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839B1 - 동물 사료용 풍미 증진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물 사료용 풍미 증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839B1
KR102033839B1 KR1020177027128A KR20177027128A KR102033839B1 KR 102033839 B1 KR102033839 B1 KR 102033839B1 KR 1020177027128 A KR1020177027128 A KR 1020177027128A KR 20177027128 A KR20177027128 A KR 20177027128A KR 102033839 B1 KR102033839 B1 KR 10203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enhancing
flavor
enhancing mixture
mixture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411A (ko
Inventor
몬테로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크레스포
Original Assignee
인터퀴임,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퀴임,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인터퀴임,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7013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02Aliphatic compounds
    • A23L27/2024Aliphat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02Aliphatic compounds
    • A23L27/2024Aliphat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23L27/2028Carboxy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터, 케톤 및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를 위한 풍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풍미 증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 및 고체 풍미 증진 조성물,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동물 사료, 및 특히 젖먹이 돼지 및 소를 위한 이유기 사료 식이용 첨가제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 사료용 풍미 증진 조성물
본 발명은 이유(weaning)시에 동물의 성장 능력(performance)을 개선시키도록, 특히 수유 기간 동안 어린 가축의 이유기 사료 식이(creep feeding diet)를 위해서, 동물 사료용 첨가제로서 사용될 풍미 증진 조성물(flavouring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여전히 수유 기간에 있을 때 어린 가축의 식이에 고체 사료를 보충하는 실시는 이유기 섭식으로서 알려져 있고, 그것은 즉, 예를 들어 그의 성장률을 증가시키고, 새끼 사망률을 감소시킴으로써, 동물의 성장 능력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유기 섭식은 특히 돼지 및 소 목축에서 일반적인 실시이다.
특히 목초지가 부적절하거나 사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 특히, 소의 이유기 섭식은 성장기 송아지에게 요구되는 모든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에 대한 유용한 대안이며, 이것은 수유 암소 단독으로부터의 젖에 의해서는 제공될 수 없다.
돼지 농장에서, 수유기 동안 새끼 돼지 사망은 감소된 생산 효율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이고, 이유-전(pre-weaning) 새끼 돼지 사망률은 몇몇 공개된 연구에 따르면, 하우징 시스템(housing system)에 따라서, 약 12 내지 25%의 범위인 것으로 추정된다.
새끼 돼지 사망률의 인식되는 원인 중에는 수유 실패 및 기아가 있고, 따라서 새끼 돼지의 영양실조는 예를 들어, 문헌[Alonso-Spilsbury et al. Piglet survival in early lactation: a review, J. Anim. Vet. Adv., 2007, 6 (1), 76-8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돼지 농장에서 모든 이유-전 사망률의 6 내지 17%에 대한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젖먹이 새끼 돼지의 이유기 섭식은 일반적으로 돼지 농장에서 새끼 돼지의 생존을 개선시켜서, 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접근법으로서 간주된다.
그러나, 어린 가축에 의한 이유기 사료의 섭취는 일반적으로 적고, 따라서 그것에 몇몇 풍미제를 첨가하는 것은 식이 수용을 개선시키고, 사료 소비를 자극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최근에 개시되었지만, 지금까지 수득된 결과는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따라서, 문헌[Sulabo et al. Influence of feed flavours and nursery diet complexity on preweaning and nursery pig permormance, J. Anim. Sci., 2010, 88, 3918-3926]에서, 수유 새끼 돼지의 이유기 식이에 시판 풍미제를 첨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연구를 설계하였고, 그것은 풍미제의 첨가가 한배 새끼(litter) 이유기 사료 섭취, 이유기 사료를 소비하는 새끼 돼지의 비율 또는 이유-전 성장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 내었다.
문헌[Yan et al. Creep feed: effects of feed flavor supplementation on pre- and post-weaning performance and behaviour of piglet sow, Asian-Aust. J. Anim. Sci., 2011, 24 (6), 851-856]에서, 결과는 2종의 풍미 첨가제, 즉 바닐라-풍미 증진 보충제 및 치즈-풍미 증진 보충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된 연구에서 보고되어 있고, 그것은 이유기 사료에 이러한 풍미제를 첨가하는 것이 이유-후 평균 일일 증체량(average daily gain: ADG) 및 증체량/사료량(gain/feed: G/F) 비율을 개선시켰지만, 이유-전 성장 능력에 대해서는 어떤 차이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었다.
문헌[Adeleye et al. Exploratory behaviour and performance of piglets fed novel flavoured creep in two housing systems, Anim. Feed Sci. Technol., 2014, 191, 91-97]에는, 풍미제가 없는 대조군 사료와 비교하여, 젖먹이 새끼 돼지에게 5종의 상이한 풍미 증진된 이유식(토피(toffee), 살구, 버터스카치, 사과 및 붉은 과일)을 매일 순차적인 순서로 제공한 연구가 기술되어 있고, 이는 풍미 증진된 사료가 새끼 돼지 사료 섭취를 증가시켰지만, 그것은 증가된 이유-전 체중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고, 하지만 장은 이유-전에 풍미 증진된 사료를 섭취한 새끼 돼지의 경우 이유 후에 개선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문헌[Glesni Mac Leod et al., Journal of Food Science 52, 1987, 42-45]에는 익힌 소고기 향 화합물의 생산에 대한 물의 효과가 논의되어 있다. 다수의 휘발성 성분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J. M. Lorenzo et al.,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3(4): 168-182, 2013]에는 셀타 돼지 품종(celta pig breed)으로부터 말린 "돼지 넙적 다리"의 제조 동안 물리-화학적, 조직적, 단백질분해, 지방분해 및 휘발성 화합물에 대한 변화가 보고되어 있다.
문헌[Ruiz Jorge et al., J. Agric. Food Chem. 2010, 49, 5115-5121]에는 고체-상 미세추출을 사용하여 고체 샘플 중의 휘발물질을 직접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가 보고되어 있다.
문헌[D. N. Georgilopoulos et al., Z Lebensm Unters Forch (1987) 184: 374-380]에는 토마토 주스의 건강-증진 및 감각 특성에 대한 토착성 락트산 박테리아 스타터(starter)의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문헌[R. Di Cagno et al., J. Dairy Sci. 90: 2689-2704]에는 비통상적인 조건하에서 숙성된 이탈리아 치즈의 특징이 보고되어 있다.
문헌[T. Habu et al., J. Agric. Food Chem. 1985, 33, 249-254]에는 루이보스차의 휘발성 성분이 보고되어 있다.
섭취 수용을 개선시키려는 목적으로, 특히, 젖먹이 또는 이유 기간에서 어린 동물의 식이를 위해서 설계된, 사료를 위한 몇몇 풍미 증진 조성물이 선행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US4125629호에는, 30 내지 50wt.%의 알데하이드, 25 내지 35wt.%의 알코올, 3 내지 7wt.%의 에스터 및 20 내지 30wt.%의 터펜 유도체를 포함하는 풍미 증진 조성물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그것에는 먼저 임신한 동물에게, 그 후 수유 암퇘지에게 이러한 풍미 증진 조성물에 의해서 가향된 사료를 제공하고, 나중에 동일한 풍미 증진 조성물로 가향된 사료를 섭취한 상기 암퇘지에게서 태어난 젖먹이 새끼 돼지에게 이유기 섭식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유 기간 동안 새끼 돼지의 성장률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제JP10146156-A호에는, 펠렛 사료 상에 복숭아 풍미제의 10%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분무함으로써 새끼 돼지를 위한 맛있는 사료를 제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복숭아 풍미제는 에틸 n-부티레이트, 감마-노나락톤, 2-메틸-3-부텐, 감마-운데카락톤, 벤즈알데하이드, 말톨, 아이소크래트산(isocratic acid) 및 희석제 또는 충전제를 포함한다.
국제 특허 출원 제WO2009/068622-A1호에는, 프로필렌 글리콜, 바닐린, 감마-노나락톤, 아이소아밀 아세테이트, 오렌지 에센셜 오일, 에틸 벤조에이트, 메틸 신나메이트, 벤질 부티레이트, 아이소아밀 부티레이트 및 에틸 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새끼 돼지 이유기 사료를 위한 풍미 증진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새끼 돼지는 풍미제가 없는 대조군 사료에 비해서 풍미제를 함유한 식품에 대해서 더 큰 선호성을 나타내었음이 관찰되었다.
선행 기술에 개시된 다양한 풍미 증진 조성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수유 동물에 의한 고체 사료 섭취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증가된 성장률 및 체중, 감소된 사망률 및/또는 한배 새끼의 체중 균질성의 관점에서, 이유시에 동물의 성장 능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 동물 사료, 특히 돼지 및 소 사료, 보다 특별하게는 이유기 사료에 첨가하기에 적합한 풍미 증진 조성물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풍미 증진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풍미 증진 혼합물 및 용매로 이루어진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은 풍미 증진 혼합물 및 불활성 고체 담체를 포함하는 고체 풍미 증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은 풍미 증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이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은 동물 사료 조성물의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풍미 증진 혼합물의 용도이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은,
a) 화학식 R1-COO-R2의 2종 또는 3종의 에스터;
b) 화학식 R3-CO-R4의 2종 또는 3종의 케톤; 및
c) 화학식 R5-CHO의 2종 또는 3종의 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풍미 증진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식에서 R1, R3, 및 R4는 C1-5 선형 알킬기이고; R2는 C1-5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R5는 C2-9 선형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몇몇 방향성 에스터, 케톤 및 알데하이드의 특정 조합을 기반으로 하는, 신규 풍미 증진 혼합물을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놀랍게도, 동물 사료를 위한 풍미 증진 첨가제, 특히 돼지 및 소 이유기 사료를 위한 풍미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어린 수유 동물의 발달 및 전체 성장 능력에 주목할 만한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C1-5 선형 알킬기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기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및 n-펜틸을 포함하는 직선형 알킬쇄를 의미하고; 용어 C1-5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다른 것 중에서 기 메틸, 에틸, n-프로필, 아이소프로필, n-부틸, 아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또는 아이소펜틸을 포함하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쇄를 의미하고; 용어 C2-9 선형 알킬기는 2 내지 9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기 에틸, n-프로필, n-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및 n-노닐을 포함하는 직선형 알킬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다", 및 "비롯한"은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즉 이것은 언급된 성분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추가 성분의 존재를 배재하지 않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또한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또는 "이루어진"을 포함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설명에서 사용된 백분율(%)은 중량 백분율(중량/중량, w/w)을 지칭한다.
풍미 증진 혼합물
에스터
본 발명에 따른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1-COO-R2의 2종 또는 3종의 에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식에서, R1은 C1-5 선형 알킬기이고, R2는 C1-5 선형 또느 분지형 알킬기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1 및 R2 둘 모두는 C1-5 선형 알킬기이다.
임의로,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1-COO-R2의 더 많은 에스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1-COO-R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3종, 4종, 5종, 6종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1-COO-R2의 3종의 에스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정확히 화학식 R1-COO-R2의 3종의 에스터를 함유하고, 화학식 R1-COO-R2의 어떠한 추가적인 에스터도 본질적인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에스터와 관련하여 용어 "본질적인"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하기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3종의 에스터의 총량을 기준으로 5wt% 이하, 바람직하게는 3wt% 또는 1wt% 이하, 특히 0.5wt% 이하, 특별하게는 0wt%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에 함유된 화학식 R1-COO-R2의 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n-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n-부틸 프로피오네이트, n-펜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n-프로필 부타노에이트, n-부틸 부타노에이트, n-펜틸 부타노에이트, 메틸 펜타노에이트, 에틸 펜타노에이트, n-부틸 펜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에틸 헥사노에이트, n-프로필 헥사노에이트 및 n-부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n-프로필 부타노에이트, 메틸 펜타노에이트, 에틸 펜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및 에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메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n-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n-부틸 프로피오네이트, n-펜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n-프로필 부타노에이트, n-부틸 부타노에이트, n-펜틸 부타노에이트, 메틸 펜타노에이트, 에틸 펜타노에이트, n-부틸 펜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에틸 헥사노에이트, n-프로필 헥사노에이트 및 n-부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n-프로필 부타노에이트, 메틸 펜타노에이트, 에틸 펜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및 에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3종의 상이한 에스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에스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메틸 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에스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메틸 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고, 화학식 R1-COO-R2의 어떠한 추가적인 에스터도 본질적인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풍미 증진 혼합물에서 화학식 R1-COO-R2의 에스터의 총 비율은 일반적으로는 2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33%의 범위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 6 내지 1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9%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에틸 아세테이트;
- 12 내지 2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19,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 2 내지 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메틸 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1-COO-R2의 어떠한 추가적인 에스터도 함유하지 않는다.
케톤
본 발명에 따른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3-CO-R4의 2종 또는 3종의 케톤을 포함하고, 상기 식에서, R3 및 R4는 C1-5 선형 알킬기이다.
임의로,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3-CO-R4의 더 많은 케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3-CO-R4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3종, 4종, 5종, 6종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케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3-CO-R4의 2종의 케톤을 포함하고, 화학식 R3-CO-R4의 어떠한 추가적인 케톤도 본질적인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케톤과 관련하여 용어 "본질적인"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하기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2종의 케톤의 총량을 기준으로 5wt% 이하, 바람직하게는 3wt% 또는 1wt% 이하, 특히 0.5wt% 이하, 특별하게는 0wt%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에 함유된 화학식 R3-CO-R4의 케톤은 바람직하게는 2-프로판온, 2-부탄온, 2-펜탄온, 3-펜탄온 및 3-헥산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부탄온, 2-펜탄온 및 3-헥산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케톤 2-부탄온 및 2-펜탄온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케톤 2-부탄온 및 2-펜탄온을 포함하고, 어떠한 추가적인 화학식 R3-CO-R4의 케톤도 본질적인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풍미 증진 혼합물에서 화학식 R3-CO-R4의 케톤의 총 비율은 일반적으로는 5 내지 1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의 범위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 4 내지 1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7 내지 8%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2-부탄온;
- 1 내지 6%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2-펜탄온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3-CO-R4의 어떠한 추가적인 케톤도 본질적인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알데하이드
본 발명에 따른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5-CHO의 2종 또는 3종의 알데하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식에서 R5는 C2-9 선형 알킬기이다.
임의로,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5-CHO의 더 많은 알데하이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5-CHO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3종, 4종, 5종, 6종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알데하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5-CHO의 3종의 알데하이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5-CHO의 3종의 알데하이드를 포함하고, 화학식 R5-CHO의 어떠한 추가적인 알데하이드도 본질적인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알데하이드와 관련하여 용어 "본질적인"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하기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3종의 알데하이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5wt% 이하, 바람직하게는 3wt% 또는 1wt% 이하, 특히 0.5wt% 이하, 특별하게는 0wt%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에 함유된 화학식 R5-CHO의 알데하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펜탄알(즉, R5=n-부틸), 헥산알(즉, R5=n-펜틸), 헵탄알(즉, R5=n-헥실), 옥탄알(즉, R5=n-헵틸), 노난알(즉, R5=n-옥틸) 및 데칸알(즉, R5=n-노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펜탄알, 헥산알, 헵탄알, 옥탄알, 노난알 및 데칸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3종의 알데하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알데하이드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알데하이드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을 포함하고, 화학식 R5-CHO의 어떠한 추가적인 알데하이드도 본질적인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풍미 증진 혼합물에서 화학식 R5-CHO의 알데하이드의 총 비율은 일반적으로는 40 내지 7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59%의 범위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 9 내지 2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7%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펜탄알;
- 3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39%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헥산알; 및
- 1 내지 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헵탄알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풍미 증진 혼합물은 화학식 R5-CHO의 어떠한 추가적인 알데하이드도 본질적인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a) 2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33%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화학식 R1-COO-R2의 2종의 에스터;
b) 5 내지 1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화학식 R3-CO-R4의 2종의 케톤; 및
c) 40 내지 7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59%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화학식 R5-CHO의 2종의 알데하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식에서, R1, R3, 및 R4는 C1-5 선형 알킬기이고; R2는 C1-5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R5는 C2-9 선형 알킬기이고;
여기서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a) 2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33%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화학식 R1-COO-R2의 3종의 에스터;
b) 5 내지 1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화학식 R3-CO-R4의 2종의 케톤; 및
c) 40 내지 7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59%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화학식 R5-CHO의 3종의 알데하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식에서, R1, R3, 및 R4는 C1-5 선형 알킬기이고; R2는 C1-5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R5는 C2-9 선형 알킬기이고;
여기서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a)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n-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n-부틸 프로피오네이트, n-펜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n-프로필 부타노에이트, n-부틸 부타노에이트, n-펜틸 부타노에이트, 메틸 펜타노에이트, 에틸 펜타노에이트, n-부틸 펜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에틸 헥사노에이트, n-프로필 헥사노에이트 및 n-부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n-프로필 부타노에이트, 메틸 펜타노에이트, 에틸 펜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및 에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메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의 에스터를; 2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33%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로 포함하고;
b) 2-프로판온, 2-부탄온, 2-펜탄온, 3-펜탄온 및 3-헥산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2-부탄온, 2-펜탄온 및 3-헥산온으로 이루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부탄온 및 2-펜탄온인 2종의 케톤을; 5 내지 1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로 포함하고;
c) 펜탄알, 헥산알, 헵탄알, 옥탄알, 노난알 및 데칸알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의 알데하이드를; 40 내지 7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59%범위를 차지하는 비율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a)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n-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n-부틸 프로피오네이트, n-펜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n-프로필 부타노에이트, n-부틸 부타노에이트, n-펜틸 부타노에이트, 메틸 펜타노에이트, 에틸 펜타노에이트, n-부틸 펜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에틸 헥사노에이트, n-프로필 헥사노에이트 및 n-부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n-프로필 부타노에이트, 메틸 펜타노에이트, 에틸 펜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및 에틸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메틸 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3종의 에스터를; 2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33%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로 포함하고;
b) 2-프로판온, 2-부탄온, 2-펜탄온, 3-펜탄온 및 3-헥산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2-부탄온, 2-펜탄온 및 3-헥산온으로 이루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부탄온 및 2-펜탄온인 2종의 케톤을; 5 내지 1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로 포함하고;
c) 펜탄알, 헥산알, 헵탄알, 옥탄알, 노난알 및 데칸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인 3종의 알데하이드를; 40 내지 7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59%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가 된다.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a) 에스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메틸 헥사노에이트;
b) 케톤 2-부탄온 및 3-펜탄온; 및
c) 알데하이드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a) 20 내지 45%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 범위를 차지하는 총 비율의 에스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메틸 헥사노에이트;
b) 5 내지 1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의 범위를 차지하는 총 비율의 케톤 2-부탄온 및 3-펜탄온; 및
c) 45 내지 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의 범위를 차지하는 총 비율의 알데하이드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가 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 6 내지 1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9%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에틸 아세테이트;
- 12 내지 25% 범위,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19,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메틸 부타노에이트;
- 2 내지 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메틸 헥사노에이트;
- 4 내지 1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2-부탄온;
- 1 내지 6%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2-펜탄온;
- 9 내지 2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7%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펜탄알;
- 3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39%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헥산알; 및
- 1 내지 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헵탄알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 6 내지 1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9%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에틸 아세테이트;
- 12 내지 2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19,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메틸 부타노에이트;
- 2 내지 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메틸 헥사노에이트;
- 4 내지 1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2-부탄온;
- 1 내지 6%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2-펜탄온;
- 9 내지 2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7%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펜탄알;
- 30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39%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헥산알; 및
- 1 내지 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의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헵탄알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이들 백분율의 합계는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최대 100%가 된다.
풍미 증진 혼합물의 용도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은 동물 사료 조성물, 전형적으로 가축 사료, 보다 특별하게는 돼지 및 소 사료, 특별하게는 돼지 및 소 이유기 사료에서 풍미 증진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풍미 증진 혼합물은 일반적으로는 1 내지 10ppm을 차지하는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ppm을 차지하는 비율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ppm을 차지하는 비율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ppm을 차지하는 비율로 사료 조성물에 첨가된다.
풍미 증진 혼합물은 보통 희석된 형태로 사료 조성물에 첨가되고, 즉, 풍미 증진 혼합물은 용매 중에 용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풍미 증진 혼합물은 보다 편리하게는, 사료 전체에서 그것이 균질하게 분포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사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에 기술된 풍미 증진 혼합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이다.
상기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은 일반적으로는 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의 풍미 증진 혼합물을 포함하고, 조성물 최대 100%의 나머지는 용매로 이루어지고, 즉,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은 일반적으로는 95.0% 내지 99.5%, 바람직하게는 97.0% 내지 99.0%, 보다 바람직하게는 98.0% 내지 98.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8.2% 내지 98.4%의 용매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의 희석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라이아세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용매는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희석된 조성물 중의 풍미 증진 혼합물의 비율에 따라서, 풍미 증진 혼합물의 필요한 비율을 성취하기 위해서 사료 중의 이러한 희석된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의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풍미 증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은 예를 들어, 그것을 사료 상에 분무함으로써 사료에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료에서 풍미제의 균질한 분포를 추가로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풍미 혼합물은 사료에 고체 형태로 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희석된 액체 풍미 조성물을 먼저 적합한 불활성 고체 담체 상에 흡수시켜서 풍미 혼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풍미 조성물을 수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풍미 증진 혼합물 및 불활성 고체 담체를 포함하는 고체 풍미 증진 조성물이다.
불활성 고체 담체는 전형적으로는 고 다공성을 갖는 고체 물질이고, 이것은 액체 물질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고체 기재는 침전된 수화 이산화규소이다.
고체 풍미 조성물은 희석된 액체 풍미 조성물 및 불활성 고체 담체를 혼합함으로써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불활성 고체 담체에 대한 액체 풍미 조성물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는 2:1 내지 1:2를 차지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고체 풍미제는 약 50%의 희석된 액체 풍미 조성물 및 약 50%의 불활성 고체 담체를 함유한다.
풍미제는 사료에 고체 형태로 첨가되는 경우,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희석된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의 농도 및 고체 풍미 조성물 중의 그것의 비율에 따라서 필요한 비율의 풍미 증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풍미 증진된 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첨가될 고체 풍미제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미 증진 혼합물로 풍미 증진된 이유기 사료를 섭취한 젖먹이 새끼 돼지에서 수행된 효능 검정법(하기 실시예 부분에 포함됨)의 결과는, 놀랍게도 그것을 섭취한 어린 수유 동물은 풍미 증진되지 않은 사료를 섭취한 어린 동물에 비해서 개선된 성장 능력을 갖고, 따라서 풍미 증진된 사료를 섭취한 새끼 돼지들은 이유시에 한배 새끼 내에서 그들의 체중 변동성이 더 적고, 그들은 또한 증가된 평균 일일 체중 증체량 및 사망률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동물 사료는 이유기 사료이다. 이유기 사료는 구체적으로 그들이 여전히 수유기일 때 그들의 식이를 보충하기 위한 어린 동물에게 제공될 고체 동물 사료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동물 사료는 가축, 바람직하게는 돼지 또는 소를 위한 동물 사료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풍미 증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는 돼지를 위한 이유기 사료 또는 소를 위한 이유기 사료이다.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로 풍미 증진되기에 적합한 동물 사료는 임의의 종류의 동물 사료일 수 있고, 이의 가능한 조성물은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특정 동물의 영양 요건 및 특정 연령기에 따라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새끼 돼지용 사료는 새끼 돼지의 성장을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곡물, 예컨대 옥수수, 밀, 대두, 보리 또는 귀리; 상이한 단백질 공급원, 예컨대 어분, 대두박 또는 동물 혈장, 예를 들어; 아미노산, 예컨대 메티오닌, 트레오닌, 발린, 트립토판,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루신; 뿐만 아니라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유한다(U.S.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풍미 증진 혼합물은 일반적으로는 1 내지 10ppm을 차지하는 비율,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ppm을 차지하는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ppm을 차지하는 비율,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ppm을 차지하는 비율로 사료 조성물에 첨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풍미 증진 혼합물이고, 여기서 풍미 증진 혼합물은 인공 혼합물이다. 인공 혼합물은 예를 들어, 추출 공정에 의해서 단지 자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된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동물 사료 조성물의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풍미 증진 혼합물의 용도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동물 사료는 이유기 사료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동물 사료는 가축, 바람직하게는 돼지 또는 소를 위한 동물 사료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동물 사료는 돼지를 위한 이유기 사료 또는 소를 위한 이유기 사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동물 사료 조성물의 풍미를 증진시키는 방법이고, 여기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풍미 증진 혼합물은 동물 사료 조성물에 첨가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
하기 표 I에 기술된 조성에 따라서, 용매로서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여 희석된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I]
Figure 112017093614016-pct00001
모든 성분은 구매 가능하고, 모든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풍미 증진 조성물은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2-부탄온, 3-펜탄온,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로 이루어진 풍미 증진 혼합물 1.69중량%; 및 용매(프로필렌 글리콜) 98,31중량%를 함유하였다.
실시예 2: 고체 풍미 증진 조성물
각각 50중량% 비율로 실시예 1의 액체 조성물과 침전 이산화규소(이케실, 에스.에이(IQESIL, S.A.)를 혼합함으로써 고체 풍미 증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200kg 배취의 고체 풍미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실시예 1의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 100kg을 대류 수평 혼합기(convective horizontal mixer) 내에서 침전 이산화규소 100kg 상에 분무하였고, 블렌드를 균질한 혼합물을 수득할 때까지 대략 10분 동안 철저히 혼합하였다.
실시예 3: 풍미 증진된 사료 생성물
하기 표 II에 명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풍미 증진되지 않은 사료 조성물을 기초로, 풍미 증진된 사료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II]
Figure 112017093614016-pct00002
실시예 2의 고체 풍미제 350ppm을 표 II의 사료 생성물에 첨가하고, 사료 첨가제의 균질한 분포를 보장하기 위해서 철저히 혼합함으로써 풍미 증진된 사료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풍미 증진된 사료는 실시예 1에 명시된 비율의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메틸 헥사노에이트, 2-부탄온, 3-펜탄온,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로 이루어진 풍미 증진 혼합물 2.96ppm을 함유하였다.
효능 검정
풍미 증진 동물 사료를 위한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젖먹이 돼지를 위한 이유기 사료 식이로서 실시예 3의 풍미 증진된 식품을 사용하여 실험 연구를 설계하였고, 새끼 돼지 성장 능력에 대한 그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하기 2개의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3의 풍미 증진된 사료 생성물(처리군 2, T2)
- 표 II에 개시된 조성, 즉, 풍미 증진 혼합물이 없지만 실시예 3의 사료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비교 참조군으로서의 풍미 증진되지 않은 사료(처리군 1, T1).
400마리 암퇘지(랜드레이스종(Landrace) x 라지 화이트종(Large White))의 종축(breeding stock)을 갖는 농장의 모체 단위(maternal unit)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암퇘지 각각을 강제식 배기구가 장치되고, 완전한 틈 바닥(slatted floor)인 공간 내의 시판 분만 케이지에 가두었다. 각각의 게이지에는 하나는 암퇘지용이고, 나머지는 새끼 돼지용인 2개의 니플 물 공급기가 장치되어 있었고; 이유기-사료를 자유식으로(ad libitum) 섭취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암퇘지용 시판 여물통 및 새끼 돼지용의 하나의 미니 호퍼 팬(로텍나(Rotecna), 스페인 소재)을 추가하였다.
전체 수유 기간 동안, 즉 분만일 후 2일에서 28일까지, 암퇘지 및 이의 한배 새끼들의 한 배치에서 시험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젖먹이 새끼 돼지를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이유까지(28일), 전체 기간 동안 이유기 사료를 자유식으로 제공하였다.
시판 교배 새끼 돼지([라지 화이트종 x 랜드레이스종] x 피트레인종(Pietrain)) 총 23마리의 한배 새끼들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험 처리는 T1에 대해서는 11마리의 한배 새끼 및 T2에 대해서는 12마리의 한배 새끼에게 제공되었고, 한배 새끼에 의한 새끼 돼지의 수, 한배 새끼 내에서의 새끼 돼지 체중(BW) 및 BW의 변동 계수(CV%)에 의해서 교차-교배(출생 후 최대 48시간)에서 미리 균질화하였다. 동물의 번호를 가진 플라스틱 귀 태그 식별기를 새끼 돼지 개별 식별기로서 사용하였다.
이의 도입(출생 후 2일)으로부터 이유까지 이유기 사료 소멸을 한배 새끼 당 소비된 총 이유기 사료로서 측정하였다.
한배 새끼들의 변동 계수(CV) 및 평균 일일 체중 증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 동물의 개별 체중(BW)을 또한 2일, 7일, 14일, 21일 및 28일에 등록하였다.
암퇘지 및 그들의 한배 새끼들의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였다.
두 처리군 T1 및 T2에 대해서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III에 나타내고, 여기서 하기 데이터는 암퇘지의 패리티(parity) 수, 한배 새끼 당 새끼 돼지의 초기 수 및 젖먹이 기간 동안 이들의 사망률, 새끼 돼지의 성장 능력(BW, CV 및 ADG) 및 사료 소멸을 포함한다.
[표 III]
Figure 112017093614016-pct00003
터키 조정(Tukey adjust)을 고려하여 최소 제곱 평균으로서 결과를 제공하고, 알파 수준(0.05)을 유의성의 결정을 위해서 사용한다. 별표(*)는 T1 값과 T2 값 사이에서 관찰된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함을 의미한다. 통계 패키지 SAS(등록상표)를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서 사용하였다.
T2에서보다 T1 한배 새끼에서 더 높은 새끼 돼지 사망률이 관찰되었다.
성장 능력과 관련하여, T2의 동물은 수유 21일 및 28일에 T1(대조군)보다 정량적으로 더 높은 BW(P<0.15)를 나타내었다. 유의하게 더 높은 ADG가 또한 수유 14일부터 21일까지 T1이 섭취된 동물보다 T2 식이가 섭취된 동물에 대해서 관찰되었다(P=0.014).
시험 시작 시에, 체중의 변동 계수(CV)는 각각의 처리군에 대해서 대략 동일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한배 새끼 내에서 더 낮은 CV를 갖는 경향성이 14일에 대조군 동물에 대해서보다 T2에 대해서 관찰되었다(P<0.10). 21일 및 28일에, T1 식이가 섭취된 것보다 T2가 섭취된 새끼 돼지에 대해서 유의하게 더 낮은 CV(P<0.05)가 관찰되었다.
관찰된 높은 변동성으로 인한 것일 것 같은 동배 새끼들 중에서의 이유기 사료 소실에서 어떠한 유의한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사료 소실은 새끼 돼지의 섭취 및 사료 폐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파라미터는 새끼 돼지의 성장보다 덜 정확하다.
따라서, 표 III에 나타내어진 결과는, 놀랍게도, 이유기 사료에 본 발명의 풍미 증진 혼합물을 혼입하는 것이 한배 새끼들 내에서 새끼 돼지 체중의 변동성을 감소시켜서, 이유시에 새끼 돼지 중량의 더 높은 균질성을 수득한 것을 확인해 주었다. 또한, 풍미 증진 혼합물의 사용은 또한 동물 평균 일일 증체량의 증가를 상승시키고, 사망률 감소를 상승시킨다.
본 연구에서 수득된 결과를 추가로 분석하여 이의 성장 능력(크거나 작음)에 좌우되는 처리에 대한 동물의 상이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표 IV에는 큰 새끼 돼지 및 작은 새끼 돼지의 성장 반응에 대한 실험 처리 효과를 구별하기 위한, 각각의 처리 내의 ADG(평균 일일 체중 증체량) 블록을 고려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할 때 새끼 돼지의 성장 능력 결과가 제공되어 있다.
28일에 ADG에 의해서 ADG 블록을 계산하였고, 180g/일보다 더 낮은 성장을 갖는 새끼 돼지를 작은 군(S)으로서 분류하였고, 180g/일 이상의 성장을 갖는 동물을 큰 군(B)으로 분류하였다.
결과는, T2 처리군이 각각의 처리군에서 더 낮은 체중 증가를 갖는 동물들에서 더 높은 체중(BW) 및 평균 일일 체중 증체량(ADG)(P<0.0001)을 촉진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IV]
Figure 112017093614016-pct00004
놀랍게도, 결과는 풍미제 보충이 특히 가장 작은 새끼 돼지의 체중 증가를 증가시켰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배 새끼들 내에서 발견된 상승된 균질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풍미 증진된 이유기 사료를 소비한 새끼 돼지의 더 높은 체중 증가는 이유기-사료 소실에서 관찰된 차이에 의해서 완전히 설명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임의의 이론에 얽매이고자 함은 아니지만, 그 결과는 더 높은 체중이 젖먹이 기간에 더 높은 우유 소비에 대해서 "활성화된" 새끼 돼지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암퇘지의 젖 생산의 증가는 사료 및 모유에 함유된 풍미제 간의 양성 보상을 설정할 수 있는 이들 새끼 돼지에 의한 유방의 더 높은 자극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Claims (22)

  1. 동물 이유기 사료 조성물(animal creep feed composition)의 풍미 증진을 위한, 풍미 증진 혼합물(flavouring mixture)로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은,
    a) 에스터인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부타노에이트 및 메틸 헥사노에이트;
    b) 케톤인 2-부탄온 및 2-펜탄온; 및
    c) 알데하이드인 펜탄알, 헥산알 및 헵탄알을 포함하는, 풍미 증진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에서 상기 에스터의 총 비율은 20 내지 45중량%의 범위를 차지하는, 풍미 증진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에서 상기 케톤의 총 비율은 5 내지 18중량%의 범위를 차지하는, 풍미 증진 혼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에서 상기 알데하이드의 총 비율은 40 내지 75중량%의 범위를 차지하는, 풍미 증진 혼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은,
    a) 30 내지 35%의 총 비율의 상기 에스터;
    b) 8 내지 13%의 총 비율의 상기 케톤; 및
    c) 50 내지 65%의 총 비율의 상기 알데하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백분율은 중량으로 표현되고, 상기 백분율의 합계는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100% 이하가 되는, 풍미 증진 혼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은,
    - 7 내지 10%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에틸 아세테이트;
    - 17 내지 20%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메틸 부타노에이트;
    - 3 내지 6%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메틸 헥사노에이트;
    - 6 내지 10%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2-부탄온;
    - 2 내지 5%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2-펜탄온;
    - 12 내지 18%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펜탄알;
    - 35 내지 40%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헥산알; 및
    - 2 내지 5% 범위를 차지하는 비율의 헵탄알을 포함하되,
    - 상기 백분율을 중량으로 표현되고,
    - 상기 백분율의 합계는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의 총 100% 이하가 되는, 풍미 증진 혼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은 인공 혼합물인, 풍미 증진 혼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은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체 풍미 증진 조성물인, 풍미 증진 혼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미 증진 혼합물은 불활성 고체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풍미 증진 조성물인, 풍미 증진 혼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이유기 사료 조성물은 돼지 또는 소를 위한 이유기 사료인, 풍미 증진 혼합물.
  11. 제1항의 풍미 증진 혼합물을 동물 이유기 사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동물 이유기 사료 조성물의 풍미를 증진시키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7027128A 2015-04-20 2016-04-19 동물 사료용 풍미 증진 조성물 KR102033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4168 2015-04-20
EP15164168.5 2015-04-20
PCT/EP2016/058601 WO2016169905A1 (en) 2015-04-20 2016-04-19 Flavouring composition for animal fe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411A KR20170138411A (ko) 2017-12-15
KR102033839B1 true KR102033839B1 (ko) 2019-10-17

Family

ID=5298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128A KR102033839B1 (ko) 2015-04-20 2016-04-19 동물 사료용 풍미 증진 조성물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1044926B2 (ko)
EP (1) EP3285597B1 (ko)
JP (1) JP6762463B2 (ko)
KR (1) KR102033839B1 (ko)
CN (1) CN107427032B (ko)
AR (1) AR104282A1 (ko)
AU (1) AU2016251511B2 (ko)
BR (1) BR112017022030B1 (ko)
CA (1) CA2982880C (ko)
CL (1) CL2017002648A1 (ko)
ES (1) ES2745025T3 (ko)
HU (1) HUE045698T2 (ko)
MX (1) MX2017013209A (ko)
MY (1) MY182086A (ko)
PH (1) PH12017501689A1 (ko)
PL (1) PL3285597T3 (ko)
PT (1) PT3285597T (ko)
RU (1) RU2692649C2 (ko)
TW (1) TWI698182B (ko)
UY (1) UY36637A (ko)
WO (1) WO2016169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8928B (zh) * 2021-02-09 2022-04-22 中国农业大学 香味剂在调节母猪肠道微生物和提高繁殖性能中的应用
CN114568594B (zh) * 2022-03-28 2023-12-01 苏州美农生物科技有限公司 用于缓释氮源饲料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4826A1 (en) 2006-04-19 2007-11-01 Symrise Gmbh & Co. Kg Novel uses of 4-methyl-5-hydroxy-hexanoic acid lactone
WO2009068622A1 (en) 2007-11-28 2009-06-04 Exquim S.A. Compositions intended to increase piglet appeti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579A (en) * 1974-07-22 1976-10-05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Novel flavoring compositions and products containing isomer mixtures containing high proportions of 2-methyl-cis-3-pentenoic acid
US4125629A (en) * 1976-05-28 1978-11-14 Firmenich Sa Process for improving growth rate of piglets during weaning
US4348416A (en) * 1980-08-07 1982-09-07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Flavoring with 1-ethoxy-1-ethanol acetate - acetaldehyde mixtures
CA1245097A (en) * 1982-11-30 1988-11-22 Lawrence Buckholz, Jr. Mixed seasoning
US4746531A (en) * 1986-04-18 1988-05-24 Bloomfield Feed Mill, Inc. Swine feed
JPH10146156A (ja) * 1996-11-15 1998-06-0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豚用固形飼料
JP2001008640A (ja) * 1999-06-29 2001-01-16 Kyodo Shiryo Kk ゲル状配合飼料及びその給与方法
JP2005065750A (ja) * 2003-08-27 2005-03-17 Takasago Internatl Corp 消臭剤含有製品
CZ14435U1 (cs) 2004-02-24 2004-06-14 Arielfináa@Ás Ochucený a o vitamíny a minerály obohacený nápoj
JP2005295962A (ja) * 2004-04-16 2005-10-27 Mitsubishi Chemicals Corp 食品添加剤、香粧品添加剤、飲食品、香粧品、飼料、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04187104A (zh) * 2014-08-20 2014-12-10 徐州金利饲料厂 一种乳猪教槽饲料及其制备工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4826A1 (en) 2006-04-19 2007-11-01 Symrise Gmbh & Co. Kg Novel uses of 4-methyl-5-hydroxy-hexanoic acid lactone
WO2009068622A1 (en) 2007-11-28 2009-06-04 Exquim S.A. Compositions intended to increase piglet appetit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urwin et al., "Flavoring exposure in food manufacturing",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advance online publishment July 2014)
Jafari et al., "Encapsulation efficiency of food flavours and oils during spray drying", Drying Technology Vol. 26, pp 816-835(2008)
Siek et al., "Comparison of Flavor Thresholds of Aliphatic Lactones with Those of Fatty aicds, Esters, Aldehydes, Alcohols, and Ketones", J. Dairy Science Vol. 54, No. 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62463B2 (ja) 2020-09-30
CN107427032A (zh) 2017-12-01
KR20170138411A (ko) 2017-12-15
EP3285597A1 (en) 2018-02-28
PH12017501689B1 (en) 2018-03-19
MX2017013209A (es) 2018-03-01
CN107427032B (zh) 2022-03-22
PH12017501689A1 (en) 2018-03-19
RU2017131872A3 (ko) 2019-05-20
EP3285597B1 (en) 2019-06-12
MY182086A (en) 2021-01-18
WO2016169905A1 (en) 2016-10-27
PL3285597T3 (pl) 2019-11-29
JP2018513689A (ja) 2018-05-31
BR112017022030B1 (pt) 2022-12-06
TW201642757A (zh) 2016-12-16
ES2745025T3 (es) 2020-02-27
BR112017022030A2 (pt) 2018-07-03
AU2016251511A1 (en) 2017-10-05
TWI698182B (zh) 2020-07-11
CA2982880C (en) 2022-12-06
RU2017131872A (ru) 2019-05-20
PT3285597T (pt) 2019-09-19
US11044926B2 (en) 2021-06-29
US20180103660A1 (en) 2018-04-19
HUE045698T2 (hu) 2020-01-28
AR104282A1 (es) 2017-07-12
CA2982880A1 (en) 2016-10-27
UY36637A (es) 2016-10-31
CL2017002648A1 (es) 2018-03-09
RU2692649C2 (ru) 2019-06-25
AU2016251511B2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13997A6 (nl) Antimicrobiele samenstelling voor dieren.
AU2019212738A1 (en) Novel use
MXPA00010047A (es) Tratamiento de animales con compuestos de dihidroxiquinolina.
KR102033839B1 (ko) 동물 사료용 풍미 증진 조성물
JP2008011731A (ja) 抗菌性物質を含有しないハーブ入り幼齢子豚用配合飼料
JP2542655B2 (ja) 動物用混合飼料
CA2547058A1 (en) Palatability enhanced composition and method for animal consumption
JP2011502516A (ja) 仕上期食用豚における屠体成績の向上を目的とした薬剤
JPH10262571A (ja) 動物用飼料
KR20220131214A (ko)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JP2000281575A (ja) 油脂被覆ビタミンc経口給与による、家畜の免疫力増強、並びにストレスの防除及び損耗を防止する方法
JP2009247339A (ja) 動物用健康維持剤およびそれを含有した飼料ならびに飼育方法
JP4874016B2 (ja) 抗菌性物質を含有しない幼齢子豚用配合飼料
JP2003267937A (ja) 動物栄養物に飼料添加物としてコリン酸を使用する方法
JP2008019236A (ja) 飼料添加剤
Dhailappan et al. Nanoparticles as Feed supplements for Livestock animals
WO2021001794A1 (en) Choline chloride composition, animal feed provided with the composition and its use
CN107549583A (zh) 一种能够提高饲料保存时间的天然饲料添加剂
JP2003159007A (ja) 牛の肉質を改善する方法
RU2402228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токсичности, повышения кормовой ценности пивной дробины
EP3656223A1 (en) Food additive for animal feeds comprising food acids and essential oils
WO1989005100A1 (en) Compositions for use in animal husbandry and method of treatment of animals with vitamin 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