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776B1 -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776B1
KR102057776B1 KR1020180045892A KR20180045892A KR102057776B1 KR 102057776 B1 KR102057776 B1 KR 102057776B1 KR 1020180045892 A KR1020180045892 A KR 1020180045892A KR 20180045892 A KR20180045892 A KR 20180045892A KR 102057776 B1 KR102057776 B1 KR 10205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ox
blower
unit
dri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721A (ko
Inventor
요시히로 마츠이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 및 당해 상자 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 및 송풍부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송풍부가 흡기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구동 장치(10)는 흡기구(26A) 및 배기구(24A)가 형성되어 있는 상자(20)와, 상자(20) 내에 배치되어, 구동 대상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40)와, 상자(20) 내에 있어서의 상자(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며, 구동부(40)와 흡기구(26A)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고, 흡기구(26A)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구동부(40)로 보내는 송풍부(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구동 장치{DRIVE DEVICE}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전자 회로가 실장된 전자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특허문헌 1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 하부에 흡입구와, 배면 상부에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과, 전방면 하부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팬 유닛과, 상기 팬 유닛과 배면 상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팬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로부터 외기를 흡입하고, 상기 전자 회로의 사이를 통과한 공기 흐름을 상기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63480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자 기기의 경우, 팬 유닛이 전방면 하부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는 만큼의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자 및 당해 상자 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 및 송풍부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송풍부가 흡기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동 장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자와, 상기 상자 내에 배치되어, 구동 대상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상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상자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흡기구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구동부로 보내는 송풍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동 장치는, 상자 및 당해 상자 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 및 송풍부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송풍부가 흡기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구동 장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자와, 상기 상자 내에 배치되어, 구동 대상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상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상자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흡기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구동부로 보내는 송풍부와, 상기 상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송풍부와 상기 흡기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와 함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동작 시에 상기 구동부보다도 발열량이 낮은 저발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구동 장치는, 상자 및 당해 상자 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 송풍부 및 상기 구동부보다도 발열량이 낮은 저발열부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구동부의 냉각 효율을 높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구동 장치는, 또한, 상기 구동부는, 한쪽 면에 구동 소자가 실장된 실장 기판으로 되어 있고, 상기 실장 기판의 다른 쪽 면에 고정되어, 동작 시에 상기 실장 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와, 상기 송풍부측과 상기 배기구측을 개구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장 기판과 함께 상기 방열부를 둘러싸는 포위 벽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구동 장치는, 포위 벽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구동부의 냉각 효율이 높다.
본 발명의 제4 구동 장치는, 또한, 상기 실장 기판과 상기 포위 벽으로 형성되는 상기 배기구측의 개구와, 상기 배기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구측의 개구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안내판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구동 장치는, 안내판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배기 효율이 높다.
본 발명의 제5 구동 장치는, 또한, 상기 상자는, 상기 송풍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벽을 갖고, 상기 제2 측벽에는, 상기 제2 측벽측에서 보아서, 상기 흡기구와 상기 송풍부의 사이에 개구되어 있는 다른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구동 장치는, 제2 측벽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와 상기 송풍부의 사이에 개구되어 있는 다른 흡기구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흡기량이 많다. 이에 따라, 구동부의 냉각 효율이 높다.
본 발명의 제6 구동 장치는, 또한, 상기 송풍부와 상기 흡기구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에 배치되고, 상기 다른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부로 유도하는 유도판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6 구동 장치는, 안내판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포위 벽과 실장 기판에 둘러싸이는 부분 내로 유도되는 공기량이 많다. 이에 따라, 구동부의 냉각 효율이 높다.
본 발명의 제7 구동 장치는, 추가로, 상기 상자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송풍부에 공급되는 전력의 입력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저발열부는,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릴레이 회로부와, 상기 외부 전원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를 갖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릴레이 회로부보다도 상기 입력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 구동 장치는, 릴레이 회로부가 콘덴서보다도 구동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콘덴서와 구동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구동부에의 전력의 공급 안정성이 높다.
본 발명의 제8 구동 장치는, 또한, 상기 구동부는, 한쪽 면에 구동 소자가 실장된 실장 기판으로 되고, 상기 상자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 면이 향하고 있는 부분은, 상자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판의 일부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 구동 장치는, 실장 기판 또는 당해 실장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부품의 메인터넌스 등을 행하는 경우에, 실장 기판 및 복수의 전자 부품에 대한 작업성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상자 및 당해 상자 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 및 송풍부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송풍부가 흡기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를 도 1의 경우와 상이한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 측면도이며,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프론트 패널을 하우징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4-4 절단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5-5 절단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 측면도이며,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측면측의 패널을 하우징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 측면도이며,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측면측의 패널을 하우징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제7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 측면도이며,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측면측의 패널을 하우징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개요≫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구동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를 사용한 제어 대상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구동 장치(10)의 깊이 방향을 화살표 X, 폭 방향을 화살표 Y, 높이 방향을 화살표 Z라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구동 장치(10)의 측면도(우측면도)이며, 구동 장치(10)를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A에서 본 경우의 도면에 상당한다.
≪구성≫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모터(구동 대상의 일례, 도시 생략)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상자의 일례)과, 팬(30)(송풍부의 일례)과, 실장 기판(40)(구동부의 일례)과, 유로부(50)와, 안내판(60)과, 전자 부품부(70)(저 발열부의 일례)와, 유도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 실시 형태의 하우징(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6장의 판으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팬(30)과, 실장 기판(40)과, 유로부(50)와, 안내판(60)과, 전자 부품부(70)(저 발열부의 일례)와, 유도판(80)을 배치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부호(26)로 도시되는 판을 프론트 패널(26)(제1 측벽의 일례), 하우징(20)을 프론트 패널(26)측에서 본 경우의 우측면측의 판을 우측 사이드 패널(22)(제2 측벽의 일례), 프론트 패널(26)에 대향하는 판을 백 패널(24)이라고 한다.
여기서, 하우징(20)을 우측면측에서 본 경우, 우측 사이드 패널(22)의 좌측(프론트 패널(26)측)의 부분에는, 복수의 개구(이하, 흡기구(22A)라고 한다. 흡기구(22A)는, 다른 흡기구의 일례이다.)가 형성되어 있다. 백 패널(24)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른 긴 형상의 개구(이하, 배기구(24A)라고 함)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26)에는, 복수의 개구(이하, 흡기구(26A)라고 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흡기구(22A), 배기구(24A) 및 각 흡기구(26A)는, 일례로서, 각각 슬릿 형상의 개구로 되어 있다. 백 패널(24)의 하측 부분에는, 외부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팬(30), 실장 기판(40) 및 전자 부품부(70)에 공급되는 전력을 수취하기 위한 입력 단자(24B)(입력부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우측 사이드 패널(22)은 일례로서, 하우징 본체(하우징(20)로부터 우측 사이드 패널(22)을 제외했던 부분)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팬>
본 실시 형태의 팬(30)은 복수의 흡기구(22A) 및 복수의 흡기구(26A)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실장 기판(40)으로 보내고, 동작 시에 발열하는 실장 기판(40)을 냉각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팬(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되어 있고, 높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팬(30)은 동작 시에 있어서, 프론트 패널(26)측으로부터 백 패널(24)측에 공기를 흘리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파선의 화살표는, 각 팬(30)의 동작에 의해 하우징(20) 내를 흐르는 공기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팬(30)은 일례로서, 하우징(20)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의 중앙 부근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별도의 관점으로 보면, 본 실시 형태의 각 팬(30)은 하우징(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에서는, 실장 기판(40), 유로부(50), 안내판(60) 및 유도판(80)의 각 수량이 팬(30)의 수량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팬(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실장 기판(40), 각 유로부(50), 각 안내판(60) 및 각 유도판(80)과 함께,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도 3에서는, 각 유닛 중, 장치 높이 방향의 맨위 유닛에만 부호를 붙이고 있다. 각 팬(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을 우측면측에서 보아, 각 실장 기판(40)보다도 프론트 패널(26)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각 팬(30)은 각 실장 기판(40)과 프론트 패널(26)(복수의 흡기구(26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을 우측면측에서 본 경우, 우측 사이드 패널(2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흡기구(22A)는, 각 팬(30)보다도 프론트 패널(26)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팬(30)은 동작 시에 있어서, 프론트 패널(26)측으로부터 백 패널(24)측에 공기를 흘리게 되어 있다는 점에서, 각 팬(30)은 동작 시에 있어서, 복수의 흡기구(22A) 및 복수의 흡기구(26A)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각 실장 기판(40)으로 보내게 되어 있다. 또한, 팬(30)에 의해 실장 기판(40)으로 보내진 공기는, 백 패널(24)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24A)(도 2 및 도 3 참조)로부터 하우징(20)의 외부로 배기되게 되어 있다.
<실장 기판>
본 실시 형태의 각 실장 기판(40)은 모터(도시 생략)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 실장 기판(40)은 일례로서, 프린트 기판(42)과, 드라이버(44)(구동 소자의 일례)와, 드라이버(44) 이외의 전자 부품(46)(일례로서, 콘덴서, 저항, 증폭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버(44)와, 전자 부품(46)은, 프린트 기판(42)의 한쪽 면(이하, 실장면(42A)이라고 함)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각 실장면(42A)은, 일례로서, 우측 사이드 패널(22)의 내면을 향하고 있다. 또한, 각 실장 기판(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에 우측면측에서 보아서 직사각형의 판(48)을 갖고 있다. 직사각형의 판(48)에 있어서의 이면측에는, 전자 부품(도시 생략)이 실장되어 있다.
<유로부>
본 실시 형태의 각 유로부(50)는 각 실장 기판(40)과 함께, 팬(30)에 의해 각 실장 기판(40)측으로 보내지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로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실장 기판(40)에 있어서의 실장면(42A)의 반대측의 면(이하, 이면(42B)이라고 함)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52)(방열부의 일례)와, 포위 벽(5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히트 싱크(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각 실장 기판(40)의 이면(42B)에 고정되어 있고, 동작 시에 각 실장 기판(4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히트 싱크(5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장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각 실장 기판(40)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에 걸쳐, 또한, 정면측에서 보아 장치 폭 방향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판(52A)을, 장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배열한 부재로 되어 있다.
포위 벽(5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 기판(40)과 함께 히트 싱크(52)를 둘러싸고 있다. 또한, 포위 벽(54)과, 실장 기판(40)은, 장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팬(30)이 배치되어 있는 측과 그 반대측(배기구(24A) 측)을 개구시킨 상태에서, 히트 싱크(52)를 둘러싸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위 벽(54)과 실장 기판(40)으로 형성하고 있는 개구의 개구 폭은 팬(30)의 폭보다도 크고, 당해 개구의 개구 모서리는 팬(30)보다도 장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유로부(50)(히트 싱크(52) 및 포위 벽(54))는 팬(30)으로부터 보내지는 공기에 히트 싱크(52)로부터 실장 기판(40)의 열을 방열시키게 되어 있다.
<안내판>
본 실시 형태의 안내판(60)은 실장 기판(40)과 포위 벽(54)으로 형성되는 배기구(24A) 측의 개구와 배기구(24A)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기구(24A) 측의 개구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배기구(24A)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안내판(60)은 일례로서, 평판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를 배기구(24A)로 안내하는 」이란, 공기 흐름을 배기구(24A)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 부품부>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부품부(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 내에 있어서의 팬(30)과 흡기구(26A)의 사이에 배치되고, 실장 기판(40)과 함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동작 시에 실장 기판(40)보다도 발열량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전자 부품부(70)은, 일례로서, 릴레이 회로부(72)와, 콘덴서(74)를 갖고 있다.
릴레이 회로부(72)는 실장 기판(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로 되어 있다. 콘덴서(74)는 한쪽 단자(도시 생략)가 그라운드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자(도시 생략)가 외부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출력을 정류한 직류 전압에 접속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콘덴서(74)는 외부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외부 전원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이란,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출력을 정류한 직류 전압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콘덴서(7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회로부(72)보다도 장치 깊이 방향에 있어서 팬(30)측(입력 단자(24B)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외부 전원은, 일례로서, 삼상 전원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라운드란, 시그널 그라운드를 의미하고, 전압 0(V)로 되어 있다.
<유도판>
본 실시 형태의 유도판(8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팬(30)과 흡기구(26A)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팬(30)과 콘덴서(7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도판(80)은 우측 사이드 패널(22)에 형성되어 있는 흡기구(2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팬(30)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유도판(80)은 일례로서, 평판으로 되어 있다. 유도판(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 기판(40)에 있어서의 장치 깊이 방향 전방측에서 실장 기판(40)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를 팬(30)으로 유도하는」이란, 공기 흐름을 배기구(24A)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다.
≪제어 동작≫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를 사용한 모터(도시 생략)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오퍼레이터가 구동 장치(10)의 입력 단자(24B)(도 2 내지 도 4 참조)에 외부 전원(도시 생략)을 접속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팬(30), 실장 기판(40) 및 전자 부품부(70)에 전력을 공급시킨다. 이어서, 오퍼레이터가 구동 장치(10)에 마련되어 있는 작동 스위치(도시 생략)을 켠다(온으로 함). 또한, 오퍼레이터가 구동 장치(10)에 마련되어 있는 패널(도시 생략)에 출력 조건을 입력한다. 그 결과, 구동 장치(10)는 당해 출력 조건에 따라, 릴레이 회로부(72) 및 실장 기판(40)을 작동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실장 기판(40)으로부터 모터(도시 생략)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가 모터에 출력된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구동 장치(10)에 마련되어 있는 작동 스위치(도시 생략)을 켜면, 팬(30)이 작동한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흡기구(26A) 및 복수의 흡기구(22A)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포위 벽(54)과 실장 기판(40)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통과하여, 배기구(24A)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작동 스위치를 오프로 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이 정지되어서, 본 실시 형태의 모터 제어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를 사용한 모터의 제어 동작의 설명이다.
≪효과≫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효과(제1 내지 제8 효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하는 비교 형태와 비교할 때, 당해 비교 형태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제1 효과>
제1 효과는, 팬(30)이 하우징(20) 내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며, 실장 기판(40)과 흡기구(26A)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3 및 도 4 참조)의 효과이다. 제1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를 도 6에 도시하는 제1 비교 형태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1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1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30)이 흡기구(26A)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팬(30)이 흡기구(26A)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지 않다. 게다가, 제1 비교 형태에서는, 팬(30), 전자 부품부(70), 실장 기판(40)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제1 비교 형태는, 상기 점 이외에,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비교 형태의 경우, 팬(30)이 흡기구(26A)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그 만큼(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만큼)의 압력 손실이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30)이 하우징(20) 내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며, 실장 기판(40)과 흡기구(26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팬(30)이 흡기구(26A)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비교 형태의 경우에 발생하는 팬(30)이 흡기구(26A)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만큼의 압력 손실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제1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10A)에 비하여,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효과>
제2 효과는, 하우징(20) 및 하우징(2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실장 기판(40), 팬(30) 및 실장 기판(40)보다도 발열량이 낮은 전자 부품부(70)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팬(30)을 사이에 두고 흡기구(26A) 측에 전자 부품부(70)가 배치되고, 배기구(24A) 측에 실장 기판(4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의 효과이다. 제2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를 도 7에 도시되는 제2 비교 형태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2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10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도 3 참조)와 상이하고, 실장 기판(40)과, 전자 부품부(70)의 배치가 역으로 되어 있다. 제2 비교 형태는, 상기 점 이외에,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비교 형태의 경우, 장치 깊이 방향에 있어서, 팬(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부품 가운데 발열량이 큰 부품(실장 기판(40))이 배기구(24A)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실장 기판(40)에 접촉하여 가열된 공기의 일부가 배기구(24A)에 도달하지 않고 하우징(20) 내에 남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깊이 방향에 있어서, 팬(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부품 가운데 발열량이 큰 부품(실장 기판(40))이 배기구(24A)로부터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2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실장 기판(40)에 접촉되어 가열된 공기의 일부가 배기구(24A)에 도달하지 않고 하우징(20) 내에 남는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제2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10B)에 비하여, 실장 기판(40)의 냉각 효율이 높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를 제1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10A)와 비교하면, 압력 손실을 저감하였다는 점에서, 스페이스(팬(30)과 흡기구(26A)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상기 이유에 기초하여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실장 기판(40)의 냉각 효율을 높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20) 내의 스페이스 유효 활용을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제3 효과>
제3 효과는,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가 실장 기판(40)의 이면(42B)에 고정되어 있는 히트 싱크(52)와, 팬(30)측과 배기구(24A) 측을 개구시킨 상태에서, 실장 기판(40)과 함께 히트 싱크(52)을 둘러싸는 포위 벽(5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의 효과이다. 제3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를 제3 비교 형태(도시 생략)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3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도시 생략)는 히트 싱크(52)와, 포위 벽(54)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3 비교 형태는, 상기 점 이외에는,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 비교 형태의 경우, 포위 벽(54)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팬(30)으로부터 보내진 공기가 하우징(20) 내에서 확산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포위 벽(54)을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팬(30)으로부터 보내진 공기는, 제3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공기의 확산을 억제하는 점에서, 포위 벽(54)과 실장 기판(40)으로 둘러싸인 부분(소위 덕트의 부분)을 통과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덕트의 부분 내에 배치되어 있는 히트 싱크(52)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3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실장 기판(40)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당해 덕트의 부분 내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제3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실장 기판(40)의 냉각 효율이 높다.
<제4 효과>
제4 효과는,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가 실장 기판(40)과 포위 벽(54)으로 형성되는 배기구(24A) 측의 개구와 배기구(24A)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기구(24A) 측의 개구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배기구(24A)로 안내하는 안내판(60)(도 3 및 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는 것의 효과이다. 제4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를 제4 비교 형태(도시 생략)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4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도시 생략)는 안내판(60)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4 비교 형태는, 상기 점 이외에,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4 비교 형태의 경우, 안내판(60)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포위 벽(54)과 실장 기판(40)으로 형성되는 덕트의 배기구(24A) 측의 개구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배기구(24A)에 도달하지 못하고 하우징(20) 내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60)을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포위 벽(54)과 실장 기판(40)으로 형성되는 덕트의 배기구(24A) 측의 개구로부터 송출된 공기는, 제4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배기구(24A)로 안내되기 쉽다(보다 많이 배기구(24A)에 도달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제4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배기 효율이 높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포위 벽(54)과 실장 기판(40)으로 둘러싸는 부분(덕트의 부분)내의 공기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당해 유속이 큰 만큼, 실장 기판(40)의 냉각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제5 효과>
제5 효과는, 흡기구(26A)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패널(26)에 인접하는 우측 사이드 패널(22)에 흡기구(2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의 효과이다. 제5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를 제5 비교 형태(도시 생략)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5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도시 생략)는 우측 사이드 패널(22)에 흡기구(22A)가 형성되지 않다. 제5 비교 형태는, 상기 점 이외에,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제5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흡기량이 많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흡기량이 많은 만큼, 실장 기판(40)의 냉각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제6 효과>
제6 효과는, 우측 사이드 패널(22)에 흡기구(2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팬(30)과 흡기구(26A)의 사이에 배치되고, 흡기구(2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팬(30)으로 유도하는 유도판(80)(도 3 및 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는 것의 효과이다. 제6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를 제6 비교 형태(도시 생략)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6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도시 생략)는 유도판(80)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6 비교 형태는, 상기 점 이외에,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은 제6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포위 벽(54)과 실장 기판(40)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으로 유도되는 공기의 양이 많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실장 기판(40)의 냉각 효율이 높다.
<제7 효과>
제7 효과는, 전자 부품부(70)이 릴레이 회로부(72)와 콘덴서(74)를 갖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콘덴서(74)가 릴레이 회로부(72)보다도 실장 기판(40)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3 및 도 4 참조)의 효과이다. 제7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를 제7 비교 형태(도 8 참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7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10C)는, 릴레이 회로부(72)가 콘덴서(74)보다도 실장 기판(40)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7 비교 형태의 경우, 릴레이 회로부(72)와 콘덴서(74)의 배치가 본 실시 형태의 경우와 반대이다. 제7 비교 형태는, 상기 점 이외에,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7 비교 형태의 경우, 콘덴서(74)가 릴레이 회로부(72)의 배치 스페이스 만큼, 외부 전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외부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실장 기판(40)에의 전력의 공급 안정성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7 비교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콘덴서(74)가 릴레이 회로부(72)의 배치 스페이스 만큼, 외부 전원에 가까운 배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는 제7 비교 형태의 구동 장치(10C)에 비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실장 기판(40)에의 전력의 공급 안정성이 높다.
<제8 효과>
제8 효과는, 하우징(20)에 있어서의 실장 기판(40)의 실장면(42A)이 향하고 있는 부분, 즉, 우측 사이드 패널(22)이 하우징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의 효과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실장 기판(40) 또는 실장 기판(40)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 부품(드라이버(44) 및 드라이버(44) 이외의 전자 부품(46), 도 3 및 도 4 참조)의 메인터넌스 등을 행하는 경우에, 실장 기판(40) 및 당해 전자 부품에 대한 작업성이 용이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는, 하기와 같은 형태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대상의 일례를 모터(도시 생략)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구동 대상이 전술한 어느 하나의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을 갖는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라면, 구동 대상의 일례는 모터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광원(도시 생략), 열원(도시 생략), 동력원(도시 생략) 기타의 구동 대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각 팬(30), 각 실장 기판(40), 각 유로부(50), 각 안내판(60) 및 각 유도판(80)은 각각으로 유닛을 구성하고 있어, 구동 장치(10)는 당해 유닛을 4개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해 유닛의 수량은, 4개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1개여 되고, 5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들 변형예의 경우에도, 전술의 어느 것의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각 팬(30), 각 실장 기판(40), 각 유로부(50), 각 안내판(60) 및 각 유도판(80)은 각각으로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형태는, 적어도, 하우징(20) 및 하우징(20)과의 관계에서의 위치 관계를 갖는 팬(30) 및 실장 기판(40)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형태에는, 1개의 팬(30)에 의해 복수의 실장 기판(40)을 냉각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외부 전원이 삼상 전원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0) 및 상기 변형예의 구동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면, 외부 전원은 삼상 전원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은, 단상 전원(도시 생략), 2상 전원(도시 생략) 기타의 전원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변형예의 경우, 콘덴서(74)는 한쪽 단자(도시 생략)가 0(V)(시그널 그라운드)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자(도시 생략)가 상기 변형예의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출력(직류 전압)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출력을 정류한 직류 전압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들 경우도, 상기 콘덴서(74)는 외부 전원과 0(V)(시그널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효과의 설명에서는, 제2 내지 제7 비교 형태에 대해서, 각각 제2 내지 제7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 형태로 했다. 그러나, 각 비교 형태는 적어도 제1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각 비교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형태인 것은 물론이다.
10: 구동 장치
20: 하우징(상자의 일례)
22: 우측 사이드 패널(제2 측벽의 일례, 상자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판의 일례)
22A: 흡기구(다른 흡기구의 일례)
24A: 배기구
26: 프론트 패널(26)(제1 측벽의 일례)
26A: 흡기구
30: 팬(송풍부의 일례)
40: 실장 기판(구동부의 일례)
42: 실장면(한쪽 면의 일례)
44: 드라이버(구동 소자의 일례)
52: 히트 싱크(방열부의 일례)
54: 포위 벽
60: 안내판
70: 전자 부품부(저 발열부의 일례)
72: 릴레이 회로부
74: 콘덴서
80: 유도판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자와,
    상기 상자 내에 배치되어, 구동 대상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상자 내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흡기구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구동부로 보내는 송풍부와,
    상기 상자 내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흡기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와 함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동작 시에 상기 구동부보다도 발열량이 낮은 저발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자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송풍부에 공급되는 전력의 입력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저발열부는,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릴레이 회로부와, 상기 외부 전원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를 갖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릴레이 회로부보다도 상기 입력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한쪽 면에 구동 소자가 실장된 실장 기판으로 되어 있고,
    상기 실장 기판의 다른 쪽 면에 고정되어, 동작 시에 상기 실장 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와,
    상기 송풍부측과 상기 배기구측을 개구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장 기판과 함께 상기 방열부를 둘러싸는 포위 벽
    을 구비한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판과 상기 포위 벽으로 형성되는 상기 배기구측의 개구와, 상기 배기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구측의 개구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안내판
    을 구비한 구동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는, 상기 송풍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2 측벽을 갖고,
    상기 제2 측벽에는, 상기 제2 측벽측에서 보아서, 상기 흡기구와 상기 송풍부의 사이에 개구되어 있는 다른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흡기구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에 배치되고, 상기 다른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부로 유도하는 유도판
    을 구비한 구동 장치.
  11. 삭제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한쪽 면에 구동 소자가 실장된 실장 기판으로 되고,
    상기 상자에 있어서 상기 한쪽 면이 향하고 있는 부분은, 상자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판의 일부로 되어 있는,
    구동 장치.
KR1020180045892A 2017-05-11 2018-04-20 구동 장치 KR102057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4732A JP7054993B2 (ja) 2017-05-11 2017-05-11 駆動装置
JPJP-P-2017-094732 2017-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721A KR20180124721A (ko) 2018-11-21
KR102057776B1 true KR102057776B1 (ko) 2019-12-19

Family

ID=6432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892A KR102057776B1 (ko) 2017-05-11 2018-04-20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54993B2 (ko)
KR (1) KR102057776B1 (ko)
CN (1) CN108882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1633B (zh) * 2019-08-07 2022-09-27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散热组件以及电子设备
JP7493345B2 (ja) * 2020-01-31 2024-05-31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駆動装置
JP7469892B2 (ja) 2020-01-31 2024-04-17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駆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101A (ja) * 2002-03-26 2003-10-02 Plus Vision Corp 発熱体の冷却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705Y2 (ja) * 1992-01-09 1999-03-24 株式会社東芝 電子部品の実装構造
JP3254756B2 (ja) * 1992-10-1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装置
JPH0864982A (ja) * 1994-08-26 1996-03-08 Fuji Electric Co Ltd 電算機
JP3303588B2 (ja) * 1995-03-29 2002-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盤
JP2912307B2 (ja) * 1997-11-13 1999-06-2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熱交換器構造
JP2002190685A (ja) 2000-12-22 2002-07-05 Toshiba Corp 電子機器
JP3564453B2 (ja) 2001-11-28 2004-09-0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の空冷構造
JP2003258473A (ja) * 2002-02-26 2003-09-12 Yoshiyasu Sasa ヒートシンクを備えた冷却装置
JP2004088023A (ja) 2002-08-29 2004-03-18 Toshiba Corp 筐体内発熱体冷却装置およびパワーエレクトロニクス機器
TWM286956U (en) * 2005-10-14 2006-02-01 Cooler Master Co Ltd Heat dissipation structure
JP2007149855A (ja) 2005-11-25 2007-06-14 Toshiba Corp 電子機器
JP4709032B2 (ja) 2006-02-22 2011-06-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JP5408502B2 (ja) 2010-09-06 2014-02-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ユニット
JP5418851B2 (ja) 2010-09-30 2014-02-1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ユニット
WO2013111339A1 (ja) 2012-01-27 2013-08-01 富士通株式会社 冷却構造及び電子機器
CN104755850B (zh) 2012-11-02 2017-05-10 富士通株式会社 模块型数据中心及其控制方法
JP2014197658A (ja) 2013-03-06 2014-10-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JP2015008225A (ja) 2013-06-25 2015-01-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6278695B2 (ja) 2013-12-26 2018-02-1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204244561U (zh) * 2014-02-17 2015-04-01 航天科工深圳(集团)有限公司 一种pcb板级***
CN204721773U (zh) * 2015-06-01 2015-10-21 南通国盛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电控箱
JP2017009966A (ja) 2015-06-26 2017-01-12 株式会社リコー 吸気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CN205105486U (zh) * 2015-11-30 2016-03-23 宁波司普瑞茵通信技术有限公司 户外通信机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101A (ja) * 2002-03-26 2003-10-02 Plus Vision Corp 発熱体の冷却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721A (ko) 2018-11-21
JP7054993B2 (ja) 2022-04-15
CN108882617A (zh) 2018-11-23
JP2018190921A (ja) 2018-11-29
CN108882617B (zh)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776B1 (ko) 구동 장치
WO2014030494A1 (ja) 電力変換装置
JP5668843B2 (ja) 電子機器
JP2019057471A (ja) 光源装置
JP2013074083A (ja) シールドボックスと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1667869B1 (ko) 모터 구동 장치
WO2006098020A1 (ja) 冷却装置及び電子装置
KR101718201B1 (ko) 모터 구동 장치
JP6615630B2 (ja) 電気機器
TW201325418A (zh) 電子裝置
JP5702962B2 (ja) 電子機器の放熱構造
CN107000102B (zh) 焊接装置
JP2016062677A (ja) 光照射装置
JP2012164743A (ja) 車載用電子機器
JP2002185169A (ja) 屋外設置型通信装置
US11437889B2 (en) Work device with air-cooled linear motor
JP2010258263A (ja) 電子機器の放熱機構
JP6133608B2 (ja) 電子機器
WO2022158317A1 (ja) 光照射装置
JP2018116957A (ja) 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2011189364A (ja) 電源装置
CN109219312B (zh) 电动机控制装置
JP2014165408A (ja) 電子装置
JP2020031189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配置構造
JP200600167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