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727B1 -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727B1
KR102048727B1 KR1020130026961A KR20130026961A KR102048727B1 KR 102048727 B1 KR102048727 B1 KR 102048727B1 KR 1020130026961 A KR1020130026961 A KR 1020130026961A KR 20130026961 A KR20130026961 A KR 20130026961A KR 102048727 B1 KR102048727 B1 KR 10204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cover
display area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330A (ko
Inventor
김건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727B1/ko
Priority to US14/194,900 priority patent/US9294596B2/en
Priority to EP14159256.8A priority patent/EP2778831B1/en
Priority to CN201410093571.4A priority patent/CN104049839B/zh
Publication of KR2014011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기술된 바, 예컨대 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전자 장치(예: 휴대단말기)의 커버의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에서 확인(identify)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제 1 모드로 운영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나머지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2 모드로 운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MULTIPLE OPERATION MODES FOR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예컨대, 커버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예: 휴대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케이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예컨대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는 플립 커버 케이스(이하, 플립 커버), 슬라이딩 커버 케이스 (이하 슬라이딩 커버), 또는 폴더 커버 케이스 (이하 폴더 커버) 등이 있다.
플립 커버는 휴대단말기의 보호라는 측면과 디자인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많지만, 휴대단말기의 사용시에는 여러 가지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플립 커버의 커버가 닫히게 되면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플립 커버의 커버를 수동으로 열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결국,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플립 커버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거나 자신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의 플립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심미적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단편적 기능만을 제공하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예: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거나 심미적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단편적 기능만을 제공하는 플립 커버의 사용 방법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의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에서 확인(identify)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제 1 모드로 운영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나머지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2 모드로 운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화면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제 1 모드로 운영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2 모드로 운영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예: 플립, 슬라이딩 또는 폴더) 커버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할 때 (예: 닫혔을 때 또는 약 1cm 근접했을 때 등) 예컨대, 상기 커버를 열지 않고도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하고, 공공장소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받고 에티켓을 지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준다.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3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도 3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3예시도.
도 3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4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5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6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7예시도.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8예시도.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9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예: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며, 대표적으로 무게나 크기적인 측면에서 휴대가 용이한 전자장치를 휴대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예로는 종래의 피처폰(feature phone)과, 바다(bada), 타이젠(Tizen), Windows(예를 들어, windows 8), iOS 및 Android 등의 운영체제로 구동되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및 태블릿)를 열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휴대용 컴퓨터(Notebook)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또는 화상전화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예의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 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단말기(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Wi-Fi 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부(110)와의 연동을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와의 연동을 통해 무선 근거리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휴대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단말기(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단말기(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단말기(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단말기(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단말기(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단말기(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물체의 접근에 따라 변화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는 홀 센서(Hall Sensor), 사용자의 휴대단말기(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휴대단말기(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예, 휴대단말기(100)의 회전, 휴대단말기(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휴대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70)을 이용하여(예를 들어, 조도 센서 또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부(110)는 플립 커버(또는 커버)의 열림(예컨대 커버가 디스플레이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닫힘(예컨대 커버가 디스플레이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내에 있는(또는 근접) 경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단말기(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 또는 저장부(175)는 제어부(110)내의 롬(112) 또는 램(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단말기(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단말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단말기(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표시부(19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190)는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등으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예를 들어, Touch Screen Panel; TSP)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90)는 터치스크린 이외에도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사용자의 펜 입력(예를 들어, Samsung의 S펜과 같은 전자기유도식 터치 입력 도구)을 입력받을 수 있는 디지타이저와 대응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90, Display;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90)의 터치스크린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표시부(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는 표시부(190)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190)의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표시부(19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화면의 표시 영역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은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 및 디지타이저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 모두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와 같이 다중 코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부(110)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의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에서 확인(identify)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제 1 모드로 운영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나머지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2 모드로 운영하는 동작의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110)의 상세한 동작은 도 2에 연관되어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 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1 내지 제4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립 커버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5 내지 제9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기술한다.
S201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화면의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플립 커버(300)를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때는 플립 커버의 커버를 열고,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음성 통화중일 때는 플립 커버의 커버를 닫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립 커버는 표시화면(실질적으로는, 표시부의 glass)을 일정 부분이상 보호할 수 있는(예를 들어, 덮을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케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플립 커버라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도 3a에서 310으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 커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와의 접촉 가능성이 낮은 부분이 개방된(또는 천공된) 개방 영역(Opening Area)을 포함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 커버는 다양한 형태 및 위치를 가지는 310, 320, 330, 340a, 340b 및 340c의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개방 영역이 포함된 플립 케이스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하고, 플립 케이스의 커버를 닫으면,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만이 노출되게 된다.
도 3b를 통해 설명하면, 표시화면 전체를 통해서 특정 형태의 정보가 표시(예를 들어, 이미지를 표시)되고 있더라도, 플립 커버의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310, 320, 330, 340a, 340b 및 340c의 개방영역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화면의 영역으로만 정보가 표시(예를 들어, 전체 이미지 중에서 일부의 이미지)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의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310, 320, 330, 340a, 340b 및 340c의 개방영역을 통해서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화면의 영역을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이라 지칭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개방 영역에 의해 노출, 투시, 또는 반투시 되는 표시화면의 일부 영역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개방 영역을 포함하는 플립 케이스의 커버가 닫혔을 때, 표시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어떠한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즉, 표시 영역)이 개방 영역에 의해 노출되는지의 여부, 표시 영역을 통해 어떠한 정보가 표시되는지의 여부 등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는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는 표시 영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 종류 데이터 및 순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의 위치 데이터는 개방 영역을 포함하는 플립 케이스의 커버가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거리에 진입했을 때 (예: 5 mm 이내 또는 닫혔을 때), 표시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개방 영역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 영역들의 위치(예를 들어, 픽셀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정보의 종류 데이터는 개방 영역을 포함하는 플립 케이스의 커버가 닫혔을 때, 각 표시 영역들을 통해 표시될 정보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정 정보의 순서 데이터는, 플립 케이스의 개방 영역이 복수 개임에 따라 대응되는 표시 영역이 복수 개일 경우, 표시 영역의 표시 순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는 Google Store와 같은 앱 마켓을 통해 획득하거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다운로드하여 획득될 수도 있으나, 후술될 S202-S203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S202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화면의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S20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화면의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이 요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을 설정 정보를 저장부(175)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가 확인이 안될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설정 정보는 위치 데이터, 종류 데이터, 또는 순서 데이터 등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설정 정보 중에서 위치 데이터를 설정 받는 것에 대해 살펴보면,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화면(Screen)의 표시영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310)이 사각형 형태일 경우,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도 사각형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 영역(310)의 위치 및 형태에 대응되게 표시화면에 사각형 형태의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x1, y1), (x2, y2), (x3, y3) 및 (x4, y4)의 꼭지점의 픽셀 좌표값을 입력함으로써,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의 위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픽셀 좌표값 (x1, y1), (x2, y2), (x3, y3) 및 (x4, y4)에 의해 설정된 위치 데이터를 토대로 개방 영역(310)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이 (x1, y1), (x2, y2), (x3, y3) 및 (x4, y4)의 꼭지점으로 구성되는 사각형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c를 통해 설명한 예와는 달리,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의 해당하는 도형의 형태를 표시화면 상에 직접적으로 그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린 도형의 형태로부터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의 위치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개방 영역(350a)을 포함하는 플립 커버(3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방영역(350a)를 통해 노출된 표시화면에 대해서 360a 또는 360b와 같이 개방 영역(350a)의 형태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을 입력(예를 들어, 도형을 그림으로써)하며, 이를 통해 개방 영역(350a)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350b)에 대한 위치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360a 또는 306b로 도시된 예와 같은 터치 입력을 토대로 설정된 위치 데이터를 토대로, 개방 영역(350a)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이 350b와 같은 표시 위치 및 형태(예를 들어,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 중에서, 위치 데이터는 플립 커버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화면의 표시영역의 위치 데이터(예를 들어, 표시영역을 구성하는 픽셀 좌표값들)를 근거리 통신 모듈(132)에 대응되는 태그(예를 들어, RFID Tag 또는 NFC tag)에 저장한 후에,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예를 들어, NFC 태그가 플립 케이스에 부착된) 플립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휴대단말기와 플립 케이스가 결합되면, 제어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통해 플립 케이스의 NFC 태그로부터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영역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또는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종류 데이터 또는 순서 데이터 등의 데이터도 함께 플립 커버의 근거리 통신 모듈(132)에 대응되는 태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 전체가 플립 커버의 근거리 통신 모듈(132)에 대응되는 태그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영역에 대한 설정이 완료될 수 도 있다.
표시 영역의 설정 정보 중에서 종류 데이터를 설정받는 부분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플립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노출되는 표시화면의 표시 영역을 통해서, 어떠한 종류의 정보(예를 들어,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출력 정보)를 표시할 지 설정할 수 있다.
도 4a는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410b)에 대응되는 표시화면의 표시 영역(410a)를 통해서 시간 정보(예를 들어, 시계 어플리케이션 또는 시계 위젯의 실행 화면)가 표시되도록 설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는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420a)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420b)에 표시될 정보의 종류를 여러 개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립 커버(300)의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표시 영역(420b)을 통해 정보를 표시할 복수개의 어플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다.
도 4b에서 420b1, 420b2및 420b3로 도시된 바와 같이, SMS, 카카오톡 및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0)는 플립 커버(300)가 닫히면 표시 영역(420b)를 통해서, SMS, 카카오톡 및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 또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설정 정보 중에서 순서 데이터를 설정 받는 부분을 살펴보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300)의 개방 영역이 430a, 440a 및 450a와 같이 다수 개일 경우, 정보가 표시될 표시 영역의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430a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430b의 표시 영역을 첫 번째 순서로 지정하고, 440a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440b의 표시 영역을 두 번째 순서로 지정하고, 450a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450b의 표시 영역을 세 번째 순서로 지정할 수 있다.
S204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플립 커버의 커버가 닫혔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05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플립 커버의 커버가 닫힌 것이 감지되면, 설정 정보를 토대로 표시 영역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10)는 플립 커버의 커버의 열림 또는 닫힘을 센서 모듈(170)을 이용하여(예를 들어, 조도 센서 또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있다. 이 때,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0)이 홀 센서일 경우에는 홀 센서에 대응되는 자석이 플립 커버에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센서 모듈(170)은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립 커버의 커버가 닫힌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전술한 표시 영역의 설정 정보를 토대로,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의 위치 및 형태를 확인하고, 위치 및 형태가 확인된 표시 영역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항상 표시되거나 일정 시간을 주기로 표시될 수도 있고, 출력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만 표시부(190)가 활성화된 후에 표시 영역을 통해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도록 설정된 정보의 종류가 시간 정보일 경우, 플립 커버의 커버가 닫히게 되면, 표시 영역을 통해서 시간 정보가 항상 표시되거나 일정 시간 주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도록 설정된 정보의 종류가 SMS 메시지일 경우, 메시지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표시부(190)가 활성화되어 표시 영역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 내용이 스크롤 표시될 수 있다.
도 4d를 통해 살펴보면, 플립 커버(300)의 개방 영역(460a)에 대응되는 표시화면의 표시 영역(460b)에 표시될 데이터의 종류가 인디케이터 바(Indicator Bar) 및 SMS 메시지일 경우, 제어부(10)는 SMS 메시지 수신 이전에는 개방 영역(460a)를 통해 인디케이터 바(Indicator Bar)의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 정보, 전계정보, 시간 정보 등)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개방 영역(460a)을 통해 인디케이터 바의 정보와 수신된 SMS 메시지를 스크롤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정 정보의 확인을 통해 개방 영역(470a) 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470b)에 표시되도록 미리 설정된 정보의 종류가 SMS 메시지만일 경우, 제어부(10)는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만 표시부(190)를 활성화하고 표시 영역(470b)을 통해 수신된 SMS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종래의 휴대단말기는 Red, Green 또는 Blue 색상의 LED를 점멸하여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메시지의 수신 또는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 이벤트 등)를 통보하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LED를 이용한 이벤트 통보 기능을 플립 커버의 개방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가 이벤트 발생의 통보 기능일 경우, 표시 영역을 LED 점멸과 유사한 그래픽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300)의 개방 영역(480a)에 대응되는 표시영역(480b)을 통해서 상이한 색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종래의 LED를 이용한 이벤트 발생의 통보 기능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0)

  1. 전자 장치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의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 상의 픽셀 좌표값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픽셀 좌표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커버의 상기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표시화면으로부터 확인(identify)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제 1 상태로 운영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나머지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2 상태로 운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에 형성된 노출 영역, 투시 영역 또는 반투시 영역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개방 영역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로 운영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에 제 1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태로 운영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 2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로 운영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에 제 1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태로 운영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 1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로 운영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될 정보의 종류가 설정된 종류 데이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이 복수 개일 때, 상기 복수 개의 표시 영역의 표시 순서가 설정된 순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통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통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위치 데이터, 상기 종류 데이터 또는 상기 순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 장치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커버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지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identify)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한 거리 범위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의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표시화면 상의 픽셀 좌표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픽셀 좌표값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표시화면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커버의 상기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제 1 상태로 운영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2 상태로 운영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화면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 영역인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확인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표시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 영역의 위치 및 형태에 대한 위치 데이터와, 상기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될 정보의 종류가 설정된 종류 데이터 또는, 상기 표시 영역이 복수 개일 때 복수 개의 표시 영역의 표시 순서가 설정된 순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의 위치 데이터, 종류 데이터 또는 순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근거리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태그에 저장되며, 상기 태그는 상기 커버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데이터, 종류 데이터 또는 순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아 상기 설정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에 대한 상기 픽셀 좌표값을 입력받아 설정되는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표시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 영역으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통해 설정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 영역으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입력되는 전자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의 커버의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 상의 픽셀 좌표값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픽셀 좌표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커버의 상기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표시화면으로부터 확인(identify)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을 제 1 상태로 운영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나머지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2 상태로 운영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26961A 2013-03-13 2013-03-13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KR102048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61A KR102048727B1 (ko) 2013-03-13 2013-03-13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US14/194,900 US9294596B2 (en) 2013-03-13 2014-03-03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operation modes
EP14159256.8A EP2778831B1 (en) 2013-03-13 2014-03-12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operation modes
CN201410093571.4A CN104049839B (zh) 2013-03-13 2014-03-13 支持多种操作模式的电子装置的显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61A KR102048727B1 (ko) 2013-03-13 2013-03-13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330A KR20140112330A (ko) 2014-09-23
KR102048727B1 true KR102048727B1 (ko) 2020-01-22

Family

ID=5048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961A KR102048727B1 (ko) 2013-03-13 2013-03-13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94596B2 (ko)
EP (1) EP2778831B1 (ko)
KR (1) KR102048727B1 (ko)
CN (1) CN1040498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2645B2 (en) * 2013-05-16 2017-03-21 Blackberry Limited Smart covering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40137848A (ko) * 2013-05-24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KR102195314B1 (ko) * 2013-08-28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375874B2 (en) * 2013-12-03 2016-06-28 Htc Corporation Accessory, electronic assembly, control method, and method for forming an accessory
KR102245289B1 (ko) * 2014-02-11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20150096905A (ko) * 2014-02-17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키패드 장치 및 표시 방법
KR20150124710A (ko) * 2014-04-29 2015-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US9692860B2 (en) * 2014-05-15 2017-06-27 Apple Inc. One layer metal trace strain gauge
KR20150137472A (ko) * 2014-05-29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293482B1 (ko) * 2014-05-30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전자 장치의 커버
US20150372721A1 (en) * 2014-06-23 2015-12-24 Sony Corporation Configuring User Equipment to Display Information Through a Cover Window
KR102264444B1 (ko) 2014-09-04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160046099A (ko) * 2014-10-20 201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744014A (zh) * 2014-12-11 2016-07-06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终端和保护套
CN109901770B (zh) 2014-12-30 2022-10-1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图形用户界面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TW201630503A (zh) * 2014-12-31 2016-08-16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保護套及應用該保護套的電子裝置組件
TWI590113B (zh) * 2015-01-29 2017-07-0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套件、保護套以及使用者介面操作方法
KR102303664B1 (ko) * 2015-02-27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커버
US9991924B2 (en) * 2015-04-03 2018-06-05 Seek Thermal, Inc. Case design for a personal electronics device with a plug-in accessory
KR102395794B1 (ko) * 2015-10-13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542644B2 (ja) * 2015-11-13 2019-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6817478A (zh) * 2015-11-30 2017-06-09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避免短信内容被偷窥的方法、装置及终端
CN105516404B (zh) * 2015-12-11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手机套、基于手机套的手机控制方法及装置
KR102498502B1 (ko) * 2016-04-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7208760A (ja) * 2016-05-20 2017-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検知プログラム
KR101882198B1 (ko) * 2016-11-01 2018-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6858255B2 (ja) 2016-11-03 2021-04-14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ホール効果センサを使用して保護ケースが誤って端末上の画面をオフにすることを防止すること
CN106527863A (zh) * 2016-11-15 2017-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保护套的界面显示方法及装置
CN106878564A (zh) 2017-03-07 2017-06-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的控制方法及装置、显示屏和移动终端
KR102335552B1 (ko) * 2017-08-22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커버 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CN108039950A (zh) * 2017-12-21 2018-05-15 鸿秦(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fc的固态硬盘安全认证方法
CN110049176B (zh) * 2018-01-15 2021-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屏终端的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9212502A1 (en) * 2018-04-30 2019-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ent modifications based on touch inputs
KR102580884B1 (ko) * 2018-11-08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별한 커버들의 종류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219066B2 (ja) * 2018-11-30 2023-02-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134304A (zh) * 2019-03-29 2019-08-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5474A1 (en) * 2009-09-11 2011-03-17 Won Changbai Mobile terminal
US20120250241A1 (en) * 2011-03-30 2012-10-04 Takashi Minemur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DE20021027U1 (de) 2000-12-12 2001-05-17 Inventec Appliances Corp Persönlicher digitaler Assistent mit multifunktionalem Klappdeckel
KR100434460B1 (ko) 2001-10-16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
KR20050037245A (ko) 2003-10-17 2005-04-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크기 조절 방법
CN1883182A (zh) 2003-11-26 2006-12-20 三洋电机株式会社 移动通信设备及移动通信设备的画面切换方法
US8933813B2 (en) 2010-01-19 2015-01-13 T-Mobile Usa, Inc. Interactive electronic device shell
KR20120010348A (ko) 2010-07-26 2012-02-03 주식회사 미네르바 도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도서 관리 방법
KR101718026B1 (ko) 2010-09-06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35038B1 (ko) 2011-02-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5474A1 (en) * 2009-09-11 2011-03-17 Won Changbai Mobile terminal
US20120250241A1 (en) * 2011-03-30 2012-10-04 Takashi Minemur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8831B1 (en) 2018-10-10
EP2778831A1 (en) 2014-09-17
US9294596B2 (en) 2016-03-22
CN104049839B (zh) 2019-08-13
US20140274214A1 (en) 2014-09-18
KR20140112330A (ko) 2014-09-23
CN104049839A (zh)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727B1 (ko)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KR102051908B1 (ko)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US95145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ut image using image recognition
US201402794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payment in electronic device
US201401016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ask recommendation icon in a mobile device
US20140152623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3295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KR102028336B1 (ko) 복수 스크린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6261A (ko)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US201402605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sealing state of housing
KR20140026177A (ko) 스크롤링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36090B1 (ko) 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3158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
US10114496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463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40195990A1 (en) Mobile device system providing hybrid widget and associated control
KR20140113032A (ko)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244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착신호에 대한 알람 방법 및 장치
KR20130123794A (ko)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KR102218507B1 (ko) 라이브 박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9679B1 (ko) 입력 장치를 이용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KR102255988B1 (ko) 휴대 단말 장치의 시각 효과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장치
KR2014008987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