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808B1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08B1
KR102098808B1 KR1020180168193A KR20180168193A KR102098808B1 KR 102098808 B1 KR102098808 B1 KR 102098808B1 KR 1020180168193 A KR1020180168193 A KR 1020180168193A KR 20180168193 A KR20180168193 A KR 20180168193A KR 102098808 B1 KR102098808 B1 KR 10209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extract
constipation
diarrhe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희
정욱
Original Assignee
비타민하우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타민하우스(주) filed Critical 비타민하우스(주)
Priority to KR102018016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바이오틱스는 변비 및 설사 유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장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장 건강에 유익하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Composition of synbiotics for suppressing constipation and diarrhea induc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VH13 an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hot-water extract}
본 발명은 변비,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생균제로 섭취했을 때 숙주의 건강상 도움을 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 각광받으면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복용되는 건강기능식품 중의 하나다. 우리나라 식약처에서도 정장작용을 기능성으로 인정하여 변비개선과 설사유발억제 등의 효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투입된 유산균은 장 내 세균과의 경쟁구도 속에서 서식지를 점령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장의 균총 양상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미미하다는 최근의 보고가 잇따르고 있어(Zmore et al, 2018) “정장작용” 이라는 기능성을 보인다는 것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장 속에서 변비개선이나 설사유발억제와 같은 기능성이 일괄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시장의 평가와도 일치된 의견으로 보여진다. 이는, 외부에서 투입된 프로바이오틱스가 장내 점착을 하지 못하고 그대로 배설되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이를 방증하는 것은 프로바이오틱스가 생균제인데도 불구하고 일정 수 이상의 생균을 매일 복용하도록 되어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유산균의 장 내 서식지 점령에 도움을 주고자 유산균의 먹이원이 되는 프리바이오틱스를 프로바이오틱스와 함께 제제화하여 신바이오틱스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널리 도입되고 있는 프리바이오틱스인 프락토올리고당은 유산균의 장부착에는 별 효과를 주지 못함이 밝혀졌는바, 실질적으로 장내 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81794호 타가토스 및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함유하는 신바이오틱 식품 조성물,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6093호 야콘 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포함하는 신바이오틱 조성물 등이 있으나, 이들은 프리바이오틱스로 각각 타가토스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등록특허 제10-1805863호 신바이오틱 발효 산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신바이오틱 발효산물은 콩과 귀리의 혼합물에 유산균 배양액을 접종 발효시킨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800호 주박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바이오틱 조성물, 항균제,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은 주박을 포함하는 신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장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면서 변비, 설사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프리바이오틱스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38179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6093호 등록특허 제10-180586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800호
Zmora N, Zilberman-Schapira G, Sues J, More U, Dor-Bachaxh M et al, Personalized but mucosal colonization resistance to empiric probiotics is associated with unique host and microbiome features. Cell 174: 1388-1405, 2018. Nair AB, Jacob S, A simple practice guide for dose conversion between animals and human. J basic Clin Pharma 7: 27-31, 20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KFCC11759P)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KFCC11759P)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미역귀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경우,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증기 추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열수 추출로 추출할 경우, 추출온도는 25 내지 90°C에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간은 1 내지 3시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미역귀열수추출물의 최종 성상은 액상으로 환원당 기준 0.2 내지 1 mg/ml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mg/ml 일 수 있다.
환원당은 당분자의 알데히드기 또는 케톤기가 유리 또는 헤미아세탈형으로 존재하는 것의 총칭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환원당은 글루코오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원당 기준 적정 농도를 인체적용 농도로 환산할 경우, 하기 표 1에 의해 환산할 수 있다(Nair and Jacob, 2016).
Figure 112018129622005-pat00001
상기 표 1에 의해 rat으로 실험한 뒤 최적 농도가 산출되어 이를 인체에 적용할 경우,
부작용이 없는 최적의 환산 농도 X (mg/kg)*0.16/kg
로 계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변비 및 설사 유발 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 또는 부원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 또는 부원료에는 설탕, 감미료, 유크림, 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원료의 구체적인 예에는 결정포도당, 결정셀룰로오스, 말토덱스트린,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결정과당, 유당혼합분말, 식물성크림분말, 브로멜라인, 이소말트, 자일리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액제(음료, 파우치), 정제, 환제, 캡슐, 스틱형, 필름형, 젤리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활택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활택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바이오틱스는 변비 및 설사 유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섭취시 장 건강에 유익하다.
도 1은 환원당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550mm 파장에서 측정된 흡수스펙트럼의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상온 물 침지 시간에 따라 미역귀에서 용출되는 상등액 염분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상온 물 침지 시간에 따라 미역귀에서 용출되는 상등액 환원당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환원당의 용출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상등액에서 검출된 미역귀의 환원당 농도, B는 90°C, 1.5시간 노출시킨 알긴산 상등액에서 검출된 환원당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미역귀열수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VH13의 부착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에 의한 기능성검정을 위한 동물(rat) 실험 디자인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경구투여로 인한 Rat에서의 변비유발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경구투여에 의한 하행결장 장점막 상피세포에서의 CxCl1 (IL-8) 유전자의 상대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경구투여로 인한 Rat에서의 설사유발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경구투여에 의한 하행결장 장점막 상피세포에서의 IL-10과 Muc2 유전자의 상대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미역귀열수추출의 생산
1.1 미역귀열수추출물의 표준화 작업
미역귀의 대표물질이 복합다당체이고 in vitro상 기능성분이 수용성이기 때문에 수용성 분획의 표준화 작업을 위하여 열수추출물 내의 총 환원당을 지표물질로 정하였다. 농도의 예측은 Dinitrosalicylic acid (DNS)에 의한 비색법을 적용하여 550nm에서의 흡수정도를 UV-Vis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800, JP)로 측정 후 표준그래프에 대입하여 산정하였다. 농도예측을 위한 표준그래프는 미역귀에 존재하고 환원당으로 대변되는 Glucose를 도입하였다(도 1).
1.2. 미역귀 염분제거 및 추출시간의 산정
미역귀에 내재된 염분을 최대로 제거하기 위한 최소 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10g의 미역귀를 100g의 물에 침지 후 상등액으로 흘러나온 염분의 농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물로 용출된 염분은 60분 후 최대치가 되어, 도입한 미역귀 10g 중 2g, 총 20%가 염으로 빠져나갔음을 볼 수 있었다(도 2a). 그러나 미역귀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성분이 수용성으로 예측됨에 따라 침지할 때 소실될 가능성이 있었기에, 이에 따라 60분 동안 얼마나 유출되는지 알아보고자 수용성으로 대변되는 환원당을 측정했다(도 2b).
측정결과, 상등액으로 용출된 환원당은 10g의 미역귀에서 60mg정도로, 60분 후 최대 유실 후 정지되었다. 이것은 미역귀가 수확될 때 외부 환경조건에 따라 분해된 미역귀의 단당류가 겉 표면에 붙어있다가 용출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염분제거의 조건은 10배의 물에서 60분으로 정하였다.
1.3. 미역귀열수추출물 생성 조건의 확립
상기에서 염분을 제거한 미역귀 10g에 다시 10배의 물을 첨가하고 90°C 혹은 25°C 에서 시간에 따른 환원당의 용출정도를 측정하였다(도 3). 25°C 에서 추출한 미역귀에서는 상등액으로 용출된 환원당의 양이 0.01% 수준으로 3시간동안 큰 변동이 없었던 반면(도 3의 A), 90°C 열을 가한 추출물에서는 추출 후 1.5시간 후 최대 0.15%의 환원당이 검출되었고, 이는 미역귀 10g에서 150mg의 환원당을 얻은 결과이다. 시간을 더 오래 적용시켰을 때는 용출된 환원당이 오히려 감소하였는데, 이는 고온에 장시간 노출시킨 데에 따른 분해작용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미역귀열수추출물의 생산조건은 90°C에서 1.5시간으로 정하였다. 미역귀의 수용성 성분 중 다량으로 함유된 알긴산은 90°C 1.5 시간의 열수추출조건하에서는 환원당으로 검출되지 않아(도 3의 B) 도 1에서 검출된 환원당은 알긴산의 부산물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생산된 미역귀열수추출의 성상은 액상으로, 비색법에 의한 환원당의 농도는 0.2~1mg/ml 이었다.
1.4 미역귀열수추출물의 in vitro 장 부착 효과 검정
상기 1.2에서 생성된 미역귀열수추출물에 대한 in vivo 기능성 검정 전, 추출물이 in vitro 상 기능을 보이는지 우선 검정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24-well plate에 HT-29 세포주를 90% confluency가 되게 배양하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 유산균 106cfu/ml와 미역귀열수출물 처리 후 총 3시간동안 37°C 에서 정치시킨 뒤 배지용액을 없애고 PBS 용액으로 2번 washing 하고 trypsin 으로 상피세포를 떼어낸 후, 상피세포에 부착된 유산균의 수를 dilution plating 방법으로 계수하였다. 총 투여한 유산균 대비 부착된 유산균의 비율을 구하여 미역귀열수추출물 투입 농도에 따른 부착율을 표시하였으며,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도 4의 기재 중 C는 유산균만 포함된 것, 5는 유산균+미역귀열수추출물(환원당 5μg 포함), 25는 유산균+미역귀열수추출물(환원당 25μg 포함), 50은 유산균+미역귀열수추출물(환원당 50μg 포함) 포함된 것을 의미).
실험 결과, 총 환원당 5μg 적용시 부착율이 대조구 대비 44% 증가하였고 50μg 투여 시에는 1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실험결과의 최대치인 50μg 을 기준으로 최종제품에 물리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미역귀추출물의 부피를 계산하여 in vivo 기능성 검정을 위한 미역귀 열수추출물의 동물 투여 농도를 환원당 기준 100μg/rat (0.2mg/kg) 으로 결정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복용에 인한 변비유발억제
1-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복용에 인한 변비/설사 유발억제 기능성조사 동물실험 디자인
변비구(A)는 Loperamide 5mg/kg 을 5일 동안 하루 2번(오전 9시, 오후 6시) 경구투여하여 증세를 유도하였고, 설사구(B; 염증성장질환, IBD)는 3%의 Dextran Sulfate Sodium를 음용수에 희석하여 7일간 투여하여 증세를 유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 108cfu + 미역귀열수추출물)를 1주일간 약물과 동시에 투여하여 변비구의 경우는 1주일, 설사구는 2주 뒤에 분변을 수거하였다. 분변 수거 직전 24시간 동안의 분변을 수거하여 총 무게와 수분을 특정하고 하행결장의 건강상태를 보기 위해 직장 바로 위 30 내지 40mg 조직을 채취하여 유전자분석을 시행하였고, 동물실험 디자인은 도 5에 나타내었다.
1-2.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복용에 인한 변비유발억제 평가
상기 1-1에서 24시간 동안 수거한 분변의 양은 대조구 대비, 약물투여구인 Loperamide 구에서 약 35%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유산균+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투여구 (Lop+Lp+Uex) 에서는 약물의 작용이 상쇄되어 대조구 수준으로 회복됨을 볼 수 있었다(도 6의 a. 도 6의 C는 대조구; Lop, Loperamide 약물구; L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 Uex, 미역귀열수추출물; Fos, 프락토올리고당을 의미함). 반면, 비교구인 유산균+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 투여구 (Lop+Lp+Fos)는 약물투여구 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유산균+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투여구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미역귀열수추출물과 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 투여에 의한 변비유발 억제 효과의 차이는 수분 함량을 측정한 도 6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약물이나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제제화한 신바이오틱스 투여구에서는 수분의 함량이 늘어나지 않은 반면 유산균+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투여구에서는 상당수준 증가 하여 효과적으로 변비유발억제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 6의 b에서, 약물구의 수분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지 않은 것은 설치류의 분변 자체가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약물로 인한 수분감소 폭이 크지 않았던 이유로 사료된다. 반면, 미역귀열수추출물이 함유된 신바이오틱스(LP+Lop+Uex)를 투여한 구에서는 분변 내 수분을 함유하는 효과가 커서 대조구 수준보다도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된다. 이러한 효과는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제제화한 신바이오틱스(LP+Lop+Fos)로는 볼 수 없기 때문에 미역귀열수추출물이 주는 영향이 변비유발 억제에 상당한 긍정효과를 주었다고 사료된다. 사람의 변은 설치류보다 상대적으로 수분함량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변비의 유무에 따른 분변 내 수분함량의 변화폭이 클 것으로 예측되어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복용으로 인한 변비유발 억제효과가 설치류에서보다 클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도입 농도에서는 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에 의한 변비유발억제는 볼 수 없었으나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복용으로는 변비유발억제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3. 염증인자 발현량에 따른 변비유발억제 평가
변비억제와 같은 장환경의 개선은, 장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염증물질의 발현빈도를 통해서도 알 수 있기 때문에 표 2에 언급된 프라이머를 이용한 real time RT-PCR 로 대장암의 지표 염증인자인 Cxcl1 (사람의 경우, IL-8)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하였다(내재적 house keeping gene의 발현량은 β-actin 으로 측정하였다).
서열번호 유전자 Reference 프라이머 서열 Size
(bp)
Tm(℃)/GC(%)
1 Cxcl1 NCBI Forward: CAG ACA GTG GCA GGG ATT CAC 254 59/57
2 Reverse: GGA CAA TCT TCT GAA CCA TGG 55/48
3 β-actin NCBI Forward : GTC ACC AAC TGG GAC GAC AT 210 58/55
4 Reverse: GAG GCG TAC AGG GAT AGC AC 58/60
대조구에 비교한 상대유전량을 나타낸 도 7을 보면,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를 먹인 그룹 (LP+Lop+Uex)에서 Cxcl1 유전자 발현량이 대조구와 약물구에 비해 하행결장에서 20% 감소하였다. 이는 약물구뿐 아니라 물만 먹인 대조구와 비교해도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에 의해 결장의 염증이 잘 조절되어 전반적인 장 환경이 건강한 방향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도 염증조절에서는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도 7에서 변비유발억제 효과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염증조절의 직접적인 원인은 이전 연구 결과에 따라 프리바이오틱스가 아닌 신바이오틱스에 존재하는 유산균의 작용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프락토올리고당은 장 세포에 유산균이 부착하는 것을 돕지 못하기 때문에 유산균의 점착율을 높였던 미역귀열수추출물보다는 장기적인 염증조절에 불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간혹 변비의 원인이 있다 해도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를 평소 복용하고 있다면 변비 유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장기적인 염증조절로 인한 전반적인 장의 건강을 유지하는데도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 VH13+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복용에 인한 설사유발억제
2-1. 배변양 측정을 통한 설사유발 억제 실험
상기 실험동물의 희생직전 24시간 동안 수거한 변의 양을 측정하여 설사유발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C: 대조구, DSS: Dextran Sulfate Sodum, L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 Uex: 미역귀열수추출물, Fos: 프락토올리고당을 각각 섭취한 실험군이며, 도 8의 a는 분변의 무게, b는 분변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결과, 약물투여구(DSS), 유산균+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DSS+Lop+Uex), 유산균+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DSS+Lop+Fos) 투여구에서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도 8의 a). 설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분변 내 수분 함량을 비교하였는데(도 8의 b), 약물투여구는 약물에 의해 설사가 유발되어 대조구보다 수분의 함량이 늘어났으나,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투여구의 수분함량은 대조구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는 반대로 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 투여구는 약물구 수준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도 8의 a에서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투여구의 늘어난 변의 양은 배변량이 증가한 것이고 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 투여구의 늘어난 변의 양은 수분증가에서 온 것이었다. 즉, 약물구와 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 투여구에서는 설사가 조절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염증인자 발현량에 따른 변비유발억제 평가
염증성장질환은 특정 원인에 의해 장 상피세포에서 염증의 생성과 회복이 반복되면서 장을 보호하는 점막이 파괴됨으로써 설사가 일어나고 심하면 혈변을 보게 된다. 따라서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복용으로 조절된 설사가 장 상피조직에서 염증인자의 조절로 인한 것인지, 또는 장 상피세포의 건강회복을 위한 점막생성인자의 작용은 어느 정도 인지 보기 위해 지표마커인 항염증인자 IL-10 과 장점막생성의 주된 유전자인 muc2의 발현량을 표 3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real time RT-PCR로 측정하였다(내재적 house keeping gene의 발현량은 β-actin 으로 측정함).
서열번호 유전자 Reference 프라이머 서열 Size(bp) Tm(℃)/GC(%)
5 Muc2 NCBI Forward: GGC ACC TAC CTT GTT GTG GAG 193 59/57
6 Reverse: GCA TTC TCG GTG CAC GCA CA 62/60
7 IL-10 NCBI Forward : GCT CAG CAC TGC TAT GTT GCC 207 60/57
8 Reverse: GCA GTA AGG AAT CTG TCA GC 54/50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 (DSS+Lop+Uex) 투여구에서 약물구 대비 43% 증가하여 염증이 효과적으로 조절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9). 또한, muc2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볼 때도 약물구 대비 80% 이상 증가하여 장 상피가 잘 보호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 (DSS+Lop+Fos) 투여구도 유전자 지표로 볼 때 약물투여구 대비 항염증인자와 점막생산인자의 발현량이 증가하여 단기간 복용에 의한 유산균의 작용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프락토올리고당은 유산균의 장 점막에 대한 부착을 보조하지 않는 관계로 유산균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또한, 프락토올리고당 신바이오틱스가 단기간의 염증조절 작용이 있다 해도 가시적인 설사억제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도 8) 단기간의 설사조절에는 효율적이지 않은 조합인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유산균+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는 약물로 인한 설사를 단기간 내에 조절해 주는 효과가 크고 염증조절 및 장점막의 형성에도 긍정역할을 한다고 사료된다. 이는, 간혹 설사의 원인이 있다 해도 미역귀열수추출물 신바이오틱스를 평소 복용하고 있다면 설사의 유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장기적인 장 환경의 건강유지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인체적용치 환산
본 발명에서 사람에 투여할 수 있는 미역귀열수추출물의 환원당 기준 농도는 rat실험 유효농도 0.01mg/일/0.5kg rat 일 때, 표 1에 의거 60kg 사람기준0.2(mg/kg)*0.16*60kg=1.92mg 즉 2mg/일 이다. 사람의 체중은 다양하고 나타나는 변비 혹은 설사 증세의 정도도 다양하므로 특정 수치가 아닌 범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4에서 본 최소치인 0.005mg/일/0.5kg rat 를 적용하여 최소 0.1mg/일을 투여하거나 동물실험에서 산정된 적용치인 2mg/일 보다 5배인 10mg/일을 섭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60kg인 사람에게 투여할 수 있는 미역귀열수추출물의 환원당 기준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2(mg/kg)*0.16*60kg=1.92, 약 2mg/일 이나 개인의 상태에 따라 0.01(mg/kg)*0.16*60kg=0.092 내지 1*0.16*60kg=9.6, 즉 약 0.1mg/일 내지 10mg/일 일 수 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FCC11759P 20180104
<110> VITAMIN HOUSE INC. <120> Composition of synbiotics for suppressing constipation and diarrhea induc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VH13 an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hot-water extract <130> 18-11224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Cxcl1 <400> 1 cagacagtgg cagggattca c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Cxcl1 <400> 2 ggacaatctt ctgaaccatg g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beta-actin <400> 3 gtcaccaact gggacgaca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beta-actin <400> 4 gaggcgtaca gggatagcac 20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Muc2 <400> 5 ggcacctacc ttgttgtgga g 21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Muc2 <400> 6 gcattctcgg tgcacgcaca 20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of IL-10 <400> 7 gctcagcact gctatgttgc c 21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of IL-10 <400> 8 gcagtaagga atctgtcagc 20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미역귀 열수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VH13(KFCC11759P)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로서,
    상기 미역귀 열수 추출물은 9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이되, 환원당을 0.2 내지 1mg/ml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3항의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168193A 2018-12-24 2018-12-2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209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93A KR102098808B1 (ko) 2018-12-24 2018-12-2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93A KR102098808B1 (ko) 2018-12-24 2018-12-2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808B1 true KR102098808B1 (ko) 2020-04-16

Family

ID=7045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193A KR102098808B1 (ko) 2018-12-24 2018-12-2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254A (ko) 2021-04-09 2022-10-18 비타민하우스(주)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503B1 (ko) * 1996-09-11 1999-06-15 박진우 해조류 고형분과 엑기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해조환
KR101381794B1 (ko) 2012-04-10 2014-04-07 씨제이제일제당 (주) 타가토스 및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함유하는 신바이오틱 식품 조성물
KR20150010034A (ko) * 2013-07-17 2015-01-28 주식회사 해림후코이단 미역귀차 조성물
KR20150083209A (ko) * 2014-01-09 2015-07-1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미역 또는 다시마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유 및 드레싱의 제조방법
KR20160114800A (ko) 2015-03-24 2016-10-06 주식회사 국순당 주박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바이오틱 조성물, 항균제,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1805863B1 (ko) 2015-07-01 2017-12-07 주식회사 위드바이오코스팜 신바이오틱 발효 산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신바이오틱 발효산물
KR20180116093A (ko) 2017-04-14 2018-10-2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503B1 (ko) * 1996-09-11 1999-06-15 박진우 해조류 고형분과 엑기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해조환
KR101381794B1 (ko) 2012-04-10 2014-04-07 씨제이제일제당 (주) 타가토스 및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함유하는 신바이오틱 식품 조성물
KR20150010034A (ko) * 2013-07-17 2015-01-28 주식회사 해림후코이단 미역귀차 조성물
KR20150083209A (ko) * 2014-01-09 2015-07-1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미역 또는 다시마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유 및 드레싱의 제조방법
KR20160114800A (ko) 2015-03-24 2016-10-06 주식회사 국순당 주박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바이오틱 조성물, 항균제,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1805863B1 (ko) 2015-07-01 2017-12-07 주식회사 위드바이오코스팜 신바이오틱 발효 산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신바이오틱 발효산물
KR20180116093A (ko) 2017-04-14 2018-10-2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ir AB, Jacob S, A simple practice guide for dose conversion between animals and human. J basic Clin Pharma 7: 27-31, 2016.
Zmora N, Zilberman-Schapira G, Sues J, More U, Dor-Bachaxh M et al, Personalized but mucosal colonization resistance to empiric probiotics is associated with unique host and microbiome features. Cell 174: 1388-1405, 201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254A (ko) 2021-04-09 2022-10-18 비타민하우스(주)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609638B1 (ko) * 2021-04-09 2023-12-04 엔피케이(주)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ntreras Anticariogenic properties and effects on periodontal structures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Narrative review
KR101856602B1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EP356050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N106163300B (zh) 营养组合物
Song et al. Anti-colitic effects of kanjangs (fermented soy sauce and sesame sauce) in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 mice
Hoseinifar et al. Dietary apple peel-derived pectin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tioxidant enzymes and immune response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innaeus, 1758)
KR101791549B1 (ko) 얌빈 지하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세균성 조성물
KR102098808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KR20140067826A (ko)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4254B1 (ko)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2074295A1 (en) A composition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senile dementia
US8338389B2 (en) Ag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besity
JP6241644B2 (ja) PPARγ発現向上剤、並びにそれを含む基礎代謝向上剤、筋肉疲労回復向上剤、PPARγ発現向上用医薬組成物及びPPARγ発現向上用飲食品
KR20220055887A (ko)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성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1956738A (zh) 一种黄精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534498B1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2051811A (ja) 免疫増強剤
Jeong et al. The effect of polyphenols isolated from Cynanchi wilfordii Radix with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Mahmoud et al. Prevention of tri-nitrobenzene of sulfonic acid-induced colitis in chicken by using extract of Aloe vera.
KR20210003614A (ko)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118316B2 (ja) 肥満予防・改善剤
CN104642869B (zh) 一种具有通便功能的保健食品
JP5872534B2 (ja) 腸内環境改善剤
KR102174016B1 (ko) 홍해삼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210919B1 (ko)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