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580B1 -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 Google Patents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580B1
KR101985580B1 KR1020160183194A KR20160183194A KR101985580B1 KR 101985580 B1 KR101985580 B1 KR 101985580B1 KR 1020160183194 A KR1020160183194 A KR 1020160183194A KR 20160183194 A KR20160183194 A KR 20160183194A KR 101985580 B1 KR101985580 B1 KR 10198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interface
host
state
primary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480A (ko
Inventor
손유석
손사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6018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5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부 -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포스 호스트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보조 인터페이스를 포함함 - ; 상기 포스 주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로 변경될 수 있도록, 연결 절차(connection process)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POS host and POS hub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network traffic}
본 출원을 따르는 몇몇 실시예들은 보조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OS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포스 시스템(POS system)은 카페, 음식점, 대형마트와 같은 곳에서 재고 관리나 매출관리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 판매 관리 시스템을 의미 하는 것이다.
포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포스 호스트(POS host)와 포스 주변기기(POS peripheral) 및 포스 호스트와 포스 주변기기 사이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포스 서버(POS server)로 구성될 수 있다. 포스 호스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데이터에 대응하는 주변기기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형태의 포스 시스템은 더 나아가 복수의 포스 호스트가 하나의 포스 주변기기를 공유하도록 적용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포스 주변기기와 포스 호스트가 오류 없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출원의 일 과제는, 복수의 포스 호스트들이 포스 주변기기를 공유할 때, 상기 복수의 포스 호스트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에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포스 호스트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 사이의 네트워크 통신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부 -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포스 호스트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보조 인터페이스를 포함함 - ; 상기 포스 주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로 변경될 수 있도록, 연결 절차(connection process)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주변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의 보조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결 가부에 대한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됨 -;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하면, 선행 사용자(precedent user)가 포스 호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포스 주변기기로 전송 하던 중 후행 사용자(following user)가 다른 포스 호스트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에 대한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이미 연결된 선행 사용자의 포스 호스트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의 통신이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의하면, 선행 사용자(precedent user)가 포스 호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포스 주변기기로 전송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선행 사용자가 상기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변기기와의 연결을 끊는 것을 누락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선행 포스 호스트와 포스 주변기기의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 무한정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출원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미 포스 주변기기와 연결된 선행 포스 호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계속적으로 연결을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후행 포스 호스트를 통해 포스 허브에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연결된 선행 포스 호스트의 통신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고 다수의 대기중인 후행 포스 호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호스트(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3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주변기기(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5는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호스트(100)와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의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수의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 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되었던 어느 하나의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되었던 어느 하나의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호스트(100)와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의 확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복수의 포스 호스트(100)가 접근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9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상태가 확인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0은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포스 호스트(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22 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주변기기(4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주변기기(400)와 포스 호스트(100)로 이루어진 포스 시스템(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출원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출원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포스 호스트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보조 인터페이스를 포함함 - ; 상기 포스 주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로 변경될 수 있도록, 연결 절차(connection process)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상기 포스 호스트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임 - ,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disconnected state)인 경우 - 상기 비연결 상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가 없는 상태임 -,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연결 상태(connecting status)인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전송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전송 상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중 인지에 관한 상태 정보임 - ,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비전송 상태(idle state)인 경우 - 상기 비전송 상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어 있으나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지는 않은 상태임 - ,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판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에 전송하고,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의 판단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연기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연결 상태(connecting status)인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전송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전송 상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포스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중 인지에 관한 상태 정보임 - ,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전송 중 상태(transmitting status)인 경우 - 상기 전송 중 상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상태임 -,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연기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상기 비전송 상태 및 상기 비연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될 때까지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연기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갱신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판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에 전송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포스 호스트로, 상기 포스 호스트의 요청 없이, 푸쉬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상기 비전송 상태 및 상기 비연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된 후,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재개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 사이의 연결을 위해, 1)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2)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다른 포스 호스트가 있을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위해, 상기 다른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주변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의 보조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결 가부에 대한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됨 -;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결 시도를 하기 전에,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 대해 먼저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의 전송을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다시 진행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5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포스 호스트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보조 인터페이스를 포함함 - ; 상기 포스 주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호스트의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제1 포스 호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포스 호스트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먼저 연결을 요청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제1 포스 호스트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는 전송 상태에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이 없는 비전송 상태 또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제1 포스 호스트가 없는 비연결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요청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기 위한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의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에 대한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의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에 대한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보조 인터페이스를 포함함 - ; 기록 매체 위에 정보를 출력하는 프린트 헤드;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될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며,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프린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프린팅 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프린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제1 포스 호스트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1 단계 - 이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전송 상태 및 상기 제1 포스 호스트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비전송 상태를 포함함 - ;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전송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제1 동작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비전송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2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제2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포스 시스템(10)>
본 출원에 의해 개시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체 시스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및 제어방법이 구현되기 위한 포스 시스템(10)은, 포스 호스트(100), 포스 주변기기(200) 및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및/ 또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포스 시스템(10)의 동작을 위하여 특수한 목적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말한다. 특히, 특수한 목적을 가진 출력 장치 및/또는 입력 장치 등이 포스 주변기기(200)로써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포스 주변기기(200)에는 영수증과 같은 문서에 필요한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 물건 등에 부착되어 그 물건에 대한 특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바코드와 같은 코드를 읽어내고 또 해독하기 위한 스캐너, 현금, 영수증 등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어 있는 현금 출납기, 카드 결제를 하는 사용자들을 위하여 카드 결제에 필요한 일종의 '카드 정보'를 판독해 내기 위한 카드리더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각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포스 시스템(1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 간의 통신에 개입하여, 양 전자기기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직접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직접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한 데이터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를 통해서 상기 필요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복수의 포스 주변기기(200)에 의해 공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복수의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제어방법에 관한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포스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포스 시스템(10)을 이루고 있는 각 엔터티(entity)인 포스 호스트(100), 포스 주변기기(200) 및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등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포스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포스 호스트(100)
도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호스트(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호스트(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호스트통신부(130), 메모리부(140), 및 호스트제어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포스 호스트(100)는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획득 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버튼, 마이크, 카메라, 터치패널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0)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0)는,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시각적 출력부(120),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청각적 출력부(120),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출력하는 촉각적 출력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통신부(13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외부 전자기기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포스 주변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상기 호스트통신부(13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부(14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호스트제어부(15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2. 포스 주변기기(200)
도3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주변기기(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주변기기(200)는 주변기기통신부(210), 동작 모듈(220), 주변기기제어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포스 주변기기(200)는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기통신부(21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통신하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기통신부(2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상기 동작 모듈(220)을 통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프린터 일 때, 상기 프린터는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카드리더기일 때, 상기 카드리더기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기제어부(23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의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3.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도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인터페이스부(310), 허브통신부(320), 허브메모리부(330), 허브제어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1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인터페이스부(310)는 주 인터페이스(311) 및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는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 사이의 연결을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되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르는 인터페이스부(31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통신하는 것을 상정한다. 본 출원의 목적이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하나의 포스 호스트(100) 간에 이미 무선 통신 채널이 확립되어 있을 때, 후속 포스 호스트(100)가 이미 확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끊어버리고 통신 채널을 확립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WiFi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하도록 구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는 Bluetooth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는 서로 동일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는 별도의 통신 모듈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통신 모듈의 서로 다른 채널에 의해 구별될 수 있고, 하나의 통신 방식의 모드의 전환에 의해 구별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는 상위 버전의 Bluetooth모듈을 이용한 통신 모듈로,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는 하위 버전의 Bluetooth모듈을 이용한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는 하위 버전의 Bluetooth모듈을 이용한 통신 모듈로,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는 상위 버전의 Bluetooth모듈을 이용한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허브통신부(32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외부 기기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허브 통신부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허브메모리부(33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메모리부(33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 및/또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수신되어 온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허브제어부(34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각 구성들에 대한 간략한 구성을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르는 실시예들에 의한 포스 시스템(10)의 동작 및 각 전자기기들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미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 시스템(10)의 상기 포스 호스트(100),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및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와 각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으로 모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구성요소가 더해지거나 생략되어 같은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및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서로 물리적으로 독립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및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단일한 전자기기에 서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포스 프린터와 같은 포스 주변기기(200)에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기능에 필요한 물리적인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하나의 단일한 전자기기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포스 시스템(10)의 동작>
본 출원에 따른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통신하고, 또한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와 통신하며 상기 포스 호스트(100)과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의 사이에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하나 이상의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통신이 진행되던 중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을 시도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후속 포스 호스트(100)의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의 연결 시도를 금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채택하게 되는 경우, 이미 연결되어 있던 포스 호스트(100)가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의 연결을 끊어 주지 않으면, 상기 후속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계속하여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두 가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 의하면,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310)를 주 인터페이스(311)와 보조 인터페이스(312)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출원에 따른 포스 시스템(10)에서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되는 절차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5는 본 출원에 따르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되기 위해서는, 포스 호스트(100)와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S1000),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 확인(S2000),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동작 수행(S3000)의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에 대한 확인 동작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1.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의 확인 동작(S2000)
1.1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S2200)
또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 확인(S2000)은,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S2200) 및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 결정(S24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핵심적인 사항에 해당하는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 확인(S2000), 즉,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S2200)과 그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 결정(S2400)을 순차적으로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1.1.1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의 정의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S2200)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다른 포스 호스트(100)와 이미 연결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연결 상태(connecting status)' 및 '비 연결 상태(disconnected state)'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점에서, 이미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포스 호스트(100)가 없는지에 따라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는 '연결 상태' 및 '비 연결 상태'로 구분되어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전송 상태(transmitting status)' 및 '비 전송 상태(idle state)'로 추가적으로 더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단순히 연결만 되어 있는 상태일 뿐,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혹은 명령 등을 송수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와 같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비 전송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며, 반대로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상태를 '전송 상태'로 정의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는 연결에 관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factor)와 전송에 관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factor)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인자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자들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인자만 확인(예를 들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지 여부만 확인되는 실시)되거나, 또는 두가지 인자가 모두 확인(예를 들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지 여부가 확인되고, 연결 상태라면 전송 상태인지 여부가 확인되는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가지 인자가 모두 확인되는 경우, 두 인자의 확인이 동시에 확인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확인 동작에 의해 확인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은 '연결 상태' 또는 '비 연결 상태'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전송 상태' 또는 '비 전송 상태'여부를 추가적으로 더 확인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1.1.2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 동작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이 요청될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 호스트(100)의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한 연결을 트리거 신호로 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즉,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라면(예를 들어,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다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하여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의 연결이 요청될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 요청이 없어도,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상기 허브메모리부(330)에 저장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여부 결정이 필요할 때마다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2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 결정(S2400)
1.2.1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 결정
보다 안정적인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확인되고 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가 결정(S2400)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의 결정은 상기 포스 호스트(100)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여부의 결정을 포스 호스트(100)가 하는 경우의 동작을 먼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후술하기로 한다.
1.2.2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여부 결정의 주체
1) 포스 호스트(100)가 결정 하는 경우
도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하여,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단계S2200에서 확인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S2420)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푸쉬(push)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전송 요청(request)'이 없더라도,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단계 S2420을 통해서 획득한 정보에 대응되는 연결 여부를 결정(S2440)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수신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할 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정의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따른 포스 호스트(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을 시도하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를 제1 포스 호스트(100)라 한다. 또한,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을 시도하는 시점에,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이미 연결되어 주 인터페이스(311)와 통신하고 있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를 제2 포스 호스트(100)라 한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일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 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전송 상태일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일 때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전송 상태라면 이미 연결된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이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끊도록 요청하고,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전송 상태일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의 연결 절차의 수행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연기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계속적으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되어 있으면, 지속적으로 상태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에 전송하도록 세팅(setting)되어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의 통신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보고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가 비 연결 상태 또는 비 전송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진행되는 상기 연결 절차(즉,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이 불가하여 진행되지 못했던 연결 절차가 진행되는 것)를 상기 연결 절차가 '재개'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술한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비 전송 상태에 있음으로써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한 연결 시도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에 미리 노티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전송 상태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전송 상태인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로 인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연결이 끊어진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다시 통신을 요청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2)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결정 하는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따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여부를 결정 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 인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의 연결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통신을 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 경우 추가적으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인지, 또는 비 전송 상태 인지에 따라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동작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전송 상태 인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 인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기 전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 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절차가 연기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전송 상태 또는 비 연결 상태로 확인 될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절차가 재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일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될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식별 정보가 상기 허브 메모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1.2.3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여부 결정의 시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S2400)할 수 있다.
또는, 보다 빠른 처리를 위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 되기 전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S2200)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를 결정(S2400)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2. 포스 호스트(100)와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연결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시스템(10)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는 절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S1000)되는 과정을 먼저 설명하고,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S3000)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2.1 포스 호스트(100)와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S1000)
2.1.1 포스 호스트(100)와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서 먼저 연결을 요청하거나,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서 연결을 요청하도록 유도하는 절차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종래와 달리,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먼저 연결을 시도하도록 설계된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스트제어부(150)는 상기 호스트통신부(130)에 구성되어 있는 제1 통신 모듈을,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일정한 절차를 수행한 포스 호스트(100)(예를 들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후 끊어진 포스 호스트(100)) 외에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하기 전에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먼저 연결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2.1.2 복수의 포스 호스트(100)의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연결
도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수의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몇몇 실시예를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되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상태라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대기할 수 있다.
이 때, 또 다른 포스 호스트(100)(예를 들어, 제3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한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연결을 끊어 주기 전까지는, 상기 제3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연결을 끊어준다고 해도 이후 상기 제3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다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비 연결 상태 또는 비 전송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어떤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할지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는 몇몇 프로세스가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되었던 어느 하나의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포스 호스트(100)와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S1000)되면,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100)의 식별 정보를 저장(S1200)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즉, 상기 식별 정보)를 바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가부를 확인(S2000)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불가가 확인될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의 저장은 상기 허브제어부(3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가부를 확인(S200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는 것을 신호로 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식별 정보가 바로 저장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가 저장된 후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가부를 확인(S2000)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가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 가능한 상태(예를 들어, 비 연결 상태 또는 비 전송 상태)가 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도록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할 포스 호스트(100)의 식별 정보를 검색(S3200)하고,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검색된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요청(S3400)할 수 있다.
단계 S3200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연결되었던 포스 호스트(10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포스 호스트(100) 중 상대적으로 우선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될 포스 호스트(10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계된 펌웨어에 따라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인 동안에 가장 먼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인 동안에 가장 많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3200에서 설명되는 단계는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동작일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허브제어부(34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전송 상태임) 및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수신된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예를 들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연결된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 가능한 상태일 때, 상기 허브제어부(340)는 상기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와 미리 설계된 펌웨어에 따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될 상기 포스 호스트(100)를 선택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순서'에 따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될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포스 호스트(A)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포스 호스트(B)가 가장 먼저 연결 되고 그 이후에 포스 호스트(C)가 여러 번 연결 된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가장 먼저 연결되었던 포스 호스트(B)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횟수'에 따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될 우선 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포스 호스트(A)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포스 호스트(B)가 가장 먼저 연결 되고 그 이후에 포스 호스트(C)가 여러 번 연결 된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가장 많이 연결되었던 포스 호스트(C)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미리 설정된 판단 기준을 복합적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포스 호스트(A)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포스 호스트(B)와 포스 호스트(C)가 동일한 횟수만큼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된 '순서'를 더 고려하여 포스 호스트(B)와 포스 호스트(C) 중 먼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몇몇 실시예는 상기 우선순위 판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개시한 것에 불과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될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요소(factor)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설계된 펌웨어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될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포스 호스트(100)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될 상기 선택된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대신,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연결될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선택되면, 상기 허브제어부(340)가 먼저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시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선택된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2.2 포스 호스트(100)와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S3000)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은 상대적으로 중요한 단계에 해당한다. 특히,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의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가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이 해제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다른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이 해제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동작은 이해를 돕기 위해 몇몇 실시 동작을 나열한 것이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기 위한 절차는 연결 절차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연결 절차 중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연결되는 연결 동작에 대해서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2.2.1 포스 호스트(100)가 먼저 트리거링(triggering) 하는경우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을 시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난 후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을 시도하는 절차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이 끊어지면 자동적으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연결 요청이 전송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호스트제어부(150)는 상기 호스트통신부(130)에 구성되어 있는 제2 통신 모듈을,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일 수 있다.
2.2.2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먼저 트리거링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연결을 시도하여,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연결된 제1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출원에 따르는 기본적인 동작과, 그 동작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 개시 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토대로 본 출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3.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
3.1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도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본 출원에 따르는 가장 기본적인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는 보다 더 간단한 기능만을 가진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를 통해서도,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S2200)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응되는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400)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라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전송 상태라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된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본 동작은,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는 말의 의미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끊는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을 시도 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라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3.2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도12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포스 호스트(100)의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도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S2200)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S2400)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라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전송 상태라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을 끊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라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S4000)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 확인(S4200)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가 확인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동작이 수행(S4400)될 수 있다. 단계 S4000 및 단계 S4400은 단계 S1000 및 단계 S3000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계 S4200에 따른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 동작에 대해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4.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 확인(S4200)
도14를 참조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가부의 확인(S4200)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S4220)동작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어 있던 제2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차단 여부에 대한 결정(S4240)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 동작(S4220)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제2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을지 여부에 대한 결정(S4240)에 대해서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구체적인 동작에 따르는 몇몇 실시예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의 데이터 전송 후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의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기 포스 시스템(10)에 있어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4.1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S4220)
4.1.1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의 정의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는 대기 상태, 동작 상태, 휴면 상태 또는 비 연결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비 연결 상태'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바 있다. 따라서, '대기 상태', '동작 상태', '휴면 상태'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만약,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 경우,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이하, 보고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라, '대기 상태', '동작 상태', '휴면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는,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 및/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대기 상태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보고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 데이터가 전송되었으나, 아직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보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휴면 상태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이미 동작을 완료 하였으나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고 데이터가 전송이 완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는 따라서, 비 연결 상태, 동작 상태, 대기 상태, 휴면 상태로 정의되고, 상기 포스 시스템(10)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4.1.2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 동작의 주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상태의 확인 동작은 제2 포스 호스트(100)에 의해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전송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고 데이터를 수신 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경우 동작 상태,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데이터를 전송했으나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대기 상태,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전송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휴면 상태로 확인 될 수 있다.
다만,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인 경우가 문제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인 경우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된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을 요청 했는데,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응답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확인을 요청했는데 아무런 데이터의 전송이 없는 경우),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비 연결 상태로 확인한 것이라 가정한다.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출력부(120)를 통해서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전송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보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서 확인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출력부에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사이에 남아있는 절차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경우 동작 상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했으나 그에 대응되는 상기 보고 데이터를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하지 않은 경우 대기 상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보고 데이터를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한 경우 휴면 상태로 확인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된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비 연결 상태를 확인 할 수 도 있다.
4.1.3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 동작의 시점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고, 상기 허브메모리부(330)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면, 그 때마다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4.2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차단 여부 결정(S4240)
4.2.1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어도 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를 통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일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작 상태일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 사이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연결되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휴면 상태일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끊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대기 상태일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휴면 상태 또는 비 연결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데이터를 전송할 포스 주변기기(200)의 상태(즉, 허브 통신부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4.2.2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어도 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확인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 사이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작 상태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휴면 상태 일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일 때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휴면 상태라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된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끊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대기 상태일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그에 대응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대기 상태일 때, 상기 허브통신부(320)의 상태를 추가적으로 더 확인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허브통신부(320)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지 또는 전송되고 있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허브통신부(320)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지 또는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4.3 포스 호스트(100)와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에 대한 실시예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의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주 인터페이스(311)와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이 결정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술한 동작에 따르는 몇몇 실시예들을 소개한다.
4.3.1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도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제2 포스 호스트(100)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는 확인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 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어 있는 포스 호스트(100)가 없어, 아무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의 확인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는 메시지가 없으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 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작 상태 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휴면 상태 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휴면 상태일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난 후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의 연결을 끊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대기 상태 일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4.3.2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주 인터페이스(311) 및 허브통신부(320)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도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와 포스 호스트(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 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작 상태 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휴면 상태 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대기상태 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포스 주변기기(200)와 연결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허브통신부(32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허브통신부(320)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지, 수신되고 있는지 추가적으로 더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 여부를 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허브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거나, 아무런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지않으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고, 상기 허브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으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유지하는 형태의 실시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포스 주변기기(200)와 통신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적용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100)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대상 포스 주변기기(200)에 대한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을 끊을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5. 포스 시스템(10)의 전체 동작
5.1 포스 시스템(10)의 데이터 전송 동작
이상에서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 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체적인 상기 포스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10)의 구동 과정을 설명한다. 다만, 본 출원의 권리 범위가 다음과 같은 실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되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는 이미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를 타겟 기기로 하는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이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때,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상기 주변기기통신부(210)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프린터일 때,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내용을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현금 출납기라면, 도어의 열림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료한 후, 그에 대한 리포트를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획득 받은 데이터를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카드 리더기인 경우, 상기 카드 리더기는 입력 받은 정보를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생성된 데이터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허브 통신부를 통해서 전송 될 수 있다.
상기 허브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현재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될 수 있다.
5.2 포스 시스템(10)의 식별 정보의 확인 동작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수신한 데이터는 최종 목적지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에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 되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전송한 데이터의 목적지와 상이할 수 있다. 즉, 도17을 참조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제2 포스 호스트(100)(도14의 A)가 연결되어 있지만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지는 않은 경우(즉,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비 전송 상태인 경우),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을 시도하는 다른 포스 호스트(100)가 없으면,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 계속 통신하고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비 전송 상태일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을 시도하는 다른 포스 호스트(100)가 있으면(즉, 도14의 B),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 사이의 통신은 끊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제2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전송한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동작이 문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전송 가능 상태'인지 여부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의 확인 동작 및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외부기기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가능 상태인지 여부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311)의 확인 동작 및 상기 포스 시스템(10)의 동작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전송한 데이터의 최종 목적지(예를 들어,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가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에 데이터를 전송한 포스 호스트(100))를 타겟 기기라고 정의 할 것이다.
6.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을 통한 데이터 전송
도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데이터가 수신(S5000)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 동작(S520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 절차를 진행(S5400)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정의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 동작과,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데이터 전송 절차에 대해서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6.1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 확인(S5200)
6.1.1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의 정의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는 '전송 가능 상태' 및 '전송 불가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송 가능 상태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상기 타겟 기기가 전송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상태(즉,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된 상기 타겟 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송 불가 상태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전송 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기기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타겟 기기가 데이터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송/수신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6.1.2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대한 확인 동작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의해서 확인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19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상태가 확인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지(즉,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100)가 있는지) 확인(S5220)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일 기기 상태인지 확인(S5240)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타겟 기기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일 기기 상태(타겟 기기와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100)가 일치)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인지(즉,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또는 수신되고 있는지) 확인(S5260)할 수 있다.
상술한 각 단계는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술한 단계를 생략하거나 추가하는 형태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6.2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데이터 전송(S5400)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가능 상태일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가능 상태인 경우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이고 동일 기기 상태이며 비 전송 상태일 때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불가 상태일 때, 이하에서 설명할 몇몇 절차를 거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불가 상태인 경우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인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이나 동일 기기 상태가 아닌 경우,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이고 동일 기기 상태나 전송 상태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불가 상태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데이터 전송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데이터 전송(S5400) 동작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인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타겟 기기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기기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에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기기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청으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상기 타겟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타겟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지만 동일 기기 상태는 아닌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인지 추가적으로 더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전송 상태 또는 비 연결 상태가 될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타겟 기기에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타겟 기기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타겟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휴면 상태 또는 비 연결 상태가 될 때,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타겟 기기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이고 동일 기기 상태지만 전송 상태인 경우,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한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몇몇 동작과 관련해서,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100)가 있다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절차를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한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312)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안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에 연결되는 것을 막기위한 것이다.
6.3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20은 포스 주변기기(200)로부터 포스 호스트(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포스 주변기기(200)는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연결 상태라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타겟 기기)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상기 타겟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연결 상태라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일 기기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전송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일 기기 상태이며 전송 상태일 때 또는 비 동일 기기 상태이며 전송 상태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동일 기기 상태이며 비 전송 상태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가 비 동일 기기 상태이며 비 전송 상태일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타겟 기기)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와 상기 타겟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의 상태를 확인을 완료한 후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311)를 통한 데이터 전송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7. 보조 인터페이스(422)를 구비한 포스 주변기기(400)
전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는 포스 호스트(100), 포스 주변기기(200), 및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로 이루어진 포스 시스템(10)에 대해서 설명한 바 있다.이하에서는, 포스 호스트(100) 및 포스 주변기기(400)로 이루어진 포스 시스템(20)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다시 말해, 포스 호스트(100)와 포스 주변기기(20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300) 없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가 직접 연결되는 포스 시스템(20)에 본 출원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되는 구현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는 '프린터' 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7.1 보조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포스 주변기기(400)의 구성 요소
도2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주변기기(4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출원에 따르는 포스 주변기기(400)는 동작 모듈(410), 인터페이스부(420), 및 주변기기제어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는 상기 동작 모듈(410)을 통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가 프린터일 때, 상기 동작 모듈(410)은 프린트 헤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작 모듈(410)은 종이와 같은 기록 매체 위에 감열식 또는 잉크젯 방식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2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20)는 주 인터페이스(421) 및 보조 인터페이스(4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가 상기 동작 모듈(410)을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는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듈(410)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 사이의 연결을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를 통해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기제어부(43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의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주변기기(400)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 사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7.2 포스 호스트(100)와 보조 인터페이스(422)를 구비한 포스 주변기기(400)로 구성된 포스 시스템(20)
도23 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주변기기(400)와 포스 호스트(100)로 이루어진 포스 시스템(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는 연결(S6000)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로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가 있을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에 연결을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로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를 통해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의 상태를 확인(S6200)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에 연결될 때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에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S6400)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422)를 통해 단계S6200에서 수신한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의 상태가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의 연결을 위한 연결 절차가 진행(S6600)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가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에 의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보조 인터페이스(422)에서 주 인터페이스(421)로 전환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를 통해 연결되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를 통해 프린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데이터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가 상기 프린트 헤드(즉, 동작 모듈(410))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트 데이터는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의 요청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를 통해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연결되면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가 상기 포스 호스트(100)에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상기 프린트 데이터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를 통해서 수신되면,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는 상기 동작 모듈(410)을 제어하여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를 통해 상기 프린트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와 상기 포스 호스트(100)의 연결이,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에 연결되어 있던 이전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출력 동작이 완료'된 후가 아닌, 상기 이전 포스 호스트(100)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이전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출력 동작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포스 호스트(100)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421)에 연결된 경우,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수신되는 프린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은 상기 이전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출력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없어, 대기 시간 동안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출원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출원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20: 포스 시스템
100: 포스 호스트
200, 400: 포스 주변기기
300: 포스 허브 전자기기

Claims (31)

  1. 적어도 하나의 포스 호스트 및 포스 주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 호스트 및 상기 포스 주변기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포스 호스트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보조 인터페이스를 포함함 - ;
    상기 포스 주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로 변경될 수 있도록, 연결 절차(connection process)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상기 포스 호스트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상태 정보임 - ,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disconnected state)인 경우 - 상기 비연결 상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가 없는 상태임 -,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연결 상태(connecting status)인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전송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전송 상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포스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중 인지에 관한 상태 정보임 - ,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비전송 상태(idle state)인 경우 - 상기 비전송 상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어 있으나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지는 않은 상태임 - ,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판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에 전송하고,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의 판단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연기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연결 상태(connecting status)인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전송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전송 상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포스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중 인지에 관한 상태 정보임 - ,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전송 중 상태(transmitting status)인 경우 - 상기 전송 중 상태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상태임 -,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연기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비전송 상태 및 비연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될 때까지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연기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갱신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판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에 전송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포스 호스트로, 상기 포스 호스트의 요청 없이, 푸쉬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비전송 상태 및 비연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된 후, 상기 연결 절차의 진행을 재개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포스 호스트 사이의 연결을 위해, 1)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2)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절차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다른 포스 호스트가 있을 때,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위해, 상기 다른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15. 적어도 하나의 포스 주변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주변기기와 통신을 할 때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포스 호스트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주변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의 보조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결 가부에 대한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됨 -;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결 시도를 하기 전에,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 대해 먼저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의 전송을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따른 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다시 진행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호스트의 제어 방법.
  21. 제 15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2. 적어도 하나의 포스 호스트 및 포스 주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 호스트 및 상기 포스 주변기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포스 호스트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보조 인터페이스를 포함함 - ;
    상기 포스 주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호스트의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제1 포스 호스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포스 호스트에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먼저 연결을 요청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제1 포스 호스트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는 전송 상태에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이 없는 비전송 상태 또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제1 포스 호스트가 없는 비연결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요청이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기 위한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의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에 대한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에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의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에 대한 연결 요청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31. 적어도 하나의 포스 호스트 및 포스 주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 호스트 및 상기 포스 주변기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포스 호스트로부터 상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주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와 상기 포스 호스트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보조 인터페이스를 포함함 - ;
    상기 포스 주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보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포스 호스트가 연결되면, 상기 주 인터페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포스 호스트가 상기 주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포스 호스트와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절차(connection process)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허브 전자기기.
KR1020160183194A 2016-12-30 2016-12-30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KR10198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194A KR101985580B1 (ko) 2016-12-30 2016-12-30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194A KR101985580B1 (ko) 2016-12-30 2016-12-30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763A Division KR20190060973A (ko) 2019-05-28 2019-05-28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480A KR20180079480A (ko) 2018-07-11
KR101985580B1 true KR101985580B1 (ko) 2019-09-04

Family

ID=6291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194A KR101985580B1 (ko) 2016-12-30 2016-12-30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327B1 (ko) 2005-03-11 201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상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6069B1 (ko) * 2014-02-11 2015-07-13 주식회사 빅솔론 포스 주변기기 컨트롤러, 모바일 호스트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방법
JP2016164812A (ja) 2012-01-25 2016-09-08 株式会社寺岡精工 Posシステム、登録装置、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23477A1 (en) * 2012-03-05 2016-11-03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398B1 (en) * 1992-03-09 1995-07-28 Samsung Electronic Co Method for in-line polling control of pos system
KR101557118B1 (ko) * 2012-05-14 2015-10-02 주식회사 케이티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KR101586151B1 (ko) * 2013-08-28 2016-01-18 주식회사 케이티 컨트롤러와 네트워크 장치 간 재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327B1 (ko) 2005-03-11 201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상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64812A (ja) 2012-01-25 2016-09-08 株式会社寺岡精工 Posシステム、登録装置、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23477A1 (en) * 2012-03-05 2016-11-03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6069B1 (ko) * 2014-02-11 2015-07-13 주식회사 빅솔론 포스 주변기기 컨트롤러, 모바일 호스트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480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020B1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886106B2 (en) USB sharing switch with automatic switching capabilities
US763467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6448265B2 (ja) 情報処理端末、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4442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 through network, network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9021145B2 (en)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US9389815B2 (en) Control device
US9189298B2 (e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remote USB device automatically
CN105282353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JP201620100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667476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277743B (zh) 通信***、通信装置和控制方法
KR101985580B1 (ko)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US98830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information thereof
JP443806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と接続するホスト装置
US201501096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27186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program
KR20190060973A (ko)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KR101939911B1 (ko)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US1070174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communication device
CN113453308A (zh) 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0394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911390B2 (ja) データ中継用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省電力制御方法と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
US11582356B2 (en)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server for establishing a continuous connec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to provide screen data
JP7322432B2 (ja) 画像形成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