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104B1 - 안구건조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구건조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104B1
KR100870104B1 KR1020060113733A KR20060113733A KR100870104B1 KR 100870104 B1 KR100870104 B1 KR 100870104B1 KR 1020060113733 A KR1020060113733 A KR 1020060113733A KR 20060113733 A KR20060113733 A KR 20060113733A KR 100870104 B1 KR100870104 B1 KR 10087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dine
composition
dry eye
treatment
eye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952A (ko
Inventor
박명규
권민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머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머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머젠스
Publication of KR2007005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61K31/707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having two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uridine, uridylic acid, thymidine, zidovu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및 사람의 세포와 체내에서 히아루론산 합성을 촉진하는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것의 약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바, 이러한 조성물 및 약학적 제제를 사용하여 안구건조증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구건조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mposition Having Effect 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ry eye syndrome}
도 1은 우리딘에 의한 각막실질세포에서 히아루론산의 합성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우리딘에 의한 각막실질세포에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합성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우리딘에 의한 각막실질세포에서 산회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우리딘에 의한 각막실질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우리딘에 의한 눈의 상피세포에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합성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우리딘에 의한 눈의 상피세포에서 산회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킨 토끼에 우리딘 점안액 처리에 의해 안구건조증의 개선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우리딘의 경구 투여에 따른 눈물분비 검사(Schirmer test)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우리딘의 경구 투여에 따른 각막염색(cornea staining)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안구건조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물이 부족하거나 그 성분에 변동이 생겨 눈물층(Tear film)에 이상이 생기면 여러 가지 불편한 증상을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를 통칭하여 안구건조증이라 한다. 1994년 미국 국립 안연구소(National eye institute/industry workshop on clinical trials in dry eyes)에서는 '눈물의 부족 및 눈물막의 과도한 증발로 노출된 눈꺼풀 틈새의 안구 표면의 손상으로 눈의 불쾌감 및 자극증상을 일으키는 각막표면질환(ocular surface disease)'으로 정의하고 있다. 최근에는 눈물막의 조성의 변화에 의한 질환, 라식수술 후에 일어나는 안구건조증과 같은 신경인성(neurogenic) 요소로 인한 새로운 형태의 안구건조증들이 발생하여 그 정의가 더욱 확대해석 되고 있다(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140. 507, 2005).
이러한 안구건조증은 안과를 방문하는 전체 환자의 50% 이상에서 발견되고 있고, 노령 인구, 특히, 갱년기를 지난 여성들의 70 내지 80% 이상이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눈의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과거에는 안구건조증의 발생 원인이 눈물샘에서의 눈물 생성 저하로 인한 수성층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최근에는 외부자극으로 인한 염증반응 또는 내인성 염증반응이 1차 요인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각막상피세포의 장애 및 각막상피세포 및 각막실질세포 간의 상호작용의 저하로 발생하는 만성적 안구 표면손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안구건조증은 노화, 호르몬 변화, 환경적인 요인(바람, 열, 먼지, 담배연기, 헤어드라이어), 눈 깜박거림 빈도의 감소(VDT 증후군), 콘택트렌즈착용, 라식수술, 약물복용에 의한 원인, 자가면역질환(루푸스, 류마티스관절염 그리고 Sjogren's 증후군)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137, 337-342, 2004).
이러한 안구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해 인공눈물, 연고 등을 사용하여 윤활작용을 개선하고 안구표면에 수분을 공급하고 있으나, 인공눈물 등은 직접적인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항염증 치료가 병행되고 있는 바, 이러한 항염증 치료제는 예를 들어, i) 인공누액과 같은 점안제로서 눈물 보충제, ii) 세포막 단백질은 사이클로필린(cyclophillin)과 결합하여 T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점안액인 레스타시스TM(Restasis), iii) 눈물양 증가 및 뮤신분비를 촉진시켜 안구 건조증을 치료하는 약물로서 P2Y2수용체 촉진제인 Diquafosol 점안액, iv) 눈물안정성(tear stability)을 높여 중증의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자가유래 혈청(autologous serum) 점안액, v) 스테로이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대부분 근본적인 치유방법이 아닌 보전적 치유방법으로서, 각막상피세포 및 각막실질세포의 상호작용이 저하되면서 발생하는 만성적 안구 표면의 손상, 및 복잡 다양한 기전과 환경적인 요소까지 원인으로 관여되어 있는 안구건조증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계속적인 점안제의 남용으로 인한 의료비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더욱이, 상기 스테로이드는 안압을 상승시키고, 만성질환에서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백내장, 녹내장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부작용 없이 염증을 감소시키면서 손상된 세포의 회복을 도와 안구건조증을 근본적으로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는 대체 약물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히아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안구건조증을 근본적으로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생체 고분자의 일종으로서, 분자량이 5만 내지 1,300만 달톤(Dalton)에 이르는 무색 투명한 고점도의 선형 다당류이며, 반복 단위인 클루쿠론산과 N-아세틸 글루코즈아민이 번갈아 결합되어 있다. 히아루론산의 물리적 특성의 하나인 점탄성(viscoelasticity)은 눈과 관절의 충격흡수(cushion effect)를 통한 윤활작용(lubrication effect)으로 세포의 보호 기능이 있고, 창상치유반응에도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초기 염증반응시 세포침윤 및 사이토카인(Cytokine)분비를 증가시켜 창상치유반응을 촉진시키고, 자유 라디칼을 감소시킴으로써 항산화작용에 관여하여 염증반응을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히아루론산은 신생혈관촉진과 세포증식을 촉진하여 조직재생을 돕고, 불필요한 콜라겐 침착을 줄여 상처자국(scarring)이 적은 창상 리모델링(remodeling)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막상피재생, 피부상피재생에도 효과가 있다. 따라서, 최근 히아루론산을 다양한 치료제로서 이용하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관절염치료제, 안구건조증 치료제, 주름살제거용 성형보조제, 수술 후 유착방지제, 화장용 보습제, 인공피부, 창상치유, 흉터제거제, 백내장수술보조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 히아루론산을 함유한 점안액으로서 눈물의 증발을 감소시키며 윤활작용 및 세포재생작용을 통하여 효과를 발휘하는 제품이 있었다. 그러나, 사람 피부의 상피 및 진피층에서 관찰한 히아루론산은 반감기가 대략 1일로서 매우 짧고, 히아루론산의 작용은 분자량의 차이에 따라 매우 달라지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외인성 히아루론산의 주입만으로는 생체 내 필요한 히아루론산의 양을 충족시키는데 제한적이고, 그 작용에 대해서도 회의적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약학적 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놀랍게도 인체에 무해하고 다양한 약리 작용을 하는 히아루론산의 합성이 촉진됨으로써 안구건조증을 근본적으로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구건조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은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바,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가 인체 내에서 세포 혹은 조직이 히아루론산을 생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내인성 히아루론산의 합성을 지속적으로 촉진함으로써, 강한 보습성분으로 작용하는 히아루론산이 안구에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한다. 더욱이,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는 히아루론산 외에도 다양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산화질소(NO)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라 함은 히아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해파린, 케라틴 등과 같은 점액성 다당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윤활 작용, 상처치유 효과 및 보습 작용에 유효하게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안구건조증을 포함한 점액성 다당의 부족으로 인하여 기인하는 다양한 질환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안구 건조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산화질소는 세포 및 조직에서 염증관련 인자로서, 염증이 발생되는 부위에는 INOS라고 하는 염증관련 단백질의 발현이 높아지는데 결과적으로 산화질소의 생성이 증가되어 염증이 악화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산화질소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 염증을 효과적으로 치유하는 방법 중에 하나로 인식된다. 따라서, 안구건조증 또한 일종의 상처유발에 의한 염증이 생성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는 산화질소의 생성을 줄이거나 효과적으로 소거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안구건조증의 염증 치료에 뛰어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안구건조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고, 염증을 중재하며, 손상된 각막상피세포-실질세포의 축을 회복하여 상피세포장해를 치료할 수 있으므로 2차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각막상피장해를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 외인성 히아루론산을 직접 주입하는 경우 국부적인 효과밖에 나타낼 수 없어 제한된 효능을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투여 등 다양한 투여 경로를 갖고 있어 빠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안전한 치료가 가능하다.
상기 우리딘은 RNA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4개의 리보뉴클레오사이드 중 하나로서,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분자량은 대략 244.20 m이며, 분자식은 C9H12N2O6 이다. 우리딘에 대해 지금까지 밝혀진 약리작용으로는, 예를 들어, 우리딘이 체내에 투여되는 경우 우리딘키나제 효소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우리딘 5'-포스페이트(Uridine 5'-Phospate)로 전환됨으로써, 효소의 결핍이나 피리미딘 뉴클레오타이드(Pyrimidine Nucleotide)의 결핍과 핵산합성의 결핍에 유용하므로 오르틱산뇨증을 경감시키는 약제(MATINDALE, 1989, 1627)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밖에, 콜라겐 관절염치료제(녹십자사; 한국 등록특허 제1994-0008033호 참조)로서 사용하거나, 다른 약효물질과 복합제제로 제조되어 혈관성 뇌질환, 간장보호, 말초신경증, 조직저산소증의 치료 등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와 같이 히아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안구건조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개시 내지 암시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이 히아루론산의 합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산화질소(NO)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안구건조증을 획기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새로이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사실은 이후 실험예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이 안구 각막실질세포 및 상피세포에서 히아루론산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 촉진 및 산화질소(NO)의 생성 억제에 대해 미치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상피세포가 복원되면서 안구건조증을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은 점안액으로서 뿐 아니라 경구용에서도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동시에 히아루론산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 촉진 및 산화질소(NO)의 생성 억제 정도가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의 농도에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은 상피 세포의 복원을 통하여 안구건조증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므로, 안구건조증과 관련된 각종 질병에 대한 다양한 약제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은 상기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필요에 따라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상기 우리딘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우라실, 우리딘모노포스페이트, 우리딘디포스페이트, 트리아세틸 우리딘(triacetyl uridine), 트리벤조일 우리딘(tribenzoyl uridine), 5-에틸 우리딘(5-ethyl uridine), 2-디옥시우리딘(2-deoxyuridine), 이소프로필리덴 우리딘(isopropylidene urid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 즉,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의 함량은 히아루론산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상기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 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 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 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게는 유효 약물이 1 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 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 배에 해당한다.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의 유효용량은 농도 의존적이나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1 g/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00 ㎎/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화장학적 또는 식품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는 바, 음료 또는 음료 첨가제 및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 형태의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 및 기능성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을 첨가함으로써 일반 식품의 기능을 향상시킨 식품이며,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을 일반식품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고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였기 때문에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하거나, 그 외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을 혼합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바람직하게는 원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 2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하는 경우는 측정된 독성 범위내의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을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분유, 선식, 생식, 유산균 발효유,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 들을 함유하는 건강 식품으로는 우리딘 또는 우리딘 유도체들을 주성분으로 만든 즙, 차, 젤리, 쥬스 등의 건강식품 및 기호품을 들 수 있으며, 부종, 신장염, 요도염 등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요법제 등을 들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또한,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과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제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생물체내로 활성 성분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부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상기 담체는 제형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종류에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분, 젖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콘스타치, 및 무기염 등의 고형 담체; 증류수, 생리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에탄올 등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액체담체; 및 각종 동식물유, 백색바셀린, 파라핀 및 왁스 등의 유성담체;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락토스, 수크로즈,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 은 필러 옥수수 녹말, 밀 녹말, 쌀 녹말, 감자 녹말, 겔라틴, 검 트래거켄스, 메틸 셀룰로우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와 같은 셀룰루오즈계 물질 등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제제화는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 가능한 경구, 외용, 경피, 경점막 제제의 형태로서, 분말제, 과립제, 액제, 환제, 트로키(troche), 현탁제, 유제, 시럽제 정제, 산제, 경질 또는 연질의 캅셀제, 현탁제, 주사용 제제, 유화액, 비경구 투여용의 단위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제제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구용 제제 또는 점안제(eye drop)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구용 제제는 점안제로서 사용되는 것과 거의 대등한 정도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사실은 이하 설명하는 실험예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눈의 각막실질세포 및 각막상피세포 분리
안구 각막조직의 혈관 등을 제거하여 조직을 정리하고, 5%의 Antibiotics-PBS로 세척한 뒤, 정리된 조직을 3 ㎖의 1X Trypsin(0.05%)/EDTA(0.01%) 에 넣어 37℃에서 80 분 동안 진동 배양(shaking incubation)시켰다. 현탁액(Suspension)을 모은 뒤 SHEM media(10% FBS in DMEM/F12(1:1) + 0.5% PS + 4 mM L-글루타민(L-glutamine) + 10 ng/㎖ EGF + 5 ㎍/㎖ 인슐린 + 30 ng/㎖ 콜레라톡 신(choleratoxin) + 0.18 mM 아데닌(adenine) + 2 nM 3,3',5-트리요오드-L-타이로닌 나트륨염(Triiodo-L-thyromine Sodium salt) + 0.4 ㎍/㎖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로 세척한 후, 1,200 rpm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이 때, 분리된 세포는 상피조직(epithelium)으로 사용하고 남은 조직에 1.2 U/㎖ Dispase II를 가하고 37℃에서 2 시간 동안 배양(incubation)시켰다. 그런 다음, 1.2 U/㎖ Dispase II를 제거한 뒤, 200 U/㎖ type I 콜라게나제(collagenase) 5 ㎖를 처리하여, 37℃에서 진동 배양시켰다. 현탁액을 모아 culture media(10% FBS in DMEM/F12(1:1) + 1% PS)로 세척 후 1,200 rpm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 시켜 dish에 plating하였다.
[실시예 2] 각막실질세포에서 우리딘이 히아루론산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각막실질세포(keratocyte cell)에 우리딘(0 μM~10 μM)을 처리하여 48 시간 동안 자극한 후, 세포 배양액 100 ㎕를 취하여 b-HABP(biotin-hyaluonic acid binding protein, 50 ng/㎖) 100 ㎕과 상온에서 1 시간 반응시켰다.
실험 전날, HA 20 ㎍/㎖, 20 mM Na2CO3 용액을 96-well plate에 넣고 24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고, standard assay buffer(SAB)로 3회 세척한 후, 1% BSA를 96-well plate에 넣고 상온에서 90 분간 반응시킨 뒤 SAB로 3 회 세척하여 HA 코팅된 플레이트(plate)를 준비하였다.
상기 코팅된 플레이트에 준비된 세포배양액을 넣은 후 상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키면서 반응하였다. 그런 다음, SAB로 3 회 세척하고, Extra-avidin alkaline phosphatase(1:80000)를 넣고 상온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 SAB로 3 회 세척하였다. 100 mM의 NaCl과 5 mM의 MgCl 용액에 녹인 1 ㎎/㎖ 디소듐 P-니트로페닐(disodium p-nitrophenyl) 용액을 첨가하여 20 내지 60 분간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3N NaOH를 첨가하고 반응을 중지시킨 후 40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딘을 처리한 안구 각막실질세포는 5 μM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히아루론산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각막실질세포에서 우리딘이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각막실질세포(keratocyte cell)에 우리딘(0 μM~50 μM)을 처리하여 48 시간 동안 자극한 후, 세포 배양액을 취하여 Biocolor assay kit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딘을 처리한 안구각막실질세포가 1 μM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각막실질세포에서 우리딘의 산화질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각막실질세포(keratocyte cell)를 H2O2 100 μM로 자극하고, 우리딘(0 μM~100 μM)으로 48 시간 동안 자극한 다음, 세포 부유물에 Griess reagent(4 ㎍/㎖) 100 ㎕를 넣고 상온에서 15 분간 교반시키면서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산화질소(NO)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 딘을 처리한 안구각막실질세포가 50 μM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우리딘이 각막실질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각막실질세포(keratocyte cell)를 96-well plate에 배양한 후 우리딘(0 μM~10 μM)으로 48 시간 동안 자극한 후, Cell counting kit-8(CCK-8)을 사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딘을 처리한 안구각막실질세포에서 0.1 μM 이상에서부터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상피세포에서 우리딘이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눈의 상피세포(epithelial)에 우리딘(0 μM~50 μM)을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자극한 후, 세포 배양액을 취하여 Biocolor assay kit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딘을 처리한 상피세포가 농도 의존적으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 상피세포에서 우리딘의 산화질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
눈의 상피세포(epithelial)를 H2O2 100 μM로 자극하고, 우리딘(0 μM~100 μM)으로 48 시간 동안 자극한 후, 세포 부유물에 Griess reagent(4 ㎍/㎖) 100 ㎕ 를 넣고 상온에서 15 분간 교반시키면서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산화질소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딘을 처리한 눈의 상피세포가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질소(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 동물생체실험(in vivo)
토끼의 눈물샘(lacrimal gland)에 concanavalin A를 주입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방법으로 안구건조증을 유발하였다(Journal of ocular pharmacology & therapeutics 21(2), 139-148, 2005). 인산 용액으로 완충된 생리 식염수에 우리딘이 각각 5%, 10%가 되도록 용해한 후 점안액으로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시판중인 0.1% 히아루론산 제제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인산 용액으로 완충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안구건조증이 유발된 토끼의 눈에 각각 1%, 5%의 우리딘 제제, 히아루론산 제제 및 인산 용액으로 완충된 생리 식염수를 각각 점안하여 세포의 impression cytology를 측정하여 안구건조증의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 에 나타내었다.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딘을 사용한 점안액의 경우 양성대조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의 impression cytology에서 상피세포가 유의성 있게 복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임상실험
건성안 이외에 다른 눈의 질병은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기존의 약제를 최소 2 개월 이상 투여하여도 증상의 호전이 없고, 눈물분비 검사(Schirmer test) 결과 눈물의 분비량이 5 mm 이하이면서, 코눈물관 폐쇄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건성안 환자를 대상으로 피험자 동의서를 득한 후에 우리딘(100 ㎎/day)을 포함한 경구 제제와 우리딘이 포함되지 않은 placebo 경구제제를 사용하여, 이중 맹건법에 의하여 하루 3 회 3 개월간 경구 투여 하여, 치료 시작 시점과 치료시작 후 2 주 및 1 달, 2 달, 3 달 후에 세극 등 현미경 검사소견, 안압 측정, 검안경 검사, 눈물분비 검사, impression cytology 및 전안부 사진을 통하여 각막상태의 변화 및 부작용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환자의 주관적 설문지를 만들어 주관적 증상의 변화 및 부작용 여부를 관찰하였다.
도 8은 눈물분비 검사(Schirmer test)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각막염색(cornea staining)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우리딘을 투여한 군에서 눈물분비검사, 각막염색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우리딘이 점안액 뿐만 아니라 경구용에서도 안구건조증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약학적 제제를 사용하여, 사람의 세포와 체내에서 히아루론산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안구건조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Claims (12)

  1. 우리딘, 트라이아세틸 우리딘(triacetyl uridine), 트라이벤조일 우리딘(tribenzoyl uridine), 5-에틸 우리딘(5-ethyl uridine), 2-디옥시우리딘(2-deoxyuridine), 및 이소프로필리덴 우리딘(isopropylidene urid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활성 성분으로서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과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전분, 젖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콘스타치, 및 무기염 등의 고형 담체; 증류수, 생리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에탄올 등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액체담체; 및 각종 동식물유, 백색바셀린, 파라핀 및 왁스 등의 유성담체;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의 함량이 0.1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분말제, 과립제, 액제, 환제, 트로키(troche), 현탁제, 유제, 시럽제 정제, 산제, 경질 또는 연질의 캅셀제, 현탁제, 주사용 제제, 유화액, 비경구 투여용의 단위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경구용 제제 또는 점안제(eye dro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식용음료, 또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도록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
KR1020060113733A 2005-11-28 2006-11-17 안구건조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870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3942 2005-11-28
KR1020050113942 2005-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952A KR20070055952A (ko) 2007-05-31
KR100870104B1 true KR100870104B1 (ko) 2008-11-26

Family

ID=3806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733A KR100870104B1 (ko) 2005-11-28 2006-11-17 안구건조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80311186A1 (ko)
EP (1) EP1954295B1 (ko)
JP (1) JP2009517380A (ko)
KR (1) KR100870104B1 (ko)
CN (1) CN101316600B (ko)
CA (1) CA2631408C (ko)
WO (1) WO2007061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7202B2 (ja) * 2008-07-02 2012-05-23 キユーピー株式会社 酸性透明ゲル状食品
JP4937227B2 (ja) * 2008-10-08 2012-05-23 キユーピー株式会社 酸性透明ゲル状食品
RS59483B1 (sr) * 2009-10-30 2019-12-31 Intratus Inc Postupci i kompozicije za neprekidno oslobađanje lekova
RU2463022C1 (ru) * 2011-04-19 2012-10-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высокотехнологич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с синдромом "сухого глаза"
MY169816A (en) * 2012-03-26 2019-05-16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Ophthalmic solution comprising diquafosol
JP6332902B2 (ja) * 2012-10-29 2018-05-30 株式会社ピカソ美化学研究所 美容用組成物
BR112017021374A2 (pt) * 2015-04-09 2018-07-03 Laboratori Baldacci S.P.A. ácido pirrolidona carboxílico (pca) para uso oftálmico
TWI558405B (zh) * 2015-04-22 2016-11-21 Grape King Bio Ltd Cicada active material,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use thereof
CN106265768B (zh) * 2015-06-04 2019-12-31 葡萄王生技股份有限公司 蝉花活性物质、其制备方法、包含其的医药组合物及其用途
SG11202000615VA (en) 2017-07-24 2020-02-27 Otsuka Pharma Co Ltd Topical composition
KR101849301B1 (ko) * 2018-01-29 2018-04-16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G11202007977RA (en) * 2018-02-28 2020-09-29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diquafosol and cationic polymer
KR20190118251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종근당 건성안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10966948B2 (en) 2019-07-23 2021-04-06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WO2020021477A2 (en) 2018-07-27 2020-01-3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KR101978624B1 (ko) * 2019-01-15 2019-05-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969454B2 (en) 2019-11-19 2024-04-30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CN115671256B (zh) * 2021-07-30 2024-04-09 四川大学华西医院 环孢素a与地夸磷索钠联合使用在制备治疗干眼症的药物中的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4593A1 (en) * 1997-02-06 1998-08-13 Inspire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dry eye disease with purinergic receptor agonists
WO2000050024A2 (en) * 1999-02-26 2000-08-31 Inspire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promoting mucosal hydration with certain uridine, adenine and cytidine diphosphates and analogs thereof
KR20010013797A (ko) * 1997-07-25 2001-02-26 인스파이어 파마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염 및 그의 제조방법과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2844A (en) * 1968-12-16 1975-07-01 Hoffmann La Roche Method of protecting the skin from ultraviolet radiation
US3852433A (en) * 1973-04-06 1974-12-03 Yamasa Shoyu Kk Uridine-5-monophosphate compositions
JPH05310573A (ja) * 1992-05-01 1993-11-22 Dotsuto:Kk リウマチ治療薬
US6921755B2 (en) * 1998-02-06 2005-07-26 Inspire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dry eye disease with purinergic receptor agonists
JPH1135468A (ja) * 1997-07-17 1999-02-09 Meiji Milk Prod Co Ltd 核酸とその成分を用いたi型アレルギー 抑制食品及び抑制剤
TW593331B (en) * 1997-07-25 2004-06-21 Inspire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large-scale production of di(uridine 5')-tetraphosphate and salts thereof
JP4010390B2 (ja) * 1999-09-20 2007-11-21 明治乳業株式会社 免疫賦活化組成物
JP4003008B2 (ja) * 2000-05-30 2007-11-07 参天製薬株式会社 角膜上皮伸展促進剤
US7115585B2 (en) * 2000-08-21 2006-10-03 Inspire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for treating epithelial and retinal tissue diseases
CN1228053C (zh) * 2001-09-11 2005-11-23 参天制药株式会社 含有二尿苷磷酸的滴眼液
ES2614405T3 (es) * 2002-04-09 2017-05-31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ción para proliferación celular
JP2007508315A (ja) * 2003-10-08 2007-04-05 ザ マクレーン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ーション ω−3脂肪酸を含む組み合わせを用いて、精神障害、物質乱用障害、および他の障害を治療する方法
KR100977475B1 (ko) * 2004-05-21 2010-08-23 주식회사 머젠스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생합성을 촉진하는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4593A1 (en) * 1997-02-06 1998-08-13 Inspire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dry eye disease with purinergic receptor agonists
KR20000070848A (ko) * 1997-02-06 2000-11-25 인스파이어 파마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퓨린 수용체 작용물질을 이용한 안구건조증의 치료방법
KR20010013797A (ko) * 1997-07-25 2001-02-26 인스파이어 파마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염 및 그의 제조방법과용도
WO2000050024A2 (en) * 1999-02-26 2000-08-31 Inspire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promoting mucosal hydration with certain uridine, adenine and cytidine diphosphates and analog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1408A1 (en) 2007-05-31
US20080311186A1 (en) 2008-12-18
US20100272791A1 (en) 2010-10-28
JP2009517380A (ja) 2009-04-30
CA2631408C (en) 2014-09-23
KR20070055952A (ko) 2007-05-31
WO2007061200A1 (en) 2007-05-31
EP1954295B1 (en) 2014-08-06
CN101316600A (zh) 2008-12-03
EP1954295A4 (en) 2013-08-07
EP1954295A1 (en) 2008-08-13
CN101316600B (zh)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104B1 (ko) 안구건조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54616B1 (ko) 캄페롤 및 퀘르세틴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조성물
JP2016088939A (ja) タンポポ抽出物を含むヒアルロン酸の生成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とその利用
KR101073854B1 (ko)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
KR20180102431A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0967028B2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Artemisia umbelliformis extract
JP6086373B2 (ja) 難消化性オリゴ糖類の使用
US10251862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ydroxy pyra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JP6259207B2 (ja) 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
KR20110031947A (ko) 오로틱산, 그의 염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히아루론산 또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0977475B1 (ko)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생합성을 촉진하는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
KR101941183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7382032B2 (ja) ヘビ毒を含む関節リウマチ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160054673A (ko)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JP6522286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1603999B1 (ko) 로도덴드린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TWI576117B (zh) 玻尿酸產生促進劑
JP2011126814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並びにコラーゲン産生促進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MX2008006812A (en) Composition having effect 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ry eye syndrome
KR20080069732A (ko) 히아루론산 및/또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합성을촉진하는 오로틱산 및 오로틱산 유도체
KR20220137542A (ko) 로베글리타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안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2582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70136801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20068509A (ko) 테트라셀미스 츄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682439B1 (ko) Bigh3 단백질을 포함하는 점액 분비 증가용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