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586B1 - 기능성 스포츠 팬티 - Google Patents

기능성 스포츠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586B1
KR102074586B1 KR1020180107500A KR20180107500A KR102074586B1 KR 102074586 B1 KR102074586 B1 KR 102074586B1 KR 1020180107500 A KR1020180107500 A KR 1020180107500A KR 20180107500 A KR20180107500 A KR 20180107500A KR 102074586 B1 KR102074586 B1 KR 102074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attached
fabric
iliac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정우
천종숙
Original Assignee
지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정우 filed Critical 지정우
Priority to KR102018010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7/00Selection of special materials for und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과 연부조직 기능을 반영하여, 인체의 골반 및 상·하체의 균형을 안정되게 잡아주고 골반의 상해를 방지시켜주기 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의 해부학적 기본자세를 3D 스캐너로 스캔 후, 스캔한 제원을 옷본(옷본A, 옷본B)으로 설계한다. 설계된 옷본에 골반 및 상·하체일부의 골격 및 연부조직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인체 골격의 형태와 동일하게 옷본에 가상으로 표시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에 인체의 연부조직과 동일하게 직물연부조직을 설계하되 인체 연부조직의 힘 방향과 일치시켜 설계함으로써 "기능성 스포츠 팬티" 는 3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 1" 은 인체의 위도경선에 의해 골반의 안정유지 및 상해를 방지한다. "기능 2" 은 해당 관절 및 연부조직에 대한 완충 및 길항작용으로 골반의 상해를 방지한다. "기능 3" 은 인체의 경도경선에 의해 인체의 균형을 잡아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첫째,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에 직물중간(상단)배꼽밴드부, 직물서혜밴드부, 직물치골밴드부 등 복부 및 골반에 위치한 인체의 위도경선을 설계하여 외부의 강력한 장력 및 만성적 긴장에 골반의 비틀림과 벌어짐을 막아줌으로써 골반의 안정유지 및 상해를 방지하며, 엉덩이의 처짐을 방지한다. 이들 직물연부조직들은 해당 인체의 연부조직 기능이 정확히 발휘되도록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반영되었다.
둘째, 요천 및 천장관절에 패드를 설계하여 외부의 강력한 장력 및 충격에 골반의 상해를 방지한다. 직물패드는 해당 인체의 패드 기능이 정확히 발휘되도록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반영되었다.
셋째,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에 직물복직근(A)부,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 직물골반기저근부을 설계하여 인체전면의 경도경선 표면전방선과 인체후면의 경도경선 표면후방선이 상호길항적인 역할로 인체의 균형을 잡아준다. 이들 직물연부조직들은 해당 인체의 연부조직 기능이 정확히 발휘되도록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반영되었다.
상기의 직물근육은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기능성 스포츠 팬티{Functional sports panties}
본 발명은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과 연부조직 기능을 반영하여, 인체의 골반 및 상·하체의 균형을 안정되게 잡아주고 골반의 상해를 방지시켜주기 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연부조직은 인체의 근육, 근육근막, 인대, 패드(지방/결합조직), 밴드(구조적으로 인대 및 건과 유사) 등을 말한다.
본 발명은 인체의 해부학적 기본자세를 3D 스캐너로 스캔 후, 스캔한 제원을 옷본(옷본A, 옷본B)으로 설계한다. 설계된 옷본에 골반 및 상·하체일부의 골격 및 연부조직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인체 골격의 형태와 동일하게 옷본에 가상으로 표시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에 인체의 연부조직과 동일하게 직물연부조직을 설계하되 인체 연부조직의 힘 방향과 일치시켜 설계함으로써, 경도경선(Longitude meridian : 세로로 이뤄진 띠) 및 위도경선(latitude meridian : 가로로 이뤄진 밴드)에 의해 골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작용과 주동적인 작용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의류의 특성 때문에 기능구현이 제한되는 일부 골반 직물연부조직의 경우에는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그 형태와 위치를 변화시켰다.
골반이란 인체의 상체와 하체를 잇는 중심으로 골반이 비뜰어지게 되면 신체의 균형이 파괴된다. 보다 상세히는 바르지 않은 자세의 경우, 인체골격에 있어 골반을 지탱하는 연부조직에 습관적인 수축을 주어 만성적인 긴장으로 척추가 휘어지는 등의 일상 및 산업재해 질환으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각종 운동간 급격한 동작의 변화는 불안정한 자세를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골반에 강력한 장력이 발생함으로써 골반이 틀어지거나 벌어지는 현상으로 골반을 지탱하는 연부조직에 상해가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골반변형은 골반의 연부조직이 약해져 골반이 틀어진 상태를 말하며 골반의 변형이 오면 전체적인 자세가 불안정하고 몸의 밸런스가 무너지게 되어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나쁜자세에서 바른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골반의 변형을 바르게 교정시켜주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골반의 변형을 방지하는 일상적인 방법으로는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스트레칭운동이나 골반변형의 교정을 만들어주는 재활의료 보장기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보장기들은 주로 자세(재활)의학 이나 정형외과 환자들이 주로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인들에게도 척추 측만증이나 골반의 교정 목적으로 개발된 골반교정벨트, 골반교정용 속옷 등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지나친 압박감과 고정된 틀을 제시하는 것이 제한점이다. 골반교정용 속옷 중 테이핑 요법을 적용한 속옷의 경우, 골격 및 관절을 고려 근육별로 실제 피부에 직접 부착되는 테이핑을 해야 하나 이를 속옷에 설계하여 옷에 부착함으로 그 기능이 효과적으로 반영되기 위해서는 제한점이 상존한다.
따라서 일상생활, 산업별 작업 및 운동에서 발생하는 습관적 수축의 만성적인 긴장과 외부 강력한 장력 및 충격으로부터 인체의 골반 및 상·하체의 균형을 유지시켜 디스크 및 척추측만증을 방지하고, 완충역할을 함으로써 골반의 틀어짐과 벌어짐의 상해를 방지시켜주며, 또한 고관절과 대퇴골두를 안정되게 잡아주고 엉덩이의 처짐을 방지해주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밴드" 를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 에 설계함으로써 인체의 위도경선(latitude meridian)인 "밴드" 에 의해 일상생활,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급격하게 골반에 미치는 강력한 장력과 수축의 만성적인 긴장으로 인한 골반의 틀어짐과 벌어짐을 방지하고 골반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며, 또한 고관절과 대퇴골두를 안정되게 잡아주고 엉덩이의 처짐을 방지해주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패드" 를 "골반관절(요천 및 천장관절)" 에 설계하여 일상생활,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골반에 미치는 강력한 장력 및 충격으로 인한 골반 및 골반관절의 상해를 방지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근육, 근육근막, 인대" 를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 에 설계하여 인체의 경도경선(Longitude meridian)인 "띠" 에 의해 일상생활,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골반 및 상·하체의 균형을 안정되게 하여 디스크 및 척추측만증을 방지하고, 또한 출산 후 임산부나 복부비만 사람들의 골반 전반경사와 오리궁둥이의 후방경사를 방지 또는 개선시켜주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과 연부조직에 대응되는 직물연부조직을 옷본(옷본A, 옷본B)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있어서, 상기 직물연부조직을 설계하기 위해 옷본에 가상으로 표시한 골격은, 옷본에서 하부늑골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며, 하부늑골 형태로 이루어진 인체하부늑골부; 요추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요추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하부늑골부 중앙에 위치한 인체요추부; 장골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요추부의 4번, 5번 요추 좌·우측과 연결되는 인체장골부; 야코비선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야코비선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요추부의 4번 요추와 좌·우측의 인체장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인 인체야코비선부; 천골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골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장골부 하단에 연결되는 인체천골부; 요천관절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요천관절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요추부 5번하단과 인체천골상단 사이에 위치한 인체요천관절부; 천장관절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장관절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좌·우측 인체장골부와 인체천골 사이에 위치한 인체천장관절부; 전상장골극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전상장골극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장골부 전면에 위치한 인체전상장골극부; 후상장골극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후상장골극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장골부 후면에 위치한 인체후상장골극부; 치골결합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결합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치골부의 좌·우측을 연결하는 인체치골결합부; 서혜인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서혜인대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전상장골극과 인체치골결합 사이에 위치한 인체서혜인대부; 미골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미골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천골부 하단에 연결되는 인체미골부; 좌골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장골부 하단에 연결되는 인체좌골부; 치골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좌골부의 좌·우측과 연결되는 인체치골부; 고관절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고관절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장골부와 인체좌골부 사이에 위치한 인체고관절부; 상부대퇴골 형태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상부대퇴골 대응 부위에 가상으로 표시되되, 상기 인체장골부와 인체고관절부 하단에 연결되는 인체상부대퇴골부; 등이 포함된다.
전술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 을 "옷본A" 와 "옷본B" 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옷본A" 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 중 "옷본A"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요추부, 인체장골부, 인체전상장골극부, 인체서혜인대부, 인체천골부, 인체미골부, 인체좌골부, 인체치골부, 인체치골결합부, 인체고관절부, 인체상부대퇴골부에 있어서,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가로밴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배꼽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의 3번 인체요추부 선상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1번 인체요추부 상단인 흉추 - 요추 연접부에 부착하게 되어 있으나, 의류설계의 제한에 따라 전면부 배꼽을 기준으로 수평되는 후면부 위치에 부착되는 직물중간배꼽밴드부;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가로모양의 밴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좌우측 인체전상장골극부와 좌우측 인체서혜인대부 상단의 1/3 위치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 장골와 중앙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좌우측 인체천장관절부와 인체천골부의 중앙에 부착되는 직물서혜밴드부; 인체전면, 측면, 후면, 하면에 가로밴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인체치골결합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사타구니를 가로질러 사선으로 인체서혜인대부를 지나 측면부 인체고관절부 및 인체상부대퇴골부 대전자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경우 인체의 치골밴드는 대둔근 하단의 엉덩이 심층을 지나 인체천골부와 인체미골부의 연접부에서 연결하도록 되어있으나, 이를 의류에 설계하기가 제한되어, 골반후면의 인체천골부 및 인체미골부의 연접부 표면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심부의 위치로 측면부에 부착된 인체고관절부 및 인체상부대퇴골부 대전자에서 하면부의 "엉덩이의 주름" [루시케인대(Luschke's ligament:엉덩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인대)에 의해 생겨진 주름]을 지나 인체좌골부부 결절 방향의 골반기저근에 부착함으로써 인체 치골밴드와 동일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직물치골밴드부;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전술한 골반골격 중 "옷본A"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요천관절부, 인체천장관절부, 인체후상장골극부, 인체야코비선부, 인체장골부, 인체천골부에 있어서, 인체후면에 패드형태의 절구 모양으로, 일측은 후면부 좌우측의 인체후상장골극부 하부에서 위쪽으로 인체천장관절부를 이어주는 위치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천골부와 인체장골부의 좌우측 장골능을 따라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인체요천관절부 및 인체야코비선부 선상 위치에 부착하는 직물패드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골반골격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전술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 중 "옷본A"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요추부, 인체장골부, 인체서혜인대부, 인체천골부, 인체미골부, 인체좌골부, 인체치골부, 인체치골결합부, 인체고관절부, 인체상부대퇴골부에 있어서, 인체전면에 표면전방선(SFL) 일부로 3개의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치골부의 치골결합으로부터 치골능선 바깥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5~7번 연골늑골과 검상돌기 방향의 옷본A(1) 상단선상에 부착한 직물복직근부; 인체의 후면에 표면후방선(SBL)일부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인 배부신전근육근막이 2개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척추기립근의 위치로 인체경골의 방향을 고려하여 인체요추부의 횡돌기 및 인체장골부의 극돌기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천조인대의 위치로 인체천골부의 천골능결절 및 인체좌골부의 좌골결절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인체하부대퇴골부의 비골두 방향으로 옷본A(1)의 하단에 부착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 인체전면 골반기저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좌골부의 좌골극과 좌골결절 및 조면, 인체치골부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미골부 및 인체천골부 하단내측과 치골결합부 하단인 치골궁에 부착한 직물골반기저근부;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반면, "옷본B" 에 의한 스포츠 팬티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해결하려는 과제" 중 직물서혜밴드부와 직물치골밴드부는 "옷본A" 와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생략하며, 전술한 상체 일부의 골격 중 "옷본B"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하부늑골부, 인체요추부에 있어서,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가로밴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검상돌기 하부의 9번 인체하부늑골부(41) 좌우측 연골늑골 선상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의 9번 인체하부늑골부(41) 하단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1번 인체요추부(42) 상단인 흉추 - 요추 연접부에 부착함으로써 옷본B(2)의 상단선상과 일치하는 직물상단배꼽밴드부;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기능은 "옷본A" 와 대동소이하나, 추가적으로 직물복직근A부의 기능인 표면전방선(SFL)에 의한 인체균형 및 골반중립이 될 수 있도록 여건을 보장해주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두 번째 "해결하려는 과제" 중 직물패드부는 "옷본A" 와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세 번째 "해결하려는 과제" 중 직물골반기저부는 "옷본A" 와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생략하며, 전술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 중 "옷본B"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하부늑골부, 인체요추부, 인체장골부, 인체서혜인대부, 인체천골부, 인체미골부, 인체좌골부, 인체치골결합부, 인체상부대퇴골부에 있어서 인체전면에 표면전방선(SFL) 일부로 3개의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옷본A(1) 상단 선상 직물복직근 위치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 5~7번 늑골의 연골과 검상돌기 방향의 옷본B(2) 상단선상에 부착함로써 옷본A(1) 상단선상에서 옷본B(2) 상단선상의 위치까지 연장된 직물복직근A부; 인체의 후면에 표면후방선(SBL)일부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인 배부신전근육근막이 2개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기시점으로 옷본A(1) 상단선상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 위치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인체 경골방향의 옷본B(2) 상단선상에 부착함으로써 옷본A(1) 상단선상에서 옷본B(2) 상단선상의 위치까지 연장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골반 및 상·하체 일부 골격의 연부조직들에 대응되는 직물연부조직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있어서, 직물연부조직은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따르면, 하부늑골, 요추, 골반, 상부대퇴골 등의 골격기능과 관련 연부조직기능을 반영하여 직물 연부조직이 그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골격의 연부조직 형태와 유사하게 직물연부조직이 설계되어 골격의 해당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의 강력한 장력과 만성적인 긴장으로 인한 골반의 틀어짐과 벌어짐을 방지하며 골반의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또한 고관절과 대퇴골두를 안정되게 잡아주며 엉덩이의 처짐을 방지해준다.
둘째, 외부의 강력한 장력 및 충격으로부터 골반과 특히 요천 및 천장관절의 상해를 방지해준다.
셋째, 골반 및 상·하체의 균형을 안정되게 하여 디스크, 척추측만증을 예방하고, 또한 출산 후 임산부나 복부비만 사람들의 골반 전반경사와 오리궁둥이의 후방경사를 방지 또는 개선시켜준다.
나쁜자세로 인한 중력의 편중은 골반의 각종 관절에 부하가 심하게 작용되어 근육, 인대, 연골, 뼈, 신경(중추 및 자율)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신체의 혈액순환에도 방해가 된다. 반면 기능성 스포츠 팬티는 자세 불균형에 의한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 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골반교정 시 효과근거 : 최중기(경기대 SNPE 체형교정 주임교수)의 저서 : 척추를 바로잡아야 건강이 보인다]
[골반교정 시 효과근거 : 김용필(체형관리 기혈운동 치료사)의 골반이 틀어지는 원인과 골반교정 기혈운동,
http://www.mediafine.co.kr/ news/articleView. html?idxno= 3881]
첫째, 골반기저근 약화(임신 및 출산, 노화)로 인한 요실금이 개선된다.
둘째, 신경계흐름이 개선된다.
셋째, 요통과 다리 저림 및 부종 등이 개선된다.
넷째, 복부비만과 만성피로 및 소화불량이 개선된다.
다섯째, 만성변비와 방광염 및 전립선염 등이 개선된다.
여섯째, 체온의 증가로 부인병 질병이 개선된다.
일곱째, O다리 및 X다리길이의 차이가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체균형 및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의 전면부, 측면부, 후면부, 하면부에서 인체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중간 배꼽밴드부(6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서혜밴드부(6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치골밴드부(6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복직근부(6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패드부(6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골반기저근부(6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상단배꼽밴드부(7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연장복직근A부(604-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606-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하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적용되는 골반 및 일부 상·하체의 골격은 도 1의 설명도로 골반 및 일부 상·하체의 세부골격인 전면골격 도1 (a), 측면골격 도1 (b), 후면골격 도1 (c), 하면골격 도1 (d)는 위치에 따라 보이는 골격의 형태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적용되는 골반 및 일부 상·하체의 전·측·후·하면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적용되는 골반 및 일부 상·하체의 전·측·후·하면 골격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 적용하는 전·측·후·하면 골격에는 골반골격인 요천관절, 천장관절 장골, 천골, 좌골, 치골, 고관절과 상체골격 하부늑골, 하체골격인 상부대퇴골 등이 있다.
하부늑골(Ribs)은 늑골의 최하단의 9번~12번 늑골을 의미한다. 늑골은 12쌍이며 12개의 흉추에 부착된다. 1~7번째 늑골은 진성늑골(true rib)이라고 하며 늑연골에 의해 흉골과 직접 결합한다. 도 1의 전·측·후면 골격에서 보이는 일부의 나머지 5쌍 늑연골은 늑연골이 직접 흉골에 닿아있지 않기 때문에 가성늑골이라 하며 이들 중의 최하단 2쌍인 11번, 12번 늑골을 부유늑골(floating rib)이라고 한다.
요추(Lumbar Vertebra)는 5개의 척추로 구성되어 허리에 위치하며 위쪽에 위치한 척추보다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추체가 크고 강하다.
장골(Ilium)은 골반 중 가장 크고 위쪽에 위치하여 바깥을 향해 퍼져있어 둔부의 돌출부위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위의 가장자리를 장골능(iliac crest)이라 하며 장골 앞쪽의 매끈하고 오목한 면은 장골와(iliac fossa)라고 한다. 장골의 뒤쪽은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에서 천골과 관절을 이룬다.
야코비선(線)은 척추의 높이를 추정할 필요가 있을 때 하나의 지표로서 사용하는 선으로, 도 1의 전·후면 골격에서 보이는 양측 장골능(iliac crest)을 연결하는 선으로 성인에게는 제4번째 요추의 극돌기를 통과한다.
천골(Sacrum)은 골반을 구성하는 뼈로 5개의 천추가 융합해서 된 것으로 척주를 구성하는 척추뼈 중에서 가장 크다.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쐐기 모양을 이룬다. 전면은 오목해져 골반강을 향하고 네가닥의 가로선이 있다. 천골은 제5요추의 몸통과 결합하고, 관절돌기는 제5요추의 아래관절돌기와 관절을 만든다.
요천관절(Lumbosacral Joint)은 약간 움직일 수 있는 섬유연골결합(cartilaginous symphysis) 관절로 5번 요추와 천추의 몸통이 이어진다. 이 부분의 관절은 일반적인 척추 뼈 사이의 관절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추가적인 장요인대(iliolumbar ligament)가 있으며 허리의 전체 움직임에 관여한다.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은 관절면에 불규칙한 패임과 결절들이 뚜렷하게 관찰되는 윤활관절(synovial joint)로 천추(sacrum)의 귓바퀴면(auricular surface)과 장골(ilium)의 귓바퀴면(auriculate surface)이 서로 이어진다. 이 관절은 불규칙한 관절면과 강한 천장인대(sacroiliac ligament) 때문에 거의 움직임이 없다.
전상장골극(ASIS :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은 장골 전면의 돌출부위로 근육과 인대가 부착되며 외과적으로 중요한 지표가 된다.
후상장골극(PSIS : Posterior Superior Iliac Spine)은 장골의 후면 경계로 돌출되어 외과적으로 전상장골극(ASIS)과 더불어 중요한 지표가 되며, 아래에는 신경과 혈관이 지나는 깊은 함요부위인 대좌골절흔(greater sciatic notch)이 있다.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은 좌우의 치골이 모여 섬유성 연골판 조직으로 결합되는 관절이다. 치골결합은 정상적일 경우에는 1mm~2mm 정도 간격으로 보이지만 임신 중에는 3mm~7mm 정도까지 증가할 수 있다.
서혜인대(Inguinal ligament)는 전상장골극(ASIS)으로부터 엇비슷이 치골결절(pubic symphysis)로 향하여 붙어 있는 유대(紐帶). 배와 넓적다리의 경계를 이룬다.
미골(Coccyx)은 척주의 가장 아래쪽 부위로서 4개의 척추로 이루어지며 25세쯤 융합된다. 미골은 인대에 의해 천추 열공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다. 앉을 때 미골은 눌리게 되며 앞쪽으로 이동하여 충격흡수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좌골(Ischium)은 골반뼈의 가장 아래부위를 형성하여 각을 이룬 L자 모양이며 뒤쪽아래에 좌골조면(ischialtuberosity)이 있다. 이 조면은 표면이 거칠며 하지의 근육과 인대가 부착하는 장소가 된다. 또한 앉아 있는 동안 체중을 지탱한다. 좌골조면위의 장골과 좌골의 경계 근처에 좌골극(ischial spine)이라고 하는 날카로운 돌출부가 있다. 천골갑각과 같이 좌골극은 질검사를 통해 촉지될 수 있어 골반크기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좌골극 사이의 거리는 골반출구(pelvic outlet)의 가장 짧은 직경에 해당된다.
치골(Pubis)은 골반뼈의 앞 부위를 형성한다. 두 개의 치골은 정중선에서 치골결합을 형성하여 서로 만난다. 치골결합(symphysis pubis) 아래에서 이 뼈들이 형성하는 각을 치골궁(pubic arch)이라고 한다. 이 뼈들 사이에는 인체골격 중 가장 큰 구멍인 폐쇄공(obturator foramen)이 있다. 이 구멍은 패쇄막에 의해 덮여 막혀 있다.
고관절(Hip Joint)은 대퇴골의 골두와 컵모양의 관절구(골반골절구 acetabulum)로 구성되어 있는 절구관절이다. 대퇴골의 골두에 있는 소와(pit : 대퇴골두와 fovea capitis)와 관절구 내에 있는 결합조직에는 인대[대퇴골두인대 ligamentum capitis(femoris)]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결은 관절을 이루는 뼈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데에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대퇴골 골두의 혈액공급에 중요하다. 관절구의 테두리를 따라 있는 말발굽 모양의 섬유연골의 고리가 관절구의 공간을 더 깊게 해준다. 이 구조는 대퇴골두를 둘러싸며, 골두가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해준다. 또한 다른 인대들에 의해 강화된 실린더 모양의 관절낭은 관절구조를 둘러싸 주며, 대퇴골의 목부분을 관절구의 테두리에 연결시켜 준다. 고관절에 있는 주요인대에는 장골대퇴인대(iliofemoral ligament), 치골대퇴인대(pubofemoral ligament), 좌골대퇴인대(ischiofemoral ligament) 등이 있다.
상부대퇴골(Femur)은 대퇴골 상단에서 1/5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대퇴골은 우리 몸에서 가장 긴뼈로 둔부로부터 무릎까지 뻗어있다. 대퇴골의 근위단에는 크고 둥근 대퇴골두(head)가 관골의 관절구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대퇴골두에는 인대가 부착하는 골두와(foveacapitis)라고 하는 오목한 홈이 있다. 대퇴골두의 바로 아래에는 좁은 대퇴골경(neck)이 있으며 이곳에는 2개의 큰 돌기 즉, 위쪽 외측의 대전자(greater trochanter)와 아래쪽 내측의 소전자(lesser trochanter)가 있다. 이러한 돌기들에는 하지와 둔부의 근육들이 부착한다. 대퇴골 몸통의 중간 1/3되는 부위의 뒷면에는 거친선(조면,linea aspera)이라고 하는 세로로 된 능선(crest)이 있다. 이 거친 부위에는 근육들이 부착한다. 대퇴골의 원위단에는 경골과 관절을 이루는 외측관절구(lateral condyle)와 내측관절구(medial condyle)의 두 둥근 돌기가 있다. 또한 대퇴골의 원위부 앞면은 슬개골과 관절을 이룬다. 원위단의 내측면에는 내측상과(medial epicondyle)가, 외측면에는 외측상과(lateral epicondyle)가 있다. 이러한 돌기들에는 근육과 인대가 부착된다.
실시예 1은 골반 및 상·하체의 일부 골격의 연부조직인 근육, 근육근막, 인대, 패드(지방/결합조직), 밴드(구조적으로 인대 및 건과 유사) 등을 골반, 요추 및 상부대퇴골에 설계하여 골반의 상해를 예방하고, 인체의 상·하체 및 골반의 균형을 안정되게 잡아주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이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골반 및 상·하체의 일부 골격은 도 1과 같다.
도 1의 골반 및 상·하체의 일부 골격에 있어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인체골격은 사람이 일상에서 뿐만 아니라 각종 운동 시 동적인 변화가 가능한 골반의 연부조직인 근육, 근육근막, 인대, 패드(지방/결합조직), 밴드(구조적으로 인대 및 건과 유사)의 기능을 고려하여 골반 및 상·하체의 일부 골격에 연부조직의 기시 및 종지를 최대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반영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기능성 스포츠 팬티"의 전면(a), 측면(b), 후면(c), 하면(d)부에서 인체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 이는 직물연부조직이 해당 인체근육, 인체근육근막, 인체인대, 인체패드, 인체밴드 등의 인체연부조직과 동일한 기능수행이 가능하도록 설계 및 제작에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단순히 인체골격을 옷본에 표시하는 설계에 불과하다. 여기에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인체골격을 "기능성 의류"의 전면(a), 측면(b), 후면(c), 하면(d)부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옷본A(1)는 인체의 배꼽으로부터 대퇴골 상단에서 1/5이 되는 위치까지 해부학적인 기본자세를 3D 스캐너로 스캔하여 산출된 제원에 의해 설계된 틀이다.
인체요추부(42)부는 인체의 요추를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요추로부터 흉추, 장골, 천골, 좌골 등에 부착되는 인체의 근육근막 경선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요추를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측면(b), 후면(c)부에 인체요추부(42)를 설계하였다.
인체장골부(43)부는 인체의 장골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장골로부터 전상장골극, 후상장골극, 서혜인대, 천골 등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장골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측면(b), 후면(c)부에 인체장골부(43)를 설계하였다.
인체야코비선부(51)는 인체의 야코비선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천골로부터 좌·우측 장골능선을 가상으로 이어주는 부분까지의 4번, 5번 요추와 요천관절 및 천장관절에 부착되는 인체상체 및 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야코비선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후면(c)부에 인체야코비선부(51)를 설계하였다.
인체천골부(44)는 인체의 천골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천골로부터 장골, 전상장골극, 후상장골극, 서혜인대 등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천골을 도 2와 같이옷본A(1)의 전면(a), 측면(b), 후면(c)부에 인체천골부(44)를 설계하였다.
인체요천관절부(10)는 인체의 요천관절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의 5번요추의 추간판과 천골의 상단 천골갑각의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인체상체 및 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요천관절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후면(c)부에 인체요천관절부(10)를 설계하였다.
인체천장관절부(20)는 인체의 천장관절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의 장골의 귓바퀴면과 천골의 귓바퀴면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천장관절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후면(c)부에 인체천장관절부(20)를 설계하였다.
인체전상장골극부(52)는 인체장골 전면의 인체의 전상장골극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의 전상장골극으로부터 후상장골극, 장골, 천골, 서혜인대 등에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전상장골극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측면(b)부에 인체전상장골극부(52)를 설계하였다.
인체후상장골극부(53)는 인체장골 후면의 인체의 후상장골극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후상장골극으로부터 전상장골극, 장골, 서혜인대, 천골 등에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전상장골극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측면(b), 후면(c)부에 인체후상장골극부(53)를 설계하였다.
인체치골결합부(54)는 인체의 치골결합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의 치골결합으로부터 치골, 대퇴골, 좌골, 미골, 궁둥이 주름, 골반기저근 등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치골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측면(b), 후면(c), 하면(d)부에 인체치골결합부(54)를 설계하였다.
인체서혜인대부(55)는 인체의 서혜인대를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서혜인대로부터 장골, 전상장골극, 후상장골극, 천골, 등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서혜인대를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부에 인체서혜인대부(55)를 설계하였다.
인체미골부(45)는 인체의 미골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의 미골로부터, 좌골, 대퇴골, 치골, 치골결합, 엉덩이 주름(Hip up을 위해 Lushike's ligament에 의해 잡힌 주름), 골반기저근 등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미골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측면(b), 후면(c), 하면(d)부에 인체미골부(45)를 설계하였다.
인체좌골부(46)는 인체의 좌골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의 좌골로부터 미골, 치골, 치골결합, 대퇴골, 엉덩이 주름, 골반기저근 등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좌골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측면(b), 후면(c), 하면(d)부에 인체좌골부(46)를 설계하였다.
인체치골부(47)는 인체의 치골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의 치골로부터 치골결합, 대퇴골, 미골, 좌골, 궁둥이 주름, 골반기저근 등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치골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측면(b), 후면(c), 하면(d)부에 인체치골부(47)를 설계하였다.
인체고관절부(30)는 인체의 고관절을 의류에 표시한 부분으로, 인체대퇴골 상단의 대퇴골두 및 대퇴골경과 관골의 관골구의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고관절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측면(b), 후면(c), 하면(d)부에 인체고관절부(30)를 설계하였다.
인체상부대퇴골부(48)는 인체의 상부대퇴골인 대퇴골두에서 1/5까지 해당하는 대퇴골로, 인체상부대퇴골로부터 좌골, 미골, 치골, 치골결합, 엉덩이 주름, 골반기저근 등에 부착되는 인체골반의 연부조직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상부대퇴골을 도 2와 같이 옷본A(1)의 전면(a), 측면(b), 후면(c)부에 인체상부대퇴골부(48)를 설계하였다.
실시예 1에 의해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의 근육, 인대, 패드(지방/결합조직), 밴드(구조적으로 인대 및 건과 유사) 등의 연부조직과 인체연부조직에 대한 직물연부조직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체의 골격을 이어주는 골격근과 인대, 골반을 안정시켜주는 패드 및 밴드를 직물연부조직으로 평면상 "기능성 스포츠 팬티" 를 설계 및 제작한다. 또한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예 1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계 및 연부조직으로, 도 2의 인체하부늑골, 요추, 골반 및 상부대퇴골격에 설계되는 연부조직을 정리하면 표1과 같다.
Figure 112018501833700-pat00001
밴드(Band : 띠)는 인체에서 위도경선(latitude meridian : 가로로 이뤄진 "밴드" )과 경도경선(Longitude meridian : 세로로 이루어진 "띠" )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경선은 일반 해부학 책에서 찾기는 힘들다. 위도경선(latitude meridian)은 인체 연부조직의 구조를 직접 살펴보면 가로로 길게 하나의 선(線)처럼 "밴드"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인체에는 위도경선으로 눈 밴드(eye band), 턱 밴드(chin band), 쇄골 밴드(collar band), 가슴 밴드(chest band), 배꼽 밴드(umbrical band), 서혜 밴드(inguinal band), 치골 밴드(pubic band) 등의 7개 밴드가 존재하며 근육과는 구별되고 구조적으로 인대 및 건과 유사하며 피부 바로 밑에 존재하여 벨트처럼 연부조직을 가로로 묶어주는 등으로 인체의 움직임에 관여한다. 경도경선(Longitude meridian)은 인체 족두(足頭)에 걸쳐 세로로 길게 하나의 선(線)처럼 "띠" 모양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인체에는 경도경선으로 표면전방선(SFL : Superficial Front Line), 표면후방선(SBL : Superficial Back Line), 좌측 외측선(LLL : Left Lateral Line), 우측 외측선(RLL : Right Lateral Line), 나선선(S : Spiral Line), 전방기능선(FFL : Front Functional Line), 후방기능선(BFL : Back Functional Line), 표면전방상지선(SFAL : Superficial Front Arm Line), 심부전방상지선(DFAL : Deep Front Arm Line), 표면후방상지선(SBAL : Superficial BacK Arm Line), 심부후방상지선(DBAL : Deep Back Arm Line), 심부전방선(DFL : Deep Front Line) 등의 12개 띠가 존재하며 골격과 관절 등을 근육과 근막으로 연결한 띠로 되어있다. 경도경선의 근육들은 각각의 자기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순간에도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연결된 근막을 통해 근육들은 경선인 띠별로 기능적으로 통합된 영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위도경선은 인체의 경도경선인 근육근막 등의 연부조직이 안전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잡아준다. 때문에 인체의 경도경선과 위도경선은 서로 상반된 작용에 의해 인체의 균형을 잡아준다. 이는 의류의 씨줄 및 날줄의 역할과 유사하다.
중간배꼽밴드(Middle umbilical band)는 전면의 배꼽에서 측면의 12번 늑골 하단을 지나 후면의 흉추 - 요추의 연접부에 닿는다. 배꼽밴드는 사람이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중간, 상단, 하단의 3개 밴드로 그 위치가 변화한다. 즉, 인체배꼽에서 상단으로는 검상돌기 하부위치까지 변화하고, 하단으로 배꼽아래 1인치 위치까지 변화한다.
서혜밴드(Inguinal band)는 전면은 뒤집힌 아치모양(서혜인대를 포함하여 치골영역 까지)으로 좌·우측 전상장골극을 이어주고 측면 및 후면으로는 장골능을 타고 요천추결합부까지 이어진다.
치골밴드(Pubic band) 전면은 치골에서 뻗어 나와 서혜부를 지나고 측면은 대퇴골 대전자를 지나서 후면은 엉덩이를 지나 천골과 미골이 만나는 부위까지 이어진다.
복직근(Rectus abdominis)은 긴 띠모양의 근육으로 질긴 결합조직의 백선(linea alba)을 담고있으며, 치골에서 기시하여 늑골과 흉골의 검상돌기까지 연결되어 종지된다. 여기에서 복직근은 표면전방선(SFL)의 일부로 인체전면에서 표면전방선(SFL)의 근육근막와 더불어 굴근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배부신전근육근막은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이 근막으로 연결된 연부조직이다. 여기에서 배부신전근육근막은 표면후방선(SBL)의 일부로 인체후면에서 신근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척추기립근(Erector spine)은 등을 따라 세로로 주행하는 근육이며, 척주에서 최초 천골 및 여러 곳에서 기시하고 종지한다.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은 두 개의 머리가 있으며, 이는 좌골과 대퇴골에서 기시하여 경골과 비골의 근위부 말단에 종지한다. 천조인대(Sacrotuberous ligament)는 좌골결절에서 미추 및 천골, 후상장골극을 거쳐 요추방향으로 연결된다.
골반기저근(Pelvic floor muscle)은 심부의 골반격막과 표면의 요생식격막의 두층사이의 근육판으로, 치골과 좌골에서 기시하여 미골과 천골에 종지한다.
패드(Pad)는 요천관절과 천장관절의 외부 강력한 장력과 습관적이고 만성적인 긴장을 보호하기위해 2개 관절주변 및 내부에 지방과 결합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직물연부조직들은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연부조직직물과 연부조직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2와 같다.
Figure 112018501833700-pat00002
즉, 골격의 연부조직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이 필요하다. 신장율의 경우 직물연부조직은 120 ~ 160%가 요구 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중간배꼽밴드부(6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직물중간배꼽밴드부(60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중간배꼽밴드부(601)의 경우,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중간배꼽밴드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중간배꼽밴드부(601)의 일측은 기시점으로 전면부 배꼽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의 3번 인체요추부(42) 선상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후면부 1번 인체요추부(42) 상단인 흉추 - 요추 연접부에 부착하게 되어 있으나, 의류설계의 제한에 따라 종지점은 전면부 배꼽을 기준으로 수평되는 후면부 위치에 부착했다. 따라서 몸을 마치 상하 2개 부분으로 나누어주는 경계선 역할을 한다. 이 위치는 옷본A(1)의 상단과 일치한다. 또한 직물중간배꼽밴드부(601)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직물중간배꼽밴드부(601)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전면, 측면, 후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하여 인체 중간배꼽밴드의 이완방향(직물의 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중간배꼽밴드와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중간배꼽밴드부(601)의 장력은 횡격막의 문제를 일으키는 배꼽밴드의 긴장을 완화시고 늑골을 자유롭게 하여 횡격막의 움직임을 안정화 시킨다. 즉 이러한 배꼽밴드는 늑골궁 아래쪽과 늑골의 안쪽 및 바깥쪽을 지나므로 늑골을 몸 안쪽 깊숙이 당기고, 횡격막을 압박하기도 한다. 따라서 배꼽밴드의 긴장은 횡격막의 문제를 일으키므로 늑골이 자유롭다면 횡격막의 움직임도 자연스러워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서혜밴드부(6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은 직물서혜밴드부(602)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서혜밴드부(602)의 경우,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서혜밴드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서혜밴드부(602)의 일측은 기시점으로 전면부 좌·우측 인체전상장골극부(52)와 좌·우측 인체서혜인대부(55) 상단의 1/3 위치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 장골와 중앙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후면부 좌·우측 인체천장관절부(20)와 인체천골부(44)의 중앙에 부착한다. 여기에서 직물서혜밴드부(602)를 인체측면에서 장골능이 아닌 장골와 중앙에 부착하여 장골능의 구조에서 생기는 골반의 긴장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직물서혜밴드부(602)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직물서혜밴드부(602)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전면, 측면, 후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하여 인체 서혜밴드의 이완방향(직물의 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서혜밴드와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서혜밴드부(602)의 장력은 골반뒤쪽에 고정이 생겨 긴장이 되면 인체전상장골극부(52)의 앞쪽이 넓어져 장골근이 짧아짐으로써, 발생되는 골반의 전방경사를 예방한다. 또한 인체측면에서 장골능이 아닌 장골와 중앙에 부착하여 골반의 긴장으로 인체천장관절부(20)의 가동성이 떨어져, 인체요천관절부(10)에서 발생하는 요통을 예방하도록 하였다. 즉, 인체천장관절부(20)를 안정되게 잡아줌으로써 골반의 비틀림을 제한시켜 골반의 전방경사 및 인체요천관절부(10) 부위의 요통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코아근육인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의 척추기립근 및 직물복직근부(604)와 더불어 인체의 균형을 잡아줌으로써 골반의 틀어짐, 디스크, 척추측만을 예방하며, 순환장애 및 신진대사가 떨어져 장기의 활동이 느려지고 비만의 체질이 되는 것을 예방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치골밴드부(6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은 직물치골밴드부(603)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치골밴드부(603)의 경우, 인체전면, 측면, 후면, 하면에 인체 치골밴드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치골밴드부(603)의 일측은 기시점으로 전면부 인체치골결합부(54)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사타구니를 가로질러 사선으로 인체서혜인대부(55)를 지나 측면부 인체고관절부(30) 및 인체상부대퇴골부(48) 대전자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경우 인체의 치골밴드는 대둔근 하단의 엉덩이 심층을 지나 인체천골부(44)와 인체미골부(45)의 연접부에서 연결하도록 되어있으나, 이를 의류에 설계하기가 제한되어, 골반후면의 인체천골부(44) 및 인체미골부(45)의 연접부 표면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심부에 위치한 종지점으로 측면부에 부착된 인체고관절부(30) 및 인체상부대퇴골부(48) 대전자에서 하면부의 "엉덩이의 주름" [루시케인대(Luschke's ligament:엉덩이의 처짐을 방지하기위한 인대)에 의해 생겨진 주름]을 지나 인체좌골부(46)부 결절 방향의 골반기저근에 부착함으로써 인체 치골밴드와 동일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직물치골밴드부(603)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직물치골밴드부(603)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전면, 측면, 후면, 하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하여 인체 치골밴드의 이완방향(직물의 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치골밴드와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치골밴드부(603)의 장력은 인체천골부(44)와 인체미골부(45)의 연접부를 안정되게 함으로써 척추에서 일어나는 굴곡, 신전, 회전방향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하였다. 또한 고관절과 대퇴골두를 안정되게 잡아주고, 습관적으로 나온 복부를 집어넣으려고 함으로써 발생하는 불필요한 긴장을 이완되도록 하였으며, 루시케인대(Luschke's ligament)를 받쳐줌으로써 엉덩이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코아근육인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의 척추기립근 및 직물복직근부(604)와 더불어 인체의 균형을 잡아줌으로써 골반의 틀어짐, 디스크, 척추측만을 예방하며, 순환장애 및 신진대사가 떨어져 장기의 활동이 느려지고 비만의 체질이 되는 것을 예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복직근부(6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직물복직근부(604)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복직근부(604)의 경우, 인체전면 복직근의 일부인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표면전방선(SFL) 일부로 3개의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직물복직근부(604)의 일측은 기시점으로 인체치골부(47)의 치골결합으로부터 치골능선 바깥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5~7번 연늑골과 검상돌기 방향의 옷본A(1) 상단선상에 부착한다. 또한 직물복직근부(604)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직물복직근부(604)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전면 인체치골부(47)의 인체치골결합부(54)로부터 치골능선 바깥 면에서 5~7번 연늑골과 검상돌기를 향하도록 하여 인체 복직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복직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복직근부(604)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여 인체 복직근의 길항근에 대해 상해를 예방시켜준다. 또한 골반의 전방경사를 예방하여 골반의 중립을 지켜주며, 복직근은 상체 윗쪽으로 흉연골 근막, 흉골근, 흉쇄유돌근, 두피근막, 하체 아래쪽으로 대퇴사두근, 슬개골하건, 전경골근, 단족지신근에 이르는 인체의 경도경선인 표면전방선(SFL : Superficial Front Line)인 근육근막의 기능을 수행하여 표면후방선(SBL : Superficial Back Line)과 균형을 이룬다. 따라서 인체의 균형은 골반의 틀어짐, 디스크, 척추측만을 예방하며, 순환장애 및 신진대사가 떨어져 장기의 활동이 느려지고 비만의 체질이 되는 것을 예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패드부(6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직물패드부(605)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패드부(605)의 경우, 인체후면에 인체의 패드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패드부(605)의 일측은 기시점으로 후면부 좌·우측의 인체후상장골극부(53) 하부에서 위쪽으로 인체천장관절부(20)를 이어주는 위치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천골부(44)와 인체장골부(43)의 좌·우측 장골능을 따라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인체야코비선부(51) 선상 위치에 부착한다. 또한 지방과 결합조직으로 되어있는 인체패드의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직물패드부(605)는 주머니 형태로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주머니 내부의 물질은 외부의 압박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인체의 지방 및 결합조직과 유사한 실리콘 고무팩 등의 조형물이 필요하다.
직물패드부(605)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후면을 따라 진행하도록 하여 인체 패드가 움직이는 사방의 이완방향(직물의 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패드와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패드부(605)의 장력 및 완충력은 인체 비틀림 등의 외부 강력한 장력과 습관적 수축에 의해 이뤄지는 만성적인 긴장에 쉽게 대응하도록 하였다. 즉, 인체요천관절부(10) 및 천장관절부(20)의 피로도를 최소화시켜 골반이 안정된 상태에서 일상 및 운동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의 경우, 인체의 후면에 위치한 인체요추부(42), 인체장골부(43), 인체천골부(44), 인체좌골부(46), 인체상부대퇴골부(48)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이 근막으로 연결된 연부조직으로, 표면후방선(SBL)의 일부인 배부신전근육근막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2개의 세로띠 모양인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의 기시 및 종지는 인체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의 기지에서 종지의 방향과 일치하는 선상에 설계하여야함으로 일측은 기시점으로 척추기립근의 위치로 인체경추의 방향을 고려하여 인체요추부(42)의 3~5번 요추 횡돌기 및 인체장골부(43)의 극돌기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천조인대의 위치로 인체천골부(44)의 천골능결절 및 인체좌골부(46)의 좌골결절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인체상부대퇴골부(48)에서 비골두 방향으로 옷본A(1)의 하단에 부착한다. 또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의 장력은 인체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여 인체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의 길항근에 대해 상해를 예방시켜준다. 또한 골반의 후방경사를 예방하여 골반의 중립을 지켜주며,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은 상체 위쪽으로 두개근막, 모상건막, 하체 아래쪽으로 비복근, 단무지굴근에 이르는 인체의 경도경선인 표면후방선(SBL)인 근육근막의 기능을 수행하여 표면전방선(SFL)과 균형을 이룬다. 따라서 인체의 균형은 골반의 틀어짐, 디스크, 척추측만, 후방경사을 예방하며, 순환장애 및 신진대사가 떨어져 장기의 활동이 느려지고 비만의 체질이 되는 것을 예방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골반기저근부(6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은 직물골반기저근부(607)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골반기저근부(607)의 경우, 인체전면 골반기저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골반기저근부(607)의 일측은 기시점으로 인체좌골부(46)의 좌골극과 좌골결절 및 조면, 인체치골부(47)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인체미골부(45) 및 인체천골부(44) 하단내측과 치골결합부(55) 하단인 치골궁에 부착한다. 또한 직물골반기저근부(607)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직물골반기저근부(607)의 신축성 방향은 상기 기술한 인체하면 기시점에서 종지점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골반기저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골반기저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골반기저근부(607)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여 인체 골반기저근은 코어근육으로 인체의 균형을 유지시켜 골반의 틀어짐, 디스크, 척추측만을 예방하며, 순환장애 및 신진대사가 떨어져 장기의 활동이 느려지고 비만의 체질이 되는 것을 예방한다. 상기 인체균형을 위하여, 해부학적으로 인체의 경도경선인 표면후방선(SFL)과 표면전방선(SBL)이 인체의 족두(足頭) 하상단에서 연결되어 상호균형이 이뤄지지만, 인체균형을 한 차원 높이기 위해 인체의 중심인 골반(골반기저근)에서도 "기능성 스포츠 팬티" 를 통해 인위적으로 연결시켜주었다.
실시예 2은 실시예 1에 인체 하부늑골부(41)를 포함시킨 "기능성 스포츠 팬티" 이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2에 해당하는 골반 및 상·하체의 일부 골격은 도 1과 같다.
도 1의 골반 및 상·하체의 일부 골격에 있어서,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인체골격은 사람이 일상에서 뿐만 아니라 각종 운동 시 동적인 변화가 가능한 골반의 연부조직인 근육, 근육근막, 인대, 패드(지방/결합조직), 밴드(구조적으로 인대 및 건과 유사) 등의 기능을 고려하여 골반 및 상·하체의 일부 골격에 연부조직의 기시 및 종지를 최대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반영한 것이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골격의 설계 및 설명도로써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인체골격을 "기능성 스포츠 팬티"의 전면(a), 측면(b), 후면(c), 하면(d)부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옷본B(2)는 인체의 배꼽 위 인체늑골부(41) 10번 하단으로부터 대퇴골 상단에서 1/5이 되는 위치까지 해부학적인 기본자세를 3D 스캐너로 스캔하여 산출된 제원에 의해 설계된 틀이다.
인체하부늑골부(41)부는 인체의 하부늑골인 9번~12번 늑골로, 인체하부늑골로부터 요추, 장골, 천골, 좌골 등에 부착되는 인체의 근육근막 경선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하부늑골을 도 2와 같이 옷본B(2)의 전면(a), 측면(b), 후면(c)부에 인체하부늑골부(41)를 설계하였다.
인체 전,측,후,하면의 인체요천관절부(10), 인체천장관절부(20), 인체고관절부(30), 인체요추부(42), 인체장골부(43), 인체천골부(44), 인체미골부(45), 인체좌골부(46), 인체치골부(47), 인체상부대퇴골부(48), 인체야코비선부(51), 인체전상장골극부(52), 인체후상장골극부(53), 인체치골결합부(54), 인체서혜인대부(55)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의해 "기능성 스포츠 팬티" 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의 근육, 근육근막, 인대, 패드(지방/결합조직), 밴드(구조적으로 인대 및 건과 유사) 등의 연부조직과 인체연부조직에 대한 직물연부조직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체의 골격을 이어주고 안정시켜주는 골격근과 근육근막 및 인대, 골반의 상해를 예방하는 패드 및 밴드를 직물연부조직으로 평면상 "기능성 스포츠 팬티" 를 설계 및 제작한다. 또한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예 2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계 및 연부조직으로, 도 2의 인체하부늑골, 요추, 골반 및 상부대퇴골격에 설계되는 연부조직을 정리하면 표3과 같다.
Figure 112018501833700-pat00003
상단배꼽밴드(Upper umbilical band)는 전면의 검상돌기 하부 좌·우측 연골늑골 9번 선상에서 측면의 10번 늑골 하단을 지나 후면의 흉추 - 요추 연접부에 닿는다.
서혜밴드, 치골밴드, 복직근, 배부신전근육근막(척추기립근 / 대퇴이두근 / 천조인대), 패드, 골반기저근은 설계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실시예 2의 직물연부조직들은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연부조직직물과 연부조직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4와 같다.
Figure 112018501833700-pat00004
즉, 골격의 연부조직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이 필요하다. 신장율의 경우 직물연부조직은 120 ~ 160%가 요구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상단배꼽밴드부(7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직물상단배꼽밴드부(70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상단배꼽밴드부(701)의 경우,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상단배꼽밴드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상단배꼽밴드부(701)의 일측은 기시점으로 전면부 검상돌기 하부의 9번 인체하부늑골부(41) 좌·우측 연골늑골 선상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의 9번 인체하부늑골부(41) 하단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후면부 1번 인체요추부(42) 상단인 흉추 - 요추 연접부에 부착한다. 이들 위치는 옷본B(2)의 상단선상과 일치한다. 또한 직물상단배꼽밴드부(701)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사람이 움직임에 따라 배꼽밴드의 위치가 상하로 자연스럽게 변화하여 배꼽밴드의 기능이 작용하기 때문에 직물상단배꼽밴드부(701)의 기능은 직물중간배꼽밴드부(601)와 대동소이하고, 직물상단배꼽밴드부(701)는 직물복직근A부(604-1)의 기능인 표면전방선(SFL)에 의한 인체균형 및 골반중립이 될 수 있도록 여건을 보장해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복직근A부(604-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직물복직근A부(604-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복직근A부(604-1)의 경우, 인체전면 복직근의 일부인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표면전방선(SFL) 일부로 3개의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직물복직근A부(604-1)의 일측은 기시점으로 인체치골부(47)의 치골결합으로부터 치골능선 바깥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5~7번 인체늑골의 연골과 검상돌기 방향의 옷본B(2) 상단선상에 부착함으로써 직물복직근부(604)의 종지점의 위치인 옷본A(1) 상단선상에서 옷본B(2) 상단선상의 위치까지 연장한 직물복직근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직물복직근A부(604-1)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직물복직근A부(604-1)의 기능은 직물복직근부(604)와 대동소이하나, 직물복직근A부(604-1)는 추가적으로 출산 후 임산부나 복부비만 사람들의 골반 전반경사를 예방하거나 골반중립을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606-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은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606-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606-1)의 경우, 인체의 후면에 위치한 인체요추부(42), 인체장골부(43), 인체천골부(44), 인체좌골부(46), 인체상부대퇴골부(48)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이 근막으로 연결된 연부조직으로, 표면후방선(SBL)의 일부인 배부신전근육근막A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2개의 세로띠 모양인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606-1)의 기시 및 종지는 인체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의 기지에서 종지의 방향과 일치하는 선상에 설계하여야함으로 일측은 기시점으로 척추기립근의 위치로 인체경추방향을 고려하여 인체요추부(42)의 1번~5번 요추 횡돌기 및 인체장골부(43)의 극돌기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천조인대의 위치로 인체천골부(44)의 천골능결절 및 인체좌골부(46)의 좌골결절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인체상부대퇴골부(48)에서 비골두 방향으로 옷본A(1)의 하단에 부착함으로써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의 종지점의 위치인 옷본A(1) 상단선상에서 옷본B(2) 상단선상의 위치까지 연장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606-1)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606-1)의 기능은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606)와 대동소이하나, 추가적으로 직물복직근A부(604-1)와 더불어 인체 복부 코어부분을 보다 안정되게 하여준다.
직물서혜밴드, 직물치골밴드, 직물패드, 직물골반기저근은 설계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1 옷본A 2 옷본B 10 인체요천관절부
20 인체천장관절부 30 인체고관절부 41 인체하부늑골부
42 인체요추부 43 인체장골부 44 인체천골부
45 인체미골부 46 인체치골부 47 인체좌골부
48 인체상부대퇴골부 51 인체야코비선부 52 인체서혜인대부
53 인체전상장골극부 54 인체후상장골극부 55 인체치골결합부
601 직물중간배꼽밴드부 602 직물서혜밴드부 603 직물치골밴드부
604 직물복직근부 605 직물패드부 606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
607 직물골반기저근부 701 직물상단배꼽밴드부 604-1 직물복직근A부
606-1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

Claims (7)

  1. 삭제
  2.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과 연부조직에 대응되는 가상의 골격 및 직물연부조직을 "옷본A" 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스포츠 팬티의 "옷본A"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요추부, 인체장골부, 인체전상장골극부, 인체후상장골극부, 인체서혜인대부, 인체천골부, 인체미골부, 인체좌골부, 인체치골부, 인체치골결합부, 인체고관절부, 인체상부대퇴골부에 설계된 직물연부조직은,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가로밴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배꼽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의 3번 인체요추부 선상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1번 인체요추부 상단인 흉추 - 요추 연접부에 부착하게 되어 있으나, 의류설계의 제한에 따라 전면부 배꼽을 기준으로 수평되는 후면부 위치에 부착되는 직물중간배꼽밴드부;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가로모양의 밴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좌·우측 인체전상장골극부와 좌·우측 인체서혜인대부 상단의 1/3 위치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 장골와 중앙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좌·우측 인체천장관절부와 인체천골부의 중앙에 부착되는 직물서혜밴드부;
    인체전면, 측면, 후면, 하면에 가로밴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인체치골결합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사타구니를 가로질러 사선으로 인체서혜인대부를 지나 측면부 인체고관절부 및 인체상부대퇴골부 대전자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경우 인체의 치골밴드는 대둔근 하단의 엉덩이 심층을 지나 인체천골부와 인체미골부의 연접부에서 연결하도록 되어있으나, 이를 의류에 설계하기가 제한되어, 골반후면의 인체천골부 및 인체미골부의 연접부 표면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심부의 위치로 측면부에 부착된 인체고관절부 및 인체상부대퇴골부 대전자에서 하면부의 "엉덩이의 주름" 을 지나 인체좌골부 결절 방향의 골반 기저근에 부착함으로써 인체 치골밴드와 동일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직물치골밴드부;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3.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과 연부조직에 대응되는 가상의 골격 및 직물연부조직을 "옷본(옷본A, 옷본B)" 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스포츠 팬티의 "옷본(옷본A, 옷본B)"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요천관절부, 인체천장관절부, 인체후상장골극부, 인체야코비선부, 인체장골부, 인체천골부에 설계된 직물연부조직은,
    인체후면에 패드형태의 절구 모양으로, 일측은 후면부 좌·우측의 인체후상장골극부 하부에서 위쪽으로 인체천장관절부를 이어주는 위치에 부착하고, 다른 일 측은 인체천골부와 인체장골부의 좌·우측 장골능을 따라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인체요천관절부 및 인체야코비선부 선상 위치에 부착하는 직물패드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골반골격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4.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과 연부조직에 대응되는 가상의 골격 및 직물연부조직을 "옷본A" 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스포츠 팬티의 "옷본A"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요추부, 인체장골부, 인체서혜인대부, 인체천골부, 인체미골부, 인체좌골부, 인체치골부, 인체치골결합부, 인체고관절부, 인체상부대퇴골부에 설계된 직물연부조직은,
    인체전면에 표면전방선(SFL) 일부로 3개의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은 기시점으로 인체치골부의 치골결합으로부터 치골능선 바깥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5~7번 연골늑골과 검상돌기 방향의 옷본A(1) 상단선상에 부착한 직물복직근부;
    인체의 후면에 표면후방선(SBL)일부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인 배부신전근육근막이 2개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기시점으로 척추기립근의 위치로 인체경추의 방향을 고려하여 인체요추부의 3번~5번 요추 횡돌기 및 인체장골부의 극돌기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천조인대의 위치로 인체천골부의 천골능결절 및 인체좌골부의 좌골결절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인체상부대퇴골부의 비골두 방향으로 옷본A(1)의 하단에 부착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부;
    인체하면 골반기저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좌골부의 좌골극과 좌골결절 및 조면, 인체치골부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미골부 및 인체천골부 하단내측과 치골결합부 하단인 치골궁에 부착한 직물골반기저근부;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5.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과 연부조직에 대응되는 가상의 골격 및 직물연부조직을 "옷본B" 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스포츠 팬티의 "옷본B"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하부늑골부, 인체요추부, 인체장골부, 인체전상장골극부, 인체후상장골극부, 인체서혜인대부, 인체천골부, 인체미골부, 인체좌골부, 인체치골부, 인체치골결합부, 인체고관절부, 인체상부대퇴골부에 설계된 직물연부조직은,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가로밴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검상돌기 하부의 9번 인체하부늑골부(41) 좌·우측 연골늑골 선상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의 9번 인체하부늑골부(41) 하단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1번 인체요추부(42) 상단인 흉추 - 요추 연접부에 부착함으로써 옷본B(2)의 상단선상과 일치하는 직물상단배꼽밴드부;
    인체전면, 측면, 후면에 가로모양의 밴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좌·우측 인체전상장골극부와 좌·우측 인체서혜인대부 상단의 1/3 위치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부 장골와 중앙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좌·우측 인체천장관절부와 인체천골부의 중앙에 부착되는 직물서혜밴드부;
    인체전면, 측면, 후면, 하면에 가로밴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면부 인체치골결합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사타구니를 가로질러 사선으로 인체서혜인대부를 지나 측면부 인체고관절부 및 인체상부대퇴골부 대전자에 부착하며, 또 다른 일측은 후면부 경우 인체의 치골밴드는 대둔근 하단의 엉덩이 심층을 지나 인체천골부와 인체미골부의 연접부에서 연결하도록 되어있으나, 이를 의류에 설계하기가 제한되어, 골반후면의 인체천골부 및 인체미골부의 연접부 표면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심부의 위치로 측면부에 부착된 인체고관절부 및 인체상부대퇴골부 대전자에서 하면부의 "엉덩이의 주름" 을 지나 인체좌골부 결절 방향의 골반 기저근에 부착함으로써 인체 치골밴드와 동일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직물치골밴드부;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6.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과 연부조직에 대응되는 가상의 골격 및 직물연부조직을 "옷본B" 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 팬티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스포츠 팬티의 "옷본B" 에 가상으로 표시된 인체하부늑골부, 인체요추부, 인체장골부, 인체서혜인대부, 인체천골부, 인체미골부, 인체좌골부, 인체치골부, 인체치골결합부, 인체고관절부, 인체상부대퇴골부에 설계된 직물연부조직은,
    인체전면에 표면전방선(SFL) 일부로 3개의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기시점으로 인체치골부의 치골결합으로부터 치골능선 바깥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5~7번 인체늑골의 연골과 검상돌기 방향의 옷본B(2) 상단선상에 부착함으로써 직물복직근부의 종지점의 위치인 옷본A(1) 상단선상에서 옷본B(2) 상단선상의 위치까지 연장된 직물복직근A부;
    인체의 후면에 표면후방선(SBL)일부의 척추기립근, 천조인대, 대퇴이두근인 배부신전근육근막A가 2개 세로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기시점으로 척추기립근의 위치로 인체경추방향을 고려하여 인체요추부의 1번~5번 요추 횡돌기 및 인체장골부의 극돌기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천조인대의 위치로 인체천골부의 천골능결절 및 인체좌골부의 좌골결절에 부착하고, 또 다른 일측은 종지점으로 인체상부대퇴골부에서 비골두 방향으로 옷본A(1)의 하단에 부착함으로써 직물배부신전근육근 막부의 종지점 위치인 옷본A(1) 상단선상에서 옷본B(2) 상단선상의 위치까지 연장한 직물배부신전근육근막A부;
    인체하면 골반기저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좌골부의 좌골극과 좌골결절 및 조면, 인체치골부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미골부 및 인체천골부 하단내측과 치골결합부 하단인 치골궁에 부착한 직물골반기저근부;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반 및 상·하체 일부의 골격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성 스포츠 팬티.
  7. 삭제
KR1020180107500A 2018-09-10 2018-09-10 기능성 스포츠 팬티 KR10207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500A KR102074586B1 (ko) 2018-09-10 2018-09-10 기능성 스포츠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500A KR102074586B1 (ko) 2018-09-10 2018-09-10 기능성 스포츠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586B1 true KR102074586B1 (ko) 2020-02-06

Family

ID=6956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500A KR102074586B1 (ko) 2018-09-10 2018-09-10 기능성 스포츠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5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3145A (ja) * 2008-06-03 2009-12-17 Deiigamu:Kk 衣料
KR20120095766A (ko) * 2011-02-21 2012-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20130136055A (ko) * 2012-06-04 2013-12-12 지정우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369684B1 (ko) * 2012-06-19 2014-03-04 지정우 상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3145A (ja) * 2008-06-03 2009-12-17 Deiigamu:Kk 衣料
KR20120095766A (ko) * 2011-02-21 2012-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20130136055A (ko) * 2012-06-04 2013-12-12 지정우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369684B1 (ko) * 2012-06-19 2014-03-04 지정우 상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4287B1 (ja) 腰痛体操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ー
KR100706631B1 (ko)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KR101064031B1 (ko) 체형교정용 바지
US8113911B1 (en) Maternity body support
JP2020169435A (ja) 大腿骨寛骨臼インピンジメントの症状を予防するための装具
EP0618788B1 (en) Dynamic postural stability splint
CN105615966A (zh) 用于治疗关节以在所述关节中进行力分布的设备
Gose et al. Iliotibial band tightness
CN110215322B (zh) 高弓足下肢矫正装具
KR101223912B1 (ko)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EP2571462B1 (en) Hip supporting device
KR102074586B1 (ko) 기능성 스포츠 팬티
KR101403169B1 (ko)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RU2131232C1 (ru) Комбинезон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детским церебральным параличом и больных с последствиями черепно-мозговой травмы
RU13021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движений в суставах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таза и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1369684B1 (ko) 상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JP2012046837A (ja)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半身用衣料
Godara Total knee replacement
Abdulmalik Case Study of a Patient after Partial Hip Replacement
CN108514710B (zh) 一种附着人体体表的压力弹簧装置
Bisaro Case Study of a Replacement Hemiarthroplasty due to a Periprosthetic Hip Fracture
KR100386481B1 (ko) 체형 교정용 신전 운동기
Tillotson et al. Examination of the hip for MRCS OSCE
Skjaanes Case Study of Physiotherapy Treatment of a Patient after total hip replacement
Stylianou Case Study of Physiotherapy Treatment of a Patient with the Diagnosis of Total Knee Replacement of the right kn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