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396B1 -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96B1
KR102123396B1 KR1020180094228A KR20180094228A KR102123396B1 KR 102123396 B1 KR102123396 B1 KR 102123396B1 KR 1020180094228 A KR1020180094228 A KR 1020180094228A KR 20180094228 A KR20180094228 A KR 20180094228A KR 102123396 B1 KR102123396 B1 KR 10212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ravel
travel course
co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872A (ko
Inventor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기어때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기어때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기어때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09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단순한 장소 정보만이 아니라 숙박, 식당, 액티비티, 이동 경로 등 전체적인 여행 코스를 종합적으로 사용자의 선호에 맞도록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질적인 추천 정보 이용을 유도하고, 사용자에게 여행 코스 계획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여행 코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에 의해서 도출된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각 목적 포인트를 연결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여행 코스 생성 단계; 및 여행 코스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여행 코스 및 여행 코스에 관련된 여행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여행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TOUR COURSE BASED ON CONDITION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여행 코스를 추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정보 및 사용자에 대해서 미리 수집된 다양한 정보들을 조건 정보로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여행 코스를 생성하여 추천하는 동시에 해당 여행 코스와 관련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호 및 여행 스타일에 정확하게 맞춤화된 여행 코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 분야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은, 타켓팅화된 광고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다. 즉 사용자의 검색어 히스토리나 선호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선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노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고 기능은 특정한 상품 및 서비스를 추천하는 기술로 진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천 기술에 있어서 상품 및 서비스에 국한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어, 해당 서비스의 활용 분야에 대한 다양성의 필요가 지적되고 있다.
한편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들 중, 여행 또는 액티비티 등 여행 상품에 대한 중개 플랫폼의 이용률은 정보의 다양성 및 이용의 편리성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여행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해서 특정 숙박 업소나 액티비티에 대해서 예약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여행 상품에 대한 상술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는 그 서비스가 매우 국한된 것이 사실이다. 즉, 여행 상품 각각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제공하고 있거나, 광고형 상품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춤화된 상품을 추천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구매 및 이용으로 이루어질 확률이 매우 저조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의 기술들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765782호 등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및 관심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관심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관심정보에 매칭되는 핫플레이스를 추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선호도를 바탕으로 단편적인 방문 대상 장소만을 추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일일이 자신의 여행에 대한 코스를 고민하고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들이 여행을 가고자 하는 경우 여행에 대한 전반적인 코스에 대한 추천을 받는 경우 사용자들의 여행 계획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되나, 종래의 기술만으로는 사용자가 장소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해당 장소를 언제 어떻게 방문하는 것을 통해서 효율적인 여행 코스를 짤지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결국 해당 여행 코스를 계획할 수 밖에 없어,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거나 해당 장소에 대한 방문을 유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무분별하게 사용자에게 방문 장소 등을 추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계획하고 있는 여행과 완전히 무관한 장소 등을 추천할 확률이 높아,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실제로 활용할 확률이 매우 적어, 사용자에게 오히려 정보의 과다한 노출에 의한 피로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여행 계획에 있어서 사용자가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정보 및 사용자의 온라인 서비스에서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계획하고 있는 여행에 정확하게 매칭되는 여행 추천 정보로서, 특히 단순한 장소 정보만이 아니라 숙박, 식당, 액티비티, 이동 경로 등 전체적인 여행 코스를 종합적으로 사용자의 선호에 맞도록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질적인 추천 정보 이용을 유도하고, 사용자에게 여행 코스 계획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사용자들에게 추천된 바 있거나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여행 코스 정보를 사용자들이 자신의 취향 및 여행 계획에 맞도록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여행 코스를 하나의 서비스 플랫폼으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편하게 여행 코스를 계획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여행 코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에 의해서 도출된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각 목적 포인트를 연결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여행 코스 생성 단계; 및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여행 코스 및 여행 코스에 관련된 여행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여행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외부로부터 수집되어 저장된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온/오프라인 상의 소비 결제 내역 정보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소비 성향 정보, 사용자의 개인 정보,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친구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관련 정보, 외부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시글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게시글 정보, 및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기존 여행 코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입력한 이미지 촬영 데이터, 현재 여행에 대한 여행 인원, 여행 기간, 여행자들의 연령, 여행 코스에 대한 예산 및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 시,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인 이동 시간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에 설정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시간 정보로서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각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 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선호 번잡도 정보, 외부로부터 수집된 각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도에 따른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사용자가 기 입력한 목적 포인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입력한 목적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서, 사용자가 이용할 것으로 선정한 교통 수단에 따른 이동 가능성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들 중,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되, 각 목적 포인트에서의 소요 시간,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목적 포인트에서의 시간 소요 및 이동 경로에서의 시간 소요 중 어느 시간에 대한 소요를 선호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각 목적 포인트 및 이동 경로를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 시,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인 이동 비용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에 설정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비용 정보인 이용 비용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에 의하여 도출된 조건 정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가 존재할 때, 상기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기준으로, 여행 기간 및 여행 예산을 기준으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보정하여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로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1차 여행 코스 정보를 생성하는 1차 생성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여행 기간 및 여행 예산 정보 중 사용자가 입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1차 여행 코스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를 삭제, 수정 또는 추가하여 2차 여행 코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로 도출하는 2차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행 정보 출력 단계는, 복수의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하되, 각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로서, 상기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 시간, 각 목적 포인트의 이용에 소요되는 것을 예측되는 이용 시간, 각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보 및 각 여행 코스 정보의 생성 시 이용된 조건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행 정보 출력 단계는, 복수의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에 포함된 각 조건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조건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우선 순위로 복수의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여행 코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에 의해서 도출된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각 목적 포인트를 연결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여행 코스 생성부; 및 상기 여행 코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여행 코스 및 여행 코스에 관련된 여행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여행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행 코스 생성부에 의하여 도출된 여행 코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판매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온라인 상의 오픈 마켓에 생성된 여행 코스 정보를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구매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를 선호 여행 코스 정보로서 조건 정보에 포함시켜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상기 여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실제 이용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한 사용자 및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판매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정한 여행 코스 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 및 각 목적 포인트 사이의 이동 경로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여행 기간, 예산 또는 교통 수단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재 여행 정보를 위하여 입력한 정보 및 사용자의 기 저장된 관련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방문 장소와 함께 이동 경로를 결합한 여행 코스를 통합적으로 추천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특히 현재 여행에 대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목적 포인트들을 설정하고, 이를 연결한 여행 코스를 추천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들은 편리하게 자신이 현재 계획한 여행에 대해서 다양한 여행 코스를 자동으로 추천받게 되어 사용자가 이용할 확률이 높은 목적 포인트 및 이동 경로를 종합적으로 여행 코스로 추천받음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현재 계획하고 있는 여행에 어울리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단순히 방문 장소에 대한 추천뿐 아니라, 이동 경로를 결합하여 전체적인 여행 코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여행 코스를 사용자가 일일이 계획하지 않고도 자신의 선호도가 반영된 여행 코스를 추천받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여행 코스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들의 운영 업체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를 구매 및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여행 코스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해당 서비스에 대한 이용률을 크게 높여 서비스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조건 정보가 도출되는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선호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여행 코스가 생성되는 기능의 예.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치” 또는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은 상술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의 각 구성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여행 코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S10)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계정이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들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면의 출력 및 입력 수단을 통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여 생성한 각 사용자의 계정을 의미하거나, 해당 서비스의 각 사용자의 계정에 연결되도록 설정된 외부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의 SNS 또는 포털 계정 등 해당 서비스의 각 사용자의 계정에 연동된 다른 서비스에 있어서의 사용자들의 계정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는, 상술한 SNS나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등의 이용을 위해서 관리되는 사용자별 계정에 연동되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현재 여행과 관계없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의 여행 코스 추천을 위해서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 상술한 사용자 관련 정보가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사용자 관련 정보에는,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수집되어 저장된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온/오프라인 상의 소비 결제 내역 정보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소비 성향 정보, 사용자의 개인 정보,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친구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관련 정보, 외부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시글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게시글 정보, 및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기존 여행 코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사용자의 다양한 선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들이 사용자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선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란, 상술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될 수 있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여행 코스를 선정 시 사용될 수 있는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보들로부터 분석된 정보로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교통 수단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식 스타일, 노래 스타일, 액티비티 스타일, 숙박 업소 스타일, 여행지의 인적 번잡도에 대한 선호 정보, 여행이 중 액티비티를 좋아하는지 자연 관광을 좋아하는지에 대한 선호 정도 등이 모두 선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정보들 중 소비 결제 내역 정보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소비 성향 정보는, 예를 들어 현금 영수증 및 카드 결제 내역 또는 점포 이용에 따른 멤버쉽 카드에 포함된 결제 내역 정보 등, 사용자가 어떤 상품 또는 서비스에 얼마를 소비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소비 결제 내역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가 어떤 소비 성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한 결과를 의미한다. 사용자의 소비 성향 정보는, 결제 건수에 따른 빈도 분석, 결제 액수에 따른 액수 분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상술한 사용자의 계정 등에 포함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성별, 나이, 거주 지역, 고향 및 사용자가 계정을 관리하면서 직접 입력한 다양한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파악하거나 여행 코스 선정 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좋아하는 음식 또는 여행지, 가고 싶은 여행지, 여행을 가서 하고 싶은 행동 등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서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개인 정보로 관리하여 여행 코스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참고할 수 있다.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친구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와 SNS 또는 본 발명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에 있어서 친구 등 인맥 관계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들의 상술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의미한다.
외부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시글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게시글 정보는, 외부, 즉 상술한 사용자가 활동하고 있는 SNS 나 특정 웹사이트 등 다양한 외부의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계정에 연동되어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시글에 포함된 문자 정보로서의 여행 코스 선정에 참고될 수 있는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문자 정보는 키워드 정보로서, 특정 여행 코스, 교통 수단, 액티비티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정보거나, 특정 키워드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후술하는 선호 번잡도 정보 등을 도출하거나 선호하는 여행 스타일 등을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 가능한 정보로서, 자연 경관, 음식, 액티비티, 객체, 교통 수단 등 여행에 있어서 참고될 수 있는 다양한 객체에 해당 사진 정보 등이 이미지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미지 정보(140)를 입력하게 되면,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번잡도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정보(140)에 다수의 사람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람들이 많은 곳을 좋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번잡도 상(202)이라는 조건 정보가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한편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기존 여행 코스 정보는, 본 발명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에 있어서 관리되는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사용자가 추천받아서 실제로 이용한 것으로 저장된 여행 코스 정보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행 코스 정보에는 이동 경로, 각 목적 포인트 및 이동 시간 및 목적 포인트의 이용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로 대표되므로, 기존 여행 코스 정보에도 역시 상술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여행을 하고자 하는 지역, 이미 여행을 위해서 예약된 목적 포인트, 교통 수단 및 이동 경로, 여행 인원 수 및 각 인원에 대한 개인 정보(인원들의 연령 및 성별 정보를 포함), 여행 일자, 여행 코스에 대한 예산금액 등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정보 및 현재 여행에 대해서 연관된 것으로 사용자가 후술하는 오픈 마켓에서 구매하거나 참조하는 것으로 입력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가 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모두 입력되거나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여행 도중 입력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행 도중 또는 현재 여행을 위해서 희망 여행지 등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실시간으로 입력한 이미지 촬영 데이터가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해당 정보는 상술한 사용자 조건 정보에서의 이미지 정보와 유사한 방식으로 분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대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정보(300)에는 예를 들어 여행 일시, 여행 인원, 여행 지역, 기 예약한 교통 수단, 숙박 업소, 액티비티 등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여행 예산에 대한 정보 및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참조한 다른 여행 코스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입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본 발명에서 목적 포인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성 및 추천되는 여행 코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체류하여 특정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장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숙박 업소, 식당, 액티비티 이용 장소, 특정 지역명, 유명 관광지 또는 장소, 교통 수단 이용 장소 등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면서, 해당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해당 장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유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장소를 의미한다.
또한 이동 경로는, 목적 포인트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목적 포인트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모든 경로를 의미하며, 교통 수단에 따라서 각 경로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액티비티는, 레저 스포츠 등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술한 레저 스포츠, 놀이 동산 등의 서비스로서 일반적으로 액티비티 서비스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여행 코스는, 목적 포인트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와 목적 포인트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적합한 이동 경로로 이동하도록 하는 코스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은 일일이 자신이 여행을 계획 시 어떤 장소를 방문하거나 어떤 액티비티를 즐길지 여부를 알아볼 필요가 없이, 추천된 여행 코스에 포함된 이동 경로 및 목적 포인트를 검토하여 여행 계획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건 정보가 분석된다. 본 발명에서 조건 정보는 상술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정보 중 하나를 기준으로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이동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중 교통을 이용하기로 기 계획되어 있거나 대중 교통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조건 정보는 상술한 기 계획된 사용자의 정보 및 선호 정보로서, 대중 교통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조건으로 설정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 정보는 교통 수단을 예로 들었으나, 이외에 여행 인원, 개인 정보 여행 일자, 예산 등 사용자 입력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숙박 업소, 사용자와 친한 사용자가 이용한 적 있거나 선호하는 식당, 사용자가 좋아하는 번잡도 등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거나 이동 경로를 선정하기 위한 모든 정보가 조건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관련 정보(100)들을 기반으로 조건 정보(200)가 도출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결제 내역(110) 등 사용자의 소비 성향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음식 및 물놀이를 선호함을 분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가 음식이라는 조건 정보로서 도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SNS 활동 정보(120)를 통해서 친구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의 관련 정보 또는 상술한 게시글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조건 정보가, 사용자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통해 이용하는 서비스를 통해서 기 추천받거나 이용한 적 있는 여행 코스 정보(130)를 통해서 다른 조건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S10 단계에 의하여 이와 같은 조건 정보가 분석되면, 이후 S10 단계에 의하여 도출된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목적 포인트를 연결하여 이동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여행 코스 정보가 적어도 하나가 도출되는 여행 코스 생성 단계(S20)가 수행된다.
목적 포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선정되는데, 목적 포인트는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 포인트를 선정 시, 조건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가되어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목적 포인트마다 가중치가 적용된 매칭 수치가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호 정보가 사용자와 친한 다른 사용자의 선호 정보보다 가중치가 높게 적용되고, 사용자가 기 예약한 바 있는 목적 포인트를 최우선으로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건 정보들 사이에 비교적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게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이용한 적 있는 목적 포인트에 대한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작성한 게시글 및 SNS 서비스에 있어서 친구 등으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통해서 도출된 조건 정보보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직접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이용한 적 있는 목적 포인트에 대한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조건 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여 매칭 수치를 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즉, Tp = A1*C1+A2*C2+~~+An*Cn(Tp는 어느 한 목적 포인트의 총 매칭 수치, A1~n은 가중치, C1~n은 각 조건 정보마다 설정된 매칭 수치)로 산정될 수 있다. 이때 각 조건 정보마다 설정된 매칭 수치는 각 조건 정보마다 해당 목적 포인트에 대해서 설정된 매칭 수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건 정보가 양식 식당인 경우, 한식 식당에는 최하위의 매칭 수치가, 패스트 푸드 점은 중간의 매칭 수치가, 이탈리안 레스토랑에는 상위의 매칭 수치가, 경양식집이나 스테이크 하우스에는 최상위의 매칭 수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각 목적 포인트마다의 매칭 수치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하위는 0점, 하위는 1점, 중위는 2점, 상위는 3점, 최상위는 4점 등으로 설정되어 일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반 실시예에서는 조건 정보의 개수, 즉 종류가 소수로 관리될 수 있으나, 누적 데이터가 축적되는 경우, 조건 정보의 종류는 더욱 다양하게 관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머신 러닝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적용되어 다양한 조건 정보에 따라서 각 목적 포인트에 대한 총 매칭 수치가 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조건 정보들 중 여행의 일정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정보를 통해서 입력할 정보로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즉, S20 단계에서도, 여행 코스 정보가 도출되는 데 있어서 일정에 적합하도록 목적 포인트 및 그 연결된 이동 경로가 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에 적합하도록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개념은, 여행 코스를 통해서 소요되는 시간이 일정에 적합하도록 구성됨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S20 단계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경우,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인 이동 시간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에 설정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시간 정보로서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인 이동 시간 정보는 상술한 이동 경로를 통해서 이동 시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목적 포인트에 설정된 이용 시간 정보는 해당 목적 포인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 시간 및 목적 포인트에 체류 시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때 각 이동 시간 정보 및 이용 시간 정보는, 해당 이동 경로에 대한 누적된 이동 시간 및 해당 목적 포인트에 대한 누적된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평균적인 이동 및 이용 시간으로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각 이동 시간 정보 및 이용 시간 정보는 단계별로 일정한 오차를 두고 나누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찰 목적 포인트에 있어서의 이용 시간은 사찰에 체류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때 평균적으로 해당 사찰을 방문한 사람들의 체류 시간 정보가 이용 시간 정보로 활용되거나, 체류 시간 정보가 예를 들어 45분, 1시간, 1시간 15분 등으로 누적된 이용 시간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설정되고, 사용자의 선호도, 즉 사용자가 느긋하게 체류하는 것을 좋아하는지 또는 빠르게 중요한 장소만을 방문하는 것을 좋아하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계적으로 설정된 이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그 사찰에 대한 이용 시간이 정해질 수 있다. 이는 식당 증 특정 목적을 위해서 체류하게 되는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시간 정보의 도출에 대한 예로서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숙박 업소의 경우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예약한 숙박 업소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 시간으로 이용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숙박 업소는 일반적으로 체크인 뒤 사용자들이 숙박 업소를 이탈하여 여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숙박 업소의 이용 시간은 제한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평균 취침 및 기산 시간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조식을 반드시 이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이 조건 정보로서 활용되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숙박 업소의 이용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숙박 업소는 하나의 목적 포인트가 아니라, 숙박 업소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액티비티 및 서비스에 따라서 예를 들어 숙박 업소의 수영장, 식당, 유흥업소 등 다수의 목적 포인트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액티비티의 경우, 시간대별 또는 시즌별 번잡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평균 대기 시간 및 해당 액티비티를 이용하는 평균 시간에 대한 정보가 이용 시간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상 레저 스포츠의 경우 여름과 가을에 그 대기 시간이 다를 것이고, 예를 들어 여름의 경우 성수기 대기시간으로 해당 업체에서 입력하거나 해당 업체를 이용한 사용자들이 입력한 대기시간과, 해당 레저 스포츠의 평균적인 이용 시간을 합한 값에 여유 시간(이동 시간 등 포함)을 포함한 값이 해당 수상 레저 스포츠에 대한 이용 시간 정보로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 이동 경로에 대한 대중 교통 이용 시의 평균 대기 시간 및 평균 이동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자가 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 이동 경로에 대해서 파악되는 평균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로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이동 시간 정보는 외부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대중 교통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서비스와 연동되어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적으로 S20 단계는 목적 포인트를 먼저 선정한 뒤 각 목적 포인트간의 이동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각 목적 포인트는 그 특성 상 특정 시간에 번잡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S2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각 목적 포인트의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 코스 정보를 생성 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선호 번잡도 정보를 조건 정보로 이용해서, 외부로부터 수집된 각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보 및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도에 따른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해당 목적 포인트를 연동함으로써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번잡한 곳을 좋아하고, 목적 포인트가 수영장인 경우, 수영장에 사람이 많은 시간대를 외부, 즉 다른 사용자들의 이용 후기 등을 이용하여 도출하고, 해당 시간대에 해당 수영장을 이용하도록 목적 포인트의 이용 시점 및 이용 시간을 이용하여 여행 코스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들은 여행을 계획함에 있어서 해당 여행에 대해서 추천과 관계없이 이미 예약을 하고 여행을 계획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 예약된 목적 포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S2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것으로 확정하거나 이용하고 싶은 것으로 설정하여 기 입력한 목적 포인트가 포함되는 경우, 기 입력한 목적 포인트를 중심으로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대표적으로 숙박 업소나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행을 계획함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여행 일정 및 지역을 선정하는 동시에, 숙박 업소나 해당 지역에서 유명한 액티비티 또는 명승지 등을 여행 일정에 반드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숙박 업소 및 액티비티를 상술한 기 입력한 목적 포인트로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액티비티나 명승지의 경우 이용 시간이 정해진 경우라면 해당 목적 포인트에 대하 이용 시간을 미리 정하고 그 외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목적 포인트 선정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교통 수단 역시 사용자들이 미리 여행을 계획함에 있어서 예약을 할 수 있다. 특히 해외 여행의 경우 교통 수단은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대상일 것이다. 이 경우, S20 단계는 목적 포인트를 선정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할 것으로 선정한 교통 수단에 따른 이동 가능성을 기준으로 목적 포인트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만을 이용하는 경우 자가 이동이 불가능한 목적 포인트는 선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지만 렌터카 이용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라면, 목적 포인트에 대중 교통 수단의 이용 장소 및 렌터카 수취 및 반납 장소가 우선적으로 목적 포인트로 설정될 수 있다. 자가의 경우 목적 포인트 선정에 있어서 큰 제한이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선호도에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드라이브를 좋아하는지, 드라이브보다 각 목적 포인트에서의 체류 및 서비스 이용을 선호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S20 단계는 상술한 사용자의 선호를 고려하여 목적 포인트 및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조건 정보들 중,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되, 각 목적 포인트에서의 소요 시간,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 시간에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목적 포인트에서의 시간 소요 및 이동 경로에서의 시간 소요 중 어느 시간에 대한 소요를 선호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각 목적 포인트 및 이동 경로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드라이브를 선호하는 경우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 경로 중 드라이브 코스로 외부로부터 평가된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해당 이동 경로를 통한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특정한 목적 포인트는 제외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을 선호하는 경우 드라이브 코스보다 빠른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이동 경로의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목적 포인트를 수정 또는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시간 이외에 사용자 입력 정보로서 여행에 대한 예상 예산 비용 정보가 포함되거나, 사용자 관련 정보 중 사용자의 소비 성향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S2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 시,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인 이동 비용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에 설정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비용 정보인 이용 비용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들 중,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 대한 S1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도출된 조건 정보들 중 사용자가 후술하는 오픈 마켓을 통해서 구매하거나 이와 관계없이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 생성 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이용할 것으로 입력하는 등의 케이스가 존재 시, S20 단계에서는 해당 정보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여행 코스 정보 도출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는 일정, 시간 등이 사용자의 현재 여행 계획과 다소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20 단계의 수행 시, 여행 기간 및 여행 예산을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가 3박 4일인데 비하여 현재 사용자의 여행 기간이 2박 3일인 경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 수지가 낮은 순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 포인트를 삭제하여 2박 3일에 맞는 여행 코스로 수정하거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 비용이 비싼 순으로 목적 포인트들을 삭제하여 해당 이용 비용에 맞춤화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여행 코스의 보정 알고리즘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보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상술한 예들을 적용하여 도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S20 단계의 기능 수행에 있어서 먼저 조건 정보를 기준으로 1차 여행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1차 생성 단계가 우선 수행되고,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여행 기간 및 여행 예산 정보들 중 사용자가 입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1차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를 삭제, 수정 똔느 추가하여 2차 여행 코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로 도출하는 2차 생성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1차 생성 단계에서 조건 정보만을 이용하여 양식 레스토랑 식당이 목적 포인트로 설정되었는데, 사용자가 양식 식당이라는 조건에 대한 선호도가 크지 않은 편이고, 예산이 초과되는 경우, 해당 양식 식당을 양식을 제공하는 분식점 등으로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S20 단계의 실시예는 상술한 예들과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조건 정보의 가중치 적용 등에 따라서 서로 복합적/결합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S20 단계의 기능 수행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목적 포인트(400) 및 이동 경로(410)가 설정되며,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기 예약된 목적 포인트(401)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중심으로 목적 포인트(400)와 이동 경로(410)가 설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목적 포인트(40)에는 해당 목적 포인트에 대한 상세 정보와 함께 그 목적 포인트의 이용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관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이와 같은 S20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여행 코스 생성 단계(S20)에 의해 생성된 여행 코스 및 여행 코스에 관련된 여행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여행 정보 출력 단계(S30)가 수행된다.
여행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접속되는 웹 사이트 등에 대한 접속 행위 등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물론, 여행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가 S20 단계에 의하여 도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것으로 출력되는 여행 코스를 자세히 확인하고, 이에 대해서 목적 포인트 및 이동 경로를 편집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화면(310)을 참조하면, 여행 코스가 다이어 그램으로 출력되는 동시에 지도보기 메뉴를 통해서 지도 상의 여행 코스로 이미지화되어 출력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 예산 및 소용 예상 비용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S30 단계의 실용적인 기능 수행을 위해서, S30 단계에서는 단일의 여행 코스 정보가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여행 코스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각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로서,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 시간, 각 목적 포인트의 이용에 소요되는 것을 예측되는 이용 시간, 각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보 및 각 여행 코스 정보의 생성 시 이용된 조건 정보를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여행 코스를 추천받았는지 여부를 직감하여, 해당 여행 코스에 따라서 여행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선정된 여행 코스 정보, 사용자의 예산을 중점적으로 반영하여 선정된 여행 코스 정보 등을 함께 출력하고, 해당 여행 코스 정보에 여행 코스가 도출된 기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적 포인트에 대한 선정 및 이를 연결한 여행 코스 정보는 각 실시예의 독립적인 수행 및 결합적인 수행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으므로, 그 여행 코스 정보의 도출 개수 역시 하나 이상일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다수의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 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각 조건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S30 단계는 복수의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하되, 상술한 각 조건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조건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우선 순위 및 크기 등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 적용의 차이를 두고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가 예산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우라면, 예산을 중점적으로 반영하여 선정된 여행 코스를 사용자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선정된 여행 코스 정보보다 우선 출력하거나, 해당 인터페이스의 출력 영역을 더 크게 하는 등으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화면(320)을 참조하면 총 3개의 여행 코스 정보가 출력되며, 사용자의 선호 조건 정보에 따라서 선호도 기반, 다른 사용자의 코스를 참조한 기반 및 실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내역 기반 순으로 여행 코스 정보가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여행 코스 정보에 대한 보기 메뉴를 선택 시, 도 7의 화면(310)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여행 정보를 위하여 입력한 정보 및 사용자의 기 저장된 관련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방문 장소와 함께 이동 경로를 결합한 여행 코스를 통합적으로 추천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특히 현재 여행에 대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목적 포인트들을 설정하고, 이를 연결한 여행 코스를 추천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들은 편리하게 자신이 현재 계획한 여행에 대해서 다양한 여행 코스를 자동으로 추천받게 되어 사용자가 이용할 확률이 높은 목적 포인트 및 이동 경로를 종합적으로 여행 코스로 추천받음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현재 계획하고 있는 여행에 어울리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단순히 방문 장소에 대한 추천뿐 아니라, 이동 경로를 결합하여 전체적인 여행 코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여행 코스를 사용자가 일일이 계획하지 않고도 자신의 선호도가 반영된 여행 코스를 추천받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여행 코스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들의 운영 업체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10)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11), 여행 코스 생성부(12) 및 여행 정보 출력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분석부(11)는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여행 코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도 1에서의 S10 단계에서 설명한 모든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여행 코스 생성부(12)는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에 의해서 도출된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각 목적 포인트를 연결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도 1에서의 S20 단계의 기능 수행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여행 정보 출력부(13)는 여행 코스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여행 코스 및 여행 코스에 관련된 여행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도 1에서의 S30 단계의 기능 수행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자들은 오픈 마켓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에 따라서 추천되거나 사용자가 상술한 여행 인터페이스를 통한 편집 기능을 통해서 직접 생성한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할 수 있는 오픈 마켓을 관리하는, 즉 여행 코스 생성부에 의하여 도출된 여행 코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판매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온라인 상의 오픈 마켓에 생성된 여행 코스 정보를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구매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1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오픈 마켓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여행 코스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조건 정보로서 활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여행 코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14)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사용자 관련 정보에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를 선호 여행 코스 정보로서 조건 정보에 포함시켜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여행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가 여행 코스 정보를 편집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14)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여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 마켓은 업체나 다른 사용자들이 여행 코스를 판매하고 사용자가 이를 구매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이때 단순히 여행 코스에 대한 판매만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이용 유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14)는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실제 이용이 확인되는 경우,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한 사용자 및 여행 코스 정보를 판매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여행 코스는 판매 대상으로서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해당 여행 코스를 이용하여 실제로 그 여행 코스에 따라서 여행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 여행 코스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이 이루어지면, 판매된 여행 코스가 실제로 사용자의 여행 코스에 반영된 것으로 입증되는 것이며, 이때 특정한 리워드를 여행 코스를 판매한 사용자 및 구매한 사용자들에게 모두 제공함으로써, 여행 코스의 판매 및 구매를 유도하여 오픈 마켓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14)의 기능 수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에 출력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가 도 9 및 10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여행 코스 마켓 화면(330)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여행하고자 하는 지역(331)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때 지역(331)에 매칭되는 다른 사용자가 판매할 것으로 등록한 여행 코스(332)에 대한 판매 리스트를 확인하고 이를 구매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화면(34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 정보를 통해서 자신이 구매한 코스(상술한 기능 수행에 따라서 자동으로 보정됨이 표시될 수 있음)에 대한 정보와 함께, 자신이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즉 자신이 판매한 코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자신이 구매하거나 판매한 코스에 따라서 실제 목적 포인트의 이용이 이루어진 경우 포인트를 리워드로 제공받을 수 잇다. 해당 포인트는 서비스에서 예약 가능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예약 비용 또는 오픈 마켓에서 여행 코스 구매를 위한 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가 생성하여 판매한 여행 코스 정보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가 계획하고 있는 여행과 다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해당 여행 코스 정보가 여행 일정 및 예산 등의 조건 정보에 따라서 자동으로 보정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를 오픈 마켓에 적용하게 되면,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14)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정한 여행 코스 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행 코스 보정에 대한 도 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14)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 및 각 목적 포인트 사이의 이동 경로를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여행 기간, 예산 또는 교통 수단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30)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송수신 및 처리되는 모든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1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스(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스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스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여행 코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에 의해서 도출된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각 목적 포인트를 연결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여행 코스 생성 단계; 및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여행 코스 및 여행 코스에 관련된 여행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여행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 포인트는,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 시, 상기 조건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가되어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목적 포인트마다 가중치가 적용된 매칭 수치가 산정되며,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들 중,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되, 각 목적 포인트에서의 소요 시간,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목적 포인트에서의 시간 소요 및 이동 경로에서의 시간 소요 중 어느 시간에 대한 소요를 선호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각 목적 포인트 및 이동 경로를 선정하고,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 시,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인 이동 비용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에 설정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비용 정보인 이용 비용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 단계에 의하여 도출된 조건 정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가 존재할 때, 상기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기준으로, 여행 기간 및 여행 예산을 기준으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보정하여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외부로부터 수집되어 저장된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온/오프라인 상의 소비 결제 내역 정보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소비 성향 정보, 사용자의 개인 정보,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친구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관련 정보, 외부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시글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게시글 정보, 및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기존 여행 코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입력한 이미지 촬영 데이터, 현재 여행에 대한 여행 인원, 여행 기간, 여행자들의 연령, 여행 코스에 대한 예산 및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 시,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인 이동 시간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에 설정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시간 정보로서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각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 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선호 번잡도 정보, 외부로부터 수집된 각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도에 따른 이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사용자가 기 입력한 목적 포인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입력한 목적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서, 사용자가 이용할 것으로 선정한 교통 수단에 따른 이동 가능성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생성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1차 여행 코스 정보를 생성하는 1차 생성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여행 기간 및 여행 예산 정보 중 사용자가 입력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1차 여행 코스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를 삭제, 수정 또는 추가하여 2차 여행 코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로 도출하는 2차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정보 출력 단계는,
    복수의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하되,
    각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로서, 상기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 시간, 각 목적 포인트의 이용에 소요되는 것을 예측되는 이용 시간, 각 목적 포인트의 시간대별 번잡도 정보 및 각 여행 코스 정보의 생성 시 이용된 조건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정보 출력 단계는,
    복수의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에 포함된 각 조건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조건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우선 순위로 복수의 여행 코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1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기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재 여행을 위해서 입력한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여행 코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에 의해서 도출된 다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고, 각 목적 포인트를 연결한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는 여행 코스 생성부; 및
    상기 여행 코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여행 코스 및 여행 코스에 관련된 여행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여행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 포인트는,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 시, 상기 조건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가되어 상기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목적 포인트마다 가중치가 적용된 매칭 수치가 산정되며,
    상기 여행 코스 생성부는,
    상기 조건 정보들 중,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목적 포인트를 선정하되, 각 목적 포인트에서의 소요 시간,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목적 포인트에서의 시간 소요 및 이동 경로에서의 시간 소요 중 어느 시간에 대한 소요를 선호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각 목적 포인트 및 이동 경로를 선정하고,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 시, 각 목적 포인트 간의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인 이동 비용 정보 및 각 목적 포인트에 설정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이용 비용 정보인 이용 비용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 코스 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에 의하여 도출된 조건 정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가 존재할 때, 상기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기준으로, 여행 기간 및 여행 예산을 기준으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보정하여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로 도출하고,
    상기 여행 코스 생성부에 의하여 도출된 여행 코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판매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온라인 상의 오픈 마켓에 생성된 여행 코스 정보를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가 구매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에 대한 실제 이용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한 사용자 및 상기 여행 코스 정보를 판매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를 선호 여행 코스 정보로서 조건 정보에 포함시켜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상기 여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여행 코스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정한 여행 코스 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코스 마켓 관리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를 구매 시, 사용자가 구매한 다른 사용자의 여행 코스 정보에 포함된 목적 포인트 및 각 목적 포인트 사이의 이동 경로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여행 기간, 예산 또는 교통 수단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장치.
KR1020180094228A 2018-08-13 2018-08-13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12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28A KR102123396B1 (ko) 2018-08-13 2018-08-13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28A KR102123396B1 (ko) 2018-08-13 2018-08-13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72A KR20200018872A (ko) 2020-02-21
KR102123396B1 true KR102123396B1 (ko) 2020-06-26

Family

ID=6967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228A KR102123396B1 (ko) 2018-08-13 2018-08-13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134B1 (ko) * 2020-06-08 2022-08-25 주식회사 와이즈넛 날씨 조건과 체류 시간을 고려한 여행일정 계획 방법
KR102236546B1 (ko) * 2020-07-14 2021-04-06 김재영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관광목적에 따른 선택이 가능한 스마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98699B1 (ko) * 2020-11-25 2022-05-13 김태희 호텔 및 소상공인 연계의 수익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568567B1 (ko) * 2021-01-29 2023-08-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적지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278023B1 (ko) * 2021-02-04 2021-07-15 (주)더블유투더블유 Ai 기반 개인 맞춤형 월경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46137B1 (ko) * 2021-06-10 2021-12-31 권민영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95260B1 (ko) * 2021-12-01 2023-02-06 (주)천사랑세계여행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1539B1 (ko) * 2021-12-21 2022-10-12 주식회사 그레온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63B1 (ko) * 2012-12-26 2014-05-27 전자부품연구원 관람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제공 서버, 단말
KR101758252B1 (ko) * 2016-02-02 2017-07-17 권경우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529A (ko) * 2014-05-29 2015-12-10 (주) 도래소프트 데이터마이닝기법을 활용한 여행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0379A (ko) * 2015-09-09 2017-03-17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선호에 맞춘 여행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5132A (ko) * 2016-11-16 2018-05-25 임조권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63B1 (ko) * 2012-12-26 2014-05-27 전자부품연구원 관람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제공 서버, 단말
KR101758252B1 (ko) * 2016-02-02 2017-07-17 권경우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72A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396B1 (ko)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US10436596B2 (en) Point-of-interest latency prediction using mobile device location history
CN105683954B (zh) 设施、特殊服务及食品/饮料搜索和购买预订***
US10097947B2 (en) Generating personalized routes incentivized for one or more users
JP2017527056A (ja) 期限切れになる在庫のための電子市場プラットフォーム
KR101633349B1 (ko) 여행지 추천 및 인증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용 애플리케이션
US10317230B2 (en) Machine learning travel management system with wearable device integration
JP2018049336A (ja) 経路検索サーバ、経路検索方法、および経路検索プログラム
JP6687679B2 (ja) 提案装置、提案方法および提案プログラム
US10163094B2 (en) Light-life system and application
US20180135995A1 (en) Selection of a route based on prior user behavior or commercial interests
JP6728029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JP2011158950A (ja) 観光スポットを案内する宿泊予約サーバ、観光スポット案内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Erdem et al. Tourist experience and digital transformation
CN114467106A (zh) 图形学***台
KR102206008B1 (ko) 네일 아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일샵 및 디자이너 중개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07332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sidence recommendations based on personal interests
US20220373346A1 (en) Personalized route recommendation and navigation
JP5829723B2 (ja) スポットを案内する予約サーバ、スポット案内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8049318A (ja) 情報処理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606732B1 (ko) 알고리즘을 이용한 여행상품 역경매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10505A (ko) 온라인 상에서 여행 일정표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0859B1 (ko) 여가 상품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917674A (zh) 能根據旅遊行程及使用者興趣推薦興趣點之方法
KR102245203B1 (ko) 뮤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