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469B1 -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469B1
KR102065469B1 KR1020170155899A KR20170155899A KR102065469B1 KR 102065469 B1 KR102065469 B1 KR 102065469B1 KR 1020170155899 A KR1020170155899 A KR 1020170155899A KR 20170155899 A KR20170155899 A KR 20170155899A KR 102065469 B1 KR102065469 B1 KR 10206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168A (ko
Inventor
박명원
유순식
한지영
이민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155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4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금목서의 뿌리, 가지, 잎, 꽃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HAVING ANTI-OXIDANT OR ANTI-INFLAMMATION}
본 발명은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반응이다.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에는 외상, 화상, 동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산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및 항체 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고,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염증 반응이 지속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일어나면 오히려 질환의 주요 병리현상(과민성 알러지 질환, 만성 염증 질환)으로 진행되어, 심각한 이상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는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이 관여하는데, 그 중 활성질소종(NOx)은 일부 혈압 조절 작용, 신경 전달 작용, 학습, 기억 등과 인체의 항상성 유지 역할을 하나, 관절염, 폐혈증, 조직이식거부반응, 자가면혁질환, 신경세포의 사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더욱 발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염증 완화 또는 산화질소 제거를 목적으로 비스테로이드계로 이부프로펜(Ibuprofen),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및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로는 프레드니솔린(Prednisolone) 및 덱사메타손(Dexmethasone)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물질들은 주 치료작용 외에 위장관 장애, 간 장애, 신장 장애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상기 인도메타신 등은 화장품에 적용이 어려우며, 실제 적용 농도에 제한이 있어 항염증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염증 반응 또는 여러 외부 요인에 의해 염증유발인자와 함께 자유기(free radical)가 생성되는데, 염증 반응 또는 여러 외부 요인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자유기(라디칼)의 생성과 소거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가 발생되어 염증, 노화 등 병리학적인 변화가 발생된다.
더 상세히, 호기성 생물체는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 대사를 진행하는데, 생체 내 산소가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O2 -(superoxide), NO·(nitric oxide), NO2·(nitrogen dioxide), OH·(hydroxyl), ROO·(proxyl), RO·(alkoxyl), NO3·(peroxynitrite), ABTS+ 등의 라디칼(radical) 같은 유해한 활성 산소종(active oxygen species)으로 변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생리적 장애를 일으킨다.
상기와 같은 활성 산소종은 세포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 반응을 일으키고 이러한 과산화 반응을 막는 것을 항산화(antioxidation) 작용이라 한다. 이러한 항산화 작용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천연 물질에 비해 경제적인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NDGA(Nordihydroguaiaretic acid)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합성 항산화제는 알러지 및 종양을 유발하고 열에 약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천연재료에서 얻어져 인체 내 부작용이 거의 없으면서도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Moncade S. et al, Pharmacol. Rev., 1991, 43, 109; Nature Medicine, 2001, 7, 1138; Mu, M. M., J.Endotoxic Res. 7, p341, 2001. (Rainsford KD., Subcell biochem., 42, pp3-27, 2007 Guruprasad P.Aithal.,Rheumatology., 7, pp139-150, 2011 Praveen P. N. Rao et al.,Pharmaceuticals., 3, pp1530-1549,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재료인 금목서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인체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면서도 우수한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특히, 금목서의 다양한 부위 중,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능이 현저히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목서(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금목서 추출물은 금목서의 뿌리, 가지, 잎, 꽃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위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금목서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금목서 추출물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과립제, 레모네이드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엑스제, 엘릭서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주정제, 캡슐제, 틴크제, 환제, 경피흡수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첩부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페이스트제제, 비수용성용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항상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금목서의 다양한 부위 중에서 잎 부분만을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항상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4의 금목서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NMR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조성물"로 간략하게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질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은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금목서(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상록 소교목이다. 이러한 금목서는 자라면 높이가 3 ~ 4m이며, 잎은 마주나 긴 타원상의 넓은 피침 모양이며, 빽빽하게 붙어있고, 잎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또한, 금목서의 꽃은 9월말 ~ 10월초 개화되며, 등확색으로 향기가 매우 좋다.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은 추출 용매를 이용한 금목서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금목서는 건조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은 금목서(추출부위)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금목서(추출부위)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조된 금목서(추출부위)를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초음파 처리가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이후에는 분획이 더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은 금목서의 뿌리, 가지, 잎, 꽃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추출 부위는 잎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은 추출 부위로 잎만을 포함할 때, 금목서의 뿌리, 가지, 꽃, 열매 등의 다른 부위의 추출물에 비해 세포 독성이 거의 없으면서도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은 금목서 잎의 추출물일 때, 그 중에서도 추출용매가 메탄올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금목서 추출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lipopolysaccharide)로 염증을 유도한 대식 세포에서 염증성 매개불질인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특히, 금목서 잎의 추출물은 금목서 뿌리, 가지, 꽃, 열매 등의 부위의 추출물 보다 매우 유의적으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금목서 추출물은 ABTS 라디칼 및 DPPH 라디칼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금목서 잎의 추출물은 금목서 뿌리, 가지, 꽃, 열매 등의 부위의 추출물 보다 매우 유의적으로 ABTS 라디칼 및 DPPH 라디칼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금목서 추출물을 0.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금목서 추출물을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금목서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미미하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금목서 추출물을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금목서 추출물 이외에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된 모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형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상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동물성유, 식물성유, 확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이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또는 클렌징 워터일 경우에는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칠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타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과립제, 레모네이드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엑스제, 엘릭서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주정제, 캡슐제, 틴크제, 환제, 경피흡수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첩부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크림제, 페이스트제제, 비수용성용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금목서 추출물 이외에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부형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레모네이트제, 엘릭서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강내,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욱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때, 비경구 경로로는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약학 조성물은 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의 비경구 경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외용제의 경우 1 일당 1.0 ~ 3.0 ml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도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5
건조된 금목서(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추출부위(1 kg, 표 1 참고)를 메탄올 5 kg과 혼합하여, 실온에서 2회 반복 초음파 추출한 다음, 이를 여과하였다. 이어서,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감압농축 후 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금목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추출부위 뿌리 가지 열매
추출용매 메탄올(100%)
실시예 6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금목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은목서(Osmanthus fragrans) 잎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 세포 독성 평가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RAW 264.7(마우스 유래 대식 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 우태아혈청), 100 IU/mL penicilin 및 100 ㎍/mL 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약 37 ℃로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공기 (95%)와 CO2 (5%)의 혼합기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RAW 264.7 세포주를 새로운 10% FBS(Fetal Bovine Serum, 우태아혈청), 100 IU/mL penicilin 및 100 ㎍/mL 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로 옮긴 후,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농도 별로(10, 25, 50 ㎍/ mL) 처리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약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상기에 따라 배양된 RAW 264.7 세포주의 생존율을 MTT[3-(4,5-dimethythiazol-2-yl)-2,5 -diphenyl terazolium bromid] 환원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MTT 환원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에 따라 배양된 RAW 264.7 세포주가 담긴 각 well에 약 5mg/mL 의 MTT 용액을 가하여 37 ℃에서 2 시간 추가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를 환원시켜 생성된 Formazan을 DMSO를 이용하여 용해시킨 다음 약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흡광도 측정시 공시료는 DMSO로 처리하였고, 세포의 생존율은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Cell viability (%) = [Abs. of sample / Abs. of control] × 100
Cell viability(%) 10 ㎍/mL 25 ㎍/mL 50 ㎍/mL
실시예 1(뿌리) 80.0±5.7 77.6±2.5 75.1±0.9
실시예 2(가지) 95.6±3.6 93.3±3.5 92.9±2.1
실시예 3(잎) 101±2.5 99.7±3.7 100.9±4.5
실시예 4(꽃) 98.3±2.1 100.6±1.6 100.2±2.6
실시예 5(열매) 82.0±1.1 76.4±1.5 71.2±3.0
실시예 6(잎/에탄올) 85.4±2.2 83.5±2.4 80.3±4.4
비교예 1(은목서/잎) 70.9±1.0 68.5±1.2 64.4±2.1
상기 표 2를 보면,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 중에서도 추출부위가 가지, 잎, 꽃일 때 세포 독성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능 평가
RAW 264.7 세포주를 배양한 다음, 세포를 1 X 105 cells/mL 로 희석하여 배양 용기에 이식하고 12 시간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농도별(10, 25, 50 ㎍/ mL)로 배양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어서, 약 1 시간 후에 100 mg/mL의 LPS를 처리하여 NO 생성을 유도하고 다시 24시간 후 NO 생성 저해활성을 Griess assay로 측정하여, 시료의 NO 생성 저해 활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통계처리 - 각 시험 물질에 대한 농도별 실험은 3개의 well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3개 측정값의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기 위해 대조값에서의 변동을 one-way ANOVA test에 의해 판정하였으며, P 값이 5% 미만인 경우 (p < 0.05)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NO generation (%) 10 ㎍/mL 25 ㎍/mL 50 ㎍/mL
실시예 1(뿌리) 101.4±2.0 95.3±1.4 71.1±2.0
실시예 2(가지) 103.5±1.2 111.0±0.7 57.3±2.5
실시예 3(잎) 2.7±10.2 2.4±8.8 2.1±8.8
실시예 4(꽃) 103.8±2.9 98.4±7.9 68.6±5.5
실시예 5(열매) 94.5±0.8 92.7±1.5 70.7±1.4
실시예 6(잎/에탄올) 75.9±2.0 54.1±2.8 34.1±1.1
비교예 1(은목서) 103.8±1.4 93.1±2.2 90.4±0.5
상기 표 3을 보면, 금목서 추출물이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 효과를 가지며, 그 중에서도 추출 부위가 잎인 경우에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금목서의 다양한 추출부위 중 금목서 잎을 이용한 추출물의 경우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능이 가장 우수하며, 그 중에서도 메탄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경우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금목서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ABTS 라디칼 활성 저해능
7 mM ABTS 용액과 2.45 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혼합하여 빛이 차단된 배양기에서 16시간 반응시켜 라디칼을 발생시켰다. 에탄올로 750 nm에서 흡광도가 0.7±0.02가 되도록 라디칼을 희석시킨 후, 900 μL ABTS 용액과 100 μL시료(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를 각각 혼합하고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16073561-pat00001
ABTS radical 소거능(%) 10 ㎍/mL 25 ㎍/mL 50 ㎍/mL
실시예 1(뿌리) 21.0±1.9 43.4±4.1 57.4±2.3
실시예 2(가지) 35.8±0.9 56.8±1.7 76.4±3.4
실시예 3(잎) 45.1±1.8 73.4±1.6 91.5±2.0
실시예 4(꽃) 21.8±0.5 45.5±1.1 66.8±1.4
실시예 5(열매) 20.1±1.1 40.5±1.6 55.7±1.1
실시예 6(잎/에탄올) 30.6±1.0 48.7±0.8 79.9±1.2
비교예 1(은목서) 15.6±0.8 25.8±1.1 42.9±0.9
상기 표 4를 보면, 금목서 추출물이 ABTS 라디칼의 억제 활성을 보이며, 그 중에서도 추출 부위가 잎인 경우에 ABTS 라디칼 억제 활성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목서 잎의 추출물 중에서도 메탄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경우 ABTS 라디칼 억제 활성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DPPH 라디칼 활성 저해능
전자공여능 측정은 Blois의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100 μL(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에 0.2 mM의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 50 μL 넣고 30분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10 ㎍/mL 25 ㎍/mL 50 ㎍/mL
실시예 1(뿌리) 6.6±1.7 16.1±2.5 21.1±2.8
실시예 2(가지) 10.4±0.8 19.2±4.1 36.9±0.8
실시예 3(잎) 12.1±1.6 28.8±0.9 56.5±1.2
실시예 4(꽃) 8.4±1.0 15.6±2.2 27.4±1.9
실시예 5(열매) 6.1±4.1 14.9±1.8 20.2±1.1
실시예 6(잎/에탄올) 9.5±1.1 19.4±0.8 41.8±1.4
비교예 1(은목서) 5.8±3.7 12.5±4.0 17.5±3.4
상기 표 5를 보면, 금목서 추출물이 DPPH 라디칼의 억제 활성을 보이며, 그 중에서도 추출 부위가 잎인 경우에 DPPH 라디칼 억제 활성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목서 잎의 추출물 중에서도 메탄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경우 DPPH 라디칼 억제 활성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3 및 4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금목서 추출물, 그 중에서도 금목서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 실시예 3의 금목서 잎 추출물의 구조동정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금목서 잎 추출물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증류수 순으로 분획한 다음, 에틸 아세에티트 분획물을 메탄올로 용매 분획함으로써, 화합물 1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NMR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의 분석 결과, 실시예 3에 따른 금목서 잎 추출물로부터 리그난의 일종인, 화합물 (+)-Phillygenin 이 분석되었다.
제형예
제형예 1 : 유연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체적으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프로펠러믹서(3000rpm)로 정제수에 분산하여 1%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소듐히알루로네이트를 제외한 원료 1 내지 8은 프로펠러믹서를 사용하여 수상 용해조에 500rpm으로 균일화시키고 75 ℃에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후,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1을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금목서 추출물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1 금목서 추출물 0.01
2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5
3 글리신 3.3
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5 1,3-부틸렌 글리콜 3.0
6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7 에탄올 5.0
8 항산화제 0.1
9 트리에탄올아민 0.1
10 EDTA 0.1
11 방부제 적량
12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구체적으로, 프로펠러믹서를 이용하여 카보머를 4000 rpm으로 분산하여 2 %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6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7 내지 14을 투입하여 75 ℃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그 다음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5 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금목서 추출물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양화장수 제조
성분 함량(중량%)
1 금목서 추출물 0.01
2 글리세린 7.0
3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4 미네랄 오일 4.0
5 트리옥타노인 1.0
6 스테아릭에씨드 1.0
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9 디메치콘 0.5
10 항산화제 0.3
11 트리에탄올아민 0.1
12 카보머 0.2
13 EDTA 0.1
14 방부제 적량
15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에센스의 조성은 하기 표 8과 같다. 구체적으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이즈는 각각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2000 rpm)로 분산하여 1 중량% 함유용액으로 준비하였다. 또한 카보머는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4000 rpm)로 분산하여 2 중량% 함유용액으로 준비하였다. 한편,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12를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고, 가온된 수상을 다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3 내지 15를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이에,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센스 제조
성분 함량(중량%)
1 금목서 추출물 0.01
2 글리세린 5.0
3 1,3-부틸렌 글리콜 2.0
4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5 카보머 1.0
6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7 글리신 3.0
8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9 히드록시에틸셀룰로이즈 0.2
10 에탄올 3.0
11 항산화제 0.3
12 트리에탄올아민 0.1
13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4 EDTA 0.1
15 방부제 적량
16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9와 같다. 구체적으로,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였다. 별도의 유상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6을 투입하여 80 ℃까지 가온 용해한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10 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금목서 추출물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림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금목서 추출물 0.01
2 1,3-부틸렌글리콜 3.0
3 글리세린 3.0
4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0
5 옥틸도데카놀 3.0
6 트리옥타노인 2.0
7 스테아릭에씨드 1.5
8 세토스테아릴알콜 2.0
9 폴리솔베이트60 1.5
1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11 디메치콘 3.0
12 항산화제 0.3
13 산탄검 0.2
14 트리에탄올아민 0.1
15 EDTA 0.1
16 방부제 적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팩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팩의 조성은 하기 표 10과 같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완전 용해시켜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금목서 추출물을 투입한 후,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팩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금목서 추출물 0.01
2 글리세린 7.0
3 1,3-부틸렌글리콜 3.0
4 스쿠알렌 3.0
5 디메치콘 3.0
6 소듐히알루로네이트 0.1
7 글리신 2.0
8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9 항산화제 0.3
10 트리에탄올아민 0.1
11 EDTA 0.1
12 방부제 적량
13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클렌징 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클렌징 폼의 조성은 하기 표 11과 같다.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클렌징 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렌징 폼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금목서 추출물 0.01
2 스테아린산 6.5
3 미리스틴산 28.0
4 자가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5 프로필렌 글리콜 5.0
6 농글리세린 10.0
7 수산화나트륨 7.0
8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 산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50 mg, 결정셀룰로오즈 2 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상기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예 8 :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5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예 9 :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캡슐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30 mg, 유청단백질 10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상기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예 10 : 주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사제는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100 mg, 주사용 증류수, pH 조절제를 혼합하여 2 ml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상기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형예 11. 연고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금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연고제의 조성은 하기 표 12와 같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고제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금목서 추출물 0.01
2 글리세린 8.0
3 1,3-부틸렌글리콜 4.0
4 유동 파라핀 15.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8 스쿠알란 1.0
9 세틸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1 세테아릴 알코올 1.0
12 방부제 적량
13 적량
14 색소 적량
15 정제수 잔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금목서(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금목서 추출물은 금목서의 잎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금목서 추출물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KR1020170155899A 2017-11-21 2017-11-21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6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99A KR102065469B1 (ko) 2017-11-21 2017-11-21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99A KR102065469B1 (ko) 2017-11-21 2017-11-21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168A KR20190058168A (ko) 2019-05-29
KR102065469B1 true KR102065469B1 (ko) 2020-01-13

Family

ID=6667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899A KR102065469B1 (ko) 2017-11-21 2017-11-21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074B1 (ko) * 2018-09-07 2020-07-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목서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184772A (zh) * 2020-02-04 2020-05-22 成都华西珐玛生物科技有限公司 桂花花提取物在制备防治湿疹药物中的应用
KR102318606B1 (ko) * 2021-03-31 2021-10-29 주식회사 뉴앤뉴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966A1 (fr) * 2001-10-09 2003-04-24 Fancl Corporation Compositions destinees a potentialiser le glutath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연수호 등,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 2014, pp.209-2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168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617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US2008008533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Aralia Elata,and Use Thereof
KR10214293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065469B1 (ko)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80106755A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239784B1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167589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089471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37144B1 (ko) 피라칸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0466862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130123490A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9541A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20170000068A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0903B1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US20190192413A1 (en) Skin anti-aging composition containing dehydrogenated abietic acid and compound 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