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415B1 -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415B1
KR102043415B1 KR1020190080582A KR20190080582A KR102043415B1 KR 102043415 B1 KR102043415 B1 KR 102043415B1 KR 1020190080582 A KR1020190080582 A KR 1020190080582A KR 20190080582 A KR20190080582 A KR 20190080582A KR 102043415 B1 KR102043415 B1 KR 10204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ind speed
drone
photographing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19008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전에 설정되는 범위의 도서 지역별로 해당 도서 지역에 설치되는 전용의 드론을 이용하는 동시에 해당 도서 지역의 기상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지를 기반으로 현장 촬영 작업을 진행 후 이를 수치지도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이미지 통합처리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해당 도서 지역이 포함된 수치지도의 갱신이 작업자의 현장에 대한 직접 방문, 확인 및 촬영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짧은 주기로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영상도화기, 현장 촬영 장치 그리고 현장 촬영 장치의 한 형태인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는 드론 격납고, 제1 풍속 감지부, 제2 풍속 감지부, 드론, 메인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to synthesis photo image with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전에 설정되는 범위의 도서 지역별로 해당 도서 지역에 설치되는 전용의 드론을 이용하는 동시에 해당 도서 지역의 기상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지를 기반으로 현장 촬영 작업을 진행 후 이를 수치지도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이미지 통합처리센터에 통신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해당 도서 지역에 대한 수치지도의 정밀 합성 작업을 포함한 갱신 작업이 작업자의 현장에 대한 직접 방문, 확인 및 촬영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짧은 주기로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지도 또는 수치지도는 항공기에서 확보한 영상이미지(이하 “항공확보이미지”라 함)을 기반으로 제작된다. 부연 설명하면, 전자지도 또는 수치지도는 항공확보이미지 자체 또는 항공확보이미지를 기반으로 도화(혹은 영상도화, 이하 “영상도화”라 함)된 도화이미지와 다양하고 정밀하게 현장에서 확보된 영상이미지와의 합성처리를 통해 제작된다.
그리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009359호(2011.01.19.공고.)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공촬영이미지의 영상이미지 합성처리 과정에서 많은 미확인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가 단순화되어 실제 지형지물의 모습과 많은 차이를 나타내며, 이러한 영상이미지의 차이를 합성처리 등으로 최소화하여야 전자지도 또는 수치지도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혼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해당 수치지도가 나타내는 지역별 미확인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확보한 후 이를 합성처리로 반영하여 도화이미지를 작성하고, 이렇게 작성된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여 전자지도 또는 수치지도를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전자지도 또는 수치지도가 나타내는 지역에서 작업자가 카메라 내지 차량에 탑재된 촬영장비를 통해 해당 지역의 미확인 지형지물들을 촬영하므로 영상이미지를 확보하고, 이렇게 확보된 영상이미지, 다시 말해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하여 현장에서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 반영하여 해당 지형지물들이 포함된 최종 영상이미지를 작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서 지역의 경우 낮은 접근성으로 인해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현장 촬영 이미지를 확보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도서 지역을 대상으로하는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현장이미지 확보 작업이 매우 뜸하게 진행되면서, 도서 지역에 대한 수치지도의 정보가 상대적으로 낮은 측면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도서 지역의 경우 기상 변화가 심하여 원거리로부터 해당 도서 지역에 드론을 비행시켜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 작업을 시도하는 것도 비교적 여의치 못한 측면이 있었다.
부연 설명하면, 도서 지역의 각 도서를 대상으로 작업자가 직접적인 확인 및 현장 촬영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서도, 해당 도서에 대한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현장 촬영 작업이 수시로 진행되면서 확보된 영상미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여 반영하는 합성영상처리에 의한 수치지도의 영상 갱신처리 작업이 진행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매우 많은 도서 지역을 포함하고 있는바,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현장 촬영 작업이 수시로 진행되면서 확보된 영상미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여 영상처리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보다 큰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85037(2015.01.21.공고.), “미확인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820131호(2018.01.18.공고.), “불확실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349150호(2014.01.09.공고.), “불확실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촬영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전에 설정되는 범위의 도서 지역별로 해당 도서 지역에 설치되는 전용의 드론을 이용하고 해당 도서 지역의 기상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지를 기반으로 현장 촬영 작업을 진행하며 이를 수치지도에 합성처리하여 통합 관리하는 영상이미지 통합처리센터에 통신망을 경유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도서 지역에 대한 수치지도의 영상이미지 정밀 합성처리 작업을 포함한 갱신 작업이 작업자의 현장에 대한 직접 방문, 확인 및 촬영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짧은 주기로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은,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제1 DB(110) 및 상기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별 그 지역의 지형지물들에 대한 현장 촬영 이미지가 해당 항공촬영이미지의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제2 DB(120) 그리고 상기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 및 상기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제3 DB(130)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와, 상기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 및 상기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3 DB(130)의 도화이미지를 작성하고, 상기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의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제3 DB(130)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영상도화기(200)와, 상기 제2 DB(120)에 저장된 현장 촬영 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하여 해당 지형지물별 현장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제공하는 현장 촬영 장치(300)를 포함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 촬영 장치(300)에는 사전에 그 범위가 정해지는 도서 지역(I)들을 대상으로 상기 도서 지역(I)별 설치되는 전용의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310)가 포함되며, 상기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310)는, 상기 도서 지역(I)의 도서들 중 기준 도서(Ia)로써 사전에 정해진 기준 도서(Ia)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격납고 본체(3111) 및 상기 격납고 본체(3111)의 개방된 상부를 자동 개폐하는 격납고 도어(3112) 그리고 상기 격납고 도어(3112)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 개폐하는 도어 개폐 수단(3113)을 포함하는 드론 격납고(311)와; 상기 기준 도서(Ia)의 현재 풍속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드론 격납고(311)에 설치되며, 상기 격납고 본체(3111)에 결합되고 상부를 개방한 제1 센서 하우징(3121) 및 상기 제1 센서 하우징(3121)의 내측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는 제1 센서 지지대(3122) 그리고 상기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상단에 설치되며 그 작동 시기가 상기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과 동기화되어 상기 기준 도서(Ia)의 현재 풍속을 감지 후 실시간으로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1 풍속 센서(3123)를 포함하는 제1 풍속 감지부(312)와; 상기 도서 지역(I)의 각 부속 도서(Ib)별로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설치 면에 고정되는 제2 센서 하우징(3131) 및 상기 제2 센서 하우징(3131)의 내측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는 제2 센서 지지대(3132) 그리고 상기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상단에 설치되며 그 작동 시기가 상기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과 동기화되어 해당 부속 도서(Ib)의 현재 풍속을 감지 후 실시간으로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2 풍속 센서(3133) 및 상기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이 상기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 시기와 동기화되어 진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풍속 센서(3133)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1 무선통신모듈(3134)을 포함하는 센서 제어부(3135)를 포함하는 제2 풍속 감지부(313)와; 상기 드론 격납고(311)에 격납되며, 상기 기준 도서(Ia)를 시작으로 상기 도서 지역(I)의 각 부속 도서(Ib)들에 대한 현장 촬영 순서가 사전에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기준 도서(Ia) 및 각 부속 도서(Ib)들에 대한 GPS정보 기준의 촬영 지점들이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기준 도서(Ia)를 시작으로 상기 현장 촬영 순서에 따른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에 대한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가 상기 기준 도서(Ia) 및 각 부속 도서(Ib)들을 대상으로 개별 설정되며, 비행 개시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촬영된 현장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기 위한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이 설치되고, 현장 촬영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촬영장치(3142)가 탑재되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을 통해 수신되는 비행 개시 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현장 촬영 순서, 촬영 지점 정보,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의 정보들을 기반으로 자율 비행 및 자율 비행 간 현장 촬영 작업 후 상기 드론 격납고(311)로 복귀하는 드론(314)과; 상기 드론 격납고(31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풍속 감지부(312)와 접속되고, 상기 드론(314)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과 통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 및 상기 제2 풍속 감지부(313)들의 제1 무선통신모듈(3134)과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모듈(3152)을 구비하며, 상기 드론(314)의 자율비행 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 풍속이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드론(314)의 자율 비행 주기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자율 비행 주기에 따른 자율 비행 시작 시점마다 상기 제1 풍속 감지부(3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무선통신모듈(3152)을 통해 상기 제2 풍속 감지부(313)들의 제1 무선통신모듈(3134)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센서 지지대(3122) 및 제1 풍속 센서(3123) 그리고 상기 제2 센서 지지대(3132)들 및 제2 풍속 센서(3133)들이 작동되게 한 다음, 상기 제1 풍속 센서(3123)로부터 전송되는 풍속이 상기 임계 풍속 이하일 경우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상기 드론(314)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에 비행 개시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비행 개시 신호에는 상기 제2 풍속 센서(3133)들로부터 개별 전송된 각 부속 도서별 풍속이 포함되며, 자율 비행 후 상기 드론 격납고(311)로 복귀한 드론(314)이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을 통해 전송하는 현장 촬영 이미지를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수신하는 메인 제어부(315)와;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315)에 수신되어 출력되는 상기 드론(314)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전송하는 통신부(316)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314)은 상기 부속 도서(Ib)별 상기 제2 풍속 감지부(313)를 통해 감지된 풍속을 기반으로, 상기 현장 촬영 순서에 따른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로 자율 비행 진행 시 상기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 중 어느 경로를 통해 자율 비행을 진행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에 설정되는 범위의 도서 지역별로 해당 도서 지역에 설치되는 전용의 드론을 이용하는 동시에 해당 도서 지역의 기상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지를 기반으로 현장에서 영상이미지 확보 작업 진행 후 이를 수치지도에 합성처리하여 통합 관리하는 영상이미지 통합처리센터에 통신망을 경유하여 자동 제공함으로써, 해당 도서 지역에 대한 수치지도의 영상이미지 정밀 합성처리 작업이 포함된 갱신 작업이 작업자가 현장을 직접 방문, 확인 및 영상이미지 확보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짧은 주기로 정확하게 합성처리로 갱신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에 포함된 드론 격납고 및 제2 풍속 감지부의 기계적 구성을 각각 예시한 측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영상도화기(200), 현장 촬영 장치(300) 그리고 현장 촬영 장치(300)의 한 형태인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는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제1 DB(110) 및 이러한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별 그 지역의 지형지물들에 대한 현장 촬영 이미지가 해당 항공촬영이미지의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제2 DB(120) 그리고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 및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제3 DB(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도화기(200)는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 및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3 DB(130)의 도화이미지를 작성하고,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의 변화를 반영하여 제3 DB(130)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장 촬영 장치(300)는 제2 DB(120)에 저장된 현장 촬영 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하여 해당 지형지물별 현장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310)는 사전에 그 범위가 정해지는 도서 지역(I)들을 대상으로 해당 도서 지역(I)별 전용으로 설치되어 해당 도서 지역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획득 후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310)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에 포함된 드론 격납고 및 제2 풍속 감지부의 기계적 구성을 각각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310)는 드론 격납고(311), 제1 풍속 감지부(312), 제2 풍속 감지부(313), 드론(314), 메인 제어부(315) 및 통신부(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론 격납고(311)는 도서 지역(I)의 도서들 중 기준 도서(Ia)로써 사전에 정해진 기준 도서(Ia)에 설치되며, 이러한 드론 격납고(311)는 상부가 개방된 격납고 본체(3111), 격납고 본체(3111)의 개방된 상부를 자동 개폐하는 격납고 도어(3112) 그리고 격납고 도어(3112)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 개폐하는 도어 개폐 수단(3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도어 개폐 수단(3113)은 후술되는 메인 제어부(3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격납고 도어(3112)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도어 개폐 수단(3113)이 격납고 도어(3112)를 개폐하는 구성은 공지된 관련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제1 풍속 감지부(312)는 기준 도서(Ia)의 현재 풍속을 감지하기 위해 드론 격납고(311)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1 풍속 감지부(312)는 격납고 본체(3111)에 결합되고 상부를 개방한 제1 센서 하우징(3121), 제1 센서 하우징(3121)의 내측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는 제1 센서 지지대(3122),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상단에 설치되며 그 작동 시기가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과 동기화되어 기준 도서(Ia)의 현재 풍속을 감지 후 실시간으로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1 풍속 센서(3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 센서 지지대(3122)는 메인 제어부(3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제1 풍속 센서(3123)는 감지된 풍속을 메인 제어부(315)에 전송한다. 또한, 제1 센서 지지대(3122)가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는 구성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제2 풍속 감지부(313)은 도서 지역(I)의 각 부속 도서(Ib)별로 설치되며, 이러한 제2 풍속 감지부(313)는 제2 센서 하우징(3131), 제2 센서 지지대(3132), 제2 풍속 센서(3133) 및 센서 제어부(3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센서 하우징(3131)은 상부가 개방되며, 이러한 제2 센서 하우징(3131)은 설치 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2 센서 지지대(3132)는 제2 센서 하우징(3131)의 내측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제2 센서 지지대(3132)는 외부의 제어신호, 다시 말해 센서 제어부(3135)의 제어신호에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한다. 여기서, 제2 센서 지지대(3132)가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는 구성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제2 풍속 센서(3133)는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상단에 설치되며, 그 작동 시기가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과 동기화되어 해당 부속 도서(Ib)의 현재 풍속을 감지 후 실시간으로 외부의 수신 대상, 다시 말해 센서 제어부(3135)에 전송한다.
센서 제어부(3135)는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이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 시기와 동기화되어 진행되도록 제어하며, 제2 풍속 센서(3133)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1 무선통신모듈(3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센서 제어부(3135)는 제2 풍속 센서(3133)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무선통신모듈(3134)을 통헤 메인 제어부(315)에 전송한다.
드론(314)은 드론 격납고(311)에 격납되며, 기준 도서(Ia)를 시작으로 도서 지역(I)의 각 부속 도서(Ib)들에 대한 현장 촬영 순서가 사전에 설정되는 동시에 기준 도서(Ia) 및 각 부속 도서(Ib)들에 대한 GPS정보 기준의 촬영 지점들이 사전에 설정된다. 그리고 드론(314)은 기준 도서(Ia)를 시작으로 상기 현장 촬영 순서에 따른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에 대한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가 기준 도서(Ia) 및 각 부속 도서(Ib)들을 대상으로 개별 설정된다.
또한, 드론(314)은 비행 개시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촬영된 현장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기 위한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이 설치되며, 현장 촬영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촬영장치(3142)가 탑재된다. 부연 설명하면, 드론(314)은 메인 제어부(315)의 비행 개시 신호를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을 통해 수신하며, 촬영된 현장 촬영 이미지를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을 통해 메인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드론(314)은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을 통해 수신되는 비행 개시 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현장 촬영 순서, 촬영 지점 정보,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의 정보들을 기반으로 자율 비행 및 자율 비행 간 현장 촬영 작업 후 드론 격납고(311)로 복귀한다. 부연 설명하면, 드론(314)은 제2 풍속 감지부(313)들을 통해 전송되는 각 부속 도서(Ib)별 풍속에 따라, 기준 도서(Ia)로부터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에 대해 직선 연결 경로로 비행할 지 아니면 우회 통과 경로로 비행하면서 해당 부속 도서(Ib)를 우회하여 지나쳐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로 비행할 지 결정하고, 또한 현재 부속 도서(Ib)로부터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에 대해 직선 연결 경로로 비행할 지 아니면 우회 통과 경로로 비행하면서 해당 부속 도서(Ib)를 우회하여 지나쳐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로 비행할 지 결정한다.
메인 제어부(315)는 드론 격납고(311)에 설치되며, 이러한 메인 제어부(315)는 제1 풍속 감지부(312)와 접속되고, 드론(314)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과 통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 및 제2 풍속 감지부(313)들의 제1 무선통신모듈(3134)과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모듈(3152)을 구비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315)는 드론(314)의 자율비행 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 풍속이 사전에 설정되고, 드론(314)의 자율 비행 주기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자율 비행 주기에 따른 자율 비행 시작 시점마다 제1 풍속 감지부(3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제2 무선통신모듈(3152)을 통해 제2 풍속 감지부(313)들의 제1 무선통신모듈(3134)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센서 지지대(3122) 및 제1 풍속 센서(3123) 그리고 제2 센서 지지대(3132)들 및 제2 풍속 센서(3133)들이 작동되게 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315)는 제1 풍속 센서(3123) 및 제2 풍속 센서(3133)의 작동에 따른 풍속 정보를 수신하며, 제1 풍속 센서(3123)로부터 전송되는 풍속이 상기 임계 풍속 이하일 경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드론(314)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에 비행 개시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비행 개시 신호에는 제2 풍속 센서(3133)들로부터 개별 전송된 각 부속 도서별 풍속이 포함되어 전송된다.
또한, 메인 제어부(315)는 자율 비행 후 드론 격납고(311)로 복귀한 드론(314)이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을 통해 전송하는 현장 촬영 이미지를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수신한다.
통신부(316)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메인 제어부(315)에 수신되어 출력되는 드론(314)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론(314)은 부속 도서(Ib)별 제2 풍속 감지부(313)를 통해 감지된 풍속을 기반으로, 상술한 현장 촬영 순서에 따른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로 자율 비행 진행 시 상술한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 중 어느 경로를 통해 자율 비행을 진행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드론(314)에는 각 부속 도서(Ib)의 제2 풍속 감지부(313)를 대상으로 상기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의 선택을 위한 임계 풍속이 개별 설정됨으로써, 이러한 기설정된 임계 풍속 및 해당 제2 풍속 감지부(313)의 감지된 풍속을 기반으로 해당 부속 도서(Ib)에 대한 자율 비행 경로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되는 범위의 도서 지역(I)별로 해당 도서 지역(I)에 설치되는 전용의 드론(314)을 이용하는 동시에 해당 도서 지역(I)의 기상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지를 기반으로 현장 촬영 작업을 진행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통신망을 통해 자동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를 갖추고 수치지도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이미지 통합처리센터에서 해당 도서 지역(I)들에 대한 업데이트용 현장 촬영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자동 제공받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도서 지역(I)이 포함된 수치지도의 정밀 합성 작업을 포함한 갱신 작업이 작업자의 현장에 대한 직접 방문, 확인 및 촬영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짧은 주기로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데이터베이스 서버 110 : 제1 DB
120 : 제2 DB 130 : 제3 DB
200 : 영상도화기 300 : 현장 촬영 장치
310 :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 311 : 드론 격납고
3111 : 격납고 본체 3112 : 격납고 도어
3113 : 도어 개폐 수단 312 : 제1 풍속 감지부
3121 : 제1 센서 하우징 3122 : 제1 센서 지지대
3123 : 제1 풍속 센서 313 : 제2 풍속 감지부
3131 : 제2 센서 하우징 3132 : 제2 센서 지지대
3133 : 제2 풍속 센서 3134 : 제1 무선통신모듈
3135 : 센서 제어부 314 : 드론
3141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3142 : 촬영장치
315 : 메인 제어부 3151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3152 : 제2 무선통신모듈 316 : 통신부
I : 도서 지역 Ia : 기준 도서
Ib : 부속 도서

Claims (1)

  1.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제1 DB(110) 및 상기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별 그 지역의 지형지물들에 대한 현장 촬영 이미지가 해당 항공촬영이미지의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제2 DB(120) 그리고 상기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 및 상기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제3 DB(130)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와, 상기 제1 DB(110)의 항공촬영이미지 및 상기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3 DB(130)의 도화이미지를 작성하고, 상기 제2 DB(120)의 현장 촬영 이미지의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제3 DB(130)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영상도화기(200)와, 상기 제2 DB(120)에 저장된 현장 촬영 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하여 해당 지형지물별 현장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제공하는 현장 촬영 장치(300)를 포함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 촬영 장치(300)에는 사전에 그 범위가 정해지는 도서 지역(I)들을 대상으로 상기 도서 지역(I)별 설치되는 전용의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310)가 포함되며,
    상기 도서지역 현장 촬영 장치(310)는
    상기 도서 지역(I)의 도서들 중 기준 도서(Ia)로써 사전에 정해진 기준 도서(Ia)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격납고 본체(3111) 및 상기 격납고 본체(3111)의 개방된 상부를 자동 개폐하는 격납고 도어(3112) 그리고 상기 격납고 도어(3112)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 개폐하는 도어 개폐 수단(3113)을 포함하는 드론 격납고(311);
    상기 기준 도서(Ia)의 현재 풍속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드론 격납고(311)에 설치되며, 상기 격납고 본체(3111)에 결합되고 상부를 개방한 제1 센서 하우징(3121) 및 상기 제1 센서 하우징(3121)의 내측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는 제1 센서 지지대(3122) 그리고 상기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상단에 설치되며 그 작동 시기가 상기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과 동기화되어 상기 기준 도서(Ia)의 현재 풍속을 감지 후 실시간으로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1 풍속 센서(3123)를 포함하는 제1 풍속 감지부(312);
    상기 도서 지역(I)의 각 부속 도서(Ib)별로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설치 면에 고정되는 제2 센서 하우징(3131) 및 상기 제2 센서 하우징(3131)의 내측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을 하는 제2 센서 지지대(3132) 그리고 상기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상단에 설치되며 그 작동 시기가 상기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과 동기화되어 해당 부속 도서(Ib)의 현재 풍속을 감지 후 실시간으로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2 풍속 센서(3133) 및 상기 제2 센서 지지대(313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이 상기 제1 센서 지지대(3122)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작동 시기와 동기화되어 진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풍속 센서(3133)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1 무선통신모듈(3134)을 포함하는 센서 제어부(3135)를 포함하는 제2 풍속 감지부(313);
    상기 드론 격납고(311)에 격납되며, 상기 기준 도서(Ia)를 시작으로 상기 도서 지역(I)의 각 부속 도서(Ib)들에 대한 현장 촬영 순서가 사전에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기준 도서(Ia) 및 각 부속 도서(Ib)들에 대한 GPS정보 기준의 촬영 지점들이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기준 도서(Ia)를 시작으로 상기 현장 촬영 순서에 따른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에 대한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가 상기 기준 도서(Ia) 및 각 부속 도서(Ib)들을 대상으로 개별 설정되며, 비행 개시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촬영된 현장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기 위한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이 설치되고, 현장 촬영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촬영장치(3142)가 탑재되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을 통해 수신되는 비행 개시 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현장 촬영 순서, 촬영 지점 정보,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의 정보들을 기반으로 자율 비행 및 자율 비행 간 현장 촬영 작업 후 상기 드론 격납고(311)로 복귀하는 드론(314);
    상기 드론 격납고(31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풍속 감지부(312)와 접속되고, 상기 드론(314)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과 통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 및 상기 제2 풍속 감지부(313)들의 제1 무선통신모듈(3134)과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모듈(3152)을 구비하며, 상기 드론(314)의 자율비행 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 풍속이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드론(314)의 자율 비행 주기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자율 비행 주기에 따른 자율 비행 시작 시점마다 상기 제1 풍속 감지부(3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무선통신모듈(3152)을 통해 상기 제2 풍속 감지부(313)들의 제1 무선통신모듈(3134)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센서 지지대(3122) 및 제1 풍속 센서(3123) 그리고 상기 제2 센서 지지대(3132)들 및 제2 풍속 센서(3133)들이 작동되게 한 다음, 상기 제1 풍속 센서(3123)로부터 전송되는 풍속이 상기 임계 풍속 이하일 경우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상기 드론(314)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에 비행 개시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비행 개시 신호에는 상기 제2 풍속 센서(3133)들로부터 개별 전송된 각 부속 도서별 풍속이 포함되며, 자율 비행 후 상기 드론 격납고(311)로 복귀한 드론(314)이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41)을 통해 전송하는 현장 촬영 이미지를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수신하는 메인 제어부(315);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151)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315)에 수신되어 출력되는 상기 드론(314)의 현장 촬영 이미지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전송하는 통신부(316)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314)은 상기 부속 도서(Ib)별 상기 제2 풍속 감지부(313)를 통해 감지된 풍속을 기반으로, 상기 현장 촬영 순서에 따른 다음 촬영 순서의 부속 도서(Ib)로 자율 비행 진행 시 상기 직선 연결 경로 및 우회 통과 경로 중 어느 경로를 통해 자율 비행을 진행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190080582A 2019-07-04 2019-07-04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4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82A KR102043415B1 (ko) 2019-07-04 2019-07-04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82A KR102043415B1 (ko) 2019-07-04 2019-07-04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415B1 true KR102043415B1 (ko) 2019-12-03

Family

ID=6883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582A KR102043415B1 (ko) 2019-07-04 2019-07-04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777B1 (ko) * 2022-07-05 2023-01-10 (주)미도지리정보 항공이미지를 활용하여 수치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영상 도화 시스템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30B1 (ko) * 2009-10-12 2011-04-12 제일항업(주) 항공사진 촬영용 카메라의 초점위치 안정화 지지대를 이용한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영상 이미지의 업데이트방법
KR101207471B1 (ko) * 2012-05-10 2012-12-03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이미지 보정용 지아이에스 정보 영상도화처리시스템
KR101210543B1 (ko) * 2012-05-09 2012-12-14 (주)미도지리정보 기존 지리정보 및 갱신 지리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1221662B1 (ko) * 2012-05-09 2013-01-21 (주)미도지리정보 도화이미지의 지피에스 별 변화상태 확인이 가능한 수치지도 전용 영상도화 업데이트시스템
KR101225724B1 (ko) * 2012-05-08 2013-01-24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지형지물의 변화 확인을 통한 원격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349150B1 (ko) 2013-10-08 2014-01-09 제일항업(주) 불확실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촬영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1485037B1 (ko) 2014-09-12 2015-01-21 (주)대한지적기술단 미확인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517821B1 (ko) * 2014-06-23 2015-05-07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517824B1 (ko) * 2014-05-21 2015-05-18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형지물의 위치변화를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 시스템
KR101791957B1 (ko) * 2017-06-28 2017-11-0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791955B1 (ko) * 2017-06-26 2017-11-0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측량정보의 오차발생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준 측지측량 장치
KR101820131B1 (ko) 2017-08-30 2018-01-18 주식회사 유성 불확실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1928828B1 (ko) * 2018-10-29 2018-12-17 대원항업 주식회사 기준점의 영상도화를 합성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930820B1 (ko) * 2018-09-28 2018-12-19 제일항업(주)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20190048688A (ko) * 2017-10-31 2019-05-09 (주)메타파스 드론을 이용한 자율 비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30B1 (ko) * 2009-10-12 2011-04-12 제일항업(주) 항공사진 촬영용 카메라의 초점위치 안정화 지지대를 이용한 기준점 데이터가 적용된 수치영상 이미지의 업데이트방법
KR101225724B1 (ko) * 2012-05-08 2013-01-24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지형지물의 변화 확인을 통한 원격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210543B1 (ko) * 2012-05-09 2012-12-14 (주)미도지리정보 기존 지리정보 및 갱신 지리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1221662B1 (ko) * 2012-05-09 2013-01-21 (주)미도지리정보 도화이미지의 지피에스 별 변화상태 확인이 가능한 수치지도 전용 영상도화 업데이트시스템
KR101207471B1 (ko) * 2012-05-10 2012-12-03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이미지 보정용 지아이에스 정보 영상도화처리시스템
KR101349150B1 (ko) 2013-10-08 2014-01-09 제일항업(주) 불확실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촬영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1517824B1 (ko) * 2014-05-21 2015-05-18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형지물의 위치변화를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 시스템
KR101517821B1 (ko) * 2014-06-23 2015-05-07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485037B1 (ko) 2014-09-12 2015-01-21 (주)대한지적기술단 미확인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791955B1 (ko) * 2017-06-26 2017-11-0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측량정보의 오차발생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준 측지측량 장치
KR101791957B1 (ko) * 2017-06-28 2017-11-0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820131B1 (ko) 2017-08-30 2018-01-18 주식회사 유성 불확실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20190048688A (ko) * 2017-10-31 2019-05-09 (주)메타파스 드론을 이용한 자율 비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930820B1 (ko) * 2018-09-28 2018-12-19 제일항업(주)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1928828B1 (ko) * 2018-10-29 2018-12-17 대원항업 주식회사 기준점의 영상도화를 합성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777B1 (ko) * 2022-07-05 2023-01-10 (주)미도지리정보 항공이미지를 활용하여 수치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영상 도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921B1 (ko) 태그 장치로 표찰붙인 대상을 카메라로 주시하기 위한 시스템
CN105556329B (zh) 混合照片导航及地图绘制
US9025033B2 (en) Surveillance camera and method for calibrating the survelliance camera using a calibration tool
KR102664900B1 (ko) 드론을 이용한 지상기준점 측량장치 및 그 방법
US11796682B2 (en) Methods for geospatial positioning and portable positioning devices thereof
CN110716586A (zh) 无人机的拍照控制方法、装置、无人机和存储介质
JPWO201819863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10337863B2 (en) Survey system
US20190068952A1 (en) Photogrammetric system and photogrammetric method
JP2017201757A (ja) 画像取得システム、画像取得方法、画像処理方法
KR102043415B1 (ko)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20100029715A (ko) 촬영대상의 벡터정보 생성 장치와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KR101885785B1 (ko) 드론을 이용한 측량시스템
KR102029334B1 (ko) 지피에스 정보의 해당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한 영상처리 시스템
JP2018128437A (ja) 測量装置、及び測量システム
US8559757B1 (en) Photogrammetric method and system for stitching and stabilizing camera images
KR100942278B1 (ko)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촬영이미지의 편집 및 정밀 항공촬영시스템
KR20190063058A (ko) 드론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JP3527160B2 (ja) 撮影指示システム、撮影指示方法及び記録媒体
KR102402949B1 (ko) 정밀도가 향상된 영상 정보의 획득 방법
JP2012029033A (ja) カメラ
JP2009031206A (ja) 位置測定装置
JP2019219874A (ja) 自律移動撮影制御システムおよび自律移動体
KR101552407B1 (ko) 동일 장소에서의 시간을 초월한 동반 촬영 시스템 및 방법
US11272090B2 (en) Event data and location-linked spherical im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