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828B1 - 반도체칩 - Google Patents

반도체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828B1
KR102079828B1 KR1020130014155A KR20130014155A KR102079828B1 KR 102079828 B1 KR102079828 B1 KR 102079828B1 KR 1020130014155 A KR1020130014155 A KR 1020130014155A KR 20130014155 A KR20130014155 A KR 20130014155A KR 102079828 B1 KR102079828 B1 KR 102079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memory cell
semiconductor chip
section
cell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854A (ko
Inventor
이인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828B1/ko
Priority to US13/965,887 priority patent/US9275687B2/en
Priority to CN201310372803.5A priority patent/CN103985413B/zh
Publication of KR2014010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ram (AREA)

Abstract

반도체칩은 제1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는 코어영역의 제1 면에 인접한 제1 에지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에지영역은 제2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1 패드부가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된다.

Description

반도체칩{SEMICONDUCTOR CHIP}
본 발명은 에지영역에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칩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제품의 소형화와 더불어 고성능화가 요구됨에 따라, 고용량의 반도체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고용량의 반도체 모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공간 내에 보다 많은 수의 메모리셀들을 집적해야 한다. 최근 고용량의 반도체모듈을 제공하기 위해 반도체칩을 두개 이상 적층(Stack)하여 용량을 두배 이상 증가시키는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패드가 형성된 에지영역이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반도체칩들을 적층하는 경우 상단의 반도체칩과 하단의 반도체칩 사이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서(spacer)가 필요하다. 스페이서(spacer)는 하단의 반도체칩의 패드로부터 본딩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다. 반도체칩들 사이에 존재하는 스페이서는 반도체모듈의 높이를 증가시키므로, 반도체모듈의 고용량을 구현하는데 제한요소로 작용한다.
반도체칩들 사이에 존재하는 스페이서는 적층되는 반도체칩들이 단축과 장축을 갖도록 구현하고, 반도체칩들의 에지영역을 단축에 위치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반도체칩들을 적층하는 경우 스페이서는 제거할 수 있지만 위에 적층된 반도체칩의 본딩패드가 들뜨게 되는 오버행(Overhang)이 부분적으로 발생된다. 상단의 반도체칩에서 오버행이 발생된 부분은 물리적으로 지지를 받지 못하므로, 본딩 페일(fail)이 유발된다. 반도체칩들의 장축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오버행이 발생되는 부분도 증가하므로, 본딩 페일의 발생 확률도 높아진다.
본 발명은 더미영역을 최소화하여 반도체모듈의 고용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칩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는 코어영역의 제1 면에 인접한 제1 에지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에지영역은 제2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1 패드부가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반도체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간으로 구분된 제1 설정폭을 갖고, 제2 방향으로 제4 내지 제6 구간으로 구분된 제2 설정폭을 갖는 반도체칩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메모리셀어레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폭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5 구간을 갖는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메모리셀어레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간으로 구분된 제1 설정폭을 갖고, 제2 방향으로 제4 내지 제6 구간으로 구분된 제2 설정폭을 갖는 반도체칩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메모리셀어레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폭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5 구간을 갖는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메모리셀어레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3 영역에 형성되어,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4 영역에 형성된 제3 메모리셀어레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가 형성된 에지영역에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함으로써, 더미영역을 최소화하여 반도체모듈의 고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칩의 장축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반도체칩들을 적층하여 반도체모듈을 구현함에 있어, 오버행에 따른 본딩 페일의 발생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을 적층하여 구성된 반도체모듈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은 제1 방향(X)으로 제1 구간(PW1), 제2 구간(PW2) 및 제3 구간(PW3)으로 구분되는 제1 설정폭(DW1)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칩은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 제5 구간(PW5) 및 제6 구간(PW6)으로 구분되는 제2 설정폭(DW2)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칩은 제2 방향(Y)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에지영역(11), 코어영역(12) 및 제2 에지영역(13)을 포함한다. 제1 에지영역(11)은 제1 방향(X)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영역(111), 제2 영역(112) 및 제3 영역(113)으로 구성된다. 제1 영역(111)은 제1 방향(X)으로 제1 구간(P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제2 영역(112)은 제1 방향(X)으로 제2 구간(PW2)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제3 영역(113)은 제1 방향(X)으로 제3 구간(PW3)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코어영역(12)은 제1 방향(X)으로 제1 설정폭(D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5 구간(PW5)을 갖는다. 제2 에지영역(13)은 제1 방향(X)으로 제1 설정폭(D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6 구간(PW6)을 갖는다.
제1 영역(111), 제3 영역(113) 및 코어영역(12)에는 메모리셀어레이들로 구성된 제1 내지 제8 쿼터뱅크(QB1~QB8)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8 쿼터뱅크(QB1~QB8)는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되는 뱅크들이 4개로 분활되어 형성된다. 제1 영역(111), 제3 영역(113) 및 코어영역(12)에 형성된 4개의 제1 쿼터뱅크(QB1)에 포함된 메모리셀어레이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된다. 코어영역(12)에는 각각 4개의 제2 내지 제8 쿼터뱅크(QB2~QB8)를 포함한다. 동일한 식별번호의 쿼터뱅크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쿼터뱅크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한개의 뱅크를 구성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뱅크를 다양한 비율로 분활하거나 병합하여 제1 영역(111), 제3 영역(113) 및 코어영역(12)에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1 에지영역(11)에 포함된 제2 영역(112)에는 제1 패드부가 형성된다. 제2 에지영역(13)에는 제2 패드부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패드부는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패드부는 어드레스 및 커맨드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패드를 포함하고, 제2 패드부는 데이터, 클럭 및 제어신호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패드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지영역(13)은 제1 에지영역(11)과 달리 메모리셀어레이들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현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에지영역(13)도 제1 에지영역(11)과 같이 메모리셀어레이들이 형성되는 영역이 존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은 제1 에지영역(11)을 제1 영역(111), 제2 영역(112) 및 제3 영역(113)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111) 및 제3 영역(113)에는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고, 제2 영역(112)에는 제1 패드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에지영역에 제1 패드부뿐만아니라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함으로써 코어영역(12)에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인 더미영역이 최소화되어 고용량의 반도체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은 더미영역을 최소화시켜 제2 방향(Y)의 제2 설정폭(DW2)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들을 스텍적층하여 반도체모듈을 구현하는 경우 상단에 스텍적층되는 반도체칩에서 오버행이 발생되는 부분이 감소하여 본딩 페일의 발생확률이 낮아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은 제1 방향(X)으로 제1 구간(PW1), 제2 구간(PW2) 및 제3 구간(PW3)으로 구분되는 제1 설정폭(DW1)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칩은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 제5 구간(PW5) 및 제6 구간(PW6)으로 구분되는 제2 설정폭(DW2)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칩은 제2 방향(Y)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에지영역(21), 코어영역(22) 및 제2 에지영역(23)을 포함한다. 제1 에지영역(21)은 제1 방향(X)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영역(211), 제2 영역(212) 및 제3 영역(213)으로 구성된다. 제1 영역(211)은 제1 방향(X)으로 제1 구간(P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제2 영역(212)은 제1 방향(X)으로 제2 구간(PW2)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제3 영역(213)은 제1 방향(X)으로 제3 구간(PW3)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코어영역(22)은 제1 방향(X)으로 제1 설정폭(D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5 구간(PW5)을 갖는다. 제2 에지영역(23)은 제1 방향(X)으로 제1 설정폭(D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6 구간(PW6)을 갖는다.
제1 영역(211), 제3 영역(213) 및 코어영역(22)에는 메모리셀어레이들로 구성된 제1 내지 제8 쿼터뱅크(QB1~QB8)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8 쿼터뱅크(QB1~QB8)는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되는 뱅크들이 4개로 분활되어 형성된다. 제1 영역(211), 제3 영역(213) 및 코어영역(22)에 형성된 4개의 제1 쿼터뱅크(QB1)에 포함된 메모리셀어레이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된다. 코어영역(22)에는 각각 4개의 제2 내지 제8 쿼터뱅크(QB2~QB8)를 포함한다. 동일한 식별번호의 쿼터뱅크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쿼터뱅크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한개의 뱅크를 구성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뱅크를 다양한 비율로 분활하거나 병합하여 제1 영역(211), 제3 영역(213) 및 코어영역(22)에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1 에지영역(21)에 포함된 제2 영역(212)에는 제1 패드부가 형성된다. 제2 에지영역(23)에는 제2 패드부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패드부는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패드부는 어드레스 및 커맨드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패드를 포함하고, 제2 패드부는 데이터, 클럭 및 제어신호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패드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지영역(23)은 제1 에지영역(21)과 달리 메모리셀어레이들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현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에지영역(23)도 제1 에지영역(21)과 같이 메모리셀어레이들이 형성되는 영역이 존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은 제1 에지영역(21)을 제1 영역(211), 제2 영역(212) 및 제3 영역(213)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211) 및 제3 영역(213)에는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고, 제2 영역(212)에는 제1 패드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에지영역에 제1 패드부뿐만아니라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함으로써 코어영역(22)에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인 더미영역이 최소화되어 고용량의 반도체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은 더미영역을 최소화시켜 제2 방향(Y)의 제2 설정폭(DW2)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들을 스텍적층하여 반도체모듈을 구현하는 경우 상단에 스텍적층되는 반도체칩에서 오버행이 발생되는 부분이 감소하여 본딩 페일의 발생확률이 낮아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은 제1 방향(X)으로 제1 구간(PW1), 제2 구간(PW2) 및 제3 구간(PW3)으로 구분되는 제1 설정폭(DW1)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칩은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 제5 구간(PW5) 및 제6 구간(PW6)으로 구분되는 제2 설정폭(DW2)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칩은 제2 방향(Y)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에지영역(31), 코어영역(32) 및 제2 에지영역(33)을 포함한다. 제1 에지영역(31)은 제1 방향(X)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영역(311), 제2 영역(312) 및 제3 영역(313)으로 구성된다. 제1 영역(311)은 제1 방향(X)으로 제1 구간(P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제2 영역(312)은 제1 방향(X)으로 제2 구간(PW2)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제3 영역(313)은 제1 방향(X)으로 제3 구간(PW3)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코어영역(32)은 제1 방향(X)으로 제1 설정폭(D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5 구간(PW5)을 갖는다. 제2 에지영역(33)은 제1 방향(X)으로 제1 설정폭(D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6 구간(PW6)을 갖는다.
제1 영역(311), 제3 영역(313) 및 코어영역(32)에는 메모리셀어레이들로 구성된 제1 내지 제8 쿼터뱅크(QB1~QB8)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8 쿼터뱅크(QB1~QB8)는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되는 뱅크들이 4개로 분활되어 형성된다. 제1 영역(311) 및 제3 영역(313)에 형성된 4개의 제1 쿼터뱅크(QB1)에 포함된 메모리셀어레이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된다. 또한, 제1 영역(311) 및 제3 영역(313)에 형성된 4개의 제2 쿼터뱅크(QB2)에 포함된 메모리셀어레이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된다. 코어영역(32)에는 각각 4개의 제3 내지 제8 쿼터뱅크(QB3~QB8)가 포함된다. 동일한 식별번호의 쿼터뱅크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쿼터뱅크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한개의 뱅크를 구성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뱅크를 다양한 비율로 분활하거나 병합하여 제1 영역(311), 제3 영역(313) 및 코어영역(32)에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1 에지영역(31)에 포함된 제2 영역(312)에는 제1 패드부가 형성된다. 제2 에지영역(33)에는 제2 패드부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패드부는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패드부는 어드레스 및 커맨드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패드를 포함하고, 제2 패드부는 데이터, 클럭 및 제어신호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패드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지영역(33)은 제1 에지영역(31)과 달리 메모리셀어레이들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현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에지영역(33)도 제1 에지영역(31)과 같이 메모리셀어레이들이 형성되는 영역이 존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은 제1 에지영역(31)을 제1 영역(311), 제2 영역(312) 및 제3 영역(313)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311) 및 제3 영역(313)에는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고, 제2 영역(312)에는 제1 패드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에지영역에 제1 패드부뿐만아니라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함으로써 코어영역(32)에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인 더미영역이 최소화되어 고용량의 반도체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은 더미영역을 최소화시켜 제2 방향(Y)의 제2 설정폭(DW2)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들을 스텍적층하여 반도체모듈을 구현하는 경우 상단에 스텍적층되는 반도체칩에서 오버행이 발생되는 부분이 감소하여 본딩 페일의 발생확률이 낮아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은 제1 방향(X)으로 제1 구간(PW1), 제2 구간(PW2) 및 제3 구간(PW3)으로 구분되는 제1 설정폭(DW1)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칩은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 제5 구간(PW5) 및 제6 구간(PW6)으로 구분되는 제2 설정폭(DW2)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칩은 제2 방향(Y)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에지영역(41), 코어영역(42) 및 제2 에지영역(43)을 포함한다. 제1 에지영역(41)은 제1 방향(X)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영역(411), 제2 영역(412) 및 제3 영역(413)으로 구성된다. 제1 영역(411)은 제1 방향(X)으로 제1 구간(P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제2 영역(412)은 제1 방향(X)으로 제2 구간(PW2)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제3 영역(413)은 제1 방향(X)으로 제3 구간(PW3)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4 구간(PW4)을 갖는다. 코어영역(42)은 제1 방향(X)으로 제1 설정폭(D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5 구간(PW5)을 갖는다. 제2 에지영역(43)은 제1 방향(X)으로 제1 설정폭(DW1)을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6 구간(PW6)을 갖는다.
제1 영역(411), 제3 영역(413) 및 코어영역(42)에는 메모리셀어레이들로 구성된 제1 내지 제8 쿼터뱅크(QB1~QB8)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8 쿼터뱅크(QB1~QB8)는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되는 뱅크들이 4개로 분활되어 형성된다. 제1 영역(411) 및 제3 영역(413)에 형성된 4개의 제1 쿼터뱅크(QB1)에 포함된 메모리셀어레이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access)된다. 코어영역(42)에는 각각 4개의 제2 내지 제8 쿼터뱅크(QB2~QB8)가 포함된다. 동일한 식별번호의 쿼터뱅크들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쿼터뱅크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한개의 뱅크를 구성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뱅크를 다양한 비율로 분활하거나 병합하여 제1 영역(411), 제3 영역(413) 및 코어영역(42)에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1 에지영역(41)에 포함된 제2 영역(412)에는 제1 패드부가 형성된다. 제2 에지영역(43)에는 제2 패드부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패드부는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패드부는 어드레스 및 커맨드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패드를 포함하고, 제2 패드부는 데이터, 클럭 및 제어신호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패드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지영역(43)은 제1 에지영역(41)과 달리 메모리셀어레이들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현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에지영역(43)도 제1 에지영역(41)과 같이 메모리셀어레이들이 형성되는 영역이 존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은 제1 에지영역(41)을 제1 영역(411), 제2 영역(412) 및 제3 영역(413)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411) 및 제3 영역(413)에는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고, 제2 영역(412)에는 제1 패드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에지영역에 제1 패드부뿐만아니라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함으로써 코어영역(42)에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인 더미영역이 최소화되어 고용량의 반도체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은 더미영역을 최소화시켜 제2 방향(Y)의 제2 설정폭(DW2)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들을 스텍적층하여 반도체모듈을 구현하는 경우 상단에 스텍적층되는 반도체칩에서 오버행이 발생되는 부분이 감소하여 본딩 페일의 발생확률이 낮아진다.
이상 도 1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은 에지영역에 패드부뿐만아니라 메모리셀어레이를 배치시켜서 더미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고용량의 반도체칩을 구현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들을 적층하여 반도체모듈을 구현하는 경우 본딩 페일의 발생확율을 낮출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반도체칩(5)을 제2 반도체칩(6) 위에 적층하는 경우 상단에 위치한 제1 반도체칩(5)의 오버행이 발생되는 구간(51)이 최소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1 반도체칩(5)이 앞서 살펴본 본 실시예의 반도체칩과 같이 에지영역에 패드부뿐만아니라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되어 더미영역이 최소화되었기 때문이다. 상단에 위치한 제1 반도체칩(5)의 오버행이 발생되는 구간(51)이 최소화됨으로써, 본딩 페일의 발생확율이 낮아진다.

Claims (21)

  1. 제1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는 코어영역의 제1 면에 인접한 제1 에지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에지영역은 제2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1 패드부가 형성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2 메모리셀어레이가 상기 제1 메모리셀어레이에 포함된 일부 메모리셀어레이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반도체칩.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영역의 제2 면에 인접한 제2 에지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에지영역은 제2 패드부가 형성되는 반도체칩.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코어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반도체칩.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영역의 제2 면에 인접한 제2 에지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에지영역은 제3 메모리셀어레이가 형성되는 제3 영역과 상기 어드레스, 상기 커맨드, 상기 클럭,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2 패드부가 형성되는 제4 영역으로 구분되는 반도체칩.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코어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반도체칩.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모리셀어레이가 상기 제1 메모리셀어레이에 포함된 일부 메모리셀어레이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반도체칩.
  8. 제1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간으로 구분된 제1 설정폭을 갖고, 제2 방향으로 제4 내지 제6 구간으로 구분된 제2 설정폭을 갖는 반도체칩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메모리셀어레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폭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5 구간을 갖는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메모리셀어레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칩.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셀어레이는 상기 제2 메모리셀어레이에 포함된 일부 메모리셀어레이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반도체칩.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3 영역에 형성되어,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1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칩.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4 영역에 형성된 제3 메모리셀어레이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칩.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메모리셀어레이는 상기 제2 메모리셀어레이에 포함된 일부 메모리셀어레이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반도체칩.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메모리셀어레이는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반도체칩.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폭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6 구간을 갖는 제5 영역에 형성되어,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2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칩.
  15. 제1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간으로 구분된 제1 설정폭을 갖고, 제2 방향으로 제4 내지 제6 구간으로 구분된 제2 설정폭을 갖는 반도체칩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메모리셀어레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폭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5 구간을 갖는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메모리셀어레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3 영역에 형성되어,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3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4 구간을 갖는 제4 영역에 형성된 제3 메모리셀어레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칩.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메모리셀어레이는 상기 제2 메모리셀어레이에 포함된 일부 메모리셀어레이와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반도체칩.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메모리셀어레이는 동일한 뱅크어드레스에 의해 엑세스되는 반도체칩.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폭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6 구간을 갖는 제5 영역에 형성되어, 어드레스, 커맨드, 클럭, 데이터 및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출력되는 제2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칩.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영역에는 제1 메모리셀어레이만 형성되는 반도체칩.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는 제2 메모리셀어레이만 형성되는 반도체칩.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는 제2 메모리셀어레이만 형성되는 반도체칩.
KR1020130014155A 2013-02-07 2013-02-07 반도체칩 KR10207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155A KR102079828B1 (ko) 2013-02-07 2013-02-07 반도체칩
US13/965,887 US9275687B2 (en) 2013-02-07 2013-08-13 Semiconductor chips
CN201310372803.5A CN103985413B (zh) 2013-02-07 2013-08-23 半导体芯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155A KR102079828B1 (ko) 2013-02-07 2013-02-07 반도체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854A KR20140100854A (ko) 2014-08-18
KR102079828B1 true KR102079828B1 (ko) 2020-02-21

Family

ID=5125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155A KR102079828B1 (ko) 2013-02-07 2013-02-07 반도체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75687B2 (ko)
KR (1) KR102079828B1 (ko)
CN (1) CN1039854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3058B (zh) * 2015-12-31 2018-06-29 上海安路信息科技有限公司 器件标识结构及其制造方法
KR20210023220A (ko) * 2019-08-22 2021-03-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272B1 (ko) * 1993-06-11 2002-06-20 나시모토 류우조오 반도체 기억장치
US20020110041A1 (en) * 2001-02-13 2002-08-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setup time and hold time
JP2010129842A (ja) * 2008-11-28 2010-06-10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998A (ko) * 2003-01-21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패드 배치구조 및 패드 배치방법
US20070267748A1 (en) 2006-05-16 2007-11-22 Tran Tu-Anh N Integrated circuit having pads and input/output (i/o) cells
JP2008299924A (ja) * 2007-05-30 2008-12-11 Fujitsu Microelectronics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KR101074287B1 (ko) 2009-01-16 2011-10-17 네오피스 주식회사 전력용 차단기의 진단 기능을 내장한 보호 계전기
KR20140008766A (ko) * 2012-07-11 2014-01-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메모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272B1 (ko) * 1993-06-11 2002-06-20 나시모토 류우조오 반도체 기억장치
US20020110041A1 (en) * 2001-02-13 2002-08-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setup time and hold time
JP2010129842A (ja) * 2008-11-28 2010-06-10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18995A1 (en) 2014-08-07
US9275687B2 (en) 2016-03-01
KR20140100854A (ko) 2014-08-18
CN103985413B (zh) 2019-08-09
CN103985413A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0022B (zh) 包括多个封装的半导体芯片的固态驱动器或者其它存储装置
US9559079B2 (en) Semiconductor stack packages
US20140063887A1 (en) Stacked dram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5431939A (zh) 堆栈存储器
KR20120101993A (ko) 측면­탑재 제어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00107314A (ko) 적층 메모리 소자
US20140048948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lignment key structures
KR2013007206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79828B1 (ko) 반도체칩
US20090303770A1 (en) Memory chip and semiconductor device
JP7033332B2 (ja) 半導体モジュール
KR20100066782A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셀 블록 배치 방법
US1110752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cache latches
JP6207228B2 (ja) 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構成方法
TW201306029A (zh) 半導體記憶裝置
KR20090084236A (ko) 메모리 칩 어레이
US2019007426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885915B1 (ko) 내부 통신이 가능한 멀티 메모리 칩 및 이를 구비하는시스템
JP4559738B2 (ja) 非四角形メモリバンクを有するメモリチップアーキテクチャ、及びメモリバンク配置方法
KR101579194B1 (ko) 메모리 액세스 방법 및 메모리 장치
US9236295B2 (en) Semiconductor chip, semiconductor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rranging the same
US20100259963A1 (en) Data line layouts
KR100552654B1 (ko) 칩 상에서 평면적으로 비사각형의 메모리 뱅크를 갖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230061258A1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stacked dies with interleaved wire bond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01731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