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981B1 - 익스텐션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익스텐션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981B1
KR102125981B1 KR1020180103856A KR20180103856A KR102125981B1 KR 102125981 B1 KR102125981 B1 KR 102125981B1 KR 1020180103856 A KR1020180103856 A KR 1020180103856A KR 20180103856 A KR20180103856 A KR 20180103856A KR 102125981 B1 KR102125981 B1 KR 10212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ratchet
moving object
hinge p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040A (ko
Inventor
송병록
Original Assignee
(주)디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디디 filed Critical (주)디디디
Publication of KR2020002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transvers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물에 배치된 이동물을 단계적으로 인출시키고 인출된 이동물을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물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물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틸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이동물 인출 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물이 상기 고정물에서 단계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상기 이동물이 인출 최종 단계에 도달하면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이동물은 인출 시 단계적으로 인출되므로 시트쿠션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여러 사람에게 시트쿠션의 길이를 맞출 수 있다. 그리고 고정물로 복귀 시 복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익스텐션 틸팅 장치{TILTING APPARATUS FOR EXTENDING}
본 발명은 익스텐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시트는 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 설치되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탑승자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면서 등받이 역할을 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시트백에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headrest)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레버가 시트쿠션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의 측면부에는 등받이 부분인 시트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쿠션은 조절레버 조작으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시트쿠션의 길이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없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47273호 (1998.09.25.) 공개특허 제10-2018-0060402호 (2018.06.07.)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길이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 틸팅 장치는, 고정물에 배치된 이동물을 단계적으로 인출시키고 인출된 이동물을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물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물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틸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이동물 인출 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물이 상기 고정물에서 단계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상기 이동물을 최종 인출 단계에서 상기 틸팅모듈 제어로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이동물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배치공간을 갖는 틸팅 하우징 및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와 연결된 래칫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칫 구동부는 상기 이동물 인출 시 그 길이가 단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 틸팅 장치는 상기 이동물과 상기 틸팅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물과 상기 틸팅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틸팅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고 유격홀을 가지는 유격 브라켓, 상기 고정물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물과 연결된 결합블록 및 상기 결합블록과 상기 유격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격홀은 상기 유격 브라켓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틸팅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된 베이스 링크, 제1 하단 힌지핀으로 상기 베이스 링크 일측에 연결된 제1 지지대, 제2 하단 힌지핀으로 상기 베이스 링크 타측에 연결된 제2 지지대 및 제1 상단 힌지핀으로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격홀을 관통하는 제2 상단 힌지핀으로 상기 제2 지지대와 연결된 커넥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래칫 구동부의 하단은 상기 제2 하단 힌지핀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은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래칫 구동부는, 슬라이드 공간과 스토퍼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단 힌지핀과 연결된 구동 하우징,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된 래칫몸체,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래칫몸체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구동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칫몸체의 래칫에 상기 스토퍼가 접하도록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공간과 상기 스토퍼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단 힌지핀이 관통하는 하우징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하단 힌지핀에 결합되어 일단은 상기 베이스 링크에 걸려 있으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래칫몸체는, 상단이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위치하여 일면이 상기 스토퍼와 접하는 래칫바, 상기 래칫바 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퍼 걸림턱, 제2 스토퍼 걸림턱 및 상기 제1 스토퍼 걸림턱과 상기 제2 스토퍼 걸림턱 사이에 복수 형성된 래칫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스토퍼 힌지핀으로 연결된 스토퍼 몸체, 상기 스토퍼 몸체 상단에서 상기 래칫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래칫에 걸릴 수 있는 걸림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단에서 상기 래칫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토퍼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 몸체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는 상기 래칫몸체 직선이동으로 상기 복수의 래칫에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물은 인출 시 단계적으로 인출되므로 고정물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고정물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이 고정물로 복귀 시 복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익스텐션 틸팅 장치가 자동차용 시트에 적용되므로 최적의 운전환경을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집중력을 향상시켜 사고예방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가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가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프레임에 배치되어 익스텐션부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익스텐션부가 익스텐션 틸팅 장치에 의해 시트 프레임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의 시트 프레임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익스텐션 틸팅 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분해도.
도 7은 도 6의 래칫 구동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도 9는 도 5를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가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가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프레임에 배치되어 익스텐션부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익스텐션부가 익스텐션 틸팅 장치에 의해 시트 프레임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시트 프레임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익스텐션 틸팅 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래칫 구동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7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이고, 도 9는 도 5를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 작동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 틸팅 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1)에 설치되어 시트쿠션(10)의 길이를 착석자 신체에 맞게 그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고, 최종 단계에서 시트쿠션의 길이가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익스텐션 틸팅 장치(60)는 시트쿠션의 앞 부분에 배치된 시트 프레임(11)(이하 고정물이라 함)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시트 프레임(11) 상면에는 시트쿠션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이동물(51)(이하 이동물이라 함)이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익스텐션 틸팅 장치(60)는 고정물(11) 아래에서 고정물(11)을 관통하여 이동물(51)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고정물(11) 위에 배치된 이동물(51)을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익스텐션 틸팅 장치(60) 제어로 전방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도면 도 3과 같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면 [도 5] 내지 [도 9]를 더 참고하면 익스텐션 틸팅 장치(40)는, 베이스 브라켓(8) 및 틸팅모듈(60)을 포함한다.
베이스 브라켓(8)과 틸팅모듈(60)은 고정물(11)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으며 브라켓(8)은 틸팅모듈(60)을 지지한다.
베이스 브라켓(8)은 브라켓 몸체(83), 결합부(81) 및 받침부(82)를 포함하며 틸팅모듈(60)이 위치하는 설치공간(8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81)는 베이스 브라켓(8)의 상부측을 이루며 가로바를 통해 고정물(11)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부(81)는 고정물(11)의 저면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82)는 결합부(81) 아래에서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한다. 받침부(82)와 결합부(81)는 브라켓 몸체(83)로 연결되어 있으며, 브라켓 몸체(83)는 경사져 있다. 틸팅모듈(60)의 하면은 받침부(82)에 결합되어 일측은 브라켓 몸체(83)와 접한다. 틸팅모듈(60)의 일측은 이동물(51) 움직임에 따라 브라켓 몸체(8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틸팅모듈(60)은 연결링크(61), 틸팅 하우징(62) 및 래칫 구동부(7)를 포함하며, 이동물(51)이 고정물(11)에서 단계적으로 인출되고, 최종 인출단계에 도달하면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틸팅 하우징(62)은 베이스 링크(621), 제1 지지대(623), 제2 지지대(624), 커넥터 링크(622), 제1 하단 힌지핀(625a), 제2 하단 힌지핀(625b), 제1 상단 힌지핀(626a) 및 제2 상단 힌지핀(626b)을 포함하여 래칫 구동부(7)가 위치하는 배치공간(62a)을 형성한다.
베이스 링크(621)는 받침부(82)의 설치공간(8a)에 배치되어 받침부(82) 내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링크(621) 일측에는 제1 하단 힌지핀(625a)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2 하단 힌지핀(625b)이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 링크(621)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단 힌지핀(625a)과 제2 하단 힌지핀(625b)은 베이스 브라켓(8)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대(623)는 베이스 링크(621)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지지대(624)는 베이스 링크(621) 타측에 위치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2 지지대(624)의 외측은 브라켓 몸체(83)의 내부면과 접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지지대(624)는 브라켓 몸체(8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지지대(623)와 제2 지지대(624) 내부면 사이에는 배치공간(62a)이 형성된다. 제1 지지대(623)와 제2 지지대(624)는 각각 지지몸체(623a, 624a) 및 지지몸체(623a, 624a) 양측이 구부러져 형성된 날개편(623b, 624b)을 포함한다. 날개편(623b, 624b)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대(623)의 하부측은 제1 하단 힌지핀(625a)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지지대(624)의 하부측은 제2 하단 힌지핀(625b)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지지대(623)는 제1 하단 힌지핀(625a)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2 지지대(624)는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커넥터 링크(622)는 제1 지지대(623)와 제2 지지대(624)의 상부측을 연결하여 제1 지지대(623)와 제2 지지대(624)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 링크(622)의 일측은 제1 상단 힌지핀(626a)으로 제1 지지대(623)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제2 상단 힌지핀(626b)으로 제2 지지대(624)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틸팅 하우징(62)은 이동물(51)이 움직일 때 제1 하단 힌지핀(625a)과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제2 지지대(624)의 외부면은 이동물(51)이 고정물(11)에서 인출되면 브라켓 몸체(83)의 설치공간(8a)의 둘레로부터 이격되고, 이동물(51)이 원 상태로 복귀하면 설치공간(8a)의 둘레와 접한다.
래칫 구동부(7)는 구동 하우징(71), 래칫몸체(72), 스토퍼(73), 복귀 탄성부재(74) 및 스토퍼 탄성부재(75)를 포함하며 배치공간(62a)에 위치하여 손잡이(52)를 당겼을 때 이동물(51)이 단계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며 최종 인출단계에 도달하면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 하우징(71)은 하우징 몸체(711), 하우징 힌지(712) 및 접촉돌기(713)를 포함한다. 하우징 몸체(711), 하우징 힌지(712) 및 접촉돌기(71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몸체(711) 내부에는 슬라이드 공간(711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제2 지지대(624)와 마주하는 하우징 몸체(711)의 일면 상부측은 제2 지지대(624)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공간(711a)과 연결된 스토퍼 공간(711b)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공간(711b)은 제2 지지대(624)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 몸체(711) 하부측은 제2 지지대(624)의 지지몸체(624a)와 마주하는 접촉부(711d)를 갖는다.
접촉돌기(713)는 슬라이드 공간(711a)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 양측면에서 내부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접촉돌기는 양측면에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하우징 힌지(712)는 하우징 몸체(711) 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하단 힌지핀(625b)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하우징(71)은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래칫몸체(72)는 래칫바(721), 제1 스토퍼 걸림턱(722a), 제2 스토퍼 걸림턱(722b) 및 래칫(723)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공간(711a)에서 직선이동 한다.
래칫바(72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슬라이드 공간(711a)에 직선이동 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래칫바(721)의 두께는 슬라이드 공간(711a)의 넓이 보다 작아 접촉돌기(713)와 접하고 있다. 래칫바(721)는 접촉돌기(713) 접촉으로 흔들리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반듯하게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래칫바(721)의 외부면이 슬라이드 공간(711a)의 둘레와 접하는 경우 접촉돌기(713)는 생략될 수 있다.
래칫바(721)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 몸체(71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래칫바(721)의 노출된 부분에는 제1 상단 힌지핀(626a)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래칫바(721)는 제1 상단 힌지핀(626a)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래칫바(721)는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하우징 몸체(711) 내부에서 외부로,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한다.
한편, 래칫바(721)가 외부로 이동할 때 래칫바(721)의 하단은 접촉부(711d)가 형성된 하우징 몸체(711) 하부측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접촉부(711d)의 내측면은 래칫바(721)의 하단 일면과 접한다.
제1 스토퍼 걸림턱(722a)과 제2 스토퍼 걸림턱(722b)은 제2 지지대(624)와 마주하는 래칫바(721) 일면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제2 지지대(624)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스토퍼 걸림턱(722a)과 제2 스토퍼 걸림턱(722b)은 떨어져 있다. 여기서 래칫바(721)의 일면을 기준으로 제2 스토퍼 걸림턱(722b)의 돌출 길이는 제1 스토퍼 걸림턱(722a) 돌출 길이보다 길다.
래칫(723)는 래칫바(721) 일면에서 톱니나사 형태로 제2 지지대(624)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래칫(723)는 하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칫(723)는 제1 스토퍼 걸림턱(722a)에서 제2 스토퍼 걸림턱(722b) 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래칫(723)의 돌출 길이는 래칫바(721) 일면을 기준으로 제1 스토퍼 걸림턱(722a)의 돌출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은 래칫몸체(72)는 이동물(51)이 인출될 때 하우징 몸체(711) 외부로 단계적으로 노출되며 이동물(51)이 복귀할 때 하우징 몸체(711) 외부에서 슬라이드 공간(711a)으로 이동한다.
스토퍼(73)는 스토퍼 몸체(731), 걸림이(732) 및 걸림턱(733)을 포함하여 스토퍼 공간(711b)에 위치하여 래칫몸체(72)와 제2 지지대(624)의 지지몸체(624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73)는 래칫몸체(72)가 단계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한한다.
스토퍼 몸체(731)는 스토퍼 공간(711b)에 위치하며 하우징 몸체(711)에서 스토퍼 공간(711b)을 관통하는 스토퍼 힌지핀(73a)에 결합되어 있다. 스토퍼 힌지핀(73a)은 스토퍼 몸체(731) 중앙 부분을 관통한다. 그러나 스토퍼 힌지핀(73a)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 몸체(731) 중앙 양측에서 힌지돌기가 돌출되어 하우징 몸체(711)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 몸체(731)는 스토퍼 힌지핀(73a)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걸림이(732)는 스토퍼 몸체(731) 상단에서 래칫몸체(72) 방향으로 돌출되어 래칫(723)에 걸려 있다. 걸림이(732)는 스토퍼 몸체(731)에서 래칫몸체(72)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이(732)의 상면은 래칫(723)의 수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하면은 래칫(723)의 경사면과 대응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칫몸체(72)가 인출될 때 걸림이(732)의 경사면은 래칫(723)의 경사면과 접하면서 래칫(723)에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다. 한편, 래칫몸체(72)가 하우징 몸체(711) 내부로 이동할 때 제1 스토퍼 걸림턱(722a)이 걸림이(732)에 걸리면 래칫몸체(72)는 하우징 몸체(711) 내부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걸림턱(733)은 스토퍼 몸체(731) 스토퍼 몸체(731) 하단에서 래칫몸체(7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림턱(733)은 걸림이(732)가 제1 스토퍼 걸림턱(722a)과 접하고 있을 때 제2 스토퍼 걸림턱(722b)과 접한다. 그러나 래칫몸체(72)가 하우징 몸체(711) 외부로 인출되어 걸림이(732)가 제1 스토퍼 걸림턱(722a)으로부터 이격되면 걸림턱(733) 또한 제2 스토퍼 걸림턱(722b)으로부터 이격된다. 아울러, 래칫몸체(72)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제2 스토퍼 걸림턱(722b)은 걸림이(732)와 접할 수 있다.
스토퍼 탄성부재(75)는 스토퍼 몸체(731) 상부 측면과 스토퍼 공간(711b) 내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 탄성부재(75)는 일부분이 개방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탄성력이 발생하는 탄성링(751), 탄성링(751) 일측에서 스토퍼 공간(711b) 내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하우징 몸체(711)의 내부면 상부측에 형성된 몸체 접속홀(711c)에 삽입된 몸체 접속부(752) 및 탄성링(751) 타측에서 스토퍼 몸체(731)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스토퍼 몸체(731) 상부측에 형성된 스토퍼 접속홀(731a)에 삽입된 스토퍼 접속부(753)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퍼 탄성부재(75)는 스토퍼 힌지핀(73a)을 기준으로 스토퍼 몸체(731) 상부측이 래칫몸체(7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걸림이(732)는 스토퍼 탄성부재(75)의 탄성력에 의해 래칫(72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복귀 탄성부재(74)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물(51)이 인출되어 최종 단계에 위치하였을 때 제2 지지대(624)에 탄성력을 가하여 이동물(51)이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복귀 탄성부재(74)의 탄성계수는 스토퍼 탄성부재(75)의 탄성계수보다 크다.
복귀 탄성부재(74)는 제2 하단 힌지핀(625b)에 결합되어 있다. 복귀 탄성부재(74)의 일단(741)은 베이스 링크(621)와 접하고 있으며 타단(742)은 제2 지지대(624)의 지지몸체(624a)와 접촉부(711d) 사이에 위치한다. 이동물(51) 인출로 제2 지지대(624)가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움직일 때 복귀 탄성부재(74)의 타단(742)은 제2 지지대(624)의 지지몸체(624a)와 접하며 지지몸체(624a)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동물(51)이 인출될수록 복귀 탄성부재(74)의 타단은 지지몸체(624a)에 탄성력을 더욱 가한다. 인출된 이동물(51)이 최종 인출 단계에 도달하여 걸림이(732)가 제2 스토퍼 걸림턱(722b)에 접하면 제2 지지대(624)는 복귀 탄성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베이스 브라켓(8)의 설치공간(8a) 둘레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연결링크(61)는 유격 브라켓(611), 결합블록(612) 및 연결바(613)를 포함하며 고정물(11) 아래에 배치되어 이동물(51)과 틸팅 하우징(62)을 연결한다.
결합블록(612)은 고정물(11) 위치하여 틸팅모듈(60)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하 관통홀(112)을 통해 이동물(51) 하면과 결합되어 있다.
유격 브라켓(611)은 틸팅 하우징(62) 상부측에 위치하여 제2 상단 힌지핀(626b)과 연결되어 있다. 유격 브라켓(611)에는 제2 상단 힌지핀(626b)이 관통하는 유격홀(611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격 브라켓(611)은 이동물(51)이 인출될 때 제2 상단 힌지핀(626b)이 유격홀(611a)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격홀(611a)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연결바(61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결합블록(612)과 유격 브라켓(611)을 연결한다.
그러나 결합블록(612)과 연결바(61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격 브라켓(611)의 상면이 이동물(51) 하면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시트쿠션(10) 착석자가 손잡이(52)를 잡고 이동물(51)을 전방으로 당기면 그 힘이 결합블록(612), 연결바(613) 및 유격 브라켓(611)을 통해 제2 상단 힌지핀(626b)에 전달된다. 틸팅 하우징(62)은 제1 하단 힌지핀(625a)과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시트쿠션(10)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래칫몸체(72)가 스토퍼(73)에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이동물(51)이 단계적으로 인출된다. 이동물(51)이 인출된 최종단계에 위치하면 복귀 탄성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0 및 도 11을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익스텐션 틸팅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은 이동물이 도면 도 3과 같이 고정물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와 도 11의 c)는 이동물이 고정물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d)는 이동물이 도면 [도 3]과 같이 고정물에서 최종적으로 인출되어 복귀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이동물이 고정물에 위치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동물(51)이 고정물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기면 그 힘이 연결링크(61)를 통해 제2 상단 힌지핀(626b)에 전달된다. 이때 도면 도 10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대(624)의 외부면은 베이스 브라켓(8)과 접하고 있다. 걸림이(732)는 래칫(723)의 첫 번째 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귀 탄성부재(74)의 타단(742)은 접촉부(711d)에 접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상단 힌지핀(626a)은 제1 하단 힌지핀(625a)의 가상의 수직선(625L)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스토퍼 접속부(753)는 몸체 접속부(752)의 가상의 수직선(752L)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0의 b)을 참고하면, 이동물(51)을 계속 당기면 유격홀(611a)의 내부면이 제2 상단 힌지핀(626b) 외부면과 접하면서 제2 상단 힌지핀(626b)을 전방으로 당긴다. 제2 상단 힌지핀(626b)이 제2 지지대(624)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지지대(624)는 커넥터 링크(622) 및 제2 상단 힌지핀(626b)을 통해 제1 지지대(623)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대(623)는 제1 하단 힌지핀(625a)을 기준으로, 제2 지지대(624)는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동시에 전방으로 회전한다. 제2 지지대(624)의 외부면은 베이스 브라켓(8) 내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회전으로 제1 상단 힌지핀(626a)은 제1 하단 힌지핀(625a)의 가상의 수직선(626L)에 근접된다.
그리고 제1 지지대(623)의 회전으로 래칫 구동부(7) 또한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한다. 래칫몸체(72)는 슬라이드 공간(711a)에서 하우징 몸체(711) 외부로 인출된다. 래칫(723)의 첫 번째 단에 위치한 걸림이(732)의 경사면이 래칫(723)의 경사면과 접하고 있어 래칫몸체(72)는 용이하게 인출되고 스토퍼(73)의 상부측은 스토퍼 힌지핀(73a)을 기준으로 제2 지지대(624)의 회전 반대방향(후방)으로 회전한다. 래칫몸체(72)의 인출로 걸림이(732)는 래칫(723)의 두 번째 단에 위치하여 걸린다. 이에 이동물(51)은 1 단계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토퍼 접속부(753)는 몸체 접속부(752)의 가상의 수직선(752L)에 근접한다. 걸림이(732)가 래칫(723) 첫 번째 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물(51)을 당기지 않으면 걸림이(732)는 스토퍼 탄성부재(75)의 탄성력에 의해 두 번째 단에 걸려 있으며 걸림이(732)의 수평면이 래칫(723)의 수평면과 접하게 되어 래칫몸체(72)는 하우징 몸체(711) 내부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에 이동물(51)은 1 단계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 지지대(624)의 회전으로 접촉부(711d)는 복귀 탄성부재(74)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된다.
걸림이(732)가 래칫(723)의 두 번째 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이동물(51)을 당기면 제1 지지대(623)와 제2 지지대(624)는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며 래칫몸체(72)는 하우징 몸체(711)에서 외부로 인출되고 걸림이(732)는 래칫(723)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된다. 이에 이동물(51)은 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물(11)에서 전방으로 단계적으로 인출되며 시트쿠션의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도면 도 11의 c)를 참고하면, 이동물(51) 당김으로 걸림이(732)가 래칫(723)의 마지막 단에 위치하면 걸림이(732)는 제2 스토퍼 걸림턱(722b)과 접하고 있으며 복귀 탄성부재(74)의 타단은 제2 지지대(624)의 지지몸체(624a) 내부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복귀 탄성부재(74)에는 제2 지지대(624)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도면 도 11의 d)를 참고하면, 걸림이(732)가 래칫(723)의 마지막 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물(51)을 전방으로 더욱 당기면 제2 스토퍼 걸림턱(722b)은 걸림이(732)를 들어 올린다. 스토퍼(73)의 상부측이 스토퍼 힌지핀(73a)을 기준으로 제2 지지대(624) 회전 반대방향(후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이(732)는 마지막 단에서 벗어난다.
래칫몸체(72)는 하우징 몸체(711)에서 최대로 인출된 상태이며 걸림턱(733)은 래칫몸체(72)의 하단 일면과 접한다. 래칫몸체(72)의 하단은 접촉부(711d)의 내부면과 접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상단 힌지핀(626a)은 제1 하단 힌지핀(625a)의 가상의 수직선(752L)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스토퍼 접속부(753)는 몸체 접속부(752)의 가상의 수직선(752L) 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때 스토퍼 탄성부재(75)는 걸림이(732)가 들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스토퍼 몸체(731)에 탄성력을 가한다. 그리고 복귀 탄성부재(74)의 타단이 제2 지지대(624)의 지지몸체(624a) 내부면에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물(51)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제2 지지대(624)는 복귀 탄성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하단 힌지핀(625b)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한다. 제2 지지대(624)의 회전력이 제2 상단 힌지핀(626b) 및 연결링크(61)을 통해 이동물(51)에 전달되어 이동물(51)은 고정물(11) 상부로 복귀한다.
그리고 제2 지지대(624)가 후방으로 회전할 때 래칫몸체(72)는 하우징 몸체(711) 내부로 이동하며, 스토퍼 접속부(753)는 몸체 접속부(752)의 가상의 수직선(752L) 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스토퍼 탄성부재(75)는 걸림이(732)가 래칫(723)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걸림이(732)는 제1 스토퍼 걸림턱(722a)에 접하면서 래칫(723)의 첫 번째 단에 위치하며 제2 지지대(624)의 외부면은 베이스 브라켓(8)의 내부면과 접한다.
이에 따라, 이동물이 인출 시 단계적으로 인출되므로 시트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고정물로 복귀 시 복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본 발명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60)가 시트쿠션(10)에서 쿠션프레임(11)과 익스텐션(51) 사이에 위치하여 익스텐션(51)을 단계적으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60) 적용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고정물과 고정물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이동물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물을 단계적으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단계적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자동차용 시트 10: 시트쿠션
11: 고정물 40: 익스텐션 틸팅 장치
51: 이동물 60: 틸팅모듈
61: 연결링크 611: 유격 브라켓
611a: 유격홀 612: 결합블록
613: 연결바 62: 틸팅 하우징
62a: 배치공간 621: 베이스 링크
622: 커넥터 링크 623: 제1 지지대
624: 제2 지지대 623a, 624a: 지지몸체
623b, 624b: 날개편 625a: 제1 하단 힌지핀
625b: 제1 상단 힌지핀 626a: 제2 하단 힌지핀
626b: 제2 상단 힌지핀
7: 래칫 구동부 71: 구동 하우징
711: 하우징 몸체 711a: 슬라이드 공간
711b: 스토퍼 공간 711c: 몸체 접속홀
711d: 접촉부 712: 하우징 힌지
713: 접촉돌기 72: 래칫몸체
721: 래칫바 722a: 제1 스토퍼 걸림턱
722b: 제2 스토퍼 걸림턱 723: 래칫
73: 스토퍼 731: 스토퍼 몸체
731a: 스토퍼 접속홀 732: 걸림이
733: 걸림턱 73a: 스토퍼 힌지핀
74: 복귀 탄성부재 741: 일단
742: 타단 75: 스토퍼 탄성부재
751: 탄성링 752: 몸체 접속부
753: 스토퍼 접속부 8: 베이스 브라켓
8a: 설치공간 81: 결합부
82: 받침부 83: 브라켓 몸체

Claims (9)

  1. 고정물에 배치된 이동물을 단계적으로 인출시키고 인출된 이동물을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물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물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틸팅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이동물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배치공간을 갖는 틸팅 하우징; 상기 이동물과 상기 틸팅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물과 상기 틸팅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와 연결된 래칫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이동물 인출 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물이 상기 고정물에서 단계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상기 이동물이 인출 최종 단계에 도달하면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래칫 구동부는 상기 이동물 인출 시 그 길이가 단계적으로 길어지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틸팅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고 유격홀을 가지는 유격 브라켓,
    상기 고정물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물과 연결된 결합블록 및
    상기 결합블록과 상기 유격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바
    를 포함하며,
    상기 유격홀은 상기 유격 브라켓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익스텐션 틸팅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틸팅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된 베이스 링크,
    제1 하단 힌지핀으로 상기 베이스 링크의 일측에 연결된 제1 지지대,
    제2 하단 힌지핀으로 상기 베이스 링크의 타측에 연결된 제2 지지대 및
    제1 상단 힌지핀으로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격홀을 관통하는 제2 상단 힌지핀으로 상기 제2 지지대와 연결된 커넥터 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래칫 구동부의 하단은 상기 제2 하단 힌지핀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은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되어 있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래칫 구동부는,
    슬라이드 공간과 스토퍼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단 힌지핀과 연결된 구동 하우징,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된 래칫몸체,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래칫몸체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구동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칫몸체의 래칫에 상기 스토퍼가 접하도록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토퍼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구동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공간과 상기 스토퍼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단 힌지핀이 관통하는 하우징 힌지
    를 포함하며,
    상기 복귀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하단 힌지핀에 결합되어 일단은 상기 베이스 링크에 걸려 있으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래칫몸체는,
    상단이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위치하여 일면이 상기 스토퍼와 접하는 래칫바,
    상기 래칫바의 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퍼 걸림턱, 제2 스토퍼 걸림턱 및
    상기 제1 스토퍼 걸림턱과 상기 제2 스토퍼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래칫
    를 포함하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스토퍼 힌지핀으로 연결된 스토퍼 몸체,
    상기 스토퍼 몸체의 상단에서 상기 래칫몸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래칫에 걸릴 수 있는 걸림이 및
    상기 스토퍼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래칫몸체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토퍼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
    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 몸체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는 상기 래칫몸체의 직선이동으로 상기 복수의 래칫에 단계적으로 걸리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KR1020180103856A 2018-08-16 2018-08-31 익스텐션 틸팅 장치 KR102125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5225 2018-08-16
KR1020180095225 2018-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40A KR20200021040A (ko) 2020-02-27
KR102125981B1 true KR102125981B1 (ko) 2020-06-25

Family

ID=6964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856A KR102125981B1 (ko) 2018-08-16 2018-08-31 익스텐션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028A (ko) 2020-12-04 2022-06-13 하승훈 비말차단에 유용한 마스크 밀착 실리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50B1 (ko) * 2012-10-24 2013-08-22 우성테크(주)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KR101686751B1 (ko) * 2015-09-25 2016-12-14 주식회사다스 시트 쿠션의 파워 익스텐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273U (ko)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전방 길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의 시트 쿠션
KR101904976B1 (ko) 2016-11-29 2018-11-28 주식회사 다스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50B1 (ko) * 2012-10-24 2013-08-22 우성테크(주)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KR101686751B1 (ko) * 2015-09-25 2016-12-14 주식회사다스 시트 쿠션의 파워 익스텐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40A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187B1 (ko) 차량좌석용 헤드 레스트
JP4223216B2 (ja) シート
KR101213814B1 (ko) 가변형 헤드레스트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2125981B1 (ko) 익스텐션 틸팅 장치
JPH0775608A (ja) 車両用シート
JP2000139602A (ja) ロッキング装置のロック機構
KR100811005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형 헤드레스트
JP3359862B2 (ja) ロッキング装置
JP3967150B2 (ja) 椅子
JP3406130B2 (ja) 自動車のリア・シートに使用されるシート・バック
JP2012040109A (ja) 椅子
JP4255804B2 (ja) 椅子
KR102258600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JP2003079481A (ja) 椅 子
JP2012040110A (ja) 椅子
JP6097049B2 (ja) 椅子
JP4512916B2 (ja) 椅子の座
KR20020090668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2001197958A (ja) アーム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
KR101251824B1 (ko) 차량용 필라트림 쿠션 장치
JP2005211467A (ja) 椅子
CN220675603U (zh) 一种椅背可调的座椅
CN217658864U (zh) 一种坐具的头枕调节装置
JPH1118019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