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27B1 - 개폐장치 및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및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27B1
KR102129327B1 KR1020180111876A KR20180111876A KR102129327B1 KR 102129327 B1 KR102129327 B1 KR 102129327B1 KR 1020180111876 A KR1020180111876 A KR 1020180111876A KR 20180111876 A KR20180111876 A KR 20180111876A KR 102129327 B1 KR102129327 B1 KR 10212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ring
opening
fric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447A (ko
Inventor
구라모치 류타
Original Assignee
켐 홍콩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켐 홍콩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켐 홍콩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3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개폐장치로서 요구하게한 기능을 만족된 위에 보다 매끈하게 굴곡 또는 전개 가능한 구조의 간단한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링부재(24, 34)와, 설비부재(11)에 대하여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링부재(22, 32)와 설비부재(12)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중앙부재(21,31)와 링부재(24,34)와 링부재(22,32)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링부재(24,34)에 대하여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것에서, 타탄부가 링부재(22,32)에 대하여 회동에따라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프리쿠션 발생부(40)와 설비부재(11)와 중앙부재(21,31)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설비부재(11)에 대하여 중앙부재(21,31)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프리쿠션 발생부(40)와 설비부재(12)와 중앙부재(21,31)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설비부재(12)에 대하여 중앙부재(21,31)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Description

개폐장치 및 단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제1틀체에서 제2틀체에 걸쳐 설치된 가소성을 갖는 시트(sheet)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예를 들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판넬, 액정 판넬 등을 지지하여 굴곡, 전개시키는 개폐 장치 및 이 개폐 장치를 이용한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EL 판넬이나 액정 판넬 등과 같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제1틀체에서 제2틀체에 걸쳐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2개 굽힌 상태로 굴곡시키고, 사용 시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한 장의 평면 상태로 전개시키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캠 기계, 휴대전화 등의 단말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 때문에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사이를 플렉시블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개폐 장치의 예가 일본국 특개 2014-161009호 특허공보에 나와 있다.
일본국 특개 2014-161009호 특허공보의 개폐 장치는 수지제품의 주름호스 구조에 따라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플렉시블하게 연결하여 유기 EL 판넬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1틀체와 제2틀체를 포개서 유기 EL 판넬을 완전히 구부러진 상태에 굴곡시킬 때에는 개폐 장치가 원통면 상의 굴곡을 형성하여 유기 EL 판넬에 소정의 곡률 반경을 유지하게 하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 2014-161009호 특허공보의 개폐 장치는 수지 제품의 주름호스 구조를 종단하기 위하여 형상기억 합금으로 형성된 굴곡 방향의 보강량(들보)를 설치한다. 보강량(들보)는 자체에 소성변형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임의의 열림(개성)각도로 보존 및 유지가 가능하다.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연결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지지하는 개폐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완전히 구부러진 상태에서 굴곡시킬 때에 소정의 곡률 반경의 굴곡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허용범위보다도 적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성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개폐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굴곡 또는 전개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지지하는 굴곡면의 길이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 또는 전개에 따른 굴곡면의 길이가 크게 변화하고, 지지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개폐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지지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임의의 열림 각도로 하여 계속 유지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장치 자체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의 개폐 각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손이나 도구로 누르지 않아도 굴곡된 2개의 접음 상태나 전개한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 2014-161009호에 나와 있는 수지제품의 주름호스 구조는 제1틀체와 제2틀체가 포개지는 열림 상태와 제1틀체와 제2틀체가 평면상으로 전개되어 열림 상태이고, 주름호스 구조의 굴곡의 내측면의 굴곡에 부합된 길이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굴곡에 부합되어 신축하지 않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주름호스 구조의 굴곡 부분에 지지되게 하고, 열림 상태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에 잡아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열림 상태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과 주름호스 구조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한다.
그래서 복수의 링 부재를 굴곡 방향으로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연결하고, 복수의 링 부재의 내측의 포락면(包絡面)에 따라서 원호 상의 굴곡면을 형성하는 개폐 상태가 제안되었다. 그리고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임의의 열림 각도로 보존 유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링 부재의 연결부를 단단히 죄어 끼워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인접하는 링 부재의 연결부를 끼워 이미 링 기구라고는 할 수 없고 부재 끼리는 굴곡 방향으로 원활한 슬라이드가 불가하게 되어 복수의 링 부재의 전체에 매끄럽게 굴곡을 형성하여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제1틀체에서 제2틀체에 걸쳐 설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사용한 단말 장치의 개폐 장치로서, 상술한 요구된 기능을 만족시켜 보다 매끄럽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굴곡 또는 전개 가능한 구조가 간단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개폐 장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열림 상태로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에 걸쳐서 설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틀체에 고정가능한 제1설비 부재와, 상기 제1설비 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수반한 슬라이드가 가능한 제1링 부재와 상기 제2틀체에 고정 가능한 제2설비 부재와, 상기 제2설비 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수반한 슬라이드가 가능한 제2링 부재와, 상기 제1링 부재와 상기 제2링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일단부가 상기 제1링 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수반한 슬라이드가 가능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링 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수반한 슬라이드가 가능한 중앙 부재와, 상기 제1설비 부재와 상기 중앙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설비 부재에 대하여는 상기 중앙 부재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키는 제1프리쿠션 발생 수단과 상기 제2설비 부재와 상기 중앙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설비 부재에 대하여 상기 중앙 부재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키는 제2프리쿠션 발생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틀체에서 제2틀체에 걸쳐 설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사용한 단말 장치의 개폐 장치로 하여, 상술한 요구된 기능을 만족시켜 보다 매끄럽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굴곡 또는 전개 가능한 구조가 간단한 개폐 장치 및 이 개폐 장치를 이용한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예 1에는 링(ring) 부재(24,34)과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다. 링 부재(22,32)와 설비 부재(12)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다. 중앙 부재(21,31)와 링 부재(24,34)와 링 부재(22,32)와를 연락한다. 중앙 부재(21,31)와 일단 부가 링 부재(24,34)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고, 타 단부가 링(ring) 부재(22,32)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링(ring) 부재의 상대적인 회동 중심을 링(ring) 부재의 내측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역시 개폐 장치의 내주 측에 형성된 굴곡면은 기술 사상적에서는 원통상으로 있어도 실제에는 다각주상이다. 복수의 링 부재의 포락면은 실제에는 원통면에는 없고 타 원통면 또는 거의 원통면이다. 인접하는 링(ring) 부재의 회동 중심과 실제와 링(ring) 부재의 내 측면에서 조금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도 포함한다.
실시 예 1과 프리쿠션 발생 부(40)와 설비 부재(11)와 중앙 부재(21,31)과를 연락하고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중앙 부재(21,31)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프리쿠션 발생 부(40)와 설비 부재(12)와 중앙 부재(21,31)과를 연락하고 설비 부재(12)에 대하는 중앙 부재(21,31)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이 때문에 개폐 장치(10)와 저항력에 의해 열림 각도를 보존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인접한 링 부재를 넘는 링 부재의 회전에 저항하기 때문에 인접한 링 부재의 회동이 원활하게 행하여지고 복수의 링 부재를 연결하여 구성된 구조 전체에 미끄럽게 굴곡을 형성하여 해제 가능하다. 또 개폐 장치(10)가 일본국 특개 2014-161009호 특허 공보에 나타내 보인 형상 기억 합금의 보강 들보(량)과 같이 형상 기억 합금에 기인한 불이익이 생기지 않는다. 보강 들보의 소성 변형에 의해 주름 호스 구조의 굴곡 상태를 보존 유지하지 않으며, 소성 변형에 이르기 전의 탄성 변형에 기인하는 형상 기억 합금의 백러쉬(backrush)가 제 1 틀체(101)와 제 2 틀체(102)와의 열림 각도의 설정에 방해되지 않는다. 또 개폐 때마다 형상 기억 합금의 보강 들보가 소성 변형하지 않으며, 개폐의 반복하는 횟수에 제한이 없다. 더욱더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개폐 장치(10)의 재료비용이 낮게 된다.
도 1은 실시예 1의 단말 장치의 열림 각도의 설명도이다. (a)는 0도, (b)는 90도, (c)는 180도이다.
도 2는 개폐 장치의 설명도이다. (a)는 설비 상태, (b)는 조립 상태이다.
도 3은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a)는 우측의 연결부, (b)는 좌측의 연결부이다.
도 5는 프리쿠션 발생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리쿠션 발생부의 구성 및 설비 설명도이다.
도 7은 프리쿠션 발생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개폐 장치의 각 단면의 명칭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열림 각도가 0도일 경우의 연결부의 각 단면이다. (a)는 A-A 단면, (b)는 B-B 단면, (c)는 C-C 단면, (d)는 D-D 단면, (e)는 E-E 단면이다.
도 10은 열림 각도가 90도일 경우의 연결부의 각 단면도이다. (a)는 A-A 단면, (b)는 B-B 단면, (c)는 C-C 단면, (d)는 D-D 단면, (e)는 E-E 단면이다.
도 11은 열림 각도가 180도인 경우의 연결부의 각 단면이다. (a)는 A-A 단면, (b)는 B-B 단면, (c)는 C-C 단면, (d)는 D-D 단면, (e)는 E-E 단면이다.
도 12는 열림 각도가 0도일 경우, 프리쿠션 발생부의 각 단면이다. (a)는 F-F 단면 사시도, (b)는 F-F 단면, (c)는 G-G 단면 사시도, (d)는 G-G 단면이다.
도 13은 열림 각도가 90도일 경우의 프리쿠션 발생부의 각 단면이다. (a)는 F-F 단면 사시도, (b)는 F-F 단면, (c)는 G-G 단면 사시도, (d)는 G-G 단면이다.
도 14는 열림 각도가 180도일 경우의 프리쿠션 발생부의 각 단면이다. (a)는 F-F 단면 사시도, (b)는 F-F 단면, (c)는 G-G 단면 사시도, (d)는 G-G 단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는 복수의 링 부재를 연결하여 구성된 구조 전체가 단말 장치의 개폐에 따른 굴곡을 형성하여 해제한다. 그리고 인접하는 링 부재는 그의 한 방향에 형성된 원호구에 그의 다른 방향에 형성된 원호부(철부)를 끼워 합치게 한 것에 의해, 힌지 샤프트를 사용하는 것이 없는 힌지(회동부)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1}
(단말 장치)
도 1은 실시예 1의 단말 장치의 열림 각도의 설명도이다. 도 1 중, (a)는 0도, (b)는 90도, (c)는 180도이다.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단말장치 100은 플렉시블한 유기 EL 디스플레이 판넬을 탑재한 컴퓨터 디스플레이이다.
단말 장치는 개폐 장치(10)을 끼워 완전히 구부러져 겹쳐 합치게 하는 것이 가능한 2개의 틀체에 걸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설치하고 있다.
개폐 장치(10)은 2개의 틀체의 사이에 원통 상의 굴곡면을 형성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지지하고 있다.
실시예 1의 단말 장치(100)은 제1틀체(101)과 제2틀체(102)를 한 쌍의 개폐 장치(103, 10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제1틀체(101)은 도시하지 않은 무선통신안테나와 회로기판이 내장된 알루미늄 합금의 상자체이다. 제2틀체(102)는 도시하지 않은 2차 전지가 내장된 알루미늄 합금의 상자체이다. 제1틀체(101)와 제2틀체(102)의 열림 각도가 0도의 열림 상태로는 개폐 장치(103, 104)는 내측면과 외측면의 양방향에 있어서, 원통면 상에 굴곡한 포락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틀체(101)와 제2틀체(102)와 개폐 장치(103, 104)의 내측면 전체에 겹쳐 플렉시블한 유기 EL 판넬(105)가 설비되어 있다. 유기 EL 판넬(105)는 수지 시트의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EL 화상 표시 소자에 있어서, 전체가 개폐 장치(103, 104)의 내측면에 포락면을 따라 원통 상으로 굴곡한다. 유기 EL 판넬(105)는 제2틀체(102)에 내장된 2차전지에서 전력이 공급된다. 유기 EL 판넬(105)는 제1틀체(101)에 내장된 회로기판에 구동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유기 EL 판넬(105)는 통상 소자 자체의 두께는 0.05~0.2mm로 극히 얇은 시트 상이며, 배면에 유연한 스페이서를 배치한 두께를 0.5~2.0mm로 조정하는 것이 좋다.
개폐 장치(103, 104)는 제1틀체(101)에 대하여, 제2틀체(102)가 열릴 때, 후술한 프리쿠션 발생부(40)에 의해 0도에서 180도의 범위 안에 임의의 열림 각도를 유지해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개폐 장치(103, 104)는 제2틀체(102)의 열림 각도가 90도일 때도 내측면에 원통면 상의 포락면을 형성하여 유기 EL 판넬(105)를 지지한다.
도 1의 (c)에서 볼 수 있듯이 개폐 장치(103, 104)는 제2틀체(102)의 열림 각도가 180도일 때, 내측면에 제1틀체(101)과 제2틀체(102)와 같은 높이의 평탄면을 형성한다.
제1틀체(101)과 제2틀체(102)와 개폐 장치(103, 104)의 내측면에는 유기 EL 판넬(105)의 화면을 동일 높이로 지지하는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개폐 장치(103, 104)를 통상의 링 부재, 즉 굴곡면을 따라 배치한 복수의 링 부재를 각각 힌지 샤프트에 연결한 무한궤도(caterpillar) 상의 구조로 구성한 경우, 개폐장치의 개폐장치에 따라 내측면의 굴곡에 부합되어 길이가 변화 한다. 한 방향 굴곡면에 부합되어 원통상 및 힌지샤프트의 중심의 포락면에는 개폐장치의 개폐에 따른 내측면의 굴곡에 부합되어 길이가 틀림없이 유지한다. 그런데 개폐장치(103, 104)에는 인접한 링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동시킨 기구를 힌지 샤프트를 사용하는 것이 없는 구성이고, 본래라면 힌지 샤프트가 배치된 위치를 유기 EL 판넬(105)에 열어 건너고 있다.
개폐장치(103,104)는 인접한 링 부재의 상대적인 회동의 중심 위치를 개폐장치(103,104)의 내 측면상에 설정하는 것에 따라 내측면이 형성하는 굴곡면의 굴곡에 따른 길이 (유기 EL 판넬의 두께를 고려하고, 유기 EL 판넬의 유기 EL 소자가 배려되는 높이 위치이고 굴곡면을 따른 길이)가 개폐 장치(103,104)의 개폐에 따라 변화하지 않도록 합니다.
(개폐 장치)
도 2는 개폐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중 (a)는 설치 상태, (b)는 조립 상태이다.
도 2의 (a)에 표시하기 위하여, 개폐 장치(103,104)는 공통의 부품을 사용한 조립을 하고 있다. 개폐장치(103,104)는 실질적으로 동일제품이기 때문 이하에는 공통으로 개폐장치(10)와 부름(큰소리로 외침).
도 2 (b)에 표시하기 위하여, 개폐 장치(10)는 제 1 틀체(101)와 제 2 틀체(102)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개폐 장치(10)는 중심선 H - H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부품을 사용하고, 좌우 대칭으로 조립되어 있다.
개폐 장치(10)는, 중심선 H - H를 중심으로 한 좌우의 부분이 실질적으로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좌우의 대칭의 2조의 부품군에는 1의 (숙자의)자리수를 공통으로 하여 10의 자리수를 다르게 한 기호(20 ~ 26,30 ~ 36)를 붙이고 있다.
도 3에 표시하기 위하여, 설비 부재 (11)는 제 1 틀체 (101)의 설비공 (101a)에 설치공 (11a)를 겹쳐 합치게 하며 지핀(멈춤핀)(pin) (101b)를 삽입하고 지핀(pin) (101b)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것에 따라 제 1 틀체 (101)와 일체로(한몸으로) 고정되어 있다.
설비 부재(12)는, 제 2 틀체(102)의 설비공(102a)에 설비공(12a)을 겹쳐 합치게 하여 그 지된(pin)(102b)를 삽입하고, 지핀(pin)(102b)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것에 따라 제 2 틀체(102)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설비 부재의 일례로 설비 부재(11)는 제 1 틀체(101)에 고정 가능하고, 제 2 설비 부재의 일례인 설비 부재(12)는 제 2 틀체(102)에 고정이 가능하다.
설비 부재(11)는 링 지지 부재(13)의 설비공(13a)에 설비공(11b)를 겹쳐 합치게 한 지핀(pin)(13b)을 삽입하고 지핀(13b)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비해) 링 지지 부재(13)와 일체로 고정되어있다. 설비 부재(12)는 링 지지 부재(14)의 설비공(14a)에 설비공(12b)을 겹쳐 합치게 하여 지핀(14b)을 삽입하고 지핀(14b)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것에 따라서 링 지지 부재(14)와 일체로 고정되어있다.
링 지지 부재(25)는 링(ring)지지 부재(13)의 암네지(13c)에 대하여 링(ring) 지지 부재 25)의 환(둥근)공(25a)을 관통시켜 수네지(13d)를 단단히 죄는 것 에 따라 링(ring) 지지 부재(13)와 일체로 고정되어있다.
링(ring) 지지 부재(26)는 링(ring) 지지 부재(14)의 암(자)네지(14c)에 대하여 링(ring) 지지 부재(26)의 그 공(26a)을 관통시켜 수(웅)네지(14d)를 단단히 죄는 것에 의해 링(ring) 지지 부재(14)와 일체로 고정되어있다.
링(ring) 지지 부재(35)는 링(ring) 지지 부재(13)의 암(자)네지(13e)에 대하여 링(ring) 지지 부재(35)의 환공(35a)을 관통시킨 수(웅)네지(13f)를 단단히 죄는 것에 의해 링(ring) 지지 부재(13)와 일체로 고정되어있다.
링(ring) 지지 부재(36)는 링(ring) 지지 부재(14)의 암(자)네지(13e)에 대하여 링(ring) 지지 부재(36)의 환공(36a)을 관통시킨 수(웅)네지(14f)를 단단히 죄는 것 보다 링(ring) 지지 부재(13)와 일체로 고정되어있다.
연결부(20)는 링 부재의 일례에서 링(ring) 지지 부재(25,26)와 중앙 부재(21)와의 사이에 링(ring) 부재(22,24)를 배치하고, 설비 부재(11)와 설비 부재(12)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20)는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설비 부재(12)의 회동에 따른 개폐 장치(10)의 내측과 외측에 설비 부재(11)와 설비 부재(12)를 매끄럽게 연락하는 원호상의 포락면을 형성한다.
연결부(30)는 링(ring) 지지 부재(35,36)와 중앙 부재(31)와의 사이에 링(ring) 부재(32,34)를 배치하고, 설비 부재(11)와 설비 부재(12)의 사이를 연락한다. 연결부(30)는 설비 부재(11)에 대한 설비 부재(12)의 회동에 따른 개폐 장치(10)의 내측과 외측에 설비 부재(11)와 설비 부재(12)를 매끄럽게 연락하는 원호상의 포락면을 형성 한다.
연결부(20)의 중앙 부재(21)와 연결부(30)의 중앙 부재(31)는 외측의 원주면과 내측의 평탄면을 공유하는 단일 부품의 중앙 블록(bloc)(15)로 하여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중앙 부재(21)와 중앙 부재(31)는 중앙 블록(bloc)(15)의 좌우의 단부에 위치하여 일체로 회전한다.
 중앙 부재(21,31,23,33), 링(ring) 부재(22,32) 링(ring) 부재(24,34), 링(ring) 지지 부재(13,14) 링(ring) 지지 부재(25,35) 및 링(ring) 지지 부재(26,36)은 개폐 장치(1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원통면상의 포락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측과 외측의 각각의 형상이 형성되어있다. 중앙 블록(bloc)(15) 링(ring) 지지 부재(13, 14), 링(ring) 지지 부재(25,35, 26,36), 링(ring) 부재(22,32) 링(ring) 부재(24,34) 중앙 부재(23,33) 및 링(ring) 지지 부재(13,14)는 각 연결부의 강도를 고려하고, MIM (metal injection mold) 부품, 철계 금속, 스테인레스 강, 티탄 합금 등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연결부)
도 4는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중 (a)는 우측의 연결부 (b)는 좌측의 연결부이다. 도 3에 나타나 보인 링(ring) 지지 부재(25,35)은 링(ring) 지지 부재(13)을 끼워 설비 부재(11)에 고정되어있다. 링(ring) 지지 부재(26,36)는 링(ring) 지지 부재(14)를 끼워 설비 부재(12)에 고정되어있다.
도 4에 나타내 보이기 위해 링(ring) 부재(24,34)는 짧은 원호 凸부(24a, 34a)를 링(ring) 지지 부재(25,35)의 긴 원호 구(25m, 35m)에 느슨하게 끼워 합치게 된 반대 측의 짧은 원호 凸부(24b, 34b)를 중앙 부재(23)의 긴 원호구(23a, 33a)에 느슨하게 끼워 합치게 된다. 이 때문에 링(ring) 부재(24,34)는 원호구(25m, 35m) 및 원호구(23a, 33a)에 양단을 안내되는 원호상에 슬라이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링(ring) 부재의 일례인 링(ring) 부재(24,34)는 링(ring) 지지 부재(25,35) 대하여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링(ring) 부재(22,32) 짧은 원호 凸부(22a, 32a)를 링(ring) 지지 부재(26,36)의 긴 원호구(26m, 36m)에 느슨하게 끼워 합쳐져 반대측의 짧은 원호 凸부(22b, 32b) 중앙 부재(21, 31) 긴 원호구(21b, 31b)에 느슨하게 끼워 합쳐지고 있다. 이 때문에 링(ring) 부재 (22,32)는 원호구 (26m, 36m) 및 원호구(21b, 31b)에 양단을 안내시켜 원호 상에 슬라이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2 링(ring) 부재의 일례이다 링(ring) 부재(22,32)는 링(ring) 지지 부재(26,36)에 대하여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중앙 부재(23,33) 짧은 원호 凸부(23b, 33b)를 중앙 부재(21,31) 짧은 원호구(21a, 31a)에 느슨하게 끼워 합쳐지고 있다. 이 때문에 중앙 부재(23,33)는 중앙 부재(21,31)와 상대적으로 회동도 슬라이드 하지 않고 일체로 회동한다. 중앙 부재의 일례 인 중앙 부재(21,31) 및 중앙 부재(23,33)는 링(ring) 부재(24,34) 와 링(ring) 부재(22,32)와 연락한다. 중앙 부재(21,31)는 긴 원호구(21b, 31b)에 링(ring) 부재(22,32)의 짧은 원호 凸부(22b, 32b)를 느슨하게 끼워 합쳐지고 있다. 중앙 부재(23,33)는 긴 원호구(23a, 33a)에 링(ring) 부재(24,34)의 짧은 원호 凸부(24b, 34b)를 느슨하게 끼워 합쳐지고 있다. 따라서 중앙 부재(21,31)는 일단 부가 링(ring) 부재(24,34)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고, 타 단부가 링(ring) 부재(22,32)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다.
링 지지 부재(25,35)의 원호구(25m, 35m) 및 중앙 부재(23,33) 원호구(23a, 33a)는 원주상에 형성되고, 원주의 중심이 링 지지 부재(25,35) 및 중앙 부재(23,33)의 내측면에 일치하기 위하여 설계되어있다. 링 지지 부재(26,36)의 원호구(26m, 36m) 및 중앙 부재(21,31)의 원호구(21b, 31b)는 원주상에 형성되고, 원주의 중심이 링 지지 부재(26,36) 및 중앙 부재(21,31)의 안쪽면에 일치하기 위하여 설계되어있다.
이 때문에 이들(이것들)과 링 부재(22,32,24,34)와의 포락면으로 하여 형성되는 개폐 장치(10)의 내측면은 개폐에 따른 굴곡에 부합된 길이의 변화가 적다.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라 내측면에 겹쳐 배치된 유기 EL 판넬(105)가 인장되거나 압축되지 않도록 내측면에 형성되는 포락면은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른 원주 방향의 길이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긴 원주구(31b, 36m, 33a, 35m)과 짧은 원주 돌기(32a, 32b, 34a, 34b)와의 조합으로 링(ring) 부재(22, 24, 34)의 회동을 제어하고 있다. 힌지 샤프트를 사용하여 같은 회동을 제어하고, 힌지 샤프트가 방해가 되어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른 원주 방향의 길이가 일정 높이의 위치에 유기 EL 판넬(105)가 설치되지 않는다.
그런데 인접하는 링(ring) 부재를 힌지 샤프트로 연결하는 통상의 개폐 장치면 힌지 샤프트의 주위(둘레)에 프리 쿠션 발생부를 설치해서 개폐 장치의 열림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개폐 장치(10)는 원호구에 원호 철부를 보존시켜 인접하는 링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힌지 샤프트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힌지 샤프트의 주위에 프리 쿠션 발생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또, 개폐 장치(10)에는 원호구와 원호 철부 사이의 마찰을 크게 하며, 개폐 장치(10)의 열림 각도를 유지시키려고 하면, 인접한 링 부재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방해를 받아 개폐 장치(10)의 개폐 자체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실시예 1에서는, 인접한 링 부재를 1개가 넘는 링 부재 사이에 걸쳐서 프리 쿠션 발생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링(ring) 부재 사이에서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개폐 장치(10)의 개폐가 원활하게 된다.
(프리 쿠션 발생부)
도 5는 프리 쿠션 발생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리 쿠션 발생부의 구성 및 설비의 설명도이다.
도 7은 프리 쿠션 발생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표시와 같이 프리 쿠션 발생부(40)은 링(ring) 부재(22, 32, 24, 34)를 뛰어 넘어, 설비 부재(11)과 중앙 블록(15)와 설비 부재(12)를 연결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프리 쿠션 발생부(40)과 설비 부재(11)의 위에 L자축(42, 45)를 위치시키고, 중앙 블록(15) 위에 U자축(41, 49)를 위치시켜, 설비 부재(12)의 에 L자축(43, 46)을 위치시킨다.
도 3에서 보듯이, 프리 쿠션 발생부(40)과 플레이트(51, 52, 53)에 따라 설비 부재(11), 설비 부재(12) 및 중앙 블록(15)에 겹쳐 설비되어 있다. 플레이트(51)과 환공(51a)를 관통시킨 수나사(11d)를 설비 부재(11)의 암나사(11c)에 단단히 죔으로써, 설비 부재(11)과 일체로 고정시키고 있다.
플레이트(52)는 환공(52a)를 관통시킨 수나사(12d)를 설비 부재(12)의 암나사(12c)에 단단히 죔으로써 설비 부재(12)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53)은 환공(53a)를 관통시킨 수나사(15b)를 중앙 블록(15)의 암나사(15a)에 단단히 죔으로써 중앙 블록(15)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도 6은 L자축(42, 43, 45, 46) 및 U자축(41, 49)의 설비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그림으로, 부품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도 3에 표시한 몇 개의 부품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보이는 플레이트(51)과 설비 부재(11)의 슬라이드면(12e) 위에 설비된다. 플레이트(52)와 슬라이드면(12e)와의 사이에 L자축(43)의 단부(43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51)과 설비 부재(11)의 슬라이드면(11f)와의 사이에 L자축(45)의 단부(45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플레이트(52)와 슬라이드면(12f)와의 사이에 L자축(46)의 단부(46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다. 중앙 블록(15)의 구부(15e)는 U자축(41)의 U자의 구부러진 부분을 느슨하게 유지하고 있다. 중앙 블록(15)의 구부(15f)는 U자축(49)의 U자에 구부러진 부분을 느슨하게 유지하고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제1프리 쿠션 발생수단의 일례인 프리 쿠션 발생부(40)은 설비 부재(11)과 중앙 블록(15)를 마찰축 베어링(47)에 의해 연결하고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중앙 부재(21, 31)의 회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마찰축 베어링(47)은 L자축(43, 46)과 U자축(41, 49)를 연결하고 있다.
마찰축 베어링(47)은 탄성판재(스테인리스)(47a)의 단부(47b, 47c, 47d)를 구부려 원호를 형성하고 있고, L자축(42, 45)와 U자축(41, 49)를 원호 내에 각각 단단히 죄어 끼워 유지한다.
제2프리 쿠션 발생수단의 일례인 프리 쿠션 발생부(40)과 설비 부재(12)와 중앙 부재(21, 31)을 마찰축 베어링(48)에 의해 연결하고, 설비 부재(12)에 대하여 중앙 부재(21, 31)의 회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마찰축 베어링(48)은 L자축(42, 45)와 U자축(41, 49)와를 연결하고 있다. 마찰축 베어링(48)은 탄성판재(스테인리스)(48a)의 단부(48b, 48c, 48d)를 원통상으로 구부려 원공을 형성하고, L자축(43, 46)과 U자축(41,49)를 원공 내에 각각 단단히 죄어 끼워 유지한다.
L자축(42, 45)를 유지하는 마찰축 베어링(47)의 단부(47b)와 도 3에 표시한 플레이트(51)에 의해 설비 부재(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비되어 있다. L자축(43, 46)을 유지하는 마찰축 베어링(48)의 단부(48b)는 도 3에 나타낸 플레이트(52)에 의해 설비 부재(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비되어 있다. U자축(41, 49)를 유지하는 마찰축 베어링(47, 48)의 단부(47c, 47d, 48c, 48d)와 플레이트(53)에 의해 중앙 블록(15)에 설비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축 베어링(47)과 링 부재(24, 34)를 뛰어넘어 L자축(42, 45)의 단부(42a, 45a)와 U자축(41, 49)의 단부(41a, 49a)를 연결하고 있다.
마찰축 베어링(48)과 링(ring) 부재(22, 32)를 뛰어넘어 L자축(43, 46)의 단부(43a, 46a)와 U자축(41, 49)의 단부(41b, 49b)를 연결하고 있다.
제1마찰부재의 일례인 U자축(41, 49)의 단부(41a, 49a)가 중앙 부재(21, 31)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여 중앙 부재(21, 31)에 설치되어 있다. 제2마찰부재의 일례인 마찰축 베어링(47)과 한 방향의 단부(47b)가 설비 부재(11)에 설비되어, 다른 방향의 단부(47c, 47d)가 U자축(41, 49)에 끼워 합쳐져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제3마찰부재의 일례이다. U자축(41, 49)의 단부(41b, 49b)와 중앙 부재(21, 31)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며 중앙 부재(21, 31)에 설치되어 있다. 제4마찰부재의 일례이다. 마찰축 베어링(48)과 단부(48b)가 설비 부재(12)에 설비되고, 단부(48c, 48d)가 U자축(41, 49)에 끼워합쳐져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제5마찰부재의 일례이다. L자축(42, 45)의 단부(42a, 45a)와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며 설비 부재(11)에 설치된 마찰축 베어링(47)의 단부(47b)에 끼워합쳐져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제6마찰부재의 일례이다. L자축(43, 46)의 단부(43a, 46a)는 설비 부재(12)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며, 설비 부재(12)에 설치되어 마찰축 베어링(48)의 단부(48b)에 끼워 합쳐져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그런데 개폐 장치(10)에는 복수의 링 부재가 형성하는 포락면이 인접한 링(ring) 부재의 상대적인 회동의 중심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 바꿔말하면 인접한 링 부재의 상대적인 회동에 있어서 가상의 힌지 샤프트가 복수의 링 부재가 내측에 형성하는 포락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라 굴곡을 따라 방향의 길이가 크게 변하지 않는 높이에 유기 EL 판넬(10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리 쿠션 발생부(40)의 L자축(42, 43, 45, 46) 및 U자축(41, 49)와 가상의 힌지 샤프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불가하고, 가상의 힌지 샤프트로부터 굴곡의 외측에 크게 엇갈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른 L자축(42, 43, 45, 46) 및 U자축(41, 49)가 배치된 원주면의 둘레길이가 크게 변화한다. 그러나 U자축(41, 49)와 중앙 부재(2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면의 굴곡에 따른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프리 쿠션 발생부(40)의 L자축(42, 43, 45, 46)을 설비 부재(11, 12)에 고정시키고, 프리 쿠션 발생부(40)가 설비 부재(11, 12)의 간격을 비스듬히 교차한 상태로 고정해 버려, 개폐 장치(10)의 개폐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개폐 장치(10)에는 L자축(42, 43, 45, 46)의 단부(42b, 43b, 45b, 46b)를 설비 부재(11, 12)를 따라 굴곡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비되어 있다.
(L자축의 슬라이드)
L자축(42, 45)의 단부(42b, 45b)와 설비 부재(11)의 공간(11h)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L자축(42, 45)와 공간(11h) 내에서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중앙 부재(21, 31)의 회동에 따라 설치 부재(11)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L자축(43, 46)의 단부(43b, 46b)와 설비 부재(12)의 공간(12h)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L자축(42, 45)와 공간(11h) 내에서 설비 부재(12)에 대하여 중앙 부재(21, 31)의 회동에 따른 설비 부재(12)를 따라 슬라이드한다. U자축(41, 49)의 단부(41a, 49a)와 U자축(41, 49)의 단부(41b, 49b)와 단일 부재의 U자축(41, 4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U자형으로 구부러진 금속선재의 마주 향하는 평행 부분에 의해 U자축(41, 49)의 단부(41a, 49a)와 U자축(41, 49)의 단부(41b, 49b)가 구성되어 있다. 마찰축 베어링(47, 48)과 금속선재의 단면을 단단히 죄도록 단면을 굴곡시킨 탄성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리 쿠션 발생부(40)과 U자축(41, 49)에 의해 제1프리 쿠션 발생수단과 제2프리 쿠션 발생수단이 중앙 블록(15)상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설비 부재(11), 링 부재(24, 34), 설비 부재(12), 링 부재(22, 32) 및 중앙 블록(15)로 된 한 쌍의 연결부(20, 30)의 사이에 프리 쿠션 발생부(40)가 복수 개의 조로 배치되어 있다.
프리 쿠션 발생부(40)과 U자축(41, 49), L자축(42, 43, 45, 46)의 직경 마찰축 베어링(47, 48)의 원호의 직경이 고르지 않아 끼워 합쳐진 부분마다 마찰 저항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3개의 프리 쿠션 발생부(40)과 프리 쿠션 발생부(40)의 각 회동 중심에 있어서 합계의 회동 저항력이 거의 동일하게 조합이 선택되어 있다.
(열림 각도 마다의 연결부의 단면)
도 8은 개폐 장치의 각 단면의 명칭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열림 각도가 0도일 경우의 연결부의 각 단면도이다. 도 10은 열림 각도가 90도일 경우의 연결부의 각 단면도이다. 도 11은 열림 각도가 180도일 경우의 연결부의 각 단면도이다. 도 9~도 11 중 (a)는 A-A 단면, (b)는 B-B 단면, (c)는 C-C 단면, (d)는 D-D 단면, (e)는 E-E 단면이다. 도 8에서 보듯이 연결부의 각 위치 A~E의 단면을 정의하고 열림 각도마다의 단면도를 도 9~도 11에 표시한다. 도 9~도 11의 (a)에 나와 있듯이 링(ring) 부재(24, 34)와 짧은 원호 철부(24a, 34a)를 링 지지부재(25, 35)의 긴 원호구(25m, 35m)에 느슨하게 끼워 합쳐 링 지지부재(25, 35)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도 9~도 11의 (b)에서 보듯이, 링 부재(22, 32)와 짧은 원호 철부(22a, 32a)를 링(ring) 지지부재(26, 36)의 긴 원호구(25m, 35m)에 느슨하게 끼워 합침으로써 링 지지부재(26, 36)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도 9~도 11의 (c)에서 보듯이, 링 부재(24, 34)와 짧은 원호 철부(24b, 34b)를 중앙 부재(23, 33)의 긴 원호구(23a, 33a)에 느슨하게 끼워 합침으로써 중앙 부재(23, 33)에 대하여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도 9~도 11의 (e)에서 보듯이 링 부재(22, 32)와 짧은 원호 철부(22b, 32b)를 중앙 부재(21, 31)의 긴 원호구(21b, 31b)에 느슨하게 끼워 합침으로써 중앙 부재(21, 31)에 대하여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중앙 부재(23, 33)과 원호 철부(23b, 33b)를 중앙 부재(21, 31)의 원호구(21a, 31a)에 느슨하게 끼워 합침으로써 중앙 부재(21, 31)에 고정시키고 있다.
(열림 각도마다의 프리 쿠션 발생부의 단면)
도 12는 열림 각도가 0도일 경우의 프리 쿠션 발생부의 각 단면도이다. 도 13은 열림 각도가 90도일 경우의 프리 쿠션 발생부의 각 단면도이다.
도 14는 열림 각도가 180도일 경우의 프리 쿠션 발생부의 각 단면도이다. 도 12~도 14 중 (a)는 F-F 단면 사시도, (b)는 F-F 단면, (c)는 G-G 단면사시도, (d)는 G-G 단면이다.
도 8에 나와있듯이 프리 쿠션 발생부의 각 위치 F, G의 단면을 정의하고, 열림 각도마다의 단면도를 도 12~14에 표시한다.
도 12~14의 (a)에서 도시하듯이 U자축(41)과 마찰축 베어링(47, 48)의 단부(47d, 48d)에 끼워 유지시켜 마찰축 베어링(47, 48)과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U자축(49)와 마찰축 베어링(47, 48)의 단부(47c, 48c)에 단단히 죄어 끼워 유지되고 마찰축 베어링(47, 48)과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중앙 블록(15)에 대하여 마찰축 베어링(47, 48)을 회동되게 하는 힘에 저항한다.
L자축(42, 45)와 마찰축 베어링(47)의 단부(47b)에 단단히 죄어 끼워져 유지되는 마찰축 베어링(47)과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L자축(43, 46)과 마찰축 베어링(48)의 단부(48b)에 단단히 죄어 끼워져 유지되게 하여 마찰축 베어링(48)과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설비 부재(11, 12)에 대하여 마찰축 베어링(47, 48)을 회동시키는 힘, 즉 중앙 블록(15)에 대하여 설비 부재(11)을 회동시키는 힘에 저항한다.
따라서 설비 부재(11)과 설비 부재(12)와의 열림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는 마찰축 베어링(47, 48)의 단부(47b, 47c, 48b, 48c, 48d)의 마찰에 이겨낸 U자축(41,49) 및 L자축(42,43,45,46)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개폐 장치(10)와 설비 부재(11)와 설비 부재(12)와 열림 각도가 0도에서 180도의 범위에 걸쳐 임의의 열림 각도에서 보존 유지된다.
개폐 장치(10)의 내측면에 배치 된 유기 EL 패널(105)을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라 인장 되던가 압축되던가 하지 않기 위하여 개폐 장치(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링(ring) 부재(21,23,22,24,25,26,31,33,32,34,35,36)의 내측의 포락면과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라 굴곡 방향의 길이가 거의 일정하다. 개폐 장치(10)가 인접하는 링 부재의 연결에 힌지 샤프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원호구에 안내게 하여 원호 凸를 슬라이드 시켜 인접한 링부재에 상대적인 회동을 발생시킨 것보다, 내측에 원주방향의 길이가 거의 일정하게 되는 포락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12의 (a), (b), (c), (e)에 나타내기 위하여, 원호구의 한방향의 단부에 원호凸부가 충돌하다 상태에서 개폐 장치(10)의 열림 각도가 0도로 되기 위하여 설계되어있다. 또, 도 14의 (a), (b), (c), (e)에 나타내기 위하여, 원호구의 다른 방향 단부에 원호凸부가 충돌하다 상태에서 개폐 장치(10)의 열림 각도가 180도로 되기 위하여 설계되어있다. 각각의 원호구의 길이가 구입 된 원호凸부를 180도 ÷ 4 = 45도 회전시키기 위하여 설계되어있다. 따라서 원호구와 인접하는 링(ring)부재의 회동 각도를 소정 각도로 규제하는 규제 수단 KS으로 기능 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마찰축 베어링(47,48)의 단부(47b, 47c, 47d, 48b, 48c, 48d) 에 부합된 포락면은 개폐 장치(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포락면 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른 굴곡 방향의 길이가 변화한다.
여기서 마찰축 베어링(47,48)의 단부(47c, 47d, 48c, 48d)와 중앙 블록(bloc)(1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포락면의 원주 방향에 이동가능하지 않고, 이 때문에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른 단부(47b, 48b)가 설비 부재(11,12)에 대하여 마주 대하며 이동하는 것보다 마찰축 베어링(47,48)에 부합된 포락면의 원주 방향의 길이로 추종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L 자축(42)와 설비 부재(11)과 및 플레이트(plate)(51)와의 사이에 준비된 공간(11h)에 회동을 규제시키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L 자축(43)과 설비 부재(12)와 플레이트(plate)(52)와의 사이에 준비된 공간 (12h)에 회동을 규제시키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12 ~ 도 14의 (c)에 표기하기 위하여, L 자축(42,43)과 공간(11h, 12h)안에 설비 부재(11)에 대하는 중앙 부재(21,31)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한다.
(실시의 형태 1의 효과)
실시 예 1에는 링(ring) 부재(24,34)과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다. 링 부재(22,32)와 설비 부재(12)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다. 중앙 부재(21,31)와 링 부재(24,34)와 링 부재(22,32)와를 연락한다. 중앙 부재(21,31)와 일단 부가 링 부재(24,34)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고, 타 단부가 링(ring) 부재(22,32)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링(ring) 부재의 상대적인 회동 중심을 링(ring) 부재의 내측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역시 개폐 장치의 내주 측에 형성된 굴곡면은 기술 사상적에서는 원통상으로 있어도 실제에는 다각주상이다. 복수의 링 부재의 포락면은 실제에는 원통면에는 없고 타 원통면 또는 거의 원통면이다. 인접하는 링(ring) 부재의 회동 중심과 실제와 링(ring) 부재의 내 측면에서 조금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도 포함한다.
실시 예 1과 프리쿠션 발생 부(40)와 설비 부재(11)와 중앙 부재(21,31)과를 연락하고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중앙 부재(21,31)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프리쿠션 발생 부(40)와 설비 부재(12)와 중앙 부재(21,31)과를 연락하고 설비 부재(12)에 대하는 중앙 부재(21,31)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이 때문에 개폐 장치(10)와 저항력에 의해 열림 각도를 보존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인접한 링 부재를 넘는 링 부재의 회전에 저항하기 때문에 인접한 링 부재의 회동이 원활하게 행하여지고 복수의 링 부재를 연결하여 구성된 구조 전체에 미끄럽게 굴곡을 형성하여 해제 가능하다. 또 개폐 장치(10)가 일본국 특개 2014-161009호 특허 공보에 나타내 보인 형상 기억 합금의 보강 들보(량)과 같이 형상 기억 합금에 기인한 불이익이 생기지 않는다. 보강 들보의 소성 변형에 의해 주름 호스 구조의 굴곡 상태를 보존 유지하지 않으며, 소성 변형에 이르기 전의 탄성 변형에 기인하는 형상 기억 합금의 백러쉬(backrush)가 제 1 틀체(101)와 제 2 틀체(102)와의 열림 각도의 설정에 방해되지 않는다. 또 개폐 때마다 형상 기억 합금의 보강 들보가 소성 변형하지 않으며, 개폐의 반복하는 횟수에 제한이 없다. 더욱더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개폐 장치(10)의 재료비용이 낮게 된다.
실시 예 1에는 U 자축(41,49)의 단부(41a, 49a)와 중앙 부재(21,31)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여 중앙 부재(21,31)에 설치되어있다. 마찰축 베어링(47)와 한 방향 단부(47b)가 설비 부재(11)에 설비되고 타 단부(47c, 47d)가 U 자축(41,49)에 끼워 합쳐 저항력의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U 자축(41,49)의 단부(41b, 49b)와 중앙 부재(21,31)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고 중앙 부재(21,31)에 설치되어있다. 마찰축 베어링(48)와 한방향의 단부(48b)가 설비 부재(12)에 설비되고 다른 방향의 단부(48c, 48d)가 U 자축(41,49)에 끼워 합쳐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L 자축(42,45)의 단부(42a, 45a)와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여 설비 부재(11)에 설치되고 마찰축 베어링(47)의 한방향의 단부(47b)에 끼워 합쳐 저항력으로서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L 자축(43,46)의 단부(43a, 46a)와 설비 부재(12)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며 설비 부재 (12)에 설치된 마찰축 베어링(48)의 한방향의 단부(48b)에 끼워 합쳐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이 때문에 U 자축 L 자축, 마찰축 베어링이라고 한다. 심플(simple)로 소형의 부재를 이용한 프리쿠션 발생 부(40)의 구성이 가능하다.
실시 예 1에는 L 자축(42,45)의 단부(42a, 45a)와 설비 부재(11)에 대하여 중앙 부재(21,31)의 회동에 따른 설비 부재(11)에 부합되어 슬라이드 한다. L 자축(43,46)의 단부(43a, 46a)와 설비 부재(12)에 대한 중앙 부재(21,31)의 회동에 따른 설비 부재(12)에 부합되어 슬라이드 한다. 이 때문에 개폐 장치(10)의 개폐에 따른 L 자축(42,43,45,46)이 슬라이드 하여 개폐 장치(10)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다.
실시 예 1에는 U 자축((41,49)의 단부(41a, 49a)와 U 자축(41,49)의 단부(41b, 49b)와가 단일 부재의 U 자축(41,49)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U 자축(41,49)의 단부(41a, 49a)와 U 자축(41,49)의 단부(41b, 49b)와가 U 자형에 구부러진 금속 선재에 대항하는 평행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이 때문에 U 자축(41,49)을 중앙 부재(21,31)에 고정하는 것에 따라 U 자축(41,49)의 단면의 회전을 규제하여 마찰축 베어링(47,49)와의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예 1에는 마찰축 베어링(47,48)와 금속 선재의 단면을 단단히 죄기 위하여 단면을 굴곡시킨 탄성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이 때문에 프리쿠션 발생 부(40)의 구조로 되고 부품 점수 적게 형성 가능하다. 실시 예 1에서 프리쿠션 발생 부(40)와 U 자축(41,49)에 의해 제 1 프리쿠션 발생 수단과 제 2 프리쿠션 발생 수단과가 중앙 블록(bloc)(15)상에 일체로 연결되어있다. 이 때문에 제 1 프리쿠션 발생 수단과 제 2 프리쿠션 발생 수단과의 합계의 부품 점수 삭감된다.
실시 예 1에는 설비 부재(11), 링 부재(24,34) 설비 부재(12), 링 부재(22,32) 및 중앙 블록(bloc)(15)으로 된 한 쌍의 연결부(20,30)의 사이에 프리쿠션 발생 부(40)가 복수 조 배치 되어있다. 이 때문에 복수조의 프리쿠션 발생 부 저항력을 각각 측정하여 짜 맞추게 되는 것에 의해 제 1 프리쿠션 발생 수단과 제 2 프리쿠션 발생 수단에 있어서 회동에 대하여 저항력의 차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예 2]
실시 예 1에는 인접한 링(ring) 부재의 안의 한 방향에 형성된 원호구와 다른 방향에 형성된 원호凸부와의 짜 맞추는데 따라서 회동을 따른 슬라이드 하는 구조를 실현한다. 그러나 회동을 따른 슬라이드 하는 구조와 원호구와 및 원호凸부와의 짜 맞추게 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원호凸부와 그 둘레 방향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한 한 쌍의 핀에 바꿔놓아도, 실시 예 1과 같은 인접하는 링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인접하는 링 부재의 안의 한 방향에 원호상의 봉인을 설치하고 다른 방향에 봉인(틈에) 끼운 롤러(roller) 짝을 봉인에 부합되어 두 쌍 설치하여도 좋다. 역시 회동을 따라 슬라이드 하는 운동은 슬라이드를 따라 회동하는 운동과 같은 뜻이다.
[실시 예 3]
실시 예 1에는 원형 단면의 핀과 원호의 단단히 죄어 끼움으로써 1 개의 링 부재를 넘는 2 개의 링 부재의 상대적인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그러나 1 개의 링 부재를 넘는 2 개의 링 부재의 상대적인 회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작용하는 구조와 원형 단면의 핀과 원호의 단단히 죄어 끼워 합친 것은 한정하지 않는다. 중앙 블록(bloc)(15) 및 설비 부재(11,12)에 각각 실시 예 1과 같은 마찰축 베어링을 배치하여 3개의 마찰축 베어링을 실시 예 1과 같은 U 자축 상호에 연결하여도 좋다. 이 때, 설비 부재(11,12)에 배치하는 마찰축 베어링과 설비 부재(11,12)에 따른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4]
실시 예 1에는 금속 선재의 L 자축, U 자축과 탄성 금속 판재의 단부를 카르(kar) 시킨 마찰축 베어링에 프리쿠션 발생 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프리쿠션 발생 부에 삽입 측과 피 삽입 측의 재료 및 형상의 짜 맞추게 되는 것은 실시 예 1의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삽입 측과 피 삽입 측과의 사이에 안정한 마찰 상대 이동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여러 가지의 재료의 짜 맞추게 되는 것을 선택 가능하다. 피 삽입 측의 마찰축 베어링을 강성이 높은 재료를 형성하고, 삽입 측을 탄성적인 축경(지름)하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좋다.
[실시 예 5]
실시 예 1에는 프리쿠션 발생 부와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 하는 복수의 링 부재에서 독립하여 조립되어 복수의 링 부재에서 일체로 착탈 된 것으로, 그러나 복수의 링 부재와 프리쿠션 발생 부와 적어도 일부의 부재를 공유하여 조립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중앙 부재(21,31)에 직접 U 자축, L 자축 부분을 삽입하는 단단히 끼움의 원호를 형성하여도 좋다.
[실시 예 6]
실시 예 1에는 복수의 프리쿠션 발생 부(40)를 동일의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복수의 프리쿠션 발생 부(40)는 회동에 대하여 발생하는 저항력의 양 또는 질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저항력의 양으로는 마찰 저항의 크기가 다른 복수 종류의 프리쿠션 발생 부를 준비하고, 합계의 마찰 저항의 크기가 소정 범위로 되기 위하여 복수 종류의 프리쿠션 발생 부를 짜 맞추는 것이 고안되었다. 저항력의 질이 다른 경우로는 회동에 대하여 발생하는 저항력의 열림 각도에 따라 변화하고 소정의 열림 각도로 최대가 되고 , 그 중간 각도로 최소가 되기 위한 프리쿠션 발생 수단으로 한 경우가 고안되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틀체와 본체 틀체와를 연결하는 랩탑(lap top) 컴퓨터의 개폐 장치는 0도 열림 각도 와 90도의 열림 각도라도 회동에 대하여 저항력이 적게 되는 프리쿠션 발생 수단 (빨아들이는 기구와 큰소리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를 준비한다. 구체적으로는 , 원형 단면의 핀의 대신에 정다각형 단면의 핀 또는 캠을 준비하고, 판금의 단부를 카르(kar) 시킨 마찰축 베어링의 대신에 수지 재료의 정다각형 단면의 공을 준비 한다. 그리고 정다각형 단면의 구멍의 안에 정다각형 단면의 핀이 회동하는 때의 회전 저항의 변동을 이용한다. 정다각형 단면의 정점끼리 맞물린 각도에서 상대 회전의 저항이 최소로 되고, 그 중간에 정다각형 단면의 정점이 변을 눌러 올려 저항을 최대로 한 상태가 되게 한다. 또는 편평한 단면 형상의 핀 또는 캠을 U 자 단면의 탄성 부재에 끼워 넣어 짐으로 회동 저항을 180도의 위상차로 적게 하는 멈춤쇠 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그 밖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개폐 장치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성 및 용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예의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등가의 구성으로 바꿔 놓는 다른 형태에도 실시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예에는 유기 EL 판넬을 탑재한 단말 장치의 개폐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 예의 개폐 장치는 액정 판넬을 탑한 단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다. 2번 꺾음, 3번 꺾음, 4번 꺾음, 다중 주름 호스 꺾음 등에 바꿔 놓는 것도 좋다. 단말 장치는 꺾어 접은 텔레비전을 포함한다.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플랙시블한 면상의 디바이스, 예를 들면 터치 판넬이나 키보드 등을 꺾어 겹쳐 수용된 단말 장치 이외의 전자 기기에도 실시 가능하다. 개폐 장치는 제 1 특체와 제 2 틀체와를 복수의 링 부재에 연결한 내측에 굴곡 된 포락면을 형성하여 구성된 여러 가지의 기기나 용기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이므로, 특히 유기 EL 디바이스(device)를 사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제 1 틀체에서 제 2 틀체에 걸어 설치 2번 꺾음 형식의 단말 장치,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스마트 폰,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iter), 캠기, 디스프레이, 싸인보드 그 밖의 개폐 장치, 및 이 개폐 장치를 사용한 단말 장치로서 좋게 마땅하게 사용된다.
10: 개폐 장치 11: 설비 부재 (제 1 설비 부재)
12: 설비 부재 (제 2 설비 부재) 13, 14: 링 지지 부재
15: 중앙 블록(bloc) (중앙 부재) 20, 30: 연결부
21, 31: 중앙 부재 22, 32: 링 부재 (제 2 링 부재)
23, 33: 중앙 부재 24, 34: 링 부재 (제 1 링 부재)
25, 35: 링 지지 부재 26, 36: 링 지지 부재
40: 프리쿠션 발생 부 (제 1 프리쿠션 발생 수단, 제 2 프리쿠션 발생 수단)
41, 49: U 자축 42, 45: L 자축
43, 46: L 자축 47: 마찰축 베어링(마찰 부재)
47a: 탄성 판재 47b, 47c, 47d: 단부
48: 마찰축 베어링(마찰 부재) 48a: 탄성 판재
48b, 48c, 48d: 단부 51: 플레이트(plate)
52: 플레이트(plate) 53: 플레이트(plate)
100: 단말장치 101: 제 1 틀체
102: 제 2 틀체 103, 104: 개폐 장치
105: 유기 EL 판넬(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 KS 규제 수단

Claims (11)

  1.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것과 개폐상태에서 원호상의 단면을 형성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에 걸쳐 설치된 프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지지하는 개폐장치에 있서,
    상기 제1틀체에 고정 가능한 제1설비부재와, 상기 제1설비부재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한 제1링(ring)부재와 상기 제2틀체에 고정가능한 제2설비부재와, 상기 제2설비부재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한 제2링(ring)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제2링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링부재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함에 있어, 타단부가 상기 제2링부재에 대하여 회동에 따른 슬라이드 가능한 중앙부재와,
    상기 제1설비부재와 상기 중앙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설비부재에 대하여 상기 중앙부재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키는 제1프리쿠션 발생수단과,
    상기 제2설비부재와 상기 중앙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설비부재에 대하여 상기 중앙부재의 회동에 저항력을 작용시키는 제2프리쿠션 발생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리쿠션 발생수단과, 상기 중앙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여 상기 중앙부재에 설치된 제1마찰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1설비부재에 설비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마찰부재에 끼워합쳐(감합해서) 상기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제2마찰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2프리쿠션 발생수단과, 상기 중앙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여, 상기 중앙부재에 설치된 제3마찰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2설비부재에 설비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3마찰부재에 끼워합쳐져 상기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제4마찰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비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여 상기 제1설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마찰부재의 상기 일단부에 끼워합쳐져 상기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제5마찰부재와, 상기 제2설비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규제하여, 상기 제2설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4마찰부재의 상기 일단부에 감합하여, 상기 저항력으로서의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제6마찰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마찰부재와, 상기 제1설비부재에 대하여 상기 중앙부재의 회동에 따른 상기 제1설비부재에 부합된(따른) 슬라이드 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6마찰부재와, 상기 제2설비부재에 대하여 상기 중앙부재의 회동에 따른 상기 제2설비부재에 부합된(따른) 슬라이드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 및 상기 제3마찰부재가 단일부재에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 및 상기 제3마찰부재와 U자형으로 구부러진 금속선재와 마주향하는 평행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부재 및 상기 제4마찰부재와, 각각 상기 제1마찰부재 및 상기 제3마찰부재의 상기 금속선재의 단면을 단단히 죄도록 단면을 굴곡시킨 탄성판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쿠션 발생수단과 상기 제2프리쿠션 발생수단은 상기 중앙부재상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비부재, 상기 제1링부재, 상기 제2설비부재, 상기 제2링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로 된 연결부재가 한쌍이 설치되고,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제1프리쿠션 발생수단과 상기 제2프리쿠션 발생수단이 한쌍의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복수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제1설비부재와의 한방향에 설치한 원호구에 다른방향에 설치한 철부가 보존유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제1설비부재에 대하여 회동 및 슬라이드가 가능한것에서, 상기 제2링부재와 상기 제2설비부재 안의 한 방향에 설치한 원호구에 그 다른 방향에 설치된 철부가 보존유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링부재와, 상기 제2설비부재에 대하여 회동 및 슬라이드가 가능한것에서,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중앙부재 안의 한 방향에 설치한 원호구에 그 다른 방향에 설치한 철부가 보존유지되는 것보다 상기 중앙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에 대하여 회동 및 슬라이드가 가능한 것에서, 상기 제2링부재와 상기 중앙부재 안의 한 방향에 설치된 원호구에 그 다른 방향에 설치된 철부가 보존유지된 것보다 상기 중앙부재와 상기 제2링부재에 대하여 회동 및 슬라이드가 가능한것에서, 상기 원호구의 양단부와 개폐에따른 원호철부의 상기 원호구에 부합되어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1. 제1틀체와, 제2틀체와,
    청구항1항 기재의 개폐장치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 상기 개폐장치와의 내측면에 배치된 굴곡가능한 프렉시블 디스플레이 판넬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80111876A 2017-09-21 2018-09-19 개폐장치 및 단말장치 KR102129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1060 2017-09-21
JP2017181060A JP7024991B2 (ja) 2017-09-21 2017-09-21 開閉装置、及び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47A KR20190033447A (ko) 2019-03-29
KR102129327B1 true KR102129327B1 (ko) 2020-07-08

Family

ID=6572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876A KR102129327B1 (ko) 2017-09-21 2018-09-19 개폐장치 및 단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9896B2 (ko)
JP (1) JP7024991B2 (ko)
KR (1) KR102129327B1 (ko)
CN (1) CN109542166B (ko)
TW (1) TWI671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9627A (zh) * 2017-07-19 2017-12-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笔记本与平板二合一电脑
KR102393344B1 (ko) * 2017-07-28 2022-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854A1 (en) 2017-11-28 2019-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JP7149580B2 (ja) * 2018-10-25 2022-10-0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2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11337321B2 (en) * 2019-02-28 2022-05-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JP7333049B2 (ja) * 2019-03-26 2023-08-24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二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二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WO2020209424A1 (ko)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16067B (zh) * 2019-04-12 2023-12-29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电子装置
TWM587285U (zh) * 2019-04-12 2019-12-0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20200126449A (ko)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96062B (zh) * 2019-06-25 2020-06-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捲折拉伸定位結構及使用其之電子裝置
TWI728801B (zh) * 2019-06-27 2021-05-2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轉軸模組及使用該轉軸模組之折疊式裝置
KR102670921B1 (ko) * 2019-07-22 2024-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TWI688324B (zh) * 2019-08-02 2020-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摺疊式電子裝置
JP7450904B2 (ja) * 2019-09-04 2024-03-18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及びヒンジを備える折り畳み可能な機器
CN110580854B (zh) * 2019-09-12 2021-11-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屏支撑结构和折叠屏
CN211239890U (zh) * 2019-10-12 2020-08-11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内折柔性屏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终端
KR20210048022A (ko) * 2019-10-22 2021-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를 위한 힌지 장치
CN111614806B (zh) * 2020-04-15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3719523A (zh) * 2020-05-26 2021-11-3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铰链机构、折叠装置及电子设备
US11416039B2 (en) * 2020-06-08 2022-08-16 Fositek Corp. Complex moving/rotating pivot shaft device
KR102432149B1 (ko) * 2020-06-18 2022-08-16 (주)디비케이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15016601A (zh) * 2020-06-30 2022-09-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转轴装置以及电子设备
JP7497784B2 (ja) 2020-07-28 2024-06-11 スタッフ株式会社 可撓性表示装置の折り畳み機構
JP2022063700A (ja) * 2020-10-12 2022-04-2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及びヒンジ装置
CN113983067B (zh) * 2020-11-25 2024-06-04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内斜槽与半圆弧结合的u型内折转动机构
CN112738320B (zh) * 2020-12-26 2022-11-22 深圳市磐锋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音量按键和电源按键的自动锁附装置及其方法
CN113160706A (zh) * 2021-03-30 2021-07-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支撑装置及柔性显示设备
CN114613274B (zh) * 2022-03-25 2023-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穿戴设备
US20230315160A1 (en) * 2022-03-28 2023-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hinge with sliding cover
US20230403810A1 (en) * 2022-06-14 2023-12-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116221266B (zh) * 2023-03-03 2023-11-0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阻尼转轴机构及可折叠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07472A1 (en) 2011-06-03 2012-12-06 Microsoft Corop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US20140123436A1 (en) 2012-11-02 2014-05-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20140226275A1 (en) 2013-02-08 2014-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3529B1 (en) * 1998-11-12 2002-03-05 Thomas Cies Z-configuration structure for computers, scanners, and communications and video devices
TW200946001A (en) * 2007-12-12 2009-11-01 Kato Electric & Machinary Co Portable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reof
US20100296270A1 (en) * 2008-01-25 2010-11-25 Showa Denko K.K. Display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US8804317B2 (en) * 2009-07-01 2014-08-1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120136616A (ko) * 2011-06-09 2012-12-20 (주)쉘라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9910465B2 (en) * 2014-11-11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vered radius hinge
US9625953B2 (en) * 2014-11-11 2017-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vered multi-pivot hinge
KR102341879B1 (ko) * 2015-01-1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JP2016169767A (ja) * 2015-03-11 2016-09-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ヒンジ装置及び携帯用情報機器
CN205446377U (zh) * 2016-02-03 2016-08-10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柔性屏支撑结构及移动终端
TWM531996U (zh) * 2016-02-05 2016-11-11 First Dome Corp 應用於軟性顯示屏幕之可轉聯結裝置
CN105872138B (zh) * 2016-03-29 2019-04-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5912074A (zh) * 2016-03-31 2016-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10126785B2 (en) * 2016-08-11 2018-11-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m lock hinge for determinant movement
US10234907B2 (en) * 2016-08-29 2019-03-19 Dell Products L.P. Link hinge with dynamic length adjustment for stress management
CN206195847U (zh) * 2016-09-30 2017-05-2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柔性屏电子设备
US10345866B2 (en) * 2017-02-07 2019-07-09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with magnetic hinge
US10120421B1 (en) * 2017-06-21 2018-11-06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07472A1 (en) 2011-06-03 2012-12-06 Microsoft Corop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US20140123436A1 (en) 2012-11-02 2014-05-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20140226275A1 (en) 2013-02-08 2014-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29896B2 (en) 2019-10-01
TW201915983A (zh) 2019-04-16
CN109542166A (zh) 2019-03-29
CN109542166B (zh) 2021-06-04
JP2019057131A (ja) 2019-04-11
KR20190033447A (ko) 2019-03-29
US20190086965A1 (en) 2019-03-21
JP7024991B2 (ja) 2022-02-24
TWI671720B (zh)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27B1 (ko) 개폐장치 및 단말장치
JP2019057131A5 (ko)
US9778704B2 (en)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US10754377B2 (en) Hinged device
EP1963944B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ouble-axis hinge and locking spring
US95473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90098686A (ko) 2축 힌지장치 및 전자기기
US20170290179A1 (en) Deformable surface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KR10159304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CN105637243B (zh) 合叶装置
CN102298421A (zh) 一种屏幕可旋转的便携式电子设备
JP2015175389A (ja)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US20210075898A1 (en) Hinge, folding mechanism, and terminal device
KR20120112041A (ko) 힌지장치 및 개폐장치 및 휴대기기
CN102635627A (zh) 铰链装置及便携终端
US20220261046A1 (en)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US11573610B2 (en) Rotary shaft link assembly structure
CN104345791A (zh) 电子装置
JP7423047B2 (ja) 2軸ヒンジ装置及びこの2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N104750189A (zh) 一种连接装置、电子设备及电子设备组合
US20080101854A1 (en) Rotatio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EP3037911A1 (en) Electronic device and bearing structure thereof
CN211259341U (zh) 双轴铰链及电子设备
KR102527980B1 (ko) 양방향 폴딩 힌지장치
JPH08247134A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