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484B1 -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484B1
KR102089484B1 KR1020190007058A KR20190007058A KR102089484B1 KR 102089484 B1 KR102089484 B1 KR 102089484B1 KR 1020190007058 A KR1020190007058 A KR 1020190007058A KR 20190007058 A KR20190007058 A KR 20190007058A KR 102089484 B1 KR102089484 B1 KR 102089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oof
roof module
wall
woo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조민구
Original Assignee
휴센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비탑하우스
조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센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비탑하우스, 조민구 filed Critical 휴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76Air vents f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02D2200/115Height being adjustable with separate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은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하기 위해 벽체모듈(10), 천장모듈(200), 트러스부(210), 지붕모듈(220), 고정수단(2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목조 건물은 주요 구조부재로 목재제품을 사용하여 시공하는데, 이들 구조용 목재제품을 골조와 덮개로 사용하면서 서로 접합하여 전체 구조요소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목조 건물의 벽체는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지붕과 바닥의 하중을 건물의 기초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현장에서 골조와 합판을 일일이 재단하여 조립시공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번호 10-1289236호에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장여와, 상기 장여의 상부에서 상기 장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도리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서 상기 도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지지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서까래를 구비하고, 상기 장여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장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장여 단열재와, 상기 도리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도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도리 단열재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까래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서까래 단열재를 구비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지붕을 씌우기 위한 서까래는 실외측에 구비되는 제1서까래와, 실내측에 구비되는 제2서까래와, 상기 제1서까래와 상기 제2서까래 사이에 구비되는 서까래 단열재를 구성되나, 이들 서까래를 현장시공시 작업이 까다로우면서 비숙련공에 의한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특히 서까래를 시공 후 씌워지는 지붕이 판형태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취약함에 따라 소형사이즈로 제작하여 조립시공해야 하므로 부품개수 증가로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벽체모듈(10);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 천장모듈(200); 상기 천장모듈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되는 복수의 트러스부(210); 및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으로 구성되는 지붕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상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되는 도리목(20); 및 상기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되는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서로 조립된 벽체모듈(10)들의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각관(100);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되는 토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단열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립식 벽체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리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수준의 조립 정밀도를 제공하고, 특히 벽체모듈 측면에서 경사면을 통하여 맞물리는 상, 하부 끼움블록에 의해 측벽모듈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밀착 평행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
또, 베이스각관을 기초바닥에 매립설치하고, 베이스각관 상에 토대부 및 하부 깔도리를 체결하므로 벽체 수평시공성이 우수하고, 특히 실내, 외측 플레이트에 의해 적층시공된 복수의 토대부 측면이 서로 결속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기초바닥을 이루는 실내바닥구조물(콘크리트, 다짐토)과 토대부 실내측 측벽이 실내측 플레이트에 의해 격리 구분되어 수분 등에 의한 토대부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장선받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벽체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업힐돌부와 말단 받을홈부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업힐돌부와 중간 받을홈부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상, 하부 끼움블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벽체모듈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벽체모듈과 기초바닥 조립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실내, 외측 수직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멀티각관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은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하기 위해 벽체모듈(10), 천장모듈(200), 트러스부(210), 지붕모듈(220), 고정수단(2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모듈(10)은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벽체모듈(10)은 목재프레임과, 목재프레임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와, 목재프레임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목재보드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모듈(200)은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된다.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타공홀(206a) 또는 틈새공간(206b)에 의해 천장모듈(200) 내부 공간이 실외측으로 연통되면서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므로, 천장모듈(200)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 내벽에 곰팡이 발생 및 목재보드가 썩는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모듈(200)은 목조건물을 구성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설치되는 도리목(20)과 후술하는 트러스부(210) 사이에 설치되는바, 즉, 천장모듈(200) 저면 가장자리부가 도리목(20) 위에 안착된 상태로 못,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고, 천장모듈(200) 상면에 경사형 또는 평면 트러스부(21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 상기 천장모듈(200) 저면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바, 여기서 설비층(202)은 천장모듈(200) 저면에 실내측 천장패널이 설치되고, 천장패널은 복수의 천장 구조목에 의해 지지되며, 설비층(202) 내부로 전선, 신호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이 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부(210)는 상기 천장모듈(200)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된다. 트러스부(210)는 지붕형상에 따라 삼각형의 경사 트러스와 평면트러스로 형성되고, 천장모듈(200)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지붕모듈(220)을 지지하게 된다.
도 3에서,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선받이(218)는 트러스부(210)를 제작하는 공정 중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붕모듈(220)을 시공시, 가이드 장선받이(219)의 경사면(219a)은 지붕모듈(220)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와 맞물려 지붕모듈(220) 조립위치를 안내하여 정위치로 안내한다.
이에 상기 트러스부(210)를 경사 트러스로 형성하더라도,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가 장선받이(218)(219)에 맞물린 상태로 위치고정되어 조립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임시 고정수단을 체결하지 않더라도 하향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고소작업 중에 작업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붕모듈(220)은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로 구성된다. 지붕모듈(220)은 단층 또는 복층 구조의 패널로 구성되고, 실외측 외면 즉, 상면에는 방수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장에서 지붕모듈(220)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도 1 (a)와 같이 판형 구조목이 가로로 설치되어 장선(224)을 형성하거나, 도 1 (b)처럼 세로로 설치되어 서까래(224')를 형성하면서 복수개소에 일체로 형성되고, 현장 시공시,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는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면접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상기 장선받이(218)에 맞물려 고정된다.
이때,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도록 구비된다.
도 1 (b)에서, 상기 서까래(224')를 적용한 지붕모듈(220) 조립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천장모듈(200) 상면에 스톱 장선받이(218) 및 높이가 서로 상이한 평면 트러스부(210)를 적어도 2개소에 이격 배치하고, 서까래(224')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홈(224a)이 스톱 장선받이(218)에 맞물리도록 조립되고 다른 일단은 평면 트러스부(210) 상면에 안착고정된다. 이때 평면 트러스부(210)에 고정되는 서까래(224') 단부에는 'ㅗ'형 장선받이(218')가 구비되어 이후 연속하여 조립되는 다른 지붕모듈(220)의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지지된다. 그리고 지붕모듈(220)이 서로 연결되는 영역의 지붕패널(222)은 서까래(224') 대비 짧게 형성되어 서까래(224')가 외부로 노출되고, 지붕모듈(220)을 시공 후에 노출된 서까래(224') 상부를 별도의 멀티 지붕패널(222')로 마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와 대응하는 지붕모듈(220) 상면에는 기준선이 표시되고, 기준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멀티 기준선이 표시된다. 이에 트러스부(210)와 일치하는 멀티 기준선과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선이 교차되는 교차점에 못,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타설하여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를 일체로 체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준선 및 멀티 기준선은 별도의 표시선으로 형성되거나, 지붕모듈(220) 상면에 표시되는 디자인 무늬의 종, 횡 선에 의해 식별되도록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은 조립식 벽체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리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수준의 조립 정밀도를 제공하고, 특히 벽체모듈 측면에서 경사면을 통하여 맞물리는 상, 하부 끼움블록에 의해 측벽모듈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밀착 평행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벽체모듈(10), 도리목(20),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모듈(10)은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벽체모듈(10)은 목재프레임과, 목재프레임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와, 목재프레임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목재보드로 구성되고, 상부에 도리목(20)이 일체로 체결된 상태로 제작되어 현장 조립시공된다.
여기서, 상기 도리목(20)은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도리목(20)은 횡형 목재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내측으로 들여 설치되는 구조에 의해 벽체모듈(10) 양측에 업힐돌부(22)와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도리목(20) 일체형 상부 목재프레임(11)을 이용하여 벽체모듈(10)을 제작하므로, 목재 부품들 간에 일체성이 향상되고, 이는 목조건물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연결부(30)는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된다. 측홈(32)은 벽체모듈(10)의 측부 목재프레임을 실, 내외측 목재보드 대비 내측으로 인입 설치하여, 인입된 거리만큼 함몰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측홈(32)과 조립되는 다른 벽체모듈(10)의 측면에는 끼움장(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장(40)은 종형 목재 프레임으로 벽체모듈(10)의 측부 목재프레임에 체결되어, 벽체모듈(10)을 조리시공시 벽체모듈(10) 측홈(32)에 끼움결합되어 내구성 향상 및 단열성능 향상을 도모한다.
도 5에서,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5 (a)는 벽체모듈(10)이 직렬시공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 (b)는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바, 이때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위치고정되므로 서로 조립되는 벽체모듈(10)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면서 조립정밀도가 향상되고, 작업자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공품질이 향상된다.
도 6 (a)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된다. 이에 도 6 (b)와 같이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어, 중간 받을홈부(26) 정중앙에 업힐돌부(22)가 조립되므로 별도의 위치보정작업이 생략된다.
도 7 (a)에서,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이에 도 7 (b)처럼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측벽모듈(10)의 상부에서 밀착 결합력이 작용하여 인접하는 측벽모듈(10)이 평행 정렬되므로 기초바닥 평행도가 불일치하는 조건에서도 복수의 측벽모듈(10)이 수평선상에 정밀시공된다. 또 측벽모듈(10) 사이 밀착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측벽모듈(10)을 밀거라 인양 크레인을 정밀조작하지 않더라도 쉽게 밀착 조립되는 이점이 있다.
도 7 (b)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면 및 측면이 벽체모듈(10)의 'ㄱ'형 설치홈(34)에 맞물려 2면 접촉됨과 더불어 상부 끼움블록(42)이 측홈(32)에 의해 실내, 외측 방향에서 지지되므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고하중에도 유동이 방지되어, 상기 하부 끼움블록(44)과 맞물림 구조에 의한 측벽모듈(10) 수평 시공에 따른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8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진다. 이에 타공홀(12a) 또는 틈새공간(12b)에 의해 벽체모듈 내부 공간이 실외측으로 연통되면서 공기순환층(18a)을 통하여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므로, 벽체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실외측 목재보드 내벽에 곰팡이 발생 및 목재보드가 썩는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각관(100)은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베이스각관(100)은 목조건물 평면도의 구조를 기준으로 벽체모듈 설치위치와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는바, 즉 도 9와 같이 기초바닥(1)을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철근 골조에 베이스각관(100)이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수평게이즈를 이용하여 베이스각관(100) 상면의 수평설치면(102) 수평레벨을 설정한다. 이후 기초바닥(1)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바닥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바닥을 형성 후, 콘크리트 상면 수평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베이스각관(100) 수평설치면(102)의 수평도가 유지되므로, 이후 벽체모듈(10)이 베이스각관(100)을 기준으로 수평 정렬시공되므로 비숙련공에 의한 조립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공장에서 목조건물 평면도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되어 현장시공되거나, 실내 구획 별로 분할형성되어 현장에서 볼트 또는 용접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각관(100)을 분할 형성할 경우 서로 대응하는 연결 부분에 음양각 체결부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끼움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대부(120)는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된다. 상, 하부 토대목(122)(124)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목재판으로서, 도 10과 같이 하부 토대목(122)을 베이스각관(100) 수평설치면(102)에 올리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으로 체결하고, 이후 하부 토대목(122) 상면에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을 적층하여 고정수단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토대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도 10에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된다.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는 판형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판형 철물로서, 하부 영역이 수직설치면(104)에 체결되고,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타공을 통하여 나사못을 체결하여 토대부(120) 측면이 종방향으로 정렬고정된다.
한편, 상기 수직플레이트(160)를 시공 후에는, 외주면에 목판이 덧댐 설치되고, 이때 목판은 벽체모듈(10)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일체로 마감하게 되며, 목판에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이후 목판 외주면에 설치되는 목조건물 외피 마감판사이에 단열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단열재(180)가 구비된다. 판상 방수단열재(180)는 판형 철물, 방부목, 일반합판, 단열재, 방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하여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상, 하부 토대목(122)(124) 측면을 일체로 마감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판상 방수단열재(180)에 의해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이 마감되어 기초바닥(1) 상면에 설치구획이 형성되고, 설치구획 내부로 단열재, 보일러 호스, 다짐 토를 포함하는 실내바닥구조물(2)이 시공되며, 이때 실내바닥구조물(2)과 토대부(120) 사이가 판상 방수단열재(180)에 의해 차폐되어 실내바닥구조물(2)을 시공하는 중에 포함된 수분 및 보일러 호스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 등에 의한 토대부(120) 손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실내바닥구조물(2)의 신축변형을 유연하게 흡수하여 온도차에 의한 실내바닥구조물(2)이 크랙이 방지된다.
도 10의 확대도에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된다.
즉,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 내부에 설치되고, 이때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결속되거나, 하부에 바닥판이 구비되어 거푸집 내부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브라켓(138) 상에 베이스각관(100)을 안착시킨 상태로 나사못, 용접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고,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볼트(136)를 회전시키면 수나사부(136b)와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에 의해 유동측 지지관(134)이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면서 베이스각관(100)이 수평조절되고, 이때 레벨링부(130)는 복수개소에 이격 배치하고, 그 사이에는 고정한 받침대를 설치하여 베이스각관(100)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이후,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복수의 개방부(139)를 통하여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 내부로 유입되어 경화되면,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이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어 레벨링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11에서,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멀티각관(110)에 의해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욕실, 현관, 다용도실, 보일러실)에 해당하는 실내구획의 베이스각관(100) 폭이 확장됨에 따라 베이스각관(100) 상에 토대부(120) 및 벽체모듈(10)을 시공한 후에, 멀티각관(110) 상에 실내구획 내벽 단열재를 포함하는 내장재 설치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각관(110) 측면에 눈금(112)이 표시되고, 눈금(112)은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표시되며, 눈금(112)을 기준으로 욕실에 해당하는 실내구획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시 물빠짐 설계 반영한 경사바닥 타설이 간단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10: 벽체모듈 20: 도리목
30: 벽체연결부 40: 끼움장
100: 베이스각관 120: 토대부
122, 124: 상, 하부 토대목 160: 실외측 수직플레이트
180: 판상 방수단열재 200: 천장모듈
210: 트러스부 220: 지붕모듈
230: 고정수단

Claims (14)

  1.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벽체모듈(10);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 천장모듈(200);
    상기 천장모듈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되는 복수의 트러스부(210); 및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으로 구성되는 지붕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며,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상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되는 도리목(20); 및
    상기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되는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서로 조립된 벽체모듈(10)들의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각관(100);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되는 토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단열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KR1020190007058A 2019-01-18 2019-01-18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KR10208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058A KR102089484B1 (ko) 2019-01-18 2019-01-18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058A KR102089484B1 (ko) 2019-01-18 2019-01-18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484B1 true KR102089484B1 (ko) 2020-03-17

Family

ID=7000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058A KR102089484B1 (ko) 2019-01-18 2019-01-18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4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118A (zh) * 2021-12-01 2022-04-05 广东中集建筑制造有限公司 一种模块化建筑
CN114351868A (zh) * 2022-01-26 2022-04-15 刘大为 拼装式建构体、拼装式建构体的拼装方法及房屋拼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393A (ja) * 1992-11-04 1994-05-27 Sekisui Chem Co Ltd 天井付き屋根ユニット
JPH09228476A (ja) * 1996-02-22 1997-09-02 Noda Corp 木造建築工法
JP2000199267A (ja) * 1999-01-05 2000-07-18 Toyota Woodyou Home Corp 自立型外壁コ―ナ―パネルを用いたパネル工法
JP2003193616A (ja) * 2001-12-27 2003-07-09 Nippon Steel Corp 建物の天井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393A (ja) * 1992-11-04 1994-05-27 Sekisui Chem Co Ltd 天井付き屋根ユニット
JPH09228476A (ja) * 1996-02-22 1997-09-02 Noda Corp 木造建築工法
JP2000199267A (ja) * 1999-01-05 2000-07-18 Toyota Woodyou Home Corp 自立型外壁コ―ナ―パネルを用いたパネル工法
JP2003193616A (ja) * 2001-12-27 2003-07-09 Nippon Steel Corp 建物の天井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118A (zh) * 2021-12-01 2022-04-05 广东中集建筑制造有限公司 一种模块化建筑
CN114278118B (zh) * 2021-12-01 2023-12-01 广东中集建筑制造有限公司 一种模块化建筑
CN114351868A (zh) * 2022-01-26 2022-04-15 刘大为 拼装式建构体、拼装式建构体的拼装方法及房屋拼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445B2 (en) Light weight modular units for staggered stacked building system
CA2757563C (en)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4194339A (en) Method for constructing town houses and the like
US4759160A (en) Prefabricated concrete buildings with monolithic roof, wall, and floor members
US6367215B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US20090300999A1 (en) New type of building, method and means for erecting it
US20060254208A1 (en) Paneling system and method
KR102059880B1 (ko)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AU2018319415B2 (en) A modular building system
US3845592A (en) System for modular construction
KR102089484B1 (ko)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GB2287047A (en) Building construction of composite boards
RU59088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каркас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объемного блока для мал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US20110047898A1 (en) Building components and the buildings constructed therewith
US4073102A (en) Premanufactured modular town house building construction
US9453332B2 (en) Building system, particularly a residential building
CA2508366C (en) Vertical alignment and levelling of modular building units
KR102044858B1 (ko) 목조건물의 기초 구조물 조립시스템
US20080289286A1 (en) Method of constructing foundation substructure and a building
CN115012518B (zh) 墙体与楼板连接节点及连接方法
US20080148656A1 (en) Bulilding Construction Kit
NO813269L (no) Fremgangsmaate til konstruksjon av bygninger og anordning til utfoerelse av fremgangsmaaten
US20140196398A1 (en) Masonry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asonry building
KR101385554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WO1995009954A1 (en) Structural member and building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