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92B1 -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 - Google Patents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92B1
KR102046392B1 KR1020180109620A KR20180109620A KR102046392B1 KR 102046392 B1 KR102046392 B1 KR 102046392B1 KR 1020180109620 A KR1020180109620 A KR 1020180109620A KR 20180109620 A KR20180109620 A KR 20180109620A KR 102046392 B1 KR102046392 B1 KR 10204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yoke
damper
diaphrag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화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진동판의 타측인 보빈의 단부측과 코일 사이의 보빈 부위에 댐퍼가 접착 결합되어 보빈을 지지한다. 그러면, 진동이 발생되는 진원(震源)인 코일에서 발생된 진동력이 보빈을 따라 진동판으로 전달될 때, 댐퍼측으로 진동력이 분기되지 않으므로, 진동판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손실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음질의 열화가 방지되므로, 음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 {Speaker having improved quality of sound}
본 발명은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란, 전기적 신호를 포함한 음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요부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는 프레임(11), 자기회로부(13) 및 음향발생부(15)를 포함한다.
자기회로부(13)는 프레임(11)에 지지된 요크(13a), 요크(13a)의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13b) 및 마그네트(13b)에 적층된 플레이트(13c)를 포함하며, 자기력을 발생한다.
음향발생부(15)는 일측은 자기회로부(13)의 내부에 위치된 보빈(15aa)과 보빈(15aa)의 일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5ab)을 가지는 보이스코일(15a)과 보빈(15aa)의 타단면측에 설치된 진동판(15b)을 포함하며, 전기력을 발생한다.
그리하여, 코일(15ab)에 전기적 신호를 포함한 음 신호가 공급되면, 자기회로부(13)에서 발생되는 자기력과 음향발생부(15)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하여, 보이스코일(15a)이 진동하고, 보이스코일(15a)에 의하여 진동판(15b)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그리고, 보빈(15aa)의 대략 중간 부위 외주에는 댐퍼(17)의 내주면측이 접착 결합되고, 댐퍼(17)의 외주면측은 프레임(11)에 지지된다. 댐퍼(17)는 보이스코일(15a)을 포함한 음향발생부(15)가 좌우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는 음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음향발생부(15)의 진원(震源)은 코일(15ab)이므로, 코일(15ab)에서 발생한 진동력이 보빈(15aa)을 따라 진동판(15b)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보빈(15aa)을 따라 진동판(15b)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의 일부는 보빈(15aa)의 중간 부위에 결합된 댐퍼(17)로 분기되어 손실되므로, 음질의 열화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음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향발생부의 진동판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댐퍼로 분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요크, 상기 요크의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에 적층된 플레이트를 가지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일측은 상기 요크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요크의 내부에 위치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타측 부위에 권선된 코일을 가지고, 자기력을 발생하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보빈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이스코일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음향발생부, 상기 음향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음향발생부의 진동을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의 내주면측은 상기 보빈의 타단부와 상기 코일 사이의 상기 보빈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진동판과 평행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된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프레임까지 연장되고, 상기 요크의 측부에는 상기 댐퍼의 외주면측을 지지하며, 상기 댐퍼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보빈과 진동판의 사이에 배치된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진동판의 타측인 보빈의 단부측과 코일 사이의 보빈 부위에 댐퍼가 접착 결합되어 보빈을 지지한다. 그러면, 진동이 발생되는 진원(震源)인 코일에서 발생된 진동력이 보빈을 따라 진동판으로 전달될 때, 댐퍼측으로 진동력이 분기되지 않으므로, 진동판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손실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음질의 열화가 방지되므로, 음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는 프레임(110), 자기회로부(130), 음향발생부(150) 및 댐퍼(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 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향이 방사되는 방향 및 면을 "전방 및 전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 및 후면"이라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방향 및 면을 "전방 및 전면"이라고 하고, 하측을 향하는 방향 및 면을 "후방 및 후면"이라 한다.
프레임(11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상대물(相對物)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만약, 후술할 음향발생부(150)의 진동판(155)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패널인 경우, 프레임(110)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 커버측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자기회로부(130)는 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자기력을 발생하고, 음향발생부(150)는 댐퍼(170)에 지지되어 전기력을 발생한다. 그리하여, 자기회로부(130)와 음향발생부(150)의 작용에 의하여 음향발생부(150)가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자기회로부(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회로부(130)는 요크(131), 마그네트(133) 및 플레이트(135)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131)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이 개방된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131)의 개방된 전단면(前端面)은 관통공(111) 외측의 프레임(110) 부위에 결합되어, 관통공(111)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13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요크(131)의 내부 후면에 설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135)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트(133)의 전면에 적층 설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35)는 관통공(11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관통공(111)의 내주면과 플레이트(135)의 외주면 사이에는 음향발생부(150)의 전기력을 발생하는 부위인 코일(151b)이 위치되는 갭(Gap)(G)이 형성될 수 있다. 요크(131)가 관통공(111)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요크(131)의 내주면과 마그네트(133)의 외주면 사이에는 갭(G) 보다 더 넓은 공간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음향발생부(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향발생부(150)는 보빈(151a)과 코일(151b)을 가지는 보이스코일(151) 및 진동판(155)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51a)의 전단부측은 요크(131)의 전면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후단부측은 지지공(111)을 관통하여 요크(13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151b)은 갭(G)과 대응되는 보빈(151a)의 후측 부위 외주면에 권선될 수 있다.
진동판(155)의 요크(131)의 전면 외측에 위치된 보빈(151a)의 전단부측에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진동판(155)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패널일 수 있고, 콘 형상의 다이아프람(Diaphram)일 수 있다. 보빈(151a)과 진동판(155)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보빈(151a)과 진동판(155)은 결합링(160)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기적 신호를 포함한 음 신호가 코일(151b)에 공급되면, 코일(151b)에서 발생되는 전기력과 자기회로부(13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코일(151b)을 포함한 보이스코일(151)이 진동하고, 이로 인해 진동판(155)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댐퍼(17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향발생부(150)를 지지한다. 그리고, 댐퍼(170)는 보빈(151a)이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향발생부(150)의 진동을 지지한다.
음향발생부(150)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진원(震源)은 코일(151b)이고, 코일(151b)에서 발생된 진동력이 보빈(151a)을 따라 진동판(155)에 전달된다. 그런데, 댐퍼(170)는 보빈(151a)의 외주면에 접착 결합되어 보빈(151a)의 진동을 지지하므로, 보빈(151a)과 댐퍼(170)의 접착 위치에 따라 코일(151b)에서 발생되어 보빈(151a)을 따라 진동판(155)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댐퍼(170)측으로 분기될 수 있다. 그러면, 진동판(155)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손실되므로, 음질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음향발생부(150)의 진동판(155)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댐퍼(170)로 분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댐퍼(170)의 내주면측은 보빈(151a)의 후단부측에 접착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댐퍼(170)의 내주면측은 보빈(151a)의 후단면과 코일(151b) 사이의 보빈(151a)의 외주면 부위에 접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170)의 외주면측은 요크(131)의 내주면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면, 진동이 발생되는 진원(震源)인 코일(151b)에서 발생된 진동력이 보빈(151a)을 따라 진동판(155)으로 전달될 때, 댐퍼(170)측으로 진동력이 분기되지 않으므로, 진동판(155)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손실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음질의 열화가 방지되므로,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댐퍼(170)의 외주면측은 요크(131)의 내주면에 설치된 지지부재(140)에 결합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프레임
130: 자기회로부
150: 음향발생부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요크, 상기 요크의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에 적층된 플레이트를 가지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일측은 상기 요크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요크의 내부에 위치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타측 부위에 권선된 코일을 가지고, 자기력을 발생하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보빈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이스코일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음향발생부;
    상기 음향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음향발생부의 진동을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의 내주면측은 상기 보빈의 타단부와 상기 코일 사이의 상기 보빈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진동판과 평행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된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프레임까지 연장되고,
    상기 요크의 측부에는 상기 댐퍼의 외주면측을 지지하며, 상기 댐퍼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보빈과 진동판의 사이에 배치된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요크의 개방된 일면은 상기 관통공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관통공 외측의 상기 프레임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삭제
KR1020180109620A 2018-09-13 2018-09-13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 KR102046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20A KR102046392B1 (ko) 2018-09-13 2018-09-13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20A KR102046392B1 (ko) 2018-09-13 2018-09-13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392B1 true KR102046392B1 (ko) 2019-11-19

Family

ID=6877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620A KR102046392B1 (ko) 2018-09-13 2018-09-13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3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352A (ko) * 2008-08-15 2010-02-24 신정열 스피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352A (ko) * 2008-08-15 2010-02-24 신정열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4160B2 (ja) スピーカ装置
KR101340704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위한 스피커 시스템
EP1617703B1 (en) Speaker apparatus using display window
US4176249A (en) Deleterious mechanical vibrations from dynamic loudspeaker offset by additional dynamic device
JP6572453B2 (ja) スピーカ装置
KR101911369B1 (ko) 양방향으로 음향을 복사할 수 있는 패널 가진형 스피커
US7570774B2 (en) Speaker having improved sound-radiating function to both directions
KR102014768B1 (ko) 2웨이 스피커
JP2002152884A (ja) スピーカ装置
KR20180098752A (ko) 향상된 방열 성능을 가진 패널 가진형 스피커
KR101843127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KR102032166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US8983104B2 (en) Ring-shaped speaker having two voice coils and control member
WO2014091598A1 (ja) スピーカ装置
KR102046392B1 (ko) 음질을 향상시킨 스피커
JP2008187598A (ja) スピーカ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870211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KR101844922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WO2020129262A1 (ja) 車載用スピーカ装置
KR102048000B1 (ko) 중저음 발생용 음향발생부를 구비한 패널 가진형 스피커
KR102044941B1 (ko) 중저음 발생용 음향발생부를 구비한 패널 가진형 스피커
JPH1141686A (ja) スピーカ装置
KR102070111B1 (ko) 스피커
KR102097375B1 (ko) 스피커
KR102038000B1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