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534B1 -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 - Google Patents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534B1
KR101998534B1 KR1020187005407A KR20187005407A KR101998534B1 KR 101998534 B1 KR101998534 B1 KR 101998534B1 KR 1020187005407 A KR1020187005407 A KR 1020187005407A KR 20187005407 A KR20187005407 A KR 20187005407A KR 101998534 B1 KR101998534 B1 KR 101998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spring mechanism
bearing
inclined surfac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763A (ko
Inventor
미치히코 다니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Publication of KR2018003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02B37/183Arrangements of bypass valves or actuators therefor
    • F02B37/186Arrangements of actuators or linkage for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05Final actuators by passing part of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07Surge control by bleeding, bypassing or recycling fluids
    • F04D27/0215Arrangements therefor, e.g. bleed or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28Details of bearings for the axis of rotation
    • F16K1/2035Details of bearings for the axis of rotation the axis of rotation having only on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1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comprising a pivoted disc or f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D2260/57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servos, independent actuator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percharger (AREA)
  • Lift Valve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유량 가변 밸브 기구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밸브체가 제1 단부측에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템과,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스템을 당해 스템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형상의 베어링과, 스템의 제2 단부측에 연결된 링크 부재와, 베어링의 제2 단부측의 단부와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스프링 기구를 구비한다. 베어링의 단부는, 스프링 기구와 맞닿음과 함께 스템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
본 개시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과급기의 터빈에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유량 가변 밸브 기구는, 터빈을 수용하는 터빈 하우징에 설치된 부시(베어링)와, 부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템과, 스템의 일단측에 연결된 밸브체와, 스템의 기단측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스템의 축선 주위로 요동하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1782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베어링의 타단측의 단부면을 덮는 커버 부재와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에, 스프링 기구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베어링의 단부면과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을 넓게 설정하고 있다. 여러 가지 엔진의 사양에 맞추어, 스프링 기구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간극을 확장하는 것은 유효하지만, 링크 부재가 터빈 하우징의 외부로 크게 돌출되게 된다. 한편, 엔진의 배기 가스 규제가 엄격해지는 가운데, 엔진 사이즈는 작아지는 경향에 있으며, 과급기의 탑재 스페이스도 마찬가지로 한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베어링의 단부면과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을 필요 이상으로 확장하는 것은 피하고 싶다.
본 개시는, 스템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단부면과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의 확대를 억제하면서, 당해 간극에 배치되는 스프링 기구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가스 유량 가변 통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이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밸브체가 제1 단부측에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템과,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스템을 당해 스템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형상의 베어링과, 스템의 제2 단부측에 연결된 링크 부재와, 베어링의 제2 단부측의 단부와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스프링 기구를 구비하고, 베어링의 단부는, 스프링 기구와 맞닿음과 함께 스템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어링의 단부면과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의 확대를 억제하면서, 당해 간극에 배치되는 스프링 기구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과급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과급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에 있어서의 부시의 타단측의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에 있어서의 부시의 타단측의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에 있어서의 부시의 타단측의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에 있어서의 부시의 타단측의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가스 유량 가변 통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이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밸브체가 제1 단부측에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템과,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스템을 당해 스템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형상의 베어링과, 스템의 제2 단부측에 연결된 링크 부재와, 베어링의 제2 단부측의 단부와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스프링 기구를 구비하고, 베어링의 단부는, 스프링 기구와 맞닿음과 함께 스템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이 유량 가변 밸브 기구에서는, 베어링의 제2 단부측의 단부에, 스템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에 맞닿도록 스프링 기구가 배치되므로, 스프링 기구의 일부를, 스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의 단부면보다 내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의 제2 단부측의 단부와 링크 부재의 사이에 간극의 확대를 억제하면서, 스프링 기구가 배치되는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스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과 링크 부재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스프링 기구가 배치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스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프링 기구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스프링 기구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경사면은, 베어링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스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에 스프링 기구를 배치하는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그 때문에, 직경 방향에 있어서 스프링 기구의 외측에, 베어링의 단부가 존재 하게 되고, 스프링 기구의 외부로의 노출이 억제된다. 경사면이 베어링의 축심측으로 향해지므로, 경사면에 맞닿는 스프링 기구의 중심을 베어링의 축심에 맞추도록 얼라인먼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프링 기구는 접시 형상의 스프링(스프링 부재)이며, 당해 접시 형상의 스프링은, 베어링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2 단부측으로부터 제1 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당해 돌출부에는, 스템을 관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되고, 스템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경사면에 맞닿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베어링의 단부의 경사면과, 스프링 기구의 만곡면을, 스템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선접촉시키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압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경사면은, 베어링의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을 이루고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경사면의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고정밀도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경사면과 스프링 기구의 접촉을 설계대로 실현시키기 쉬워진다.
스프링 기구는, 스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측이며, 베어링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링크 부재에 맞닿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 기구의 제2 단부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링크 부재에 눌러, 스프링 기구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스프링 기구의 자세를 안정시킴으로써, 스프링 기구에 의한 가압력을 경사면 및 링크 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링크 부재에는, 플랜지부가 수용됨과 함께,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스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과 링크 부재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스프링 기구가 배치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링크 부재에 대한 플랜지부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스프링 기구와 링크 부재를 일체로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형태는, 상기 유량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한 과급기이며, 터빈과, 당해 터빈에 의한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컴프레서를 구비하고, 밸브체는, 터빈을 바이패스하는 가스 유량 가변 통로의 개구부를 개폐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과급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과급기(1)는, 차량용 과급기이며, 도시하지 않은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하는 것이다. 이 과급기(1)는, 터빈(2)과 컴프레서(원심 압축기)(3)를 구비한다. 터빈(2)은, 터빈 하우징(4)과, 터빈 하우징(4)에 수납된 터빈 날개차(6)를 구비하고 있다. 컴프레서(3)는, 컴프레서 하우징(5)과, 컴프레서 하우징(5)에 수납된 컴프레서 날개차(7)를 구비하고 있다.
터빈 날개차(6)는 회전축(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고, 컴프레서 날개차(7)는 회전축(14)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다. 터빈 하우징(4)과 컴프레서 하우징(5)의 사이에는, 베어링 하우징(13)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4)은, 베어링(15)을 통하여 베어링 하우징(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터빈 하우징(4)에는, 배기 가스 유입구(8) 및 배기 가스 유출구(10)가 마련되어 있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유입구(8)를 통하여 터빈 하우징(4) 내로 유입되고, 터빈 날개차(6)를 회전시키고, 그 후, 배기 가스 유출구(10)를 통하여 터빈 하우징(4) 밖으로 유출된다.
컴프레서 하우징(5)에는, 흡입구(9) 및 토출구(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터빈 날개차(6)가 회전하면, 회전축(14) 및 컴프레서 날개차(7)가 회전한다. 회전하는 컴프레서 날개차(7)는, 흡입구(9)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구(11)로부터 토출한다.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는, 엔진에 공급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빈 하우징(4)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 유입구(8)로부터 도입한 배기 가스의 일부를, 터빈 날개차(6)를 바이패스시켜 배기 가스 유출구(10)측으로 도출하기 위한 바이패스 통로(도 3 참조)(17)가 형성되어 있다. 바이패스 통로(17)는, 터빈 날개차(6)측으로 공급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을 가변으로 하기 위한 가스 유량 가변 통로이다.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터빈 하우징(4)의 내부에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의 하나로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는, 바이패스 통로(17)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이다.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는, 터빈 하우징(4)의 외벽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템(21)과, 스템(21)으로부터 스템(21)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요동편(22)과, 요동편(22)에 지지된 밸브체(23)를 구비하고 있다.
터빈 하우징(4)의 외벽에는, 외벽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지지 구멍(관통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구멍(24) 내에는, 원통 형상의 부시(베어링)(25)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부시(25)는, 터빈 하우징(4)의 외벽에 대하여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스템(21)은, 부시(25)에 삽입 관통되어, 터빈 하우징(4)의 외벽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템(21)은, 터빈 하우징(4)의 내부에 배치된 일단(제1 단부)(21a)과, 터빈 하우징(4)의 외부에 배치된 타단(제2 단부)(21b)을 포함한다. 스템(21)의 일단(21a)측에는, 요동편(22)을 통하여, 밸브체(23)가 연결되어 있다. 요동편(22)은 스템(21)의 선단측(일단(21a)측)에 고정되어 있다. 스템(21)은, 스템(21)의 축선(L1)(도 4 참조) 주위로 회전하고, 요동편(22)을 요동시킨다. 요동편(22)의 선단부에는, 밸브체(23)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부시(25)의 일단측의 단부면에는, 예를 들어 요동편(22)의 측부가 맞닿는다. 또한, 부시(25)의 일단측 및 타단측은, 스템(21)의 일단(21a)측 및 타단(21b)측에 대응한다.
밸브체(23)는, 바이패스 통로(17)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맞닿음 이격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어 원반상을 이루고 있다. 밸브체(23)에는, 바이패스 통로(17)의 개구부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밸브축(26)이 설치되어 있다. 밸브축(26)은, 요동편(22)의 선단부의 설치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밸브축(26)의 밸브체(23)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멈춤쇠(27)가 고정되어 있고, 이 멈춤쇠(27)에 의해, 설치 구멍에 삽입 관통된 밸브축(26)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밸브체(23)는, 요동편(22)에 대하여 미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동」이란, 「틸팅」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에 의해, 밸브체(23)가 요동편(22)에 대하여 미동하므로, 밸브체(23)가 바이패스 통로(17)의 개구부의 주연부(밸브 시트)에 대하여 밀착된다. 그리고, 밸브체(23)가 바이패스 통로(17)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맞닿아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가 폐쇄 상태로 되고, 밸브체(23)가 바이패스 통로(17)의 개구부의 주연부로부터 이격되어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가 개방 상태로 된다.
스템(21)의 터빈 하우징(4)의 외부에 배치된 기단부(타단(21b)측의 단부)에는, 스템(21)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상의 링크 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28)의 선단부에는, 연결 핀(29)이 삽입 관통되는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이 설치 구멍에 연결 핀(29)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연결 핀(29)을 통하여, 액추에이터(50)의 작동 로드(51)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 핀(29)은 작동 로드(51)의 선단부(51b)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연결 핀(29)의 한쪽 단부는 코오킹에 의해 작동 로드(51)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 핀(29)의 다른 쪽 단부에는, 클립(29a)이 장착되어, 연결 핀(29)의 설치 구멍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스템(21)은, 링크 부재(28) 및 연결 핀(29)을 통하여, 액추에이터(50)의 작동 로드(51)에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50)는,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식 액추에이터이다. 액추에이터(50)는, 작동 로드(51)를 당해 작동 로드(51)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링크 부재(28)를 요동시켜, 스템(21)을 당해 스템(21)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킨다.
(부시 단부 구조)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부시(25)의 단부 구조(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 부시(25)의 타단부(타단(21b)측의 단부)(31)와, 링크 부재(28)의 사이의 간극에는, 스프링 기구(3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스프링 기구(32) 및 후술하는 경사면(3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타단부(31)에는, 스템(21)의 축선(L1)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33)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33)은, 부시(25)의 직경 방향 내측(내주면(25a)측)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33)은, 부시(25)의 축선(L2)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면(33)은, 부시(25)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연속되고, 전체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템(21)의 축선(L1)은, 부시(25)의 축선(L2)과 동축에 배치된다. 단, 여기서의 동축은 엄밀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스템(21)의 축선(L1)은 부시(25)의 축선(L2)에 대하여 약간 어긋나 있거나, 또는 경사져 있거나 해도 된다.
경사면(33)은, 부시(25)의 축선(L2)을 따라 자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을 이루고 있다. 경사면(33)의 내주측의 단부는, 부시(25)의 내주면(25a)에 위치하고 있다. 경사면(33)의 외주측의 단부는, 예를 들어 부시(25)의 판 두께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부시(2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경사면(33)의 외측에는, 축선(L2)에 직교하는 평면(34)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34)은, 부시(2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경사면(33)의 외주측의 단부에서부터, 부시(25)의 외주면(25b)까지 달하고 있다. 평면(34)은, 부시(25)의 축선(L2)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장 타단측(링크 부재(28)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 기구(32)는, 접시 형상의 스프링(스프링 부재)이며, 외주측에 배치된 플랜지부(35)와, 내주측에 배치된 돌출편(돌출부)(36)을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기구(32)의 중앙(돌출편(36)의 중앙)에는, 스템(21)을 삽입 관통시키는 개구(37)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기구(32)는, 예를 들어 원반상(판상)의 스테인리스강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기구(32)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탄소강, 스프링강 등 그 밖의 것이어도 된다.
돌출편(36)은, 개구(37)의 중심선인 축선(L3)이 연장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링상으로 형성되고, 축선(L3)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36)(스프링 기구(32))의 일단측 및 타단측은, 상기 스템(21)의 일단(21a)측 및 타단(21b)측에 대응한다.
돌출편(36)은, 개구(37)의 주연부에 만곡면(38)을 갖는다. 만곡면(38)은, 개구(37)의 주위 방향으로 전체 주위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다. 축선(L3)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만곡면(38)의 접선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함에 따라, 예를 들어 축선(L3)과 직교하는 상태로부터 축선(L3)과 평행으로 되도록 서서히 경사져 있다. 만곡면(38)은, 부시(25)의 경사면(33)에 맞닿는 맞닿음면이다. 또한, 만곡면(38)은 부시(25)의 경사면(33)에 대응하고 있으면 되며, 직경 방향 내측 단부의 접선은, 축선(L3)과 직교하는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축선(L3)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직경 방향 외측 단부의 접선은, 축선(L3)과 평행으로 되는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축선(L3)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플랜지부(35)는, 돌출편(36)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36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35)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고 전체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5)의 타단측의 면은, 축선(L3)에 직교하는 면이며, 링크 부재(28)에 맞닿는 면이다. 플랜지부(35)의 외경은, 예를 들어 부시(25)의 외경보다 크다.
링크 부재(28)에는, 부시(25)의 타단부(31)에 대향하는 면에, 스프링 기구(32)가 끼워지는 오목부(수용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기구(32)의 플랜지부(35)가 오목부(39)에 수용된다. 축선(L1)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오목부(39)는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9)의 저면(축선(L1)에 직교하는 면)은, 플랜지부(35)의 타단측의 면(35a)에 맞닿는다. 오목부(39)의 측벽면은, 스템(2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35)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면이다. 오목부(39)의 내경(대향하는 측벽면끼리의 거리)은, 플랜지부(35)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어서, 과급기(1)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기 가스 유입구(8)로부터 유입된 배기 가스는 터빈 스크롤 유로(4a)를 통과하여, 터빈 날개차(6)의 입구측에 공급된다. 터빈 날개차(6)는 공급된 배기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회전축(14) 및 컴프레서 날개차(7)를 터빈 날개차(6)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컴프레서(3)의 흡입구(9)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컴프레서 날개차(7)를 사용하여 압축한다. 컴프레서 날개차(7)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디퓨저 유로(5a) 및 컴프레서 스크롤 유로(5b)를 통과하여 토출구(11)로부터 배출된다. 토출구(11)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엔진에 공급된다.
과급기(1)의 운전 중에, 과급압(토출구(1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압에 달하면, 액추에이터(50)가 구동되어, 작동 로드(51)가 압출된다. 작동 로드(51)에 의한 압출력(구동력)은, 이 작동 로드(51)에 연결된 링크 부재(28), 스템(21) 및 요동편(22)을 통하여, 밸브체(23)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밸브체(23)는, 바이패스 통로(17)의 개구부의 주연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는, 개방 상태로 된다. 이때, 배기 가스 유입구(8)로부터 유입된 배기 가스의 일부는, 바이패스 통로(17)를 통과하고, 터빈 날개차(6)를 바이패스한다. 그 때문에, 터빈 날개차(6)에 공급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과급기(1)의 운전 중에, 과급압이 설정압 미만으로 되면, 작동 로드(51)에 의한 압출력이 해제되어, 작동 로드(51)가 되밀려진다. 이에 의해, 링크 부재(28)는, 스템(2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스템(21)이 그 축선(L1) 주위로 회전하여, 요동편(22)이 요동한다. 그리고, 밸브체(23)는, 바이패스 통로(17)의 개구부의 주연부로 접근하고, 개구부의 주연부에 눌러져,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는, 폐쇄 상태로 된다. 즉, 터빈(2)에 있어서, 바이패스 통로(17)에 의한 배기 가스의 바이패스는 행해지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과급기(1)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서는, 스템(21)의 축선(L1)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부시(25)의 타단부(31)와, 링크 부재(28)의 사이의 간극에, 스프링 기구(32)가 장착되고, 부시(25)의 경사면(33)과, 스프링 기구(32)의 만곡면(38)이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부시(25)의 축선(L2)을 따르는 방향과, 부시(25)의 직경 방향(축선(L2)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쪽 방향으로, 스프링 기구(32)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스프링 기구(32)는, 부시(25)의 축선(L2)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링크 부재(28)를 외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스템(21)은, 부시(25)의 축선(L2)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가압되어,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억제된다.
스프링 기구(32)는, 부시(2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부시(25)의 축선(L2)과 스프링 기구(32)의 축선(L3)이 겹치도록 얼라인먼트된다. 즉, 스프링 기구(32)의 돌출편(36)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힘이 균형을 이루도록, 스프링 기구(32)가 이동하여 얼라인먼트된다. 이에 의해, 링크 부재(28)가 이동하고, 스템(21)의 축선(L1)이 부시(25)의 축선(L2)과 일치하도록 얼라인먼트된다. 그 결과, 스템(2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서는,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억제됨과 함께, 스템(2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억제되므로, 스템(21)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스템(21)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이 스템(21)에 연결된 밸브체(23)의 진동 및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 결과,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 있어서의 이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서는, 부시(25)의 타단부(31)에 경사면(33)이 형성되고, 부시(25)의 축선(L2) 방향에 있어서, 평면(34)보다 내측에, 스프링 기구(32)를 배치 가능한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 기구(32)의 일부를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 부시(25)의 평면(34)보다 내측(일단측)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시(25)의 평면(34)과 링크 부재(28)의 사이의 거리(D1)를 확장하지 않고, 스프링 기구(32)가 배치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 부시(25)와 링크 부재(28)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종래와 비교하여,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의 스프링 기구(32)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 기구(32)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스프링 기구(32)의 스프링 상수의 선택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 기구(32)의 스프링 상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여 스프링 기구(32)의 늘어짐을 억제하고, 스프링 기구(32)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 있어서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서는, 부시(25)의 내주면(25a)측에 스프링 기구(32)의 돌출편(36)이 배치되고, 직경 방향에 있어서 스프링 기구(32)의 돌출편(36)의 외측에 부시(25)의 단부가 존재하게 되고, 스프링 기구(32)의 외부로의 노출이 억제된다.
스프링 기구(32)에서는, 링크 부재(28)에 맞닿는 플랜지부(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기구(32)와 링크 부재(28)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링크 부재(28)에 대한 스프링 기구(32)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 기구(32)와 링크 부재(28)의 사이의 힘의 전달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링크 부재(28)에는, 오목부(39)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9)에 스프링 기구(32)의 플랜지부(35)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스템(21)의 축선(L1)에 있어서, 스프링 기구(32)의 배치 스페이스를 증가시킬 수 있고, 스프링 기구(32)의 설계 자유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링크 부재(28)에 대하여 플랜지부(35)의 이동을 플랜지부(35)의 직경 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고, 스프링 기구(32)와 링크 부재(28)를 일체로서 이동시킬 수 있다.
경사면(33)은, 부시(25)의 축선(L2)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경사면(33)의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고정밀도로 경사면(3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경사면(33)과 스프링 기구(32)의 접촉을 설계대로 실현시키기 쉬워진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가, 제1 실시 형태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와 상이한 점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시(25)의 단부 구조(30B)에 있어서, 스프링 기구(32) 대신에, 돌출편(41)의 형상이 상이한 스프링 기구(32B)를 구비한다는 점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프링 기구(32B)는, 접시 형상의 스프링이며, 외주측에 배치된 플랜지부(35)와, 내주측에 배치된 돌출편(41)을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기구(32B)의 중앙(돌출편(41)의 중앙)에는, 스템(21)을 삽입 관통시키는 개구(37)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기구(32B)는, 예를 들어 원반상(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41)은, 축선(L3)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돌출편(41)은, 개구(37)의 주연부에 경사면(42)을 갖는다. 경사면(42)은, 개구(37)의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다. 축선(L3)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경사면(42)은 직선상을 이루고 있다. 경사면(42)은, 부시(25)의 경사면(33)에 맞닿는 맞닿음면이며, 경사면(42)의 축선(L3)에 대한 경사 각도는, 부시(25)의 경사면(33)의 축선(L2)에 대한 경사 각도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경사면(42)의 경사 각도는, 부시(25)의 경사면(33)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경사면(42)이 부시(25)의 경사면(33)에 맞닿음 가능하면 된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가, 제2 실시 형태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와 상이한 점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시(25)의 단부 구조(30C)에 있어서, 부시(25)의 타단부(31B)의 형상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설명은 생략한다.
타단부(31B)에는, 만곡면(43)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43)은, 스템(21)의 축선(L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만곡면(43)은, 부시(25)의 내주면(25a)측에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43)은, 부시(25)의 축선(L2)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축선(L2)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만곡면(43)의 접선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L2)에 평행한 상태로부터 축선(L2)에 직교하도록 서서히 경사져 있다. 만곡면(43)의 외주측의 단부는, 부시(25)의 외주면(25b)과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선(L2)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만곡면(43)의 곡률은, 만곡면에 있어서 동일한 곡률이어도 되고, 만곡면에 있어서 상이한 곡률이어도 된다. 만곡면(43)에 맞닿는 스프링 기구는, 도 5에 도시되는 스프링 기구(32B)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만곡면(38)을 갖는 스프링 기구(32)여도 되고, 그 밖의 형상의 스프링 기구여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가, 제1 실시 형태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와 상이한 점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시(25)의 단부 구조(30D)에 있어서, 부시(25)의 타단부(31C)의 형상이 상이하다는 점, 스프링 기구(32) 대신에, 형상이 상이한 스프링 기구(32C)를 구비한다는 점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설명은 생략한다.
타단부(31C)에는, 스템(21)의 축선(L1)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45)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5)은, 부시(25)의 직경 방향 외측(외주면(25b)측)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45)은, 부시(25)의 축선(L2)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면(45)은, 부시(25)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고, 전체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5)은, 부시(25)의 축선(L2)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을 이루고 있다. 경사면(45)의 외주측의 단부는, 부시(25)의 외주면(25b)에 위치하고 있다. 경사면(45)의 내주측의 단부는, 예를 들어 부시(25)의 판 두께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부시(2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경사면(45)보다 내주면(25a)측에는, 축선(L2)에 직교하는 평면(46)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46)은, 부시(2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부시(25)의 내주면(25a)과 교차하는 위치에서부터, 경사면(45)의 내주측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평면(46)은, 부시(25)의 축선(L2)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장 타단측(링크 부재(28)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 기구(32C)는, 링상을 이루고, 외주측에 배치된 플랜지부(35B)와, 내주측에 배치된 돌출부(47)와, 돌출부(47)의 내주측에 설치된 내주측 링부(48)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기구(32C)의 중앙에는, 스템(21)을 삽입 관통시키는 개구(37B)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기구(32C)는, 예를 들어 원반상(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개구(37B)의 주연 부분은, 예를 들어 스템(21)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프링 기구(32C)의 조립 시에 스프링 기구(32C)의 자세가 기우는 것을 억제하여, 스프링 기구(32C)의 돌출부(47)를 부시(25)의 경사면(45)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엔진 운전 시에 스프링 기구(32C)의 내주단과 외주단이 동시에 구속되지 않도록, 오목부(39)의 내경과 플랜지부(35B)의 외경의 간극을, 개구(37B)의 주연 부분이 스템(21)의 외주면에 맞닿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확장해도 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 기구(32C)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주측 링부(48)는, 축선(L3)과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내주측 링부(48)는, 축선(L3) 방향에 있어서, 예를 들어 플랜지부(35B)보다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주측 링부(48)의 외주측의 단부는, 돌출부(47)의 내주측의 단부이다.
돌출부(47)는, 축선(L3)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 링부(48)로부터 일단측(스템(21)의 일단(21a)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7)는, 축선(L3)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내주측에 배치되고 축선(L3)측을 향하는 경사면(49A)과, 외주측에 배치되고 축선(L3)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경사면(49B)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49A)은,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49A)은, 부시(25)의 경사면(45)에 맞닿는 맞닿음면이며, 경사면(49A)의 축선(L3)에 대한 경사 각도는, 부시(25)의 경사면(45)의 축선(L2)에 대한 경사 각도에 대응하고 있다.
경사면(49B)은, 경사면(49A)의 외주측의 단부로부터 타단측(스템(21)의 타단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49A)의 외주측의 단부는, 플랜지부(35B)의 내주측의 단부이다.
이러한 제4 실시 형태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서는, 부시(25)의 경사면(45)과, 스프링 기구(32C)의 경사면(49A)이 맞닿고, 부시(25)의 축선(L2)을 따르는 방향과, 부시(25)의 직경 방향의 양쪽 방향으로, 스프링 기구(32C)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스템(21)은 축선(L1) 방향 및 스템(21)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제4 실시 형태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서는, 부시(25)의 타단부(31C)에 경사면(45)이 형성되고, 부시(25)의 축선(L2) 방향에 있어서, 평면(46)보다 내측에, 스프링 기구(32C)를 배치 가능한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 기구(32C)의 일부를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 부시(25)의 평면(46)보다 내측(일단측)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시(25)의 평면(46)과 링크 부재(28)의 사이의 거리를 확장하지 않고, 스프링 기구(32C)가 배치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 부시(25)와 링크 부재(28)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종래와 비교하여, 스템(21)의 축선(L1) 방향에 있어서의 스프링 기구(32C)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 기구(32C)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스프링 기구(32C)의 스프링 상수의 선택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 기구(32C)의 스프링 상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여 스프링 기구(32C)의 늘어짐을 억제하고, 스프링 기구(32C)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에 있어서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 기구(32)를 접시 형상의 스프링으로 하고 있지만, 스프링 기구는 접시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죽순 스프링 등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되고, 통 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되고, 그 밖의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스프링 기구(32)를 복수매 겹쳐 사용해도 된다. 스프링 기구는, 링상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 기구(32)는, 플랜지부(35)를 구비하는 구성이지만, 스프링 기구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플랜지부는,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35)가 수용되는 오목부(39)가 링크 부재(28)에 마련되어 있지만, 링크 부재(28)는, 오목부(39)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링크 부재(28)에 있어서, 오목부(39) 대신에, 스프링 기구(32)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돌출 구조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시(25)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전체 주위에 연속되는 경사면(33)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경사면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스프링 기구(32)는, 부시(25)의 경사면(33)에 대하여 전체 주위에서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맞닿아 있는 것이어도 된다. 부시(25)의 경사면(33)과, 스프링 기구(32)가, 전체 주위에서 맞닿아 있으면, 부시(25)의 내주면(25a)과 스템(21)의 외주면의 사이의 간극에 진입한 가스의 외부로의 누설이 방지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 기구(32C)의 개구(37B)의 주연 부분은, 예를 들어 스템(21)의 외주면에 맞닿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스템(21)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엔진 운전 시에 스프링 기구(32C)의 내주단과 외주단이 동시에 구속되지 않도록, 개구(37B)의, 개구(37B)의 주연 부분과 스템(21)의 간극과, 오목부(39)의 내경과 플랜지부(35B)의 외경의 간극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엔진 운전 조건에 따라, 오목부(39)와 플랜지부(35B)의 직경 방향 간극은, 개구(37B)와 스템(21)의 직경 방향 간극과 비교하여, 넓게 또는 좁게 해도, 어느 쪽이어도 된다. 스프링 기구(32C)의 개구(37B)의 주연 부분이 스템(21)의 외주면에 맞닿는 구성은,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부시(25)와의 맞닿음면에 연속되는 스프링 기구(32)의 내주측에, 축선(L3)과 직교하는 내주측 링을 구비하여, 개구(37)의 주연 부분을 스템(21)의 외주면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20)가 채용된 과급기(1)를 차량용으로서 예시하고 있지만, 과급기는 차량용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용 엔진에 사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엔진에 사용되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의 몇 가지 형태에 따르면, 베어링의 단부면과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의 확대를 억제하면서, 당해 간극에 배치되는 스프링 기구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1: 과급기
20: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21: 스템
21a: 일단(제1 단부)
21b: 타단(제2 단부)
24: 지지 구멍(관통 구멍)
25: 부시(베어링)
28: 링크 부재
31, 31B, 31C: 부시의 타단부
32, 32B, 32C: 스프링 기구
33: 경사면(베어링의 경사면)
35, 35B: 플랜지부
36, 41: 돌출편
37: 개구
38: 만곡면(스프링 기구의 맞닿음면)
39: 오목부(수용 오목부)
42: 돌출편의 경사면(스프링 기구의 맞닿음면)
43: 만곡면(베어링의 경사면)
45: 경사면(베어링의 경사면)
47: 돌출부
49: 경사면(스프링 기구의 맞닿음면)

Claims (7)

  1. 가스 유량 가변 통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이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가 제1 단부측에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템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스템을 당해 스템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형상의 베어링과,
    상기 스템의 제2 단부측에 연결된 링크 부재와,
    상기 베어링의 상기 제2 단부측의 단부와 상기 링크 부재의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스프링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의 상기 단부는, 상기 스프링 기구와 맞닿음과 함께 상기 스템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기구는, 상기 스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단부측에서, 상기 베어링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링크 부재에 맞닿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베어링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스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기구는 접시 형상의 스프링이며,
    상기 접시 형상의 스프링은, 상기 베어링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스템을 관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고 상기 경사면에 맞닿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베어링의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을 이루고 있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수용됨과 함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량 가변 밸브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유량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한 과급기이며,
    터빈과,
    상기 터빈에 의한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컴프레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터빈을 바이패스하는 상기 가스 유량 가변 통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과급기.
KR1020187005407A 2015-10-07 2016-10-05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 KR101998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9580A JP6705146B2 (ja) 2015-10-07 2015-10-07 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JPJP-P-2015-199580 2015-10-07
PCT/JP2016/079578 WO2017061450A1 (ja) 2015-10-07 2016-10-05 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763A KR20180031763A (ko) 2018-03-28
KR101998534B1 true KR101998534B1 (ko) 2019-07-09

Family

ID=5848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407A KR101998534B1 (ko) 2015-10-07 2016-10-05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11688B2 (ko)
JP (1) JP6705146B2 (ko)
KR (1) KR101998534B1 (ko)
CN (1) CN108027074B (ko)
DE (1) DE112016004635T5 (ko)
WO (1) WO2017061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03111A1 (en) * 2016-11-04 2020-01-02 Ihi Corporation Variable flowrate valve mechanism and turbocharger
JP6627798B2 (ja) * 2017-02-16 2020-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ーボチャージャのウェイストゲートバルブ
JP7037634B2 (ja) * 2018-03-05 2022-03-16 三菱重工エンジン&ターボチャージャ株式会社 ターボ過給機及び内燃機関
DE112019003424B4 (de) 2018-07-05 2023-12-14 Ihi Corporation Ventilmechanismus mit variabler Strömungsrate und Turbolader
US20220074318A1 (en) * 2019-01-23 2022-03-1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gine & Turbocharger, Ltd. Turbocharger bushing and turbocharger
KR20220049401A (ko) 2020-10-14 2022-04-2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배기 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EP3988767A1 (de) * 2020-10-21 2022-04-27 3BE Berliner Beratungs- und Beteiligungs- Gesellschaft mbH Radialgasturbine mit stützlager
DE102021101510A1 (de) 2021-01-25 2022-07-28 Ihi Charging Systems International Gmbh Verstellvorrichtung eines Abgasturbolad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2440A1 (en) * 2003-02-17 2004-09-23 Lee Watts Exhaust pipe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819B2 (ja) 2005-04-07 2010-03-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ターボチャージャの排ガスシール構造
JP4753033B2 (ja) 2006-06-02 2011-08-17 株式会社Ihi 電動過給機
JP5045304B2 (ja) 2007-08-16 2012-10-10 株式会社Ihi ターボチャージャ
DE102009051623A1 (de) * 2009-11-02 2011-05-05 Robert Bosch Gmbh Stelleinrichtung für eine Ventilklappe
JP5641823B2 (ja) 2010-08-26 2014-12-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可変ノズル型過給構造
DE102010050669A1 (de) 2010-11-09 2012-05-10 Voith Patent Gmbh Gehäuse für ein Laufrad
DE102011077766A1 (de) * 2011-06-17 2012-12-20 Elringklinger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Abgasstrom-Steuerelement eines Abgasturboladers
JP5889629B2 (ja) 2011-12-22 201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排気装置
CN104271919B (zh) 2012-05-17 2018-05-01 博格华纳公司 用于涡轮增压器的轴密封***
JP6045207B2 (ja) 2012-06-12 2016-12-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ウェストゲートバルブを備えたターボチャージャ
JP5956855B2 (ja) * 2012-07-04 2016-07-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切れ刃エッジの加工方法及び器具の製造方法
EP2917531B1 (en) * 2012-07-11 2018-05-30 Borgwarner Inc. Exhaust-gas turbocharger
DE102012216893A1 (de) * 2012-09-20 2014-04-03 Bosch Mahle Turbo Systems Gmbh & Co. Kg Klappenventil
JP6098314B2 (ja) 2013-04-15 2017-03-22 株式会社Ihi 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JP2014218945A (ja) 2013-05-09 2014-11-20 株式会社Ihi 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2440A1 (en) * 2003-02-17 2004-09-23 Lee Watts Exhaust pipe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6004635T5 (de) 2018-08-16
KR20180031763A (ko) 2018-03-28
WO2017061450A1 (ja) 2017-04-13
JP2017072195A (ja) 2017-04-13
US10711688B2 (en) 2020-07-14
US20180298811A1 (en) 2018-10-18
JP6705146B2 (ja) 2020-06-03
CN108027074B (zh) 2019-08-23
CN108027074A (zh)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534B1 (ko)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
JP6847965B2 (ja) 排気タービン式過給機のための制御装置
JP7028321B2 (ja) 流量可変バルブ機構および過給機
WO2016031565A1 (ja) 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EP2784286B1 (en) Turbocharger
JP5039730B2 (ja) 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
JP4735455B2 (ja) 過給機
JPWO2019198284A1 (ja) スプリングワッシャ、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US11203970B2 (en) Wastegate assembly
WO2018168611A1 (ja) 波ワッシャおよび流量可変バルブ機構
CN110195717B (zh) 压缩机入口调节机构
JP6566134B2 (ja) 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JP5446969B2 (ja) 圧縮機
CN110799759A (zh) 离心压缩机
JP6390703B2 (ja) 過給機
JP6590081B2 (ja) 流量可変バルブ機構及び過給機
JP4424060B2 (ja) 過給機
WO2016158323A1 (ja) ダイヤフラム式アクチュエータ
JP2021071074A (ja) ターボチャージャ
JP2010168968A (ja) ターボチャー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