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456B1 -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 Google Patents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456B1
KR102067456B1 KR1020190050303A KR20190050303A KR102067456B1 KR 102067456 B1 KR102067456 B1 KR 102067456B1 KR 1020190050303 A KR1020190050303 A KR 1020190050303A KR 20190050303 A KR20190050303 A KR 20190050303A KR 102067456 B1 KR102067456 B1 KR 10206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ery
flame
manufacturing
thixotropic
predetermined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득
Original Assignee
김용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득 filed Critical 김용득
Priority to KR102019005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1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for moulded articles undergoing a thermal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s, such as burning, afte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통과, 봉통과 연결되는 복수의 소성칸, 연돌 및 굴뚝으로 이루어진 도자기 소성용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있어서, 불꽃과 소성칸 내부에 재임된 도자기의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차단격판을 이용하여 불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조절하여 도자기 표면에 복수의 색깔과 불규칙한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Arrang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Vaobian Pottery}
본 발명은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자기를 소성하는 작업은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장작불을 이용한 장작가마가 사용되어 왔으며, 종래의 장작 가마는 봉통, 다수의 칸으로 연결되는 소성 칸과 끌목(초벌) 칸으로 나뉘어 굴뚝과 연결된다. 봉통은 전체 가마의 예열을 하는 곳으로써, 가마의 예열을 위해서는 도자기 소성온도의 차이에 따라 분청사기 8 내지 10시간, 청자 10 내지 12시간, 백자 14 내지 15시간 정도가 필요하며 소성시간은 가마의 크기 등에 따라 그 차이가 있다.
요변 도자기는 이러한 전통적인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소성할 때 간혹 탄생할 수 있다. 요변 도자기는 소성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했던 여러가지 변수로 인하여 일반적이지 않은 독특한 색깔과 문양을 나타내는 도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요변 도자기는 한 도자기에 환원작용과 산화작용이 복합적으로 함께 일어나 그 한 도자기에 나타나는 색깔이 두가지 이상일 수 있으며, 변화무쌍한 특별한 문양으로 발색될 수 있다. 보통은 소성할 때 소성 분위기를 환원 또는 산화로 설정하기 때문에, 한 도자기에 환원작용이나 산화작용 중 어느 하나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요변 도자기는 이와 같이 환원과 산화작용이 함께 일어나 독특한 문양과 다채로운 색상이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의도하여 제작할 수 없는 것이어서 다른 도자기에 비하여 그 작품성과 값어치를 높게 평가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독특하고 다채로운 문양과 색깔을 지닌 요변 도자기를 의도하여 생산할 수 있는 재임 방법을 발명하게 되어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요변 도자기에 관한 종래기술을 검색해 본 결과 요변 도자기 제조방법(특허 제 10-1280931호)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는 여러 번 유약을 시유하여 소성하는 방법을 통해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을 뿐, 본 발명과 같이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한 자연스러운 불꽃에 의해 요변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혀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한,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불꽃의 흐름을 조절하여 독특한 문양과 색깔이 표현되는 요변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는 재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봉통과, 봉통과 연결되는 복수의 소성칸, 연돌 및 굴뚝으로 이루어진 도자기 소성용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있어서, 불꽃과 소성칸 내부에 재임된 도자기의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차단격판을 이용하여 불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조절하여 도자기 표면에 복수의 색깔과 불규칙한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불꽃의 흐름을 조절하여 독특한 문양과 색깔이 표현되는 요변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자기 소성용 전통 장작가마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을 이용하지 않은 종래의 재임방법이 표현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차단격판이 배치된 모습이 표현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차단격판이 배치되었을 때의 불꽃의 행동 양상이 설명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도자기에 불꽃이 접촉함에 따라 색깔 및 무늬가 표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도자기의 몇가지 예의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따른 차단격판이 적용될 때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따른 차단격판이 측면에도 적용될 때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자기 소성용 전통 장작가마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을 이용하지 않은 종래의 재임방법이 표현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자기 소성용 전통 장작가마는 봉통(Y), 복수의 소성칸(X1, X2, X3), 복수의 소성칸 각각에 구비되는 출입구(50)를 포함할 수 있다.
봉통(Y)에 장작을 투입하여 불을 지피게 되면 봉통(Y)과 연결된 제1소성칸(X1)에 봉통(Y)과 제1소성칸(X1)사이에 형성되는 불의 통로인 화로를 통해 불꽃(1)이 미치게 된다. 이 때, 제1소성칸(X1)에 배치되어 있는 도자기가 이 불꽃(1)의 영향을 받아 소성되어 완제품으로 탄생한다. 이 때, 반드시 도자기가 제1소성칸(X1)에만 있는 것은 아니고, 제2소성칸(X2), 제3소성칸(X3)에도 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하나의 소성칸 내부에 도자기가 재임되는 구조와 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소성칸 내부에는 내화판(10) 및 지주(20)를 이용하여 도자기가 적재될 수 있도록 복수의 층을 가지는 적층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고, 각 층에 해당하는 내화판(10)의 상단에 도자기(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3단 구조물이 나란히 붙어 있는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조물의 크기와 층 수는 소성칸 내부의 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재임이란 이와 같이 소성을 위하여 소성칸 내부에 도자기(30)들을 배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자기(30)가 배치되면 불꽃이 도자기 전체에 미치게 되어 도자기가 균일하게 소성이 될 수 있다. 공기를 주입하면서(문을 열어놓고) 불을 지피는 것을 산화 소성이라 하고, 공기를 차단하고(문을 닫아놓고) 불을 지피는 것을 환원 소성이라 한다. 이와 같이 도자기(30)를 배치하고 소성하면 불꽃이 재임된 도자기 전체에 고루고루 미치게 되므로, 산화나 환원 중 선택된 소성분위기에 의한 색깔만 나타내는 도자기가 완성될 수 있다. 즉, 환원분위기를 선택하여 소성하는 경우, 도자기의 표면에 도포된 유약이 환원작용에 의해 발색되는 색깔이 예를 들어 노란색이면, 도자기가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띤 것으로 소성될 수 있다. 하나의 도자기만 보았을 때 도자기 전체적으로 노란빛을 띨 것이고, 열 개의 도자기가 재임된 것을 가정하여 열 개를 관찰하면 그 중 아홉 개 내지 열 개가 노란색을 띠게 될 수 있다. 또는, 불에 가깝게 배치되어 불이 직접 닿는 도자기들은 산화작용이 일어나고, 불에 멀리 배치된 도자기들은 환원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다.
가끔 열 개 중 하나 정도가 공기의 흐름이나 불의 흐름 등이 예상치 못하게 전개되어 표면의 일부는 환원작용에 의한 노란색이 표현되고 이에 더하여 산화작용에 의해 발색되는 예를 들어 파란색까지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것을 요변 도자기라 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도자기에 산화작용과 환원작용이 모두 일어나야 하므로 의도하여 제조할 수는 없는 것이고, 예상치 못하게 가끔 운이 좋아 생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차단격판이 배치된 모습이 표현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자기를 재임할 수 있는 적층 구조물의 정면에 차단격판(100)이 배치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은, 불꽃(1)을 마주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겠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전술한 운이 좋아 가끔 생산될 수 있는 요변 도자기를, 가마 소성할 때 마다 의도하여 생산할 수 있다. 즉, 종전에 비해 생산되는 빈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격판(100)은 불꽃(1)과 도자기의 사이에 복수개가 일정간격(S)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차단격판(100)은 내열성, 내화성을 지닌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내화판(1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환원분위기로 소성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차단격판(100)을 설치하면 차단격판(100)에 의해 불꽃(1)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부분은 환원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차단격판(100)과 차단격판(100)의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통해 불꽃(1)이 들어가 도자기(30)에 직접 닿으면, 그 불꽃(1)이 직접 닿은 부분은 산화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즉, 불꽃(1)이 차단격판(100)과 차단격판(100)의 사이의 틈을 통해 들어가 도자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거나 감싸는 등의 상황을 발생시켜 전체적으로 환원분위기로 소성하여 환원작용에 의한 색깔을 나타내되 불꽃(1)이 접촉한 부분만 산화작용으로 인한 색깔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도자기에 환원작용에 의한 색깔과 산화작용에 의한 색깔이 동시에 나타날 뿐만 아니라, 그 불꽃(1)이 접촉한 모양이나 시간 등에 따라서 독특한 무늬/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차단격판이 배치되었을 때의 불꽃의 행동 양상이 설명된 것이다.
차단격판(100)이 없는 경우 불이 전체적으로 도자기(30)에 미치게 되어 균일한 색깔을 띠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도4와 같이 차단격판(100)이 존재하는 경우 차단격판(100)에 의해 직접적으로 불꽃(1)이 닿지 않는 부분에 환원작용이 일어나고, 그 틈을 통해 들어와 불꽃(1)이 직접 닿는 부분은 산화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불꽃(1)은, 틈이 좁은 곳은 공기가 흐르는 속도가 빠른 원리'에 의하여 차단격판(100) 간 사이의 틈을 통해 순간적으로 통과되어 도자기(30)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할 수 있다. 아니면, 반드시 이러한 원리가 아니더라도, 차단격판(100)은 단순히 불꽃(1) 차단의 역할을 하여, 차단격판(100)에 의해 불꽃(1)이 차단되는 부분과 틈을 통해 불꽃(1)이 직접 닿는 부분이 발생하도록 하여 위와 같은 요변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도자기에 불꽃이 접촉함에 따라 색깔 및 무늬가 표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도자기의 몇가지 예의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자기에 불꽃이 접촉하여 그 작용에 따른 발색범위와 색깔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가마 내부는 환원분위기로 소성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불꽃은 기본적으로 완전 연소를 전제하므로 산화분위기를 갖는다. 따라서, 불꽃이 도자기의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 그 접촉한 부분은 유약이 산화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A구역은 산화작용을 하여 산화작용에 의한 색깔이 표현된다. A구역 중 a구역은 불꽃이 직접적으로 닿아 매우 온도가 높게 작용된 부분으로, 발색을 일으키는 구성요소가 증발해버려 백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불꽃이 접촉하지 않은 부분인 B구역은 가마 전체가 환원분위기로 소성되므로 환원작용에 의한 색깔이 표현된다.
본 발명은 산화구리(CuO)가 포함된 진사 유약을 도자기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산화구리(CuO)는 진사 유약에서 발색의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산화구리(CuO)는 환원분위기에서 소성하는 경우 적색 내지 자주색을 띠며 강한 환원분위기(일산화탄소(CO) 다량 유입)에서 소성하는 경우 흑적색 내지 흑색을 띠게 될 수 있다. 산화구리(CuO)는 산화분위기에서 소성하는 경우 녹색 내지 연한 녹색을 띠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불꽃이 직접 닿아 유약이 녹는 온도(1250℃)에 비해 높게 된 부분은 산화구리(CuO)가 증발되어 백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색깔들이 표현되고 불이 접촉한 모양 등에 따라 독특한 무늬/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다채로운 색깔과 독특한 문양을 가지는 요변 도자기는 두 번 다시 완전히 동일한 것을 제조할 수 없기에 그 가치는 더욱 높게 매겨질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따른 차단격판이 적용될 때의 정면도(a) 및 측면사시도(b)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따른 차단격판이 측면에도 적용될 때의 상부사시도(a) 및 측면사시도(b)이다.
도 7 (a)를 참조하면 차단격판(100)은 적어도 재임된 도자기의 정면에 적어도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자기 재임용 적층 구조물이 5단인 것으로 도시 되었고 이에 맞추어 차단격판(100)이 4개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반드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층 구조물과 차단격판(100)의 층 수와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격판(100)은 상단에 2개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그 하단에 2개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단과 하단의 각 2개의 차단격판(100)은 좌우로 일정 간격(S)을 두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단의 차단격판(100)과 하단의 차단격판(100)은 위의 일정 간격(S)보다 작은 간격(T)을 두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격판(100)은 도 7(b)에 표현된 바와 같이 도자기 재임용 적층 구조물 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여서 기대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단의 차단격판(100)들은 하단의 차단격판(100)에 인접한 내화판(10)중 가장 최상단의 내화판(10)을 정면 방향으로 돌출시켜 그 돌출된 내화판(10)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역시 구조적인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차단격판(100)은 도자기 재임용 적층 구조물의 양 측면에 적어도 2개가 상하로 일정 간격(T)을 두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정면에 배치되는 차단격판(100)들과 수직에 인접한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측면에 배치되는 차단격판(100)은 이에 인접하는 정면에 배치되는 차단격판(100)과 일정 간격(S)보다 크거나 작은 간격(S')을 두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격판(100)은 도 8(b)에 표현된 바와 같이 도자기 재임용 적층 구조물 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여서 기대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도 7(b)에서 언급한 정면에 배치되는 차단격판(1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이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측면에 배치되는 차단격판(100)은 도 8(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앞서 도 7에서 설명하였던 정면에 배치되는 차단격판(100)들 역시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불꽃이 흐르는 통로의 모양 등을 조절하여 또 색다른 문양/무늬 등을 나타내는 도자기를 제조할 것을 목적으로 이와 같이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격판(100)은 도자기의 정면, 후면, 좌우측면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배치되는 위치가 정면과 좌우측면에만, 정면과 좌측면에만, 정면과 우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그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봉통과, 봉통과 연결되는 복수의 소성칸, 연돌 및 굴뚝으로 이루어진 도자기 소성용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에 있어서,
    불꽃과 소성칸 내부에 재임된 도자기의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차단격판을 이용하여 불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조절하여 도자기 표면에 복수의 색깔과 불규칙한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차단격판은,
    불규칙한 불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복수개가 서로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틈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단격판에 의하여 일부 불꽃은 차단되고 나머지 불꽃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틈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격판 후면에 위치하는 도자기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도자기는 산화구리(CuO)를 포함하는 진사유약이 도포되고,
    상기 차단격판에 의하여 불꽃이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환원분위기에 의하여 적색 내지 흑적색을 나타내고,
    상기 복수의 차단격판 간 틈을 통하여 불꽃이 접촉한 부분은 산화분위기에 의하여 녹색을 나타내며,
    상기 복수의 차단격판 간 틈을 통하여 유입된 불꽃이 접촉한 부분은 직접 접촉부분과 그 인접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직접 접촉부분은 상기 산화구리가 증발됨에 의하여 백색을 나타내고, 상기 인접부분은 녹색을 나타내고,
    상기 차단격판은,
    상기 소성칸 내부에 재임된 도자기의 정면에 적어도 4개가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적어도 2개가 나란히 일정 간격(S)을 두어 배치되고 상단과 하단의 차단격판은 상기 일정 간격(S)보다 작은 일정 간격(T)을 두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격판은,
    양 측면에 적어도 2개가 상하로 일정 간격(T)를 두어 배치되되 정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4개의 차단격판과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차단격판은,
    상기 정면에 배치되는 차단격판과 상기 일정 간격(S)보다 크거나 작은 일정 간격(S')을 두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단격판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일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KR1020190050303A 2019-04-30 2019-04-30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KR10206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03A KR102067456B1 (ko) 2019-04-30 2019-04-30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03A KR102067456B1 (ko) 2019-04-30 2019-04-30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456B1 true KR102067456B1 (ko) 2020-01-17

Family

ID=6936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03A KR102067456B1 (ko) 2019-04-30 2019-04-30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40Y1 (ko) * 2002-07-04 2002-10-18 유니원기연(주) 도자기용 환원가마
JP2010006619A (ja) * 2008-06-24 2010-01-14 Hirai Hiromi 陶磁器の曜変加飾方法
KR20100122182A (ko) * 2009-05-12 2010-11-22 유길수 장작 가마
KR20170062941A (ko) * 2015-11-30 2017-06-08 홍유정 적색과 함께 푸른색을 발현하는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소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40Y1 (ko) * 2002-07-04 2002-10-18 유니원기연(주) 도자기용 환원가마
JP2010006619A (ja) * 2008-06-24 2010-01-14 Hirai Hiromi 陶磁器の曜変加飾方法
KR20100122182A (ko) * 2009-05-12 2010-11-22 유길수 장작 가마
KR20170062941A (ko) * 2015-11-30 2017-06-08 홍유정 적색과 함께 푸른색을 발현하는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소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456B1 (ko) 요변 도자기를 제조하는 재임방법
CN116410020B (zh) 滴釉仿绿珊瑚条纹釉陶瓷及其制备方法
KR100846146B1 (ko) 다채색 고강도 내열 세라믹 소지 조성물 및 이에 시유되는유약 조성물
US5924477A (en) Brick for heat exchangers
KR101450175B1 (ko) 변색 전통 전와류의 제조 방법
JPH0543335A (ja) セラミツク成形体の焼成方法及び焼成装置
KR100216414B1 (ko) 청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유약 등의 조성물
US1186490A (en) Saggar.
KR100415329B1 (ko) 석탄재를 이용한 벽돌 및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140005527U (ko) 이중 구조 가마
CN210319856U (zh) 一种渐变式滤光片及具有其的舞台灯
JPH0747505B2 (ja) セラミックス製品の焼成方法
KR950002335B1 (ko) 요업 건재품의 소성 방법
CN104909716A (zh) 坭兴陶的烧制方法
KR910015514A (ko) 원적외선 방사 바이오 세라믹스 결정유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2351514B (zh) 一种烧陶工艺及该工艺中使用的设备
US3230283A (en) Method of preparing tile surfaces
JP2007055874A (ja) 陶器の焼成方法
JPH03158696A (ja) 焼成炉
HRP940218A2 (en) Process to dry and fire tiles and means for its realization
JP2019086202A (ja) リジェネレイティブバーナ、工業炉及び焼成品の製造方法
KR920005599Y1 (ko) 요업제품(전통고급 본차이나 유약소성전용)의 열처리용 내화갑
KR20120139341A (ko) 이중구조 가마
TWM543961U (zh) 直倒焰式複合型柴燒窯
JPS63297274A (ja) 建築用焼成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