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230B1 -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230B1
KR102115230B1 KR1020180068799A KR20180068799A KR102115230B1 KR 102115230 B1 KR102115230 B1 KR 102115230B1 KR 1020180068799 A KR1020180068799 A KR 1020180068799A KR 20180068799 A KR20180068799 A KR 20180068799A KR 102115230 B1 KR102115230 B1 KR 10211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lide
slide member
vehic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948A (ko
Inventor
이돈
Original Assignee
이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돈 filed Critical 이돈
Priority to KR102018006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2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화물칸 상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이송부재;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에 의해 이동된 화물을 수직 및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를 마련하여 화물칸 내에서 화물을 원하는 위치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고, 중량물인 화물을 슬라이딩이송부재에 이동시킴에 따라 화물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중량물인 화물을 이동부재에 의해 적재 및 하자를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Cargo Transfer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 차량에 적재된 화물을 차량의 끝단으로 이동시켜 중량물인 화물을 보다 간편하게 이동시켜 화물의 적재 또는 하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중 화물차는 화물을 운반하는 차량으로,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 등의 발달로 택배물건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택배물건의 손상없이 안전하게 운반하도록 화물 운송용 탑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화물을 하역할 때 별도로 화물을 하역장소에 하역한 후 이를 운반하기 위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이 구비된 차량이 사용된다.
즉, 화물 운송 탑차나 컨테이너는 화물을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후면에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 직사각형의 밀폐 적재함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탑차나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작업자가 탑차나 컨테이너의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고 나가고를 반복하면서 화물을 적재하고 있다.
또는 화물을 하역장소에 하역한 후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일일이 화물차의 적재함이나 컨테이너에 이동시킨 후 적재하고 있다.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할 때는 사람이 화물을 들고 실어야 함은 물론 적재함에 실은 상태에서도 뒷부분에서 앞부분으로 이동시켜야 적재작업이 끝나게 된다.
그런데 화물의 부피가 작고 중량이 적게 나가는 것은 인력에 의해 적재하는 것이 그다지 곤란하지 않지만 부피가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화물은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됨과 더불어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밸트컨베이어를 일단이나 다단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밸트 컨베이어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화물을 차량에 적재하는 적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이나 컨테이너에 화물을 하역할 때 별도로 화물을 하역장소에 하역한 후 이를 운반하기 위한 차량의 적재함으로 옮겨야 하는데, 이때에도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일일이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로 이동시킨 다음 적재하여야 함으로써, 화물의 하역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차량이 상당한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작업자가 차량의 화물칸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화물을 화물칸으로 올린 다음 이를 다시 화물칸의 내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는 화물을 하차 시키기 위하여 화물칸의 내측에 있는 화물을 데크 도어 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화물을 하차 시켜야 되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의 피로도가 높고, 중량물인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차량의 화물적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차량의 화물적재장치는 다단으로 적재구역이 형성된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각 적재구역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전후방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컨베이어, 각 상기 컨베이어의 일방향 구동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차량의 화물적재장치로서, 상부에 화물을 얹은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적재함 내부로 이송되며, 양측면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적재파레트, 상기 적재함의 각 적재구역 바닥 일측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파레트업다운실린더, 상기 파레트업다운실린더와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적재구역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재파레트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적재함 내부로 인입 완료되면, 상기 파레트업다운실린더에 의해 상기 적재파레트를 상기 컨베이어 상부로 상승시켜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팔레트상승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함 내측 및 상기 파레트상승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상승부재에 의해 상승된 상기 적재파레트를 전후상하로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파레트고정부, 상기 적재함의 각 적재구역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상승부재와 상기 파레트고정부에 의해 상기 적재파레트가 상승된 상태로 고정되면, 각각의 상기 적재파레트에 적재된 화물을 눌러 압착 고정되게 하는 복수개의 화물고정실린더 및 상기 적재함 내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업다운실린더 및 상기 화물고정실린더가 작동되도록 유압이나 공압을 생성 공급하는 압력공급기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바닥부에 다수개가 배열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동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화물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중앙부에 제1설치홀이 형성되고, 폭방향 양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제2설치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플레이트의 제1설치홀 상에 위치되게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제2설치홀 상에 위치되게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는 플레이트부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설치홀의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일측부에는 드럼모터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구동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드럼모터와 구동로울러 각각의 양측부에는 다수개의 스프라켓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모터 및 구동로울러에 구비된 스프라켓을 서로 연결시키고 플레이트부의 커버부재에 형성된 장공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체인이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제1설치홀 측면에는 커버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구동체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플레이트부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설치홀에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커버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화물이 진입하는 방향에는 화물을 감지하고 드럼모터를 작동시키는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화물이 진입하는 타측부에는 화물을 감지하여 드럼모터를 정지시키는 감지수단을 구비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58053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8433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11396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307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을 화물칸의 내측 및 외측으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화물칸에 화물의 적재 및 하차 작업 시 이동부재에 의해 화물을 승강시킴은 물론 화물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는 차량의 화물칸 상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이송부재;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에 의해 이동된 화물을 수직 및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는 상기 화물칸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부재;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부재;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의 내부 및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화물칸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판; 상기 측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일; 상기 제2 슬라이드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스크류;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화물칸에 작업자가 오르내리도록 구비되는 사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에 의하면, 화물칸 내에서 화물을 원하는 위치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고, 중량물인 화물을 슬라이딩이송부재에 이동시킴에 따라 화물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중량물인 화물을 이동부재에 의해 적재 및 하자를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는 차량의 화물칸(20) 상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이송부재(100),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100)에 의해 이동된 화물을 수직 및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는 차량(10)의 화물칸(20)에 적재된 화물을 화물칸(20)의 출구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을 화물칸(2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화물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을 수직으로 승강시켜 화물의 이동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는 차량(10)의 화물칸(20)에 설치되어 화물칸(20)에서의 화물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이송부재(100)와 상기 화물칸(20)의 화물을 화물칸(20)의 높이로 승강되어 화물의 적재를 보다 편리하게 하는 이동부재(200, 도 5 참조) 및 작업자가 화물칸(20)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사다리부재(300, 도 7 참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이송부재(100)는 차량(10)의 화물칸(20)에서 화물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100)는 상기 화물칸(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부재(120),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내부 및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슬라이드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110)는 화물칸(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는 제1 슬라이드부재(1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130)는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내측 및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이송부재(100)는 화물의 적재 또는 하차 시 화물칸(20) 내에서 화물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화물의 적재 또는 하차 시 중량물인 화물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110)는 상기 화물칸(20)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하판(111), 상기 하판(111)의 양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판(112), 상기 측판(11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113)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121),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122), 상기 제1 슬라이드(121)와 상기 제2 슬라이드(122)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드(121)와 상기 제2 슬라이드(122)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2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130)는 상기 제1 슬라이드(121)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일(131), 상기 제2 슬라이드(122)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일(132), 상기 제1 레일(131)과 상기 제2 레일(132)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33), 상기 고정플레이트(133)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1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100)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내측에 제2 슬라이드부재(1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내측에 제3 슬라이드부재(13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이송부재(100)는 제2 슬라이드부재(120)가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일측으로 이동되며, 제3 슬라이드부재(130)는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슬라이딩이송부재(100)의 상면에 놓여진 화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110)는 화물칸(20)의 상면에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진 하판(111)과 상기 하판(111)의 양 측면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는 측판(112) 및 상기 양 측판(112)의 상면에 상판(113)이 고정된다.
상기 상판(113)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121)와 제2 슬라이드(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슬라이드(121)와 제2 슬라이드(122) 사이에는 고정플레이트(125)가 고정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121)와 제2 슬라이드(122)는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웨브(123)와 상기 웨브(123)의 상면과 하면에 양측으로 플랜지(124)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는 제1 슬라이드(121)와 제2 슬라이드(122)과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제1 슬라이드(121)와 제2 슬라이드(122)에 고정플레이트(125)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측판(112)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고정되며,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웨브(123)에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에 대응되는 스토퍼(미도시)가 고정된다.
즉,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 거리만큼 이동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130)는 제1 슬라이드(12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일(131)과 제2 슬라이드(122)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일(13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2) 사이에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133)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33)의 상면에는 화물이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34)이 고정된다.
아울러 제1 레일(131)과 상판(134), 제2 레일(132)과 상판(134)은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플랜지(124) 및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상판(113)이 결합되도록 결합홈부(135)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210), 상기 하부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211),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12), 상기 수직프레임(21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213), 상기 수직프레임(212)의 상면에 설치된 모터(2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스크류(215), 상기 회전스크류(215)의 회전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16), 상기 이동프레임(216)의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받침프레임(217)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200)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화물칸(20)으로 적재하거나 하차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재(200)는 화물칸(20)의 높이로 화물을 승강시킴은 물론 화물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200)는 소정의 길이로 한 쌍의 하부프레임(21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10)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바퀴(2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에는 수직프레임(212)이 고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212)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12)에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213)이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212)의 상면에는 모터(214)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214)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터(214)의 저면에는 회전스크류(215)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스크류(215)는 모터(2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회전스크류(215)에는 이동프레임(216)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16)은 회전스크류(215)에 의해 승강됨은 물론 가이드프레임(21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프레임(216)에는 화물을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받침프레임(217)이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는 작업자가 화물칸(20)으로 오르내리도록 사다리부재(250)가 구비된다.
상기 사다리부재(2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접이식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내측에 제2 슬라이드부재(120)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내측에는 제3 슬라이드부재(130)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는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제1 슬라이드부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하며, 제3 슬라이드부재(130) 또한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제2 슬라이드부재(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한다.
즉,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내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되며, 제3 슬라이드부재(130)는 제2 슬라이드부재(130)의 내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제1 슬라이드(121) 및 제2 슬라이드(122)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 내부에 결합하고, 제3 슬라이드부재(130)의 제1 레일(131) 및 제2 레일(132)은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제1 슬라이드(121) 및 제2 슬라이드(122)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130)는 스토퍼에 의해 제2 슬라이드부재(120)의 내측에 제한된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130)의 상판(134)은 제1 슬라이드부재(110)의 상판(113) 상면에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는 도 1에서 같이, 화물 차량, 픽업 차량, 탑차 또는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싣고 이동하는 차량(10)의 화물칸(20)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100)는 제3 슬라이드부재(130)를 화물칸(20)의 데크도어(21)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130)의 이동이 완료된 후 이어서 제2 슬라이드부재(120)가 데크도어(21)를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130)는 데크도어(21)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0)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0)의 모터(214)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모터(214)의 회전에 의해 회전스크류(215)가 회전되며, 상기 회전스크류(215)에 설치된 이동프레임(216)은 하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216)이 하강된 상태에서 받침프레임(217)에는 적재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올려놓게 된다. 상기 화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모터(214)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스크류(215)를 역회전되면서 이동프레임(216)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받침프레임(217)에 올려진 화물은 데크도어(21) 쪽으로 이동된 제3 슬라이드부재(130)의 상면으로 이동된다.
이에 작업자는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130)를 제1 슬라이드부재(110) 쪽으로 밀어주게 됨에 따라 제3 슬라이드부재(130)가 제2 슬라이드부재(120) 쪽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제3 슬라이드부재(130)는 제2 슬라이드부재(120) 쪽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120)는 제1 슬라이드부재(110) 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중량물인 화물의 적재 작업은 제3 슬라이드부재(130)의 상판(134)에 화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화물칸(2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이송부재(100)에 적재된 화물의 하차 작업은 화물이 안착된 슬라이드이송부재(10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화물을 데크도어(21)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슬라이드이송부재(100)의 제3 슬라이드부재(130)가 이동되고, 이어서 제2 슬라이드부재(120)가 이동되어 화물칸(20)의 내측에 있는 화물을 데크도어(21) 쪽으로 이동시킨다.
아울러 데크도어(21)로 이동된 화물은 이동부재(200)의 이동프레임(216)을 상승시켜 화물을 적재하게 되며, 이동부재(200)는 화물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된 다음 화물을 원하는 위치에 하차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슬라이딩이송부재 110: 제1 슬라이드부재
111: 하판 112: 측판
113: 상판 120: 제2 슬라이드부재
121: 제1 슬라이드 122: 제2 슬라이드
123: 웨브 124: 플랜지
125: 고정플레이트 130: 제3 슬라이드부재
131: 제1 레일 132: 제2 레일
133: 고정플레이트 134: 상판
135: 결합홈부
200: 이동부재 210: 하부프레임
211: 이동바퀴 212: 수직프레임
213: 가이드프레임 214: 모터
215: 회전스크류 216: 이동프레임
217: 받침프레임
250: 사다리부재

Claims (5)

  1. 차량의 화물칸 상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이송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에 의해 이동된 화물을 수직 및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이송부재는,
    상기 화물칸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부재;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의 내부 및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화물칸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및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일;
    상기 제2 슬라이드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스크류;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에 작업자가 오르내리도록 구비되는 사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1020180068799A 2018-06-15 2018-06-15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10211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99A KR102115230B1 (ko) 2018-06-15 2018-06-15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99A KR102115230B1 (ko) 2018-06-15 2018-06-15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48A KR20190141948A (ko) 2019-12-26
KR102115230B1 true KR102115230B1 (ko) 2020-05-26

Family

ID=6910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799A KR102115230B1 (ko) 2018-06-15 2018-06-15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67B1 (ko) *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KR102508386B1 (ko) * 2022-04-07 2023-03-09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용 이동식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878A (en) * 1989-08-04 1991-10-01 Donald Volhard Retractable bed for truck
KR970005906Y1 (ko) * 1994-07-20 1997-06-16 황재극 화물운반용 대차
KR19980043638A (ko) * 1996-12-04 1998-09-05 박병재 화물트럭의 적재함
KR100658053B1 (ko) 2005-10-17 2006-12-14 (주)엠티로지스틱스 차량의 화물적재장치
KR100986837B1 (ko) 2008-04-29 2010-10-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물 이송장치
KR101166206B1 (ko) 2010-05-28 2012-07-20 박만복 화물차의 화물상하차 장치
KR101584337B1 (ko) 2014-07-16 2016-01-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48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337B1 (ko) 차량용 화물 상하역장치
US10059539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US20090272953A1 (en) Lift apparatus
US3521780A (en) Truck-mounted lifting device
JP2006517493A (ja) 可動耐荷プラットフォームを組み込んだ車両及びトレーラ
KR101100331B1 (ko) 포크리프트용 컨베이어 파렛트
KR101876720B1 (ko) 화물 적재 시스템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US3371805A (en) Combined elevat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argo platforms
KR101873546B1 (ko) 중량물 이송 대차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WO2006137542A1 (ja) 搬送物搬送方法及びジャッキ具
KR101320958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KR20090110571A (ko) 팔레트 출하 시스템
KR101065389B1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JP3294970B2 (ja) 車両用荷崩れ防止装置
EP3403955A1 (en) Bottom seal assembly for dock ramp
JP2020090212A (ja) 荷物の搬送装置
JP4364549B2 (ja) コンテナ運搬車両
JPH07101510A (ja) 垂直搬送装置
CN113666299B (zh) 一种升降装置
EP3078618B1 (en) Goods movement apparatus
KR20220154051A (ko) 화물차의 화물 적재 및 하역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