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145B1 - 전동 유모차 - Google Patents

전동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145B1
KR102142145B1 KR1020190034310A KR20190034310A KR102142145B1 KR 102142145 B1 KR102142145 B1 KR 102142145B1 KR 1020190034310 A KR1020190034310 A KR 1020190034310A KR 20190034310 A KR20190034310 A KR 20190034310A KR 102142145 B1 KR102142145 B1 KR 10214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motor
storage space
housing
opera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민
Original Assignee
유근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민 filed Critical 유근민
Priority to KR102019003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손잡이(111) 및 후측 하방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후측지지바(112)가 마련되는 지지프레임(11), 지지프레임(11)의 상측 부위에 마련되는 요람(12)이 구비되는 본체부(10);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후면 부위가 개구되는 함체(21), 함체(21)의 후면 부위를 개폐하는 커버(2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의 전면 부위에 마련되며 본체부(10)의 후측지지바(112)와 결합되는 연결바(23), 함체(21)의 상면 일측 부위에 마련되는 제1작동스위치(24), 함체(21) 수납공간의 일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1모터(25), 제1모터(25)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의 수납공간 타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2모터(26), 제1모터(25)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 수납공간의 후면 일측 부위에 설치되며 제1, 2모터(25, 26) 각각과 연결되는 배터리(27), 기울기감지센서(29)가 내장되어 함체(21) 수납공간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는 제어박스(28)가 구비되는 전동부(20); 함체(21)의 외면 일측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제1모터(25)의 제1구동축(251)과 연결되는 제1가동휠(31), 함체(21)의 외면 타측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제2모터(26)의 제2구동축(261)과 연결되는 제2가동휠(32)로 이루어지는 가동휠부(30);를 포함하는 전동 유모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유모차{Electirc baby carriagel}
본 발명은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모차 본체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유모차 본체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경사지에서 보호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나 유아나 어린이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운송기구의 일종으로서, 유모차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본체 및 유아의 탑승을 위해 본체의 중앙 부위에 마련되는 요람, 그리고 이동을 위해 본체의 하측 부위에 마련되는 휠이 구비된다.
근자 안전성 및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모차가 제안되고 있으며, 특히 유모차의 휠에 전동장치를 연결한 유모차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유모차에 전동장치를 연결하게 되면, 이동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경사지 등에서 보호자의 부주의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안고 있다.
이를 위해, 유모차가 경사지를 따라 주행할 때 유모차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도 5는 이러한 기술 중의 하나를 보여주고 있다. 이 기술은 손잡이(111)에는 보호자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200)를 마련하고, 휠(160)의 구동축에는 휠(160)의 속도를 제어하는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를 매개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호자가 손잡이를 놓치는 경우 센서가 이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전자클러치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써 유모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 기술은 전동장치와는 별도의 전자클러치브레이크를 더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동장치 자체를 복잡하게 만들 뿐 아니라 유모차의 유지 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0816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경사지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유모차 본체에 적용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 유모차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손잡이(111) 및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좌우로 서로 이격된 한쌍의 후측지지바(112)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상측 부위에 구비되는 요람(12)을 포함하는 본체부(10);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일면 부위가 개구되는 함체(21), 함체(21)의 개구된 일면 부위를 개폐하는 커버(2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의 전면 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0)의 한쌍의 후측지지바(11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바(23), 함체(21) 수납공간의 일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1모터(25), 제1모터(25)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의 수납공간 타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2모터(26), 함체(21) 수납공간에 설치되며 제1, 2모터(25, 26) 각각과 연결되는 배터리(27), 함체(21)의 일측 부위에 마련되며 전원을 on/off 조작하기 위한 제1작동스위치(24), 함체(21) 수납공간에 설치되며 기울기감지센서(29)가 내장되어 기울기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2모터(25,2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8)가 구비되는 전동부(20); 함체(21)의 외면 일측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제1모터(25)의 제1구동축(251)과 연결되는 제1가동휠(31), 함체(21)의 외면 타측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제2모터(26)의 제2구동축(261)과 연결되는 제2가동휠(32)을 포함하는 가동휠부(30);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21)에는 통신케이블 출력단(2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손잡이(111)에는 상기 통신케이블 출력단(231)과 통신하는 리모트컨트롤부(4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리모트컨트롤부(40)에는 상기 제1작동스위치(24)와 함께 상기 전동부(20)를 on/off 조작하기 위한 제2작동스위치(43)가 구비되어, 상기 제1작동스위치(24)와 상기 제2작동스위치(43)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조작하여 상기 전동부(20)를 on/off 조작 가능하며, 상기 제1작동스위치(24)는 상기 함체(21)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연결바(23)는 상기 함체(21)의 전면 부위에서 좌우로 이격 배치되고,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후측지지바(112)가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된 단부 부위가 개구된 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전동장치를 유모차 본체와 탈착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유모차 본체의 종류나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유모차 본체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모차가 경사지에 위치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박스가 구동모터 각각과 배터리 상호 간의 회로를 차단하고 단락시킴으로써, 유모차가 주행하는 경우 휠에 의한 회전력을 부하로 작용시켜 경사지에서 보호자의 부주의에 의한 유모차의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도 2 및 도 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에 있어 전동부 및 가동휠부의 개략적인 일측 및 타측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에 있어 전동부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종래 전동 유모차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및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에 있어 전동부 및 가동휠부의 개략적인 일측, 타측 구성도, 그리고 전동부의 내부 구성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본체부(10), 전동부(20), 가동휠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 유모차를 제안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체부(10)는 유모차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지지프레임(11) 및 요람(15)이 구비된다. 지지프레임(11)은 유모차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손잡이(111) 및 후측지지바(112)가 마련된다. 손잡이(111)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며, 후측지지바(112)는 후측 하방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본 발명은 본체부에 있어 지지프레임은 보호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및 지지프레임(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후측지지바가 구비되기만 하면 족하다. 요람(12)은 지지프레임(11)의 상측 부위에 마련된다. 도면부호 13은 피동휠이다.
전동부(20)는 외함지지부를 이루는 함체(121) 및 커버(22), 그리고 전동장치부를 이루는 제1, 2모터(25, 26), 배터리(27), 제어박스(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함체(21)는 사각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후면 부위는 개구된다. 커버(22)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함체(21)의 후면 부위에 결합된다. 이때, 커버(22)는 함체(21)의 후면 부위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함체(21)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체(21)에는 연결바(23) 및 제1작동스위치(24)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바(23)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의 전면 부위에 마련되며, 본체부(10)의 후측지지바(112)와 결합된다. 제1작동스위치(24)는 함체(21)의 상면 일측 부위에 마련된다.
도면부호 211은 충전단자로서, 후술할 배터리(27)를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212는 배터리 잔량 표시등이며, 도면부호 213은 통신케이블 출력단이며, 후술할 리모트 컨트롤러부(40)와의 통신을 위한 부분이다. 통신케이블 출력단(213)은 유, 무선 출력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모터(25)는 함체(21)의 수납공간 일측 부위에 설치되며, 제2모터(26)는 제1모터(25)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의 수납공간 타측 부위에 설치된다. 도면부호 251, 261 각각은 제1, 2모터(25, 26) 각각의 제1, 2구동축이다.
배터리(27)는 제1, 2모터(25, 26)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제1모터(25)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 수납공간의 후면 일측 부위에 설치된다. 배터리(27)는 전술한 충전단자(211)와 연결되며, 탈착 가능하게 함체 수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박스(28)는 제1, 2모터(25, 26)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함체(21)의 수납공간 중앙 부위에 설치된다. 제어박스(28)에는 기울기감지센서(29)가 마련된다. 기울기감지센서(29)는 유모차의 경사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가동휠부(30)는 유모차를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제1, 2가동휠(31, 32)로 이루어진다. 제1가동휠(31)은 함체(21)의 외면 일측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제1모터(25)의 제1구동축(251)과 연결되며, 제2가동휠(32)은 함체(21)의 외면 타측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제2모터(26)의 제2구동축(261)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부(40)가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리모트컨트롤부(40)는 원격으로 유모차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도 1과 같이 지지프레임(11)의 손잡이(111)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리모트컨트롤부(40)에는 조작핸들(42) 및 제2작동스위치(43)가 구비된다. 조작핸들(42)은 통상적인 조이스틱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모차의 전진 및 후진 등을 조작한다. 제2작동스위치(43)는 제1작동스위치(24)와 함께 전동부(20)를 ON/OFF 한다.
도면부호 41은 디스플레이이며, 도면부호 44는 통신케이블 입력단이다. 리모트컨트롤부(40)는 유, 무선으로 통신케이블 출력단(213)과 통신할 수 있으며, 통신케이블 입력단(44)은 통신케이블 출력단(213)과 유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통신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을 전술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유모차의 본체부(10)가 가동휠부(30)가 구비된 전동부(20)와 결합되면, 유아를 본체부(10)의 요람(15)에 탑승시킨 다음 제1작동스위치(24)를 작동시킨다(이때, 제1작동스위치 대신에 리모트컨트롤부의 제2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작동스위치(24)에 의한 신호에 따라 제1, 2모터(25, 26) 각각이 작동하고, 제1, 2모터(25, 26) 각각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이 제1, 2가동휠(31, 32)로 전달되면 유모차는 천천히 전진하면서 나아가게 된다.
한편, 제1, 2모터(25, 26) 각각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모차가 경사지에 위치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유모차가 경사지에 위치하면, 기울기감지센서(29)가 유모차가 일정 각도 경사져 있음을 감지하여 제어박스(28)로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박스(28)에 유모차가 경사진 상태로 놓여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박스(28)는 제1, 2모터(25, 26) 각각과 배터리(27) 상호 간의 회로 연결을 차단하고 단락시킨다(circuit short). 이에 따라, 배터리(27)를 통한 제1, 2모터(25, 26)에의 전원 공급은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유모차가 중력가속도에 의해 경사지를 따라 주행하게 되면, 제1, 2가동휠(31, 32) 각각에 의한 회전력이 제1, 2구동축(251, 261) 각각을 통해 제1, 2모터(25, 26)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제1, 2모터(25, 26) 각각에는 자력에 의한 회전 저항이 발생한다.
즉, 중력에 의해 제1, 2가동휠(31, 32)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 2모터(25, 26) 각각에는 회전 저항에 의한 부하가 발생되는 것이다. 제1, 2모터 각각에 발생하는 부하는 제동으로 작용하여 제1, 2가동휠 각각의 회전력에 대항하게 되고, 중력에 의한 유모차의 주행은 자연스럽게 제어되며, 이에 따라 보호자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지지프레임
13 : 피동휠 15 : 요람
111 : 손잡이 112 : 후측지지바
20 : 전동부 21 : 함체
22 : 커버 23 : 연결바
24 : 제1작동스위치 25, 26 : 제1, 2모터
27 : 배터리 28 : 제어박스
27 : 기울기감지센서 211 : 충전단자
212 : 배터리 잔량표시등 213 : 통신케이블 출력단
251, 261 : 제1, 2구동축 30 : 가동휠부
31, 32 : 제1, 2가동휠 40 : 리모트컨트롤부
41 : 디스플레이 42 : 조작핸들
43 : 제2작동스위치 44 : 통신케이블 입력단

Claims (2)

  1.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손잡이(111) 및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좌우로 서로 이격된 한쌍의 후측지지바(112)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상측 부위에 구비되는 요람(12)을 포함하는 본체부(10);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일면 부위가 개구되는 함체(21), 함체(21)의 개구된 일면 부위를 개폐하는 커버(2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의 전면 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0)의 한쌍의 후측지지바(11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바(23), 함체(21) 수납공간의 일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1모터(25), 제1모터(25)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체(21)의 수납공간 타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2모터(26), 함체(21) 수납공간에 설치되며 제1, 2모터(25, 26) 각각과 연결되는 배터리(27), 함체(21)의 일측 부위에 마련되며 전원을 on/off 조작하기 위한 제1작동스위치(24), 함체(21) 수납공간에 설치되며 기울기감지센서(29)가 내장되어 기울기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2모터(25,2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8)가 구비되는 전동부(20);
    함체(21)의 외면 일측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제1모터(25)의 제1구동축(251)과 연결되는 제1가동휠(31), 함체(21)의 외면 타측 부위를 통해 돌출되는 제2모터(26)의 제2구동축(261)과 연결되는 제2가동휠(32)을 포함하는 가동휠부(30);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21)에는 통신케이블 출력단(2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손잡이(111)에는 상기 통신케이블 출력단(213)과 통신하는 리모트컨트롤부(4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리모트컨트롤부(40)에는 상기 제1작동스위치(24)와 함께 상기 전동부(20)를 on/off 조작하기 위한 제2작동스위치(43)가 구비되어, 상기 제1작동스위치(24)와 상기 제2작동스위치(43)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조작하여 상기 전동부(20)를 on/off 조작 가능하며,
    상기 제1작동스위치(24)는 상기 함체(21)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바(23)는 상기 함체(21)의 전면 부위에서 좌우로 이격 배치되고,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후측지지바(112)가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된 단부 부위가 개구된 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유모차.
KR1020190034310A 2019-03-26 2019-03-26 전동 유모차 KR10214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10A KR102142145B1 (ko) 2019-03-26 2019-03-26 전동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10A KR102142145B1 (ko) 2019-03-26 2019-03-26 전동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145B1 true KR102142145B1 (ko) 2020-08-06

Family

ID=7204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310A KR102142145B1 (ko) 2019-03-26 2019-03-26 전동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1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816B1 (ko) * 2020-11-12 2021-10-01 하욱완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KR102354897B1 (ko) 2020-09-22 2022-01-24 이재완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KR20230044873A (ko) 2021-09-27 2023-04-04 이재완 Cfrp가 적용된 스마트 유모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62B1 (ko) 2013-02-12 2014-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동 유모차
KR200474422Y1 (ko) * 2013-03-18 2014-09-17 (주)한스이엔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200485017Y1 (ko) * 2016-07-11 2017-11-20 박광섭 전동식 유아용 접이식 웨건
KR20170128159A (ko) * 2017-08-14 2017-11-22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전동식 이동 대차의 안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32595A (ko) * 2016-04-05 2018-12-12 키틴지 인베스트먼트 에이비 자주식 트롤리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62B1 (ko) 2013-02-12 2014-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동 유모차
KR200474422Y1 (ko) * 2013-03-18 2014-09-17 (주)한스이엔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20180132595A (ko) * 2016-04-05 2018-12-12 키틴지 인베스트먼트 에이비 자주식 트롤리 조립체
KR200485017Y1 (ko) * 2016-07-11 2017-11-20 박광섭 전동식 유아용 접이식 웨건
KR20170128159A (ko) * 2017-08-14 2017-11-22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전동식 이동 대차의 안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897B1 (ko) 2020-09-22 2022-01-24 이재완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KR102308816B1 (ko) * 2020-11-12 2021-10-01 하욱완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WO2022103030A1 (ko) * 2020-11-12 2022-05-19 하욱완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KR20230044873A (ko) 2021-09-27 2023-04-04 이재완 Cfrp가 적용된 스마트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145B1 (ko) 전동 유모차
KR101408162B1 (ko) 전자동 유모차
KR102433062B1 (ko)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796265B1 (ko) 스마트 유모차
US5036929A (en) Apparatus for handling heavy loads such as a trolley or a rolling chair for the handicapped
WO2015107713A1 (ja) ベビーカー
KR101952540B1 (ko) 전동 킥보드 장치
KR200485017Y1 (ko) 전동식 유아용 접이식 웨건
US10752305B2 (en) Stair-climbing type driving device and climbing driving method
JP2011042248A (ja) 駆動装置付き台車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CN108279673A (zh) 一种婴儿推车智能助力装置以及控制方法
CN104326047B (zh) 一种单平衡块电动独轮车
KR102354897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KR102620256B1 (ko) 전기 자전거의 모터속도 제어 방법
KR101731042B1 (ko)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KR101291249B1 (ko)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휠체어 고정장치
CN109393696A (zh) 智能电动行李箱
KR102281570B1 (ko) 스마트 유모차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EP3085600A1 (en) Motor driven shopping trolley
KR102002321B1 (ko)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KR200481135Y1 (ko) 유아 전동차의 장애물 회피주행시스템
KR101560677B1 (ko) 전동 탑승완구용 비접촉식 전후진 레버
KR200428130Y1 (ko) 충돌 예방장치가 설치된 보행기
JPS6387364A (ja) 階段登はん用手押し式カ−トの姿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