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319B1 -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319B1
KR102130319B1 KR1020150116639A KR20150116639A KR102130319B1 KR 102130319 B1 KR102130319 B1 KR 102130319B1 KR 1020150116639 A KR1020150116639 A KR 1020150116639A KR 20150116639 A KR20150116639 A KR 20150116639A KR 102130319 B1 KR102130319 B1 KR 10213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fibers
natural
derived
solvent
micr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240A (ko
Inventor
이종현
조세희
우영롱
박영아
지홍근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Priority to KR102015011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319B1/ko
Priority to CN201610602878.1A priority patent/CN106467987B/zh
Publication of KR2017002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6We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18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other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천연 유래 다당류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ii) 상기 (i) 단계에서 얻어진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주사기에 주입하며, iii)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이 주입된 주사기를 펌프에 연결한 다음 응고 용매를 교반하며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흘려 보내 마이크로 섬유를 만들고, iv) 상기 (iii) 단계에서 얻어진 마이크로 섬유를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PREPARING MICRO FIBER USING NATURE-DERIVED POLYSACCHARID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CRO FIBER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천연 유래 다당류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ii) 상기 (i) 단계에서 얻어진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주사기에 주입하며, iii)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이 주입된 주사기를 펌프에 연결한 다음 응고 용매를 교반하며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흘려 보내 마이크로 섬유를 만들고, iv) 상기 (iii) 단계에서 얻어진 마이크로 섬유를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는 기본적으로 가늘고 긴 실처럼 보이는 물질을 말한다. 크게 직물섬유, 천연섬유, 합성섬유가 존재한다. 직물섬유는 어느 정도의 강력성과 유연성 등을 갖고 있는 가늘고 긴 선상 물질의 직물용 섬유이다. 천연섬유는 천연의 생물, 광물에서 얻어지는 섬유를 말하는데 자연섬유라고도 하며,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섬유 등을 말한다. 합성섬유는 석유, 석탄, 공기, 물 등을 출발원료로 하여 섬유를 형성하는 일련의 긴 분자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섬유로 만든 고분자 물질이다. 이들 중 의료용이나 화장품산업에서 천연섬유와 합성섬유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의료용으로써 사용되는 물질들로는 장선(catgut), 폴리글라이콜릭산, 폴리디옥사논, 실크,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마이드 등이 실로 제조되고 있다. 이들 실 대부분은 수술시 봉합사나 주름 제거를 위한 리프팅 시술에 이용된다.
화장품 산업에서는 다당류들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고 있다. 다당류는 2개 이상의 단당류가 글리코시드결합을 통해 하나의 분자를 이룬 당류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분자량은 수천에서 수백만으로 다양하다. 녹말이나 글리코겐과 같은 저장성 다당류와 셀룰로오스나 키틴과 같은 구조성 다당류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천연 유래 성분으로서 풀루란, 히알루론산 등도 다당류에 포함된다. 천연 유래 성분으로서의 다당류들은 점착력과 점도가 존재하여 안정제로 스킨케어, 헤어케어, 클렌징 제품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감이 우수해 바디제품 등의 다양한 에멀전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다당류를 이용한 화장품의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91449호에서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갖는 페이스 마스크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천연 유래 성분 다당류들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점과 점착성으로 인해 제약 산업에 응용되고 있다. 당의정이나 분말을 제조할 때 첨가하여 약물의 모양이나 안정성을 높이는 제형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21세기가 되면서부터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까지 피부 미용에 많은 관심을 가지면서 시술을 받는 사람들과 기능성 화장품을 찾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능성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피부 시술을 위해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주름개선을 위한 리프팅 시술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실을 이용하여 피부에 삽입하는 시술인데, 실 리프팅은 실을 피하층에 짧게 삽입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시술과 처진 얼굴 살을 당기는 실을 길게 삽입하는 시술로 나뉜다. 주로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을 이용하여 실 리프팅 시술을 하는데, 이는 실 삽입으로 생긴 상처가 스스로 치유되면서 진피층의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주입한 실 주변으로 세포가 재생되면서 피부주름이 펴지는 원리다. 하지만 폴리디옥사논은 합성 고분자로서 생체적합성이 뛰어나더라도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녹는 실을 이용한 리프팅 시술에 착안해 화장품이 개발되었다. 이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진 실을 기능성 앰플에 녹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든 화장품으로, 실이 앰플에 녹아 제형 반전이 되는 기술로, 미백과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앰플이 겔 마스크로 변해 피부로의 흡수를 돕고, 피부 밝기, 수분, 각질, 탄력 등을 동시에 개선해 주는 화장품이다. 하지만 이처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은 합성고분자나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진 실이나, 합성고분자의 경우 합성단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고 천연 유래 성분보다 생체적합성이 뛰어나지 않아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진 실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나지만 재료의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91449호
이에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하여 저비용으로 마이크로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i) 천연 유래 다당류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ii) 상기 (i) 단계에서 얻어진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주사기에 주입하며;
iii)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이 주입된 주사기를 펌프에 연결한 다음 응고 용매를 교반하며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흘려 보내 마이크로 섬유를 만들고;
iv) 상기 (iii) 단계에서 얻어진 마이크로 섬유를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cosmetic)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i) 천연 유래 다당류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ii) 상기 (i) 단계에서 얻어진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주사기에 주입하며; iii)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이 주입된 주사기를 펌프에 연결한 다음 응고 용매를 교반하며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흘려 보내 마이크로 섬유를 만들고; iv) 상기 (iii) 단계에서 얻어진 마이크로 섬유를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의 (i) 단계에서는 천연 유래 다당류를 용매에 용해시킨다.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천연 유래 다당류의 예로는 풀루란,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이눌린, 덱스트린, 녹말, 키틴, 키토산, 콘드로이틴황산,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및 이의 혼합물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유래 다당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중량%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시킨다. 천연 유래 다당류를 5 중량% 미만이나 20 중량%를 초과하여 용매에 용해시킬 경우 마이크로 섬유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매의 예로는 물, 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트산 및 이의 혼합물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상기 (i) 단계에서 천연 유래 다당류 이외에 층상 이중 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 LDH)를 함께 용매에 용해시킨다. LDH는 바이오 물질 흡착소재로, 조성은 [M2+ 1-x M3+ x(OH)2]x+(An-)x/n·mH2O의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상기 구조식에서, M2+와 M3+는 금속 양이온이고, An-는 층 사이에 위치한 음이온을 나타내며, M2+ = Ca2 +, Mg2 +, Mn2 +, Fe2 +, Co2 +, Zn2 + 등이고, M3+ = Al3 +, Fe3 +, Ti3+ 등이며, An-는 Cl-, Br-, NO3 -, CO3 2-, SO4 2- 등이고, 고정된 조성물 상태에서 0.2 ≤ x ≤ 0.33이며, m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4이다. LDH 구조의 층 사이에 위치한 음이온은 쉽게 교체될 수 있어 할로겐 이온부터 DNA와 같은 음전하를 가지는 생체 고분자뿐 아니라 콜라겐 트리펩타이드와 같은 바이오 물질 및 Ag, Au, Pt 등을 함유하는 고체 나노입자도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할 수 있다. LDH를 추가로 천연 유래 다당류와 함께 용매에 용해시켜 마이크로 섬유를 제조하면 섬유의 표면 위에 LDH가 흡착되어 인터칼레이션된 다양한 물질에 따른 효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LDH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의 (ii) 단계에서는, 상기 (i) 단계에서 얻어진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주사기에 주입한다. 본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주사기는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과의 양립성(compatibility)에 문제가 없는 이상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의 (iii) 단계에서는,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이 주입된 주사기를 펌프에 연결한 다음 응고 용매를 교반하며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흘려 보내 마이크로 섬유를 만든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응고용매의 예로는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및 이의 혼합물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응고용매의 농도는 1 내지 100 부피%의 다양한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응고용매의 교반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rpm,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rpm,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 rpm이다. 응고용매의 교반 속도가 2 rpm 미만인 경우 섬유 형상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천연 유래 다당류가 서로 엉길 수 있으며, 교반 속도가 20 rpm을 초과할 경우 천연 유래 다당류가 응고 전에 끊겨서 섬유 형상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응고용매로 흘려보내는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0 ㎕/분,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 ㎕/분, 더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50 ㎕/분이다. 본 발명에서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응고용매로 흘려보내는 속도가 0.3 ㎕/분 미만이거나 100 ㎕/분을 초과할 경우 섬유 형상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의 (iv) 단계에서는, 상기 (iii) 단계에서 얻어진 마이크로 섬유를 건조한다. 마이크로 섬유의 건조는 당 기술분야 알려진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온에서 건조하거나 진공 건조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의 직경은 1 mm 미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 섬유에 다양한 화장품 미용성분(미백, 주름, 보습, 자외선차단 등)이나 다양한 바이오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예컨대, 리포좀, 나노에멀젼, 나노포러스(nano porous) 물질 등) 물질들을 첨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멀젼, 바디로션, 크림, 에센스, 앰플, BB 크림, 하이드로겔 패치 등의 다양한 제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함량의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마이크로 섬유를 0.02 내지 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마이크로 섬유를 제조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는 피막성, 점착성, 보습성 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시 천연 유래 다당류에 따른 뛰어난 피부 개선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마이크로 섬유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풀루란 및 콜라겐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45초간 백금으로 코팅하여 주사전자현미경(HITACHI S-4800, 일본)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 셀룰로오스 및 히알루론산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3에서 이눌린 및 덱스트린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4에서 녹말 및 키틴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5에서 키토산 및 콘드로이틴 황산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6에서 콜라겐 및 프로테오글리칸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7에서 풀루란 및 콜라겐의 천연 유래 다당류와 레티놀-금 함유 LDH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실시예 7에서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의 단면을 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TEWAMETER TM 250으로 피부 경피 수분 손실도(TEWL)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Corneometer CM 850을 사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풀루란 및 콜라겐을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0.5 g의 풀루란 및 0.5 g의 콜라겐을 10 ㎖의 물에 넣어 완전히 녹였다. 제조된 풀루란 용액을 20 ㎖ 주사기에 넣은 후 주사기 바늘 끝 부분에 지름 0.3 mm의 고무관을 연결하였다. 상기 주사기를 펌프에 연결시켰다. 1 ℓ 비이커에 응고용매로 에탄올 1 ℓ를 담고, 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주사기 바늘 끝 부분의 고무관을 응고용매에 담갔다. 비이커에는 교반기를 설치하여 4~5 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상기 상태에서 실린지 펌프를 켜서 풀루란 용액이 비이커로 흐르게 하였다. 실린지 펌프의 속도는 5 ㎕/분으로 해주었다.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모은 다음 진공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셀룰로오스 및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천연 유래 다당류로 0.5 g의 셀룰로오스 및 0.5 g의 히알루론산을 이용하고, 응고용매로 에탄올과 아세톤의 혼합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눌린 및 덱스트린을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천연 유래 다당류로 0.5 g의 이눌린 및 0.5 g의 덱스트린을 이용하고, 응고용매로 에탄올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으며, 펌프 속도가 10 ㎕/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녹말 및 키틴을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천연 유래 다당류로 0.5 g의 녹말 및 0.5 g의 키틴을 이용하고, 응고용매로 메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으며, 펌프 속도가 1 ㎕/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키토산 및 콘드로이틴황산을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천연 유래 다당류로 0.5 g의 키토산 및 0.5 g의 콘드로이틴황산을 이용하고, 응고용매로 메탄올과 아세톤의 혼합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콜라겐 및 프로테오글리칸을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천연 유래 다당류로 0.5 g의 콜라겐 및 0.5 g의 프로테오글리칸을 이용하고, 응고용매로 아세톤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으며, 펌프 속도가 10 ㎕/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풀루란 , 콜라겐 및 레티놀-금 함유 LDH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탄산이온(carbonate)이 함유된 [Mg4Al2(OH)12]CO3·nH2O 조성의 층상 이중 수산화물(LDH, layered double hydroxide)을 Mg(NO3)2, Al(NO3)3, Na2CO3, NaOH 등을 사용하여 공침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LDH를 180℃ 수열(hydrothermal)처리하여 결정성 LDH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LDH 박막은 10 mg의 LDH 나노입자가 분산된 20 ㎖의 1-부탄올 용액에 세척된 실리콘 기판(100 결정면)을 넣고 약 10분간 초음파 처리를 하여 제조하였다. 레티놀-금 함유 LDH 박막의 제조는 다음의 용매열(solvothermal) 방법을 사용하였다. 테프론 코팅된 25 ㎖ 용량의 수열 용기에 10 mg의 레티놀-금을 함유하는 LDH, 18 ㎖의 톨루엔 및 0.5 ㎖의 에탄올을 넣고, 120℃에서 48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종결 후 레티놀-금 함유된 LDH 박막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하였다.
10 g의 레티놀-금 함유 LDH와 1 g의 풀루란을 10 ㎖의 물에 넣어 완전히 녹였다. 제조된 용액을 20 ㎖ 주사기에 넣은 후 주사기 바늘 끝 부분에 지름 0.3 mm의 고무관을 연결하였다. 상기 주사기를 펌프에 연결시켰다. 1 ℓ 비이커에 응고용매로 메탄올 1 ℓ를 담고, 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주사기 바늘 끝 부분의 고무관을 응고용매에 담갔다. 비이커에는 교반기를 설치하여 4~5 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상태에서 실린지 펌프를 켜서 레티놀-금 함유 LDH와 풀루란의 용액이 비이커로 흐르게 하였다. 실린지 펌프의 속도는 5 ㎕/분으로 해주었다.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모은 다음 진공 건조하였다.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마이크로 섬유 함유 및 미함유 화장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이크로 섬유 100 g을 900 g의 물에 첨가한 다음 레보레토리(laboratory) 믹서로 3,000 rpm의 속도로 5분간 분산시키고, 50 메시의 스테인레스 금속망으로 여과하여 약 1 중량%의 마이크로 섬유 용액을 얻었다.
다음의 표 1의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용기에 도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냉각, 탈포시켜 마이크로 섬유 함유 및 미함유 화장수를 각각 얻었다.
Figure 112015080297590-pat00001
실시예 9: 마이크로 섬유 함유 에멀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이크로 섬유 100 g을 900 g의 물에 첨가한 다음 레보레토리 믹서로 3,000 rpm의 속도로 5분간 분산시키고, 50 메시의 스테인레스 금속망으로 여과하여 약 1 중량%의 마이크로 섬유 용액을 얻었다.
다음의 표 2의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용기에 도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냉각, 탈포시켜 에멀젼을 얻었다.
Figure 112015080297590-pat00002
실시예 10: 마이크로 섬유 함유 바디로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이크로 섬유 100 g을 900 g의 물에 첨가한 다음 레보레토리 믹서로 3,000 rpm의 속도로 5분간 분산시키고, 50 메시의 스테인레스 금속망으로 여과하여 약 1 중량%의 마이크로 섬유 용액을 얻었다.
다음의 표 3의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용기에 도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냉각, 탈포시켜 바디로션을 얻었다.
Figure 112015080297590-pat00003
실시예 11: 마이크로 섬유 함유 크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이크로 섬유 100 g을 900 g의 물에 첨가한 다음 레보레토리 믹서로 3,000 rpm의 속도로 5분간 분산시키고, 50 메시의 스테인레스 금속망으로 여과하여 약 1 중량%의 마이크로 섬유 용액을 얻었다.
다음의 표 4의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용기에 도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냉각, 탈포시켜 크림을 얻었다.
Figure 112015080297590-pat00004
실시예 12: 마이크로 섬유 함유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이크로 섬유 100 g을 900 g의 물에 첨가한 다음 레보레토리 믹서로 3,000 rpm의 속도로 5분간 분산시키고, 50 메시의 스테인레스 금속망으로 여과하여 약 1 중량%의 마이크로 섬유 용액을 얻었다.
다음의 표 5의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용기에 도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냉각, 탈포시켜 에센스를 얻었다.
Figure 112015080297590-pat00005
실시예 13: 마이크로 섬유 앰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이크로 섬유 2 g을 뚜껑있는 밀폐용기에 넣고, 유리병 용기에는 다음의 표 6의 A의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넣은 후에 사용시 밀폐된 용기의 마이크로 섬유를 유리병에 떨어뜨려 녹여 쓸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112015080297590-pat00006
실시예 14: 마이크로 섬유 함유 BB크림(파운데이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이크로 섬유 100 g을 900 g의 물에 첨가한 다음 레보레토리 믹서로 3,000 rpm의 속도로 5분간 분산시키고, 50 메시의 스테인레스 금속망으로 여과하여 약 1 중량%의 마이크로 섬유 용액을 얻었다.
다음의 표 7의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용기에 도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냉각, 탈포시켜 BB크림(파운데이션)을 얻었다.
Figure 112015080297590-pat00007
실시예 15: 마이크로 섬유 함유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
다음의 표 8의 조성으로 하이드로 겔을 만든 후에 마이크로 섬유 3 g을 매트릭스처럼 넣었다.
Figure 112015080297590-pat00008
실험예 1: 경피수분 손실량( TEWL ) 측정
TEWAMETER TM 250(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독일)을 사용하여 실시예 8 및 비교예 1의 화장수를 바른 후 피부 경피 수분 손실도(TEWL, Trans Epidermal Water Loss)를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마이크로 섬유를 함유한 화장수가 첨가하지 않은 화장수보다 보습력이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보습력 측정
Corneometer CM850(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독일)으로 실시예 8 및 비교예 1의 화장수를 바른 후 보습력을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로부터 볼 수 있듯이, 마이크로 섬유를 함유한 화장수가 첨가하지 않은 화장수보다 보다 보습력이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4)

  1. i) 풀루란 및 콜라겐의 혼합물인 천연 유래 다당류를 5 내지 20 중량%로, 물, 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트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에 용해시키고;
    ii) 상기 (i) 단계에서 얻어진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주사기에 주입하며;
    iii)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이 주입된 주사기를 펌프에 연결한 다음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클로로메탄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응고 용매를 3 내지 15 rpm의 속도로 교반하며 천연 유래 다당류 용액을 0.5 내지 80 ㎕/분의 속도로 흘려 보내 마이크로 섬유를 만들고;
    iv) 상기 (iii) 단계에서 얻어진 마이크로 섬유를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 층상 이중 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을 추가로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30 내지 60 중량%로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용매의 농도가 1 내지 100 부피(v/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에서의 건조가 상온에서의 건조 또는 진공 건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의 직경이 1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13. 제1항, 제5항, 제6항, 제8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섬유를 0.02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16639A 2015-08-19 2015-08-19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639A KR102130319B1 (ko) 2015-08-19 2015-08-19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610602878.1A CN106467987B (zh) 2015-08-19 2016-07-27 利用源自天然的多糖类的超细纤维的制备方法及包含由此制备的超细纤维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639A KR102130319B1 (ko) 2015-08-19 2015-08-19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40A KR20170023240A (ko) 2017-03-03
KR102130319B1 true KR102130319B1 (ko) 2020-07-09

Family

ID=5822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639A KR102130319B1 (ko) 2015-08-19 2015-08-19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0319B1 (ko)
CN (1) CN106467987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9059A (ja) 2001-11-09 2005-04-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ナノサイズの繊維の形態のキトサンを含む組成物
JP2008214226A (ja) * 2007-03-01 2008-09-18 Midori Hokuyo Kk 可溶化コラーゲ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13087A (ja) 2007-07-03 2009-01-22 Oji Paper Co Ltd 皮膚外用剤用の保湿剤
WO2013130586A1 (en) 2012-02-27 2013-09-06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o starch fiber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813A (ja) * 1989-08-24 1991-04-08 Daiwabo Co Ltd 化粧パフ用ビスコースレーヨン及び化粧パフ
US7579078B2 (en) * 2001-09-21 2009-08-25 Outlast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regulating cellulosic fibers and applications thereof
JP4505591B2 (ja) * 2001-07-28 2010-07-21 ナノハイブリッ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改善された特性を有する化粧品原料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347348C (zh) * 2004-06-30 2007-11-07 东华大学 一种静电纺丝装置及其工业应用
CN100577720C (zh) * 2005-03-21 2010-01-06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可生物降解及吸收的聚合物纳米纤维膜材料及制法和用途
KR20080062092A (ko) *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핸슨바이오텍 세포전달체로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230150B (zh) * 2008-02-27 2010-10-13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纯海藻酸钠纳米纤维膜材料的制备方法
CN101445963B (zh) * 2008-12-19 2010-11-17 东华大学 一种聚合物超细纤维湿法静电纺丝方法
KR20110110482A (ko) * 2010-04-01 2011-10-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타민이 함유된 히알우론산 나노섬유
EP2588652B1 (en) * 2010-07-02 2019-06-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treating a fabric
CN101922064B (zh) * 2010-07-28 2013-01-02 武汉纺织大学 一种细菌纤维素与天然多糖共混纤维及其制备方法
TWI425126B (zh) * 2010-11-23 2014-02-01 Taiwan Textile Res Inst 幾丁聚醣纖維基材及其製備方法與用途
CN102691114B (zh) * 2011-03-25 2015-08-26 财团法人纺织产业综合研究所 纺丝原液及制造生医纤维方法
DE102012005489B4 (de) * 2012-03-19 2017-02-23 Baden-Württemberg Stiftung Ggmbh Herstellung von Mikro- bzw. Supermikrofasern auf Cellulosebasis
CZ304651B6 (cs) * 2012-05-11 2014-08-20 Contipro Biotech S.R.O. Způsob přípravy mikrovláken, způsob výroby krytů ran, kryty ran a zařízení pro přípravu polysacharidových vláken
JP2014128523A (ja) 2012-12-30 2014-07-10 Shinshu Univ フェイスマスク及びフェイスマスクの製造方法
CN104610557B (zh) * 2013-11-01 2018-03-02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再生纤维素膜、功能膜及其制备方法
CN203866415U (zh) * 2014-06-06 2014-10-08 象山康丽针织厂 增强混合的纤维成型凝固浴槽
CN104631118B (zh) * 2015-01-22 2016-08-24 浙江理工大学 一种可吸收的抗菌海藻纤维
CN204530036U (zh) * 2015-04-09 2015-08-05 曹志 一种腈纶湿法纺丝用凝固浴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9059A (ja) 2001-11-09 2005-04-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ナノサイズの繊維の形態のキトサンを含む組成物
JP2008214226A (ja) * 2007-03-01 2008-09-18 Midori Hokuyo Kk 可溶化コラーゲ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13087A (ja) 2007-07-03 2009-01-22 Oji Paper Co Ltd 皮膚外用剤用の保湿剤
WO2013130586A1 (en) 2012-02-27 2013-09-06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o starch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7987B (zh) 2020-07-07
KR20170023240A (ko) 2017-03-03
CN106467987A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seri et al. Electrospun chitosan-based nanocomposite mats reinforced with chitin nanocrystals for wound dressing
Rafique et al. Chitosan functionalized poly (vinyl alcohol) for prospects biomedic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A review
Pakravan et al. A fundamental study of chitosan/PEO electrospinning
DE102007011606A1 (de) Faser-Wirrgelege
CN103469351A (zh) 负载维生素c的丝素蛋白/透明质酸复合纳米纤维的制备方法
KR101830236B1 (ko) 보습능 및 피부재생능이 우수한 나노섬유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CN102886063A (zh) 一种纳米微晶纤维素增强胶原复合基质的制备与应用
WO2012025582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hochkonzentrierter lösungen von selbstassemblierenden proteinen
Yao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lectrospun peanut protein isolate/poly-l-lactic acid nanofibers
CN109853130A (zh) 一种超薄超干性纳米纤维膜纸及制备方法
Zhang et al. Self-assembly of chitosan and cellulose chains into a 3D porous polysaccharide alloy films: Co-dissolving, structure and biological properties
CN110218339A (zh) 串珠状纳米纤维素微纤维、制备方法及其在复合水凝胶制备中的应用
CN1687498A (zh) 海藻酸钠/明胶共混纤维及其制备方法和用途
Nada et al. Encapsulation of nicotinamide into cellulose based electrospun fibers
Abdulkadhim et al.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uniform nanofibers from blends of natural biopolymers
Hosseini Ravandi et al. Application of electrospun natural biopolymer nanofibers
Kamal et al. Improving rate of gelatin/carboxymethylcellulose dissolving microneedle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Morganti et al. Multifunctional use of innovative chitin nanofibrils for skin care
KR102130319B1 (ko)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028703A (zh) 一种纳米生物质基高强度高透明度大幅面复合膜的制备方法
KR20200021007A (ko) 화학적으로 변형된 키토산 섬유의 제조방법
Guo et al. Electro-assembly of β-chitin nanofibers to construct oriented cryogel for wound healing
US10639245B2 (en) Multicomponent meso thread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variants)
WO2017028626A1 (zh) 一种可吸收手术缝合线及其制备方法
KR102475486B1 (ko) 히알루론산염 나노 파브릭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