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381B1 -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 Google Patents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381B1
KR101983381B1 KR1020180130361A KR20180130361A KR101983381B1 KR 101983381 B1 KR101983381 B1 KR 101983381B1 KR 1020180130361 A KR1020180130361 A KR 1020180130361A KR 20180130361 A KR20180130361 A KR 20180130361A KR 101983381 B1 KR101983381 B1 KR 101983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support
reinforcing plates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송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김태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Priority to KR102018013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띠장-버팀보에 사용하는 스티프너는, 띠장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의 플랜지 중 상부 플랜지에 연결되는 받침연결구와, 상기 받침연결구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보강구와, 상기 지지보강구와 상기 받침연결구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양단에 연결되는 좌너트, 우너트 및 상기 좌너트와 우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우너트는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가 삽입되고 상기 볼트머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너트의 내부에는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민무늬를 이룸으로써 상기 볼트가 상기 우너트 내에서 공회전할 수 있고, 상기 좌너트는 상기 볼트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볼트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간격조절너트를 회전하면 상기 좌너트와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나사산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좌너트와 우너트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보강구와 상기 받침연결구 사이에 간격이 조절된다.

Description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Adjustable Stiffener For Steel Pipe Stru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띠장-버팀보 공사에 사용되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에 대한 것이다.
최근 사회 간접시설에 대한 확충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도심 내에 많은 지하 굴착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지하 굴착공사의 특징은 지하철, 고가도로, 지하구조물, 사무공간 및 주거공간을 위한 지상구조물 등이 근접하여 있는 근접시공과 제한된 지하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한 최대공간 굴착 및 대심도 굴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도심지의 제한된 공간에서 대형 건축 지하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지하굴토공사는 주변지반의 안정이 최우선되어야 하므로, 주변지반 안정유지에 필요한 흙막이 공사가 필수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며, 공사계획에서도 흙막이 공법선정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흙막이 공법은 가설 흙막이 구조를 활용하는 방법과 본 구조체가 토압, 수압에 대응하여 흙막이벽 역할을 하며 굴토공사와 병행하여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으로 크게 2가지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설 흙막이 구조는 민원유발의 가능성과 주변 지반의 안정성 문제에 따른 흙막이 구조의 붕괴 위험이 있으며, 실제로 붕괴된 사례도 상당수 있다. 또한, 주변 지반의 변위로 인하여 민원이 발생되어 공사중단 또는 민원보상을 하는 사례도 다수 있다.
현행 토공사에 흙막이를 위해 사용되는 가시설은, 강재 파일과 토류판을 사용하거나, CIP(Cast in Place Wall), SCW(Soil Cement Wall) 등이 사용되며, 흙막이를 지지하는 형식은 재래의 가설 Strut로 지지하는 방식과 Earth Anchor, Soil Nailing, Rock Bolt 그리고 Top-Down 공법으로 지지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중에서 가설 Strut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설재의 설치 및 해체 공정에 따른 공기의 증대와 해체시 주변지반의 변경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나 상대적으로 Top-Down 공법에 비하여 지하공사시의 작업환경이 양호하고, 슬래브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버팀보로서, 최근에는 약축과 강축이 존재하여 토벽으로부터 띠장을 통해서 전달되는 압축하중에 대한 좌굴 설계시 약축에 대한 보강의 필요성이 있는 H-Pile 대신에, 대칭 단면을 가지고 있는 원형 강관 또는 정사각형 단면의 각형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띠장은 H-파일을 널리 사용하고 있고, 버팀보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강관버팀보를 근래에는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9440호에서와 같은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로 개량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H-파일이나 상기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의 상하의 플랜지 사이에는 전단보강과 상기 플랜지 자체의 변형방지와 이를 통한 띠장과 강관버팀보의 보강을 위하여 스티프너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띠장-버팀보 구조물 자체는 영구 구조물이 아닌 가시설재이기 때문에 지하 흙막이 공사가 종료된 후에는 해체되어 재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즉 부재 회수율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고 부재의 설치 및 사용 중에 단면 변형이 최소화되어야 함은 물론, 재사용되는 부재 특성 상 현장상황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강재가 특히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기존의 고정 길이형 스티프너와 달리 자유롭게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적절한 긴장력을 유지하고 충분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띠장-버팀보 스티프너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9440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1480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4004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띠장-버팀보 구조체에서 상하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에 맞게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고, 개별 현장에서 띠장-버팀보 구조체의 규격이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 띠장-버팀보 규격에 맞게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필요한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충분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개선된 새로운 구조의 스티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띠장-버팀보에 사용하는 스티프너는, 띠장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의 플랜지 중 상부 플랜지에 연결되는 받침연결구와, 상기 받침연결구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보강구와, 상기 지지보강구와 상기 받침연결구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양단에 연결되는 좌너트, 우너트 및 상기 좌너트와 우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우너트는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가 삽입되고 상기 볼트머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너트의 내부에는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민무늬를 이룸으로써 상기 볼트가 상기 우너트 내에서 공회전할 수 있고, 상기 좌너트는 상기 볼트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볼트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간격조절너트를 회전하면 상기 좌너트와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나사산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좌너트와 우너트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보강구와 상기 받침연결구 사이에 간격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띠장-버팀보에 사용하는 스티프너에서는, 상기 받침연결구는 띠장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의 상하 플랜지를 일측에서 감싸면서 받칠 수 있도록 평판부와 그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수직부로 구성된 “ㄴ”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강구는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그 윤곽선이 대체적으로 직선 또는 2개의 직선을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띠장-버팀보에 사용하는 스티프너에서는, 상기 지지보강구는 각각 좌우 대칭으로 두 개의 보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보강판 사이를 각각 연결보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핀이 상기 대칭으로 형성되는 보강판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띠장-버팀보에 사용하는 스티프너에서는,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띠장이나 버팀보의 플랜지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띠장-버팀보에 사용하는 스티프너에서는, 상기 대칭으로 형성되는 보강판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덮는 덮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띠장-버팀보에 사용하는 스티프너에서는, 상기 지지보강구는 각각 좌우 대칭으로 두 개의 보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강구의 양측 중 상기 볼트와 연결되는 측의 보강판들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판이 상기 좌우보강판 사이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가 맞대도록 상기 우너트가 상기 연결판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연결구의 평판부와 상기 볼트 사이에 상기 좌너트를 상기 평판부에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평판부에는 상기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를 삽입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띠장-버팀보 스티프너에 따르면, 띠장-버팀보 구조체에서 상하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에 맞게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고, 개별 현장에서 띠장-버팀보 구조체의 규격이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 띠장-버팀보 규격에 맞게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필요한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충분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띠장-버팀보의 상하 플랜지 사이에서 보강성능이 본질적으로 개선되고, 재활용 부재로서 띠장-버팀보 구조체의 규격에 맞게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현장적용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지지하중 증가로 인하여 구조성능까지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가 사용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우너트와 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우너트의 세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상하좌우의 방향을 특별히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의 도 2의 사시도에서 본 발명의 스티프너(100)를 지면에 평행하게 놓아둔 상태에서의 방향을 기준으로, 즉 간격조절너트(32)를 중심으로 좌측에 좌너트(31), 우측에 우너트(33)가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리고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944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강관버팀보가 엔클로저형 연결구에 연결된 상태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의 상하단 플랜지나 H-파일 단면의 띠장의 상하단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단 플랜지 사이의 띠장이나 버팀보(1, 2)의 변형을 방지하여 띠장이나 엔클로저형 버팀보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티프너(1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버팀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강관버팀보의 곡면에 따라서 스티프너의 지지보강구(70)의 일면도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면도 그러한 곡선각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진 형상이 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티프너(100)는, 띠장(1, 2)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1, 2)의 상하 플랜지에 연결되는 상하의 보강판(71, 72)으로 구성된 상하의 지지보강구(70)와 받침연결구(20)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너트연결구조(30, 31, 32, 3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1, 2는 본 발명의 스티프너가 사용될 수 있는 띠장과 강관버팀보를 모두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이고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를 도시해준 것뿐이다.
상기 볼트너트연결구조는 스티프너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띠장 또는 버팀보의 상하부 플랜지의 어느 일측에 가깝게 편향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티프너(100)에서는 띠장(1, 2)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1, 2)의 플랜지 중 상부 플랜지에 연결되는 받침연결구(20)와, 상기 받침연결구(20)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보강구(7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보강구(70)와 상기 받침연결구(20) 사이에 볼트너트연결구조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보강구(70)가 스티프너(100)의 신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연결구(20)는 짧게 형성되어서, 상기 볼트너트연결구조가 띠장이나 엔클로저형 버팀보에서 상부 플랜지 근처에서 상기 받침연결구(20)와 상기 긴 지지보강구(70)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티프너(100)는, 띠장(1, 2)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1, 2)의 플랜지 중 상부 플랜지에 연결되는 받침연결구(20)와, 상기 받침연결구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보강구(70)와, 상기 지지보강구(70)와 상기 받침연결구(20)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30), 상기 볼트(30)의 양단에 연결되는 좌너트(31), 우너트(33) 및 상기 좌너트(31)와 우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너트(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우너트(33)는 상기 볼트(30)의 볼트머리(300)가 삽입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머리(3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너트(33)의 내부에는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민무늬를 이룸으로써 상기 볼트(30)가 회전하여도 상기 우너트 내의 나사산 등에 맞물림 등이 없이 공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우너트(33)에 삽입되는 볼트(30)는 상기 볼트머리(300)를 통하여 지지보강구(70)의 연결판(40)에 지지만 될 뿐 상기 우너트(33)가 상기 볼트(30)에 대해서 회전하지는 못한다.
위와 같은 볼트머리(300)는 볼트(30)의 직경보다 훨씬 크게 형성하여 후술하고 또한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볼트머리는 대략 우너트(33)의 큰 구멍(301)에 대응하고 볼트(30)는 대략 우너트(33)의 작은 구멍(302)에 대응되는 크기이다. 이와 같이 볼트머리(300)를 크게 하는 것은 볼트(30)로 전달되는 하중을 연결판(40)을 통하여 지지보강구(70)에 효과적으로 분산하고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반면에, 상기 좌너트(31)는 상기 볼트(3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310)이 도 5에서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볼트(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결국, 상기 간격조절너트(32)를 회전하면 상기 좌너트(31)와 상기 볼트(30)가 결합되는 나사산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좌너트(31)와 우너트(33) 사이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보강구(70)와 상기 받침연결구(20) 사이에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너트(33)는 상기 지지보강구(70)의 연결판(40)에 맞닿는 부분에 볼트머리(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큰 구멍(301)이 형성되고 반면에 그 반대측에서는 볼트(30)가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구멍(302)이 형성되어서 상기 볼트머리(300)가 상기 우너트(33) 내에서 빠질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연결구(20)는 띠장(2)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1)의 상하 플랜지를 일측에서 감싸면서 받칠 수 있도록 평판부(21)와 그 평판부(2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수직부(22)로 구성된 “ㄴ”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강구(70)는 일면은 곡면인 곡면부(73)로 형성되고 타면은 그 윤곽선이 대체적으로 직선 또는 2개의 직선을 연결한 직선부(74)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구(70)는 각각 좌우 대칭으로 두 개의 보강판(71, 72)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보강판 사이를 각각 연결보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핀(60)이 상기 대칭으로 형성되는 보강판(71, 72) 사이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강판(71, 72)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71, 72)에는 상기 띠장이나 버팀보의 플랜지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돌기(41)가 형성되어 도 1에서와 같은 사용상태에서 위 돌기(41)에 상기 띠장이나 버팀보의 상하 플랜지에 맞닿고 서로에 대해서 가압하여 상기 스티프너(100)의 정착과 위치 결정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티프너(100)는 다소간에 상기 띠장이나 버팀보의 플랜지 사이에서 긴장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플랜지 사이의 띠장이나 버팀보를 보강하는 것이므로 위와 같은 돌기(41)는 스티프너(100)의 상기 플랜지에 대한 스토퍼와 지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칭으로 형성되는 보강판(71, 72)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덮는 덮개(50)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71, 72) 사이의 연결을 도와주면서 보강판(71, 72)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보강구(70)는 각각 좌우 대칭으로 두 개의 보강판(71, 72)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보강구(70)의 양측 중 상기 볼트(30)와 연결되는 측의 보강판들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판(40)이 상기 좌우보강판(71, 72) 사이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40)에 상기 볼트(30)의 볼트머리(300)가 맞대도록 상기 우너트(33)가 상기 연결판(40)의 외측면에, 즉 도 4를 보았을 때 연결판(40)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받침연결구(20)의 평판부(21)와 상기 볼트(30) 사이에 상기 좌너트(31)를 상기 평판부(21)에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평판부(21)에는 상기 볼트(3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23)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30)를 상기 평판부(21)에 삽입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연결구(20)와 지지보강구(70) 사이에서 간격조널너트(32)를 회전하면 상기 볼트(30)가 상기 좌너트(31)의 나사산(310)과의 결합되는 길이가 늘어나거나 감소되면서 상기 너트들(31, 33)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면서 상기 받침연결구(20)와 지지보강구(70)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우너트(33)에는 큰 볼트머리(300)가 삽입되어 있어 상기 스티프너(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볼트머리(300)의 넓은 면을 통해서 분산되고 다시 더 넓은 연결판(40)을 통해서 좌우의 보강판(71, 72)을 통해서 하부로 흘러서 하중 흐름이 양호해진다. 특히 우너트(33)는 볼트(30)와 나사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라 오로지 한 개의 너트(좌너트)만이 나사결합되므로 볼트너트연결구조가 간단해지고 너트의 파손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이 그 만큼 감소한다.
위와 같은 상기 스티프너(100)는 띠장이나 엔클로저형 버팀보(1, 2)의 플랜지 사이에서 충분한 지지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띠장-버팀보 규격이 달라짐에 따라서 그 길이를 조정해야하므로 상기 스티프너(100)의 받침연결구(20)와 지지보강구(70) 사이의 간격조정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좌너트(31)는 이중너트 또는 롱너트를 사용하여 볼트(30)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너트(31)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너트의 나사산이 증가함에 따라서 너트가 받을 수 있는 힘이 증가하는 유리한 효과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우너트(33)에 있어서는 상기 우너트(33)에 전달되는 하중이 연결판(40)을 통해서 분산되고 상기 좌너트(31)에 있어서는 상기 평판부(21)에 의해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너트(31, 33)가 받을 수 있는 힘이 증대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은 지지보강구(70)가 하측플랜지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당연히 지지보강구(70)가 상측플랜지, 받침연결구(20)가 하측플랜지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측은 스티프너(100)의 좌측, 하측은 스티프너(100)의 우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받침연결구(20)의 평판부(21)에 좌너트(31)를 연결하는 경우 평판부(21)의 전체 면적이 하중을 받게 되고 좌너트(31)에 집중되는 하중이 분산화되게 된다.
좌너트(31)와 우너트(33)를 보다 상세히 비교하면, 우너트(33)는 실제 볼트(30)와 나사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머리(300)를 감싸는 캡(cap)의 형태이고 내부에 크고 작은 구멍(301, 302)이 형성된 중공형 캡(hollow cap)의 구조이다. 따라서 위 우너트(33)는 볼트와 연결되는 의미의 너트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좌너트(31)는 볼트(30)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볼트(30)와 함께 회전하지는 않고 좌너트(31)는 받침연결구(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30)만 회전하면서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즉, 볼트(30)만의 회전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티프너(100)에서 우너트(33) 이하의 부분은 간격이 고정되어 변경이 없고 오로지 좌너트(31) 부분에서 움직임이 있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것이어서 좌너트와 우너트가 모두 움직이면서 간격 조정이 되는 스티프너에 비하여 조작의 편의성이 커지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케일에 따라 도시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확대 및 축소하여 도시되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시스템이나 방법이나 장치의 구성 요소와 단계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1, 2: 띠장, (강관)버팀보
20: 받침연결구
21: 평판부
22: 수직부
23: 통공
30: 볼트
31: 좌너트
32: 간격조절너트
33: 우너트
40: 연결판
41: 돌기
50: 덮개
60: 연결핀
70: 지지보강구
71. 72: 보강판
73: 곡면부
74: 직선부
100: 스티프너
300: 볼트머리
301: 우너트의 큰 구멍
302: 우너트의 작은 구멍
310: 나사산

Claims (6)

  1. 띠장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의 플랜지 중 상부 플랜지에 연결되는 받침연결구와,
    상기 받침연결구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보강구와,
    상기 지지보강구와 상기 받침연결구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양단에 연결되는 좌너트, 우너트 및 상기 좌너트와 우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우너트는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가 삽입되고 상기 볼트머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너트의 내부에는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민무늬를 이룸으로써 상기 볼트가 상기 우너트 내에서 공회전할 수 있고,
    상기 좌너트는 상기 볼트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볼트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간격조절너트를 회전하면 상기 좌너트와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나사산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좌너트와 우너트 사이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보강구와 상기 받침연결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지지보강구는 각각 좌우 대칭으로 두 개의 보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강구의 양측 중 상기 볼트와 연결되는 측의 보강판들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판이 상기 좌우보강판 사이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연결판과 상기 받침연결구 사이에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연결판과 상기 받침연결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판에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가 맞대도록 상기 우너트가 상기 연결판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연결구의 평판부와 상기 볼트 사이에 상기 좌너트를 상기 평판부에 맞닿게 위치시키고 상기 평판부에는 상기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를 삽입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연결구는 띠장이나 엔클로저형 강관버팀보의 상하 플랜지를 일측에서 감싸면서 받칠 수 있도록 평판부와 그 평판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수직부로 구성된 "ㄴ"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강구는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그 윤곽선이 대체적으로 직선 또는 2개의 직선을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버팀보에 사용하는 스티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강구는 각각 좌우 대칭으로 두 개의 보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보강판 사이를 각각 연결보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핀이 상기 대칭으로 형성되는 보강판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띠장이나 버팀보의 플랜지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으로 형성되는 보강판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덮는 덮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6. 삭제
KR1020180130361A 2018-10-30 2018-10-30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KR101983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61A KR101983381B1 (ko) 2018-10-30 2018-10-30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61A KR101983381B1 (ko) 2018-10-30 2018-10-30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381B1 true KR101983381B1 (ko) 2019-05-28

Family

ID=6665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361A KR101983381B1 (ko) 2018-10-30 2018-10-30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692B1 (ko) * 2020-07-16 2020-11-02 (주)테스콤엔지니어링 흙막이 띠장 스티프너
KR102173283B1 (ko) * 2020-05-12 2020-11-03 주식회사 동림건설 이동식 흙막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240Y1 (ko) * 2006-06-22 2006-10-19 정우개발 (주)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보강재
KR101329440B1 (ko) 2013-04-22 2013-11-14 주식회사 포스코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1498121B1 (ko) * 2012-11-16 2015-03-04 노연식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KR101518565B1 (ko) * 2013-07-19 2015-05-11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KR101591480B1 (ko) 2015-10-21 2016-02-03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
KR101740045B1 (ko) 2016-11-02 2017-05-25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연결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240Y1 (ko) * 2006-06-22 2006-10-19 정우개발 (주)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보강재
KR101498121B1 (ko) * 2012-11-16 2015-03-04 노연식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KR101329440B1 (ko) 2013-04-22 2013-11-14 주식회사 포스코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1518565B1 (ko) * 2013-07-19 2015-05-11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KR101591480B1 (ko) 2015-10-21 2016-02-03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
KR101740045B1 (ko) 2016-11-02 2017-05-25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연결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283B1 (ko) * 2020-05-12 2020-11-03 주식회사 동림건설 이동식 흙막이 장치
KR102172692B1 (ko) * 2020-07-16 2020-11-02 (주)테스콤엔지니어링 흙막이 띠장 스티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8257B (zh) 超大深基坑混凝土-装配式型钢混合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1983381B1 (ko)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CN107022947A (zh) 一种混凝土节段预制拱肋预埋型钢平接缝螺栓式连接定位装置及其施工方法
KR20120097702A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40045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연결잭
KR101591480B1 (ko)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
KR102000675B1 (ko)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KR100733719B1 (ko)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KR20190051615A (ko)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띠장-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체
KR101131079B1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서포트장치
KR101843362B1 (ko) 조적벽 내진 보강용 고정장치
AU2019444153B2 (en) Strut connector
KR102026976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KR101836165B1 (ko) 공장제작과 현장조립이 2원화된 cft강관 지보재의 터널구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129017B1 (ko) 지하 흙막이 공사용 광폭 띠장-버팀보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LU102077B1 (en) Anchor and shotcrete mesh shell support system for coal mine roadway
KR101977193B1 (ko) 아치형 트러스 수로교
KR102001638B1 (ko) 전단-휨 보강재를 구비한 강관버팀보 연결재
KR101961765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내부 보강재를 구비한 강관버팀보 연결잭
CN113279565A (zh) 一种加固超厚内墙体的工具式支撑构造和施工方法
KR101328212B1 (ko) 흙막이벽용 강관 버팀보의 지압형 경사 접합부재 및 이 접합부재를 이용한 띠장과 강관 버팀보의 경사 접합구조
JP4634911B2 (ja) セグメントの連結構造
KR20190057554A (ko) 좌굴방지를 위한 강관버팀보 및 띠장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