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921B1 - Food forming device - Google Patents

Food form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921B1
KR102010921B1 KR1020130096727A KR20130096727A KR102010921B1 KR 102010921 B1 KR102010921 B1 KR 102010921B1 KR 1020130096727 A KR1020130096727 A KR 1020130096727A KR 20130096727 A KR20130096727 A KR 20130096727A KR 102010921 B1 KR102010921 B1 KR 10201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horse
rotating plate
plate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9188A (en
Inventor
다카시 호소가네
아츠시 누마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40029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1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압연된 식재를 봉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5)는, 접힘으로써 식재를 말아 조이는 말이용 발(6)과, 직선적으로 진출하여 말이용 발을 접는 리프터(7),(8)와, 말이용 발(6)을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베이스(9)를 가지며, 말이용 발(6)은, 고정 플레이트(60)와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61),(62)와,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한쪽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3 회전 플레이트(63)를 가지며,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와 제3 회전 플레이트는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며, 슬라이드 베이스(9)의 구동부는, 말이용 발(6)에 의한 식재의 말아 조임 태양에서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 중 하나를 리프터에 접촉시켜 식재의 추가 조임을 행한다.The molded part 5 which shape | molds the rolled plant material in the shape of a rod has the horse-foot 6 which rolls up and tightens a planting material, and the lifter 7, 8 which rolls up and rolls a horse-foot for a straight line, and horse use It has a slide base (9) which can move the foot (6), and the horse's foot (6) includes a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 (61), in which rotation is fre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60) and the fixing plate ( 62 and a third rotating plate 63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and the third rotating plate being rotatable alone, and having a slide base ( In the driving part of 9), in the fastening mode of the rolling material by the paw 6, one of the 1st, 2nd rotating plates contacts a lifter and performs further tightening of planting.

Description

식품 성형 장치{FOOD FORMING DEVICE}Food Forming Equipment {FOOD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식품을 길고 횡단면 형상이 균일한 형태로 성형하기에 적합한 식품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말아 조임을 확실하게 행함으로써 깔끔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김말이 초밥의 성형 장치로서 적합하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forming apparatus suitable for molding a food into a long, uniform cross-sectional shape, and in particular, makes it possible to form a neat shape by reliably rolling. This invention is suitable as a shaping | molding apparatus of seaweed sushi, for exampl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초밥용 밥」이란, 식초, 설탕 등을 조합한 배합초(配合醋; 단촛물)를 쌀밥에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말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sushi for rice" means what mix | blended vinegar, the sweet vinegar which combined sugar, etc. with rice uniformly.

예를 들면, 김말이 초밥을,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쌀밥 압연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쌀밥 압연 장치는 그 중 하나로서, 투입되고 있는 초밥용 밥을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초밥용 밥을 압연하는 압연부와, 말이용 발과, 성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연부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초밥용 밥을 판형으로 압연한다. 말이용 발 위에는 시트형의 마른 김(이하, 「김」이라고 한다)이 깔리고 이 김 위에 상기 판형의 초밥용 밥을 겹치고, 말이용 발을 말아 조임으로써 김과 함께 초밥용 밥을 봉상(棒狀)으로 성형하는 것이다.For example, a rice-rolling apparatus which can produce a mass of sushi by mass production without requiring skill is used. The rice rolling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s one of them, a hopper for supplying introduced rice for sushi, a rolling part for rolling the rice for sushi, a foot for horses, and a molding part. The said rolling part rolls the rice for sushi supplied from a hopper into plate shape. A sheet-shaped dry la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laver '') is laid on a horse's foot, and the sushi rice is served together with laver by laminating the plate-shaped sushi rice on the laver and rolling the horse's foot. Molding.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쌀밥 압연 장치에서의 말이용 발은, 1장의 고정 플레이트와, 그 양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와, 한쪽의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또 하나의 회전 플레이트의 4장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4장의 플레이트는 서로 링크 아암으로 연결되고,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 플레이트의 이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캠 부재가 리프트판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각 회전 플레이트가 접힌다. 고정 플레이트 양측의 회전 플레이트는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직립한다. 상기 또 하나의 회전 플레이트는, 링크 아암으로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평행해지도록 접혀 사각 기둥형의 김말이 초밥이 제조된다.In the rice rolling devic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the horse's foot includes four fixed plates, one rotating plate freely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and another rotating plate freely connected to one rotating plate. Consists of The four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ink arm, and each of the rotating plates is folded by lifting the cam memb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rotating plat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plate by the lift plate. The rotating plates on both sides of the fixed plate stand up against the fixed plate. The another rotat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stationary plate by a link arm, and is folded to be parallel to the stationary plate, thereby producing a rolled square sushi.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쌀밥 압연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 양측의 회전 플레이트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는 또 하나의 회전 플레이트를 상기 양측의 회전 플레이트에 추종하여 접고 초밥용 밥을 위에서 눌러댐으로써 말아 조이는 것이다. 이로써 김말이 초밥을 깔끔한 모양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rice rolling devic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follows another rotating plate connected to one of the rotating plates on both sides of the fixed plate to the rotating plates on both sides, and rolls it by pressing the rice for sushi from above. This is why Kim is trying to mold sushi into a neat shape.

그러나 리프터의 구동력만으로 말이용 발을 구동하여 김말이 초밥을 제조하는 것이므로 말아 조임 동작 후에 초밥용 밥이나 그 안에 말려 들어가 있는 속재료의 반력으로 김말이 초밥이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 즉, 의도한 횡단면 사각형의 김말이 초밥을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However, since only the driving force of the lifter drives the horse's foot to make the sushi rolls, the sushi rolls may be opene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sushi rice or the ingredients that are rolled into it after the rolling action. That is, the seaweed roll of the intended cross section square may not be able to manufacture sushi.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리프터의 구동력에 의한 말아 조임 동작 후에 추가 조임을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말아 조임 기구는, 4장의 플레이트가 서로 링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말아 조임 기구 이외로부터 힘을 가하면 상기 링크의 연결에 의해 다른 플레이트가 움직여 추가 조임을 행할 수 없다. 혹은 상기 다른 플레이트가 상기 말아 조임 기구 이외로부터의 힘에 대한 저항이 되어 추가 조임을 행할 수 없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effective to perform additional tightening after the roll tightening opera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lifter. However, in the rolling fastening mechanism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since the four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ink,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other than the rolling fastening mechanism, the other plates move and the additional tightening cannot be performed by the connection of the link. Or the said other plate becomes resistance to the force from the said rolling fastener other than the said, and cannot tighten further.

아울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쌀밥 성형 장치에 관련된 발명으로서, 성형 동작 후 말이용 발의 복귀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상기 캠 부재와 리프트판을 자성체와 마그넷에 의해 자기(磁氣)적으로 결합한 쌀밥 성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In addition, as an invention related to the rice form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rice forming apparatus in which the cam member and the lift plate are magnetically coupled by a magnetic material and a magnet so that the return operation of the horse's foot is smoothly performed after the molding operation. Is proposed (refer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2008-21199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211992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2008-211991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11991

본 발명은, 식품을 일단 말아 조인 후 이 말아 조임 동작과는 다른 동작으로 추가 조임할 수 있게 하여 말아 조임을 확실하게 행하여 깔끔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는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molding apparatus that can be rolled and tightened once, and then can be further tightened by a different operation from the rolled tightening operation to ensure that the rolls can be tightened and molded into a neat shape.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는,Food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판형의 식재(食材)를 봉상(棒狀)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가진 식품 성형 장치로서,A food molding apparatus having a molding portion for molding a plate-like ingredient into a rod shape,

상기 성형부는, 접힘으로써 식재를 말아 조이는 말이용 발과, 직선적으로 진출함으로써 상기 말이용 발을 접는 리프터와, 상기 말이용 발을 상기 압연된 식재의 수취 위치와 상기 성형부에 의한 성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베이스를 가지며,The molded part is folded between a foot for rolling the food by folding, a lifter for folding the foot for rolling by advancing linearly, and between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molding position by the molding. Has a movable slide base,

상기 말이용 발은,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한쪽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3 회전 플레이트를 가지며,The horse-foot has a fixed plat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fre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and a third rotating plate freely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

상기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와 제3 회전 플레이트는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고,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 and the third rotating plate is rotatable alone,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구동부는, 상기 말이용 발에 의한 식재의 말아 조임 태양(態樣)에서 상기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 중 하나를 상기 리프터에 접촉시켜 식재의 추가 조임을 행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of the slide b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tightening of the planting material by contacting on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to the lifter in the roll fastening mode of the planting by the horse-foot do.

제1, 제2 및 제3 회전 플레이트가 리프터의 직선적인 진출에 의해 접힘으로써 식재가 말아 조여진다. 리프터의 직선적인 진출 동작과는 별도로, 슬라이드 베이스의 구동부가 슬라이드 베이스와 함께 말이용 발을 슬라이드시키고,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 중 하나를 리프터에 접촉시킴으로써 식재가 추가 조임된다. 따라서 식재의 말아 조임을 확실하게 행함과 동시에 깔끔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전 플레이트가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리프터의 동작과는 별도로 말이용 발을 슬라이드시킴으로서 추가 조임을 행할 수 있게 되었다.The planting is rolled up by fold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plates by the linear advance of the lifter. Apart from the linear advancing operation of the lifter, the drive of the slide base slides the horse-foot with the slide base, and the planting is further tightened by contac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to the lifter. Therefore, it can be surely rolled and tightened in the shape of the plant and at the same time neat shape. Since the first to third rotating plates are rotatable alone, additional tightening can be performed by sliding the horse's foot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of the lifte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조치의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압연부의 구동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압연부의 다른 작동 태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압연부의 또 다른 작동 태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압연부의 구동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압연부의 구동 기구를 그 지지판의 이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성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성형부의 가이드판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의 슬라이드 베이스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의 슬라이드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예의 슬라이드 베이스와 말이용 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말이용 발의 말아 조임 태양을 부감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말이용 발의 말아 조임 태양을 올려다보는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말이용 발의 말아 조임 태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말이용 발의 말아 조임 태양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예의 리프터와 말이용 발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리프터와 말이용 발이 다른 작동 태양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리프터와 말이용 발의 또 다른 작동 태양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리프터와 말이용 발의 또 다른 작동 태양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리프터와 말이용 발의 또 다른 작동 태양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리프터와 말이용 발의 또 다른 작동 태양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말이용 발에 의한 추가 조임 동작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말이용 발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A-A선의 상기 말이용 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말이용 발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a food molding mea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embodiment.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rolling part of the embodiment.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other operating aspect of the rolling part.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operating aspect of the rolled por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e mechanism of the rolled por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e mechanism of the rolled portion on the back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lded part of the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uide plate portion of the molding por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e unit of the slide base of the embodiment.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e base of the embodiment.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base and the horse-riding foot of the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rolled-up fastening mode of the said horse-riding foot in a bird's-eye direc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rse's foot in a direction of looking up the roll-tightening su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rolling method of the said horse-back foot.
Fig.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ll fastening mode of the foot for horses.
Fig. 1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lifter and the horse-riding foot of the embodiment.
Fig. 1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lifter and the horse's foot are different.
1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operating aspect of the lifter and the horse's foot.
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operating aspect of the lifter and the horse's foot.
Fig. 2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mode of operation of the lifter and the horse's foot.
Fig. 2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mode of operation of the lifter and the horse's foot.
Fig. 2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additional tightening operation by the horse-riding foot.
24 is a plan view of the horse's foot.
2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se-riding foot of the AA line shown in FIG. 24.
Fig. 26 is an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horse-riding foot.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는 김말이 초밥의 성형에 적합한 식품 성형 장치의 예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e food form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n example of a food forming apparatus suitable for forming sushi rolls.

[실시예]EXAMPLE

[전체의 개략][Overview of the whole]

도 1, 도 2에서, 식품 성형 장치(1)는, 주요 구성 부분으로서 초밥용 밥을 수용하는 호퍼(2)와, 상기 초밥용 밥의 교반부(3)와, 교반된 초밥용 밥을 판형으로 압연하는 압연부(4)와, 압연된 초밥용 밥을 봉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5)를 구비하고 있다. 교반부(3)는, 호퍼(2)의 하방에서 호퍼(2)내의 초밥용 밥을 교반하는 제1 교반 날개(31)와 제2 교반 날개(3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교반 날개(32)는, 제1 교반 날개(31)의 경사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교반 날개(31)로 교반되고 또한 중력에 의해 경사 하방으로 강하하는 초밥용 밥을 더 교반하여 도출구(33)에서 압연부(4)를 향해 도출한다.In FIG. 1, FIG. 2,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is plate-shaped by the hopper 2 which accommodates rice for sushi as a main component, the stirring part 3 of the said rice for sushi, and the stirred rice for sushi. And a molded part 5 for molding the rolled rice for sushi into a rod shape. The stirring part 3 is equipped with the 1st stirring blade 31 and the 2nd stirring blade 32 which stir the rice for sushi in the hopper 2 below the hopper 2. The 2nd stirring blade 32 is located in the inclined downward direction of the 1st stirring blade 31, and is stirred by the 1st stirring blade 31, and further stirs the rice for sushi which descend | falls inclined downward by gravity, and leads out. In (33), it is led toward the rolling part 4.

도출구(33)로부터 도출되는 초밥용 밥은 경사 가이드(34)에 의해 압연부(4)로유도된다. 압연부(4)는 앞쪽 상측의 제1 압연 롤러(41), 뒤쪽 상측의 제2 압연 롤러(42), 앞쪽 하측의 제3 압연 롤러(43), 뒤쪽 하측의 제4 압연 롤러(44)의 4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의 제1, 제2 압연 롤러(41),(42)는 1쌍이 되어 회전 구동되고, 하측의 제3, 제4 압연 롤러(43),(44)는 1쌍이 되어 회전 구동된다. 상측의 1쌍의 롤러(41),(42) 및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는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초밥용 밥을 판형으로 압연하면서 아래쪽 경사 전방으로 반송한다. 상측의 압연 롤러(41),(42)로 압연되고 또한 하측의 압연 롤러(43),(44)로 판형으로 압연된 초밥용 밥은 경사면을 구비한 가이드 부재(46)에 의해 성형부(5)로 유도된다.The rice for sushi drawn out from the outlet 33 is guided to the rolling section 4 by the inclined guide 34. The rolling part 4 is formed of the first rolling roller 41 at the front upper side, the second rolling roller 42 at the rear upper side, the third rolling roller 43 at the front lower side, and the fourth rolling roller 44 at the rear lower side. Four rollers are provided. The upper first and second rolling rollers 41 and 42 are rotated in pairs and the lower third and fourth rolling rollers 43 and 44 are rotated in pairs. The upper pair of rollers 41 and 42 and th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are arrang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o serve sushi rice. While rolling in a plate shape, it conveys forward downward. The sushi rice rolled by the upper rolling rollers 41 and 42 and rolled into a plate shape by the lower rolling rollers 43 and 44 is formed by the guide member 46 having an inclined surface. Is induced.

[성형부][Molding part]

성형부(5)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며, 성형부(5)는, 도 1에 도시한 말이용 발(6), 도 2에 도시한 전후의 리프터(7),(8), 슬라이드 베이스(9), 가이드판(10) 등이 주요한 구성 부재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10)은, 식품 성형 장치(1)의 본체의 하부 앞쪽에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판(10)의 좌우 방향 양측에는, 슬라이드 베이스(9)의 좌우 양측벽이 끼워져 슬라이드 베이스(9)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10)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리프터(7),(8)의 상승에 대한 퇴피 구멍(12)이 전후 방향을 향해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molded part 5 is a characteristic part of this invention, and the molded part 5 is a horse-foot 6 shown in FIG. 1, the lifter 7 and 8 of the front and back shown in FIG. The base 9, the guide plate 10, etc. are the main structural members. The guide plate 10 is fixed to form a horizontal plane in the lower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food forming apparatus 1.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guide rails 11 are formed to sandwich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slide base 9 to guide sliding of the slide base 9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center part of the guide plate 10, the evacuation hole 12 with respect to the lift of the lifters 7 and 8 is formed in the slit-shaped toward the front-back direction.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9)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며, 슬라이드 베이스(9)의 좌우의 양측 하면에는 전후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랙(9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10)의 하방에는, 도 10에 도시한 슬라이드 베이스 구동 기구(100)가 조립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 구동 기구(100)는, 기판(101)과, 기판(101)에 고정된 모터(102)와, 모터(1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1쌍의 피니언(10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1쌍의 피니언(104)은 하나의 회전축에 결합됨으로써 일체로 회전한다. 1쌍의 피니언(104)은, 가이드판(10)의 좌우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1쌍의 피니언(104)의 일부가 가이드판(10)의 좌우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가이드판(10)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되어 있다. 도 9에서는, 한쪽의 피니언(104) 일부만 그려져 있다.As shown in FIG. 11, FIG. 12, the slide base 9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and the rack 95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e base 9, respectively. Under the guide plate 10, the slide base drive mechanism 100 shown in FIG. 10 is assembled. The slide base drive mechanism 100 includes a substrate 101, a motor 102 fixed to the substrate 101, and a pair of pinions 104 that are rotationally driven by the motor 102. The pair of pinions 104 rotate integrally by being coupled to one rotation shaft. The pair of pinions 104 are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guide plate 10, and a part of the pair of pinions 104 is formed in the hole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guide plate 10. It protrud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10). In FIG. 9, only a part of one pinion 104 is draw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10)의 가이드 레일(11)에 슬라이드 베이스(9)의 좌우 양측벽을 끼우고 가이드 레일(11)로 가이드시키면서 슬라이드 베이스(9)를 밀어넣으면, 슬라이드 베이스(9) 좌우의 랙(95)이 각각 피니언(104)에 맞물린다. 이후에는, 모터(102)의 회전을 제어하여 피니언(104)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슬라이드 베이스(9)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slide base 9 is pushed while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slide base 9 ar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s 11 of the guide plate 10 and guided by the guide rails 11, the slide base (9) The left and right racks 95 mesh with the pinions 104, respectively. Subsequently,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104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102, the slide position of the slide base 9 in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controlled.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9)에는, 좌우 방향의 중앙에 슬릿형의 퇴피 구멍(91)이 형성되어 있다. 퇴피 구멍(9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또한 가이드판(10)의 퇴피 구멍(12)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9)에는 말이용 발(6)을 착탈할 수 있도록, 말이용 발(6)의 핀(605)을 끼울 수 있는 수용 구멍(94)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 구멍(94)은, 슬라이드 베이스(9)의 저면에 고정된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블록(92)과, 블록(92)을 덮도록 하여 슬라이드 베이스(9)에 고정된 금속판(93)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94)은 좌우에 1개씩, 2개를 쌍으로 하여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말이용 발(6)의 핀(605)도 좌우에 1개씩, 2개를 쌍으로 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 구멍(94)에 말이용 발(6)의 핀(605)을 끼움으로써 말이용 발(6)이 슬라이드 베이스(9)와 일체가 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FIG. 12, the slide base 9 is formed with the slit-type evacuation hole 91 in the center of the left-right direction. The evacuation hole 91 is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is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overlaps with the evacuation hole 12 of the guide plate 10. The slide base 9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hole 94 into which the pin 605 of the horse's foot 6 can be fitted so that the horse's foot 6 can be detached. The accommodation hole 94 is formed in the block 92 which consist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xed to the bottom face of the slide base 9, and the metal plate 93 fixed to the slide base 9 so that the block 92 may be covered. . The accommodating holes 94 are formed in pairs one by on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orrespondingly, two pins 605 of the horse feet 6 are also provided in pairs by one on the left and right. By inserting the pin 605 of the horse's foot 6 into the receiving hole 94, the horse's foot 6 is integrated with the slide base 9 so as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말이용 발의 구성][Configuration of Horse Foot]

다음으로 말이용 발(6)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 도 25,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이용 발(6)은, 고정 플레이트(60)와, 고정 플레이트(60)의 양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61),(62)를 가지고 있다. 말이용 발(6)은 또한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61),(62) 중 한쪽인 제2 회전 플레이트(62)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3 회전 플레이트(63)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말이용 발(6)은 합계 4장의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4장의 각 플레이트(60),(61),(62),(63)는, 각각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재(601),(611),(621),(631)와, 이들 각 베이스재의 표면에 아웃 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수지층(602),(612),(622),(632)을 가지고 있다. 말이용 발(6)의 상면은 거의 전체가 수지층(602),(612),(622),(632)으로 덮여 있다. 제3 회전 플레이트(63)의 앞쪽 단연(端緣)에는, 수지층(632)의 일부가 상승함으로써 말이용 발(6)에 얹는 김의 앞쪽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 돌기(638)가 적당수 형성되어 있다. 수지층(602),(612),(622),(632)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할 수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horse's foot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4, FIG. 25, and FIG. 26, the horse-wheel 6 has the fixed plate 60 and the 1st, 2nd rotating plate 61 in which rotation was fre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late 60. As shown in FIG. Has (62). The horse's foot 6 also has a third rotating plate 63 in which rotation is freely connected to a second rotating plate 62 which i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61 and 62. Therefore, the horse's foot 6 has a total of four plates. Each of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is formed of a base plate 601, 611, 621, 631 made of a metal plate, and the surface of each base material. The resin layers 602, 612, 622, and 632 which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outstain molding are included. The upper surface of the horse-foot 6 is almost entirely covered with resin layers 602, 612, 622, and 632. On the front edge of the third rotating plate 63, a portion of the resin layer 632 is raised so that the positioning protrusion 638 for regulating the front position of the laver placed on the foot 6 is appropriate. Formed. The resin layers 602, 612, 622, and 632 can be formed of polypropylene, for example.

고정 플레이트(60)에 대해 각 회전 플레이트(61),(62),(63)는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따라서 각 플레이트(60)∼(63)는 서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플레이트(60)∼(63)의 회전이 자유로운 연결 구조는 이하와 같다. 고정 플레이트(60)의 베이스재(601)는 좌우 양단부에 상면측으로 상승한 절곡부(604)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절곡부(604)와 제1 회전 플레이트(61)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는 수평 방향의 축(64)에 의해 결합되고, 제1 회전 플레이트(61)는 고정 플레이트(60)에 대해 축(64)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604)와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는 수평 방향의 축(65)에 의해 결합되고, 제2 회전 플레이트(62)는 고정 플레이트(60)에 대해 축(65)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제3 회전 플레이트(63)도 좌우 양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와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절곡부는 수평 방향의 축(66)에 의해 결합되고, 제3 회전 플레이트(63)는 제2 회전 플레이트(62)에 대해 축(66)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Each rotating plate 61, 62, 63 is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60, and each plate 60-63 is foldable so that it may be mutually folded.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plates 60 to 63 are free to rotate is as follows. The base member 601 of the fixing plate 60 has bent portions 604 which rise to the upper surface side at both left and right ends. The bent portion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ent portion 604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61 are coupled by the axis 6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61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60. It is free to rotate about the axis 64. The bent portion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ent portion 604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are coupled by the axis 6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is fixed to the fixed plate 60. It is free to rotate about the axis 65. The third rotating plate 63 also has bent portion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and the bent portion of the bent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are coupled by the axis 6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rd rotating plate 63 is The rotation is freely about the axis 66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축(64)의 중심 축선은, 고정 플레이트(60)의 상면과 제1 회전 플레이트(61)의 상면과의 접선에 대략 일치하고, 제1 회전 플레이트(61)는 고정 플레이트(60)에 대해 상기 접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축(65)의 중심 축선은, 고정 플레이트(60)의 상면과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상면과의 접선에 대략 일치하고, 제2 회전 플레이트(62)는 고정 플레이트(60)에 대해 상기 접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축(66)의 중심 축선은,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상면과 제3 회전 플레이트(63)의 상면과의 접선에 대략 일치하고, 제3 회전 플레이트(63)는 제2 회전 플레이트(62)에 대해 상기 접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64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tangen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61,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61 is above the fixed plate 60. The rotation is free around the tangent line. Similarly,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65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tangen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60. It is free to rotate about the tangent line.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66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tangen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rotating plate 63, and the third rotating plate 63 is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The rotation about the tangent is free.

도 13 내지 도 17, 도 2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60)의 베이스재(601)의 하면측에는 고정 플레이트(60)의 폭방향, 즉 식품 성형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2개 1쌍의 지지판(603)이 고착되어 있다. 각 지지판(603)에는, 상기 베이스재(601)와의 교차부에서 끝단부가 원추형상인 상기 핀(605)이 고착되어 있다. 각 지지판(603)은, 전후 방향으로 나열된 4장의 플레이트(60),(61),(62),(63)에 걸친 길이를 가지고 있다. 각 지지판(603)의 안쪽 단부에는 스토퍼(607)가 고착되어 있다. 스토퍼(607)는 제1 회전 플레이트(61)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말이용 발(6)에 얹는 김의 안쪽 위치를 규제한다.As shown in FIGS. 13 to 17, 25 and the like,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ase member 601 of the fixing plate 60 has two on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60,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ood forming apparatus 1. The pair of support plates 603 are fixed. Each of the supporting plates 603 is fixed with the pins 605 whose ends are conical at the intersections with the base material 601. Each support plate 603 has the length over four plates 60, 61, 62, and 63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 stopper 607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each supporting plate 603. The stopper 607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61 to regulate the inner position of the laver on the horse's foot 6.

도 14, 도 16, 도 1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플레이트(61)의 베이스재(611)에는,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롤러 지지판(615)이 고착되어 있다. 롤러 지지판(615)은 U자형으로 형성되고, U자형의 서로 대향하는 지지편에 의해 2개의 롤러(616),(617)가 그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2개의 롤러(616),(617)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인접하여 있으며, 도 17에 도시한 말이용 발(6)에 의한 말아 조임 동작 전의 태양은 롤러(616)가 하측에 있으며 롤러(617)가 경사방향 앞쪽 위에 있다.As shown to FIG. 14, FIG. 16, FIG. 17 etc., the roller support plate 615 is fixed to the base material 611 of the 1st rotating plate 61 in the longitudinal center part. The roller support plate 615 is formed in a U shape, and the two rollers 616 and 617 are supported freely about the center axis line by the U-shaped mutually opposing support pieces. The two rollers 616, 617 are parallel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un before the roll tightening operation by the horse-foot 6 shown in Fig. 17 is the roller 616 at the lower side and the roller 617. Is on the forward slope.

도 13, 도 14, 도 16, 도 2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회전 플레이트(63)의 베이스재(631)에도 그 길이 방향 중앙부가 U자형으로 형성된 롤러 지지판(635)이 고착되어 있다. 롤러 지지판(635)의 U자형의 서로 대향하는 지지편에 의해 2개의 롤러(636),(637)가 그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2개의 롤러(636),(637)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인접하여 있으며, 도 17에 도시한 말이용 발(6)에 의한 말아 조임 동작 전 태양은 롤러(636)가 하측에 있으며 롤러(637)가 뒤쪽으로 경사방향 위에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636)의 지지축은 롤러 지지판(635)에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데 반해, 롤러(637)의 지지축은 롤러 지지판(635)의 장공(639)에 끼워져 이 장공(639)의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FIG. 14, FIG. 16, FIG. 25, etc., the roller support plate 635 by which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U-shaped is also stuck to the base material 631 of the 3rd rotating plate 63. FIG. Two rollers 636 and 637 are supported freely by rotation about the center axis by the U-shaped mutually opposing support pieces of the roller support plate 635. The two rollers 636 and 637 are parallel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 the aspect before the roll tightening operation by the horse-foot 6 shown in Fig. 17, the roller 636 is on the lower side and the roller 637 Is behind the slope. As shown in FIG. 15, the support shaft of the roller 636 is supported by the roller support plate 635 so as not to be relatively movable, whereas the support shaft of the roller 637 is fitted into the long hole 639 of the roller support plate 635. It is possible to move within the range of the long hole 639.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636),(637)의 하부에는 리프터(7)가 있으며, 상기 롤러(616),(617)의 하부에는 다른 리프터(8)가 있다. 도 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7),(8)는 앞뒤로 긴 후판형 부재로서 서로 L자형, 역L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적절한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퇴피 구멍(12),(91)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직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리프터(7),(8)는 비교적 단단한 수지로 이루어진다. 리프터(7),(8)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은, 미도시된 말아 조임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아암(74),(84)과, 이들 구동 아암(74),(84)에 마련되어 있는 구동 핀(73),(83)과, 이들 구동 핀(73),(83)이 끼워지는 캠 홈(71),(81)에 의해 행해진다. 구동 핀(73),(83)은, 이른바 캠 팔로워로서, 베어링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보유지지되어 있다. 구동 핀(73),(83)은, 각각 구동 아암(74),(84)의 회전 중심축(75),(85)(도 20 참조)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다.As shown in FIG. 17, there are lifters 7 below the rollers 636 and 637, and other lifters 8 below the rollers 616 and 617. As shown in Fig. 8, the lifters 7 and 8 are formed in the form of L-shaped and inverted L-shaped with each other as long back and forth members, and through the evacuation holes 12 and 91 by appropriate guide members. It moves so that it may go straight up and down. The lifters 7 and 8 are made of a relatively hard resin. Movement of the lifters 7 and 8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carried out to the driving arms 74 and 84 which are rotationally driven by a non-illustrated tightening drive motor, and these driving arms 74 and 84. The driving pins 73 and 83 provided, and the cam grooves 71 and 81 to which these driving pins 73 and 83 are fitted are performed. The drive pins 73 and 83 are so-called cam followers, and rotation is freely held through the bearings. The drive pins 73 and 83 are located at positions away from the rotation center axes 75 and 85 (see FIG. 20) of the drive arms 74 and 84, respectively.

도 17에서, 말이용 발(6)에 의한 초밥용 밥의 말아 조임 동작시, 구동 아암(74)은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 아암(84)은 시계 방향으로 동기적으로 같은 각도로 회전 구동된다. 캠 홈(71)은 캠 홈(81)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고 또한 대략 직선형이며 구동 아암(74)의 회전 중심축(75)보다 비교적 멀리 있다. 이에 반해 캠 홈(81)은, 전후 방향으로 짧고 또한 완만한 S자형으로 구불구불하게 되어 있고 구동 아암(84)의 상기 회전 중심축(85)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앞쪽 리프터(7)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는, 뒤쪽 리프터(8)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보다 크다.In Fig. 17, during the rolling action of the sushi rice by the horse-foot 6, the driving arm 74 is rotated at the same angle synchronous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driving arm 84 in the clockwise direction. . The cam groove 71 is long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n the cam groove 81 and is substantially straight and relatively far from the rotational central axis 75 of the drive arm 74. On the contrary, the cam groove 81 is curved in a short and gentle S-sha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rotational central axis 85 of the drive arm 84. Therefore, the movement strok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lifter 7 is larger than the movement strok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r lifter 8.

리프터(7)의 상단면(72)은 상기 롤러(636),(637)와 접촉면으로 되어 있고, 리프터(8)의 상단면(82)은 상기 롤러(616),(617)와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리프터(7)에는 상단면(72)에 인접하여 판형의 자석(180)이 매립되어 있다. 상기 롤러(636),(637)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자석(180)과 롤러(636),(637)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다.The upper surface 72 of the lifter 7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s 636 and 637, and the upper surface 82 of the lifter 8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s 616 and 617. have. The plate-shaped magnet 180 is embedded in the lifter 7 adjacent to the upper end surface 72. The rollers 636 and 637 ar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a magnetic attraction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magnet 180 and the rollers 636 and 637.

슬라이드 베이스(9)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슬라이드 베이스 구동 기구(100)(도 10 참조)의 모터(102)가 회전 제어됨으로써 1쌍의 피니언(104)과 랙(95)의 맞물림에 의해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위치가 제어된다. 슬라이드 베이스(9)의 슬라이드 범위는, 도 2,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9)의 전단이 식품 성형 장치(1)의 전단과 대략 일치하는 전진 위치로부터, 압연부(4)로 압연된 초밥용 밥을 말이용 발(6)로 수취할 수 있는 후퇴 위치까지의 범위이다. 상기 전진 위치에서는, 리프터(7),(8)의 동작에 수반되는 말이용 발(6)에 의한 초밥용 밥의 말아 조임 동작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e base 9 is rotated and controlled by the motor 102 of the slide base drive mechanism 100 (see FIG. 10) to engage the pair of pinions 104 and the rack 95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lide position is controlled. As shown in FIGS. 2 and 8, the slide range of the slide base 9 moves from the forward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of the slide base 9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front end of the food forming apparatus 1 to the rolling part 4. It is the range to the retreat position which can receive the rolled sushi rice with the paw 6. In the said forward position, the rolling and tightening operation of the rice for sushi by the horse-riding foot 6 accompanying the operation of the lifter 7 and 8 is performed.

도 17 내지 도 23은, 구동 아암(74),(84)이 회전하기 전부터 소정 각도 회전할 때까지의 리프터(7),(8)의 동작과 리프터(7),(8)에 의해 작동되는 말이용 발(6)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다. 도 17은 구동 아암(74),(84)이 회전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4장의 상기 플레이트(60),(61),(62),(63)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말이용 발(6)은 평탄한 태양으로 되어 있다. 리프터(7),(8)는 가장 하강한 위치에 있어 각각의 상단면(72),(82)에서 롤러(616),(636)가 약간 이간되어 있다.17 to 23 show the operation of the lifters 7 and 8 and the operation of the lifters 7 and 8 before the drive arms 74 and 84 rotate to a predetermined angle. The operation of the horse's foot 6 is shown in sequence. Fig. 17 shows a state before the driving arms 74 and 84 rotate,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are on the same plane and The use foot 6 is in a flat sun. The lifters 7 and 8 are in the lowered positions so that the rollers 616 and 636 are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surfaces 72 and 82, respectively.

도 18은, 구동 아암(74),(84)이 각각 2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8에서 구동 아암(74)은 반시계 방향, 구동 아암(84)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아암(74)의 회전에 의해 구동 핀(73)이 리프터(7)의 캠 홈(71)의 상연(上椽)을 누르고 리프터(7)를 밀어올려 리프터(7)의 상단면(72)이 롤러(636)에 접한다. 한편 구동 아암(84)이 끼워져 있는 리프터(8)의 캠 홈(81)은 완만한 S자를 그리는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구동 아암(84)의 회전시에는 구동 핀(83)은 캠 홈(81)을 따라 움직이고 리프터(8)는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4장의 플레이트(60),(61),(62),(63)는 거의 변화가 없으며 각 플레이트(60),(61),(62),(63)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있다.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arms 74 and 84 are rotated about 20 degrees,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in FIG. 18, the drive arm 74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drive arm 84 rotates clockwise.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arm 74, the drive pin 73 presses the upper edge of the cam groove 71 of the lifter 7 and pushes up the lifter 7 to raise the upper surface 72 of the lifter 7. This roller 636 is in contact. On the other hand, the cam groove 81 of the lifter 8, in which the drive arm 84 is fitted, has a different shape drawing a gentle S-shape. When the drive arm 84 rotates, the drive pin 83 is the cam groove 81. ) And the lifter 8 hardly rises. Therefore,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are almost unchanged,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plates 60, 61, 62, and 63 are on the same plane.

도 19는, 구동 아암(74),(84)이 각각 4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동작 태양에서는, 리프터(7)의 상단면(72)으로 롤러(636)가 밀어올려지고, 리프터(8)의 상단면(82)으로 롤러(616)가 밀어올려진다. 앞쪽의 리프터(7)를 구동하는 구동 아암(74)의 구동 핀(73)은 구동 아암(74)의 회전 중심축(75)으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으며, 또한 캠 홈(71)이 전후 방향의 대략 직선형이므로, 리프터(7)의 상승 스트로크는 뒤쪽의 리프터(8)의 상승 스트로크보다 크다. 따라서 롤러(636)를 가지고 있는 제3 회전 플레이트(63)의 밀어올림양은, 롤러(616)를 가지고 있는 제1 회전 플레이트(61)의 밀어올림양보다 크다. 제3 회전 플레이트(63)는, 상기 축(66)(도 25 참조)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상승한 자세를 취하고, 또한 축(66)을 통해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앞쪽을 끌어올린다. 제2 회전 플레이트(62)는 상기 축(65)(도 25 참조)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자세를 취한다. 한편 제1 회전 플레이트(61)는 상기 축(64)(도 25 참조)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상승한 자세를 취한다.19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arms 74 and 84 are rotated by about 40 degrees, respectively. In this operation aspect, the roller 636 is pushed up to the top surface 72 of the lifter 7, and the roller 616 is pushed up to the top surface 82 of the lifter 8. The drive pin 73 of the drive arm 74 for driving the front lifter 7 is largely separated from the rotation center axis 75 of the drive arm 74, and the cam groove 71 is substantially straight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 upward stroke of the lifter 7 is larger than the upward stroke of the rear lifter 8. Therefore, the amount of pushing up of the 3rd rotating plate 63 which has the roller 636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pushing up of the 1st rotating plate 61 which has the roller 616. FIG. The third rotating plate 6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axis 66 (see FIG. 25) and is inclinedly raised, and is further forward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through the shaft 66. Up.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axis 65 (see FIG. 25) to take an inclined posture. On the other hand, the first rotating plate 61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axis 64 (see FIG. 25) to take an inclined upward position.

도 20은, 구동 아암(74),(84)이 각각 6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동작 태양에서는, 앞쪽의 리프터(7)가 더 상승하여 제3 회전 플레이트(63)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롤러(636) 대신에 롤러(637)가 리프터(7)의 상단면(72)으로 밀어올려져 제2 회전 플레이트(62)도 더 회전한다. 뒤쪽의 리프터(8)도 더 상승하고 롤러(616) 대신에 롤러(617)가 리프터(8)의 상단면(82)으로 밀어올려져 제1 회전 플레이트(61)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2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arms 74 and 84 are rotated by about 60 degrees, respectively. In this operation aspect, the front lifter 7 is further raised so that the third rotating plate 63 is rotated furth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instead of the roller 636, the roller 637 has an upper surface (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is also rotated further. The rear lifter 8 is also raised and instead of the roller 616 the roller 617 is pushed up to the top surface 82 of the lifter 8 so that the first rotating plate 61 is rotated further clockwise.

도 21은, 구동 아암(74),(84)이 각각 8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동작 태양에서는, 리프터(7)의 상단면(72)으로 롤러(637)가 더 밀어올려져 제3 회전 플레이트(63)가 수직의 태양을 넘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제2 회전 플레이트(62)가 대략 수직의 태양을 취한다. 한쪽 리프터(8)의 상단면(82)으로 롤러(617)가 더 밀어올려져 제1 회전 플레이트(61)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제1 회전 플레이트(61)는 수직에 가까운 태양을 취한다.FIG. 21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arms 74 and 84 are rotated about 80 degrees, respectively. In this mode of operation, the roller 637 is further pushed up to the top surface 72 of the lifter 7 so that the third rotating plate 63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over the vertical sun so that the second rotating plate ( 62 takes the approximately vertical sun. The roller 617 is pushed further to the upper surface 82 of one lifter 8 so that the first rotating plate 61 is rotated further clockwise so that the first rotating plate 61 takes a near vertical position. .

도 22는, 구동 아암(74),(84)이 각각 10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동작 태양에서는, 롤러(637)가 리프터(7)의 상단면(72)으로, 롤러(617)은 리프터(8)의 상단면(82)으로 더 밀어올려져 제2, 제3 회전 플레이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제1 회전 플레이트(61)는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제1 회전 플레이트(61)와 제2 회전 플레이트(62)는 대략 수직 태양을 취하고, 제3 회전 플레이트(63)는, 고정 플레이트(60)와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61),(62)에 의해 3방향을 둘러싼 횡단면 U자형 공간의 상부에 덮이는 태양을 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4장의 플레이트(60),(61),(62),(63)가 접힘으로써 횡단면 사각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 동작 태양에서는, 리프터(7)의 안쪽 측면이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승하여 리프터(7)의 상단면(72)과 롤러(637)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있다.FIG. 22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arms 74 and 84 are rotated by about 100 degrees, respectively. In this aspect of operation, the roller 637 is pushed further to the top surface 72 of the lifter 7 and the roller 617 to the top surface 82 of the lifter 8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rotating plates Furth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rotating plate 61 further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1st rotating plate 61 and the 2nd rotating plate 62 take a substantially vertical aspect, and the 3rd rotating plate 63 is the fixing plate 60 and the 1st, 2nd rotating plate 61, 62 Takes the sun which is covered on the top of the cross-section U-shaped space enclosed by the three directions. In this way,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are folded to form a cross-sectional rectangular space. In this operating aspect,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ifter 7 is rais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and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72 of the lifter 7 and the roller 637. .

이상 설명한 것처럼, 4장의 플레이트(60),(61),(62),(63)를 접음으로써 초밥용 밥을 횡단면 사각형의 봉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일평면상에 있는 상기 4장의 플레이트(60),(61),(62),(63) 위에 판형으로 성형된 초밥용 밥을 얹어 리프터(7),(8)를 작동시킨다. 리프터(7),(8)의 작동에 의해 상기 4장의 플레이트(60),(61),(62),(63)는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한 말아 조임 동작을 거침으로써 판형의 초밥용 밥이 횡단면 사각형의 봉상으로 성형된다. 상면이 일평면상에 있는 상기 4장의 플레이트(60),(61),(62),(63) 위에 사각형의 김을 얹고 이 김 위에 판형의 초밥용 밥을 얹어 상기 말아 조임 동작을 실행시키면 횡단면 사각형의 봉상의 김말이 초밥을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shi rice can be formed into a cross-sectional rectangular rod by folding four plates 60, 61, 62, and 63. That is, as shown in Fig. 17, a plate-shaped sushi rice is placed on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having an upper surface on one plane, and a lifter 7, Activate (8).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of the four plates 60, 63, and 63 are rolled up by the operation of the lifters 7 and 8 for the plate-shaped sushi. Bob is shaped into a cross-section rectangular rod. If you put a square laver on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on one flat surface, and put a plate-shaped sushi rice on the laver to perform the roll-up tightening operation, The rectangular seaweed roll can produce sushi.

[추가 조임 구조][Additional tightening structure]

리프터(7),(8)와 4장의 플레이트(60),(61),(62),(63)의 말아 조임 동작에 의해 초밥용 밥 혹은 김말이 초밥을 성형한 것만으로는, 말아 조임을 해제했을 때 초밥용 밥이나 그 안에 말려 들어간 속재료의 반력으로 초밥용 밥 혹은 김말이가 벌어진다. 그래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리프터(7),(8)의 동작에 의한 추가 조임 구조에, 슬라이드 베이스(9)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한 추가 조임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추가 조임 구조를 부가하였다. 이하에 추가 조임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Only the rice or seaweed rolled up the sushi by the rolling tightening operation of the lifters 7 and 8 and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to release the rolling. When you make sushi rice or seaweed rolls, you can get sushi rice or seaweed roll. Thu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additional tightening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an additional tightening operation by a slide operation of the slide base 9 is added to the additional tightening structure by the operations of the lifters 7 and 8. An additional tightening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2는, 리프터(7),(8)가 함께 최상위까지 상승하여 4장의 플레이트(60),(61),(62),(63)에 의한 초밥용 밥이 추가 조임된 태양을 도시한다. 이 동작 태양 그대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9)를 전방(도 23에서 우방)으로 수mm 정도 슬라이드시킨다. 슬라이드 베이스(9)와 함께 말이용 발(6)도 슬라이드되므로 말이용 발(6)을 구성하는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저면이 리프터(7)의 안쪽 측면에 닿는다. 제2 회전 플레이트(62)는 상기 축(66)을 중심으로 하여 도 2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이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추가 회전에 의해 제2 회전 플레이트(62)와 함께 제3 회전 플레이트(63)가 제1 회전 플레이트(61)에 근접하여 식재를 압압한다. 이렇게 하여 제2 회전 플레이트(62)와 제3 회전 플레이트(63)에 의해 초밥용 밥이 추가 조임된다. 이 추가 조임 공정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4장의 플레이트(60),(61),(62),(63)에 의한 말아 조임을 해제해도 성형된 초밥용 밥이 반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g. 2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fters 7 and 8 are raised to the top together to further tighten the rice for sushi by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As shown in FIG. 23, the slide base 9 is slid forward by several mm forward (right in FIG. 23) as this operation aspect. Since the horse's foot 6 slides along with the slide base 9, the bottom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constituting the horse's foot 6 touches the inner side of the lifter 7.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in FIG. 23 about the axis 66. By the further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the third rotating plate 63 is pressed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ng plate 62 to press the planting material closer to the first rotating plate 61. In this way, the rice for sushi is further tightened by the 2nd rotation plate 62 and the 3rd rotation plate 63. FIG. By adding this additional tightening step, even if the rolled tightening by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is released, the molded sushi rice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with reaction force.

상기 추가 조임은, 도 10에 도시한 슬라이드 베이스 구동 기구(100)에 의해 행해진다. 식품 성형 장치(1) 전체의 동작은, 순서 제어 장치 혹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구비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슬라이드 베이스 구동 기구(100)의 모터(102)의 동작도 상기 제어부로 제어된다. 리프터(7),(8)에서 작동되는 4장의 플레이트(60),(61),(62),(63)에 의해 밥의 말아 조임이 종료되면, 다음으로 상기 모터(102)에, 슬라이드 베이스(9)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회전 지령 신호가 보내진다. 이 지령 신호에 따라 모터(102)가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드 베이스(9)가 슬라이드하여 추가 조임이 행해진다.The additional tightening is performed by the slide base drive mechanism 100 shown in FIG. 10. The operation of the whole food molding apparatus 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art provided with a sequence control apparatus, a microcomputer, etc., and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motor 102 of the slide base drive mechanism 100 is also controlled by the said control part. When the rolling of the rice is finished by the four plates 60, 61, 62, and 63 operated by the lifters 7 and 8, the slide base is next moved to the motor 102. A rotation command signal is sent to slide 9 forward. When the motor 102 rotates in response to this command signal, the slide base 9 slides and additional tightening is performed.

슬라이드 베이스(9)와 함께 말이용 발(6)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추가 조임이 행해지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 4장의 플레이트(60),(61),(62),(63)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으로 직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만일 4장의 플레이트(60),(61),(62),(63)가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리프터(7),(8)의 작동에 의한 말아 조임 후에 슬라이드 베이스(9)의 슬라이드에 의한 추가 조임을 행할 수 없다. 슬라이드 베이스(9)의 슬라이드에 의해 하나의 플레이트를 눌러 추가 조임을 행하려고 하면,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플레이트가 이동하여 추가 조임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The four plates 60, 61, 62, 63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realize that further tighten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horse's foot 6 forward with the slide base 9 forward. I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axis so that it can be done. If four plates 60, 61, 62, and 63 are connected by a link and the movement is restricted, the slide base after rolling by the operation of the lifter 7, 8 is tightened. Further tightening by the slide of (9) cannot be performed. This is because when one plate is pushed by the slide of the slide base 9 to perform further tightening, the other plate connected by the link does not move and further tightens.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회전 플레이트(63)의 롤러 지지판(635)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637)의 축의 지지공을 장공(639)으로 하였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7)의 상승 행정 도중에 리프터(7)의 상단면(72)에 닿는 롤러가 롤러(636)에서 롤러(637)로 전환된다. 이 롤러(637)로의 전환시에 롤러(637)의 축이 장공(639)의 범위에서 이동함으로써 전환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5, the supporting hole of the shaft of the roller 637 formed in the roller supporting plate 635 of the third rotating plate 63 was used as the long hole 639. As shown in FIG. 19, the roller which touches the upper end surface 72 of the lifter 7 is switched from the roller 636 to the roller 637 during the upstroke of the lifter 7. As shown in FIG. When switching to this roller 637, the axis of the roller 637 moves in the range of the long hole 639, and the impact at the time of switching can be alleviated.

리프터(7),(8)를 원위치까지 하강시키면 제1∼제3 회전 플레이트(61),(62),(63)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리프터(7)의 상단부 부근에 매립되어 있는 자석(180)과 자성체로 이루어진 롤러(637)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작용한다. 자석(180)은, 리프터(7)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롤러(637)를 자기적으로 흡인하여 롤러(637)를 가진 제3 회전 플레이트(63)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돕는다.When the lifters 7 and 8 are lowe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 first to third rotating plates 61, 62, and 63 als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 magnetic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magnet 180 embedd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end of the lifter 7 and the roller 637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e magnet 180 magnetically attracts the roller 637 when the lifter 7 descend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o assist the return of the third rotating plate 63 with the roller 637 to the original position.

[압연부][Rolling part]

다음으로, 상기 압연부(4)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압연부(4)는, 압연되는 초밥용 밥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부(4)는, 식품 성형 장치(1)의 본체 좌우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고정된 1쌍의 세로 프레임(170)을 베이스로 하여 조립되어 있다.Next, the rolling unit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The rolling part 4 is structur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sushi rice rolled can be adjusted. As shown in FIG. 6, the rolling part 4 is assembled based on a pair of vertical frames 170 fix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of the food forming apparatus 1.

도 3 내지 도 7에서, 상기 1쌍의 세로 프레임(170) 중 좌측의 세로 프레임에는, 그 외측면쪽에 가동 지지판(167)이 축(165)을 중심으로 세로 프레임(170)의 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가동 지지판(167)의 안쪽 이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모터(151),(152)가 상하로 나열되어 고정되어 있다. 모터(151),(152)의 출력축은 가동 지지판(167)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각 출력축에는 풀리(153),(154)가 장착되어 있다. 가동 지지판(167)의 앞쪽 표면에는 풀리(141),(143)이 경사방향 상하로 나열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3 to 7, in the vertical frame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70,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is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70 about the axis 165 on the outer side thereof. Rotation is mounted freely in the plane. As shown in FIG. 7, two motors 151 and 152 are fixedly arranged up and down on the inner back surface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The output shafts of the motors 151 and 152 protrude to the surface side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and pulleys 153 and 154 are attached to each output shaf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the pulleys 141 and 143 are arranged in an inclined direction up and down so that rotation is freely mounted.

상기 세로 프레임(170)에는, 풀리(153),(154)와 풀리(141),(143) 사이에 고정 지지판(168)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 지지판(168)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고정 지지판(168)의 안쪽 단연 근처에 2개의 아이들러(157),(158)가 상하로 나열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 지지판(168)에는, 아이들러(157) 하방의 경사방향 전방에 인접하여 풀리(142)가 배치되고, 아이들러(158)의 대략 전방에 인접하여 풀리(144)가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지지판(168)은 가동 지지판(167)의 이면과 겹쳐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풀리(142),(144) 및 아이들러(157),(158)는, 가동 지지판(167)에 형성되어 있는 창구멍으로부터 가동 지지판(167)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각 풀리(153),(154),(141),(143),(142),(144)는 타이밍 벨트(톱니 붙이 벨트)용 풀리이며, 타이밍 벨트가 감기는 주면(周面)에 타이밍 벨트의 톱니가 끼워지는 홈을 일정 간격으로 가지고 있다.A fixed support plate 168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170 between the pulleys 153 and 154 and the pulleys 141 and 143. The fixed support plate 168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wo idlers 157 and 158 are arranged up and down near the inner edge of the fixed support plate 168 so that rotation is freely mounted. The pulley 14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clined front of the idler 157 under the idler 157, and the pulley 14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idler 158. As shown in FIG. 7, the fixed support plate 168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may overlap. The pulleys 142, 144, and idlers 157, 158 protrude from the window hole formed in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toward the surface side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Each of the pulleys 153, 154, 141, 143, 142, and 144 is a pulley for a timing belt (toothed belt), the timing being on the main surface around which the timing belt is wound. It has grooves into which the teeth of the belt fit.

가동 지지판(167)에는, 풀리(141)와 풀리(142) 사이에 아이들러(161)가, 풀리(143)와 풀리(144) 사이에 아이들러(162)가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 풀리(143)와 풀리(154) 사이에도 아이들러(163)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풀리(141),(142),(153)에는, 내주측에만 일정 간격으로 톱니를 가진 제1 타이밍 벨트(155)가 감기고, 아이들러(157),(161)는 타이밍 벨트(155)의 외주측에 눌러대어져 있다. 다른 풀리(143),(144),(154)에는, 내주측에만 일정 간격으로 톱니를 가진 제2 타이밍 벨트(156)가 감기고, 아이들러(158),(162),(163)는 타이밍 벨트(156)의 외주측에 눌러대어져 있다.The idler 161 is rotatably mounted to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between the pulley 141 and the pulley 142, and the idler 162 is rotated between the pulley 143 and the pulley 14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dler 163 is rotatably mounted between the pulley 143 and the pulley 154. To the pulleys 141, 142, and 153, the first timing belt 155 having the teeth is wound at regular intervals on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idler 157, 161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iming belt 155. Pressed on The other pulleys 143, 144, and 154 are wound with a second timing belt 156 having teeth at regular intervals on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idlers 158, 162, and 163 have a timing belt ( 156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아이들러(157)는 타이밍 벨트(155)의 장력 조정용이며, 풀리(142),(153) 사이에서 타이밍 벨트(155)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눌러대고 있다. 아이들러(158)는 타이밍 벨트(156)의 장력 조정용이며, 풀리(144),(154) 사이에서 타이밍 벨트(156)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눌러대고 있다. 아이들러(161),(162)도 타이밍 벨트(155),(156)의 장력 조정용인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형의 초밥용 밥의 성형 두께 조정에 의한 타이밍 벨트(155),(156)의 장력 변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The idler 157 is for tension adjustment of the timing belt 155 and presses the timing belt 155 from outside to inside between the pulleys 142 and 153. The idler 158 is for tension adjustment of the timing belt 156 and presses the timing belt 156 from outside to inside between the pulleys 144 and 154. The idlers 161 and 162 are also us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iming belts 155 and 156. The tension fluctuations of the timing belts 155 and 156 by adjusting the molding thickness of the plate-shaped sushi rice as described later. It acts as a suppressor.

풀리(141)의 회전력은 미도시된 역회전 기어 유닛을 통해 도 2에 도시한 상측 제1 압연 롤러(41)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풀리(142)의 회전력은 미도시된 역회전 기어 유닛을 통해 상 제2 압연 롤러(42)와 일체로 전달된다. 풀리(143)는 하측 제1 압연 롤러(43)와 일체로 결합되고, 풀리(144)는 하 제2 압연 롤러(44)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압연 롤러(41)∼(44)는, 도 6에 도시한 좌우 1쌍의 세로 프레임(17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 제2 압연 롤러(42) 및 하 제2 압연 롤러(44)의 축의 도 6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세로 프레임(170)에 형성되어 있는 축구멍을 관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가동 지지판(167)에 지지되어 있는 상측 제1 압연 롤러(41) 및 하측 제1 압연 롤러(43)의 축의 도 6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세로 프레임(17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을 관통하여 미도시된 가동 지지판에 끼워져 있다. 상기 우측의 미도시된 가동 지지판은, 좌측의 가동 지지판(167)과 강고한 연결봉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 축(165)과 공통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141 is transmitted to the upper first rolling roller 41 shown in FIG. 2 through a reverse rotation gear unit not shown. Similar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142 is transmitt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econd rolling roller 42 through the reverse rotation gear unit (not shown). The pulley 143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lower first rolling roller 43, and the pulley 144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lower second rolling roller 44. The four rolling rollers 41 to 44 ar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70 shown in FIG. 6. The right end part of FIG. 6 of the axis | shaft of the upper 2nd rolling roller 42 and the lower 2nd rolling roller 44 where a position is fixed is supported through the shaft hole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170 of the right side. . The right end part of FIG. 6 of the axis | shaft of the upper 1st rolling roller 41 and the lower 1st rolling roller 43 supported by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passes through the long hole formed in the right vertical frame 170, It is fitted to a movable support plate, not shown. The movable support plate, not shown on the right side, may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on the left side through a rigid connecting rod to rotate about a common central axis with the shaft 165.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1쌍의 압연 롤러(41),(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 및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전방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위치는 상측의 1쌍의 압연 롤러(41),(42)에 대해 앞쪽으로 어긋나 있어, 초밥용 밥을 압연하면서 경사 전하방으로 송출한다. 상측의 1쌍의 압연 롤러(41),(42)는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 사이에 초밥용 밥을 보내어 넣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측의 1쌍의 압연 롤러(41),(42)의 간격은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간격보다 넓게 되어 있다. 압연부(4)에서 판형으로 압연되는 초밥용 밥의 두께는,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간격에 의해 정해진다.As shown in FIG. 2, a line connecting the rotation centers of the upper pair of rolling rollers 41 and 42 and a line connecting the rotation centers of th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Is inclined forward and upward. Positions of th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are shift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pair of rolling rollers 41 and 42, and are sent to the inclined electric charge while rolling the rice for sushi. . The upper pair of rolling rollers 41 and 42 serve to feed rice for sushi between th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and thus, the upper pair of rolling rollers 41 and 42 ( The space | interval of 41 and 42 is wider than the space | interval of the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of the lower side. The thickness of the sushi rice rolled in the plate shape by the rolling part 4 is determined by the space | interval of th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FIG.

압연되는 초밥용 밥의 두께는, 축(165)을 중심으로 하는 가동 지지판(167)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전환할 수 있다. 도 3은, 가동 지지판(167)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간격이 가장 좁아지게 되어 있어, 초밥용 밥을 가장 얇게 압연할 때의 동작 태양을 도시한다. 도 4는, 가동 지지판(167)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간격이 넓어져 초밥용 밥을 중간 정도의 두께로 압연할 때의 동작 태양을 도시한다. 도 5는, 가동 지지판(167)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간격이 더 넓어져 초밥용 밥을 가장 두껍게 압연할 때의 동작 태양을 도시한다.The thickness of the rolled sushi rice can be switch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around the shaft 165 and changing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have. FIG. 3 shows an operation mode when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is rotated clockwise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becomes the narrowest, and the sushi rice is rolled the thinnest. do. FIG. 4 shows an operation mode when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rotates counterclockwise to widen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to roll sushi rice to a medium thickness. do. FIG. 5 shows an operation mode when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is wider to roll the thickest rice for sushi. .

이들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간격 변화에 따라 상측의 1쌍의 압연 롤러(41),(42)의 간격도 변화된다. 상측의 1쌍의 압연 롤러(41),(42)는,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보다 가동 지지판(167)의 회전 중심인 축(165) 근처에 있으며 상측의 1쌍의 압연 롤러(41),(42)의 간격 변화량은 하측의 1쌍의 압연 롤러(43),(44)의 간격 변화량보다 적다.As the space | interval changes of thes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change, the space | interval of the upper pair of rolling rollers 41 and 42 also changes. The upper pair of rolling rollers 41 and 42 are located near the shaft 165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than th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and the upper pair of rolling rollers 41 and 42 The amount of change in gap between the pair of rolling rollers 41 and 42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change in gap between the lower pair of rolling rollers 43 and 44.

축(165)을 중심으로 하여 가동 지지판(167)이 회전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풀리(142)에 대해 풀리(141),(153)의 위치가 바뀌고, 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풀리(144)에 대해 풀리(143),(154)의 위치가 바뀐다. 이때 타이밍 벨트(155),(156)가 걸려 있는 경로의 길이가 변동되면 타이밍 벨트(155),(156)의 장력이 변동된다. 타이밍 벨트의 장력이 약해지면 풀리와의 사이에서 슬립되고, 반대로 타이밍 벨트의 장력이 강해지면 회전 저항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생긴다.As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rotates about the axis 165, the positions of the pulleys 141 and 153 ar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pulley 142 whose position is fixed, and the pulley 144 whose position is fixed. The positions of the pulleys 143 and 154 change with respect to. At this time, when the length of the path on which the timing belts 155 and 156 are varied varies, the tension of the timing belts 155 and 156 varies. When the tension of the timing belt becomes weak, it slips between the pulleys. On the contrary, when the tension of the timing belt becomes stronger, the rotational resistance increases.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풀리(141),(142)간의 아이들러(161), 풀리(143),(144)간의 아이들러(162), 풀리(143),(154)간의 아이들러(163)가 각각 가동 지지판(167)과 함께 축(165)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한다. 이러한 아이들러(161),(162),(163)는, 위치 고정된 풀리와, 가동 지지판(167)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풀리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각 타이밍 벨트(155),(156)의 장력을 일정한 범위내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하로 각각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41),(42)와 압연 롤러(43),(44)의 간격을 바꾸기 위해 각 압연 롤러와 일체의 풀리의 위치가 이동해도 타이밍 벨트(155),(156)와 풀리 상호간의 슬립 및 회전 저항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dler 161 between the pulleys 141 and 142, the idler 162 between the pulleys 143 and 144, and the idler 163 between the pulleys 143 and 154, respectively. The arc moves about the axis 165 together with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These idlers 161, 162, and 163 move tension between the fixed pulley and the pulley moving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to tension the timing belts 155 and 156. It plays a role in maintaining a certain range. Therefore, the timing belt 155, (even if the positions of the pulleys integral with the rolling rollers are moved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ing rollers 41, 42 and the rolling rollers 43, 44, which are paired up and down, respectively. 156 and an increase in slip and rota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pulleys can be prevented.

상하로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41),(42) 및 (43),(44)의 간격을 전환하여 압연되는 초밥용 밥의 두께를 바꿈으로써 성형부(5)에서 성형되는 김말이 초밥의 횡단면 크기가 달라지므로 그에 대응한 말이용 발(6)이 필요해진다. 도 11, 도 12 등을 이용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말이용 발(6)은 슬라이드 베이스(9)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말이용 발(6)을, 성형하고자 하는 김말이 초밥의 크기에 따라 예를 들면 가늘게 말기용, 중간 말기용, 굵게 말기용, 기타 중간 가늘게 말기용, 아주 굵게 말기용, 압연 전용 등 적절한 사이즈 및 용도의 말이용 발을 준비한다. 이러한 말이용 발 가운데 임의의 말이용 발(6)을 선택하여 슬라이드 베이스(9)에 장착하도록 해 둔다.Rolling rolls 41, 42, 43, and 44 paired up and down to change the thickness of the sushi rice rolled b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rolled rice roll formed in the molding section 5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ushi Since the horse foot 6 corresponding thereto is requi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1, 12 and the like, the horse-riding foot 6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lide base 9. Therefo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shi rolls to be molded, for example, thin rolled rolls, medium rolled rolls, thick rolled rolls, other medium rolled rolls, very thick rolled rolls, roll-only rolls, etc. Prepare your own horse foot. Any horse's foot 6 is selected from these horse's feet to be mounted on the slide base 9.

말이용 발(6)에는, 그 사이즈에 대응한 식별자가 마련되어 있어 말이용 발(6)을 슬라이드 베이스(9)에 장착했을 때 검출부에서 말이용 발(6)의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여 말이용 발(6)의 사이즈를 식별한다. 이 식별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식별 신호에 대응하여 가동 지지판(167)의 회전 위치를, 도 3에 도시한 가늘게 말기에 대응한 위치, 도 4에 도시한 중간 말기에 대응한 위치 또는 도 5에 도시한 굵게 말기에 대응한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한다. 가동 지지판(16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모터여도 좋고 솔레노이드여도 좋다. 모터인 경우, 회전 모터여도 좋고 리니어 모터여도 좋고, 혹은 펄스 모터를 이용하여 펄스수의 제어로 가동 지지판(167)의 회전 위치를 제어해도 좋다.The horse's foot 6 is provided with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its size, and when the horse's foot 6 is mounted on the slide base 9,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identifier of the horse's foot 6 and the horse's foot. The size of (6) is identified. This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to the said control part, and a control part respond |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respond | corresponds to the tapering end shown in FIG. 3, and the intermediate | middle end shown in FIG. The control is performed at either the position or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d end shown in FIG. The drive source for rotating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is arbitrary, for example, may be a motor or a solenoid. In the case of a motor, it may be a rotating motor or a linear motor, or may control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167 by control of a pulse number using a pulse motor.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부(4)에서, 상측에서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41),(42)의 회전 구동원은 모터(151)이며, 하측에서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43),(44)의 회전 구동원은 모터(152)이다. 이와 같이 상하로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41),(42) 및 (43),(44)의 구동원을 개별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상측의 압연 롤러(41),(42)의 회전 속도와 하측의 압연 롤러(43),(44)의 회전 속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3 to 7, in the rolling unit 4, the rotation driving sources of the paired rolling rollers 41 and 42 from the upper side are the motor 151, and the paired rolling rollers 43 from the lower side. The rotational driving source of, 44 is the motor 152. Thus,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upper rolling rollers 41 and 42 and the lower rolling rollers are provided by separately providing the driving sources of the upper and lower rolling rollers 41, 42, 43, and 44. The rotation speeds of the 43 and 44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상하의 압연 롤러의 회전 속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상측의 압연 롤러(41),(42)의 상부에 초밥용 밥이 쌓인 채로 방치되면, 초밥용 밥이 자중으로 내려가 불균일한 초밥용 밥의 덩어리가 되어 하측의 압연 롤러(43),(44) 위에 머문다. 이 상태에서 압연을 개시하면 초밥용 밥의 덩어리와 압연 롤러가 미끄러져 정상적인 압연을 할 수 없게 된다. 또 초밥용 밥이 불균일한 덩어리가 됨으로써 판형의 압연체에서의 초밥용 밥의 분포가 불균일해지고 부분적으로 초밥용 밥이 존재하지 않아, 지도 형태로 구멍이 뚫린 압연체가 된다. 이러한 초밥용 밥의 분포가 불균일한 압연체는, 연속하여 여러 장 압연해도 계속되며 그 후 겨우 정상적인 압연체를 얻을 수 있다.The reason for making it the structure which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upper and lower rolling rollers independently is as follows. When the rice for sushi is left stan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olling rollers 41 and 42, the rice for sushi falls to its own weight and becomes a non-uniform mass of sushi rice, and the lower rolling rollers 43 and 44 are used. Stay on When rolling is started in this state, the lump of sushi rice and a rolling roller will slip and normal rolling will not be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rice for sushi becomes a non-uniform mass, the distribution of the sushi rice in a plate-shaped rolled body becomes uneven, and there is no sushi rice partially, and it becomes a rolled body with the hole perforated in a map form. The rolled body in which the distribution of the rice for sushi is nonuniform is continued even if several sheets are continuously rolled, and only a normal rolled body can be obtained after that.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의 압연 롤러의 구동원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압연부(4)의 스타트 스위치가 눌렸을 때 상기 구동원의 동작 개시에 시간차를 둠으로써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경과후 압연부(4)의 스타트 스위치가 눌린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측의 압연 롤러(41),(42)의 구동 모터(151)만을 먼저 구동하고, 수밀리초 후에 하측의 압연 롤러(43),(44)의 구동 모터(152)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상측의 압연 롤러(41),(42)가 먼저 구동됨으로써 상측의 압연 롤러(41),(42)와 하측의 압연 롤러(43),(44) 사이에 초밥용 밥이 충분히 채워져 초밥용 밥의 불균일한 분포가 해소된다. 계속해서 하측의 압연 롤러(43),(44)가 구동됨으로써 초밥용 밥이 균일하게 분포된 압연체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since the driving sources of the upper and lower rolling rollers are independent, the above inconveniences can be eliminated by giving a time difference to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when the start switch of the rolling unit 4 is pressed. That is, when the start switch of the rolling part 4 is pressed after a certain time, the said control part drives only the drive motor 151 of the upper rolling rollers 41 and 42 first, and after several milliseconds, Control is performed to drive the drive motors 152 of the rolling rollers 43 and 44. When the upper rolling rollers 41 and 42 are driven first, the rice for sushi is sufficiently filled between the upper rolling rollers 41 and 42 and the lower rolling rollers 43 and 44, so that The nonuniform distribution is eliminated. Subsequently, the lower rolling rollers 43 and 44 are driven to obtain a rolled body in which the rice for sushi is uniformly distributed.

[동작의 설명][Description of Operation]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일련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식품 성형 장치(1)는, 전원 스위치, 비상 정지 스위치, 프로그램 스위치, 스타트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로그램 스위치는, 예를 들면 성형되는 김말이 초밥의 단단함 즉 말아 조임 정도, 김말이 초밥 안에 말아 넣는 속재료의 종류, 기타 다양한 조건을 설정한다. 스타트 스위치는, 식품 성형 장치(1)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1)는, 압연부(4)에 의한 압연 공정과 성형부(5)에 의한 성형 공정 사이에 수동에 의한 속재료의 배치 공정이 있고, 수동에 의한 공정에서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A series of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food form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an emergency stop switch, a program switch, a start switch, and the like. The program switch sets, for example, the firmness of the rolled seaweed to be molded, that is,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type of ingredients to be rolled into the sushi, and various other conditions. The start switch is a switch for operating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In the food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 manual disposing step of the inner material between the rolling step by the rolling part 4 and the molding step by the shaping part 5, and the next step is performed in the manual step. When the process proceeds, the start switch is pressed.

호퍼(2)에는 초밥용 밥이 투입되어 수용되고 초밥용 밥은 교반부(3)에서 교반되고 압연부(4)에 공급되어 성형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성형부(5)에서는, 슬라이드 베이스(9)와 함께 말이용 발(6)이 가이드판(10)의 전반(前半) 부분에 위치하고 말이용 발(6)을 구성하는 4장의 플레이트(60)∼(63)는 평탄한 태양으로 되어 있다. 이 평탄한 말이용 발(6) 위에 김을 얹는다. 김의 전후 위치는 스토퍼(607)와 위치 결정 돌기(638)(도 12 참조)에 의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도 10에 도시한 모터(102)가 구동되어 이미 설명한 것처럼 슬라이드 베이스(9)가 말이용 발(6)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고, 압연부(4)에서 압연되는 판형의 초밥용 밥을 말이용 발(6)이 수취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The rice for sushi is thrown in and accommodated in the hopper 2, and the rice for sushi is stirred in the stirring part 3, it is supplied to the rolling part 4, and it is set as the state which can be shape | molded. In the shaping | molding part 5, together with the slide base 9, the four horse | foot 6 to which the horse-foot 6 is located in the front part of the guide plate 10, and comprises the horse-foot 6 is comprised. Reference numeral 63 is a flat sun. Laver is put on this flat horse's foot (6).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laver are regulated by the stopper 607 and the positioning projection 638 (see Fig. 12). In this state, when the start switch is pressed, the motor 102 shown in FIG. 10 is driven to move the slide base 9 rearward with the paw 6 as described above, and rolled in the rolling section 4. The plate-shaped sushi rice is stopp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aw 6 receives.

계속해서 압연부(4)의 모터(151)가 구동되고 또 모터(152)가 구동되고, 이로써 상측의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41),(4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하측의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43),(4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초밥용 밥이 압연된다. 판형으로 압연된 초밥용 밥은 말이용 발(6) 위에 얹혀 있는 김 위에 얹고, 미도시된 커터가 작동하여 소정의 전후 방향의 길이로 절단된다. 이렇게 하여 압연이 종료되면, 계속해서 모터(102)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 슬라이드 베이스(9)가 말이용 발(6)과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여 일단 동작을 정지한다. 거기서 판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초밥용 밥 위에 수동 조작으로 적당한 속재료를 얹고 이 공정이 종료되면 다시 상기 스타트 스위치를 누른다.Subsequently, the motor 151 of the rolling part 4 is driven and the motor 152 is driven so that the rolling rollers 41 and 42 which form an upper pair form a lower pair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rolling rollers 43 and 44 are driven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o roll the rice for sushi. The sushi rice rolled in a plate shape is placed on the laver placed on the horse's foot 6, and a cutter not shown is operated to cu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this way, when rolling is complete | finished, the motor 102 is continued to driv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lide base 9 will move forward with the horse-foot 6, and stop operation | movement once. There, an appropriate ingredient is placed on the sushi rice molded into a plate by manual operation, and when the process is finished, the start switch is pressed again.

스타트 스위치가 다시 눌리면, 리프터(7),(8)의 구동 모터가 기동되어 리프터(7),(8)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리프터(7),(8)의 상승에 의해, 도 17 내지 도 23에 대해 설명한 것처럼 말이용 발(6)을 구성하는 제1∼제3 회전 플레이트(61)∼(63)가 접히고, 말이용 발(6) 위의 김과 함께 판형의 초밥용 밥이 말아 조여져 횡단면 사각형상으로 봉상의 김말이 초밥이 성형된다. 말아 조여진 초밥용 밥으로 상기 속재료가 감싸진다. 리프터(7),(8)의 구동에 의한 말아 조임 공정에 이어, 상기 모터(102)가 더 구동되어 슬라이드 베이스(9)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리프터(7)의 안쪽 면에 제2 회전 플레이트(62)의 이면이 눌려 상기 추가 조임이 행해진다.When the start switch is pressed again, the drive motors of the lifters 7 and 8 are started and the lifters 7 and 8 start to rise. As the lifters 7 and 8 are raised, the first to third rotating plates 61 to 63 constituting the horse-foot 6 are fold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3. Together with the laver on the use foot 6, the plate-shaped sushi rice is rolled and tightened, and a sticky laver rolled sushi is formed into a cross-sectional square shape. The ingredients are wrapped in a rolled up sushi rice. Following the rolling process by driving the lifters 7 and 8, the motor 102 is further driven to move the slide base 9 forward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on the inner side of the lifter 7. The back side of 62 is pressed and the above additional tightening is performed.

계속해서 리프터(7),(8)가 하강하여 말이용 발(6)에 의한 말아 조임이 해제되고 말이용 발(6) 위에 김말이 초밥이 얹혀 있는 상태에서 일련의 동작이 완료된다. 계속해서 김말이 초밥의 성형을 행하려면, 말이용 발(6) 위의 김말이 초밥을 치우고 말이용 발(6) 위에 김을 얹어 스타트 스위치를 누른다.Then, the lifters 7 and 8 are lowered, and the tightening by the horse-use foot 6 is released, and a series of operations are completed with the laver sushi placed on the horse-use foot 6. In order to continue shape | molding sushi, the seaweed rolled up sushi on the horse's foot 6, puts seaweed on the horse's foot 6, and presses a start switch.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말이용 발(6)을 구성하는 각 회전 플레이트(61)∼(63)를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프터(7),(8)와 각 회전 플레이트(61)∼(63)의 접는 동작에 의한 초밥용 밥의 말아 조임 외에, 슬라이드 베이스(9)와 함께 말이용 발(6)을 슬라이드시킴에 의한 추가 조임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초밥용 밥의 말아 조임을 확실하게 행함과 동시에 깔끔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by allowing each of the rotary plates 61 to 63 constituting the horse-foot 6 to be rotatable alone, the lifters 7 and 8 and the respective rotary plates 61 to 61 are rotated. In addition to rolling up the sushi rice by the folding operation of 63, additional tightening by sliding the foot 6 together with the slide base 9 became possible. As a result, the sushi rice can be rolled and tightened securely and can be molded into a neat shape.

상기 실시예에서는, 말이용 발(6)을 구성하는 고정 플레이트(60), 제1∼제3 회전 플레이트(61)∼(63)는 각각 금속제의 베이스재(601),(611),(621),(631)와, 상기 베이스재에 아웃 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수지층(602),(612),(622),(632)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특징 중 하나다. 종래에는 금속제의 각 플레이트의 표면을, 초밥용 밥의 이형성을 좋게 하기 위해 불소 수지 등으로 도장하였다. 그러나 수지를 도장하면, 사용하는 동안에 도장막이 열화하여 박리되어 초밥용 밥에 도장막이 혼입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피하려면, 도장막이 박리되기 전에 정기적으로 재도장할 필요가 있으며 유지보수에 수고가 들어 고비용이 된다. 또한 낙하 등의 충격으로 도장막에 상처가 나기 쉽다는 난점이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xing plate 60 and the first to third rotating plates 61 to 63 constituting the horse's foot 6 are made of metal base materials 601, 611 and 621, respectively. ), 631, and resin layers 602, 612, 622, and 632 integrated with the base material by out molding. Conventionally, the surface of each metal plate was coated with fluorine resin or the like to improve the releasability of the rice for sushi. However, when the resin is coated, there is a fear that the coating film deteriorates and peels during use, and the coating film is mixed in the rice for sushi. To avoid these side effects, it is necessary to repaint regularly before the coating film is peeled off, and the maintenance is laborious and expensive. 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easily scratching the coating film due to impact such as falling.

그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말이용 발(6)을 구성하는 각 플레이트(60)∼(63)와 같이, 금속제의 베이스재에 수지층을 아웃 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한 것에 의하면, 수지층이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재차 수지층을 형성하는 유지보수의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낙하 등의 충격으로 상기 수지층이 파손되지도 않는다.In view of the above, as the plates 60 to 63 constituting the horse-foot 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layer is integrated into the metal base material by out-stall molding. Since the resin layer does not peel off, the trouble of maintenance to form the resin layer again is eliminated. The resin layer is not damaged by an impact such as a drop.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말이용 발(6)의 수지층은, 성형성이 좋은 수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한다. 성형성이 좋은 수지는, 불소 수지에 비해 초밥용 밥에 대해 이형성이 뒤떨어진다. 그래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플레이트(60)∼(63)의 수지층(602),(612),(622),(632)의 표면을 배(梨)의 표피와 같이 의도적으로 거칠게 가공하여 이형성을 높였다.As the resin layer of the paw 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in having good moldability, for example, polypropylene or the like is used. Moldable resin is inferior in releasability with respect to rice for sushi compared with fluororesin. Thu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rfaces of the resin layers 602, 612, 622, and 632 of the plates 60 to 63 are intentionally roughened, such as the skin of the stomach. Dimorphism was increased.

실시예에서는, 초밥용 밥의 성형 장치, 예를 들면 김말이 초밥의 성형 장치로서 설명하였으나, 초밥용 밥의 성형뿐 아니라 각종 식품의 성형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으깬 어육으로 만든 가마보꼬 등의 성형 장치, 원기둥형 코어 둘레에 으깬 어육을 감아 성형하는 어묵의 성형 장치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lthough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rice for sushi, for example laver, was described as a forming apparatus of sushi, it can be utilized not only as a shaping | molding apparatus of sushi rice, but also as a forming apparatus of various foods. For example, it can use as a shaping | molding apparatus, such as a kamaboko made from crushed fish meat, and the shaping | molding apparatus of the fish paste which wound and shape | shapes the crushed fish meat around a cylindrical core.

1...식품 성형 장치 2...호퍼
3...교반부 4...압연부
5...성형부 6...말이용 발
7, 8...리프터 9...슬라이드 베이스
60...고정 플레이트 61...제1 회전 플레이트
62...제2 회전 플레이트 63...제3 회전 플레이트
1 ... food forming equipment 2 ... hopper
3 ... stirring part 4 ... rolling part
5. Molding part 6 ... Horse foot
7, 8 ... lifter 9 ... slide base
60 ... fixing plate 61 ... first rotating plate
62 ... 2nd rotating plate 63 ... 3rd rotating plate

Claims (10)

판형의 식재(食材)를 봉상(棒狀)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가진 식품 성형 장치로서,
상기 성형부는, 접힘으로써 식재를 말아 조이는 말이용 발과, 상기 말이용 발을 접는 리프터와, 상기 말이용 발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말이용 발은,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와, 제2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3 회전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와 제3 회전 플레이트는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말이용 발에 의한 식재의 말아 조임 태양(態樣)에서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 중 하나를 상기 리프터에 접촉시켜 식재의 추가 조임을 행하는 슬라이드 베이스 구동 기구를 가지고 있는 식품 성형 장치.
A food molding apparatus having a molding portion for molding a plate-like ingredient into a rod shape,
The molding part has a horse-foot for folding and tightening the planting material by folding, a lifter for folding the horse-foot, and a slide base for moving the horse-foot,
The horse-riding foot has a fixed plat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fre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and a third rotating plate freely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plate,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 and the third rotating plate is rotatable alone,
Slide base drive mechanism which performs further tightening of planting material by contacting the lifter by bring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into the horizontal direction by moving the slide b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olling and tightening manner of the planting foot. Food molding apparatus hav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와 제3 회전 플레이트에, 리프터에 의해 눌려 작동되는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ood forming apparatus, wherein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third rotating plate are equipped with a roller pressed and operated by a lifter.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및 제3 회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는 리프터의 상단면에 의해 눌려 작동되고, 제2 회전 플레이트가 리프터의 측면에 눌러대어져 식재의 추가 조임이 행해지는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ollers mounted to the first and third rotating plates are press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er,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is pressed against the side of the lifter to further tighten the food.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재의 추가 조임은, 제2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제3 회전 플레이트가 식재를 압압함으로써 행해지는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tightening of the plant is performed by the third rotating plate pressing the food plant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ng plat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리프터는, 제1 회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와 제3 회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를 개별적으로 눌러 이동하는 2개의 리프터로 이루어진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fter is a food forming apparatus consisting of two lifters for pressing and moving the rollers attach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rollers attached to the third rotating plate separately.
청구항 1에 있어서,
말이용 발은, 성형하고자 하는 식품의 크기에 따라 준비되어 있는 것 중에서 선택하여 슬라이드 베이스에 장착하는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ood forming apparatus, wherein the horse's feet are selected from those prepa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od to be molded and mounted on the slide base.
청구항 1에 있어서,
말이용 발을 구성하는 고정 플레이트, 제1, 제2 및 제3 회전 플레이트는, 각각 금속제의 베이스재와, 상기 베이스재에 아웃 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plate, a first, a second, and a third rotating plate constituting the horse-foot are each formed of a metal base material and a resin layer integrated into the base material by out-stall mold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수지층의 표면은 거칠게 가공되어 있는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is roughly processed food molding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식재를 판형으로 압연하는 압연부를 가지며, 성형부는, 압연된 식재를 봉상으로 성형하는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molding apparatus which has the rolling part which rolls a food material in plate shape, and a shaping | molding part shape | molds the rolled food material in rod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말이용 발은, 김을 얹을 수 있음과 동시에 압연된 초밥용 밥의 수취 위치까지 슬라이드 베이스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김 위에 상기 압연된 초밥용 밥을 수취할 수 있는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se-foot is a food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lacing the seaweed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slide base to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rolled sushi rice and receiving the rolled sushi rice on the seaweed.
KR1020130096727A 2012-08-28 2013-08-14 Food forming device KR1020109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7626 2012-08-28
JP2012187626A JP6008659B2 (en) 2012-08-28 2012-08-28 Food mold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88A KR20140029188A (en) 2014-03-10
KR102010921B1 true KR102010921B1 (en) 2019-08-14

Family

ID=5029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727A KR102010921B1 (en) 2012-08-28 2013-08-14 Food forming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08659B2 (en)
KR (1) KR102010921B1 (en)
CN (1) CN10365448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2731B2 (en) * 2014-07-09 2018-12-26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Food molding table, food molding equipment
JP2016015934A (en) * 2014-07-09 2016-02-01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Food shaping apparatus and bamboo rolling mat therefor
JP6516506B2 (en) * 2015-02-23 2019-05-2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Food molding equipment
CN104983049B (en) * 2015-07-08 2017-03-01 秦育涛 Punching type rice dumpling machine
JP6908958B2 (en) * 2017-02-01 2021-07-28 鈴茂器工株式会社 Maki sushi making equipment
CN114246498A (en) * 2021-11-24 2022-03-29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Sushi preparation robo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3914A (en) 2005-08-22 2007-03-08 Akinari Mori Rolled sushi utensil
JP2008211992A (en) 2007-02-28 2008-09-18 Audio Technica Corp Device for shaping cooked r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893A (en) * 1995-06-29 1997-01-14 Hiroshi Ono 'norimaki' producing implement
JP3756633B2 (en) * 1997-07-02 2006-03-15 鈴茂器工株式会社 Cooked rice compression molding transfer device
JP3493169B2 (en) * 2000-07-31 2004-02-03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Nori roll forming equipment
JP2007104922A (en) * 2005-10-11 2007-04-26 Fuji Seiki Co Lt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king rolled sushi
JP4774379B2 (en) * 2007-02-28 2011-09-14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oked rice forming equipment
JP5103326B2 (en) * 2008-08-20 2012-12-1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oked rice molding method
JP5171570B2 (en) * 2008-11-21 2013-03-27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oked rice forming equipment
JP5175693B2 (en) * 2008-11-21 2013-04-03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oked ric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oked ric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3914A (en) 2005-08-22 2007-03-08 Akinari Mori Rolled sushi utensil
JP2008211992A (en) 2007-02-28 2008-09-18 Audio Technica Corp Device for shaping cooked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88A (en) 2014-03-10
CN103654480A (en) 2014-03-26
CN103654480B (en) 2017-09-05
JP6008659B2 (en) 2016-10-19
JP2014042499A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921B1 (en) Food forming device
US7581940B2 (en) Cooked rice mold apparatus
US4637304A (en) Method of making maki-zushi and an apparatus for making maki-zushi
EP0326404A2 (en) A method for producing dough for bread or pastry
KR102080858B1 (en) Food forming device
JP5112803B2 (en) Rice ball manufacturing method and rice ball making machine
KR102079799B1 (en) Food forming device
JP4455674B1 (en) Layered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CN203313971U (en) Dough roller press
KR200428620Y1 (en) Machine to make a skin of a bun stuffed
JP2014082950A (en) Rice molding mechanism and rice molding method
KR101750702B1 (en) A removab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for conveyor rotating sushi
JP2016202022A (en) Rice ball production device
JP3805958B2 (en) Bread dough pr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28734B1 (en) Automated devices of sediment-bread dough makeup process
KR101266841B1 (en) Dough manufacturing device for soboroppang
JP4262403B2 (en) Multi-fold foreskin food production equipment
US20220295802A1 (en) Food production apparatus, rotation method and food production method
JP4256063B2 (en) Chafushi Sushi Making Machine
JP5594881B2 (en) Cooked rice feeder
JP6234184B2 (en) Cloth conveyor system with rest conveyor and rest conveyor
KR20110052820A (en) A rice film cutting device for a rice nooddle manufacturing system
KR200468843Y1 (en) Flatten manufacturing machine
JPH0146108B2 (en)
JPH07135884A (en) Apparatus for rolling noodle dough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