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085B1 -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085B1
KR102105085B1 KR1020180130982A KR20180130982A KR102105085B1 KR 102105085 B1 KR102105085 B1 KR 102105085B1 KR 1020180130982 A KR1020180130982 A KR 1020180130982A KR 20180130982 A KR20180130982 A KR 20180130982A KR 102105085 B1 KR102105085 B1 KR 10210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seating portion
coupled
support plat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창
정종민
허문욱
김재경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8013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4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using combinations of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 B62B2206/04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only the load suppor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베이스 지지대, 상기 베이스 지지대상에 완충지지패드에 의해 지지 결합되는 안착지지판, 상기 안착지지판 일측에 제1 일측안착부와, 상기 안착지지판 타측 상기 제1 안착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축선상에 형성되는 제2 타측안착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일측안착부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가능하도록 선형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일측안착부는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되되,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이다. 이에 따라, 피운반물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며, 외부충격으로부터 완충역할을 하여 보아 안정적인 피운반물의 지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반장치{Carry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센서를 포함한 다양한 피운반물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 및 이송을 위한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장비들의 기술발전에 따라, 다양한 센서 등이 부착 또는 포함된 부품이나 디바이스의 운반중 안전성이나 신뢰성에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스유량계와 같이 구조물 자체에 민감한 센서들이 결합되고, 이러한 센서들의 기능 및 작용은 가스유량계의 역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의 작동이 불능 또는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유량계의 근본적인 역할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대규모 시스템에 적용되는 등 그 피운반물의 하중이 점점 증가하는 경우, 일반적인 지지장치나 운반정치는 일반적으로 하중에 의한 지지를 기반으로 고정 및 운반하게 되므로, 외부충격이나 지지체의 내구성에 문제 등으로 진동이나 기울어짐과 같은 비정상적인 외부환경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일반적인 구조물의 경우에는 이러한 외부환경에 물리적인 영향이 미미하지만, 센서나 기타 민감한 장치들이 포함된 운반물의 경우에는 장치 자체의 작동의 문제로 인해, 적용되는 시스템이나 디바이스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민감한 센서 등이 부착된 운반물을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KR 2013-0056482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센서가 포함된 외부 충격에 민감안 다양한 피운반물을 이송 및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써, 피운반물을 외부충격에 의한 완충 및 다양한 스펙의 피운반물을 효과적으로 안정적 지지 및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피운반물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경우, 다양한 결합공에 대응되어 고정·결합되는 가변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피운반물의 고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베이스 지지대, 상기 베이스 지지대상에 완충지지패드에 의해 지지 결합되는 안착지지판, 상기 안착지지판 일측에 제1 일측안착부와, 상기 안착지지판 타측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축선상에 형성되는 제2 타측안착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일측안착부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선형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일측안착부는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되되,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일측안착부는 중공의 관형태로 절곡을 통해 외관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운반물이 안착되어 접촉되는 양측 접점에서 하중이 지지되는 중력방향에 대응되는 저면에 중력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중공의 관형태로 절곡을 통해 외관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운반물이 안착되어 접촉되는 양측 접점에서 하중이 지지되는 중력방향에 대응되는 저면에 중력방향으로 돌출된 제2 지지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측안착부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기 피운반물이 안착되어 접촉되는 대응면에 상기 피운반물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제1 일측안착부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의 대응면에 제1 마찰패드 및 제2 마찰패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지지패드는, 상기 베이스 지지대와 상기 안착지지판의 지지방향인 중력방향으로 압력을 완충하는 압축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탄성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측안착부의 외측방향에서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이격되어 간격이 조절되도록 선형운동하도록 상기 안착지지판에 결합되는 제1 일측가변고정구;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의 외측방향에서 상기 제2 타측안착부와 이격되어 간격이 조절되도록 선형운동가능 하도록 상기 안착지지판에 결합되는 제2 타측가변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일측안착부는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되되,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측가변고정구는 상기 피운반물의 양단에 결합된 플랜지의 일측 결합공에 삽입 고정시키도록 상기 결합공에 삽입방향으로 직경의 폭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의 제1 고정구 및 상기 제1 고정구를 상기 안착지지판상에서 선형운동가능 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1 고정구가 상기 마주보는 피운반물의 플랜지 결합공과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고정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측가변고정구는 상기 피운반물의 양단에 결합된 플랜지의 타측 결합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삽입방향으로 직경의 폭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의 제2 고정구 및 상기 제2 고정구를 상기 안착지지판상에서 선형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구가 상기 마주보는 피운반물의 플랜지 결합공과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고정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상기 제2 타측안착부의 마주보는 동축선상에서 상호 엇갈리는 대각선 방향의 축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구는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일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 반대측에서 상기 제1 고정구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나사산에 너트 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나사산에 연장된 제1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일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 반대측에서 상기 제2 고정구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산에 너트 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나사산에 연장된 제2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측안착부는 중공의 관형태로 절곡을 통해 외관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운반물이 안착되어 접촉되는 양측 접점에서 하중이 지지되는 중력방향에 대응되는 저면에 중력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중공의 관형태로 절곡을 통해 외관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운반물이 안착되어 접촉되는 양측 접점에서 하중이 지지되는 중력방향에 대응되는 저면에 중력방향으로 돌출된 제2 지지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측안착부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기 피운반물이 안착되어 접촉되는 대응면에 상기 피운반물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제1 일측안착부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의 대응면에 제1 마찰패드 및 제2 마찰패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지지패드는, 상기 베이스 지지대와 상기 안착지지판의 지지방향인 중력방향으로 압력을 완충하는 압축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탄성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운반물을 지지하는 안착부 중심부로 무게중심을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함으로써 피운반물의 장방향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른 비틀림이나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여 피운반물을 효과적으로 안착 및 지지하여 안전하게 이송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운반물이 결합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포함된 경우(예를 들어, 가스유량계 등)에 결합공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양측방향에서 고정결합할 수 있는 가변고정구를 통해 피운반물을 안정적으로 배치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고정구의 피운반물의 플랜지 결합공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고정구를 위치조절이 가능한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스펙의 피운반물에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지지대와 피운분물이 안착되는 안착판 사이에 완충지지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상하방향의 충격 및 운동을 안정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 피운반물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운반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접촉면상에 마찰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피운반물과의 접촉면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축방향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저지함으로써 피운반물의 안정적인 지지 및 운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부의 중앙부로 지지되는 피운반물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중지지방향에 대응되도록 안착부 저면에 지지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안착부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장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효과가 있다.
또한, 피운반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는 중공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외부 하중에 의한 비틀림이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착되는 피운반물의 하중에 따른 효과적인 무게중심을 유지함으로써 피운반물의 안정적 지지 및 운반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패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절개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적용가능 예시 피운반물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고정구의 배치구조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고정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고정구와 피운반물의 결합사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적용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패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절개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적용가능 예시 피운반물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고정구의 배치구조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고정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고정구와 피운반물의 결합사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적용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베이스 지지대(10), 상기 베이스 지지대상에 완충지지패드(40)에 의해 지지 결합되는 안착지지판(20), 상기 안착지지판(20) 일측에 제1 일측안착부(31)와, 상기 안착지지판(20) 타측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축선상에 형성되는 제2 타측안착부(32)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일측안착부(31)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32)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선형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일측안착부(31)는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타측안착부(32)는 상기 제1 일측안착부(31)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되되,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지지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가장 하단에서 피운반물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운반이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 지지대(10)의 각 모서리에는 운반을 위한 롤러 또는 바퀴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각 바퀴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이동 및 정지시의 운반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10)의 재질은 통상적인 강성재질의 금속 또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력을 견디기 위한 소정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베이스 지지대(10)상에는 안착지지판(20)이 결합된다. 안착지지판(20)은 실질적으로 피운반물이 안착되어 지지한다. 안착지지판(20)은 베이스 지지대(10)상에 결합될 때, 이격공간을 두고 소정 간격으로 완충지지패드(40)로 결합될 수 있다. 완충지지패드(40)는 베이스 지지대(10)와 안착지지판(20)을 소정간격을 통해 외부 충격이나 하방압력에 의한 완충지지역할을 하도록 한다. 완충지지패드(40)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압축스프링(41)을 포함하고 외부에 탄성커버(42)가 결합되어, 안착지지판(20)과 베이스 지지대(10)의 결합을 외부 충격이나 하방압력에 대해 완충적 지지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일측안착부(31)와 제2 타측안착부(32)는 실질적으로 피운반물이 안착되는 구조물이다. 제1 일측안착부(31)와 제2 타측안착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축선상에 배치되어, 피운반물의 길이방향으로 불균형하게 안착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안착부(31)와 제2 타측안착부(32)는 "M"자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일측안착부(31)와 제2 타측안착부(32)는 각각 동축선상에 대응되는 중심방향으로 양단에서 각각 마주보는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절곡됨으로써, 피운반물이 자연스럽게 중력방향으로 동축선상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면, 구체적인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향절곡되는 형상은, 도 1에서는 선형의 경사면을 예시하였지만, 피운반물에 따른 소정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안착부(31) 및 제2 타측안착부(32)는 각각 제1 안착부레일(31a)과 제2 안착부레일(32a)을 통해 피운반물의 하중방향 지지를 위한 효과적인 두 지점의 설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길이를 갖는 피운반물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안착부(31)는 중앙으로 폭이 좁아지는 공간에 피운반물이 안착되어, 그 하중이 중력방향으로 지지되는 경우에 제1 일측안착부(31)의 저면상에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돌출부(31b)가 형성된다. 제1 지지돌출부(31b)는 제1 일측안착부(31)에 일체로 가공되어 볼록하게 하중 지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운반물이 지지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하고, 제1 일측안착부(31)의 지지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제1 일측안착부(31)의 형상의 변경이나 하중방향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일측안착부(31)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는 접촉면상에는 제1 마찰패드(31c)를 형성하여, 안착되는 피운반물의 접촉시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통해 피운반물의 지지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안착부(31)는 중공(s)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부 공간을 유지하도록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제1 일측안착부(31)가 피운반물이 안착될 때의 제1 일측안착부(31)의 비틀림이나 변형을 최소화하고 강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함으로써, 피운반물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 및 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타측안착부(32)도 제1 일측안착부(31)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에서 운반물을 하중방향으로 제1 일측안착부(31)와 제2 타측안착부(32)가 지지하고, 양측방향으로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의 고정지지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지지판(20)에 고정되어 피운반물을 전후방향 고정되도록 물리적인 고정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유량계와 같이 양단에 결합공(71a)이 형성된 플랜지(71)를 포함하는 피운반물(70)의 경우에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일측가변고정구(50)와 제2 타측가변고정구(60)의 피운반물(70)의 하중방향 이외의 양측방향에서의 고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랜지(71)의 결합공(71a)상에 삽입되어 양측방향에서 고정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가변고정구(50)와 제2 타측가변고정구(60)는 안착지지판(20)의 양단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고정구레일(56)과 제2 고정구레일(66)을 통해 각각 길이방향으로의 선형이동하면서 피운반물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가변고정구(50)는 플랜지(71)의 결합공(71a)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플랜지(71)의 결합공(71a)의 변형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결합공(71a) 삽입방향으로 폭이 점점 작아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구(51), 제1 고정구(51)를 안착지지판(20)에 결합하여 선형운동가능 하게 하는 제1 고정지지판(54)과, 제1 고정구(51)를 제1 고정지지판(54)상에서 플랜지(71)의 결합공(71a)의 배치에 적절하게 위치를 조절하도록 제1 고정구(51)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홈(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5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선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된 두 개의 제1 가이드홈(55)을 형성하거나, 피운반물(70)의 결합공(71a)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제1 가이드홈(55)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가이드홈(55)의 선형길이나 배치 등에 따라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플랜지(71)의 형상 및 결합공(71a)의 배치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제1 고정구(51)를 제1 고정구레일(56)을 통해 피운반물(70)을 일측방향에서 이동조절함으로써, 타측의 제2 고정구(61)와 함께 효과적으로 피운반물(70)의 양측방향에서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고정구(51)는 제1 가이드홈(55)에 적절한 위치에 고정 및 해제를 위해 제1 가이드홈(55)을 중심으로 양단에서 결합되도록, 제1 고정구(51)에 제1 나사산(52)이 형성되어, 반대 측의 너트 부재 등으로 고정결합된다. 이때, 제1 나사산(52)에 너트 부재를 최초 결합시에 효과적으로 위치고정을 보조할 수 있도록, 제1 고정가이드부(53)가 제1 나사산(52)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가이드부(53)는 제1 나사산(52)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너트 부재가 제1 나사산(52)에 최초 결합될 때, 제1 고정가이드부(53)를 통해 원하는 제1 가이드홈(55)의 위치를 외부에서 고정하면서 너트 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고정가이드부(53)는 효과적인 고정을 위해 제1 나사산(52)의 형상과 별도로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타측가변고정구(60)의 대응되는 제2 고정구(61), 제2 가이드홈(65), 제2 고정지지판(64), 제2 나사산(62) 및 제2 고정가이드부(63)는 제1 일측가변고정구(50)의 대응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가변고정구(50)와 제2 타측가변고정구(60)는 피운반물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피운반물의 이동을 고정 및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1 일측가변고정구(50)의 제1 고정구(51)가 고정되는 위치, 즉, 제1 가이드홈(55)의 위치와 이에 대응되는 제2 타측가변고정구(60)의 제2 고정구(61)가 고정되는 위치, 즉 제2 가이드홈(65)의 위치는 피운반물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리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피운반물의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피운반물을 보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안착부(31) 및 제2 타측안착부(32)와 제1 일측가변고정구(50) 및 제2 타측가변고정구(60)를 통해 피운반물을 하중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안정적인 고정결합을 함과 동시에, 외부충격에 의한 완충구조를 통해 피운반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베이스 지지대 20: 안착지지판
31: 제1 일측안착부 32: 제2 타측안착부
31a: 제1 안착부레일 32a: 제2 안착부레일
31b: 제1 지지돌출부 32b: 제2 지지돌출부
31c: 제1 마찰패드 32c: 제2 마찰패드
40: 완충지지패드 41: 압축스프링
42: 탄성커버
50: 제1 일측가변고정구 60: 제2 타측가변고정구
51: 제1 고정구 61: 제2 고정구
52: 제1 나사산 62: 제2 나사산
53: 제1 고정가이드부 63: 제2 고정가이드부
54: 제1 고정지지판 64: 제2 고정지지판
55: 제1 가이드홈 65: 제2 가이드홈
56: 제1 고정구레일 66: 제2 고정구레일
70: 피운반물 71: 플랜지
71a: 결합공
s: 중공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베이스 지지대;
    상기 베이스 지지대상에 완충지지패드에 의해 지지 결합되는 안착지지판;
    상기 안착지지판 일측에 제1 일측안착부와, 상기 안착지지판 타측 상기 제1 안착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축선상에 형성되는 제2 타측안착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일측안착부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가능하도록 선형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일측안착부는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타측안착부는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되되, 상기 동축선상에 피운반물이 안착되도록 양단에서 내측 중심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이며,
    상기 제1 일측안착부의 외측방향에서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이격되어 간격이 조절되도록 선형운동하도록 상기 안착지지판에 결합되는 제1 일측가변고정구;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의 외측방향에서 상기 제2 타측안착부와 이격되어 간격이 조절되도록 선형운동가능하도록 상기 안착지지판에 결합되는 제2 타측가변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일측가변고정구는,
    상기 피운반물의 양단에 결합된 플랜지의 일측 결합공에 삽입 고정시키도록 상기 결합공에 삽입방향으로 직경의 폭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의 제1 고정구; 및
    상기 제1 고정구를 상기 안착지지판상에서 선형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1 고정구가 상기 마주보는 피운반물의 플랜지 결합공과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고정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측가변고정구는,
    상기 피운반물의 양단에 결합된 플랜지의 타측 결합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삽입방향으로 직경의 폭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의 제2 고정구; 및
    상기 제2 고정구를 상기 안착지지판상에서 선형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구가 상기 마주보는 피운반물의 플랜지 결합공과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고정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운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상기 제1 일측안착부와 상기 제2 타측안착부의 마주보는 동축선상에서 상호 엇갈리는 대각선 방향의 축상에 형성되는 운반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는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일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 반대측에서 상기 제1 고정구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나사산에 너트 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나사산에 연장된 제1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상기 제2 가이드홈에 일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 반대측에서 상기 제2 고정구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산에 너트 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나사산에 연장된 제2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된 운반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30982A 2018-10-30 2018-10-30 운반장치 KR10210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982A KR102105085B1 (ko) 2018-10-30 2018-10-30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982A KR102105085B1 (ko) 2018-10-30 2018-10-30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085B1 true KR102105085B1 (ko) 2020-04-27

Family

ID=7046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982A KR102105085B1 (ko) 2018-10-30 2018-10-30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08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6551A (zh) * 2020-07-02 2020-08-07 山东工商学院 一种用于数控机床的减震底座
KR102228944B1 (ko) 2020-07-07 2021-03-16 백종운 안전 이송을 위한 카트용 안전커버
CN113635952A (zh) * 2021-08-09 2021-11-12 江苏道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三元正极材料生产用物料静态转运装置
CN114560004A (zh) * 2022-03-31 2022-05-31 浙江安防职业技术学院 化学用圆底***运输装置
KR102407162B1 (ko) * 2021-05-13 2022-06-10 김보억 원자력 발전소의 승압펌프 분해점검을 위한 운반장치
KR20220001487U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무진동 운반 장치
CN114872609A (zh) * 2022-06-15 2022-08-09 山东开泰抛丸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输送装置辅助防护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999A (ja) * 2001-07-13 2003-01-29 Nec Kansai Ltd 無振動台車
KR20120006995U (ko) * 2011-04-01 2012-10-10 국방과학연구소 시험체 입고용 2단 대차식 운반장치
KR20130056482A (ko) 2011-11-22 2013-05-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랭크 샤프트 지지장치
KR20130136294A (ko) * 2012-06-04 2013-12-12 한국가스공사 안전밸브의 이송지그
KR20150102496A (ko) * 2014-02-28 2015-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스풀 운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999A (ja) * 2001-07-13 2003-01-29 Nec Kansai Ltd 無振動台車
KR20120006995U (ko) * 2011-04-01 2012-10-10 국방과학연구소 시험체 입고용 2단 대차식 운반장치
KR20130056482A (ko) 2011-11-22 2013-05-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랭크 샤프트 지지장치
KR20130136294A (ko) * 2012-06-04 2013-12-12 한국가스공사 안전밸브의 이송지그
KR20150102496A (ko) * 2014-02-28 2015-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스풀 운반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6551A (zh) * 2020-07-02 2020-08-07 山东工商学院 一种用于数控机床的减震底座
KR102228944B1 (ko) 2020-07-07 2021-03-16 백종운 안전 이송을 위한 카트용 안전커버
KR20220001487U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무진동 운반 장치
KR200496100Y1 (ko) * 2020-12-17 2022-11-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무진동 운반 장치
KR102407162B1 (ko) * 2021-05-13 2022-06-10 김보억 원자력 발전소의 승압펌프 분해점검을 위한 운반장치
CN113635952A (zh) * 2021-08-09 2021-11-12 江苏道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三元正极材料生产用物料静态转运装置
CN114560004A (zh) * 2022-03-31 2022-05-31 浙江安防职业技术学院 化学用圆底***运输装置
CN114872609A (zh) * 2022-06-15 2022-08-09 山东开泰抛丸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输送装置辅助防护结构
CN114872609B (zh) * 2022-06-15 2023-11-10 山东开泰抛丸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输送装置辅助防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085B1 (ko) 운반장치
JP6974478B2 (ja) タワー制振装置
US8662757B2 (en) Self adjusting bearing used on CT gantry
US4899852A (en) Elevator car mounting assembly
US10408298B2 (en) Elastomeric force mitigating joint
JP2011063389A (ja) 乗客コンベアのトラス支持装置
CN105229365A (zh) 用于将内部容器热绝缘地安装在外部容器中的悬挂***和容器布置
KR102038804B1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면진장치 및 그 면진장치의 조립구조체
KR101537369B1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JP2009149339A (ja) 輸送用ショック低減装置
EP0834035B1 (en) Vibration isolation device and method
TW201834937A (zh) 防振托板及玻璃捆包體
JPH08333831A (ja) 壁体パネル取付金具
JP2011105489A (ja) 振動式物品搬送装置及び部品供給システム
TW201529446A (zh) 構成構造物的柱之免震構造及構造物
JP7223535B2 (ja) 吊り下げ支持装置
US20090206048A1 (en) Suspended platform for overhead traveling carriage
KR101267134B1 (ko) 면진 장치
JP4849230B2 (ja) 荷保管用ラックの荷支持装置
KR102051069B1 (ko) 도계 정밀 계량을 위한 컨베이어 레일의 충격 완화장치
JP7433795B2 (ja) 天井支持構造
JP7169224B2 (ja) ダンパー装置
US20240039363A1 (en) Tube-in-tube structure for linear motor machine
JP5033230B2 (ja) 免震装置
JPH0439479A (ja) 全方向型バルブ振動吸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