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588B1 -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588B1
KR101419588B1 KR1020120068508A KR20120068508A KR101419588B1 KR 101419588 B1 KR101419588 B1 KR 101419588B1 KR 1020120068508 A KR1020120068508 A KR 1020120068508A KR 20120068508 A KR20120068508 A KR 20120068508A KR 101419588 B1 KR101419588 B1 KR 10141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oil
skin
ginseng o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882A (ko
Inventor
박용운
임영호
박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2006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5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분리한 지용성 성분인 홍삼 오일은 피부 수분보유량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mprising Ginseng Oil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 즉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운반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고 피부의 노화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피부의 노화는 또한 피부 구성성분의 전체적인 악화를 수반하여, 결과적으로 피부가 쉽게 갈라지게 된다. 즉,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화장품에 함유되어 있는 보습제로 다가 알코올류, 수용성 고분자, 유기산염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보습제로 유성을 띄면서 피부 표면의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밀폐성분(occlusive ingredient)과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보습성분인 휴멕턴트(humectant)을 사용하여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멕턴트로는 폴리올류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물질이 있고, 상기 밀폐성분으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이나 필수 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휴멕턴트는 피부에 도포시 폴리올의 고유 점성과 물성으로 인하여 끈적임이 심하거나 눅진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고, 상기 밀폐성분들은 유화 제형에서 유화 계면막의 구조를 교란하여 안정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고 투명한 젤 상의 제품을 제조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라멜라 액정을 함유한 제형들은 피부 각질 구조와 유사한 장점으로 수분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료들의 특정 조성에서만 가능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천연 유래 생리 활성 물질을 화장료에 도입하여 피부 자체의 고유 방어 기능을 유지시킴으로써 보습력을 증강시키는 화장료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들은 대부분 그 효능이 미진하거나, 다량 또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의 위험이 있으며,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홍삼에는 사포닌계 성분과 비사포닌 계열의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상기 사포닌계 성분은 주름 및 탄력개선 등의 노화방지 및 억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비사포닌계열의 홍삼 오일 성분의 피부 효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생리 활성 물질들을 함유한 홍삼에 있어서,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하여 보고된 바 없는 비사포닌계 성분 중 부작용이 적고 안정한 피부 보습용 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0234;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87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피부"는 인체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몸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가장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홍삼은 수삼, 바람직하게는 6년근을 정선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홍삼은 특수 가공기술로 증숙, 건조시키는 과정 중에 우리 몸에 유익한 항암성분(진세노사이드 Rh2), 암세포 독소 활성 억제성분(파낙사트리올), 혈소판 응집 억제성분(말톨), 비만 억제 성분 등 여러 생리활성 성분들이 생성되며, 미량의 정유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홍삼은 통상적인 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이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홍삼박 분말은 홍삼으로부터 엑스를 추출하고 얻은 홍삼박을 물로 세척한 다음 열풍건조하여 분말로 분쇄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홍삼 오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실온추출, 가온추출, 초음파추출, 초임계추출 등의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고, 홍삼으로부터 지용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로는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헥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약 1 ㎏ 내외의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에 비극성 용매 60 ㎖ 내지 1 ℓ를 첨가하여 4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65℃에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고, 추가로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며, 주성분으로 유지, 식물성스테롤, 인지질 및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 중량부의 유지, 0.1 내지 15.0 중량부의 식물성스테롤, 0.1 내지 10.0 중량부의 인지질, 및 0.1 내지 5.0 중량부의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홍삼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9.9 중량%(w/v)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w/v)이다. 상기 홍삼 오일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서 생산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홍삼 오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홍삼 오일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젤, 에멀젼, 바디 세정제, 염모제, 샴푸 또는 린스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류 1.0 내지 10.0 중량%, 및 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 0.0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홍삼오일 이외에 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과 같은 오일류 5.0 내지 20.0 중량%, 및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의 왁스성분 3.0 내지 15.0 중량%를 함유하고, 에센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 다가알콜류 5.0 내지 30.0 중량%를 함유한다. 마사지크림은 홍삼 오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을 30.0 내지 70.0 중량%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폴리비닐알콜을 5.0 내지 20.0 중량% 함유하는 필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0 내지 30.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정제수 등을 배합 성분으로서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고자, 피검자의 피부에 본 발명의 홍삼 오일 및 대조군으로서 마카더미아 오일을 각각 도포하고 피부 수분보유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 오일은 상기 대조군에 비해 피부 수분보유량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기존의 보습제로 사용되는 마카더미아 오일 보다 피부 보습 효과가 더욱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표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피부 수분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피부 보습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의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극성 용매로는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이다.
이와 같이 추출한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주성분으로 유지, 식물성스테롤, 인지질 및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90.0 중량부의 유지, 0.1 내지 15.0 중량부의 식물성스테롤, 0.1 내지 10.0 중량부의 인지질, 및 0.1 내지 5.0 중량부의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9.9 중량%(w/v)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w/v)이다. 상기 홍삼 오일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되고,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병소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홍삼 오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피부 외용 연고제는 홍삼 오일 이외에 바셀린 50.0 내지 97.0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 내지 5.0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약 0.01 내지 1,500 ㎎의 단위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1 내지 500 ㎎ 범위가 보통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은 피부 수분보유량을 높게 유지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가 탁월하여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홍삼오일은 피부에 수분보유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피부 보습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 보습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홍삼 분말을 이용한 홍삼 오일의 제조
홍삼 분말 1 ㎏에 헥산 60 ㎖을 넣고, 65℃에서 60분간 환류시켜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감압하에서 헥산을 제거하여 검붉은색의 홍삼 오일을 얻었다.
< 실시예 2> 홍삼박을 이용한 홍삼 오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홍삼 오일을 제조하되, 홍삼 분말 대신 홍삼박 분말을 사용하여 홍삼 오일을 얻었다.
< 실시예 3> 홍삼 오일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홍삼 오일의 성분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홍삼 오일은 유지 성분이 81% 이상을 차지하였고, 그 밖에 식물성스테롤, 인지질, 폴리아세틸렌 및 기타 성분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하였다(표 1).
중량% 유지 식물성스테롤 인지질 폴리아세틸렌 기타
실시예 1 81.64 10.08 5.15 0.59 2.54
실시예 2 81.59 9.62 5.46 0.61 2.72
< 실험예 1> 홍삼 오일의 피부 보습 효능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홍삼 오일의 피부보습에 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피부 수분보유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보유량은 정상적인 피부상태에서의 피부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피검자의 측정부위를 70%에탄올로 세척한 다음, 홍삼 오일 또는 마카더미아 오일 0.1 g/㎠를 수술용 장갑에 정밀하게 재고 측정부위에 도포하였다. 피검자의 수분보유량은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 825, C + K, Germany)를 이용하여 30분 간격으로 총 5시간 동안 평가하였다. 홍삼 오일의 피부 보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보습용 화장품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카더미아 오일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홍삼 오일은 기존에 보습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진 마카더미아오일과 비교하여 약 20% 이상 더욱 효과적인 피부 보습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시간 수분보유량(%)
마카더미아 오일 실시예 2
0분 40 42
30분 194 232
60분 180 220
90분 176 218
120분 155 198
150분 157 181
180분 158 189
210분 156 173
240분 128 175
270분 140 164
300분 134 162
< 제조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1> 유연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는 하기 [표 3]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홍삼 오일 10.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1-2> 영양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크림은 하기 [표 4]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홍삼 오일 10.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1-3> 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을 하기 [표 5]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스테아린산 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스쿠알렌 4.8
마카다이아오일 2
호호바오일 2
초산토코페롤 0.4
메칠폴리실록산 0.2
에칠파라벤 0.1
초산토코페롤 0.4
메칠폴리실록산 0.2
에칠파라벤 0.1
프로필파라벤 0.1
1,3-부칠렌글리콜 4
메칠파라벤 0.1
산탄검 0.1
글리세린 4
d-판데놀 0.15
알란토인 0.1
<실시예 2>의 홍삼 오일 3.5
카르보머(2% aq. Sol) 4
트리에탄올아민 0.15
에탄올 3
pt 41891 0.1
p-H20 48.3
< 제조예 2>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2-1> 피부 외용 연고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외용 연고를 하기 [표 6]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정제수 10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1>의 홍삼 오일 2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밀납 4.0
<2-2> 피부 외용 패취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외용 패취를 하기 [표 7]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2>의 홍삼 오일 10.0
헥실렌글리콜 20.0
디에틸아민 0.7
폴리아크릴산 1.0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0=9) 1.0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1.0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3.0
탈이온수 70
<2-3> 산제의 제조
<실시예 2>의 홍삼 오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4> 정제의 제조
<실시예 2>의 홍삼 오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5>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홍삼 오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6> 환의 제조
<실시예 1>의 홍삼 오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2-7> 과립의 제조
<실시예 2>의 홍삼 오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Claims (11)

  1. 비극성 용매로 추출되는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오일은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오일은 유지, 식물성스테롤, 인지질 및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젤, 에멀젼 및 바디 세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비극성 용매로 추출되는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홍삼 오일은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홍삼 오일은 유지, 식물성스테롤, 인지질 및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20068508A 2012-06-26 2012-06-26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41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508A KR101419588B1 (ko) 2012-06-26 2012-06-26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508A KR101419588B1 (ko) 2012-06-26 2012-06-26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82A KR20140000882A (ko) 2014-01-06
KR101419588B1 true KR101419588B1 (ko) 2014-07-14

Family

ID=5013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508A KR101419588B1 (ko) 2012-06-26 2012-06-26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10B1 (ko) 2016-08-29 2017-04-07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4300B1 (ko) * 2017-12-05 2019-06-28 소재원 흑마늘 성분이 함유된 필오프형 연고제 조성물
KR102039094B1 (ko) 2018-08-02 2019-11-01 (주)정진호이펙트 천연물 추출물 또는 단당류를 이용한 피부 보습 개선용 조성물
KR102349310B1 (ko) * 2019-10-23 2022-01-1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369A (ko) * 2006-12-18 2008-06-23 (주) 정수엔지니어링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369A (ko) * 2006-12-18 2008-06-23 (주) 정수엔지니어링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82A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3621A (zh) 包含铁皮石斛花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U200529640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Aralia elata, and use thereof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88912A (ko) 텐저레틴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063855A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26399B1 (ko) 보검 선인장 열매 추출물과 판테놀, 히알루론산 및 베타인의 복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40675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02355B1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 재생용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3660833B2 (ja) 血行促進剤
JP3987733B2 (ja) 線維芽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
KR101063147B1 (ko) 진세노사이드 Ro(ginsenoside Ro)를함유하는 조성물
KR20170000068A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2142931B1 (ko) 붉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