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277B1 - 면하 장치 - Google Patents

면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277B1
KR102095277B1 KR1020180111271A KR20180111271A KR102095277B1 KR 102095277 B1 KR102095277 B1 KR 102095277B1 KR 1020180111271 A KR1020180111271 A KR 1020180111271A KR 20180111271 A KR20180111271 A KR 20180111271A KR 102095277 B1 KR102095277 B1 KR 10209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ble
pulley
cover
wind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443A (ko
Inventor
가나코 스즈키
노리히코 가와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66D1/505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면하 장치는 걸림 지지부(361)가 설치된 자유단과 해당 자유단의 반대측에 고정단을 갖는 와이어 케이블(36)과, 와이어 케이블(36)을 고정단측으로부터 권취하는 권취부(334)와, 권취부(334)와 걸림 지지부(361) 사이에 개재하여 와이어 케이블을 걸치는 풀리(335)와, 걸림 지지부(361)와 풀리(335) 사이에 개재하고, 풀리(335)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됨과 함께, 와이어 케이블(36)을 삽입 관통한 관통 구멍(338H)을 갖는 커버(336)를 구비한다. 또한, 관통 구멍(338H)은 풀리(335)의 회전축과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면하 장치 {LOAD-RELIEVING APPARATUS}
본 개시는 면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 등에 의한 하지 마비의 재활 지원을 목적으로 한 지원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지원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지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을 행할 수 있다. 보행 훈련에서는 훈련자인 하지 마비 환자의 다리부에 보행 보조 장치를 장착한다. 보행 보조 장치는 마비측의 다리에 장착하여, 무릎의 굽히기 동작이나 펴기 동작을 보조한다. 보행 보조 장치를 장착한 훈련자는 지원 장치에 구비된 트레드밀 위를 보행한다. 이때, 보행 보조 장치 또는 보행 보조 장치를 장착한 다리부는 면하 장치에 의해 상부 전방 및 상부 후방으로 인장된다. 면하 장치는 훈련자의 상부 전방 및 상부 후방으로부터 와이어 케이블을 조출하거나 또는 인입함으로써, 보행 보조 장치의 무게를 지지함과 함께, 훈련자의 다리부의 동작을 보조한다.
이러한 면하 장치의 기술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141517호 공보에 개시된 승강 장치는 일단부에 현수물을 매달기 위한 걸림 지지 수단을 장착한 와이어 케이블과, 이 와이어 케이블을 감아 올리기 위한 권취 드럼과, 권취 드럼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권취 가압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승강 장치는 와이어 케이블이 삽입 관통된 삽입 관통용 너트 및 스토퍼가, 권취 드럼을 커버하는 기판에 설치되어 있고, 와이어 케이블의 자유단에 설치된 걸림 수단이 권취 드럼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면하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 케이블을 권취하는 부분이 직접 노출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것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이러한 면하 장치는 와이어 케이블을 권취하는 부분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다. 동시에, 이러한 면하 장치는 와이어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혹은 인출하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이 삽입 관통된 관통 구멍을 커버 내에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삽입 관통 구멍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행 보조 장치에 사용되는 면하 장치는 몸부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예를 들어, 다리부의 전후 방향의 스윙 동작)에 더하여, 좌우 방향의 동작을 보조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면하 장치의 와이어 케이블은 몸부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예를 들어, 다리부의 스윙 동작)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더하여, 몸부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예를 들어, 다리부의 스윙 동작)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도 인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행 훈련 장치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 기술을 사용한 경우, 권취 드럼의 커버에 와이어 케이블이 접촉한 상태 그대로, 와이어 케이블의 조출 및 인입이 반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이 커버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 조출 및 인입이 반복되면, 와이어 케이블은 마모될 우려가 있다. 와이어 케이블이 마모되면, 장치의 유지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와이어 케이블의 마모를 억제한 면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면하 장치는, 걸림 지지부가 설치된 자유단과 해당 자유단의 반대측에 고정단을 갖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와이어 케이블을 상기 고정단측으로부터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걸림 지지부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와이어 케이블을 걸치는 풀리와, 상기 걸림 지지부와 상기 풀리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풀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케이블을 삽입 관통한 관통 구멍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는 면하 장치이며, 상기 커버(상기 관통 구멍)는 상기 풀리의 회전축과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도록(가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버가 풀리(풀리의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 위치가 변화되도록 가동하기 때문에, 커버는 와이어 케이블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환언하면, 커버의 관통 구멍은 와이어 케이블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에 의해, 와이어 케이블의 마모를 억제한 면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 아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 및 주어진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면하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면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면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면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면하 장치의 와이어 케이블의 피치 방향 움직임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면하 장치의 와이어 케이블의 피치 방향 움직임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면하 장치의 와이어 케이블의 롤 방향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면하 장치의 상면도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1)은, 예를 들어 뇌졸중 편마비 환자 등의 훈련자 U의 보행 훈련을 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 훈련 시스템(1)은 훈련자 U의 다리부에 장착된 보행 보조 장치(2)와, 훈련자 U의 보행 훈련을 행하는 훈련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보행 보조 장치(2)는, 예를 들어 보행 훈련을 행하는 훈련자 U의 환각(도 1에서는 훈련자 U의 우측 다리)에 장착되어, 훈련자 U의 보행을 보조한다. 보행 보조 장치(2)는 마비측의 다리에 장착하여, 무릎의 굽히기 동작이나 펴기 동작을 보조하는 장치이다. 보행 보조 장치(2)는 허벅다리 프레임과, 허벅다리 프레임에 무릎 관절부를 통해 연결된 종아리 프레임과, 종아리 프레임에 발목 관절부를 통해 연결된 발바닥 프레임을 갖고 있다. 또한, 보행 보조 장치(2)는 구동부를 갖고 있고, 무릎 관절부 또는 발목 관절부를 회전 구동한다.
훈련 장치(3)는 트레드밀(31)과, 프레임 본체(32)와, 제1 면하 장치(33) 및 제2 면하 장치(34)와, 검출 수단으로서의 제1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1) 및 제2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2)와, 제어 장치(35)를 갖고 있다.
트레드밀(31)은 훈련자 U가 보행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링상의 벨트 컨베이어(311)를 갖는다. 훈련자 U는 벨트 컨베이어(311) 위에 타고, 벨트 컨베이어(311)의 이동에 따라 보행을 행한다.
프레임 본체(32)는 트레드밀(31) 위에 기립 설치된 2쌍의 기둥 프레임(321)과, 각 기둥 프레임(321)에 접속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후 프레임(322)과, 각 전후 프레임(322)에 접속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좌우 프레임(323)과, 후방 좌우 프레임(324)을 갖고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32)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 본체(32)는 제1 면하 장치(33) 및 제2 면하 장치(34)를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 임의의 프레임 구성이어도 된다.
제1 면하 장치(33)는 훈련자의 상부 전방으로부터 와이어를 조출하거나 또는 인입함으로써, 보행 보조 장치의 무게를 지지함과 함께, 훈련자의 다리부의 동작을 보조한다. 제1 면하 장치(33)는 훈련자 U의 상방이고 또한 진행 방향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하 장치(33)는 훈련자 U의 상방이고 또한 진행 방향 전방에 있는 전방 좌우 프레임(323)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면하 장치(33)는 훈련자 U의 보행 보조 장치(2)를 장착한 다리부를, 제1 와이어 케이블(36)을 통해 상방이고 또한 전방으로 인장한다. 제1 면하 장치(33)는 배선 등을 통해 후술하는 제어 장치(35)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면하 장치(33)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일단은 제1 면하 장치(33)로부터 현수되어 있고, 훈련자 U의 다리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일단은 훈련자 U의 다리부에 장착된 보행 보조 장치(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타단은 제1 면하 장치(33)에 지지되고, 권취 기구에 감겨 있다.
제2 면하 장치(34)는 훈련자의 상부 후방으로부터 와이어 케이블을 조출하거나 또는 인입함으로써, 보행 보조 장치의 무게를 지지함과 함께, 훈련자의 다리부의 동작을 보조한다. 제2 면하 장치(34)는 훈련자 U의 상방이고 또한 진행 방향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훈련자 U의 상방이고 또한 진행 방향 후방에 있는 후방 좌우 프레임(324)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면하 장치(34)는 훈련자 U의 보행 보조 장치(2)를 장착한 다리부를, 제2 와이어 케이블(37)을 통해 상방이고 또한 후방으로 인장한다. 제2 면하 장치(34)는, 예를 들어 제2 와이어 케이블(37)을 권취 및 되감는 드럼 등의 권취 기구, 해당 권취 기구를 구동하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면하 장치(34)는 배선 등을 통해 후술하는 제어 장치(3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면하 장치(34)는 제1 면하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2 면하 장치(34)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일단은 제2 면하 장치(34)로부터 아래로 늘어져 있고, 훈련자 U의 다리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일단은 훈련자 U의 다리부에 장착된 보행 보조 장치(2)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타단은 제2 면하 장치(34)에 지지되고, 권취 기구에 권취되어 있다.
검출 수단은 제1 와이어 케이블(36) 및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조출 길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검출 수단은 제1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1) 및 제2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2)로 구성된다. 제1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1)는, 예를 들어 제1 면하 장치(33)의 권치 기구의 권회축에 설치되어 권회축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 등의 센서이다. 제1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1)의 검출 신호로부터, 권치 기구가 제1 와이어 케이블(36)을 권취한 길이(권취량)를 산출하고, 기지인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전체 길이로부터 당해 권취량을 뺌으로써,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길이를 검출한다. 제1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1)는 배선 등을 통해 후술하는 제어 장치(3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2)는, 예를 들어 제2 면하 장치(34)의 권치 기구의 권회축에 설치되어 권회축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 등의 센서이다. 제2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2)의 검출 신호로부터, 권치 기구가 제2 와이어 케이블(37)을 권취한 길이(권취량)를 산출하고, 기지인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전체 길이로부터 당해 권취량을 뺌으로써,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길이를 검출한다. 제2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2)는 배선 등을 통해 후술하는 제어 장치(3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출 수단은 제1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1) 및 제2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2)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와이어 케이블(36) 및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조출 길이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케이블의 외관 정보(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등의 촬상 수단이어도 된다.
제어 장치(35)는 제1 면하 장치(33) 및 제2 면하 장치(34)가 와이어 케이블을 각각 인장하는 인장력과, 보행 보조 장치(2)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제어 장치(35)는, 예를 들어 훈련자 U의 보행 보조 장치(2)를 장착한 다리부가 이지(離地)나 또는 착지한 것을 검지한다. 즉, 접지 센서의 센서 데이터로부터, 보행 보조 장치(2)를 장착한 훈련자의 다리부가, 입각으로부터 유각으로 이행하는 타이밍 및 유각으로부터 입각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을 검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35)는 입각으로부터 유각으로 이행하는 타이밍을 검지하면, 그 타이밍에 맞추어 보행 보조 장치가 갖고 있는 모터 유닛의 제어를 개시한다.
제어 장치(35)는, 예를 들어 연산 처리, 제어 처리 등과 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CPU에 의해 실행되는 연산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 ROM(Read Only Memory),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외부와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I/F)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여, 하드웨어 구성되어 있다. CPU, ROM, RAM 및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 버스 등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제1 면하 장치(33) 및 제2 면하 장치(34)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면하 장치(33)와 제2 면하 장치(34)란, 걸림 결합하는 프레임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후의 설명은 제1 면하 장치(33)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동일한 내용이 제2 면하 장치(34)에도 적용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면하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면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면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면하 장치(33)의 상면도와 함께, 오른손 좌표계 xyz 좌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면의 연직 방향은 xyz 좌표의 z축 방향을 나타내고, 전방측이 z축 플러스 방향이다. 도면의 좌우 방향은 xyz 좌표의 x축 방향을 나타내고, 우측이 x축 플러스 방향이다. 도면의 상하 방향은 xyz 좌표의 y축 방향을 나타내고, 상측이 y축 플러스 방향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한 오른손 좌표계 xyz 좌표는 구성 요소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편의적인 것이다. 도 2의 z축 방향과 도 3 내지 도 11의 z축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와이어 케이블 등의 요동 방향 또는 물체의 회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여 설명한다. 화살표 P로 나타내고 있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피치 방향이라고 한다. 화살표 R로 나타내고 있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롤 방향이라고 한다. 화살표 Y로 나타내고 있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요 방향이라고 한다.
제1 면하 장치(33)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 지지판(331), 장치 고정부(332), 구동부(333), 권취부(334), 풀리(335) 및 커버(336)를 주된 구성으로서 갖고 있다.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가 설치된 자유단과, 해당 자유단의 반대측에 고정단을 갖는다.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자유단은 제1 면하 장치(33)로부터 아래로 늘어져 있고,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가 훈련자 U의 다리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된다.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고정단은 권취부(33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권취부(334)에 권취되어 있다.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자유단에 설치된 걸림 지지 부재이다.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는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를 보행 보조 장치(2)에 걸림 지지하기 위한 구멍 또는 훅 등의 걸림편(362)을 갖고 있다.
지지판(331)은 면하 장치의 각 구성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 부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판(331)은 구동부(333), 권취부(334) 및 풀리(335)를 지지하고 있다.
지지판(331)은 장치 고정부(332)를 갖고 있다. 장치 고정부(332)는 전방 좌우 프레임(323)에 걸림 결합하여, 임의의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방 좌우 프레임(323)과 지지판(331)이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지지판(331)은 커버 스토퍼(331S)를 갖고 있다. 커버 스토퍼(331S)는 커버(336)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커버 스토퍼(331S)는 커버(336)가 대응하는 맞닿음부(336S)와 맞닿음으로써 커버(336)의 회전 방향 움직임을 정지시켜, 커버(336)가 1회전 이상 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333)는 권취부(334)에 연결하여, 권취부(334)를 회전시킨다. 구동부(333)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수단에 의해 구성된다. 구동부(333)는 제어 장치(35)에 의해 제어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조출 또는 인입을 행하기 위해, 권취부(334)를 회전시킨다. 또한, 구동부(333)는 모터 대신에, 인장 코일 스프링이나 소용돌이 스프링 등을 사용한 가압 수단이어도 된다.
권취부(334)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고정단측을 권취하는 드럼 형상의 부재이다. 권취부(334)는 구동부(333)에 연결하여, 구동부(333)에 의해 드럼 형상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취부(334)가 권취하고 있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권취량 또는 조출 길이는 상술한 제1 와이어 케이블 길이 검출부(41)(도시하지 않음), 구동부(333) 및 제어 장치(35)에 의해 제어된다.
풀리(335)는 권취부(334)와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 사이에 개재하고, 제1 와이어 케이블(36)을 걸친다. 권취부(334)와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 사이에 풀리(335)가 개재됨으로써, 풀리(335)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과도하게 굴곡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을 안내한다.
커버(336)는 풀리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풀리(335)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중공 방추상의 부재이다. 커버(336)는 풀리(335)의 회전 중심인 축 CR과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어 있다(도 3의 화살표 P의 방향). 커버(336)는 연락 구멍(337), 스토퍼(338), 맞닿음부(336S)를 갖고 있다. 연락 구멍(337)은 권취부(334)로부터 조출되어 있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338)는 풀리로부터 조출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즉,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권취부(334)로부터 조출되고, 연락 구멍(337)을 지나, 풀리(335)에 걸쳐져 있다. 그리고, 풀리(335)로부터 조출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스토퍼(338)를 지나,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에 접속하고 있다.
스토퍼(338)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권취부(334)에 권취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가 인입된 경우에,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가 풀리(335)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스토퍼(338)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스토퍼(338)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통과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관통 구멍(338H)을 갖고 있다. 이러한 관통 구멍(338H)은 축 CR의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관통 구멍(338H)은 풀리(335)의 회전축의 액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신되는 슬릿상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구멍(338H)의 축 CR의 액셜 방향의 폭(338A)은 축 CR의 탄젠셜 방향의 폭(338B)보다도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338H)의 축 CR의 액셜 방향의 폭(338A)은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가 관통 구멍(338H)을 통과하지 않도록,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336S)는 커버(336)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맞닿음부(336S)는 커버 스토퍼(331S)에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부(334)에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권취되고,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가 고정단측에 인입된 경우,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는 스토퍼(338)에 맞닿고, 스토퍼(338)는 이것보다 풀리(335)에 가까워지는 경우는 없다. 권취부(334)가 다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을 권취하면, 커버(336)는 맞닿음부(336S)와 커버 스토퍼(331S)가 맞닿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맞닿음부(336S)와 커버 스토퍼(331S)가 맞닿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커버(336)는 회전을 정지한다. 따라서,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가 이 이상 고정단측에 인입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커버 스토퍼(331S) 및 맞닿음부(336S)는 커버(336)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해서라면,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예시한 형태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커버 스토퍼(331S) 및 맞닿음부(336S)는 와이어 걸림 지지부(361)가 인입되는 방향과는 반대측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풀리(335) 및 커버(336)를 갖는 부분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면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면 IV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면하 장치(33)는 지지판(331)에 있어서 축(339)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축(339)은 선단에 빠짐 방지용의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다. 축(339)에는 지지판(331)측부터 차례로, 제1 칼라(340), 풀리(335), 제2 칼라(341), 제3 칼라(34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3 칼라(342)의 외주에는 커버(336)가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커버(336)는 제2 칼라(341) 및 제3 칼라(342)가 갖는 플랜지부에 의해 축(339)의 스러스트 방향으로 덜걱거림이 없을 정도로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풀리(335) 및 커버(336)는 축(339)의 스러스트 방향으로 덜걱거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풀리(335)와, 커버(336)는 모두 축(339)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지만, 커버(336)의 지지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336)의 지지 부재는 축(339)과는 상이한 것이고, 풀리(335)의 회전 중심과, 커버(336)의 회전 중심이 상이해도 된다. 이 경우, 풀리(335)의 회전축과, 커버(336)의 회전축은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336)가 갖는 관통 구멍(338H)은 풀리(335)의 회전축에 대하여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336)가 갖는 관통 구멍(338H)은 풀리(335)의 피치 방향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커버(336)는 회전축을 갖지 않고, 왕복 운동을 하도록 지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커버(336)가 갖는 관통 구멍(338H)은 풀리(335)의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의해, 커버(336)가 갖는 관통 구멍(338H)은 풀리(335)의 피치 방향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커버(336)의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중공 방추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커버(336)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으면, 예를 들어 중공 입방체 형상, 만곡 평면상, 또는 복수의 평면이나 곡면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커버(336)의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커버(336)는 관통 구멍(338H)을 포함하는 커버(336)의 일부분(336A)이, 그 이외의 커버(336)의 일부분(336B)에 대하여, 상대적 위치가 가변인(가동인) 것에 의해, 관통 구멍(338H)이 풀리(335)의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적 위치를 가변으로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곡면(또는 평면) 형상을 갖는 상기 일부분(336A)과, 당해 곡면(또는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또는 평면) 형상을 갖는 일부분(336B)의 한 쌍의 페어로 이루어지는 평면(구면) 슬라이드 기구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금속이나 수지 등의 강성 부재로 구성된 상기 일부분(336A)과, 연성 고무 등의 연성 부재로 구성된 일부분(336B)의 한 쌍의 페어로 이루어지는 가동 기구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제1 면하 장치(33)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의 상면도이다. 도 6은 훈련자 U가 행하는 보행 훈련의 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보행 훈련 시스템(1)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조출 길이 및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조출 길이는 훈련자 U의 보행에 따라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면하 장치(33)에 의한 인장력 FF1의 z축 방향의 성분 및 제2 면하 장치(34)에 의한 인장력 FR1의 z축 방향의 성분에 의해, 보행 보조 장치(2)의 무게를 지지한다. 제1 면하 장치(33)에 의한 인장력 FF1의 y축 방향의 성분에 의해, 훈련자 U의 보행 보조 장치(2)를 장착한 다리부의 진행 방향 전방으로의 스윙을 보조한다. 제2 면하 장치(34)에 의한 인장력 FR1의 y축 방향의 성분에 의해, 훈련자 U의 보행 보조 장치(2)를 장착한 다리부의 진행 방향 후방으로의 스윙을 보조한다. 이에 의해, 보행 훈련 시에 있어서의 훈련자 U의 보행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를 측면으로부터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보행 훈련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훈련자 U는 다리부를 y축 방향으로 스윙 보행을 행한다. 제1 면하 장치(33)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걸림 지지된 다리부의 상부 전방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y축 플러스 방향이고 또한 z축 플러스 방향으로 인장력 FF1에 의해 다리부를 인장하고 있다. 또한, 제2 면하 장치(34)는 제2 와이어 케이블(37)이 걸림 지지된 다리부의 상부 후방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와이어 케이블(37)은 y축 마이너스 방향이고 또한 z축 플러스 방향으로 인장력 FR1에 의해 다리부를 인장하고 있다.
훈련자 U가 보행 훈련에 있어서 훈련자의 전후로 다리부를 스윙한다. 그때, 다리부는, y축 방향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z축 방향의 움직임도 수반한다. 따라서, 다리부를 보조하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 및 제2 와이어 케이블(37)은 각각 피치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때, 제1 면하 장치(33)가 갖는 커버(336)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피치 방향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면하 장치(34)가 갖는 커버(336)는 제2 와이어 케이블(37)의 피치 방향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보행 훈련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보행 훈련 시스템의 상면도이다. 도 8은 훈련자 U가 행하는 보행 훈련 중, 도 6에 도시한 형태와는 상이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예의 경우, 훈련자 U는 다리를 전방으로 내리기 시작하는 동작에 외선을 수반하고 있다. 즉, 훈련자 U의 다리부는 화살표 FU2의 방향으로 흔들어 뽑아진다. 화살표 FU2는 y축 플러스 방향과 z축 방향에 더하여, x축 방향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과잉으로 외선을 수반하는 보행은 보행의 동작으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보행 훈련 시스템(1)에 있어서, 화살표 FU2의 x축 플러스 방향의 힘을 상쇄하기 위해 제1 와이어 케이블(36)에 의해 다리부를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인장하면서 보행 보조를 행한다. 이와 같은 보행 훈련의 형태에 있어서, 제1 면하 장치(33)는 훈련자 U의 상부 전방이고 또한 좌측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경우와 비교하면, 제1 면하 장치(33)는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y축 플러스 방향, z축 플러스 방향 및 x축 마이너스 방향의 성분을 갖는 인장력 FF2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도 7에 있어서 도시한 피치 방향에 더하여, 롤 방향으로도 크게 요동한다.
제1 면하 장치(33)가 갖는 커버(33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폭(338A)의 관통 구멍(338H)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면하 장치(33)가 갖는 커버(336)는 관통 구멍(338H)의 x축 방향의 폭(338A)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롤 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커버(336)의 피치 방향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면하 장치의 와이어 케이블의 피치 방향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커버(336)가 갖는 스토퍼(338)로부터 조출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z축 방향에 대하여 각도 P1의 위치로 연신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z축 방향에 대하여 각도 P2의 위치로 연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면하 장치(33)는 스토퍼(338)가 풀리(335)의 회전 방향으로 가동하기 때문에, 스토퍼(338)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토퍼(338)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와이어 케이블(36)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도 10의 접촉부 X는 스토퍼(338)와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어도,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스토퍼(338)에 의해 굴곡되는 경우는 없고, 접촉부 X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이 마모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스토퍼(338)는 제1 와이어 케이블(36)과 접촉하는 것을 고려하여 관통 구멍(338H)의 주위는 에지가 없도록 가공되어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의 롤 방향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면하 장치의 와이어의 롤 방향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풀리(335)로부터 조출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y축에 평행한 축 CR을 중심으로, 롤 방향으로 요동한다.
커버(336)의 관통 구멍(338H)으로부터 조출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관통 구멍(338H)의 x축 방향의 폭(338A)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케이블(36)을 마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훈련자 U의 다리부의 동작이 외선을 수반하는 것이라도, 예를 들어 각도 R1의 범위 내이면, 제1 와이어 케이블(36)은 스토퍼(338)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 1은 와이어 케이블의 마모를 억제한 면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면하 장치의 상면도이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면하 장치(43)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면하 장치와는, 지지판(331)과 전방 좌우 프레임(323) 사이의 지지 수단이 상이하다.
면하 장치(43)는 지지판(331)과 장치 고정부(332) 사이에, 회전 지지부(432)를 갖고 있다. 회전 지지부(432)는 지지판(331)을, z축에 대하여 평행한 축 CY를 중심으로 화살표 Y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이다. 회전 지지부(432)는, 예를 들어 회전 베어링을 갖는 고정 부재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 2는 보행 훈련 시스템(1)에 있어서 훈련자 U가 보행하는 방향(y축 플러스 방향)을 전방으로 한 경우에, 면하 장치(43)는 축 CY를 중심으로 하여, 요 방향(화살표 Y의 방향)으로 자유도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실시 형태 2에 관한 면하 장치(43)는 와이어 케이블의 피치 방향, 롤 방향 및 요 방향에 추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 2는 와이어 케이블의 마모를 억제한 면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이러한 모든 변형은 다음의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7)

  1. 걸림 지지부가 설치된 자유단과 해당 자유단의 반대측에 고정단을 갖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와이어 케이블을 상기 고정단측으로부터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걸림 지지부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와이어 케이블을 걸치는 풀리와,
    상기 걸림 지지부와 상기 풀리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풀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케이블을 삽입 관통한 관통 구멍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는 면하 장치이며,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풀리의 회전축과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권취부 및 상기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갖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부회전축을 갖는,
    면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풀리의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면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풀리의 회전축에 대하여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면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걸림 지지부를 통과시키지 않는,
    면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풀리의 상기 회전축의 액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신되는 슬릿상인,
    면하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한,
    면하 장치.
  7. 삭제
KR1020180111271A 2017-09-21 2018-09-18 면하 장치 KR102095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1357A JP2019055034A (ja) 2017-09-21 2017-09-21 免荷装置
JPJP-P-2017-181357 2017-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43A KR20190033443A (ko) 2019-03-29
KR102095277B1 true KR102095277B1 (ko) 2020-04-01

Family

ID=6357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271A KR102095277B1 (ko) 2017-09-21 2018-09-18 면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2786B2 (ko)
EP (1) EP3459603B1 (ko)
JP (2) JP2019055034A (ko)
KR (1) KR102095277B1 (ko)
CN (1) CN109528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3001B (zh) 2017-05-15 2021-04-30 西北大学 一种用于翻边的两点渐进装置和方法
US11311447B2 (en) * 2017-06-30 2022-04-26 Northwestern University Agility trainer
CN111449916A (zh) * 2020-05-06 2020-07-28 广州一康医疗设备实业有限公司 下肢康复训练设备用减重模组
CN115245444B (zh) * 2022-07-15 2024-06-04 天津大学 一种并联柔索驱动下肢康复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3295A (ja) 2014-05-27 2015-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及びその歩行訓練方法
US20170027803A1 (en) * 2014-04-21 2017-02-0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Human Movement Research, Therapeutic, and Diagnosti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77481A (fr) 1956-07-07 1959-04-24 Wilhelm Stohr Spezialfabrik Fu Treuil à câble avec guide-câble pivotant
US3645503A (en) 1970-08-13 1972-02-29 Superwich Inc Cable control unit
US4635875A (en) * 1984-01-19 1987-01-13 Apple Merrill K Cable pulling device
US4724827A (en) * 1985-01-10 1988-02-16 Schenck Robert R Dynamic traction device
US5850928A (en) * 1989-05-02 1998-12-22 Kahlman; Sture Arrangement for a vertical and horizontal goods hoist
US5667461A (en) * 1994-07-06 1997-09-16 Hall; Raymond F. Ambulatory traction assembly
US6123649A (en) * 1998-02-13 2000-09-26 Lee; R. Clayton Resistance apparatus for connection to a human body
CN2372346Y (zh) * 1999-04-30 2000-04-05 揭阳市南光实业有限公司 一种转向滑轮座
WO2000066479A1 (en) 1999-05-02 2000-11-09 Varco I/P, Inc. System for measuring torque applied to the drum shaft of a hoist
JP2001002378A (ja) * 1999-06-25 2001-01-09 Taiyo Ltd 移動する索条の支持装置
WO2001014018A1 (en) * 1999-08-20 2001-03-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on of body weight support training (bwst) of biped locomotion over a treadmill using a programmable stepper device (psd) operating like an exoskeleton drive system from a fixed base
US20040204294A2 (en) * 2000-12-29 2004-10-14 William Wilkinson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upper body simultaneously with lower body exercise
US6796926B2 (en) * 2001-08-22 2004-09-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chanism for manipulating and measuring legs during stepping
JP2004141517A (ja) 2002-10-28 2004-05-20 Fujikin Soft Kk 昇降装置と昇降操作方法
US6837830B2 (en) * 2002-11-01 2005-01-04 Mark W. Eldridge Apparatus using multi-directional resistance in exercise equipment
US10286279B2 (en) * 2003-07-16 2019-05-14 Vertimax, Llc Later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7331906B2 (en) * 2003-10-22 2008-02-19 Arizona Board Of Reg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titive motion therapy
JP4170941B2 (ja) * 2004-03-26 2008-10-22 京商株式会社 模型用エンジンのスターター
US7494450B2 (en) * 2004-05-14 2009-02-24 Solomon Richard D Variable unweighting and resistance training and stretching apparatus for use with a cardiovascular or other exercise device
DE102004023981A1 (de) 2004-05-14 2005-12-08 Olthof, Alexander Olde Vorrichtung zum Bewegungstraining
JP4355259B2 (ja) 2004-06-03 2009-10-28 康雄 松田 あおり止め具
US9616274B2 (en) * 2005-03-01 2017-04-11 Michael A. Wehrell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CN1827519A (zh) * 2005-03-02 2006-09-06 胡勇 一种摆动式定滑轮排绳方法及排绳装置
US7998040B2 (en) * 2005-04-11 2011-08-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Force assistance device for walking rehabilitation therapy
CN101175456B (zh) * 2005-04-13 2013-03-27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半机动下肢外骨架
US7559533B2 (en) 2006-01-17 2009-07-14 Gorbel, Inc. Lift actuator
JP4473254B2 (ja) 2006-12-01 2010-06-02 伊藤超短波株式会社 牽引装置、および牽引装置のロープ巻き取り機構
US7883450B2 (en) 2007-05-14 2011-02-08 Joseph Hidler Body weight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317160B2 (en) * 2007-10-12 2012-11-27 Safeworks, Llc Restraint device for traction sheaves
KR100843255B1 (ko) * 2008-02-22 2008-07-02 차충환 회전체 직경 변위를 이용한 변력장치
US7887471B2 (en) * 2008-11-25 2011-02-15 Mcsorley Tyrone G Neuromuscula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IT1393365B1 (it) * 2009-03-20 2012-04-20 Dinon Dispositivo di riabilitazione motoria robotizzato
US8608479B2 (en) * 2010-05-07 2013-12-17 The University Of Kansa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ait training
DE202010015329U1 (de) * 2010-11-12 2011-02-24 Harrer, Franz Laufbandergometer mit adaptierten Zug- und Messeinheiten für therapeutische Anwendungen und zur Gangschule sowie Lauftraining
US9638163B2 (en) * 2014-02-20 2017-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and/or installing wind turbine rotor blades
CN204121371U (zh) * 2014-09-12 2015-01-28 施仁照 脊柱调衡牵引床
JP6323419B2 (ja) * 2015-09-09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
JP6597275B2 (ja) 2015-12-18 2019-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
CN108016998A (zh) * 2018-01-06 2018-05-11 苏州巴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塔吊小车钢丝绳防脱槽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7803A1 (en) * 2014-04-21 2017-02-0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Human Movement Research, Therapeutic, and Diagnosti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JP2015223295A (ja) 2014-05-27 2015-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及びその歩行訓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6981B2 (ja) 2022-12-27
CN109528452A (zh) 2019-03-29
JP2022002779A (ja) 2022-01-11
EP3459603B1 (en) 2020-08-12
JP2019055034A (ja) 2019-04-11
US10772786B2 (en) 2020-09-15
US20190083351A1 (en) 2019-03-21
EP3459603A1 (en) 2019-03-27
KR20190033443A (ko) 2019-03-29
CN109528452B (zh)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277B1 (ko) 면하 장치
RU2643341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тренировки ходьбы и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ходьбы для него
JP6052235B2 (ja) 歩行訓練装置
EP2730266B1 (en) Gait training apparatus
US20130137553A1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101385165B1 (ko) 상하지 로봇재활훈련 시스템
KR102080814B1 (ko) 보행 훈련 장치 및 보행 훈련 보조구
CN112972201A (zh) 一种踝关节康复训练装置及机器人
KR102013496B1 (ko) 자세 교정용 슬링바를 구비한 보행 재활 훈련 장치
US20220040025A1 (en) Assist device
JP6508167B2 (ja) 歩行訓練システム
JP2014221022A (ja) 犬の歩行訓練装置
KR102203822B1 (ko) 윈치보상 견인장치를 이용한 bws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6447489B2 (ja) 歩行補助装置の評価方法
CN113520802B (zh) 肢体康复训练设备以及控制方法
JP6798344B2 (ja) 歩行訓練システム
KR101592410B1 (ko) 승마용 운동장치
KR20230092158A (ko) 체중탈부하 지면보행 훈련 장치 및 방법
CN115487047A (zh) 移动辅助装置
KR20160052927A (ko)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