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609B1 -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609B1
KR101982609B1 KR1020180165079A KR20180165079A KR101982609B1 KR 101982609 B1 KR101982609 B1 KR 101982609B1 KR 1020180165079 A KR1020180165079 A KR 1020180165079A KR 20180165079 A KR20180165079 A KR 20180165079A KR 101982609 B1 KR101982609 B1 KR 101982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pace
water
circulation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우
유성호
문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to KR102018016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24C14/005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using a cleaning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오븐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오븐으로 순환시킬 때, 물에 섞인 이물질이 순환 작용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배수통과; 상기 배수통 내부에 마련되어 그 내부의 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와 구분되게 마련되고, 제1공간부를 따라서 이동한 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하는 배수구와;
상기 제2공간부 중 상기 배수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에 배치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배수통 외부로 유출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순환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A drain module for an oven and the oven comprising the draing module }
본 발명은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오븐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오븐으로 순환시킬 때, 물에 섞인 이물질이 순환 작용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 특허 10-2010-0133064(일방향 세척 공개특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스팀을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스팀 오븐은 조리실 및 컨벡션 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일측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여러번 조리를 하면, 그 내부가 오염이 되어 청소가 필요하므로, 청소를 위해서 외부에서 용수를 공급하여 그 내부를 청소를 하되, 외부의 용수가 한번만 사용되고, 사용된 물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세척이 완료되기 까지 많은 양의 용수가 소요되어 수자원 낭비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오븐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오븐으로 순환시킬 때, 물에 섞인 이물질이 순환 작용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이물질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배수통과;상기 배수통 내부에 마련되어 그 내부의 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공간부와;상기 제1공간부와 구분되게 마련되고, 제1공간부를 따라서 이동한 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하는 배수구와;
상기 제2공간부 중 상기 배수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에 배치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배수통 외부로 유출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순환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2공간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의 최하단보다 낮게 형성되되, 상기 제2공간부와 제1공간부는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어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로 떨어지는 낙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용 개구부의 배치 높이는 상기 배수구보다 높게 마련되며,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제2공간부의 측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은 배수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배수구는 제2공간부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배수구가 위치한 곳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통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배수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 일정 수준에 이른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오버 플로우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구는 배수관과 연결되고, 배수관은 전동식 밸브로 구현되는 배수 밸브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 오버 플로우 개구부는 배수관과 연결된 오버 플로우 관과 연결되고,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순환펌프와 연결되는 순환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벡션실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컨벡션실에 마련되는 컨벡션 팬 및 열원과;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는 순환용 물 배출 노즐과; 상기 조리실 하면에 마련되어 조리실 내부의 물을 조리실 외부로 배출하는 조리실 배수구와; 상기 조리실 배수구와 연결되면서, 순환용 물 배출 노즐과 연결되는 순환관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물을 외부로 배수하거나 또는 조리실 내부로 순환하여 재공급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을 포함하되,
오븐용 배수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배수통과;
상기 배수통 내부에 마련되어 그 내부의 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와 구분되게 마련되고, 제1공간부를 따라서 이동한 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하는 배수구와;
상기 제2공간부 중 상기 배수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에 배치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배수통 외부로 유출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순환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을 구비한 오븐을 제공한다.
상기 배수구는 배수관과 연결되되, 배수관에는 배수관을 개폐하는 전동식 밸브로 구현되는 배수 밸브가 마련되고, 순환관에는 순환펌프가 연결되되, 상기 순환용 개구부에서 순환 펌프의 입구부 까지의 순환관의 배치 높이는 상기 순환용 개구부에서 순환펌프의 입구로 갈수록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2공간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의 최하단보다 낮게 형성되되, 상기 제2공간부와 제1공간부는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어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로 떨어지는 낙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용 개구부의 배치 높이는 상기 배수구보다 높게 마련되며,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제2공간부의 측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은 배수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배수구는 제2공간부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배수구가 위치한 곳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통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 일정 수준에 이른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오버 플로우 개구부와,
오버 플로우 개구부 및 배수관과 연결되어 오버 플로우 된 물을 배수관 방향으로 안내하는 오버 플로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구와 순환용 개구부가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용 개구부 근처에 있거나, 순환관 내부에 있는 이물질이 배수구를 통한 배수작용시 용이하게 배수구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서, 이물질에 의한 순환 펌프의 동작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구획하고, 제2공간부를 포켓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제2공간부에 있는 물과 이물질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제2공간부에 배수구와 순환용 개구부를 둠으로써, 배수나 물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공간부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물이 용이하게 제2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아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을 배수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제2공간부의 바닥에 잔류한 물이나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수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통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통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통에 물과 이물질이 수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통에 물과 이물질이 배출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븐(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1)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실(13)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12) 중 조리실(13) 일측에는 컨벡션 실(14)이 마련되며, 컨벡션 실(14)에는 열원(17)과 컨벡션팬(15), 컨벡션 팬(15)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16)가 마련된다.
여기서 열원은 컨벡션 히터가 될 수도 있고, 또는 히터가 아닌 가스 열교환기나, 기타 열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요소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컨벡션 실(14)과 조리실(13) 사이에는 구멍이 뚫린 격벽이 마련되어 컨벡션 실(14)에서 나온 뜨거운 공기가 조리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조리실(13) 하부에는 배수구(12a)가 마련되고, 배수구(12a)에는 배수통(110)을 포함하는 배수 모듈(100)이 연결되어 있으며, 배수 모듈(100)은 순환관(151, 152)과 연결되고, 순환관(151, 152)은 조리실(13) 상부에 있는 세척수 배출 노즐(152a)과 연결된다.
후술하겠지만, 배수 모듈(100)의 동작에 따라서, 배수통(1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완전하게 빠져나갈 수 있거나, 또는 순환관(151, 152)을 타고 올라가서 세척수 배출 노즐(152a)을 통하여 조리실(13) 내부로 분사되어 조리실(13)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 하우징(12) 외측에는 외부 하우징(11)에 수용되는 스팀 발생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스팀 발생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직수)를 공급 받아 열원을 이용하여 끓여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 방식이 가능하거나, 또는 직수를 직접 열원 (17)으로 공급하여 뜨거운 열에 의하여 물을 증발시켜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1 및 도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중요 구성요소인 오븐용 배수 모듈(이하, '배수 모듈'이라 한다)(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수 모듈(100)은 배수통(110)과, 배수통(110)과 연결되는 배수관(141,142), 배수관(141, 142)을 개폐하는 배수 밸브(140)와, 배수통(110)과 연결되는 순환관(151, 152), 순환관(151, 152)과 연결되어 순환관(151, 152)으로 물을 빨아들여서 조리실(13) 내부로 재공급하는 순환 펌프(150), 배수관(151, 152)과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143) 및 배수통(110)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공기배출관(162)을 포함한다.
우선 배수통(110)의 구조를 보면, 상면판(116)의 후방에는 조리실(13)의 배수구(12a)와 연결되는 유입구(117)가 마련되어 있다. 배수통(110)의 내부는 제1공간부(121)와 제2공간부(122)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제1공간부(121)의 역할은 조리실(13)에서 배출된 물이 원활하게 제2공간부(122)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이다.
이를 위해서 제1공간부(121)의 바닥부(111)는 제2공간부(122)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제1공간부(121)의 바닥부(111)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공간부(122)는 제1공간부(121) 보다 앞에 배치되는데, 제2공간부(122)의 역할은 배출대상이 되거나 또는 순환대상이 되는 물을 수용 또는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공간부(122)에 수용되는 물이나 이물질이 제1공간부(121)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공간부(122)의 바닥면은 제1공간부(121)의 바닥면중 가장 낮은 부분보다 낮은 높이가 되어야 한다.
도2 및 도3에서는 제2공간부(122)가 제1공간부(121)보다 단차진 형태로 낙차를 형성하는 포켓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공간부(121)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제2공간부(122) 바닥면에는 배수구(1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공간부(122)의 전방 측벽(113)에는 순환용 개구부(13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배수구(131)와 순환용 개구부(132)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되, 배수구(131)는 수평상태 또는 수평상태에 근접하게 경사진 형태로 놓이고, 순환용 개구부(132)는 직립한 상태(수직 상태)로 놓여서 마치 'ㄴ'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배수구(131)의 배치가 수평상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순환용 개구부(132)의 배치가 수직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순환용 개구부(132)가 배수구(131)보다 높은 위치라면 어떤 배치나 형상이든 가능하다.
더 나아가, 순환용 개구부(132)는 배수구(131)보다 낮은 위치도 가능하며, 이 경우, 배수구(131)와 연결되는 배수관(141)의 일측에 형성되고, 그 경우, 순환용 개구부(132)와 연결되는 순환관(151)이 배수관(141)과 연결되는 형태가 된다.
배수구(131)는 배수관(151, 152)과 연결되는데, 배수관(151, 152)은 배수밸브(140)의 입구와 연결되는 제1배수관(141)과, 배수밸브(140)의 출구와 연결되는 제2배수관(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밸브(140)는 전동식 밸브로 마련되며, 2 way 밸브 또는 다른 방식(예, 3-way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수 밸브는 밸브로 구성되는 밸브 몸체(145)와, 밸브 몸체(145)에 연결되어 밸브를 구동하는 구동부(14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공간부(122)의 일측에는 오버 플로우용 개구부(133)가 마련되고, 오버 플로우용 개구부(133)는 오버 플로우 관(143)이 연결되며, 오버 플로우 관(143)은 제2 배수관(142)으로 연결된다.
제2공간부(122)의 일측에 오버 플로우용 개구부(133) 및 오버 플로우 관(143)을 연결함으로써, 제2공간부(122) 내부에 굳이 직립한 형태의 관을 넣어서 내부 구조를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어지고,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오버 플로우 관(143)을 옆으로 둠으로써 오버 플로우된 물이 바로바로 오버플로우관(143)을 타고 제2배수관(143)을 타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오버 플로우 관(143) 중 제2배수관(142)과 연결된 영역은 제2배수관(142)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오버플로우관의 형상이나 배치는 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싱이나 위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배수통(110) 내부에 위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그 돌출 높이 이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으며, 오버플로우용 개구부(133)가 제2공간부(122)가 아닌 제1공간부(121)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순환용 개구부(132)에는 순환관(151, 152)이 연결되는데, 순환관(151, 152)은 순환 펌프(150)의 입구에 연결되는 제1순환관(151)과, 순환 펌프(150)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2순환관(152)을 포함한다. 제2순환관(152)이 위로 연장되어 상술한 세척수 배출 노즐(152a)에 연결되는 관이다.
순환펌프(150)는 펌프 하우징 및 그 내부에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펌프부(154)와, 펌프부(154)에 있는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53)로 구분되며, 임펠러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디스크를 포함하는 오픈 방식의 임펠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임펠러의 형상은 이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배수통(110)의 일측에는 직수관(161)이 마련되어 배수통(110) 내부의 온도가 너무 뜨거운 경우 냉각을 위한 외부의 직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배수통(110) 상면에는 공기 배출관(162)이 마련되어,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공간부(121)와 제2공간부(122)는 그 형상 및 공간적 특징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공간부(121)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공간부(122)를 향하게 되어, 유입구(117)를 통해서 들어온 물(세척수) 및 이에 휩쓸리는 이물질이 효율적이고 빠르게 제2공간부(122)로 향할 수 있게 안내한다.
그리고, 제1공간부(121)의 전단부에는 낙차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 또는 낭떠러지 같은 후면판(11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2공간부(122)는 제1공간부(121)와 연통되는 포켓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제2공간부(122)의 바닥면에는 배수구(131)가, 전면판(113)에는 순환용 개구부(13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순환용 개구부(132)는 제2공간부(122)의 바닥면에서 바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위로 약간 이격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바닥면에 누적되어 있는 이물질이 다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배수구(131)는 순환용 개구부(132)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이를 도3(b)와 같이 전면에 봤을때, 순환용 개구부(132)의 중심과, 배수구(131)의 중심이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수구(131)와 순환용 개구부(132)의 중심이 일치되고, 이들간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이유는, 배수 밸브(140) 개방으로 인하여 배수가 되는 경우, 발생하는 배수압(배수밸브 방향으로 빠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순환용 개구부(132) 및 제1순환관(151)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빼내어, 이러한 이물질이 순환 펌프(150)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순환 펌프(15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음식물 찌꺼기 덩어리 등)이 유입되면 임펠러와 펌프 하우징 사이에 끼어서 펌프의 동작을 방해하기 때문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해야 한다.
한편, 순환용 개구부(132) 입구에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미세한 이물질이 필터의 공극 사이에 끼어 성장하여, 필터 자체를 막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필터를 설치하기도 어렵고, 이물질이 순환 펌프(150)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수구(131) 방향으로 빨아들이는 배수압을 이용하여 이물질의 펌프에의 영향을 제거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물질이 순환용 개구부(132)를 통과하여 제1배수관(151) 초입에 약간 들어가 있어도, 이러한 이물질이 순환 펌프 방향으로 계속 진입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제1순환관(151)은 순환펌프 입구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공간부(122)의 바닥부에는 배수구(131)를 향하는 하향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공간부(122)의 하부 영역에 잔류하는 물이나 이물질이 배수구(131)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켜서 배수를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공간부(122)의 바닥부(114)는 평평하기 보다는 배수구(131)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 형태로 마련되고, 그 경사진 곳의 가장 낮은 곳에 배수구(131)가 위치하고, 그 배수구(131)의 위에 순환용 개구부(13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제2공간부(122) 전체적으로 잔류하는 이물질과 물이 원활하게 배수구(13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었다.
따라서, 배수구(131)와 순환용 개구부(132)는 제2공간부(122)의 일측단부에 완전하게 치우쳐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통(110)이 측벽 중 제1공간부(121)를 형성하는 측벽(112)은 전후 방향으로 똑바르게 형성되어 제1공간부(121)의 좌우폭이 일정한 것을 기본으로 할 수 있으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112')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그 좌우 폭이 넓어지다가 일정 정도 지나면 좌우 폭이 일정하게 될 수 도 있다.
점선 모양과 같이 폭의 변화를 준 것은, 측벽(112')에서의 물이나 이물질의 잔류 현상을 좀더 방지하기 위함이며, 유입구로 들어온 물과 이물질이 좌우로 퍼지면서 그 앞에 있는 물과 이물질을 좀더 효율적으로 밀어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1 및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13) 내부에서 조리가 끝난 이후에, 조리실(13) 내부 청소를 위해서 조리실(13) 내부로 외부의 직수(상수)가 노즐을 통해서 공급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의 직수(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직수관(미도시)이 직접 세척수 배출 노즐(152a)에 연결되어 있어서, 직수관에 있는 밸브가 열리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세척수 배출 노즐(152a)에 의하여 조리실(13) 내부로 분사된다.
이에 의하여 조리실(13) 상면, 바닥, 측면에 있는 이물질이 씻기고, 조리실(13) 바닥으로 낙하하여 조리실(13) 바닥면에 있는 배수구(12a)로 빠져나간다. 배수구(12a)는 배수통(110)의 유입구(117)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통(110) 내에는 물(W)과 이물질(D)이 섞인 혼합물이 차게된다.
이물질의 양이 많으면, 제2공간부(122)에 쌓인 이물질(D)의 일부가 순환용 개구부(132)를 통해서 제1순환관(151) 입구에 쌓일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이물질이 많기 때문에, 이를 순환시키면 순환 펌프(150)에 이물질이 걸려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초기에는 이물질을 배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배수 밸브(140)를 개방하면 도6와 같이, 물과 이물질이 배수구(131)를 통과하여 아래로 빠져나가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아래로 쪽으로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순환용 개구부(132)의 근처 및 제1순환관(151) 입구에 있던 이물질이나 물도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수구(132)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용 개구부(132)의 위치가 배수구(131)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그 중심부의 위치가 수직선상에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배수구(131) 근처에서 발생하는 배수압의 힘이 순환용 개구부(132) 근처 및 그 내부에 용이하게 미칠 수 있다.
게다가, 순환용 개구부(132)와 연결되는 제1순환관(151)이 상향 경사지게 되어 있어서, 이물질(D)이 순환 펌프(15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에. 배수압에 의하여 순환용 개구부(132) 근처 및 내부에 있는 이물질(D)이 쉽게 순환용 개구부(132) 및 제1순환관(151)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와 배수구로 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수를 직접 조리실(13)로 공급하여 조리실(13) 내부를 세척하고, 배수 모듈(100)로 들어간 물(W)과 이물질(D)을 복수회 배출하면, 대부분의 이물질(D)은 조리실 내부에서 배수 모듈 내부 및 조리실에서 제거될 수 있다.
즉, 초벌 세척은 이와 같이 open-loop 방식으로 직수 공급 - 이물질 제거 - 외부 배출의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다만, 이와 같은 세척방식으로 조리실(13)을 완전하게 깨끗이 세척하려면 다량의 직수가 공급되어 소비되어야 하므로, 물을 절약하면서도 세척을 완벽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초기에는 open-loop 방식을 이용하여 초벌 세척을 하고, 그 이후에는 순환 펌프(150)를 이용하여 closed-loop 방식을 세척을 수행한다.
따라서, 실험적으로 이와 같은 초벌세척이 복수 회 이루어지면, 내부의 이물질(D)은 거의 제거되고, 아주 미세한 이물질이나 부유물질이 없거나, 아니면 소량만 남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는 순환펌프(150)를 동작시켜도 순환 펌프(150)의 동작에 전혀 장애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세팅된 초벌 세척 횟수가 완료되면, 그 때부터는 배수 밸브(140)를 폐쇄하고, 직수를 한번 더 공급하면, 조리실(13)을 거친 후에 배수통(110) 내부에 유입되어 배수통(110) 내부를 채운다.
그 상태에서 순환펌프(150)를 동작시키면, 제2공간부(122) 및 제1공간부(121)도 포함)를 채우고 있는 물(W)이 제1순환관(151)을 거쳐서 순환펌프(150)로 유입되고, 제2순환관(152)을 타고 올라가 세척수 분사 노즐(152a)에 의하여 조리실 내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 한정된 양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조리실(13)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세팅된 시간이 경과되면, 순환 펌프(150)의 동작을 멈추고 배수밸브(140)를 열어서 세척에 사용되었던 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조리실(13) 내부의 세척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3: 조리실 12a: 배수구
100: 배수모듈 110: 배수통
121: 제1공간부 122: 제2공간부
131: 배수구(배수통) 132: 순환용 개구부
132: 오버플로우 개구부 140: 배수 밸브
150: 순환 펌프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배수통과;
    상기 배수통 내부에 마련되어 그 내부의 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배수통 내부에 상기 제1공간부와 함께 마련되되, 상기 제1공간부와 구분되게 마련되고, 제1공간부를 따라서 이동한 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하는 배수구와;
    상기 제2공간부 중 상기 배수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배수통 외부로 유출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순환용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2공간부 내에서 순환용 개구부와 배수구가 서로 분리되고 구분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2공간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의 최하단보다 낮게 형성되되, 상기 제2공간부와 제1공간부는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고, 제2공간부는 포켓 형태로 마련되어,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로 떨어지는 낙차를 형성하며,
    상기 순환용 개구부의 배치 높이는 상기 배수구보다 높게 마련되며,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제2공간부의 측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은 배수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배수구는 제2공간부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배수구가 위치한 곳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배수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 일정 수준에 이른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오버 플로우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배수관과 연결되고, 배수관은 전동식 밸브로 구현되는 배수 밸브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 오버 플로우 개구부는 배수관과 연결된 오버 플로우 관과 연결되고,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순환펌프와 연결되는 순환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
  6. 조리실과 컨벡션실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컨벡션실에 마련되는 컨벡션 팬 및 열원과;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는 순환용 물 배출 노즐과;
    상기 조리실 하면에 마련되어 조리실 내부의 물을 조리실 외부로 배출하는 조리실 배수구와;
    상기 조리실 배수구와 연결되면서, 순환용 물 배출 노즐과 연결되는 순환관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물을 외부로 배수하거나 또는 조리실 내부로 순환하여 재공급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을 포함하되,
    오븐용 배수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배수통과;
    상기 배수통 내부에 마련되어 그 내부의 물을 일측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배수통 내부에 상기 제1공간부와 함께 마련되되, 상기 제1공간부와 구분되게 마련되고, 제1공간부를 따라서 이동한 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하는 배수구와;
    상기 제2공간부 중 상기 배수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이 배수통 외부로 유출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순환용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2공간부 내에서 순환용 개구부와 배수구가 서로 분리되고 구분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2공간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의 최하단보다 낮게 형성되되, 상기 제2공간부와 제1공간부는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고, 제2공간부는 포켓 형태로 마련되어,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로 떨어지는 낙차를 형성하며,
    상기 순환용 개구부의 배치 높이는 상기 배수구보다 높게 마련되며,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제2공간부의 측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면은 배수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배수구는 제2공간부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용 개구부는 배수구가 위치한 곳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을 구비한 오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배수관과 연결되되, 배수관에는 배수관을 개폐하는 전동식 밸브로 구현되는 배수 밸브가 마련되고,
    순환관에는 순환펌프가 연결되되, 상기 순환용 개구부에서 순환 펌프의 입구부 까지의 순환관의 배치 높이는 상기 순환용 개구부에서 순환펌프의 입구로 갈수록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을 구비한 오븐.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 일정 수준에 이른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오버 플로우 개구부와,
    오버 플로우 개구부 및 배수관과 연결되어 오버 플로우 된 물을 배수관 방향으로 안내하는 오버 플로우관을 포함하는 오븐용 배수 모듈을 구비한 오븐.
KR1020180165079A 2018-12-19 2018-12-19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KR101982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79A KR101982609B1 (ko) 2018-12-19 2018-12-19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79A KR101982609B1 (ko) 2018-12-19 2018-12-19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609B1 true KR101982609B1 (ko) 2019-05-27

Family

ID=6667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79A KR101982609B1 (ko) 2018-12-19 2018-12-19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694B1 (ko) * 2019-07-30 2020-02-03 주식회사 효신테크 열교환 모듈을 포함하는 콤비 오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5847A1 (en) * 2001-02-26 2003-08-07 Martin Deuringer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cooking device
EP1553346A2 (de) * 2004-01-07 2005-07-13 Rational AG Reinigungsanordnung für ein Gargerät und ein Verfahren zu deren Anwendung
EP1953458A1 (de) * 2007-01-30 2008-08-06 Rational AG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Gargeräts und Gargerät hierfür
KR20130027863A (ko) * 2011-09-08 2013-03-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용 청소용수 저장탱크
US9775459B2 (en) * 2011-07-25 2017-10-03 Convotherm Elektrogeraete Gmbh Cook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5847A1 (en) * 2001-02-26 2003-08-07 Martin Deuringer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cooking device
EP1553346A2 (de) * 2004-01-07 2005-07-13 Rational AG Reinigungsanordnung für ein Gargerät und ein Verfahren zu deren Anwendung
EP1953458A1 (de) * 2007-01-30 2008-08-06 Rational AG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Gargeräts und Gargerät hierfür
US9775459B2 (en) * 2011-07-25 2017-10-03 Convotherm Elektrogeraete Gmbh Cooking device
KR20130027863A (ko) * 2011-09-08 2013-03-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용 청소용수 저장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694B1 (ko) * 2019-07-30 2020-02-03 주식회사 효신테크 열교환 모듈을 포함하는 콤비 오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77B1 (ko) 이중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용 청소용수 저장탱크
KR101266705B1 (ko) 스팀 컨벡션 오븐의 자동세척 시스템
KR101296774B1 (ko) 청소용수 저장탱크를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
KR101982609B1 (ko)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WO2019210747A1 (zh) 洗干一体机
KR101238083B1 (ko) 식기 세척기
US11953228B2 (en) Table fan and method for cleaning a table fan
JP7261690B2 (ja) 加熱調理器
JP7489848B2 (ja) 加熱調理器
JP7174582B2 (ja) 調理庫の洗浄機能付き加熱調理器
KR102053776B1 (ko) 순환 세척 기능을 포함하는 콤비 오븐
JP7004602B2 (ja) 食器洗浄機
JP7012938B2 (ja) 洗浄器
JP2008229224A (ja) 食器洗い機
JP2017023985A (ja) 洗浄器
KR20140100072A (ko) 식기세척기
JPH04319329A (ja) 排水濁度検知装置
JP7205759B2 (ja) 洗浄器
JP6531016B2 (ja) 洗浄機
KR101054436B1 (ko) 식기 세척기
JP2017056154A (ja) 洗浄機
JP6517118B2 (ja) 洗浄機
KR102394268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JP2020110764A (ja) 洗浄器
JP2005334017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