) * 1995-12-02 1998-12-15 전성원 차량 의자의 전기배선구조
KR101915612B1 (ko) 2011-11-04 2018-11-07 주식회사다스 시트트랙장치의 트랙레버 높이 조절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402A (ja) * 2011-08-02 201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811A (ko)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슬라이드레일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186A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593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EP1935707B1 (en) Power feeding apparatus and harness wiring structure using the same
JP6541034B2 (ja) スライド配線装置
JP4034373B2 (ja) 車両用可動座席の配線構造
JP2004187375A (ja) 給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JPWO2019188811A1 (ja) ケーブル巻取り装置、及びスライドシート用フラットケーブル配索構造
WO2019017235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装置
CN111098820A (zh) 安全带卷收器
JP2007276628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2011121459A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6446173B2 (ja) 車両のスライド窓及び給電装置
WO2017022446A1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CN116653811A (zh) 线束布设结构、连杆式滑动门以及线束
JP4205611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5052032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CN116745176A (zh) 用于纵向调节车辆功能结构组件的调节装置
JP2004312846A (ja) 電気接続構造、電気接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並びにハーネス余長吸収装置
KR101593847B1 (ko) 헤드레스트 장치
US10286858B2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ic wires, and sliding seat
JP5979053B2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JP6015558B2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2006341646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JP5351643B2 (ja) スライドシート給電構造
JP7106235B2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配索構造
CN214189388U (zh) 座椅电动滑轨以及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