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440B1 -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440B1
KR102096440B1 KR1020150107389A KR20150107389A KR102096440B1 KR 102096440 B1 KR102096440 B1 KR 102096440B1 KR 1020150107389 A KR1020150107389 A KR 1020150107389A KR 20150107389 A KR20150107389 A KR 20150107389A KR 102096440 B1 KR102096440 B1 KR 10209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ray
contact array
contact pins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476A (ko
Inventor
최정훈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3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듀얼 SMT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모든 컨택트 핀들을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컨택트 핀들의 배열 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열을 이루며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이격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열을 이루며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제 2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의 조립체를 감싸는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가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와 동일한 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INCULUDING THE IMPROVED CONTACT ARRAY STRUCTURE}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택트 어레이의 배열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되어 그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USB(Micro Universal Serial Bus) 규격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된다.
최근 새로운 USB 규격인 타입-C(type-C) 커넥터의 세부 정보가 IDF(Intel Developer Forum)에서 공개되었다. USB 타입-C 커넥터는 USB 2.0 Micro-B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며,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방향에 구애받지 않아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USB 타입-C 커넥터는 기존 USB 3.0보다 2배 빠른 10Gbps에 이르는 전송 속도를 가지며, 100W까지 전력 공급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예상된다.
USB 타입-C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실장 방식에 따라 듀얼(Dual) SMT(Surface Mount Technology) 타입과 하이브리드(Hybrid: SMT+DIP) 타입으로 구분된다. 하이브리드 타입은, 2열의 컨택트 핀 중 1열의 컨택트 핀이 SMT 타입으로 표면 실장되고 나머지 1열의 컨택트 핀은 DIP(Dual In line Package) 타입으로 삽입 실장되는 방식이다. 이때 DIP(Dual In line Package) 타입은 커넥터의 컨택트 핀이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쓰루-홀(Through-hole)에 삽입되어 실장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타입의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에 쓰루-홀을 가공해야 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뒷면을 활용할 수가 없게 되고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공간 활용도가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SMT 타입은 USB 타입-C 커넥터의 컨택트 핀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맞닿아 실장되는 방식으로, 듀얼 SMT 타입은, 2열의 컨택트 핀이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SMT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SMT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소정 형상의 인슐레이터(Insulator)(11)와, 상기 인슐레이터(11)에 조립된 제 1 컨택트 어레이(12) 및 제 2 컨택트 어레이(13)와, 제품의 외부를 감싸는 쉘(Shell)(10)을 포함한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2)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3)는 서로 나란하게 각각 1열씩 마련되고 모두 SMT(Surface Mount Technology) 타입 컨택트 핀들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듀얼 SMT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한 제 2 컨택트 어레이(13)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해당 제 2 컨택트 어레이(13)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후에는 검사 및 수리가 불가능한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듀얼 SMT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모든 컨택트 핀들을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컨택트 핀들의 배열 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열을 이루며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이격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열을 이루며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제 2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의 조립체를 감싸는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가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와 동일한 열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의 양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는,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의 양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는,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 사이에 간헐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컨택트 핀들 중 차동 페어 신호를 위한 컨택트 핀의 실장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의 컨택트 핀들 중 차동 페어 신호를 위한 컨택트 핀의 실장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점부;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실장부; 및 상기 접점부와 상기 실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핀의 접점부는, 굴곡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굴곡은, 내측으로 향하는 사선일 수 있다.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핀의 접점부는, 굴곡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굴곡은, 외측으로 향하는 직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의 인터페이스 배치는,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의 인터페이스 배치와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듀얼 SMT 타입의 컨택트 핀 어레이를 1열로 배열함으로써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모든 컨택트 핀들을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컨택트 핀들을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컨택트 핀들을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컨택트 핀들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한 후에 컨택트 핀에 대한 평탄도 관리, 검사 및 수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SMT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어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전방'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가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부품들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도 2에 도시된 구성 부품들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부품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구성 부품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온 보드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인쇄회로기판 위에 그대로 놓여 실장되는 커넥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절연체 블록으로 이루어진 소정 형상의 인슐레이터(100, 101)와, 인슐레이터(100, 101)에 조립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 및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와, 제품의 외부를 감싸는 쉘(106)을 포함한다.
인슐레이터(100, 101)는 쉘(106)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 1 인슐레이터(100)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일부와 합체될 수 있는 몸체를 구비하고 쉘(106)의 후면을 마감하는 제 2 인슐레이터(101)를 구비한다. 제 1 인슐레이터(100)와 제 2 인슐레이터(101)에는 컨택트 핀들을 조립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미도시)이 마련된다. 인슐레이터(100, 101)의 재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 2 인슐레이터(101)의 일측에는 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에 대비하여 소정의 RFI 패드(105)가 설치된다. RFI 패드(105)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도중에 컨택트 어레이(102, 103)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를 통해 고속의 신호가 흐르면, 어느 하나의 컨택트 핀을 통해 흐르는 신호가 다른 컨택트 핀에 흐르는 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접지와 연결되는 RFI 패드(105)는 어느 하나의 컨택트 핀을 통해 흐르는 신호가 발산될 때, 발산되는 신호를 다른 컨택트 핀이 아닌 RFI 패드(105)로 흐르게 함으로써, 컨택트 핀 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00)의 내부에는 컨택트 핀들의 조립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미드 플레이트(104)가 배치된다. 미드 플레이트(104)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 사이에 위치된다. 미드 플레이트(104)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를 통해 흐르는 신호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를 통해 흐르는 신호 사이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미드 플레이트(104)는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를 통해 흐르는 신호가 발산될 때, 해당 신호가 제 1 컨택트 어레이(102)가 아닌 접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드 플레이트(104)는 결합 돌기(104a)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돌기(104a)와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 돌기는 서로 맞물리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서로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104a)는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거나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분리될 때, 플러그 커넥터의 대응 돌기와 맞물리면서,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 또는 분리를 일정 정도 방해하는 걸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정확하게 분리되었는지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쉘(106)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방에서 제 2 인슐레이터(101)를 내부에 수용한다. 또한, 쉘(106)은 내부에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수용하고, 후면이 제 2 인슐레이터(101)로 마감된다. 쉘(106)은 솔더부(106a)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02)는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상면에 놓인 제 2 인슐레이터(101)에 위치한다.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는 제 1 인슐레이터(100)의 하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는 서로 이격된다.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부터 적층 순서를 보면, 제 2 컨택트 어레이(103), 제 1 인슐레이터(100)의 하면, 미드 플레이트(104),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상면, 제 2 인슐레이터(101),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순서로 적층된다.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제 1 인슐레이터(100)는 제 2 컨택트 어레이(103) 및 미들 플레이트(104)와 함께 제 1 인서트 몰딩을 통해 형성된다. 제 1 인슐레이터(100)를 형성한 후, 제 1 인슐레이터(100)에 제 1 컨택트 어레이(102)를 일정한 거리 이격하여 놓은 후 제 2 인서트 몰딩을 통해 최종 제 2 인슐레이터(101)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은, 각각 12 개로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고, 각 핀은, 도면의 'A' 방향으로 아래 [표1]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아래 [표1]은 USB 타입-C 커넥터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아래 [표1]과 같이, 제 1 컨택트 어레이(102)를 구성하는 컨택트 핀들의 인터페이스 배치 순서는,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를 구성하는 컨택트 핀들의 인터페이스 배치 순서와 반대이다. 다만, 양 끝의 인터페이스는 그라운드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배치 순서가 반대라는 것은, 양 끝의 그라운드 핀을 제외한 나머지 컨택트 핀들의 배치 순서가 반대인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 1, 2 컨택트 어레이(102, 103)를 구성하는 컨택트 핀들의 인터페이스 배치 순서가 반대이므로,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이 가능하다.
제 1 컨택트 어레이 GND RX2+ RX2- VBUS SBU1 D1- D1+ CC1 VBUS TX1- TX1+ GND
제 2 컨택트 어레이 GND TX2+ TX2- VBUS CC2 D2+ D2- SBU2 VBUS RX1- RX1+ GND
GND 핀은 그라운드 핀이다. TX 핀과 RX 핀은 데이터 버스 핀으로 (+) 핀과 (-) 핀은 페어(Pairs)을 이루며 인접한다. VBUS 핀은 파워(POWER)공급을 위한 핀이다. SBU 핀(SBU1, SBU2)은 사이드밴드(Sideband)용의 핀이다. CC 핀(CC1, CC2)은 구성 채널(Configuration Channel)을 위한 핀이다. D 핀(D1, D2)은 차동 데이터 신호를 위한 핀으로 (+) 핀과 (-) 핀은 페어를 이루며 인접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에 속하는 컨택트 핀들 중 일부 컨택트 핀의 실장부(103a-1)를,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와 동일한 열에 위치시킬 때, 페어를 이루는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 103a-1, 103a-2)는 피치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해야 한다. 여기서 페어를 이루는 컨택트 핀들은, TX 핀, RX 핀, D 핀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컨택트 어레이(102, 103)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1) 컨택트 어레이의 제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어레이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의 (a)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이고, 도 3의 (b)는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이며, 도 3의 (c)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를 배치한 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은, 실장부(102a), 접점부(102b) 및 연결부(102c)를 포함한다. 실장부(102a)는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부분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평행을 이루고, 제 2 인슐레이터(101)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접점부(102b)는,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 어레이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한다. 접점부(102b)는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슬롯에 결합된다. 연결부(102c)는 상기 실장부(102a)와 상기 접점부(102b)를 연결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부(102a)와 접점부(102b)는 대략 평행하고 연결부(102c)는 실장부(102a) 및 접점부(102b)와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어레이(102)를 구성하는 복수의 컨택트 핀들의 접점부(102b)는, 실장부(102a)들의 피치가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굴곡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일부 컨택트 핀의 접점부(102b)만 굴곡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모든 컨택트 핀의 접점부(102b)가 굴곡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굴곡은 사선 형태이다. 또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접점부(102b) 간의 간격이 충분히 좁다면, 접점부(102b)들은 굴곡을 포함하지 않고, 스트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 어레이(103)는, 실장부(103a), 접점부(103b) 및 연결부(103c)를 포함한다. 접점부(103b)는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 어레이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한다. 해당 접점부(103b)는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슬롯에 결합된다. 접점부(103b)가 직선 형태가 아닌 굴곡을 갖는 형태이다. 그 굴곡은 바깥 방향으로 향하는 굴곡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굴곡은 직각 형상이나 사선 형태일 수도 있고 이외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접점부(103b)가 굴곡을 갖는 이유는,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실장부(102a)와 피치 방향으로 같은 열을 이루면서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최외곽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실장부(103a)는 접점부(103b)에 평행하고. 연결부(103c)는 접점부(103b)와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다. 실장부(103a)는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부분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평행을 이룬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컨택트 어레이(102, 103)가 제 1 인슐레이터(100)에 결합되면,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와 피치 방향으로 동일한 열에 위치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 2 인슐레이터(101)의 저면을 통해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실장부(102a)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실장부(103a)가 후방의 바깥으로 인출된다. 이때, 제 2 인슐레이터(101)의 저면을 통해 인출된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와 피치 방향으로 동일한 열에 위치한다. 이때,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에 속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와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에 속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는 SMT 타입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에 속한 컨택트 핀의 실장부(103a)를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실장부(102a) 열에 위치시켜, 전체적으로 1열의 실장부를 구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택트 핀들의 배열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차동 페어 신호(dfferential pair signal)를 위한 컨택트 핀(예, TX2+, TX2-, D2+, D2-, RX1+, RX1-)의 실장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차동 페어 신호를 위한 컨택트 핀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자기장에 의한 노이즈를 상쇄시켜 다른 컨택트 핀으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의 배열에서, 좌측의 5개의 실장부(103a)는 좌측부터 GND, TX2+, TX2-, VBUS, CC2 인터페이스로서 TX2+와 TX2- 인터페이스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우측의 7개의 실장부(103a)는 좌측부터 D2+, D2-, SBU2, VBUS, RX1-, RX1+, GND 인터페이스로서 D2+와 D2- 인터페이스, 그리고 RX1-와 RX1+ 인터페이스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1.2) 컨택트 어레이의 제 2
앞서 (1.1)의 예에서,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가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의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와 반대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가 제 1 컨택트 어레이(103)의 실장부(103a)의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형태는, 앞서 (1.1)의 예에서 설명한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형태를 가지면 되고, 본 실시예의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형태는, 앞서 (1.1)의 예에서 설명한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형태를 가지면 된다. 이때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택트 핀들의 배열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차동 페어 신호(dfferential pair signal)를 위한 컨택트 핀(예, TX2+, TX2-, D2+, D2-, RX1+, RX1-)의 실장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1.3) 컨택트 어레이의 제 3
앞서 (1.1)의 예에서,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는 모두 인접하고,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가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의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한다. 그리고 (1.2)의 예에서,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는 모두 인접하고,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의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는 서로 섞여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는 간헐적으로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일부 또는 전부의 컨택트 핀들의 접점부(102b)는, 실장부(102a)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 사이에 간헐적으로 위치하도록,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굴곡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굴곡은 사선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직각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가 간헐적으로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들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일부 접점부(103b)는 직선 형태일 수 있고 나머지 접점부(103b)는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향하는 굴곡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모든 접점부(103b)가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향하는 굴곡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굴곡은 직각 형상이나 사선 형태일 수도 있고 이외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컨택트 어레이(102)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2a)와 제 2 컨택트 어레이(103)의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103a)를 섞어서 배열할 때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택트 핀들의 배열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차동 페어 신호(dfferential pair signal)를 위한 컨택트 핀(예, TX2+, TX2-, D2+, D2-, RX1+, RX1-)의 실장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차동 페어 신호를 위한 컨택트 핀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자기장에 의한 노이즈를 상쇄시켜 다른 컨택트 핀으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제 1 인슐레이터 101: 제 2 인슐레이터
102: 제 1 컨택트 어레이 102a: 실장부
103: 제 2 컨택트 어레이 103a: 실장부
104: 미드 플레이트 106: 쉘

Claims (11)

  1.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열을 이루며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이격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열을 이루며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제 2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의 조립체를 감싸는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가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와 동일한 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 각각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점부;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실장부; 및
    상기 접점부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접점부와 상기 실장부를 연결하는 직선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핀의 접점부는, 내측으로 향하는 사선인 굴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핀의 접점부는, 외측으로 향하는 직각인 굴곡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의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는,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의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는,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컨택트 핀들의 실장부 사이에 간헐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컨택트 핀들 중 차동 페어 신호를 위한 컨택트 핀의 실장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의 컨택트 핀들 중 차동 페어 신호를 위한 컨택트 핀의 실장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의 인터페이스 배치는,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컨택트 핀의 인터페이스 배치와 반대인,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50107389A 2014-09-25 2015-07-29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96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548 2014-09-25
KR1020140128548 2014-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76A KR20160036476A (ko) 2016-04-04
KR102096440B1 true KR102096440B1 (ko) 2020-04-02

Family

ID=5579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89A KR102096440B1 (ko) 2014-09-25 2015-07-29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56847A (zh) 2019-03-13 2024-06-07 莫列斯有限公司 电连接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182B2 (ja) * 1997-08-26 2001-05-21 株式会社バイザック パチンコ球の払出装置
JP2009021152A (ja) 2007-07-13 2009-01-29 Hosiden Corp 電気コネクタ
US20100159751A1 (en) 2008-12-19 2010-06-24 Chant Sincere Co., Ltd. Usb connector and contact array thereof
JP2010157505A (ja) * 2009-01-05 2010-07-1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0251319A (ja) * 2009-04-15 2010-11-04 Chou Hsien Tsai 双方向電気的連接が可能なソケッ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918A (ko) * 2007-11-30 2009-06-03 이문기 에이 타입 대칭 유에스비 리셉터클
CN201741832U (zh) * 2010-04-30 2011-02-0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338249B1 (ko) * 2012-02-24 2013-12-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182B2 (ja) * 1997-08-26 2001-05-21 株式会社バイザック パチンコ球の払出装置
JP2009021152A (ja) 2007-07-13 2009-01-29 Hosiden Corp 電気コネクタ
US20100159751A1 (en) 2008-12-19 2010-06-24 Chant Sincere Co., Ltd. Usb connector and contact array thereof
JP2010157505A (ja) * 2009-01-05 2010-07-1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0251319A (ja) * 2009-04-15 2010-11-04 Chou Hsien Tsai 双方向電気的連接が可能なソケッ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76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4011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320125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1996656B2 (en) Signal connector and terminal device
US9865974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for providing grounding and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WI593195B (zh) 插座連接器組件
CN102420366B (zh) 电连接器及其组合
TWI404269B (zh) High speed plug connector
TWI385878B (zh) Anti-high-frequency signal interference plug connector
US20140073181A1 (en) Ground unit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same
US6808421B2 (en) Connector apparatus
US9748701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N105356163A (zh) 插座电连接器
CN104966916A (zh) 直立型插座电连接器
CN105098519A (zh) 插头电连接器及插座电连接器
CN105140687A (zh) 插座电连接器
KR10213584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2009023349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10020625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7196089A (zh) 具有衬垫板的连接器模块组件
CN106558809B (zh) 堆叠连接器
TWM537740U (zh) 直立型插座電連接器
US20160028190A1 (en) Connector
TW201424158A (zh) 插座連接器
TWM556416U (zh) 插座電連接器
KR102096440B1 (ko)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