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987B1 -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987B1
KR102042987B1 KR1020180038065A KR20180038065A KR102042987B1 KR 102042987 B1 KR102042987 B1 KR 102042987B1 KR 1020180038065 A KR1020180038065 A KR 1020180038065A KR 20180038065 A KR20180038065 A KR 20180038065A KR 102042987 B1 KR102042987 B1 KR 10204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dy
cargo
suction
tan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543A (ko
Inventor
조성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성특장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성특장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성특장차
Priority to KR102018003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2Ramp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Arrangements of access openings or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흡입구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량과 흡입력의 조절이 가능한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은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화물이 충전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탱크바디의 내부에 충전되는 화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바디 내부의 화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탱크바디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탱크바디 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바디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는 외부배출부와, 일측이 상기 외부배출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탱크바디의 내부의 바닥면의 가장 낮은 지점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내부배출부와, 상기 내부배출부의 타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탱크바디 내의 화물의 양에 따라 상기 흡입부의 바닥면과 탱크바디부 내부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벌크탱크 배출시스템{Exhaust system for bulktank}
본 발명은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흡입구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배출량과 흡입력의 조절이 가능한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벌크 탱크는 일반적으로 시멘트, 사료, 곡물 등의 분체를 보관하고 운반하기 위한 용기로서, 벌크 탱크 운반차량에 설치되어 탱크 내부에 그러한 시멘트, 사료, 곡물 등의 입자성 화물을 적재하여 이를 목적지까지 운송한 후 에어공급라인을 통해 탱크의 내부에 고압의 에어를 가압시켜 화물을 사일로(창고)등으로 옮기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벌크 탱크는 크게 화물이 충전되는 탱크와 이러한 탱크로 화물을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탱크 내부의 화물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로 이루어진다. 그 중 탱크는 일반적으로 내부의 화물이 충전될 때 아래부터 차곡차곡 쌓일 수 있도록 측벽이 경사지거나 만곡지게 형성되고 바닥면이 한 지점 또는 두 지점을 최저점으로 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충전부는 탱크의 상측에 홀의 형태로 존재하여 홀을 통하여 자중에 의해 화물이 투입되도록 구성되며, 재료의 투입후에는 홀을 덮개로 덮은 형식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탱크 내부의 화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의 경우에는 기계식 이송, 송풍기를 이용한 이송 등 여러가지 방식이 사용되며, 원활한 이송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한 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7879호에는 호파, 개폐형 사료 투입구 및 호파의 일측단과 연통된 사료 배출관로를 포함하는 저장탱크가 장착된 사료운반 차량에 있어서, 전기 저장탱크는 다수의 격실을 포함하고, 전기 각 격실은 호파, 개폐형 사료 투입구, 사료 배출관로, 호파의 벽면에 연통된 공기압 이송관로 및 호파와 공기압 이송관로 사이에 구비된 캔버스 여과장치를 포함하며, 전기 저장탱크의 외부에 컴프레셔가 위치하고, 전기 컴프레셔는 전기 공기압 이송관로와 공기압 유도관로를 통하여 연통되며, 전기 공기압 유도관로와 사료 배출관로는 연결관로를 통하여 연통되는 방식의 공기압 배출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7296호에는 배출구가 저면에 형성되고, 경판에 의해 그 내부에 에어버퍼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의 에어흐름이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압력유지수단과, 상기 저장탱크 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버퍼 공간과 연통되는 에어공급 캔버스관을 포함하는 벌크 트레일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출시스템 또는 그러한 배출시스템을 갖춘 벌크 탱크나 트레일러는 탱크 내부의 화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흡입하는 흡입구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 내부의 재료의 종류나 양에 따라 흡입력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송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7879호
(특허문헌2)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729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구와 바닥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량과 흡입력의 조절이 가능한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화물이 충전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탱크바디의 내부에 충전되는 화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바디 내부의 화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탱크바디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탱크바디 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바디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는 외부배출부와, 일측이 상기 외부배출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탱크바디의 내부의 바닥면의 가장 낮은 지점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내부배출부와, 상기 내부배출부의 타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탱크바디 내의 화물의 양에 따라 상기 흡입부의 바닥면과 탱크바디부 내부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탱크바디부 내측면에 설치되되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댐퍼와 일단이 상기 댐퍼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바디부 내부의 화물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댐퍼에 가해지는 압력이 늘어남으로써 상기 댐퍼의 램이 탱크 외부로 밀려나가 상기 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흡입부가 상승되고 상기 탱크바디 내부의 화물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댐퍼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듦으로써 상기 댐퍼의 램이 탱크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풀어져 상기 흡입부가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레와, 상기 내부배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도르레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흡입부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바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바를 하방으로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흡입부는 화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화물의 흡입시 상기 화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에 상기 내부배출부의 타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의하면, 배출부와 바닥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탱크 내부에 화물의 양이 많은 경우 거리를 넓힘으로써 배출양을 늘리고 화물의 양이 적을 경우 거리를 좁힘으로써 흡입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의하면, 화물의 양에 따라 탱크 내부로 투입되는 공기에 의한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부와 바닥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의 정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의 요부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의 작동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은 내부에 시멘트, 사료, 곡물 등의 입자성 화물이 충전된 탱크바디(100) 내의 화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외부배출부(200), 내부배출부(300), 흡입부(400), 조절부(500) 및 에어공급부(600)를 포함한다.
우선, 탱크바디(100)에 관하여 설명하면, 탱크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화물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는 입자성 화물이 충전되며, 충전되는 화물이 배출되는 경우 가장 낮은 지점으로 자연스럽게 모여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지점 또는 두 지점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따라 탱크바디(100) 내부의 화물은 자연스럽게 탱크바디(100)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모여들어 내부배출부(300)와 외부배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외부배출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바디(100)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어 탱크바디(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배출부(200)의 일단은 탱크바디(100)의 외측에 위치하며, 타단은 탱크바디(1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탱크바디(100) 내부의 화물이 외부배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내부배출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외부배출부(20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탱크바디(100)의 바닥면의 가장 낮은 지점을 향해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배출부(300)의 타측 단부에는 화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40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400)가 탱크바디(100)의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탱크바디(100) 내의 화물이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탱크바디(100)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모여들게 되면서 화물이 탱크바디(100) 내에 잔류하지 않고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흡입부(400)는 내부배출부(300)의 단부에 결합되며, 화물을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흡입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외측을 향해 확장 형성되는 흡입에 유리한 구조로 형성되는 흡입구(410)와, 이러한 흡입구(410)와 내부배출부(300)가 끼워서 슬라이딩 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420)를 가진다.
흡입구(410)는 직접 화물을 흡입하는 역할을 하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배출부(300)의 관의 직경과 같은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420)는 흡입부(400)가 내부배출부(300)의 단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및 화물의 흡입시에 화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420)의 슬라이딩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부(420)는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흡입부(400) 및 내부배출부(300)의 단부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맞추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절부(500)는 흡입부(400)를 상하로 이동시켜 흡입부(400)의 바닥면과 탱크바디(10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부(500)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동작되는 매커니즘을 구성함으로써 화물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조절부(500)는 댐퍼(510), 와이어(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르레(530), 지지바(540), 가이드바(550), 가압스프링(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500)는 탱크바디(100) 내부의 화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흡입부(400)의 바닥면과 탱크바디(10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흡입면적을 늘이는 효과를 봄과 동시에 배출양을 늘리도록 조절되며, 화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흡입부(400)의 바닥면과 탱크바디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흡입면적을 줄이는 효과를 봄과 동시에 흡입력을 높이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조절부(500)는 탱크바디(100) 내부의 화물의 잔량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시간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화물의 배출시 탱크바디(100)에는 에어공급부(600)로부터 압축공기가 투입된다. 이렇게 압축공기를 투입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을 올리며, 이때, 배출을 위해 외부배출부(200)을 열게되면 투입된 압축공기가 압력이 낮은 내부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배출부(200)로 빠져나가면서 화물이 운송된다. 그런데, 탱크바디(100) 내부의 화물의 잔량에 따라 탱크바디(100)의 내부의 빈 공간의 크기가 달리지기 때문에 배출을 위한 압력까지 올리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달라진다.. 다시말해, 투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 및 시간당 공급량은 일정한데 탱크바디(100) 내부에 화물의 잔량이 많은 경우에는 빈 공간이 작기 때문에 압력이 빠르게 올라가며 그 반대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올라간다.
그리고, 배출이 시작되면 화물이 양이 줄어들수록 탱크바디(100) 내부의 빈 공간이 늘어나면서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엄밀하게는 빈 공간의 크기에 따라 배출에 걸리는 시간이 달라지지만, 실질적으로는 탱크바디(100) 내부의 화물의 잔량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고 표현될 수 있다.
댐퍼(510)는 탱크바디(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댐퍼(510)는 탱크바디(100)에서 외부배출부(200)가 관통하는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와이어 결합 등의 용이함을 위하여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배출부(200)와는 다른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댐퍼(510)와 내부배출부(300)가 서로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표현되어 있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탱크바디(100)의 내측면에 설치하기 용이한 위치에 제한없이 설치될 수 있다.
댐퍼(510)는 실린더(512), 램(511)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램(511)이 실린더(512)에서 진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탱크바디(100) 내에 화물이 많은 경우에는 가해지는 압력도 늘어나므로 램(511)이 탱크바디(100)의 외측으로 밀려 나가게 되며, 화물이 적어지는 경우 그에 맞추어 가해지는 압력도 점점 감소하므로 램(511)이 탱크바디(100)의 내측으로 점점 밀려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댐퍼(510)에 와이어(520)가 결합되고 그러한 와이어(520)에 연결되는 흡입부(400)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은 탱크바디(100) 내부의 화물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흡입량과 흡입력이 조절된다.
와이어(520)는 일단이 댐퍼(510)의 램(511)에 결합되며, 타단이 흡입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520)는 도르레(53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며, 타단의 단부에 흡입부(400)가 직접 결합될 수 있으나, 안정적인 결합 및 하방으로의 가압 등을 위하여 가이드바(55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바(54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배출부(300)에 용접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도르레(530)를 고정하는 역할 및 가이드바(5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바(540)는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배출부(300)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르레(530)는 지지바(540)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와이어(520)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르레(530)는 공지의 도르레(530)가 적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바(550)는 지지바(5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어(520)와 흡입부(4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바(550)에 의해 댐퍼(510)의 동작에 따라 흡입부(400)가 와이어(520)와 일체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바(550)는 내부배출부(300)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부배출부(30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는 와이어(520)가 결합되고 하측에는 흡입부(400)가 결합된다.
가이드바(550)의 상측에는 가압스프링(56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압스프링(560)으로 인해 가이드바(550) 및 흡입부(400)는 하방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탱크바디(100) 내부에 화물이 많은 경우에는 댐퍼(510)의 램(511)이 탱크바디(10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흡입부(400)가 상승되며, 화물이 없거나 적은 경우에 가압스프링(560)으로 인해 가이드바(550)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댐퍼(510)의 램(511)이 탱크바디(100) 내측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그와 연결된 흡입부(400)도 그에 맞추어 점점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에어공급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바디(100)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에어공급부(600)는 탱크바디(100)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어 탱크바디(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개폐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외부와 탱크바디(10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공급부(600)의 일단은 탱크바디(100)의 외측에 위치하며, 타단은 탱크바디(1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필요시 탱크바디(10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그에 따른 작동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우선 탱크바디(100) 내에 압력이 없는 경우 흡입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스프링(560)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에어공급부(600)로 압축공기가 유입되게 되면 탱크바디(100) 내부의 압력이 늘어남에 따라 그 하중에 의해 댐퍼(510)가 가압되고 그에 따라 램(511)이 탱크바디(100) 외부로 인출되면서 와이어(520)가 당겨져 점점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흡입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점까지 상강하게 된다.
이후, 탱크바디(100) 내부의 화물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처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400)가 최고점인 상태에서 흡입구(410)를 통해 배출이 시작되며, 점점 탱크바디(100) 내의 화물이 줄어듦에 따라 댐퍼(5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램(511)이 탱크바디(100) 내부로 인입되면서 와이어(520)가 풀어져 가압스프링(560)에 의해 흡입부(42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점 하방으로 하강되면서 흡입력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흡입부(400)와 바닥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탱크 내부에 화물의 양이 많은 경우 거리를 넓힘으로써 배출양을 늘리고 화물의 양이 적을 경우 거리를 좁힘으로써 흡입력을 높힐 수 있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탱크바디(1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부와 바닥의 거리가 조절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탱크바디 200 : 외부배출부
300 : 내부배출부 400 : 흡입부
410 : 흡입구 420 : 연결부
500 : 조절부 510 : 댐퍼
511 : 램 512 : 실린더
520 : 와이어 530 : 도르레
540 : 지지바 550 : 가이드바
560 : 가압스프링 600 : 에어공급부

Claims (5)

  1.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화물이 충전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탱크바디의 내부에 충전되는 화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바디 내부의 화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탱크바디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탱크바디 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바디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는 외부배출부;
    일측이 상기 외부배출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탱크바디의 내부의 바닥면의 가장 낮은 지점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내부배출부;
    상기 내부배출부의 타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탱크바디 내의 화물의 양에 따라 상기 흡입부의 바닥면과 탱크바디부 내부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탱크바디부 내측면에 설치되되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댐퍼와 일단이 상기 댐퍼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바디부 내부의 화물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댐퍼에 가해지는 압력이 늘어남으로써 상기 댐퍼의 램이 탱크 외부로 밀려나가 상기 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흡입부가 상승되고 상기 탱크바디 내부의 화물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댐퍼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듦으로써 상기 댐퍼의 램이 탱크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풀어져 상기 흡입부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레와, 상기 내부배출부에 고정되며 상기 도르레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흡입부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흡입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바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바를 하방으로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5. 제 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화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화물의 흡입시 상기 화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에 상기 내부배출부의 타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KR1020180038065A 2018-04-02 2018-04-02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KR10204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65A KR102042987B1 (ko) 2018-04-02 2018-04-02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65A KR102042987B1 (ko) 2018-04-02 2018-04-02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543A KR20190115543A (ko) 2019-10-14
KR102042987B1 true KR102042987B1 (ko) 2019-11-12

Family

ID=6817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65A KR102042987B1 (ko) 2018-04-02 2018-04-02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2455B (zh) * 2020-06-30 2021-03-26 山东梁山通亚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安装有排料装置的粉罐车
CN113753608B (zh) * 2021-08-24 2024-02-13 安徽江淮扬天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粉罐车出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289A (ja) 1999-07-07 2001-03-23 Santa Kk 有煙焼き排煙装置
KR200247879Y1 (ko) 2001-07-04 2001-10-26 두성기계공업(주) 공기압 배출 사료운반 차량
KR101559819B1 (ko) 2014-03-29 2015-10-14 남현목 연기흡입관 승강장치
KR101818414B1 (ko) 2017-10-18 2018-01-17 세진트레일러 주식회사 캔버스의 텐션조절이 가능한 벌크 트레일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1228A (ja) * 1996-09-30 1998-04-21 Mitsubishi Materials Corp 粉粒体運搬車の粉粒体排出装置
KR20120107296A (ko) 2011-03-21 2012-10-02 (주)두성특장차 에어 배출시스템이 구비된 벌크 트레일러
KR102240835B1 (ko) * 2014-10-30 2021-04-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카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289A (ja) 1999-07-07 2001-03-23 Santa Kk 有煙焼き排煙装置
KR200247879Y1 (ko) 2001-07-04 2001-10-26 두성기계공업(주) 공기압 배출 사료운반 차량
KR101559819B1 (ko) 2014-03-29 2015-10-14 남현목 연기흡입관 승강장치
KR101818414B1 (ko) 2017-10-18 2018-01-17 세진트레일러 주식회사 캔버스의 텐션조절이 가능한 벌크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543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600B2 (en) “Y” axis dynamic cone system for use with a flexible silo, bulk bag or flexible container filling or discharge apparatus
CN1926009B (zh) 非倾斜散装材料货物集装箱导向装置
KR102042987B1 (ko)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CN105032698A (zh) 用于运送细粒介质的设备
KR101803157B1 (ko) 벌크차량의 분립체 화물 적재 시스템
CN215400756U (zh) 粉粒物料运输罐体及粉粒物料运输车
KR101973579B1 (ko) 벌크탱크 배출시스템
AU2003295125B2 (en)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transport and pneumatic conveying of bulk powders
CN216970069U (zh) 适用于砂石装袋打包模块化车的物料传输结构
CN206866100U (zh) 一种带上卸料结构的粮仓
KR20120107296A (ko) 에어 배출시스템이 구비된 벌크 트레일러
CN212530128U (zh) 粉体配送储存***
CN217625306U (zh) 快速卸料的散装物料存储仓
CN204751526U (zh) 移动式集装箱装料机
KR200412437Y1 (ko) 벌크적재함의 화물흡입 토출관시스템.
CN109928036A (zh) 一种缓冲袋包装转运支架
CN206395469U (zh) 预埋式干沙水送***
CN205932544U (zh) 自动化立体仓库的集装箱装车设施
CN220596384U (zh) 一种粉料输送装置
JP7479267B2 (ja) バラ物貯留搬送システム
CN212530129U (zh) 粉料配送***
KR102554440B1 (ko)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CN108820609A (zh) 施工现场水泥储存罐
CN217947001U (zh) 带无动力抑尘单元的伸缩溜桶装置
CN219097617U (zh) 一种物流运输用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