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163B1 - 적층식 운반상자 - Google Patents

적층식 운반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163B1
KR102085163B1 KR1020190128000A KR20190128000A KR102085163B1 KR 102085163 B1 KR102085163 B1 KR 102085163B1 KR 1020190128000 A KR1020190128000 A KR 1020190128000A KR 20190128000 A KR20190128000 A KR 20190128000A KR 102085163 B1 KR102085163 B1 KR 10208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ed
bent
transport box
fram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욱
Original Assignee
비엠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엠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엠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3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open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6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적층식 운반상자가 개시된다. 상기 적층식 운반상자는, 절단된 형태의 금속 환봉을 운반하기 위해 수용공간이 마련된 운반상자로서, 바닥부;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측을 폐쇄하는 벽부를 포함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 측면에 수직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과 측벽 사이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금속 환봉을 수용공간으로부터 반출하기 위해 개방되는 도어; 및 상기 측벽 하단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홀이 형성되는 운반부;를 포함하는 운반상자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 하측 단부에는, 적층 시 운반상자들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운반상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에는, 일측에 운반상자들을 상호간 적층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식 운반상자{Stacked Carry Box}
본 발명은 적층식 운반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절단된 형태의 금속 환봉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상자로서, 운반상자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적층 가능하되, 운반상자들 상호간 정렬될 상태로 체결되도록 적층 가능함에 따라 운반 시 운반상자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식 운반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선박,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기계부품을 제조할 때는 기계부품의 사용 목적과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가공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공방식으로는 단조 가공, 압연 가공, 압출 가공, 프레스 가공, 선반 가공 등이 있다.
한편, 기계부품의 원자재로서 금속 소재의 환봉은 금형의 소재로써 사용하기 위해 최초 원자재의 환봉을 일정 단위의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처로 운반되어 사용되는데, 이때, 운반상자에 절단된 금속 환봉을 소정의 양만큼 수용한 상태로 차량을 통해 사용처로 배송되게 된다.
또한, 금속 환봉이 수용된 운반상자는 운반 시 지게차를 이용하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적층된 상태로 차량에 적재되어 배송되는데, 이때, 운반상자가 정확히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적층되지 않고 조금이라도 정렬이 틀어진 상태로 적재될 경우, 운반 시 조금의 진동 및 기울어짐만 발생하더라도 운반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쓰러지게 되면서 큰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에 운반상자를 적재할 경우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상자의 정확한 정렬을 맞추면서 적층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즉, 지게차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위치를 조정하여 운반상자를 정렬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운반상자를 정렬하기 위한 별도의 정렬수단 및 운반상자들을 상호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로 인해, 사고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어 사고의 위험성을 대비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598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된 형태의 금속 환봉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상자로서, 운반상자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적층 가능하되, 운반상자 정렬 및 운반상자들의 상호간 고정이 가능하여 운반상자들 상호간 정렬될 상태로 체결되도록 적층 가능함에 따라 운반 시 운반상자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식 운반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는, 절단된 형태의 금속 환봉을 운반하기 위해 수용공간이 마련된 운반상자로서, 바닥부;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측을 폐쇄하는 벽부를 포함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 측면에 수직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과 측벽 사이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금속 환봉을 수용공간으로부터 반출하기 위해 개방되는 도어; 및 상기 측벽 하단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홀이 형성되는 운반부;를 포함하는 운반상자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 하측 단부에는, 적층 시 운반상자들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운반상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에는, 일측에 운반상자들을 상호간 적층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은, 상기 상측 프레임 일측에 상기 고정수단이 걸림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안착되는 내측에 돌출 형성된 정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정렬돌기와 대응되도록 상측 프레임 일측에 정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운반부 하측 단부에 상기 지지부 단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소정 각도록 회동하여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어 축결합되도록 하는 힌지;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 하측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고정부재 내측 또는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단부가 절곡되되, 절곡 부분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절곡된 부분이 펼쳐지거나 절곡된 형태로 꺾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단부가 절곡되되, 절곡되어 접하는 부분에는 절곡돌기 및 절곡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와 접촉하여 가압되면 절곡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에는, 각각 일측에 고리 형태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밀착되도록 회동된 상태가 될 경우 홀이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고 잠금핀이 상기 홀에 삽입됨으로써 회동부재 회동이 제한된 상태로 상호간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는, 운반상자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적층 가능하되,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상자를 적층 시 정확한 정렬을 맞출 수 있도록 도모하고,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적층이 되는 즉시 자동으로 운반상자들은 상호간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적층이 해제되는 동시에 운반상자들의 상호간 고정이 해제될 수 있어, 용이하게 운반상자들의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고, 운반상자들 상호간 정렬될 상태로 체결되도록 적층 가능함에 따라 운반 시 운반상자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적층식 운반상자에 정렬돌기 및 정렬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적층식 운반상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적층식 운반상자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고정부재와 회동부재가 잠금핀에 의해 상호간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힌지가 고정부재 내측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힌지가 고정부재 외측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회동부재의 절곡부분에 탄성체가 설치된 모습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회동부재의 절곡부분에 절곡돌기와 절곡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 전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회동부재의 절곡부분에 절곡돌기와 절곡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 후 상태의 요부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는 절단된 형태의 금속 환봉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상자로서, 운반상자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적층 가능하되, 운반상자 정렬 및 운반상자들의 상호간 고정이 가능하여 운반상자들 상호간 정렬될 상태로 체결되도록 적층 가능함에 따라 운반 시 운반상자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식 운반상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1)는 크게 바닥부(10), 측벽(20), 도어(30) 및 운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적층식 운반상자(1)는 절단된 형태의 금속 환봉을 운반하기 위해 수용공간이 마련된 운반상자로서, 수평 배치되는 상기 바닥부(10) 측면에 수직상으로 복수 개의 측벽(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20)은 중심 내부가 개방되도록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21) 및 개방된 상기 프레임 내측을 폐쇄하는 벽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은 기본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벽부(22)는 상기 프레임(21) 중심 내부를 폐쇄하여 금속 환봉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가능하다. 즉, 상기 벽부(22)는 완전한 면을 구성하는 벽체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물망 구조의 철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10)를 기준으로 측면 모서리 부분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수직상으로 상기 측벽(20)이 수직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바닥부(10)의 측면 모서리 중 적어도 한 곳은 측벽(20)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20)은 상기 상측 프레임(21) 일측에 후술하는 고정수단(200)이 걸림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2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홈(23)은 상기 측벽(20)의 상측 프레임(21) 일부에 홈이 패인 형태로서, 후술하는 고정수단(200)이 측벽(20)에 고정될 경우 보다 견고하게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고정수단(200)이 단순히 측벽(20)의 상측 프레임(21)에 밀착 고정되는 것에 비해 상기 고정홈(23)에 고정됨으로써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30)는 상기 상기 바닥부(10)의 측면 모서리 중 적어도 한 곳은 측벽(20)이 설치되지 않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측벽(20)과 측벽(20) 사이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금속 환봉을 수용공간으로부터 반출하기 위해 개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도어(30)는 적층식 운반상자(1)에 수용된 금속 환봉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공간에 금속 환봉을 수용한 채 도어(30)를 개방함으로써 수용공간에 수용된 금속 환봉을 쉽게 외부로 반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측벽(20)과 측벽(20) 사이에 설치되되, 측벽(20)의 양측을 회전축으로 두고 회동가능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30)의 회동축을 상기 측벽(20)의 상측 프레임(21)에 형성할 경우, 상기 도어(30)가 상측을 향해 회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고, 도어(30)의 회동축을 상기 측벽(20)의 하측 프레임(21)에 형성할 경우, 상기 도어(30)가 하측을 향해 회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회동되되, 상기 도어(30)의 중심부부만 회동되어 도어(30)가 반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가 될 수도 있으며, 도어(30)가 측벽(2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탈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어(30)에는 별도의 잠금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도어(30)를 개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30)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운반부(40)는 수용공간에 금속 환봉을 적재한 후 상기 적층식 운반상자(1)를 특정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차량에 탑재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운반부(40)는 상기 측벽(20) 하단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크홀(41)은 지게차의 2개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2곳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0)의 하단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됨으로써, 지게차의 포크가 상기 측벽(20)의 하단 양측에 삽입되어 적층식 운반상자(1) 하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운반부(40) 하측 단부에는, 적층 시 운반상자(1)들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상기 측벽(20)의 프레임(21)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운반상자(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는 적층식 운반상자(1)가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운반부(40) 하측 단부에 설치되되, 하측에 배치되는 적층식 운반상자(1)의 상부 프레임(21)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21)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은 상부 프레임(21) 상면과 밀착되도록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면과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을 향해 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방향을 향해 형성된 면은 상부 프레임(21) 수직면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경사진 형태로 사선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는 적층식 운반상자(1)를 적층시키고자 할 때 지지부(100)가 상부 프레임(21)에 쉽게 안내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100)에는 일측에 운반상자들(1)을 상호간 적층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2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0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적층식 운반상자에 정렬돌기 및 정렬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식 운반상자(1)를 정렬한 상태로 원활하게 수직상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00)와 상기 측벽(20)의 상측 프레임(21) 각각 정렬홈(211) 및 정렬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의 내측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정렬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정렬돌기(110)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21) 외측에는 정렬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돌기(110) 및 정렬홈(211)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고정수단(2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적층식 운반상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적층식 운반상자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200)은 적층식 운반상자(1)를 수직으로 연속해서 적층할 경우 상호간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적층된 운반상자(1)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운반부(40) 하측 단부의 지지부(10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운반부(40) 하측 단부에 상기 지지부(100) 단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210), 상기 고정부재(210)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한 회동부재(220) 및 상기 회동부재(220)가 상기 고정부재(210)로부터 소정 각도록 회동하여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220)는 상기 고정부재(210)와 연결되어 축결합되도록 하는 힌지(221), 상기 측벽(20)의 프레임(21) 상부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가압부(222) 및 상기 가압부(222) 하측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측벽(20)의 프레임(21) 상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210)가 상기 지지부(100) 단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재(220)가 상기 고정부재(210)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상기 힌지(22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230) 일측은 상기 고정부재(21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회동부재(22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20)가 상기 고정부재(210)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220)는 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측이 설치될 수 있고, 하부는 상측 프레임(21) 하단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수단(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최초 적층식 운반상자(1)가 적층되기 전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재(210) 일측에 회동부재(220)가 힌지(221)에 의해 축결합되되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다음, 적층식 운반상자(1)가 적층되게 되면, 회동부재(220)의 가압부(222)와 프레임(21)이 밀착되면서 적층식 운반상자(1)의 하중에 의해 탄성부재(230)가 압축되고 회동부재(220)가 회동하여 고정부재(210)와 밀착된 상태로서 수직으로 반듯하게 세워진 상태가 되게 된다. 즉, 적층식 운방상자(1)를 적층하는 상황이 되면 회동부재(220)는 반듯한 수직 상태로 회동하게 되어 프레임(21)에 맞물려진 상태가 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적층식 운반상자(1)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면 운반상자(1)들 상호간 서로 맞물려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층식 운반상자(1)를 적층된 상태에서 분리하여 고정을 해제할 경우,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층식 운반상자(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술한 고정되는 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으로서, 탄성부재(230)의 반발력이 발생하여 회동부재(220)를 최초의 각도로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220)의 걸림부(223)는 프레임(21)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된 상태로 위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적층식 운반상자(1)간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23)는 상기 가압부(222)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재(210)와 상기 회동부재(220)는 별도의 잠금핀(227)이 상호간 연결을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고정부재와 회동부재가 잠금핀에 의해 상호간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핀(227)은 사용자가 쉽게 체결 및 분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정부재(210)와 회동부재(220)에 각각 고리 형태의 제1홀(210a) 및 제2홀(220a)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재(210)와 회동부재(220)가 밀착상태로 회동될 경우 상기 제1홀(210a) 및 제2홀(220a)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홀(210a) 및 제2홀(220a)에 상기 잠금핀(227)이 삽입됨으로써 회동부재(220) 회동이 제한된 상태로 상호간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측벽(20)에 있어, 상기 상측 프레임(21)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23)에는 상기 고정수단(200), 즉, 회동부재(220)가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힌지가 고정부재 내측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힌지가 고정부재 외측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221)는 상기 고정부재(210) 내측 또는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20)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동가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힌지(221)는 선택적으로 고정부재(210)를 기준으로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220)가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00)는 외측방향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221)가 고정부재(210) 내측 모서리에 위치될 경우 상기 지지부(100)는 프레임(21)의 외측에 고정되고, 회동부재(220)는 프레임(21)의 내측에 고정되어, 프레임(21) 양측에 고정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회동부재의 절곡부분에 탄성체가 설치된 모습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재(220) 하측의 절곡된 부분에는 탄성체(224)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223)는 단부가 절곡되되, 절곡 부분에 탄성체(224)가 설치되어, 절곡된 부분이 펼쳐지거나 절곡된 형태로 꺾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동부재(220)에 있어 하측의 절곡된 부분은 절곡된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로 절개되어 회동가능한 부분에 상기 탄성체(224)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20)의 절곡된 단부가 회동되되 탄성체(22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절곡된 형태로 형상이 복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층식 운반상자(1)가 적층된 상태일 경우, 상기 고정수단(200)의 회동부재(220)는 프레임(21)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적층식 운반상자(1)의 적층된 상태가 해제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해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되 동시에 회동부재(220)의 하단의 절곡된 부분이 펼쳐지면서 쉽게 분리 가능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적층식 운반상자(1)의 적층된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면 다시 탄성체(224)에 의해 회동부재(220) 하단의 절곡된 부분은 절곡된 상태가 되도록 형상이 복구되게 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220) 하단의 절곡된 부분이 회동가능하게 절개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탄성체(224)에 의해 절곡된 부분이 펼쳐진 후 다시 절곡된 상태로 복원 가능함에 따라, 적층식 운반상자(1)가 적층될 경우에는 회동부재(220)가 프레임(21)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적층식 운반상자(1)가 분리된 상태가 되는 동시에 회동부재(220) 하단의 절곡부분이 펼쳐지면서 프레임(21)으로부터 회동부재(22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회동부재의 절곡부분에 절곡돌기와 절곡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 전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에서 회동부재의 절곡부분에 절곡돌기와 절곡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 후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223)는 단부가 절곡되되, 절곡되어 접하는 부분에는 절곡돌기(225) 및 절곡홈(226)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222)가 상기 측벽(20)의 프레임(21) 상부와 접촉하여 가압되면 절곡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걸림부(223)의 내측에는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절곡돌기(225)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돌기(225)와 대응되도록 절곡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층식 운반상자(1)가 적층된 상태일 경우, 상기 고정수단(200)의 회동부재(220)는 프레임(21)에 고정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절곡돌기(225)는 프레임(21)의 일측과 접촉되면서 절곡홈(226)에 내장되며, 이에 따라, 회동부재(220)가 프레임(2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층식 운반상자(1)의 적층된 상태가 해제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해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면 절곡홈(226)에 내장된 절곡돌기(225)가 인출되면서 동시에 회동부재(220)의 하단의 절곡된 부분이 펼쳐지면서 쉽게 분리 가능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적층식 운반상자(1)의 적층된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면 다시 탄성체(224)에 의해 회동부재(220) 하단의 절곡된 부분은 절곡된 상태가 되도록 형상이 복구되게 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220) 하단의 절곡된 부분이 회동가능하게 절개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탄성체(224)에 의해 절곡된 부분이 펼쳐진 후 다시 절곡된 상태로 복원 가능함에 따라, 적층식 운반상자(1)가 적층될 경우에는 회동부재(220)가 프레임(21)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적층식 운반상자(1)가 분리된 상태가 되는 동시에 회동부재(220) 하단의 절곡부분이 펼쳐지면서 프레임(21)으로부터 회동부재(22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운반상자(1)는 운반상자(1)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적층 가능하되,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상자(1)를 적층 시 정확한 정렬을 맞출 수 있도록 도모하고,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적층이 되는 즉시 자동으로 운반상자(1)들은 상호간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적층이 해제되는 동시에 운반상자(1)들의 상호간 고정이 해제될 수 있어, 용이하게 운반상자(1)들의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고, 운반상자(1)들 상호간 정렬될 상태로 체결되도록 적층 가능함에 따라 운반 시 운반상자(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적층식 운반상자 10: 바닥부
20: 측벽 21: 프레임
211: 정렬홈 22: 벽부
23: 고정홈 30: 도어
40: 운반부 41: 포크홀
100: 지지부 110: 정렬돌기
200: 고정수단 210: 고정부재
210a: 제1홀 220: 회동부재
220a: 제2홀 221: 힌지
222: 가압부 223: 걸림부
224: 탄성체 225: 절곡돌기
226: 절곡홈 227: 잠금핀
230: 탄성부재

Claims (9)

  1. 절단된 형태의 금속 환봉을 운반하기 위해 수용공간이 마련된 운반상자로서,
    바닥부;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측을 폐쇄하는 벽부를 포함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 측면에 수직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과 측벽 사이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금속 환봉을 수용공간으로부터 반출하기 위해 개방되는 도어; 및
    상기 측벽 하단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홀이 형성되는 운반부;를 포함하는 운반상자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 하측 단부에는, 적층 시 운반상자들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운반상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에는,
    일측에 운반상자들을 상호간 적층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운반부 하측 단부에 상기 지지부 단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소정 각도록 회동하여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운반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프레임 상부에 상기 고정수단이 걸림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운반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안착되는 내측에 돌출 형성된 정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정렬돌기와 대응되도록 상측 프레임 일측에 정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운반상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어 축결합되도록 하는 힌지;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 하측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운반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고정부재 내측 또는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운반상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단부가 절곡되되, 절곡 부분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절곡된 부분이 펼쳐지거나 절곡된 형태로 꺾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운반상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단부가 절곡되되, 절곡되어 접하는 부분에는 절곡돌기 및 절곡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측벽의 프레임 상부와 접촉하여 가압되면 절곡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운반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에는,
    각각 일측에 고리 형태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밀착되도록 회동된 상태가 될 경우 홀이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고 잠금핀이 상기 홀에 삽입됨으로써 회동부재 회동이 제한된 상태로 상호간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운반상자.
KR1020190128000A 2019-10-15 2019-10-15 적층식 운반상자 KR102085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000A KR102085163B1 (ko) 2019-10-15 2019-10-15 적층식 운반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000A KR102085163B1 (ko) 2019-10-15 2019-10-15 적층식 운반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163B1 true KR102085163B1 (ko) 2020-03-04

Family

ID=6978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000A KR102085163B1 (ko) 2019-10-15 2019-10-15 적층식 운반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829U (ko) * 2021-10-20 2023-04-27 신병철 낚시 미끼 및 부속품 보관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81B1 (ko) 2010-07-06 2012-09-25 (주)기승산업기계 빌렛 운반용 컨테이너
KR101648388B1 (ko) * 2015-08-07 2016-08-16 주식회사 신화인텍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US20190210765A1 (en) * 2016-05-24 2019-07-11 Orbis Corporation Bulk container with interlocking features
KR102024082B1 (ko) * 2019-04-04 2019-09-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81B1 (ko) 2010-07-06 2012-09-25 (주)기승산업기계 빌렛 운반용 컨테이너
KR101648388B1 (ko) * 2015-08-07 2016-08-16 주식회사 신화인텍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US20190210765A1 (en) * 2016-05-24 2019-07-11 Orbis Corporation Bulk container with interlocking features
KR102024082B1 (ko) * 2019-04-04 2019-09-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829U (ko) * 2021-10-20 2023-04-27 신병철 낚시 미끼 및 부속품 보관함
KR200498065Y1 (ko) 2021-10-20 2024-06-10 신병철 낚시 미끼 및 부속품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316B2 (en) Article storage case
US20180171685A1 (en) Locking device for containers
KR102085163B1 (ko) 적층식 운반상자
EP3611107A1 (en) Folding box
JP5626075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2009255932A (ja) 折畳コンテナー
JP4121517B2 (ja) コンテナのスタック構造
JP2017052554A (ja) 合成樹脂製折り畳み容器
CN104870326A (zh) 用于在运输托盘上的箱式结构体的角件
JP2018177239A (ja) 折畳み式運搬用容器
JP7259283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4102629B2 (ja) コンテナ
JP6961230B2 (ja) 折畳み容器
JP7134482B2 (ja) 折畳み容器
JP4394365B2 (ja) 運搬用容器
JP6978779B2 (ja) 折畳み容器
JP4864253B2 (ja) 容器
JP4510265B2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JP2022183653A (ja) 折畳み容器
JPH10139039A (ja) 合成樹脂製収納容器
JP2019089594A (ja) 蓋付き容器、及び、運搬ユニット
JP4842660B2 (ja) ブレードケース
JP2022099347A (ja) 折畳み容器
JP4163024B2 (ja) 角形運搬容器の蓋体
JP4319941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