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401B1 -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401B1
KR102085401B1 KR1020170014069A KR20170014069A KR102085401B1 KR 102085401 B1 KR102085401 B1 KR 102085401B1 KR 1020170014069 A KR1020170014069 A KR 1020170014069A KR 20170014069 A KR20170014069 A KR 20170014069A KR 102085401 B1 KR102085401 B1 KR 102085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roadcast
broadcast signal
home networ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953A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김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철 filed Critical 김명철
Priority to KR102017001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4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 일부 영역에 설치되며 스피커와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일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일반 방송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출력 기기; 화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반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출력 기기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방송 신호 선택부; 및 상기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재 알림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재 알림 정보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FOR INTERLOCKING FIRE PROTECTION EMERGENCY BROADCASTING}
본 발명은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간에서 소방 비상 방송용 스피커와 일반 방송용 스피커를 홈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이용하여 통합할 수 있는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대형 건물에는 화재 시 이를 알리기 위한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재탐지설비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 또는 화염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센서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에 의하여 인식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 장치에 의해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화재 발생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이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대형 건물 내에 방재 서버를 구비하여 화재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소방 비상 방송을 출력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서울시의 경우 최근 임대주택100만호 건설과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로 많은 아파트와 도시재생주택이 건설되고 공급되는 시기가 도래되었으며, 특히 대규모 임대주택 공급을 위한 설계가 다수의 설계사무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파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비 중 홈 네트워크에서 세대현관문 양방향통신, 문열림, 방문객확인, 동출입구 제어, 스위치 제어, 전기/난방/온수 검침, 엘리베이터 콜기능 등 많은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소방설비의 하나인 세대 내 비상 방송 설비의 스피커는 홈 네트워크와 연동은 물론 융합된 기능이 전무한 상황으로, 기존에는 세대 내의 벽 또는 천정에 1개의 공용 스피커를 설치하여 "층별방송 통합 중계기접점"을 이용하여 소방 비상 방송과 일반 방송을 출력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와 소방 비상 방송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홈 네트워크와 소방 비상 방송용 설비를 연동시켜 원가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방 비상 방송과 일반 방송을 가정 내에 설치된 기기 예를 들어, 소방 겸용 월 패드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세대 내의 벽 또는 천정에 설치된 1 개의 공용 스피커를 삭제(또는 제거)하고 월 패드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방 비상 방송과 일반 방송을 출력할 수 있는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 일부 영역에 설치되며 스피커와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일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일반 방송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출력 기기; 화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반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출력 기기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방송 신호 선택부; 및 상기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재 알림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재 알림 정보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에 의한 제어를 통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전달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에 의한 제어를 통해 상기 일반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전달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제1 릴레이의 출력과 상기 제2 릴레이의 출력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릴레이의 출력과 상기 제2 릴레이의 출력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하나의 배선으로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하는 중계기 접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와 연동되어 유선 및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람이 외출 하였더라도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와 상기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와 시각적인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는 하나의 배선을 통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 일부 영역에 설치되고,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일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일반 방송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출력 기기; 화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반 방송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방송 신호 선택부; 및 상기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전달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출력 기기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재 알림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재 알림 정보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와 연동되어 유선 및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람이 외출 하였더라도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와 상기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와 시각적인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는 하나의 배선을 통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홈 네트워크와 소방 비상 방송용 설비를 연동시킴으로써, 원가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방 비상 방송과 일반 방송을 가정 내에 설치된 기기 예를 들어, 소방 겸용 월 패드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세대 내의 벽 또는 천정에 설치된 1 개의 공용 스피커 외에도 그 스피커까지의 매입 박스 및 배관배선을 삭제(또는 제거) 할 수 있어 시공이 단순화 되고, 소방 겸용 월 패드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방 비상 방송과 일반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방 겸용 월 패드와 같은 방송 출력 기기에서 소방 비상 방송 신호 수신 시 소방 비상 방송과 함께 디스플레이 수단에 화재 발생과 같은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입주자에게 비상 상황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방송 출력 기기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방송 신호 선택부와 방송 출력 기기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간에 설치된 홈 네트워크와 소방 방재 설비에 대한 시스템을 연동시킴으로써, 공간 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방송 출력 기기 예를 들어, 소방 겸용 월 패드에서 일반 방송과 소방 비상 방송을 출력하고, 이를 통해 소방 비상 방송용 스피커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등을 설계할 때 적용함으로써, 건물을 지을 때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방송 신호 선택부(100), 방재 서버(200), 홈 네트워크 서버(300), 중계기(400) 및 방송 출력 기기(500)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 선택부(10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일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일반 방송 신호를 중계기(400)로 출력하고, 방재 서버(2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중계기(4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일반 방송 신호는 경비실, 관리실 등과 같은 곳에서 아파트 단지 또는 세대 내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소방 비상 방송 신호는 화재와 같은 소방 비상 상황에서 소방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 방송 신호는 일반 방송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사람 예를 들어, 경비실 직원, 관리실 직원 등에 의해 입력된 신호이고, 소방 비상 방송 신호는 화재 감지 신호가 방재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화재 발생에 대해 미리 저장된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방송 신호 선택부(100)는 중계기(400)와 두 개의 배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데, 두 개의 배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일반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배선과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배선을 다르게 사용하며, 방송 신호 선택부(100)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신호에 따라 두 배선 중 어느 하나의 배선을 선택하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일반 방송 신호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신호 선택부(100)와 방송 출력 기기(500) 사이에는 두 개의 배선을 하나의 배선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반면, 방송 신호 선택부(100)가 하나의 배선을 통해 일반 방송 신호와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방송 신호 선택부(100)와 중계기(400)는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계기(400)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등의 작업만을 수행하여 방송 출력 기기(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신호 선택부(100)는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기능과 오디오 신호의 품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재 서버(200)는 세대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또는 화재 감지 센서)와 연결되고,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화재 감지 신호를 방송 신호 선택부 및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달한다.
이 때, 방재 서버(200)는 상황에 따라 화재 감시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방송 신호 선택부(100)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방송 신호 선택부(100)는 방재 서버(200)로부터 전달 받은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방송 출력 기기(5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세대 또는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방재 서버(2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출력 기기(5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재 알림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재 알림 정보를 방송 출력 기기(500)로 제공한다.
이 때,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600)으로부터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60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 설치된 난방 컨트롤러, 가스 컨트롤러, 주방 라디오폰, 욕실 스피커 폰, 방범용 열선 감지기, 조명 스위치, 디지털 도어락, 현관 카메라가 홈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홈 네트워크 서버(300)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난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수신된 난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난방 컨트롤러를 제어함으로써, 난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방송 출력 기기(500)로 홈 네트워크 제어 신호 뿐만 아니라 방송 출력 기기(500)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시각적인 정보(시각 화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중계기(400)는 방송 신호 선택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일반 방송 신호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가정 내에 설치된 방송 출력 기기(500)로 전달한다.
이 때, 중계기(400)는 방송 신호 선택부(100)에 의해 방송 출력 기기(500)로의 출력 신호가 제어될 수도 있다. 즉, 방송 신호 선택부(100)가 방송 출력 기기(500)로 일반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계기(400)의 출력단과 방송 출력 기기(500)로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계기(400)의 출력단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방송 출력 기기(500)는 일반 방송 신호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일반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일반 방송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방송 출력 기기(500)는 가정 또는 세대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과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출력 기기(500)는 홈 네트워크 서버(300)의 제어에 의해 홈 네트워크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소방 비상 방송을 스피커로 출력하면서 디스플레이 수단에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는 홈 네트워크 서버(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출력 기기(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20)와 디스플레이 수단(510)을 포함하고, 방송 출력 기기(500)는 중계기(400)로부터 일반 방송 신호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스피커(520)를 통해 일반 방송 또는 소방 비상 방송을 출력함으로써, 가정 또는 세대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방송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방송 출력 기기(500)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서버(300)로부터 화재 알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재 알림에 대한 정보(530)를 디스플레이 수단(51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화재 발생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수단(5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재 발생에 대한 이미지는 방송 출력 기기(500)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홈 네트워크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600)은 홈 네트워크 서버(300)와 연동되어 유선 및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사람이 외출 하였더라도 홈 네트워크 서버(3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와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와 시각적인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방송 출력 기기(5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를 제공 받거나 획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방송 신호 선택부와 방송 출력 기기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신호 선택부(100)와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상호 연동되며, 방송 신호 선택부(100)는 중계기(400)와 중계기 접점부(700)를 통해 방송 출력 기기(500)와 연결된다.
중계기(400)는 아파트의 경우 아파트 단지 각 동의 전원장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방송 신호 선택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중계기 접점부(700)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릴레이(410)와 방송 신호 선택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일반 방송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릴레이(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방송 신호가 소방 비상 방송 신호와 일반 방송 신호 뿐만 아니라 공통 방송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로서, 공통 방송 신호는 중계기(400)에서 바이패스되어 방송 신호 선택부(100)에서 방송 출력 기기(500)로 바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릴레이(410)와 제2 릴레이(420)는 외부 예를 들어, 방송 신호 선택부(100)에서 입력된 제어신호(R1, R2)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1 릴레이(410)는 방송 신호 선택부(100)에서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방송 신호 선택부(100)의 제어에 의해 온(ON)됨으로써,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중계기 접점부(700)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릴레이(420)는 방송 신호 선택부(100)에서 일반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방송 신호 선택부(100)의 제어에 의해 온됨으로써, 일반 방송 신호를 중계기 접점부(700)로 출력할 수 있다.
중계기 접점부(700)는 제1 릴레이(410)의 출력단과 제2 릴레이(420)의 출력단 각각과 두 개의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고, 하나의 출력단을 통해 방송 출력 기기(500)로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와 소방 비상 방송용 설비를 연동시킴으로써, 원가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소방 비상 방송과 일반 방송을 가정 내에 설치된 기기 예를 들어, 소방 겸용 월 패드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하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방 비상 방송과 일반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방 겸용 월 패드와 같은 방송 출력 기기에서 소방 비상 방송 신호 수신 시 소방 비상 방송과 함께 디스플레이 수단에 화재 발생과 같은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입주자에게 비상 상황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송 출력 기기가 가정 또는 세대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홈 네트워크가 구성된 오피스텔, 사무소, 상가 등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방송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서버에서 수신하여 방송 송출 기기로 전달하는 구조의 시스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방송 신호 선택부(800), 방재 서버(200), 홈 네트워크 서버(900) 및 방송 출력 기기(500)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 선택부(80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일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일반 방송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 출력하고, 방재 서버(2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일반 방송 신호는 경비실, 관리실 등과 같은 곳에서 아파트 단지 또는 세대 내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소방 비상 방송 신호는 화재와 같은 소방 비상 상황에서 소방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선택부(800)는 홈 네트워크 서버(900)와 두 개의 배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두 개의 배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일반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배선과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배선을 다르게 사용하며, 방송 신호 선택부(800)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신호에 따라 두 배선 중 어느 하나의 배선을 선택하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일반 방송 신호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방송 신호 선택부(800)가 하나의 배선을 통해 일반 방송 신호와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방송 신호 선택부(800)와 홈 네트워크 서버(900)는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홈 네트워크 서버(900)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등의 작업만을 수행하여 방송 출력 기기(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신호 선택부(800)는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기능과 오디오 신호의 품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재 서버(200)는 세대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또는 화재 감지 센서)와 연결되고,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화재 감지 신호를 방송 신호 선택부(800) 및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 전달한다.
이 때, 방재 서버(200)는 상황에 따라 화재 감시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방송 신호 선택부(800)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방송 신호 선택부(800)는 방재 서버(200)로부터 전달 받은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900)는 세대 또는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방송 신호 선택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일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출력 기기(500)로 전달한다.
이 때, 홈 네트워크 서버(900)는 방재 서버(2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출력 기기(5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재 알림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재 알림 정보를 방송 출력 기기(500)로 제공한다.
이 때, 홈 네트워크 서버(900)는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60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 설치된 난방 컨트롤러, 가스 컨트롤러, 주방 라디오폰, 욕실 스피커 폰, 방범용 열선 감지기, 조명 스위치, 디지털 도어락, 현관 카메라가 홈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홈 네트워크 서버(300)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난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수신된 난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난방 컨트롤러를 제어함으로써, 난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서버(900)는 방송 출력 기기(500)로 홈 네트워크 제어 신호 뿐만 아니라 방송 출력 기기(500)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시각적인 정보(시각 화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방송 출력 기기(500)는 일반 방송 신호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일반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일반 방송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방송 출력 기기(500)는 가정 또는 세대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과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출력 기기(500)는 홈 네트워크 서버(900)의 제어에 의해 홈 네트워크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소방 비상 방송을 스피커로 출력하면서 디스플레이 수단에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는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출력 기기(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20)와 디스플레이 수단(510)을 포함하고, 방송 출력 기기(500)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부터 일반 방송 신호 또는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수신되면 스피커(520)를 통해 일반 방송 또는 소방 비상 방송을 출력함으로써, 가정 또는 세대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방송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방송 출력 기기(500)는 화재 발생의 경우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부터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뿐만 아니라 화재 알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방 비상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을 스피커(520)로 출력함과 동시에 화재 알림에 대한 정보(530)를 디스플레이 수단(51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수단(5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재 발생에 대한 이미지는 방송 출력 기기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600)은 홈 네트워크 서버(900)와 연동되어 유선 및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사람이 외출 하였더라도 홈 네트워크 서버(9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와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와 시각적인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가정 내 일부 영역에 설치되며 스피커와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일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소방 비상 방송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일반 방송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출력 기기;
    화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반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방송 신호 선택부; 및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와 상호 연동되며, 상기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재 알림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재 알림 정보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정 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재 감지 신호를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달하는 방재 서버;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전달하는 중계기;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와 연동되어 유선 및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람이 외출 하였더라도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와 상기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발생에 대한 청각적인 정보와 시각적인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
    를 포함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가정 내에 설치된 난방 컨트롤러, 가스 컨트롤러, 주방 라디오폰, 욕실 스피커 폰, 방범용 열선 감지기, 조명 스위치, 디지털 도어락 및 현관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는
    상기 중계기와 중계기 접점부를 통해 상기 방송 출력 기기와 연결되고, 하나의 배선을 통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 또는 상기 일반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하며, 공통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 접점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바로 출력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에 의한 출력단의 온 또는 오프 제어를 통해 상기 소방 비상 방송 신호를 하나의 배선을 통해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하는 상기 중계기 접점부로 전달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에 의한 출력단의 온 또는 오프 제어를 통해 상기 일반 방송 신호를 상기 하나의 배선을 통해 상기 방송 출력 기기로 출력하는 상기 중계기 접점부로 전달하는 제2 릴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기 접점부는
    상기 제1 릴레이의 출력단과 상기 제2 릴레이의 출력단 각각과 두 개의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고, 하나의 출력단을 통해 상기 방송 출력 기기와 연결되는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70014069A 2017-01-31 2017-01-31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85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69A KR102085401B1 (ko) 2017-01-31 2017-01-31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69A KR102085401B1 (ko) 2017-01-31 2017-01-31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929A Division KR20160126622A (ko) 2015-04-24 2015-04-24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953A KR20170015953A (ko) 2017-02-10
KR102085401B1 true KR102085401B1 (ko) 2020-03-05

Family

ID=5812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069A KR102085401B1 (ko) 2017-01-31 2017-01-31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4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67B1 (ko) * 2009-12-21 2010-12-07 (주)한성테크놀러지 공동 주택에서의 스마트 디지털 스피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796B1 (ko) * 2008-06-24 2010-11-1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1194345B1 (ko) * 2010-12-28 2012-10-25 주식회사 유코스텍 공동주택에 채용하기 적합한 세대방송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67B1 (ko) * 2009-12-21 2010-12-07 (주)한성테크놀러지 공동 주택에서의 스마트 디지털 스피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953A (ko)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1453164B1 (ko)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및 방법
JP5350705B2 (ja) コントローラ装置
JP2003067866A (ja) 地震報知機能付き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JP2018190096A (ja) 中継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自火報システム
CA2946042C (en) Remote talk down to panel, camera and speaker
JPH08273075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KR102296974B1 (ko)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102085401B1 (ko)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60126622A (ko)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5297783B2 (ja) 緊急地震通報システム
JP3550983B2 (ja) 集合住宅用警報監視システム
KR102403237B1 (ko) 세대 단말기를 이용한 약자 케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0633023B1 (ko) 센서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망을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7456A (ko) 상황등급을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8271281A (ja) 地震通報方法とシステム
KR101834134B1 (ko) 통합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20087360A (ja) 通報システム、防災システム、通報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10568A1 (ja) 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6378975B2 (ja) 集合住宅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8269103A (ja) 警報連動装置及び警報システム
JPH03225600A (ja) 集合住宅のセキュリティ情報報知装置
JPH1091880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O'Driscoll Manage Your Smart Home With An App!: Learn Step-by-Step How to Control Your Home Lighting, Thermostats, IP Cameras, Music, Alarm, Locks, Kitchen and Garden with an Ap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