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24B1 -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24B1
KR101978624B1 KR1020190005417A KR20190005417A KR101978624B1 KR 101978624 B1 KR101978624 B1 KR 101978624B1 KR 1020190005417 A KR1020190005417 A KR 1020190005417A KR 20190005417 A KR20190005417 A KR 20190005417A KR 101978624 B1 KR101978624 B1 KR 101978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eye
eye syndrome
dry
syndro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24B1/ko
Priority to PCT/KR2020/000725 priority patent/WO20201496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ry eye syndrome comprising aucubin}
본 발명은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구 건조증(건성안: dry eye syndrome)은 단순히 눈물부족이 아닌, 눈물과 안구표면(각막 및 결막)의 염증에 의한 안구의 불편감, 시력저하, 눈물층의 불안정성을 유발하여 안구표면에 손상을 주어, 통증, 불규칙한 각막표면, 흐리고 변동폭이 커진 시력 및 각막궤양 등의 발병 위험성이 크다. 그러나 이러한 발병기전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염증세포의 침윤, 면역활성화 분자 및 접착분자발현 증가, Th1 및 Th17 반응, 세포사멸마커 및 케모카인의 비정상적인 변화 등 염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구 건조증 치료를 위해서 칼륨과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음식섭취를 권장하고 있고, 이외에도 케일, 키위, 사과 등의 과일섭취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또한 인공눈물 점안, 눈물점을 막아 배출되는 눈물의 양을 조절하는 치료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안구건조증은 우리나라 성인의 20% 내외로 발생하는 흔한 질병으로, 특히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특히 엘리뇨 현상으로 온도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안구건조증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특별한 치료제 또는 기능성 식품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연구자들이 안구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10-2018-0065933호에는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번호 제 10-1910908호에는 Gly-Tβ4 (Gly-티모신β4)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아우쿠빈 (aucubin)은 식나무 (Acuba japonica)의 주요성분 (major compound)으로 본 발명자들은 식나무 추출물의 안구건조증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유효성분을 확인하던 중 아우쿠빈이 눈물 분비량의 증가 및 각막 건조손상 예방, 각막 염증억제를 통해 안구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안구건조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아우쿠빈이 눈물 분비량의 증가 및 각막 건조손상 예방, 각막 염증억제를 통해 안구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aucub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5100235-pat00001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 될 수 있다.
상기 아우쿠빈은 1 mg/kg 내지 150 mg/k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시럽제, 에멀젼, 리포좀,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서방형 제제, 점안제(eye drop), 캡슐제, 콘택트렌즈 세정제 및 콘택트렌즈 윤활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안구 건조증은 무루증, 각막건조증, 쇼그렌 증후군, 건조 각막결막염, 스티븐-존슨 증후군, 눈 유사물집증, 안과 수술 후 안구건조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수반 안구건조증, VDT (영상 단말기 (Visual Display Terminal)) 노동자의 눈물 감소 및 공기 조절장치로 인한 건조한 방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전신 증상이 없는 눈물 감소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유사 상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5100235-pat00002
.
상기 아우쿠빈은 1 mg/kg 내지 150 mg/k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구 건조증은 무루증, 각막건조증, 쇼그렌 증후군, 건조 각막결막염, 스티븐-존슨 증후군, 눈 유사물집증, 안과 수술 후 안구건조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수반 안구건조증, VDT (영상 단말기 (Visual Display Terminal)) 노동자의 눈물 감소 및 공기 조절장치로 인한 건조한 방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전신 증상이 없는 눈물 감소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유사 상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우쿠빈은 인간 각막 상피 세포에서 30 ㎍/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으며, 건조 스트레스에서 세포의 사멸을 감소시키고, 안구 건조증을 촉진하는 염증의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구 건조증을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눈물의 분비량을 증가시키고, 각막의 건조로 인한 손상을 회복시키며, 건조로 인한 세포의 사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아우쿠빈의 안구건조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아우쿠빈을 농도 의존적으로 처리한 후 24시간 후 세포 독성을 확인 및 아우쿠빈을 24시간 사전 처리 후 공기에 노출 시켜 건조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이의 세포 생존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아우쿠빈이 세포 사멸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로서, (A)는 24시간동안 아우쿠빈을 처리한 후 공기에 노출 시켜 건조 스트레스를 유도한 뒤, 세포를 고정 시킨 후 TUNEL 염색을 수행하여 총 세포 수에 대한 TUNEL 양성 세포의 비율을 비교하여 세포 자멸사 비율을 계산한 결과이고, (B)는 TUNEL 염색후 현미경으로 본 이미지 결과이다.
도 3은 아우쿠빈이 인간 각막 상피 세포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mRNA 수준으로 확인한 결과로서, (A)는 IL-1β, (B)는 IL-8, (C)는 TNF-α의 mRNA 수준을 PCR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안구 건조증 동물 모델에서 아우쿠빈이 눈물량 및 각막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로서, (A)는 눈물량을 측정한 결과이고, (B)는 각막 표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이고, (C)는 (B)의 결과를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5는 안구 건조증 동물 모델에서 안구 표면에서 세포 자멸사한 세포에서 아우쿠빈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A)는 TUNEL 염색한 이미지 결과이고, (B)는 (A)의 결과를 정량화한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안구 건조증(건성안: dry eye syndrome)은 단순히 눈물부족이 아닌, 눈물과 안구표면(각막 및 결막)의 염증에 의한 안구의 불편감, 시력저하, 눈물층의 불안정성을 유발하여 안구표면에 손상을 주어, 통증, 불규칙한 각막표면, 흐리고 변동폭이 커진 시력 및 각막궤양 등의 발병 위험성이 크다. 그러나 이러한 발병기전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염증세포의 침윤, 면역활성화 분자 및 접착분자발현 증가, Th1 및 Th17 반응, 세포사멸마커 및 케모카인의 비정상적인 변화 등 염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인공눈물 점안, 눈물점을 막아 배출되는 눈물의 양을 조절하는 치료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안구건조증은 우리나라 성인의 20% 내외로 발생하는 흔한 질병으로, 특히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특히 엘리뇨 현상으로 온도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안구건조증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특별한 치료제 또는 기능성 식품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구 건조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아우쿠빈이 안구 건조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아우쿠빈은 인간 각막 상피 세포에서 30 ㎍/mL까지 독성이 없으며, 공기 중에 25분간 노출하여 건조 스트레스를 유발한 실험에서 세포 생존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도 1). 상기 건조 스트레스에서 세포의 사멸을 TUNEL 염색을 통해서 확인한 결과, 아우쿠빈을 사전 처리하면 건조과정에서 죽어가는 세포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안구 건조증을 악화시키는 염증인자들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아우쿠빈을 처리한 결과 염증과 관련된 인자인 IL-1β, IL-8 및 TNF-α의 mRNA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안구 건조증 동물 모델에서 눈물량을 증가시키고 (도 4), 건조로 인한 각막의 손상을 감소시켜주며 (도 4), 건조 인한 세포의 사멸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5)가 있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 (aucub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5100235-pat00003
.
"아우쿠빈 (aucubin)"은 식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 중에 하나로, 요산배설을 촉진하여 통풍에 효과가 있고, 유리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국소, 경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 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 될 수 있다.
상기 아우쿠빈은 1 mg/kg 내지 150 mg/k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00 mg/k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mg/kg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시럽제, 에멀젼, 리포좀,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서방형 제제, 점안제(eye drop), 캡슐제, 콘택트렌즈 세정제 및 콘택트렌즈 윤활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안구 건조증은 무루증, 각막건조증, 쇼그렌 증후군, 건조 각막결막염, 스티븐-존슨 증후군, 눈 유사물집증, 안과 수술 후 안구건조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수반 안구건조증, VDT (영상 단말기 (Visual Display Terminal)) 노동자의 눈물 감소 및 공기 조절장치로 인한 건조한 방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전신 증상이 없는 눈물 감소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유사 상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정질 셀룰로오스,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한 양,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상기 추출물을 유효한 양,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추출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aucubin)를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5100235-pat00004
.
상기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인 경우,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 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유제,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등의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젤리,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의 임의의 건강식품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제제화를 위해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각종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중의 상기 아우쿠빈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로서 제조될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상기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음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단당류(예: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예: 말토즈, 수크로즈 등), 다당류(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음료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아우쿠빈은 1 mg/kg 내지 150 mg/k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00 mg/k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mg/kg일 수 있다.
상기 안구 건조증은 무루증, 각막건조증, 쇼그렌 증후군, 건조 각막결막염, 스티븐-존슨 증후군, 눈 유사물집증, 안과 수술 후 안구건조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수반 안구건조증, VDT (영상 단말기 (Visual Display Terminal)) 노동자의 눈물 감소 및 공기 조절장치로 인한 건조한 방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전신 증상이 없는 눈물 감소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유사 상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세포 독성 실험
각막 상피 세포 (PCS-700-010,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를 제조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의 지시에 따라 성장 보충제를 포함하는 각막 상피 세포 기본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의 독성 실험은 MTS 분석 키트((Promega Corporation)를 이용하였다. 세포 (1 x 104)을 96 웰 플레이트에 키운 후 아우쿠빈을 0.1 내지 30 ㎍/mL으로 처리하였다. 배양한지 24 시간 후에 세포 독성을 측정 하였다. MTS 분석의 결과는 490 nm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Tecan Group Ltd., Mannedorf, Switzerland)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우쿠빈을 30 ㎍/mL까지 세포 독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실시예 2. 건조 스트레스에서 세포의 생존력 및 세포 사멸 측정
건조된 세포의 생존력은 MTS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우쿠빈을 24시간 동안 사전 처리한 하였다. 그 후 배지를 제거하여 25분간 공기에 노출 시켜 건조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그 후에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생존을 실험한 결과, 아우쿠빈은 용량 의존적으로 건조 스트레스에서 세포 생존력을 증가시켰다 (도 1B). 건조 후 세포 사멸 세포를 검출하기 위해, 세포를 고압 멸균된 커버 슬립상에 키웠다. 아우쿠빈을 24시간동안 사전 배양한 후, 세포를 25분 도안 건조한 상태로 노출 시켰고 TUNEL 염색으로 세포 사멸을 검출하였다. 건조과정에서 죽어가는 세포가 증가하였고, 사멸하는 세포는 15 μg/mL 아우쿠빈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2A, B).
실시예 3. 실시간 PCR
안구 건조증은 염증에 의해 더욱 촉진된다. 아우쿠빈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PCR을 진행하였다. Trizol 시약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각막 상피 세포의 총 RNA를 추출하고, M-MLV 역전사 효소 (Bioneer, 대전, 한국)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PCR은 2x SYBR Green PCR Master Mix (SYBR Premix Ex Taq, TaKaRa, Tokyo, Japan)와 함께 iQ5 Continuous Fluorescence Detector System (Bio-Rad, CA, US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모든 절차는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수행되었다.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그 결과 IL-1β, IL-8 및 TNF-α의 mRNA 발현은 유의하게 건조 상태에서 증가하였고, 아우쿠빈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도 3A 내지 3C).
유전자 염기서열
IL-1b Forward 5-AGCTACGAATCTCCGACCAC-3
Reverse 5-CGTTATCCCATGTGTCGAAGAA-3
IL-8 Forward 5-ATGCTTTTGATCTGCACAGCTGCAC-3
Reverse 5-TGGTCCAGCAGGAATAACCCTCAG-3
TNF-α Forward 5-CAGCCTCTTCTCCTTCCTGA-3
Reverse 5-GGAAGACCCCTCCCAGATAGA-3
GAPDH Forward 5-ATGTTCGTCATGGGTGTGAA-3
Reverse 5-GGTGCTAAGCAGTTGGTGGT-3
실시예 4. 안구건조증 모델동물을 이용한 아우쿠빈의 in vivo 기능성 평가
4.1 실험 동물 및 디자인
6주령 SD 랫트를 (주)오리엔트로부터 구입후 1주일 동안 순화하였다. 1주일 뒤 깊은 마취하에 눈물샘(exorbital lacrimal gland)을 수술로 제거하여 안구건조증을 유발하였다. 1주일 뒤, 페놀-레드 스레드(phenol-red thread) 눈물량 검사지(FCI Opthalmics Zone Quick, Japan)를 눈꺼풀 외측 끝 부위 안구표면에 접촉시킨 후 30초 후 눈물에 의해 검사지의 색이 변한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들 중 비수술군에 비해 현저하게 눈물 분비량이 감소된 개체들만 선별하여 약효시험을 진행하였다. 군 분리 후 약물은 1일 1회씩 각군 (아우쿠빈 75mg/kg)에 맞게 조제하여 5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실험동물을 이용한 모든 실험과정은 전북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고, 규정에 따라 실행하였다.
4.2 눈물량 및 각막 건조손상 분석
눈물 분비량은 페놀-레드 스레드 눈물량 검사지(FCI Opthalmics Zone Quick, Japan)를 눈꺼풀 외측 끝 부위 안구표면에 접촉시킨 후, 30초 후 눈물에 의해 검사지의 색이 변한 길이를 측정하여 눈물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안구 건조 모델은 정상군에 비해 낮은 눈물량을 보였으나 아우쿠빈 처리로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도 4). 각막의 건조 손상은 원형 일루미네이터(ring type light illuminator)를 각막에 비춰 반사되는 형태를 촬영한 후 원형 조명의 각막 건조 손상에 의해 찌그러지는 정도를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안구 건조 모델은 불규칙한 원 모양의 빛을 보였으나 아우쿠빈을 처리한 군에서는 개선되었다 (도 4B). 또한 각막 얼룩의 점수는 안구 건조증 군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아우쿠빈 처리군은 점수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4C).
4.3 TUNEL 염색
조직상의 세포 자멸 세포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말단 디옥시리보 뉴클레오타이드 전달 효소 (TdT)-중재 된 dUTP nick end labelling (TUNEL) 염색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안구 건조 모델에서는 세포 사멸 세포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에 아우쿠빈 처리군에서는 감소되었다 (도 5A 및 5B).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aucub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05100235-pat00005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국소, 경피, 경구 또는 비경구투여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쿠빈은 1 mg/kg 내지 150 mg/kg의 농도로 포함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시럽제, 에멀젼, 리포좀,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서방형 제제, 점안제(eye drop), 캡슐제, 콘택트렌즈 세정제 및 콘택트렌즈 윤활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건조증은 무루증, 각막건조증, 쇼그렌 증후군, 건조 각막결막염, 스티븐-존슨 증후군, 눈 유사물집증, 안과 수술 후 안구건조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수반 안구건조증, VDT (영상 단말기 (Visual Display Terminal)) 노동자의 눈물 감소 및 공기 조절장치로 인한 건조한 방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전신 증상이 없는 눈물 감소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유사 상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aucubin)를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05100235-pat00006
    .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쿠빈은 1 mg/kg 내지 150 mg/kg의 농도로 포함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건조증은 무루증, 각막건조증, 쇼그렌 증후군, 건조 각막결막염, 스티븐-존슨 증후군, 눈 유사물집증, 안과 수술 후 안구건조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수반 안구건조증, VDT (영상 단말기 (Visual Display Terminal)) 노동자의 눈물 감소 및 공기 조절장치로 인한 건조한 방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전신 증상이 없는 눈물 감소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유사 상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
KR1020190005417A 2019-01-15 2019-01-15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8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417A KR101978624B1 (ko) 2019-01-15 2019-01-15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20/000725 WO2020149636A1 (ko) 2019-01-15 2020-01-15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417A KR101978624B1 (ko) 2019-01-15 2019-01-15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624B1 true KR101978624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417A KR101978624B1 (ko) 2019-01-15 2019-01-15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8624B1 (ko)
WO (1) WO20201496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636A1 (ko) * 2019-01-15 2020-07-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72497B1 (ko) * 2019-12-27 2020-10-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9984C1 (ru) * 2020-09-08 2021-06-21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Московский областно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кли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М.Ф. Владимирского" (ГБУЗ МО МОНИКИ им. М.Ф. Владимирского)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индрома сухого глаза у больных сахарным диабето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2120A (ja) * 1998-08-06 2002-07-23 エヌディ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タクトレンズ溶液及び眼科用液剤
KR101849301B1 (ko) * 2018-01-29 2018-04-16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104B1 (ko) * 2005-11-28 2008-11-26 주식회사 머젠스 안구건조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08095B1 (ko) * 2014-04-23 2015-04-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큐빈을 포함하는 신경줄기세포 또는 신경전구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1978624B1 (ko) * 2019-01-15 2019-05-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2120A (ja) * 1998-08-06 2002-07-23 エヌディ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タクトレンズ溶液及び眼科用液剤
KR101849301B1 (ko) * 2018-01-29 2018-04-16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Anal.(Warsaw), 42, 221, 1997. *
Pkanta Medica, 70(8), 778-779, 200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636A1 (ko) * 2019-01-15 2020-07-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72497B1 (ko) * 2019-12-27 2020-10-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32950A1 (ko) * 2019-12-27 2021-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636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566B2 (en) Method of improving lacrimal secretion for dry eye treatment using maqui berry extract
US8722126B2 (en) Compositions for foo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functional foods and drinks containing the same
KR101978624B1 (ko)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I787268B (zh) 預防近視用組成物及機能性食品
CN111655274B (zh) 包含桃叶珊瑚提取物的眼球干燥症预防及治疗用组合物
EP2135616B1 (de) Getrocknete Vacciniumfrüchte zur Beeinflussung von Zuständen des Darmes
JPH1095732A (ja) グリセロリン酸脱水素酵素阻害剤
JP7066950B2 (ja) 植物由来の有効成分に基づく、眼保護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102056926B1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안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031426A (ja) 眼精疲労改善剤
JP2009107945A (ja) 視神経障害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KR20190006925A (ko) 신규한 디하이드로-2'H,3H-스피로[퓨란-2,3'-퓨로[3,2-b]퓨란]-2',5(3a'H,4H,5'H)-디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73451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868443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isochrysis lutea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WO2024090941A1 (ko) 알로에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안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0779A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1939B1 (ko) 테트라셀미스 츄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442038B1 (ko) 나노클로롭시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63873B1 (ko) 폴리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안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44024B2 (ja) ニコチン摂取の影響による血管壁のコラーゲン分解防止剤
KR20240000260A (ko) 사삼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안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9987A (ko) 안구건조증 또는 안구건조증 연관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28554A (ko) 멜리사엽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규 약학적 조성물
CN117243307A (zh) 一种具有护眼明目功效的组合物及其在制备食品或药品领域中的应用
KR20230096887A (ko) 일엽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