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515B1 - 욕실용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욕실용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515B1
KR102147515B1 KR1020200028070A KR20200028070A KR102147515B1 KR 102147515 B1 KR102147515 B1 KR 102147515B1 KR 1020200028070 A KR1020200028070 A KR 1020200028070A KR 20200028070 A KR20200028070 A KR 20200028070A KR 102147515 B1 KR102147515 B1 KR 10214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wer
storage tank
recycled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억
권은영
박흥복
조재호
Original Assignee
조중억
권은영
박흥복
조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292779&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4751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중억, 권은영, 박흥복, 조재호 filed Critical 조중억
Priority to KR102020002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 후 버려지는 세면 재활용수를 보관하기 위해 세면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세면수 저장탱크, 세면수 저장탱크를 구비한 동일 공간에 구비되어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를 담는 샤워수 저장탱크, 양변기에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세척수와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를 저장하는 양변기 저장탱크, 및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를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선택적으로 공급 안내하는 선택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세면대 하부의 빈 공간에 세면수 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샤워기 하부에 샤워수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사용 후 버려지는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를 활용하여 양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외부 세척수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가 설정 수위만큼 저장된 상태에서 외부 세척수의 유동 압력 작용시에만 양변기 저장탱크로 유동 허용됨에 따라 재활용수의 임의적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욕실용 절수장치{WATER SAVING DEVICE FOR BATHROOM}
본 발명은 욕실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 하부의 빈 공간에 세면수 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샤워기 하부에 샤워수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사용 후 버려지는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를 활용하여 양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외부 세척수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가 설정 수위만큼 저장된 상태에서 외부 세척수의 유동 압력 작용시에만 양변기 저장탱크로 유동 허용됨에 따라 재활용수의 임의적 이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욕실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가정에서 세면 또는 목욕(샤워포함)을 할 때, 비누를 사용한 후 흘러가는 물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된 물은 전부 하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물은 재활용할 수 없어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수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과 가정에서 물 값이 많이 소요되는 경제적인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특히, 양변기의 경우에는 소변 또는 대변을 마친 후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여 처리하게 되는데, 한번 처리할 때마다 물탱크 안의 물이 소모되며 새로운 물을 상수관으로부터 공급받아 물탱크를 채우게 되기 때문에 물이 낭비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가정에서는 물탱크 내부에 벽돌 등을 넣어 벽돌의 부피만큼의 물을 절약하거나 특히 소변의 경우 물을 내리지 않고 여러 번 사용한 후에 물을 내리는 경우가 있어 위생상 안 좋은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물의 낭비를 막기 위해 세면대에 버려지는 세면수를 양변기로 공급하여 세척수를 활용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관련기술로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6030호(등록일: 1999.10.23.)에 '절수식 화장실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화장실의 절수식 구조는 샤워수를 모아 양변기 물통으로 공급하는 한정된 구성으로 인해 양변기 물통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한정적이고, 양변기 물통으로 공급되는 샤워수의 오염도가 커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면대 하부의 빈 공간에 세면수 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샤워기 하부에 샤워수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사용 후 버려지는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를 활용하여 양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외부 세척수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가 설정 수위만큼 저장된 상태에서 외부 세척수의 유동 압력 작용시에만 양변기 저장탱크로 유동 허용됨에 따라 재활용수의 임의적 이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욕실용 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는: 사용 후 버려지는 세면 재활용수를 보관하기 위해 세면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세면수 저장탱크;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를 구비한 동일 공간에 구비되어,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를 담는 샤워수 저장탱크; 양변기에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세척수와, 상기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상기 샤워 재활용수를 저장하는 양변기 저장탱크; 및 상기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상기 샤워 재활용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선택적으로 공급 안내하는 선택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공급부는,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되는 세면 재활용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세면 수면게이지;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되는 샤워 재활용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샤워 수면게이지;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된 세면 재활용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된 샤워 재활용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 및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세면 재활용수의 양과,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샤워 재활용수의 양을 통해, 상기 세면 재활용수와 상기 샤워 재활용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량만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와 상기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는,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를 담도록 상측 일부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샤워 재활용수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해 유입홀을 통공한 덮개;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샤워 재활용수를 적어도 한번 이상 월류 유도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월류유도격벽;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최종적으로 월류 처리된 샤워 재활용수를 보관하고, 배출하기 전에 약품을 공급하여 소독 처리하는 소독처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는: 외부에서 설정된 압력으로 강제 유동되는 세척수의 흐름 단속을 통해,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세척수와 함께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작동부; 및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상기 세척수와 함께 상기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상기 샤워 재활용수의 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세척수의 강제 유동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세면대 하부의 빈 공간에 세면수 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샤워기 하부에 샤워수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사용 후 버려지는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를 활용하여 양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외부 세척수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가 설정 수위만큼 저장된 상태에서 외부 세척수의 유동 압력 작용시에만 양변기 저장탱크로 유동 허용됨에 따라 재활용수의 임의적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의 공급작동부와 개폐부를 보인 확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 중 샤워수 저장탱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 중 샤워수 저장탱크의 내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수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욕실용 절수장치에서 세면수 저장탱크에 설정치 이상의 재활용수가 저장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에서 샤워수 저장탱크에 설정치 이상의 재활용수가 저장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에서 세면수 저장탱크와 샤워수 저장탱크에 설정치 이하의 재활용수가 저장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의 공급작동부와 개폐부를 보인 확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 중 샤워수 저장탱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 중 샤워수 저장탱크의 내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수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욕실용 절수장치에서 세면수 저장탱크에 설정치 이상의 재활용수가 저장시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에서 샤워수 저장탱크에 설정치 이상의 재활용수가 저장시 사용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에서 세면수 저장탱크와 샤워수 저장탱크에 설정치 이하의 재활용수가 저장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절수장치는 세면대(10)와 연결된 세면수 저장탱크(100), 샤워수 저장탱크(500), 양변기(20)와 연결된 양변기 저장탱크(200), 선택공급부(600), 공급작동부(300) 및 개폐부(400)를 포함한다.
세면대(10)는 가정용 화장실 또는 공용 화장실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세면대(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도꼭지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세면수 저장탱크(100)는 배수구(12)를 통해 세면대(10)와 연결되어, 세면(洗面)이나 세수(洗手) 등 사용 완료 후 세면대(10)로 유입된 세면 재활용수를 배수구(12)를 통해 공급 받는다.
이때, 세면수 저장탱크(100)는 크기 및 재질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세면수 저장탱크(100)는 배수구(12)와 분리되도록 하여, 교체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특히, 세면대(10)의 세면수 재활용수는 필터링 처리된 후 세면수 저장탱크(100)로 공급된다. 이를 위해, 배수구(12) 또는 세면수 저장탱크(100)의 세면 재활용수의 유입측에는 필터부재(14)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편의상, 필터부재(14)는 배수구(12)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필터부재(14)는 배수구(12)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 또는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필터부재(14)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세면수 저장탱크(100)는 설정 수위 이상의 재활용수를 배출 유도하기 위해 오버플로우배관(120)을 구비한다.
물론, 세면수 저장탱크(100)는 상부에 오버플로우배관(120)을 연결하여, 일정치 이상의 세면 재활용수가 유입시 오버플로우배관(120)을 통해 자연적으로 배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샤워수 저장탱크(500)는 욕실이나 실내의 공간에 세면수 저장탱크(100)와 함께 구비된다.
샤워수 저장탱크(500)는 샤워기(30)를 통해 배출되는 샤워수를 재활용 후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를 담아 임시적으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샤워수 저장탱크(500)는 통상 샤워기(30)와 함께 구비되는 수도꼭지에서 배출되어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를 함께 저장한다.
이때, 샤워수 저장탱크(500)는 욕실 등의 바닥에 놓여지거나, 바닥에 일부 매립될 수도 있다.
특히, 샤워수 저장탱크(500)는 하우징(510), 덮개(520), 월류유도격벽(530) 및 소독처리조(540)를 포함한다.
하우징(510)은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를 담을 수 있도록 상측 일부에 개방부(512)를 형성한다. 사용자는 개방부(512)가 형성되지 않은 하우징(510)의 상측면에 올라서서 샤워 등을 한다. 이때, 하우징(510)은 상측면이 개방부(512) 측으로 소정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는 개방부(512) 측으로 집중 유동된다.
덮개(520)는 하우징(510)의 개방부(512)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샤워 재활용수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해 유입홀(522)을 통공한다. 물론, 덮개(520)와 유입홀(52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월류유도격벽(530)은 유입홀(522)을 통해 하우징(510)으로 최초 유입된 샤워 재활용수를 적어도 한번 이상 월류 유도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하우징(51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510)은 월류유도격벽(530)에 의해 복수 개의 저장조(534)를 구비한다. 그래서, 샤워 재활용수는 유입홀(522)을 통해 하우징(510) 내부의 최일측의 저장조(534)를 채우면서 비중이 큰 이물질을 바닥에 쌓이게 한 후, 이웃한 저장조(534)로 월류된다.
샤워 재활용수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저장조(534)의 바닥에 이물질을 적층하면서 일부 정화된 상태로 최타측의 저장조(534)로 유동된다. 이를 위해, 월류유도격벽(530) 각각의 상측과 하우징(510)의 상측면 사이에, 상부홀(532)이 형성된다. 샤워 재활용수는 상부홀(532)을 통해 이웃한 저장조(534)로 월류된다.
물론, 월류유도격벽(5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소독처리조(540)는 하우징(510) 내부에서 최종적으로 월류 처리된 샤워 재활용수를 보관하고, 배출하기 전에 약품을 공급하여 소독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소독처리조(540)는 하우징(510) 내부에서 최타측의 저장조(534)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해당 저장조(534)에서 월류되는 샤워 재활용수를 공급받아 소독 처리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이때, 하우징(510)은 소독처리조(540)에 소독을 위한 약품을 자동으로 설정량만큼 공급하기 위해 공급기(542)를 구비한다. 물론, 최타측의 저장조(534)가 소독처리조(540)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하우징(510)의 소독처리조(540)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배수홀(514)이 통공된다. 이때, 배수홀(514)은 양변기 저장탱크(200)와 연결된다. 배출홀(412)에는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양변기 저장탱크(200)로 이송되는 샤워 재활용수를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510)은 소독처리조(540)에 해당되는 둘레면 상부에 넘침배출관(550)을 구비한다. 넘침배출관(550)은 하우징(510)의 둘레면 상측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소독처리조(540) 내부에 일정 이상의 샤워 재활용수가 저장될 경우, 소독처리조(540) 내부의 샤워 재활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양변기 저장탱크(200)는 양변기(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세척수)을 양변기(20)로 내려 보내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양변기 저장탱크(200)는 바닥면에 연통홀(220)을 구비하여 양변기(20)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외력 미작용시, 개폐부구(260)가 연통홀(220)을 막고 있는 상태가 된다. 개폐부구(260)는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신속히 연통홀(220)을 개방하도록 들려지고, 양변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저항에 의해 서서히 연통홀(220)을 막게 된다.
상세히, 양변기 저장탱크(20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조작부재(230)를 구비한다. 조작부재(230)는 레버타입 또는 푸쉬 타입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조작부재(230)는 양변기 저장탱크(200)의 내부에서 링크바(240)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조작부재(230)가 외력에 의해 조작시, 링크바(240)는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다. 조작부재(23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시, 링크바(240)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링크바(240)는 가요성을 갖는 와이어(250)를 연결하고, 와이어(250)는 개폐부구(260)에 연결된다. 초기 상태에, 와이어(250)는 처진 상태가 된다. 그래서, 링크바(240)가 설정 각도 이내로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 개폐부구(260)는 연통홀(220)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250)가 당겨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링크바(24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 와이어(250)가 더 당겨짐에 따라, 개폐부구(260)는 연통홀(220)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개폐부구(260)는 일측이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개폐부구(260)가 연통홀(220)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연통홀(220)을 서서히 닫는 동안,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의 물은 양변기(20) 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에 저장된 물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 및 세면수 저장탱크(100)로부터 공급된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수 저장탱크(500)로부터 공급된 샤워 재활용수로 이루어진다.
양변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세척수 및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가 양변기(20) 측으로 배출 완료되어, 개폐부구(260)가 연통홀(220)을 완전히 닫은 후에도, 세척수 또는 세척수와 (세면, 샤워)재활용수가 지속적으로 양변기 저장탱크(200)로 공급된다. 이때,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의 세척수 수위검출부재(210)가 수위를 검출 시, 세척수 또는 세척수와 재활용수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양변기(20) 및 양변기 저장탱크(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링크바(240)와 개폐부구(26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와이어(250)를 연결한다.
양변기 저장탱크(200)는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양변기 저장탱크(200)의 개방된 상측은 커버(205)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선택공급부(600)는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를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선택적으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선택공급부(600)는 세면 수면게이지(610), 샤워 수면게이지(620),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 및 제어부(650)를 포함한다.
세면 수면게이지(610)는 세면수 저장탱크(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저장되는 세면 재활용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샤워 수면게이지(620)는 샤워수 저장탱크(500) 특히, 소독처리조(540)의 내측에 구비되어, 저장되는 샤워 재활용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세면 수면게이지(610)는 세면 재활용수의 최대치 저장량을 검출하는 상사치 검출게이지(612), 및 세면 재활용수의 최저치 저장량을 검출하는 하사치 검출게이지(6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면수 저장탱크(100)는 둘레면 상부에 오버플로우배관(120)을 연결하여 일정치 이상의 세면 재활용수가 유입시 오버플로우배관(120)을 통해 자연적으로 배출 유도하고, 세면 수면게이지(610) 특히 상사치 검출게이지(612)가 세면 재활용수의 수면을 검출시 세면 재활용수의 배출을 허용한다. 이때, 세면수 저장탱크(100)는 양변기 저장탱크(200) 측으로 세면 재활용수를 배출하는 부위에 개폐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사치 검출게이지(612)가 세면 재활용수의 수면을 미검출할 경우, 개폐밸브는 닫힌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샤워 수면게이지(620)는 샤워 재활용수의 최대치 저장량을 검출하는 상부게이지(622), 및 샤워 재활용수의 최저치 저장량을 검출하는 하부게이지(6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독처리조(540)에 해당되는 샤워수 저장탱크(500)는 둘레면 상부에 넘침배출관(550)을 연결하여 일정치 이상의 샤워 재활용수가 유입시 넘침배출관(550)을 통해 자연적으로 배출 유도하고, 샤워 수면게이지(620) 특히 상부게이지(622)가 샤워 재활용수의 수면을 검출시 샤워 재활용수의 배출을 허용한다. 이때, 샤워수 저장탱크(500)는 양변기 저장탱크(200) 측으로 샤워 재활용수를 배출하는 부위에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부게이지(622)가 샤워 재활용수의 수면을 미검출할 경우, 밸브는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는 세면수 저장탱크(100)에 구비되어 저장된 세면 재활용수를 양변기 저장탱크(200)로 강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샤워수 저장탱크(500)에 구비되어 저장된 샤워 재활용수를 양변기 저장탱크(2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와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대응되는 세면수 저장탱크(100)와 샤워수 저장탱크(5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650)는 세면수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세면 재활용수의 양과, 샤워수 저장탱크(500)에 저장된 샤워 재활용수의 양을 통해,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량만큼 양변기 저장탱크(200)로 공급하기 위해,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와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650)는 세면 수면게이지(610)와 샤워 수면게이지(620)를 통해 검출되는 세면수 저장탱크(100)의 세면 재활용수의 양과 소독처리조(540)의 샤워 재활용수의 양을 통해, 만수위에 해당되는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를 양변기 저장탱크(200)로 정량 공급하기 위해 대응되는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 또는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의 가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세면 수면게이지(610)와 샤워 수면게이지(620)를 통해 검출되는 세면수 저장탱크(100)의 세면 재활용수의 양과 소독처리조(540)의 샤워 재활용수의 양이 저수위일 경우, 세면 재활용수와 샤워 재활용수의 양이 합쳐져서 정량이 되는지 비교 판단 후, 정량이 된다면, 제어부(650)는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와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를 동시 가동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공급작동부(300)는 외부에서 설정된 압력으로 강제 유동되는 세척수의 흐름 단속을 통해,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세척수와 함께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개폐부(400)는 세척수의 강제 유동 압력에 따라 개폐되고, 개방되며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세척수와 함께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의 공급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공급작동부(300)는 세척수공급관(310), 제 1재활용이동관(322), 제 2재활용이동관(324), 밸브부재(330) 및 신호전달부재(340)를 포함한다.
세척수공급관(310)은 외부로부터 상수 또는 수돗물인 세척수를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세척수는 설정된 유동 압력을 갖고 유동함에 따라 유속이 비교적 빠르다.
그리고, 제 1재활용이동관(322)은 일측이 세면수 저장탱크(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세척수공급관(310) 또는 개폐부(400)의, 후술할, 케이싱(410) 하측에 연결되어, 세면수 저장탱크(100)의 세면 재활용수를 양변기 저장탱크(200)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제 1재활용이동관(322)은 타측이 세척수공급관(3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세면수 저장탱크(100) 내부에서, 제 1재활용이동관(322)은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에 연결된다.
제어부(650)의 신호에 의해,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가 가동시, 세면수 저장탱크(100) 내부의 세면 재활용수는 제 1재활용이동관(322)과 세척수공급관(310)을 통해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유동된다. 이때,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는 미도시된 필터를 구비하여 세면 재활용수를 필터링 후 펌핑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재활용이동관(324)은 일측이 샤워수 저장탱크(500)의 소독처리조(540)에 연결되고, 타측이 세척수공급관(310) 또는 제 1재활용이동관(322)에 연결되어, 샤워수 저장탱크(500)의 샤워 재활용수를 양변기 저장탱크(200)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제 2재활용이동관(324)은 타측이 제 1재활용이동관(32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제 2재활용이동관(324)은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에 연결된다.
제어부(650)의 신호에 의해,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가 가동시, 샤워수 저장탱크(500)의 소독처리조(540) 내부의 샤워 재활용수는 제 2재활용이동관(324), 제 1재활용이동관(322) 및 세척수공급관(310)을 통해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유동된다. 이때,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미도시된 필터를 구비하여 샤워 재활용수를 필터링 후 펌핑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부재(330)는 세척수공급관(310)에 구비되어, 개폐부(400)의 개방 작동과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세척수와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를 보충하도록 외부 신호에 의해 정해진 시간만큼 개방되며 세척수와 재활용수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때, 제 1재활용이동관(320)은 밸브부재(330)와 개폐부(400)의 케이싱(410) 사이에 해당되는 세척수공급관(310)에 연결되고, 제 2재활용이동관(324)은 제 1재활용이동관(322)에 접속됨으로써, 밸브부재(330)를 통과한 세척수는 제 1재활용이동관(322), 또는 제 2재활용이동관(324)과 제 1재활용이동관(322)을 통해 유입되는 재활용수와 함께 케이싱(41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밸브부재(330)는 제어부(650)의 제어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신호전달부재(340)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조작에 따라, 밸브부재(330)의 개방 작동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신호전달부재(340)는 욕실 내 벽면이나 양변기(20) 또는 양변기 저장탱크(200)에 설치되는 푸쉬버튼이나 근접스위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신호전달부재(340)는 조작부재(230)에 구비되어 조작부재(230)의 조작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편의상, 신호전달부재(340)는 양변기(20)에 인접한 욕실 내 벽면에 구비되는 근접스위치인 것으로 도시한다. 사용자가 신호전달부재(340)를 손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손과 신호전달부재(340)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어, 청결이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호전달부재(340)에 손을 근접할 경우, 신호전달부재(340)는 해당 신호를 밸브부재(330)와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 및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에 전달한다. 이때, 신호전달부재(340)와 밸브부재(330), 신호전달부재(340)와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 및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 또는 신호전달부재(340)와 밸브부재(330)와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 및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유선이나 무선으로써 신호 전달이 된다.
한편, 개폐부(400)는 케이싱(410), 개폐판(420) 및 탄성부재(430)를 포함한다.
케이싱(410)은 양변기 저장탱크(2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된다. 편의상, 케이싱(410)은 양변기 저장탱크(20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케이싱(410)은 하부에 세척수공급관(310) 단독 또는 세척수공급관(310)과 제 1재활용이동관(322)을 연결한다. 이때, 제 1재활용이동관(322)이 세척수공급관(3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술된 바, 케이싱(410)은 하부에 세척수공급관(310)이 단독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케이싱(410)은 내부로 세척수와 재활용수가 유입된다.
아울러, 케이싱(410)은 둘레면 특히 둘레면 하부에 배출홀(412)을 통공한다. 그래서, 케이싱(410)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재활용수는 배출홀(412)을 통해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홀(412)의 크기,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배출홀(412)을 통해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배출되는 세척수와 재활용수의 양은 연통홀(220)을 통해 양변기(20) 측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와 재활용수의 양보다 적다.
또한, 개폐판(420)은 케이싱(410)의 내부에서, 케이싱(41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개폐판(420)의 둘레면은 원주 방향으로 케이싱(41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그래서, 개폐판(420)이 케이싱(410)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할 경우, 개폐판(420)은 케이싱(410)의 하부 개방측을 막게 되고, 배출홀(412)은 개폐판(420)의 상부에 해당되는 케이싱(410)의 둘레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판(420)이 강제 유입되는 외부 세척수의 유동 압력에 의해 케이싱(410) 내부에서 배출홀(412)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하게 되면, 세척수와 재활용수는 케이싱(410)의 하부 개방측을 통해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 후 배출홀(412)을 통해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세척수 수위검출부재(210)가 만수위를 검출하게 되면, 세척수와 재활용수가 케이싱(410) 내부로 더 이상 유입되지 않음으로 인해, 개폐판(420)은 하강하여 원위치 복귀하게 된다.
물론, 개폐판(4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탄성부재(430)는 케이싱(410) 내부에 배치된 채, 일측이 케이싱(410)의 내부 상측면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개폐판(420)의 상측면에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외부로부터 세척수의 강제 공급에 따른 외력 미작용시, 탄성부재(430)는 개폐판(420)을 케이싱(410)의 하측면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그래서, 세척수공급관(310)에 잔류하는 세척수와 제 1재활용이동관(322)에 잔류하는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가 임의적으로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세척수와 재활용수가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로 과보충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밸브부재(330)가 개방됨에 따른 세척수가 강제 유동되며 개폐판(420)을 밀 경우, 탄성부재(430)는 탄성 압축된다.
편의상, 탄성부재(430)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개폐판(420)은 케이싱(4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리브(422)를 연결한다. 이때,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와 재활용수가 케이싱(4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 처리된 채, 리브(422)는 케이싱(410)의 상면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된다. 리브(4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링크바(240)와 개폐부구(260)를 연결한 와이어(250)나, 동일한 개폐부구(260)를 연결한 다른 와이어가 리브(422)에 연결된다. 그래서, 리브(422)가 개폐판(420)과 함께 상승시, 와이어(250)가 서서히 당겨지면서 개폐부구(260)를 들어올린다. 이로써, 양변기 저장탱크(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연통홀(220)이 개방된다.
즉, 조작부재(230)의 조작과 개폐판(420)의 상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통해, 개폐부구(260)는 연통홀(22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정전이나, 신호전달부재(340)와 밸브부재(330)와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 및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오류시, 사용자는 조작부재(230)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양변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세척수 또는 세척수와 재활용수를 양변기(20)로 흘려보낼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사치 검출게이지(612)가 세면수 저장탱크(100)의 세면 재활용수의 수위를 검출한 상태에서, 제어부(650)의 신호에 의해,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는 가동되며 세면 재활용수를 제 1재활용이동관(322)을 통해 세척수공급관(310)으로 펌핑한다. 이때, 샤워수 저장탱크(500)의 소독처리조(540)에 저장된 샤워 재활용수는 하부게이지(624)에서 수위를 감지하거나 또는 하부게이지(624)에서도 감지하지 못할 만큼 수위가 낮은 상태이다. 그래서, 제어부(650)의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가동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밸브부재(330)는 신호전달부재(3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시간 개방 후 닫힌다. 밸브부재(330)를 통과한 상대적으로 소량의 세척수가 해당 압력으로써 우선적으로 개폐부(400)의 개폐판(420)을 들어 올려 배출홀(412)을 개방하거나, 또는 세면 재활용수와 합쳐진 후 해당 압력으로써 배출홀(412)을 개방한다. 이때, 세척수가 해당 압력으로 배출홀(412)을 개방 후, 밸브부재(330)가 닫히더라도,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의 펌핑에 의해, 세면 재활용수가 지속적으로 개폐부(400)의 개폐판(420)을 들어 올려 배출홀(412)을 개방한 상태로 유동됨에 따라, 개폐부(40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에 구비된 세척수 수위검출부재(210)가 만수위(滿水位)를 검출하면, 제어부(650)의 신호에 의해,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는 세면 재활용수의 펌핑 작동을 정지한다. 이때, 하사치 검출게이지(614)가 세면수 저장탱크(100) 내부의 세면 재활용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상태가 된다. 즉, 세척수 수위검출부재(210)와 하사치 검출게이지(614) 중 어느 하나만 수위를 검출하더라도,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는 작동 정지됨에 따라,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가 과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비교적 고압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개폐부(400)가 개방됨에 따라,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는 비교적 성능이 낮은 모델로 채택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물론,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에 의해 강제 펌핑되는 세면 재활용수가 개폐부(40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부게이지(622)가 샤워수 저장탱크(500)의 소독처리조(540)의 샤워 재활용수의 수위를 검출한 상태에서, 제어부(650)의 신호에 의해,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가동되며 샤워 재활용수를 제 2재활용이동관(324) 및 제 1재활용이동관(322)을 통해 세척수공급관(310)으로 펌핑한다. 이때, 세면수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세면 재활용수는 하사치 검출게이지(614)에서 수위를 감지하거나 또는 하사치 검출게이지(614)에서도 감지하지 못할 만큼 수위가 낮은 상태이다. 그래서, 제어부(650)의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는 가동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밸브부재(330)는 신호전달부재(3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시간 개방 후 닫힌다. 밸브부재(330)를 통과한 상대적으로 소량의 세척수가 해당 압력으로써 우선적으로 개폐부(400)의 개폐판(420)을 들어 올려 배출홀(412)을 개방하거나, 또는 샤워 재활용수와 합쳐진 후 해당 압력으로써 배출홀(412)을 개방한다. 이때, 세척수가 해당 압력으로 배출홀(412)을 개방 후, 밸브부재(330)가 닫히더라도,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의 펌핑에 의해, 샤워 재활용수가 지속적으로 개폐부(400)의 개폐판(420)을 들어 올려 배출홀(412)을 개방한 상태로 유동됨에 따라, 개폐부(40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에 구비된 세척수 수위검출부재(210)가 만수위(滿水位)를 검출하면, 제어부(650)의 신호에 의해,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샤워 재활용수의 펌핑 작동을 정지한다. 이때, 하부게이지(624)가 소독처리조(540) 내부의 샤워 재활용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상태가 된다. 즉, 세척수 수위검출부재(210)와 하부게이지(624) 중 어느 하나만 수위를 검출하더라도,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작동 정지됨에 따라,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가 과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비교적 고압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개폐부(400)가 개방됨에 따라,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비교적 성능이 낮은 모델로 채택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물론,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에 의해 강제 펌핑되는 샤워 재활용수가 개폐부(40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사치 검출게이지(612)가 세면수 저장탱크(100)의 세면 재활용수 수위를 검출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하사치 검출게이지(614)가 세면 재활용수의 수위를 검출하게 되면,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630)는 가동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부게이지(622)가 소독처리조(540)의 샤워 재활용수 수위를 검출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하부게이지(624)가 샤워 재활용수의 수위를 검출하게 되면,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640)는 가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밸브부재(330)는 신호전달부재(3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일정시간 개방 후 닫힌다. 양변기 저장탱크(200)가 세척수 만으로 만수위까지 보충됨에 따라, 도 8의 밸브부재(330)의 개방시간이 도 6 및 도 7의 밸브부재(330)의 개방시간보다 길게 된다.
밸브부재(330)를 통과한 세척수가 해당 압력으로써 개폐부(400)를 개방 후 지속적으로 세면수 저장탱크(100) 내부로 공급된다.
아울러, 양변기 저장탱크(200) 내부의 세척수 수위검출부재(210)가 만수위를 검출시, 밸브부재(330)는 닫힘 제어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세면대 14: 필터부재
20: 양변기 100: 세면수 저장탱크
120: 오버플로우배관 200: 양변기 저장탱크
210: 세척수 수위검출부재 230: 조작부재
240: 링크바 250: 와이어
260: 개폐부구 300: 공급작동부
310: 세척수공급관 322: 제 1재활용이동관
324: 제 2재활용이동관 330: 밸브부재
340: 신호전달부재 400: 개폐부
410: 케이싱 420: 개폐판
422: 리브 430: 탄성부재
500: 샤워수 저장탱크 510: 하우징
520: 덮개 530: 월류유도격벽
540: 소독처리조 550: 넘침배출관
600: 선택공급부 610: 세면 수면게이지
620: 샤워 수면게이지 630: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
640: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

Claims (4)

  1. 사용 후 버려지는 세면 재활용수를 보관하기 위해 세면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세면수 저장탱크;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를 구비한 동일 공간에 구비되어,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를 담는 샤워수 저장탱크; 양변기에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세척수와, 상기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상기 샤워 재활용수를 저장하는 양변기 저장탱크; 상기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상기 샤워 재활용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선택적으로 공급 안내하는 선택공급부; 및 외부에서 설정된 압력으로 강제 유동되는 세척수의 흐름 단속을 통해,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세척수와 함께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공급부는,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되는 세면 재활용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세면 수면게이지;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되는 샤워 재활용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샤워 수면게이지;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된 세면 재활용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저장된 샤워 재활용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작동부는, 외부로부터 상수 또는 수돗물인 세척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공급 안내하는 세척수공급관;
    일측이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의 세면 재활용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로 공급 안내하는 제 1재활용이동관;
    일측이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의 소독처리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척수공급관 또는 상기 제 1재활용이동관에 연결되어,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의 샤워 재활용수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제 2재활용이동관;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구비되어,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세척수와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샤워 재활용수를 보충하도록 외부 신호에 의해 정해진 시간만큼 개방되며 세척수와 재활용수의 흐름을 허용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의 개방 작동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면 재활용수와 상기 샤워 재활용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량만큼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면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세면 재활용수의 양과,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샤워 재활용수의 양을 비교 판단 후, 상기 세면 재활용수 공급펌프와 상기 샤워 재활용수 공급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절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수 저장탱크는,
    버려지는 샤워 재활용수를 담도록 상측 일부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샤워 재활용수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해 유입홀을 통공한 덮개;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샤워 재활용수를 적어도 한번 이상 월류 유도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월류유도격벽;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최종적으로 월류 처리된 샤워 재활용수를 보관하고, 배출하기 전에 약품을 공급하여 소독 처리하는 소독처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절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저장탱크 내부로 상기 세척수와 함께 상기 세면 재활용수 또는 상기 샤워 재활용수의 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세척수의 강제 유동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절수장치.
KR1020200028070A 2020-03-06 2020-03-06 욕실용 절수장치 KR10214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70A KR102147515B1 (ko) 2020-03-06 2020-03-06 욕실용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70A KR102147515B1 (ko) 2020-03-06 2020-03-06 욕실용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515B1 true KR102147515B1 (ko) 2020-08-25

Family

ID=7229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070A KR102147515B1 (ko) 2020-03-06 2020-03-06 욕실용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50A (ko) * 2000-04-25 2000-07-05 김정근 폐수를 이용한 변기 세척수 공급장치
KR100526201B1 (ko) * 2003-03-07 2005-11-02 박명호 재활용수와 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세식 변기의용수 공급장치
KR100925487B1 (ko) * 2007-10-19 2009-11-09 박흥복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0454984Y1 (ko) * 2009-07-02 2011-08-16 임윤관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KR20130001804U (ko) * 2011-09-07 2013-03-15 박흥복 목욕수(沐浴水) 재활용 절수장치
JP2013104252A (ja) * 2011-11-15 2013-05-30 Bridgestone Corp 排水トラッ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50A (ko) * 2000-04-25 2000-07-05 김정근 폐수를 이용한 변기 세척수 공급장치
KR100526201B1 (ko) * 2003-03-07 2005-11-02 박명호 재활용수와 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세식 변기의용수 공급장치
KR100925487B1 (ko) * 2007-10-19 2009-11-09 박흥복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0454984Y1 (ko) * 2009-07-02 2011-08-16 임윤관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KR20130001804U (ko) * 2011-09-07 2013-03-15 박흥복 목욕수(沐浴水) 재활용 절수장치
JP2013104252A (ja) * 2011-11-15 2013-05-30 Bridgestone Corp 排水トラ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0454984Y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US20010049841A1 (en)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US7927481B2 (en) System for the recovery of washing liquids used in showers, wash basins and/or baths
US20010052147A1 (en)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KR102147515B1 (ko) 욕실용 절수장치
KR20110044050A (ko) 물절약형 좌변기
KR100670933B1 (ko)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KR102138139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장치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KR100274537B1 (ko) 허드렛물을 이용하는 수세식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120034869A (ko) 친환경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KR20020022906A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JPH11140939A (ja) 再利用水を使用する便器の洗浄システム
KR200372183Y1 (ko) 에너지절약형 변기
CN216428476U (zh) 一种改进型蹲便器
KR102375529B1 (ko)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GB2458672A (en) Water saving assembly and cistern assembly for a toilet
CN212427380U (zh) 一种排水***及浴室集成***
CN108505601B (zh) 一种防溅水蹲便器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321167Y1 (ko) 생활폐수를 재활용하는 욕조세트
JP2018529035A (ja) 節水便器
KR200280007Y1 (ko) 중수 재활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88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228

Effective date: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