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373B1 -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373B1
KR102110373B1 KR1020190032763A KR20190032763A KR102110373B1 KR 102110373 B1 KR102110373 B1 KR 102110373B1 KR 1020190032763 A KR1020190032763 A KR 1020190032763A KR 20190032763 A KR20190032763 A KR 20190032763A KR 102110373 B1 KR102110373 B1 KR 10211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groove
cutt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호
Original Assignee
노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호 filed Critical 노윤호
Priority to KR102019003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특히 식용유, 간장, 참기름 등이 저장되는 액체 용기의 주둥이부에 결속되어 분리되지 않는 용기용 캡에 있어서, 용기와 캡이 서로 다른 재질일 때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캡을 분리하여 용기와 캡을 각각 분리수거할 수 있게 있도록, 용기의 주둥이부에 외삽되며 내주면에 상기 주둥이부의 결속돌기에 걸림 결합되는 분리 방지용 걸림돌기를 구비한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내용물 배출구를 구비한 상면부를 포함한 캡 본체; 상기 스커트부의 일측 내주면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절취홈, 상기 제1 절취홈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캡 본체의 코너부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절취홈을 포함한 캡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절취홈 및 제2 절취홈을 이용해 상기 상면부를 상기 스커트부에서 절단하여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분리할 수 있는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BOTTLE CAP}
본 발명은 용기, 특히 식용유, 간장, 참기름 등이 저장되는 액체 용기의 주둥이부에 결속되어 분리되지 않는 용기용 캡에 있어서, 용기와 캡이 서로 다른 재질일 때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캡을 분리하여 용기와 캡을 각각 분리수거할 수 있게 있도록, 용기의 주둥이부에 외삽되며 내주면에 상기 주둥이부의 결속돌기에 걸림 결합되는 분리 방지용 걸림돌기를 구비한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내용물 배출구를 구비한 상면부를 포함한 캡 본체; 상기 스커트부의 일측 내주면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절취홈, 상기 제1 절취홈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캡 본체의 코너부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절취홈을 포함한 캡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절취홈 및 제2 절취홈을 이용해 상기 상면부를 상기 스커트부에서 절단하여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분리할 수 있는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각종 용기에는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면서 내용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캡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용 캡 중에서, 식용유, 간장, 참기름 등과 같이 일정 기간에 걸쳐 조금씩 사용되는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는 힌지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캡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액체 용기용 캡은 사용 및 보관 중 용기 내 밀폐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사용 시 캡이 용기에서 풀려서 액체 내용물이 용기의 주둥이부와 캡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일반적인 다른 캡과 달리 압입 등의 방식으로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에 결속시켜 일체형으로 생산, 판매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용기 자체의 제조 단가 절감 등을 이유로 용기와 캡을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간장병의 용기는 PET 재질로 제작하고 간장병의 캡은 PE 재질로 제작하거나, 또는 기름병의 용기는 철 등의 캔으로 제작하고 기름병의 캡은 PE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액체 용기는 캡이 용기의 주둥이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용기 내 밀폐성을 확보하면서 캡 자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방면에, 다 사용한 용기를 버릴 때 이종의 용기와 캡을 각각 따로 분리할 수 없어 재질별로 분리수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물론 사용자가 쓰레기 처리 시에 조금의 노력을 들여 공구를 사용해 용기와 캡을 따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나, 여성이나 노약자는 용기에서 억지로 일체형 캡을 일일이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번거롭기 때문에, 대부분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쓰레기 처리업자는 수거된 용기에서 다른 재질의 캡을 따로 분리하여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쓰레기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03-0015167호, 공개특허 제10-2014-0147778호, 공개특허 제10-2015-0106185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캡이 용기, 특히 식용유, 간장, 참기름 등이 저장된 액체 용기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용기 내 밀폐성 보장 및 캡의 열림 방지가 가능하면서도, 사용 후 가정이나 식당 등의 일반 사용자가 캡을 용기에서 쉽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어 이종의 재질로 이우러진 용기와 캡의 분리수거가 가능하도록, 캡 본체의 스커트부 일측 내측면과 캡 본체의 코너부에 제1절취홈과 제2 절취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은,
용기의 주둥이부에 결속되어 분리되지 않는 용기용 캡에 있어서,
용기의 주둥이부에 외삽되며 내주면에 상기 주둥이부의 결속돌기에 걸림 결합되는 분리 방지용 걸림돌기를 구비한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내용물 배출구를 구비한 상면부를 포함한 캡 본체;
상기 스커트부의 일측 내주면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절취홈, 상기 제1 절취홈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캡 본체의 코너부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절취홈을 포함한 캡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절취홈 및 제2 절취홈을 이용해 상기 상면부를 상기 스커트부에서 절단하여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에서,
상기 캡 분리수단은 상기 스커트부의 타측 내주면에서 상기 제1 절취홈과 대향하는 지점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커트부의 절단 시 상기 절곡홈을 기점으로 상기 스커트부가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에서,
상기 제2 절취홈은 절단 시작부와 절단 끝단부가 원형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되, 상기 절단 끝단부가 상기 절곡홈을 지나 스커트부가 절단되는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에서,
상기 제1 절취홈은 외측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각이 진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은 외측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라운드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은,
캡 본체의 스커트부 및 코너부에 상하 수직방향과 코너부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 절취홈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 후 캡의 뚜껑을 잡고 스커트부를 상면부에서 뜯어냄으로써 일체형 캡을 용기, 특히 식용유, 간장, 참기름 등이 저장된 액체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보다 쉽게 분리 가능하여,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와 캡의 개별 분리 수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쓰레기 처리 작업 중 용기와 캡의 분리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쓰레기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 추가 작업에 따른 비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제1 절취홈의 반대편 대향하는 지점에 절곡홈이 구비되어, 캡 본체의 스커트부를 뜯어낼 때 스커트부가 절단 방향으로 접혀서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제2 절취홈의 절단 끝단부가 절곡홈을 지나 스커트부가 절단되는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하여, 스커트부와 상면부가 완전 분리되지 않아 편리하며,
제1 절취홈은 스커트부의 절단에 적합하면서 절곡홈은 스커트부가 절단되지 않고 접히게 하여,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캡을 보다 쉽게 분리하여 배출 가능하고,
캡을 용기에 압입 등의 방식으로 결합할 때 캡 자체의 형상 변위로 인한 절취홈의 파단, 걸림돌기의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의 사시도, 도 2의 [B]는 A-A 단면도.
도 3의 [A]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3의 [B]는 C-C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 유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10)의 주둥이부(11)에 결속되어 분리되지 않는 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크게 캡이 용기의 주둥이부(11)에서 분리되지 않게 결속되게 하는 캡 본체(20)와, 사용 후 캡을 용기에서 뜯어내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캡 분리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캡 본체(20)는 용기의 주둥이부(11)에 외삽되며 내주면에 상기 주둥이부(11)의 결속돌기(12)에 걸림 결합되는 분리 방지용 걸림돌기(22)를 구비한 스커트부(21), 상기 스커트부(21)의 상단에 연결되며 내용물 배출구(24)를 구비한 상면부(23)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캡은 용기, 특히 식용유, 간장, 참기름 등이 저장되는 액체 용기의 주둥이부(11)에서 사용 중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용기의 주둥이부(11)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일반적인 캡과 차이점이 있다.
이에 용기의 주둥이부(11)에 캡을 고정, 결합하기 위해, 상기 주둥이부(11)의 외주면에는 결속돌기(12)가 돌출되고, 상기 캡의 스커트부(21) 내주면에는 상기 결속돌기(12)보다 낮은 높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2)가 구비되어,
캡 본체(20)를 용기의 주둥이부(11)에 압입 등의 방식으로 억지 끼움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22)가 상기 결속돌기(12)의 하단부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캡의 용기 내 밀폐 및 분리 방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캡은 사용 전 내용물의 누설 방지를 위해, 상기 배출구(24)를 폐쇄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고리부(26a)가 형성된 마개부(26)가 연결되어 있고, 캡 본체(20)의 일측에 힌지부(27a)로 연결된 뚜껑(27)이 구비되어,
제품의 최초 구매 후 고리부(26a)로 마개부(26)를 뜯어내면 배출구(24)가 개방되어, 뚜껑(27)의 개폐를 통해 내용물을 따라서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뚜껑(27)의 개폐 방식 내지 구조 및 마개부(26)의 탈부착 구조 등은 사용되는 용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적 변경은 본 발명의 핵심과 관련성이 적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의 주둥이부(11)에 일체형으로 결속된 캡은 용기와 그 재질이 다를 경우 분리수거 시 캡을 용기에서 분리 후 배출해야 하는데, 종래의 일체형 캡은 별도의 분리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가정이나 식당 등의 일반 사용자가 캡을 분리 배출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워, 대부분 용기에 캡이 결합된 상태로 쓰레기로 배출된 다음, 쓰레기 처리 업체에서 별도의 작업을 거쳐 캡과 용기를 따로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작업 없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11)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캡 분리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 분리수단(30)은, 상기 스커트부(21)의 일측 내주면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절취홈(31), 상기 제1 절취홈(31)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캡 본체(20)의 코너부(25)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절취홈(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절취홈(31)은 스커트부(21)의 일부 두께를 절취하기 쉽게 얇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위치에 제한은 없으나 캡 분리 시 뚜껑(27)을 잡아서 절취할 수 있도록, 힌지부(27a)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커트부(21)가 절단되는(즉, 뜯어지는) 방향(C)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힌지부(27a)의 측단부와 상하로 동일선 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절취홈(31)은 스커트부(21)의 하단에서 상단의 코너부(25)까지 형성되어 있어, 뚜껑(27)을 잡고 힌지부(27a)를 축으로 비틀어서 가압하면 제1 절취홈(31)이 형성된 부위가 절단되어 스커트부(21)의 일부가 상하로 찢어지게 된다.
상기 제2 절취홈(32)은 스커트부(21)와 상면부(23)의 연결 부위, 즉 코너부(25)의 일부 두께를 절취하기 쉽게 얇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절취홈(32)의 절단 시작부(C1)가 제1 절취홈(31)의 상단에 연결되어 코너부(25)의 둘레 방향으로 제2 절취홈(3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절취홈(31)을 이용해 스커트부(21)를 찢은 후 절단 방향(C)으로 계속 스커트부(21)를 잡아당기면, 제2 절취홈(32)이 형성된 부위가 절단되어 스커트부(21)와 상면부(23)가 서로 분리되고, 제2 절취홈(32)을 소정 길이 이상으로 절단하면 이렇게 분리된 스커트부(21)가 용기의 주둥이부(11)에서 헐거워져 결속돌기(12)와 걸림돌기(22) 상호 간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서 캡을 용기에서 쉽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캡 분리수단(30)은 상기 스커트부(21)의 타측 내주면에서 상기 제1 절취홈(31)과 대향하는 지점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홈(33)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커트부(21)의 절단 시 상기 절곡홈(33)을 기점으로 상기 스커트부(21)가 절단 방향(C)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홈(33)은 상기 제1 절취홈(31)과 마찬가지로 스커트부(21)의 하단에서 상단의 코너부(25)까지 형성되어, 스커트부(21)의 일부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으로써, 다만 제1 절취홈(31)은 스커트부(21)가 완전하게 절단될 정도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비하여, 절곡홈(33)은 스커트부(21)가 완전하게 절단되지 않고 절곡홈(33)을 기점으로 스커트부(21)가 접힘 가능한 정도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절곡홈(33)은 그 깊이가 제1 절취홈(31)(및 제2 절취홈(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된다(예를 들어 제1 절취홈(31)(및 제2 절취홈(32))이 형성된 스커트부(21)의 두께가 대략 0.3mm이면, 절곡홈(33)이 형성된 스커트부(21)의 두께는 대략 0.8mm가 됨.).
이렇게 절곡홈(33)이 제1 절취홈(31)의 반대편에 구비된 이유는 스커트부(21)를 절단하여 뜯어낼 때, 뜯어지는 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잡아당기는 힘이 스커트부(21)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캡의 분리에 과도한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1 절취홈(31)의 절단 및 절곡홈(33)의 절단 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절취홈(31)은 외측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각이 진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33)은 외측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라운드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절취홈(31)의 내측면은 쐐기 형상의 각형부(31a)로 형성되는데 반하여, 절곡홈(33)의 내측면은 라운드진 형상의 만곡부(33a)로 형성되어, 캡을 뜯어낼 때 절곡홈(33) 부위가 찢어져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각형부(31a)는 쐐기형으로 돌출되는 방향이 절단방향(C)으로 형성될 때 스커트부(21)를 보다 적은 힘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절취홈(32)은 절단 시작부(C1)와 절단 끝단부(C2)가 원형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되, 상기 절단 끝단부(C2)가 상기 절곡홈(33)을 지나 스커트부(21)가 절단되는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한다.
즉, 코너부(25)의 둘레 전체에 상기 제2 절취홈(32)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캡을 뜯어 낼 때 제2 절취홈(32), 즉 코너부(25) 전체가 절단되면서 스커트부(21)와 상면부(23)가 완전 분리될 수 있는데, 이렇게 스커트부(21)와 상면부(23)가 완전 분리되면 분리 배출 작업이 번거로워지므로, 제2 절취홈(32)을 코너부(25)의 전체 둘레 대비 절반 이상의 길이로 형성하여 캡을 분리 제거할 때 스커트부(21)와 상면부(23)를 따로 분리되지 않고 함께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2 절취홈(32)의 전체 구간 길이(L)는 절단 시작부(C1)를 기준으로 절단 끝단부(C2)가 스커트부(21)의 절단 방향(C)으로 대략 200~220ㅀ범위 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절단된 캡을 주둥이부(11)에서 보다 쉽게 분리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나사 체결 방식이 아닌 압입 등의 방식으로 캡이 용기의 주둥이부(11)에서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더라도, 이종의 캡과 용기를 따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어 분리수거에 유리하며, 이에 따라 쓰레기 처리 시 캡과 용기의 분리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쓰레기 처리 시간의 단축 및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절취홈(31) 및 절곡홈(33)은 스커트부(21)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걸림돌기(22)의 중간 일부를 상하로 가로지르게 된다.
이렇게 걸림돌기(22)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을 경우,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11)에 결속할 때, 제1 절취홈(31) 및 절곡홈(33)의 양단이 벌어져 캡 본체(20)가 헐겁게 결합되거나, 또는 걸림돌기(22)의 단절 부위가 뭉개지면서 형상이 변형되어 밀폐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인 캡의 경우 압입 후 걸림돌기(22)의 형상이 뭉개지지 않아야 결속력 및 밀폐성이 유지되므로, 캡의 결합 중 걸림돌기(22)의 형상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캡의 결합 시 걸림돌기(22)의 형상 붕괴를 방지하면서 결합 후 제1 절취홈(31) 및 절곡홈(33)의 기능이 온전하게 발휘될 수 있게 하는 형상 유지부재(4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 유지부재(40)는 상기 제1 절취홈(31) 및 절곡홈(33)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져, 제1 절취홈(31) 및 절곡홈(33)에 억지 끼움되는 것으로,
하측단에 상기 스커트부(21)의 하부로 노출되는 파지부(42)를 갖고, 상측단이 상기 제1 절취홈(31) 및 절곡홈(33)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결된 절단부(43)를 구비하여,
캡을 용기에 미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형상 유지부재(40)가 캡 본체(20)에서 분리되지 않고,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11)에 결합할 때 상기 결속돌기(12)가 상기 형상 유지부재(40)를 외측으로 누르면서 상기 절단부(43)가 끊어져 상기 파지부(42)를 통해 상기 형상 유지부재(40)를 분리 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1 절취홈(31)을 대표하여 상기 형상 유지부재(40)를 설명한다.
상기 형상 유지부재(40)는 제1 절취홈(31)에 대응하는 몸통부(41)를 갖는 것으로, 몸통부(41)의 하단에 'ㄴ'자 형으로 절곡 연결된 파지부(42)가 구비되고, 몸통부(41)의 상단 일부가 상면부(23)의 저면, 보다 엄밀하게는 제2 절취홈(32)의 내측에 얇은 두께로 연결되어 절단부(4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몸통부(41)는 제1 절취홈(31)과 대응하여 걸림돌기(22)와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걸림돌기(22)의 파단 부위를 메우는 메움 돌출부(41a)를 구비하며, 메움 돌출부(41a)의 상측으로 절단부(43)가 제1 절취홈(31)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형태로 사선 방향으로 상면부(23)에 연결된다.
즉, 메움 돌출부(41a)를 제외한 몸통부(41)의 상단부가 제1 절취홈(31)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게 벌어져, 제1 절취홈(31)의 내측면과 절단부(43) 사이가 역삼각형 형상으로 상호 이격된다.
이러한 형상 유지부재(40)가 캡 본체(20)의 제1 절취홈(31)에 끼워져 있으면,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11)에 압입하여 결합할 때 형상 유지부재(40)가 제1 절취홈(31), 특히 걸림돌기(22)가 단절된 부위를 지지하여, 제1 절취홈(31)의 벌어짐 내지 걸림돌기(22)의 뭉개짐을 방지한다.
아울러 캡의 결합이 완료되면, 용기의 결속돌기(12)가 걸림돌기(22)의 상부에 걸림 결합되는데, 이때 결속돌기(12)의 돌출 구조로 인해 절단부(43)가 외측, 제1 절취홈(31)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절단부(43)가 상면부(23)에서 끊어지면서 형상 유지부재(40)가 캡 본체(20)에서 분리된다.
이 상태애서 파지부(42)를 잡고 형상 유지부재(40)를 제1 절취홈(31)의 하측 개구부로 잡아서 빼내어 제거하면, 제1 절취홈(31) 및 걸림돌기(22)의 형상을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사용 가능하여, 추후 캡의 분리를 손쉽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용기용 캡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기 11 : 주둥이부
20 : 캡 본체 21 : 스커트부
22 : 걸림돌기 23 : 상면부
24 : 배출구 25 : 코너부
26 : 마개 27 : 뚜껑
30 : 캡 분리수단 31 : 제1 절취홈
32 : 제2 절취홈 33 : 절곡홈
40 : 형상 유지부재 41 : 몸통부
42 : 파지부 43 : 절단부

Claims (4)

  1. 용기의 주둥이부에 결속되어 분리되지 않는 용기용 캡에 있어서,
    용기의 주둥이부에 외삽되며 내주면에 상기 주둥이부의 결속돌기에 걸림 결합되는 분리 방지용 걸림돌기를 구비한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내용물 배출구를 구비한 상면부를 포함한 캡 본체;
    상기 스커트부의 일측 내주면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절취홈, 상기 제1 절취홈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캡 본체의 코너부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절취홈, 상기 스커트부의 타측 내주면에서 상기 제1 절취홈과 대향하는 지점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홈을 포함한 캡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절취홈 및 제2 절취홈을 이용해 상기 상면부를 상기 스커트부에서 절단하여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분리할 수 있으면서, 상기 스커트부의 절단 시 상기 절곡홈을 기점으로 상기 스커트부가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취홈은 절단 시작부와 절단 끝단부가 원형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되, 상기 절단 끝단부가 상기 절곡홈을 지나 스커트부가 절단되는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홈은 외측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각이 진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은 외측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라운드진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KR1020190032763A 2019-03-22 2019-03-22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KR10211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63A KR102110373B1 (ko) 2019-03-22 2019-03-22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63A KR102110373B1 (ko) 2019-03-22 2019-03-22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373B1 true KR102110373B1 (ko) 2020-05-14

Family

ID=7073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63A KR102110373B1 (ko) 2019-03-22 2019-03-22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3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92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싱싱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20220015593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싱싱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20220060599A (ko) 2020-11-04 2022-05-12 (주)엠큐패키지 포장지 제조 시스템
KR20220168474A (ko) 2021-06-16 2022-12-23 (주)삼광유리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13A (ko) * 1996-03-22 1998-06-05 도케 게이시 힌지식 캡
JPH11321913A (ja) * 1998-03-18 1999-11-24 Mikasa Sangyo Kk 分別回収の容易なキャップ
KR200230218Y1 (ko) * 2001-01-29 2001-07-19 전연태 용기 마개
KR200335171Y1 (ko) * 2003-08-29 2003-12-03 박재문 병마개
KR20200032965A (ko) * 2018-09-19 2020-03-27 삼화왕관주식회사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13A (ko) * 1996-03-22 1998-06-05 도케 게이시 힌지식 캡
JPH11321913A (ja) * 1998-03-18 1999-11-24 Mikasa Sangyo Kk 分別回収の容易なキャップ
KR200230218Y1 (ko) * 2001-01-29 2001-07-19 전연태 용기 마개
KR200335171Y1 (ko) * 2003-08-29 2003-12-03 박재문 병마개
KR20200032965A (ko) * 2018-09-19 2020-03-27 삼화왕관주식회사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92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싱싱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20220015593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싱싱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20220060599A (ko) 2020-11-04 2022-05-12 (주)엠큐패키지 포장지 제조 시스템
KR20220168474A (ko) 2021-06-16 2022-12-23 (주)삼광유리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373B1 (ko)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KR101183567B1 (ko) 유입성 또는 유동성 제품을 담기 위한 용기
MXPA04008629A (es) Tapa de plastico para una lata.
KR20150127098A (ko) 일체성 보증 부재를 가진 플라스틱 클로져
RO120833B1 (ro) Recipient de formă conică şi capac
JP4907209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147604B2 (ja) 分別機能付ヒンジキャップ
JP4156055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ヒンジキャップ
JP5137705B2 (ja) 分別機能付ヒンジキャップ
JP3873174B2 (ja) 容器に使用されるキャップ
JP2000255615A (ja) 合成樹脂製のキャップ装置
JP2020070063A (ja) ヒンジキャップ
JP6363036B2 (ja) 打栓キャップ
JP5164581B2 (ja) 分別機能付ヒンジキャップ
JP3886896B2 (ja) 液注出容器のヒンジキャップ
JP4758114B2 (ja) 分別回収容易なキャップ
JP4486722B2 (ja) 合成樹脂製リサイクルキャップ
JP3949574B2 (ja) 液注出容器のヒンジキャップ
JP4815981B2 (ja) 中栓及び中栓付きキャップ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JP3905033B2 (ja) 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JP4320503B2 (ja) 容器用中栓
JPH11222253A (ja) 分別回収耐熱ヒンジキャップ
JP2001097427A (ja) 分別廃棄キャップ
KR200313957Y1 (ko) 뚜껑을 외부에 체결 할수 있는 내용물 위조방지용 속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