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974B1 -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974B1
KR102048974B1 KR1020170147799A KR20170147799A KR102048974B1 KR 102048974 B1 KR102048974 B1 KR 102048974B1 KR 1020170147799 A KR1020170147799 A KR 1020170147799A KR 20170147799 A KR20170147799 A KR 20170147799A KR 102048974 B1 KR102048974 B1 KR 10204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ink member
control cable
rotation
memb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269A (ko
Inventor
팽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에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는 폴딩수단;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상태로 잠금되는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폴딩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를 통해 전동방식을 이용한 폴딩수단 및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동방식을 통해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량은 프론트 시트 뒤쪽에 1열의 리어시트만이 설치되지만, RV 차량를 비롯한 승합차량의 경우에는 2열 내지 3열 이상의 리어시트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에 탑승객이 탑승하지 않고, 짐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에는 별도의 폴딩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에, 상기 폴딩 장치를 조작하여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되는 동시에 시트쿠션상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후면 즉, 폴딩된 상태의 시트백 상면은 트렁크 공간과 하나로 이어지는 적재공간이 된다.
이러한, 리어시트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448117호(2004.09.01)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리어시트는 리어 시트쿠션과 리어 시트백을 용이하게 폴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리어 시트백을 리어 시트쿠션으로 접고, 다시 리어 시트쿠션을 프론트시트백의 바로뒤에 위치되도록 접어서, 뒤쪽의 공간을 적재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어시트는 리어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폴딩된 리어 시트백을 언폴딩된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직접적인 수동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외력을 요구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성인에 비해 비교적 체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 등은 종래의 리어시트를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리어시트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리어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트백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기 위한 방법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여 시트백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8117호(2004.09.01)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구조 및 언폴딩시키는 구조 모두 전동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는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에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는 폴딩수단;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상태로 잠금되는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폴딩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딩수단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부에 제1걸림구간 및 제2걸림구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브라켓;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리클라이너;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상기 제2걸림구간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타측에 연결홈이 마련되는 회동방지부;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신축되는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홈에 출입하는 연결돌기가 마련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기 리클라이너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의 연결돌기는,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회동방지부의 연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동방지부를 밀어올리면서 상기 회동방지부의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제2걸림구간으로부터 이격시켜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일측에 마련된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신축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연장돌기; 및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연장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장돌기와 상기 제2연장돌기는 상호 대칭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에 따라 서로 대칭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 브라켓은,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어; 상기 리클라이너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고정기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너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키는 정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제1버튼; 및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제2버튼;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완료하거나, 폴링된 상태를 완료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반대로 언폴링된 상태를 완료함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내부케이블이 풀림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의하면, 전동방식을 이용한 폴딩수단을 통해 자동적으로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전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 등도 힘들이지 않고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쉽게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위치 조작방식을 통해 시트백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시트백이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시트백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폴딩된 상태를 이루게 하거나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언폴딩된 복원상태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리어시트의 시트백은 스위치 조작방식을 통해 자동적으로 폴딩되거나 언폴딩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 위한 수동적인 방법을 숙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일의 폴딩수단을 이용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것은 물론, 언폴딩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전동부품을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이에 의한 전동부품의 컴팩트화에 따라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폴딩수단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리클라이너를 회전시키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구동유닛에 의해 리클라이너가 폴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이 신축됨에 따라 회동되는 레버부재에 의해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신축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수단(110), 스위칭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폴딩수단(110)은 리어시트(10)의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시트백 프레임(3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111), 리클라이너(113), 회동방지부(115), 링크부재(117) 및 구동유닛(119)을 포함한다.
베이스 브라켓(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의 시트쿠션 프레임(20) 일측에 장착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브라켓(111)은 볼팅방식 등을 통해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제1걸림구간(111a) 및 제2걸림구간(111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걸림구간(111a) 및 제2걸림구간(111b)은 후술할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걸리는 구성요소로, 예컨대, 제1걸림구간(11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111)의 상부면을 따라 소정간격만큼 톱니형태로 형성되거나, 제2걸림구간(11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111)의 상부면을 따라 소정간격만큼 홈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걸림구간(111a) 및 제2걸림구간(111b)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걸림구간(111a)의 형태와 제2걸림구간(111b)의 형태가 같거나 반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할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걸릴 수 있도록 후크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걸림구간(111a)에 후술할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걸리게 될 경우, 시트백 프레임(30)의 폴딩이 방지될 수 있고, 제2걸림구간(111b)에 후술할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걸리게 될 경우, 시트백 프레임(30)의 언폴딩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조나 걸림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리클라이너(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30) 일측에 장착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클라이너(113)는 볼팅방식 등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에 장착될 수 있다.
리클라이너(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바람직하게는 하부가 전술한 베이스 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클라이너(113)는 시트백 프레임(30)과 일체를 이루는 상태로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시트백 프레임(30)을 내재하는 시트백은 리클라이너(113)의 회동에 따라 폴딩되거나 언폴딩될 수 있다.
회동방지부(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1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회동방지부(115)는 전술한 베이스 브라켓(111)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방지부(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걸림돌기(115a)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115a)는 전술한 제1걸림구간(111a) 또는 제2걸림구간(111b)에 걸리는 구성요소로, 예컨대, 제1걸림구간(111a)과 상호 치합되는 톱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15a)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걸림구간(111a)의 톱니들 중 하나의 톱니에 걸리는 돌기형태나 제2걸림돌기(115a)에 상호 보완적인 형태를 갖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동방지부(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즉 상부에 연결홈(115b)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홈(115b)은 회동방지부(115)를 밀어 올리기 위하여 후술할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회동방지부(115)의 일측이 개방된 홈형태, 바람직하게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방지부(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회동방지부(115)는 후술할 링크부재(117)에 의해 제1걸림구간(111a) 또는 제2걸림구간(111b)에 걸림상태로 잠금되어 리클라이너(113)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고, 링크부재(117)에 의해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리클라이너(113)가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링크부재(117)의 작동구조와 함께 설명한다.
링크부재(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1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링크부재(117)는 전술한 회동방지부(115)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링크부재(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은 통상적인 스로틀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를 마련하는 외부케이블(121) 및 외부케이블(121)의 내부에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123)을 포함한다. 이때, 내부케이블(123)은 외부케이블(121)의 양측에 제각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되, 일방향을 따라 연동 이동된다. 즉, 외부케이블(121)의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타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이와 연동되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구성을 바탕으로, 링크부재(117)와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링크부재(117)의 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 중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링크부재(117)는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이 신축됨에 따라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링크부재(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전술한 회동방지부(115)의 연결홈(115b)에 출입하는 연결돌기(117a)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돌기(117a)는 회동방지부(115)를 밀어 올리기 위하여 전술한 연결홈(115b)에 출입될 수 있는 구성으로, 회전방지부의 연결홈(115b)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돌기(117a)는 링크부재(117)가 회동함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전술한 연결홈(115b)에 출입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부재(117)에 의해 회동방지부(115)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작동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베이스 브라켓(111)의 제1걸림구간(111a)에 배치되고, 이때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회동방지부(115)의 일부분을 가압하게 됨에 따라 걸림돌기(115a)가 제1걸림구간(111a)에 걸리는 걸림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도 3의 (a)는 리클라이너(113)의 폴딩이 방지되는 장금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당겨 링크부재(117)를 일측방향, 즉 연결홈(115b)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는 연결홈(115b)에 삽입되어 회동방지부(115)를 지지하게 되고, 더 나아가 회동방지부(115)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는 제1걸림구간(111a)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방지부(115)에 의해 잠금상태를 이루던 리클라이너(113)가 회동가능한 상태, 즉 폴딩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베이스 브라켓(111)의 제2걸림구간(111b)에 배치되고, 이때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회동방지부(115)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걸림돌기(115a)가 제2걸림구간(111b)에 걸리도록 한 잠금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도 3의 (c)는 리클라이너(113)의 언폴딩이 방지되는 장금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전술한 도 3의 (b)를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당겨 링크부재(117)를 일측방향, 즉 연결홈(115b)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는 연결홈(115b)에 삽입되어 회동방지부(115)를 지지하게 되고, 더 나아가 회동방지부(115)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는 제2걸림구간(111b)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방지부(115)에 의해 잠금상태를 이루던 리클라이너(113)가 회동가능한 상태, 즉 언폴딩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구동유닛(119)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어(119a), 모터(119b) 및 회전기어(119c)를 포함한다.
고정기어(119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모양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기어로, 바람직하게는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기어(119a)는 베이스 브라켓(111)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기어(119a)는 별도의 브라켓에 연결된 상태로 베이스 브라켓(111)에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모터(119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리클라이너(113)와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터(119b)는 별도의 브라켓에 연결된 상태로 리클라이너(113)에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터(119b)는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할 회전기어(119c)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리클라이너(113)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회전기어(119c)와 함께 설명한다.
회전기어(119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모양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기어로, 바람직하게는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회전기어(119c)는 전술한 고정기어(119a)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어(119c)는 전술한 모터(119b)의 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고정기어(119a)와 치합된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회전기어(119c)는 모터(119b)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유닛(119)에 의해 리클라이너(113)가 회동하는 작동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119b)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이 발생되어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연동하여 회전기어(119c)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기어(119c)는 고정기어(119a)에 치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회전하면서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리클라이너(113)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유닛(119)에 의해 도 4의 (b)와 같은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너(113)는 폴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모터(119b)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이 발생되어 회전축이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연동하여 회전기어(119c)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기어(119c)는 고정기어(119a)에 치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회전하면서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리클라이너(113)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유닛(119)에 의해 도 4의 (a)와 같은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너(113)는 언폴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전동방식의 폴딩수단(110)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상태로 잠금되는 회동방지부(115)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31), 고정브라켓(133) 및 레버부재(135)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131)는 후술할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을 신축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전기, 유압, 압축 공기 등을 사용하는 원동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체(流體) 에너지를 이용한 원동기로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은 스로틀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를 마련하는 외부케이블(141) 및 외부케이블(141)의 내부에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143)을 포함한다. 이때, 내부케이블(143)은 전술한 액츄에이터(131)의 작동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31)는 리어시트(10)의 시트쿠션 프레임(20) 또는 시트백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3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칭부(130)는 상기 리어시트(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31)가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브라켓(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브라켓(137)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고, 일단에 후술할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37a);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홈(137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브라켓(137)의 일부분이 절곡된 부분에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 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홈(137a)은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케이블(143)을 고정된 외부케이블(141)로부터 일정범위 내에서 신축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133)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133)은 전술한 액츄에이터(131) 또는 액츄에이터 브라켓(137)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33)은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상기 외부케이블(121)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33a);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홈(133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33)의 일부분이 절곡된 부분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외부케이블(121) 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133a)은 후술할 레버부재(135)에 연결되는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외부케이블(121) 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홈(133a)은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외부케이블(121)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케이블(123)을 고정된 외부케이블(121)로부터 일정범위 내에서 신축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고정브라켓(133)은 상기 레버부재(135)의 회동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레버부재(135)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3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브라켓(133)의 일단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레버부재(135)의 회동경로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133b)는 레버부재(135)의 회동반경을 제한하여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 또는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신축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레버부재(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브라켓(13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레버부재(135)는 전술한 액츄에이터(131)의 하부에 배치되고, 특히 전술한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하부에 배치되며,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레버부재(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레버부재(135)의 일단에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 일측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레버부재(135)는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이 신축됨에 따라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레버부재(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레버부재(135)의 타단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43) 일측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레버부재(135)는 전술한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에 의해 회동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신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버부재(135)의 작동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기본적으로, 레버부재(135)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로부터 늘어난 내부케이블(143)에 의해 일단이 하부방향으로 내려간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레버부재(135)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로 당겨지는 내부케이블(143)에 의해 일단이 상부방향으로 올라간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레버부재(135)의 타측에 연결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이 레버부재(135)의 회전방향을 따라 당겨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외부케이블(121)로부터 늘어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지면, 이와 동시에 도 3의 (a)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타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외부케이블(12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한편, 레버부재(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이 연결되는 제1연장돌기(135a); 및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이 연결되는 제2연장돌기(13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돌기(135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35)의 길이방향 타측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돌기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에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 단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1연장돌기(135a)는 레버부재(135)의 회전시 함께 레버부재(135)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연장돌기(135a)는 레버부재(135)가 회동함에 따라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신축시킬 수 있다.
제2연장돌기(135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35)의 길이방향 타측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돌기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에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 단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2연장돌기(135b)는 레버부재(135)의 회전시 함께 레버부재(135)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연장돌기(135b)는 레버부재(135)가 회동함에 따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신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연장돌기(135a)와 제2연장돌기(135b)는 상호 대칭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연장돌기(135a)는 레버부재(135)의 타측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제2연장돌기(135b)는 제1연장돌기(135a)에 대향되게 배치된 레버부재(135)의 타측 하부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연장돌기(135a)와 제2연장돌기(135b)는 레버부재(135)의 회동에 따라 서로 대칭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스위칭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방지부(115)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폴딩수단(110)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을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51) 및 스위치(153)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51)는 차량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리어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151)는 전술한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151)는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51)는 후술할 스위치(153)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거나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51)는 후술할 스위치(153)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폴딩된 상태를 완료하거나, 폴링된 상태를 완료한 시트백 프레임(30)이 반대로 언폴링된 상태를 완료함에 따라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림상태를 이루도록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151)는 시트백 프레임(30)의 폴딩이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거나 시트백 프레임(30)의 언폴딩이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51)는 감지센서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의 폴딩된 상태 및 언폴딩된 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하고, 이에 의해 자동적으로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켜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이 풀림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153)는 상기 액츄에이터(131)와 상기 모터(119b)를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151)에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마련되거나 별도의 리모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치(153)는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작동시키도록 컨트롤러(151)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153)는 전술한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을 제어하여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튼(153a) 및 제2버튼(153b)을 포함한다.
제1버튼(153a)은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회전신호를 전술한 컨트롤러(151)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1버튼(153a)은 시트백 프레임(30)을 폴딩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작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버튼(153a)을 눌러 제어부(150)를 on 상태로 활성화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제1버튼(153a)을 통해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컨트롤러(151)에 전달한다.
이 경우,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액츄에이터(131)가 작동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을 당겨 레버부재(135)를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되는 레버부재(135)에 연결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타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져 링크부재(117)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회동방지부(115)의 연결홈(115b)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회동방지부(115)를 밀어올림에 따라 베이스 브라켓(111)의 제1걸림구간(111a)에 걸림된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제1걸림구간(111a)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즉, 회동방지부(115)에 의해 잠금된 리클라이너(11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이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즉,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이 폴딩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50)는 제1버튼(153a)을 통해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키는 정회전신호를 구동유닛(119)에 전달한다.
이 경우, 정회전신호를 전달받은 구동유닛(119)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119b)의 회전축이 정회전방향, 즉 시트백 프레임(30)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자세하게는, 모터(119b)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기어(119c)가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모터(119b) 및 모터(119b)와 일체를 이루는 리클라이너(113)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이 폴딩된다.
따라서, 제1버튼(153a)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폴딩시킬 수 있다.
제2버튼(153b)은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신호를 전술한 컨트롤러(151)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2버튼(153b)은 시트백 프레임(30)을 언폴딩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언폴딩시키는 작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2버튼(153b)을 눌러 제어부(150)를 on 상태로 활성화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제2버튼(153b)을 통해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컨트롤러(151)에 전달한다.
이 경우,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액츄에이터(131)가 작동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을 당겨 레버부재(135)를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되는 레버부재(135)에 연결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조절케이블의 타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져 링크부재(117)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회동되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회동방지부(115)의 연결홈(115b)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회동방지부(115)를 밀어올림에 따라 베이스 브라켓(111)의 제2걸림구간(111b)에 걸림된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제2걸림구간(111b)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즉, 회동방지부(115)에 의해 잠금된 리클라이너(11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이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즉,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이 언폴딩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50)는 제2버튼(153b)을 통해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키는 역회전신호를 구동유닛(119)에 전달한다.
이 경우, 역회전신호를 전달받은 구동유닛(119)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119b)의 회전축이 역회전방향, 즉 시트백 프레임(30)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자세하게는, 모터(119b)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기어(119c)가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모터(119b) 및 모터(119b)와 일체를 이루는 리클라이너(113)가 역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이 언폴딩된다.
따라서, 제2버튼(153b)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언폴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의 제어부(150)를 통해 전동방식을 이용한 폴딩수단(110) 및 스위칭부(130)를 제어하여 리어시트(10)의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전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 등도 힘들이지 않고 리어시트(10)의 시트백을 쉽게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다.
100 :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110 : 폴딩수단
111 : 베이스 브라켓 113 : 리클라이너
115 : 회동방지부 117 : 링크부재
119 : 구동유닛 120 : 링크부재조절케이블
130 : 스위칭부 131 : 액츄에이터
133 : 고정브라켓 135 : 레버부재
140 : 레버부재조절케이블 150 : 제어부
151 : 컨트롤러 153 : 스위치

Claims (13)

  1.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에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는 폴딩수단;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상태로 잠금되는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폴딩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수단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부에 제1걸림구간 및 제2걸림구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브라켓;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리클라이너;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상기 제2걸림구간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타측에 연결홈이 마련되는 회동방지부;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신축되는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홈에 출입하는 연결돌기가 마련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기 리클라이너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일측에 마련된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신축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연장돌기; 및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연장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돌기와 상기 제2연장돌기는 상호 대칭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에 따라 서로 대칭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연결돌기는,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회동방지부의 연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동방지부를 밀어올리면서 상기 회동방지부의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제2걸림구간으로부터 이격시켜 걸림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브라켓은,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10.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에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는 폴딩수단;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상태로 잠금되는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폴딩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수단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부에 제1걸림구간 및 제2걸림구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브라켓;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리클라이너;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상기 제2걸림구간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타측에 연결홈이 마련되는 회동방지부;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신축되는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홈에 출입하는 연결돌기가 마련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기 리클라이너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어;
    상기 리클라이너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고정기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너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일측에 마련된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신축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키는 정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제1버튼; 및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제2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완료하거나, 폴링된 상태를 완료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반대로 언폴링된 상태를 완료함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내부케이블이 풀림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KR1020170147799A 2017-11-08 2017-11-08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KR10204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799A KR102048974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799A KR102048974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269A KR20190052269A (ko) 2019-05-16
KR102048974B1 true KR102048974B1 (ko) 2019-11-26

Family

ID=6667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799A KR102048974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26B1 (ko) * 2019-10-28 2021-04-01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 폴딩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698A (ja) * 2004-09-16 2006-03-30 T S Tec Kk 折畳み収納式自動車用シート
JP2007007386A (ja) * 2005-05-31 2007-01-18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0669B2 (ja) * 1995-10-31 1999-10-12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448117B1 (ko) 2001-09-03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698A (ja) * 2004-09-16 2006-03-30 T S Tec Kk 折畳み収納式自動車用シート
JP2007007386A (ja) * 2005-05-31 2007-01-18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269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6615B2 (en) Adjustable seat bolster for easy access
EP2186672B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7374243B2 (en) Folding seat apparatus for vehicle
RU2712490C2 (ru) Система втягиваемого чехла для груза
JPH11263196A (ja) 折り畳み式バックレストに組み込まれたベルト引き込み器
WO2009104586A1 (ja) 車両用格納シート
US20200391640A1 (en) Vehicle seat
JP2009090807A (ja) 車両用格納シート
CN109094439B (zh) 车辆座椅和车辆
KR102048974B1 (ko)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EP2832625A2 (en) A foldable and detachable chair frame
CN106494269B (zh) 用于机动车的座椅装置的锁定***
JP2019533778A (ja) 自動車用ロック
EP2910410B1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US20080252126A1 (en) Power actuated easy entry seat
JP5808584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803067B1 (ko)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JP456615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8531383A (ja) 自動車
JP3556763B2 (ja) 鉄道車両用収納式座席
JP4091495B2 (ja) 電動格納シート及び電動格納シートの格納方法
JP2018197090A (ja) 乗物用キャノピ装置
KR101499994B1 (ko)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JP2007105225A (ja) 車両用シートのキャノピー装置
JP711524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