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61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612B1
KR102075612B1 KR1020187004222A KR20187004222A KR102075612B1 KR 102075612 B1 KR102075612 B1 KR 102075612B1 KR 1020187004222 A KR1020187004222 A KR 1020187004222A KR 20187004222 A KR20187004222 A KR 20187004222A KR 102075612 B1 KR102075612 B1 KR 10207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nsulator
open state
pai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667A (ko
Inventor
후미히토 이케가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액추에이터의 개방방향으로 과잉한 힘이 가해져도 액추에이터의 파손 또는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자동조립장치에 의한 조립 시에 액추에이터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다. 액추에이터(40)는, 수용부(20A)의 양측방향에 배치되면서, 또한, 가압부(40A)의 양측 단부로부터 접속 대상물(12)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40B)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아암부(40B)와 인슐레이터(20)는,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제 1 개방상태 규제부(40F,23E)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5년 8월 26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5-166885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전의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하기 위해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FPC(플렉시블·프린티드·서킷)/FFC(플렉시블·플랫 케이블) 등의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을 삽발(揷拔)가능한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에 고정된 콘택트와, 인슐레이터에 회전(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 액추에이터는, 작업자에 의한 접속 대상물의 삽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폐쇄상태로부터 90° 이상 회전하여, 액추에이터의 상면(배면)과 인슐레이터의 상면 단부가 맞닿을 때까지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특허문헌 1의 도 2 참조).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의 접속 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는, 액추에이터를 개방상태까지 개방하여,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고, 액추에이터를 폐쇄하는 작업을 행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124331호 공보
여기에서,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폐쇄상태로부터 90° 이상 회전할 수 있으므로, 개방각이 90°를 넘었을 때부터 배후로 쓰러지는 상태(이하, 「뒤로 쓰러짐 상태」라고 부른다)가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작업자의 부주의한 오작업에 의해, 작업자가 뒤로 쓰러짐 상태의 한계 개방각을 넘는 힘을 액추에이터에 걸어버리면, 액추에이터의 상면(배면)과 인슐레이터의 상면 단부의 간섭(충돌)이 일어난다. 그 결과로서, 액추에이터가 파손 또는 탈락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조립라인에 있어서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및 접속 작업을 조립장치에 의해 자동화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 자동화의 흐름은 금후 점점 가속될 거라 생각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를 뒤로 쓰러짐 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해서는, 액추에이터를 90° 이상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 되며, 액추에이터를 폐쇄상태의 방향으로 누르는 힘(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눌러 붙이는 힘)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상의 자동조립장치는, 액추에이터를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눌러 붙이는 힘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어서, 불완전 조작(로크)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를 커넥터의 상방에서 확실하게 눌러 붙이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조립장치의 대형화 혹은 고비용화, 또는 조립라인의 정체라고 하는 폐해를 초래하기 쉽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의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액추에이터의 개방방향으로 과잉한 힘이 가해져도 액추에이터의 파손 또는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자동조립장치에 의한 조립 시에 액추에이터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수용 개구가 설치되어 당해 수용 개구를 개재한 접속 대상물의 삽입이 가능한 수용부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콘택트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방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를 개재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폐쇄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콘택트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방향에 위치하면서, 또한, 상기 가압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아암부와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제 1 개방상태 규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 개방상태 규제부는, 상기 한 쌍의 아암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되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개방상태에서 서로 접촉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한 쌍의 맞닿음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방상태 규제부의 상기 한 쌍의 맞닿음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에서는 서로 비접촉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아암부측의 상기 맞닿음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압부의 삽입 방향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삽입 방향측의 단부와 상기 한 쌍의 아암부측의 상기 맞닿음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용부의 상면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측의 상기 맞닿음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제 2 개방상태 규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개방상태 규제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한 쌍의 아암부에는, 당해 한 쌍의 아암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측방향 돌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터에서는,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상기 측방향 돌기를 받아들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한 회전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빠짐 방지 금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측방향 돌기와 상기 빠짐 방지 금구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제 3 개방상태 규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개방상태 규제부는, 상기 측방향 돌기와, 상기 빠짐 방지 금구에 형성된, 삽입 방향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하면부로부터의 거리가 증대하는 경사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대상물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에 끼워지는 위치 결정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추에이터의 개방방향으로 과잉한 힘이 가해져도 액추에이터의 파손 또는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자동조립장치에 의한 조립 시에 액추에이터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폐쇄상태).
도 2는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개방상태).
도 3은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본 도이다(개방상태).
도 4는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이다(개방상태).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Ⅶ-Ⅶ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Ⅷ-Ⅷ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Ⅸ-Ⅸ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커넥터의 실장 및 커넥터에 대한 접속 대상물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이다.
도 11은 커넥터의 실장 및 커넥터에 대한 접속 대상물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이다.
도 12는 도 3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커넥터(10)는, 도 5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예를 들면 FPC)(12)이 삽발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 중의 방향(전후 방향, 상하 방향, 좌우 방향)은, 도면 중에 기재한 화살선의 각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면 중의 전후 방향은, 「접속 대상물(12)의 삽발방향」에 대응한다. 도면 중의 후방향은, 「접속 대상물(12)의 삽입 방향」에 대응한다. 도면 중의 전방향은, 「접속 대상물(12)의 발거(拔去) 방향」에 대응한다.
≪커넥터(10)의 구성≫
커넥터(1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슐레이터(20)와, 인슐레이터(20)에 열상(列狀)으로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30)와,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개폐 가능(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액추에이터(40)와, 액추에이터(40)가 인슐레이터(20)로부터 벗어나는(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빠짐 방지 금구(50)를 가지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30)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며, 콘택트(30)의 후단부에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한 실장부(實裝部)(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30)에는, 실장부(32)보다도 전방에 위치시켜서, 전(前)경사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변형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변형부(34)의 전단 근방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굴곡한 접촉 돌기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실장부(32)는, 기판(14) 상에 설치된 패턴에 납땜된다(도 11∼도 13).
인슐레이터(20)는, 전기절연성의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인슐레이터(20)는,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구 계지(係止) 구멍(21A)이 형성된 금구 계지 블록(21)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쌍방의 금구 계지 블록(21)을 서로 연결하는 평판 형상의 바닥판부(23)를 가지고 있다. 금구 계지 블록(21)의 상단부에는, 금구 계지 구멍(21A)의 상방에 위치시켜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0)의 바닥판부(23)의 상면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콘택트 계지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계지홈(23A)에는 대응하는 콘택트(30)가 압입(壓入) 고정되어 있다(도 2, 도 3).
또한 바닥판부(23)의 상면에는, 복수의 콘택트 계지홈(23A)을 좌우에서 사이에 두도록 금구 계지 블록(21)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상방을 향하여 솟아오른 한 쌍의 측면부(25)가 설치된다. 당해 한 쌍의 측면부(25)의 상단부끼리는, 평판 형상의 천정판부(27)에 의해 연결된다. 당해 한 쌍의 측면부(25)의 후단부끼리는, 평판 형상의 후면부(29)(도 4)에 의해 연결된다. 후면부(29)에는, 복수의 콘택트 계지홈(23A)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콘택트 삽입 구멍(29A)이 설치되어 있다(도 4). 각 콘택트 삽입 구멍(29A)은, 대응하는 콘택트 계지홈(23A)과 연통(連通)하고 있다. 이 콘택트 삽입 구멍(29A)으로부터 삽입된 콘택트(30)는, 콘택트 삽입 구멍(29A) 및 콘택트 계지홈(23A)에 계지 고정된다.
바닥판부(23), 한 쌍의 측면부(25), 천정판부(27) 및 후면부(29)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접속 대상물(12)을 받아들이는 접속 대상물 수용부(수용부)(20A)를 구성한다. 그리고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의 전방으로 개구하는 수용 개구(20B)를 개재하여,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로의 접속 대상물(12)의 삽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부(23)의 좌우 양단부에는,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의 측면부(25)와 금구 계지 블록(21)의 측면의 사이에 한 쌍의 아암부 배치 오목부(20C)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4, 도 5).
또한 바닥판부(23)의 상면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의 좌우 양단부의 전방 위치에는, 접속 대상물(12)이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방으로 솟아오른 한 쌍의 빠짐 방지 돌출부(위치 결정 돌출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대상물(12)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걸림 오목부(위치 결정 오목부)(12A)가 한 쌍의 빠짐 방지 돌출부(23B)에 걸리는(끼워지는) 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12)의 삽입 위치가 결정됨과 함께, 접속 대상물(12)이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부(23)의 상면에는, 한 쌍의 빠짐 방지 돌출부(23B)의 측방향 외측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2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출부(23C)의 후면 상단부에는, 액추에이터(40)의 개폐상태로의 이행을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면(23D)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5, 도 7, 도 9).
또한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23C)가 마주 향하는 측면 상단부에는, 계합(engaging)돌기(23F)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5, 도 11).
바닥판부(23)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40)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당해 액추에이터(40)의 경사부(40I)의 후단 맞닿음부(40F)에 맞닿는 지지 맞닿음부(23E)가 형성되어 있다(도 9). 이 지지 맞닿음부(23E)는, 인슐레이터(20)의 한 쌍의 측면부(25)의 측방향 외측(바닥판부(23) 중 측면부(25)와 금구 계지 블록(21)의 사이의 2개의 영역)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후단 맞닿음부(40F)와 지지 맞닿음부(23E)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천정판부(27)의 전단부에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40)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당해 액추에이터(40)의 오목부(40C)에 대향하는 볼록부(27A)가 설치되어 있다(도 13). 오목부(40C)와 볼록부(27A)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추에이터(40)는, 인슐레이터(20)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방상태에 있어서 수용 개구(20B)를 개재한 접속 대상물(12)의 삽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액추에이터(40)는, 폐쇄상태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에 수용된 접속 대상물(12)을 콘택트(30)를 향해서 가압하는 평판 형상의 액추에이터 기부(가압부)(40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40)는, 인슐레이터(20)의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의 양측방향에 위치하면서, 또한, 액추에이터 기부(40A)의 양측 단부로부터 전후 방향(접속 대상물(12)의 삽발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40B)를 가지고 있다. 이 한 쌍의 아암부(40B)는, 인슐레이터(20)의 한 쌍의 아암부 배치 오목부(20C)에 들어가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 기부(40A)에는, 한 쌍의 아암부(40B)의 전방에 위치시켜서, 그 좌우 양단부(40N)에, 좌우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계합돌기(40M)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돌기(40M)는,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인슐레이터(20)의 계합돌기(23F)와 계합한다.
액추에이터 기부(40A)의 후단부(삽입 방향측의 단부)(40E)(도 9)에는, 상방 및 후방으로 개방한 오목부(40C)가 설치되어 있다(도 12, 도 13). 한 쌍의 아암부(40B)에는, 각각 좌우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이동 규제 돌기(측방향 돌기)(40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규제 돌기(40D)는, 액추에이터 기부(40A)의 후단부(40E)와, 액추에이터(40)의 경사부(40I)의 후단부에 형성된 후단 맞닿음부(40F)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다르게 말하면, 이동 규제 돌기(40D)는, 도 9에 나타내는, 액추에이터 기부(40A)의 후단부(40E)와 한 쌍의 아암부(40B)의 후단 맞닿음부(40F)의 사이의 거리(L1)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40)의 아암부(40B)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변부(40G), 하변부(40H), 및, 상변부(40G)의 후단과 하변부(40H)의 후단을 연결시키는 경사부(40I)를 포함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에 있어서, 상변부(40G)의 전단과 하변부(40H)의 전단을 연결시키는 부분은, 계단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 1 피가이드부(40J) 및 이 제 1 피가이드부(40J)와 이루는 내각(α)이 90°보다 큰 제 2 피가이드부(40K)를 포함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에서는, 상변부(40G) 및 하변부(40H)가 인슐레이터(20)의 바닥판부(23)와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하변부(40H)가 바닥판부(23)로부터 떠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에서는, 제 1 피가이드부(40J)는, 인슐레이터(20)의 가이드면(23D)과 대향하고 있다. 하변부(40H)와 경사부(40I)는, 능선부(곡면부)(40L)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빠짐 방지 금구(50)는, 평판 형상의 금속재료로 성형된 것이며, 전후 방향중앙부 부근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부 개구 컷아웃(cut out)부(50A)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상부 개구 컷아웃부(50A)의 전후 방향폭은, 하측보다도 상측쪽이 좁게 되어 있다. 이 상측에서의 폭은,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빠짐 방지 금구(50)는, 상부 개구 컷아웃부(50A) 전측에 위치하는 금구 기부(50B)와, 상부 개구 컷아웃부(50A)의 후측에 위치하여, 금구 계지 블록(21)의 금구 계지 구멍(21A)에 삽입되는 피삽입부(50C)와, 상부 개구 컷아웃부(50A)의 하측에 위치하여, 금구 기부(50B) 및 피삽입부(50C)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50D)를 가지고 있다.
피삽입부(50C)의 전후 방향 중앙부근에는, 피삽입부(50C)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계지 돌기(50E)가 설치되어 있다. 피삽입부(50C)가 금구 계지 블록(21)의 금구 계지 구멍(21A)에 삽입되면, 계지 돌기(50E)가 금구 계지 구멍(21A)의 바닥면에 계지되어, 금구 계지 구멍(21A)으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다.
금구 기부(50B)의 후면 상단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50F)가 설치되어 있다. 금구 기부(50B) 및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50F)의 상면은 하나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당해 평면의 상하 방향의 높이는, 피삽입부(50C)의 상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피삽입부(50C)가 금구 계지 블록(21)의 금구 계지 구멍(21A)에 삽입되었을 때,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50F)의 후단과, 금구 계지 블록(21)의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21B)의 전단이, 액추에이터(40)의 원기둥 형상의 이동 규제 돌기(40D)의 직경보다도 작은 이간 거리를 두고 대향한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40)의 빠짐 방지 금구(50)(인슐레이터(20))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다(도 6).
금구 기부(50B) 및 연결부(50D)의 하면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하는 실장부(50G)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이 실장부(50G)는, 기판(14)(도 11∼도 13) 상에 설치된 패턴에 납땜된다(도 11∼도 13).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50F)의 하방에서는, 도 6, 도 8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방(삽입 방향측)을 향함에 따라 수용부(20A)의 하면부(바닥판부(23))로부터의 거리를 증대시키는 경사면(50H)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50H)은, 다르게 말하면, 대략 인슐레이터(20)의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21B)의 전단부를 향하고 있다.
≪커넥터(10)의 작용≫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가령 작업자 등이 정규의 개방상태로부터 부주의하게 뒤로 쓰러짐 상태를 향한 과잉한 조작력을 가했을 경우여도,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의 한 쌍의 아암부(40B)의 경사부(40I)의 후단 맞닿음부(40F)와, 인슐레이터(20)의 바닥판부(23)에 형성된 지지 맞닿음부(23E)가 서로 접촉하여, 액추에이터(40)의 최대 개방각이 규제된다(액추에이터(40)가 그 이상 개방하지 않도록 한다). 즉, 액추에이터(40)의 후단 맞닿음부(40F)와 인슐레이터(20)의 지지 맞닿음부(23E)는, 서로 협동하여,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을 규제하는 「제 1 개방상태 규제부」를 구성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의 액추에이터 기부(가압부)(40A)의 후단부(40E)에 설치된 오목부(40C)와, 인슐레이터(20)의 천정판부(27)의 전단부에 설치된 볼록부(27A)가 서로 계합(맞닿음)하여, 액추에이터(40)의 최대 개방각이 규제된다(액추에이터(40)가 그 이상 개방하지 않도록 한다). 즉, 액추에이터(40)의 오목부(40C)와 인슐레이터(20)의 볼록부(27A)는, 서로 협동하여,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을 규제하는 「제 2 개방상태 규제부」를 구성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와, 빠짐 방지 금구(50)의 경사면(50H)이 서로 맞닿아, 액추에이터(40)의 최대 개방각이 규제된다(액추에이터(40)가 그 이상 개방하지 않도록 한다). 즉,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와, 빠짐 방지 금구(50)의 경사면(50H)은, 서로 협동하여,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을 규제하는 「제 3 개방상태 규제부」를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빠짐 방지 금구(50)의 경사면(50H)의 연장선 상에, 액추에이터(40)의 오목부(40C)와 인슐레이터(20)의 볼록부(27A)의 대향부(맞닿음부)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와 빠짐 방지 금구(50)의 경사면(50H)이 서로 맞닿아서 인슐레이터(20)의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21B)의 방향으로 액추에이터(40)를 이동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40)의 오목부(40C)와 인슐레이터(20)의 볼록부(27A)의 맞닿음력을 더욱 확실하게 하면서, 또한 강화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 2 개방상태 규제부」와 「제 3 개방상태 규제부」는, 양자의 상승 효과에 의해,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의 후단 맞닿음부(40F) 및 인슐레이터(20)의 지지 맞닿음부(23E)(제 1 개방상태 규제부), 액추에이터(40)의 오목부(40C) 및 인슐레이터(20)의 볼록부(27A)(제 2 개방상태 규제부), 및,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 및 빠짐 방지 금구(50)의 경사면(50H)(제 3 개방상태 규제부)에 의해,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을 규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40)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가령 작업자의 부주의한 오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40)의 개방방향으로 과잉한 힘이 가해졌을 경우여도, 액추에이터(40)가 실제로 그 이상 개방할 일은 없다. 즉,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의 파손 또는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의 액추에이터 기부(가압부)(40A)의 후방측(삽입 방향측)의 후단부(40E)와 한 쌍의 아암부(40B)의 후단 맞닿음부(40F)의 사이의 거리(L1)는, 접속 대상물 수용부(20A)의 상면부와 인슐레이터(20)의 지지 맞닿음부(23E)의 사이의 거리(H1)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액추에이터 기부(40A)의 후단부(40E)(받침점)와 아암부(40B)의 후단 맞닿음부(40F)(작용점)의 거리가 길게 되어 있으므로,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에의 부하를 저감하면서 액추에이터(40)의 개방을 효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 맞닿음부(40F)의 적어도 일부는, 액추에이터 기부(가압부)(40A)의 삽입 방향측의 후단부(40E)(또는 수용 개구(20B))보다도, 접속 대상물(12)의 삽입 방향측(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의 최대 개방각을 90°보다도 충분하게 작은 예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이 예각의 최대 개방각을 넘어서 액추에이터(40)가 개방하려고 할 때 파손 또는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40)의 한 쌍의 아암부(40B)(후단 맞닿음부40F)가 인슐레이터(20)의 바닥판부(23)로부터 떠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액추에이터(40)의 후단 맞닿음부(40F)와 인슐레이터(20)의 지지 맞닿음부(23E)가 비접촉이 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액추에이터(40)의 장착에서는, 먼저, 빠짐 방지 금구(50)의 피삽입부(50C)의 후단부만이 금구 계지 구멍(21A)에 압입(가(假)압입)된다. 이 가압입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50F)의 후단과, 금구 계지 블록(21)의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21B)의 전단의 이간 거리는, 이동 규제 돌기(40D)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어서, 한 쌍의 이동 규제 돌기(40D)를, 가압입되어 있는 한 쌍의 빠짐 방지 금구(50)의 상부 개구 컷아웃부(50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움과 함께, 한 쌍의 아암부(40B)를 한 쌍의 아암부 배치 오목부(20C)에 각각 배치한다. 이어서, 빠짐 방지 금구(50)의 피삽입부(50C)를 금구 계지 구멍(21A)의 안(후방)을 향하여 더욱 압입(본(本)압입)한다. 이 때,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50F)의 후단과, 금구 계지 블록(21)의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21B)의 전단이, 원기둥 형상의 이동 규제 돌기(40D)의 직경보다도 작은 이간 거리를 두고 대향한다. 이에 의해 금구 기부(50B), 연결부(50D), 피삽입부(50C), 및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21B)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인 이동 규제 구멍(20D)에 이동 규제 돌기(40D)가 위치하고(도 6), 이동 규제 돌기(40D)의 이동 범위가 이동 규제 구멍(20D) 내에 규제된다. 그리고, 이동 규제 돌기(40D)는, 이동 규제 구멍(20D) 내에서 헐겁게 끼워져 있으며,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40)의 슬라이드 동작(이동) 및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규제 돌기(40D)는 이동 규제 구멍(20D)에 헐겁게 끼워져 있어, 액추에이터(40)는 회전축을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40)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이행 동작≫
액추에이터(40)는, 그 개방상태에서는, 접속 대상물(12)이 빠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다. 이 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의 아암부(40B)의 제 2 피가이드부(40K)가, 인슐레이터(20)의 가이드면(23D)과 맞닿아 있다. 즉, 개방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40)는, 가이드면(23D)에 대하여 제 2 피가이드부(40K)에 기댄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면(23D)으로부터 제 2 피가이드부(40K)에의 항력(抗力)이 커지고, 가이드면(23D)과 제 2 피가이드부(40K)의 사이의 마찰력이 커진다. 이 마찰력에 의해, 액추에이터(40)에 대하여 폐쇄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액추에이터(40)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를 향해서 이행할 일은 없다. 즉,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40)의 하변부(40H)와 경사부(40I)를 연결하는 능선부(곡면부)(40L)가 인슐레이터(20)의 바닥판부(23)의 상면과 맞닿아 있다.
액추에이터(40)에 대하여 폐쇄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이행이 개시한다.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이행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 2 피가이드부(40K)가 가이드면(23D)에 맞닿은 상태에서 하방향 및 후방으로 미끄러지도록 안내된다. 이에 따라, 능선부(곡면부)(40L)가 바닥판부(23)의 상면을 후방을 향하여 미끄러지기 시작함과 함께, 이동 규제 돌기(40D)가 빠짐 방지 금구(50)의 연결부(50D)의 상면을 슬라이드 규제된 상태에서 후방을 향하여 미끄러지기 시작한다. 이 결과, 액추에이터(40)는,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를 향해서 회전 동작 및 후방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게 된다. 능선부(40L) 및 이동 규제 돌기(40D)의 어느 것도 곡면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이 곡면을 이용하여 바닥판부(23)의 상면 및 빠짐 방지 금구(50)의 연결부(50D)의 상면을 미끄러지고 있다. 따라서,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스무드한 이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이행 과정이 진행하면, 액추에이터(40)의 액추에이터 기부(40A)의 계합돌기(40M)가 인슐레이터(20)의 계합돌기(23F)에 계합하여, 액추에이터(40)가 완전한 폐쇄상태가 된다.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이행 동작≫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이행 동작에서는,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가, 빠짐 방지 금구(50)의 연결부(50D)의 상면을 슬라이드 규제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함과 함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를 향하여 회전 동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추에이터(40)가 개방되면, 액추에이터(40)의 후단 맞닿음부(40F) 및 인슐레이터(20)의 지지 맞닿음부(23E)(제 1 개방상태 규제부), 액추에이터(40)의 오목부(40C) 및 인슐레이터(20)의 볼록부(27A)(제 2 개방상태 규제부), 및,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 및 빠짐 방지 금구(50)의 경사면(50H)(제 3 개방상태 규제부)에 의해,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이 규제된다(도 8, 도 9, 도 12).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액추에이터(40)가, 수용부(20A)의 양측방향에 배치되면서, 또한, 가압부(40A)의 양측 단부로부터 접속 대상물(12)의 삽발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40B)를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아암부(40B)와 인슐레이터(20)가,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제 1 개방상태 규제부(40F,23E)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의 개방방향으로 과잉한 힘이 가해져도 액추에이터(40)의 파손 또는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액추에이터(40)의 최대 개방각이 90°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액추에이터(40)의 후단 맞닿음부(40F) 및 인슐레이터(20)의 지지 맞닿음부(23E)(제 1 개방상태 규제부), 액추에이터(40)의 오목부(40C) 및 인슐레이터(20)의 볼록부(27A)(제 2 개방상태 규제부), 및,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 및 빠짐 방지 금구(50)의 경사면(50H)(제 3 개방상태 규제부)에 의해, 액추에이터(4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동조립장치에 의한 조립 시에 있어서, 액추에이터(40)를 폐쇄상태의 방향으로 누르는 비교적 큰 힘(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눌러 붙이는 힘)을 받았다고 하여도,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를 작은 힘으로 이동(슬라이드 이동, 회전 이동)시켜서 폐쇄방향으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이끌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40)를 폐쇄상태의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클 경우여도, 그 힘을 전부 받아 들이지 않고 놓칠(분산할) 수 있으므로, 액추에이터(40)의 파손 또는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40)의 후단 맞닿음부(40F) 및 인슐레이터(20)의 지지 맞닿음부(23E)(제 1 개방상태 규제부), 액추에이터(40)의 오목부(40C) 및 인슐레이터(20)의 볼록부(27A)(제 2 개방상태 규제부), 및, 액추에이터(40)의 이동 규제 돌기(40D) 및 빠짐 방지 금구(50)의 경사면(50H)(제 3 개방상태 규제부)을 설치했을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모두를 필수의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제 1 개방상태 규제부」를 설치하고, 「제 2 개방상태 규제부」 및 「제 3 개방상태 규제부」의 일방 또는 쌍방을 생략하는 양태도 가능하다.
10 커넥터
12 접속 대상물
12A 걸림 오목부(위치 결정 오목부)
14 기판
20 인슐레이터
20A 접속 대상물 수용부(수용부)
20B 수용 개구
20C 아암부 배치 오목부
20D 이동 규제 구멍
21 금구 계지 블록
21A 금구 계지 구멍
21B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
23 바닥판부(수용부)
23A 콘택트 계지홈
23B 빠짐 방지 돌출부
23C 가이드 돌출부
23D 가이드면
23E 지지 맞닿음부(제 1 개방상태 규제부)
23F 계합돌기
25 측면부(수용부)
27 천정판부(수용부)
27A 볼록부(제 2 개방상태 규제부)
29 후면부(수용부)
29A 콘택트 삽입 구멍
30 콘택트
32 실장부
34 탄성변형부
36 접촉 돌기부
40 액추에이터
40A 액추에이터 기부(가압부)
40B 아암부
40C 오목부(제 2 개방상태 규제부)
40D 이동 규제 돌기(제 3 개방상태 규제부)
40E 후단부(삽입 방향측의 단부)
40F 후단 맞닿음부(제 1 개방상태 규제부)
40G 상변부
40H 하변부
40I 경사부
40J 제 1 피가이드부
40K 제 2 피가이드부
40L 능선부(곡면부)
40M 계합돌기
40N 좌우 양단부
50 빠짐 방지 금구
50A 상부 개구 컷아웃부
50B 금구 기부
50C 피삽입부
50D 연결부
50E 계지 돌기
50F 액추에이터 빠짐 방지 돌출부
50G 실장부
50H 경사면(제 3 개방상태 규제부)

Claims (11)

  1. 수용 개구가 설치되어 당해 수용 개구를 개재한 접속 대상물의 삽입이 가능한 수용부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콘택트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한 회전 동작에 의해 개폐 가능해지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개방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를 개재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폐쇄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콘택트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방에 위치하면서, 또한, 상기 가압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아암부와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제 1 개방상태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개방상태 규제부는, 상기 한 쌍의 아암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되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개방상태에서 서로 접촉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한 쌍의 맞닿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슐레이터측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상기 가압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바닥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방상태 규제부의 상기 한 쌍의 맞닿음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에서는 서로 비접촉인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부측의 상기 맞닿음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압부의 삽입 방향의 후단부보다도,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측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삽입 방향의 후단부와 상기 한 쌍의 아암부측의 상기 맞닿음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용부의 상면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측의 상기 맞닿음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제 2 개방상태 규제부를 가지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방상태 규제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한 쌍의 아암부에는, 당해 한 쌍의 아암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측방향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상기 측방향 돌기를 받아들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한 회전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빠짐 방지 금구가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돌기와 상기 빠짐 방지 금구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제 3 개방상태 규제부를 가지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개방상태 규제부는, 상기 측방향 돌기와, 상기 빠짐 방지 금구에 형성된, 삽입 방향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하면부로부터의 거리가 증대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에 끼워지는 위치 결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1. 삭제
KR1020187004222A 2015-08-26 2016-06-28 커넥터 KR102075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6885 2015-08-26
JPJP-P-2015-166885 2015-08-26
PCT/JP2016/003109 WO2017033382A1 (ja) 2015-08-26 2016-06-2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667A KR20180041667A (ko) 2018-04-24
KR102075612B1 true KR102075612B1 (ko) 2020-02-10

Family

ID=5809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222A KR102075612B1 (ko) 2015-08-26 2016-06-2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1763B2 (ko)
JP (1) JP6486477B2 (ko)
KR (1) KR102075612B1 (ko)
CN (1) CN107925181B (ko)
WO (1) WO2017033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8835B2 (ja) * 2017-11-01 2019-10-3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23503130A (ja) 2019-11-22 2023-01-26 アンフェノール・エフシーアイ・アジア・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過大応力防止特徴部を有するffcコネクタ
JP7123199B2 (ja) * 2021-01-21 2022-08-2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23100533A (ja) * 2022-01-06 2023-07-19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245B2 (ja) * 1997-02-28 2001-01-15 株式会社東海ヒット 顕微鏡観察用加温装置
JP2005196997A (ja) * 2003-12-26 2005-07-21 Taiko Denki Co Ltd コネクタ
JP2013175395A (ja) * 2012-02-27 2013-09-05 Hosiden Corp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9178B2 (ja) * 1999-04-30 2008-10-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248672B2 (ja) * 1999-04-30 2009-04-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574891B2 (ja) * 1999-08-17 2004-10-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US6203345B1 (en) * 1999-11-09 2001-03-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lexible circuit connector
JP3579827B2 (ja) 2000-10-17 2004-10-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549646U (en) * 2001-05-23 2003-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605586B2 (ja) * 2001-09-25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TWI315115B (en) * 2004-05-24 2009-09-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090059B2 (ja) * 2004-11-01 2008-05-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821903Y (zh) 2005-07-20 2006-09-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179118B1 (en) * 2006-03-15 2007-02-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4707597B2 (ja) * 2006-04-13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707610B2 (ja) * 2006-05-31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199272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52705B2 (ja) * 2006-09-28 2011-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17852B2 (ja) * 2007-03-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573881B2 (ja) * 2008-05-14 2010-11-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69668B2 (ja) * 2010-03-31 2012-07-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123975B2 (ja) * 2010-04-08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2052845A2 (en) * 2010-10-22 2012-04-26 Fci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JP5362765B2 (ja) * 2011-04-19 2013-12-11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01094B2 (ja) * 2011-04-28 2015-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636531B2 (en) * 2011-07-22 2014-01-28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flat connecting objects
JP5645312B2 (ja) * 2012-03-01 2014-12-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71837B1 (ja) * 2013-08-21 2014-08-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1733B1 (ja) * 2014-12-09 2016-04-13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336941B2 (ja) * 2015-04-01 2018-06-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771983B2 (ja) * 2016-08-01 2020-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8097979A (ja) * 2016-12-09 2018-06-2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245B2 (ja) * 1997-02-28 2001-01-15 株式会社東海ヒット 顕微鏡観察用加温装置
JP2005196997A (ja) * 2003-12-26 2005-07-21 Taiko Denki Co Ltd コネクタ
JP2013175395A (ja) * 2012-02-27 2013-09-05 Hosiden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33382A1 (ja) 2018-03-01
JP6486477B2 (ja) 2019-03-20
WO2017033382A1 (ja) 2017-03-02
KR20180041667A (ko) 2018-04-24
US10381763B2 (en) 2019-08-13
CN107925181A (zh) 2018-04-17
CN107925181B (zh) 2019-10-29
US20180248288A1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612B1 (ko) 커넥터
KR100373597B1 (ko)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JP4944052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101472663B1 (ko) 전기 커넥터
JP6073373B2 (ja) ワイヤマウント電気コネクタ
KR101860641B1 (ko) 커넥터
KR101196554B1 (ko) 커넥터
CN102437478A (zh) 电缆组件的闩锁
US5803761A (en) Edge connector
CN110034434B (zh) 卡边缘连接器***
CN102403622A (zh) 用于保持可连接至具有致动器的连接器的连接物体的保持构件
KR20110113148A (ko) 커넥터
CN109478746B (zh) 连接器
KR20210042808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366052B1 (ko) 커넥터
CN110462940B (zh) 连接器
KR20120090734A (ko) 커넥터
JP6342342B2 (ja) コネクタ
KR101196524B1 (ko) 커넥터
US9698510B2 (en) Connector for securing a flat cable
US20220302648A1 (en) Connector mating method and connector set
US10128599B2 (en) Connector
KR102001285B1 (ko)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JP672387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WO2015002120A1 (ja) フラット回路体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