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766B1 - 안면근 단련구 - Google Patents

안면근 단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766B1
KR101974766B1 KR1020177026106A KR20177026106A KR101974766B1 KR 101974766 B1 KR101974766 B1 KR 101974766B1 KR 1020177026106 A KR1020177026106 A KR 1020177026106A KR 20177026106 A KR20177026106 A KR 20177026106A KR 101974766 B1 KR101974766 B1 KR 10197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arm
elastic plate
facial musc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593A (ko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7010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9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plastic deformable materials, e.g. lead bars or kneadable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6Bars; Tubes; Leaf springs
    • A63B21/027Apparatus forced to oscillate at its resonant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96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pulsed counterforce, e.g. vibrating resistanc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좌우의 암(31)의 단부에 웨이트부(25)가 마련된다. 양 암(31)의 사이에는 입술에 의해서 물려지는 물림 지지부(24)가 마련된다. 이 물림 지지부(24)가 6.50헤르츠 미만의 진동수로 상하 방향으로 흔들린 경우에 상기 암(31)이 공진된다. 따라서, 웨이트부(25)의 하중을 물림 지지부(24)에 대한 부하로서 작용시켜, 안면근에 대한 단련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안면근 단련구{IMPLEMENT FOR TRAINING FACIAL MUSCLE}
본 발명은, 인체의 안면에서의 구륜근(口輪筋) 등의 안면근(顔面筋)을 단련하는 것에 이용되는 안면근 단련구(鍛鍊具)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안면근 단련구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 구성에서는, 띠 모양의 탄성판의 중앙부의 표리 양면에, 입술에 의해서 물려지는 물림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판의 양단부에는, 각각 웨이트(weight)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안면근 단련구의 물림 지지부를 입술에 의해 문 상태에서, 전체를 상하로 흔든다. 이와 같이 하면, 양 웨이트부의 중량에 기초하는 탄성판의 반발력이 물림 지지부에 전달되어, 안면근이 단련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의장등록 제1223289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에는, 안면근 단련구의 전체의 형상은 개시되어 있지만, 안면근을 적절히 단련하기 위해서 안면근 단련구가 구비해야 할 속성(屬性)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종래의 안면근 단련구에서는, 유효한 단련 기능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유효한 단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안면근 단련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안면근(顔面筋) 단련구(鍛鍊具)는, 탄성 변형부와, 그 탄성 변형부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며, 입술에 의해서 물려지는 물림 지지부를 구비한 안면근 단련구에 있어서, 상기 물림 지지부가 6.50헤르츠 미만의 진동수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한 경우에 상기 탄성 변형부가 공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는, 탄성 변형부가 공진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부하가 입술에 적절히 전해져, 안면근이 단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한 단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물림 지지부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안면근 단련구.
도 3은 안면근 단련구의 평면도.
도 4는 안면근 단련구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5-5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부시 부분의 성형형(成形型) 내에서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탄성판의 평면도.
도 8은 부시를 장착한 상태의 탄성판의 평면도.
도 9는 도 4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마우스피스의 사시도.
도 11은 코어와 마우스피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12는 마우스피스를 도 11과는 90도 다른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13-13선 단면도.
도 14는 웨이트부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15는 물림 지지부 커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물림 지지부 커버의 단면도.
도 17은 물림 지지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안면근 단련구의 휨 변형을 나타내다 선도(線圖).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의 (a)는 시료의 탄성판의 평면도, (b)는 시료에 대한 부하 시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는 안면근 단련구를 두께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23은 웨이트편(片)의 평면도.
도 24는 장식 클립의 사시도.
도 25는 장식 클립의 측면도.
도 26은 장식 클립 및 웨이트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7의 (a) 및 (b)는 각각 구각(口角, 입아귀) 거상(擧上, 들어 올림) 검증 조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8은 구각 거상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9의 (a) 및 (b)는 각각 협부(頰部) 거상 검증 조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0은 협부 거상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1의 (a) 및 (b)는 각각 페이스라인(faceline) 조임 검증 조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2는 페이스라인 조임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안면근(顔面筋) 단련구(鍛鍊具)(21)는, 사용자의 입술에 물려져, 사용자가 안면근 단련구(21)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구륜근(口輪筋) 및 그 구륜근과 연결되는 협근(頰筋), 소근(笑筋), 대협골근(大頰骨筋), 소협골근(小頰骨筋) 등의 안면근이 단련되도록 한 것이다.
도 3,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면근 단련구(21)는, 강판제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직선띠 판 모양의 탄성판(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판(22)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경질(硬質)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27)가 탄성판(22)을 인서트로 한 성형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코어(27)에는 탄성판(22)의 일방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72)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27)의 돌출부(272)에는 중공(中空) 모양을 이루는 마우스피스(28)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 장착 상태의 마우스피스(28)에 의해 입술에 의해서 물려지는 물림 지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판(22)의 전체와 코어(27)의 돌출부(272)를 제외한 부분은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23)에 의해서 몰드되어 있다. 이 피복(23)은 코어(27)보다 연질의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탄성판(22)의 양 단부측에는 각각 한 쌍의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의 관통공(222)은 피복(23)의 성형시에 합성 수지의 진입을 허용하여, 탄성판(22)과 피복(23)과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서 기능을 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의 관통공(222)에는 부시(26)가 끼워 넣어지고, 탄성판(22)의 표리 양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다만, 부시(26)는 피복(23)의 표면에 노출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판(22)의 양단에는 각각 작은 구멍(224)이 뚫려 마련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224)도 합성 수지의 진입을 허용하여, 탄성판(22)과 피복(23)과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서 기능을 한다.
그리고, 코어(27)의 좌우 양측에서의 탄성판(22) 및 피복(23)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암(31)이 형성되어 있다. 암(31)에서 피복(23)의 선단부에는, 각각 웨이트부(2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림 지지부(24)가 입술에 의해서 물려져 안면근 단련구(21) 전체가 상하로 요동되는 것에 의해, 웨이트부(25)의 하중이나 탄성판(22)의 탄력성 등에 기초하여, 양 암(31)이 요동으로 공진하여 상하로 진동된다. 여기서, 공진이란, 물림 지지부(24)에 소정 범위 내의 진동수의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 암(31)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암(31)의 단부가 물림 지지부(24)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 물림 지지부(24)를 물고 있는 사용자의 안면근에 부하가 작용하여, 안면근이 단련된다.
도 9 ~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27)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우스피스(28)를 걸어 유지하기 위한 요철부(271)가 형성되어 있다. 마우스피스(28)는, 코어(27)보다도 연질(軟質)로 미끄러지기 어려운 폴리우레탄 등의 연질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28)의 내주면에는, 코어(27)의 요철부(271)에 맞물릴 수 있는 요철부(281)가 형성되어 있다. 마우스피스(28)의 외주면의 중앙부의 상하에는, 입술에 의해서 물려지는 덴트부(dent部)(28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덴트부(282)의 부분에서 마우스피스(28)의 외주면은 장경(長徑)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덴트부(282)의 상하 2위치의 곡률은 좌우 2위치의 곡률보다 작고, 평탄하기 때문에, 물기 쉽다. 마우스피스(28)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오목부(283)가 형성되어 있다. 마우스피스(28)의 선단면에는, 구면(球面) 모양의 볼록부(284)가 형성되어 있다.
마우스피스(28)의 기단(基端)에는 암(31)의 표리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플랜지(28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285)는 마우스피스(28)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면근 단련구(21)를 테이블의 상면 등의 설치면(100)에 놓았을 때에, 이 플랜지(285)가 상기 설치면(100)에 접하여, 마우스피스(28)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마우스피스(28)의 입술에 의해서 물려지는 부분이 설치면(100)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8)는 외형 치수 등이 다른 복수종이 준비되며, 사용자는 그 입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적당한 마우스피스(28)를 선택하여, 코어(27)의 외측에 대해서 끼워 장착할 수 있다. 이 마우스피스(28)는, 코어(27)보다 연질로서, 그 경도는, 예를 들면, JIS(일본공업규격) K6253에 준거한 타입 A에 의한 듀로미터(durometer)에서, 60도이다. 또, 웨이트(30)를 제외한 안면근 단련구(21)의 본체, 즉, 탄성판(22), 피복(23), 코어(27) 및 마우스피스(28)로 구성되는 본체의 중량은, 50 ~ 500그램(g) 정도이다. 또, 웨이트(30)의 중량은, 3 ~ 120g 정도이다.
도 5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복(23)의 양단 위치에는 유지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웨이트부(25)는, 이 유지 구멍(2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웨이트(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량이 다른 복수종의 웨이트(30)가 준비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단련 정도 등에 따라 임의의 무게의 웨이트(30)가 선택되어 유지 구멍(2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에는 안면근 단련구(21)과 함께 안면근 단련구 세트(set)를 구성하는 커버(51)가 부속되어 있다.
도 2, 도 15,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1)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서 구성되며, 중앙의 일체 힌지(52)를 매개로 하여 한 쌍의 세로로 반 나눈 모양의 커버편(53, 54)이 마련되어 있다. 커버편(53, 54)은 일방이 본체, 타방이 덮개체를 구성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의 하측의 커버편(53)을 본체, 상측의 커버편(54)을 덮개체로 한다. 양 커버편(53, 54)은 각각 오목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들 사이에 수용 공간(5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면근 단련구(21)의 물림 지지부(24) 및 피복(23)의 중앙부가 수용 공간(511) 내에 수용되고, 이 부분이 커버(51)에 의해서 덮인다. 일방의 커버편(53)에 걸림 클로(claw)(55)가, 타방의 커버편(54)에는 그 걸림 클로(55)가 맞물려지는 받이부(56)가 각각 형성되며, 커버편(53, 54)이 닫혀졌을 때에, 걸림 클로(55)와 받이부(56)와의 맞물림에 의해 커버(51)가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양 커버편(53, 54)의 측벽에는 오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커버편(53, 54)의 폐쇄시에, 양 오목부(58)는 상기 암(31)과의 간섭을 피해 그 암(31)을 통과하기 위한 개구(59)를 구성하고, 이 개구(59)의 가장자리부와 암(3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간극(60)이 형성된다. 또, 이 개구(59)에는 엣지가 형성되지 않도록 개구(59)의 가장자리부를 단면이 원호 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암(31)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가장자리부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혹은 가장자리부를 두껍게 또한 단면을 원호 모양으로 형성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암(31)에 흠이나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면근 단련구(2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이 안면근 단련구(2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사용시에는 안면근 단련구(21)의 중앙부에 커버(51)가 장착되어, 물림 지지부(24)가 덮여 있다. 따라서, 입술로 무는 부분인 물림 지지부(24)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커버(51)는 마우스피스(28)의 외면을 거의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51)의 장착 상태의 안면근 단련구(21)를 전용의 케이스에 넣어, 안면근 단련구(21)의 휴대나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안면근 단련구(21)로 안면근을 단련하는 경우에는, 커버(51)가 떼어 내어진다. 또, 안면근 단련구(21)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단련 정도 등에 따라서, 미리 코어(27)에 요구되는 외형 치수의 마우스피스(28)가 장착됨과 아울러, 양 웨이트부(25)의 유지 구멍(29)에 필요한 무게의 웨이트(30)가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물림 지지부(24)의 덴트부(282)를 입술로 물어 얼굴을 상하로 요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입술에 대해서 안면근 단련구(21)의 중량이 작용한 상태에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판(22)을 매개로 하여 양 웨이트부(25)가 상하로 공진되고, 그 진동이 물림 지지부(24)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서, 입술을 매개로 하여 안면근에 부하가 부여되어, 그 안면근이 단련된다.
이 경우, 물림 지지부(24)가 암(31)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여, 그 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면근 단련구(21)이 편(片)지지 상태에서 입술에 물려지게 되어, 입술에 대한 하중 부담이 크게 된다. 따라서, 공진에 의한 부하가 안면근에 대한 부하로서 효율 좋게 작용하여, 안면근이 효과적으로 단련된다. 이 때, 상기 덴트부(282)가 가로로 긴 단면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을 둥글게 벌린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8)를 유지할 수 있다. 입을 둥글게 벌린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8)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구륜근 전체에 공진에 의해서 생기는 부하를 전할 수 있다. 또, 구륜근에는 소근 등의 표정근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륜근을 매개로 하여 소근 등도 단련할 수 있어, 효율적인 단련이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는 탄성판(22)이 합성 수지의 피복(23)에 의해서 몰드되어 있기 때문에, 암(31)이 휘어 공진할 때, 단련을 위해서 얻으려 하고 있는 암(31)의 상하 진동 이외의 움직임, 예를 들면 탄성판(22)의 비틀림이나 미세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술에 대해서 방해되는 움직임이 전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안면근 단련구(21)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탄성판(22)의 전체를 몰드하는 것을 대신하여, 표리 양면 혹은 표리의 일방의 면에 합성 수지의 판이나 시트를 접착 등에 의해서 고착해도 괜찮다.
상기 마우스피스(28)는 미끄러지기 어렵고, 적당한 경도의 고무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물기 쉽고, 게다가 암(31)의 진동에 의한 부하를 입술에 전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8)가 너무 딱딱하면, 마우스피스(28)가 입술에 친숙하지 않아, 물기 어렵다. 반대로 너무 부드러우면, 물었다고 해도 안면근 단련구(21)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고, 게다가 암(31)의 진동이 흡수되어, 단련을 위한 부하가 감소된다.
이 안면근 단련구(21)를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어(27) 상의 마우스피스(28)를 외형 치수 등이 다른 별도의 마우스피스(28)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 입의 크기나 형태가 다른 사용자라도, 1개의 안면근 단련구(21)를 공용할 수 있다.
게다가, 안면근의 강도나 단련 정도에 따라서, 웨이트부(25)의 유지 구멍(29) 내의 웨이트(30)를 무게가 다른 별도의 웨이트(30)로 교환할 수 있다.
단련 종료후, 마우스피스(28)는 필요에 따라서 코어(27)로부터 떼어 내어져, 세정할 수 있고, 세정후의 마우스피스(28)는 다시 코어(27)에 장착된다. 따라서, 마우스피스(28)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그 후, 마우스피스(28)를 덮도록, 커버(51)가 단련구(21)에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마우스피스(28)에 커버(51)를 씌우는 것에 의해, 단련구(21)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거나 함에 있어서 마우스피스(28)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코어(27)로부터 떼어 내어진 단독의 마우스피스(28)를 커버(51)에 수용하면, 마우스피스(28)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거나 하는 경우에 마우스피스(28)를 청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내는 탄성판(22)의 중앙부에 탄성판(22)을 인서트로 하여 코어(27)가 사출 성형된다.
다음으로, 탄성판(22)의 양단측의 한 쌍의 관통공(222)에 부시(26)가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탄성판(22)의 표리 양면에 부시(26)가 돌출 마련된다.
그 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판(22)이 성형형(成形型)(101) 내에 셋팅되어, 그 형(101) 내에 피복(23)이 되는 합성 수지가 사출된다. 이 때, 합성 수지의 사출 초기는 그 사출 압력이 탄성판(22)에 대해서 균등하게 작용하지 않고, 그 압력이 일시적으로 탄성판(22)에 대해서 불균일하게 작용한다. 이 때문에, 탄성판(22)이 만곡(灣曲)하여, 그 단부 가장자리의 엣지 등에 의해서 성형형(101)의 캐비티(102)의 성형면(成形面)에 찰과상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판(22)이 만곡한 경우, 부시(26)가 캐비티의 성형면에 맞닿아, 탄성판(22)이 맞닿는 것은 회피된다.
따라서, 캐비티(102)의 성형면에 흠이 생길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캐비티(102) 내에 합성 수지가 충전 종료된 상태에서는, 사출 압력이 탄성판(22) 전체에 대해서 균등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탄성판(22)의 만곡이 원래대로 되돌아와 동일 탄성판(22)은 캐비티(102)의 중앙부에서 직선 모양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성형 종료후, 탄성판(22)은 성형된 피복(23) 내의 정위치(定位置)에 몰드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에서는, 물림 지지부(24)를 입술로 물어 상하로 흔들면, 양측의 암(31)이 휨을 동반하면서 공진된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림 지지부(24)가 6.50헤르츠(Hz) 미만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 암(31)이 공진하도록, 암(31)의 길이, 웨이트부(25)의 중량, 탄성판(22)을 포함하는 암(31)의 탄성 계수나 스프링 정수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입술로 물어 암(31)을 공진시킬 수 있고, 그 부하를 이용하여, 유효한 단련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6.50Hz를 넘는 진동수에서는, 즉, 물림 지지부(24)를 조금씩 왕복 이동시킨 경우는, 암(31)이 공진되지 않기 때문에, 휘지 않는 강체를 진동시키는 상태와 동일하게 되어, 입술에 암(31)의 공진에 의해서 생기는 부하가 전해지지 않아, 유효한 단련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에서는, 암(31)의 정지(靜止) 상태에서의 하부로의 휨률, 즉 도 17에 나타내는 암(31)의 길이 b에 대한 암(31)의 선단의 하부로의 휨량 a가 4.8퍼센트(%)를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림 지지부(24)를 상하로 진동시킨 경우에 있어서, 암(31)이 적절히 휘어 진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효한 단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해, 휨률이 4.8% 이하인 경우, 즉, 암의 강성이 높아 휘기 어려운 경우는, 공진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효한 단련 효과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에서는, 암(31)에 공진이 작용했을 때에 물림 지지부(24)에 부여되는 부하가 7.4뉴턴(N)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림 지지부(24)를 상하로 흔들어 암(31)을 공진시켰을 때에 사용자에 대해서 적절한 부하가 작용하여 유효한 단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부하가 7.4N 이상인 경우는, 부하가 너무 높아, 흔드는 것이 곤란하다.
이하에,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의 작용의 검증 결과를 표 1 ~ 표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검증에서는, 도 20의 (a)에 나타내는 후술의 다종(多種)의 탄성판(22)을 이용했다. 탄성판(22)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돌출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판(22)의 양단에는, 후술의 각종의 웨이트(도시하지 않음)가 나사나 클립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표 1에서는, 두께가 0.6밀리미터(mm), 0.8mm, 1.0mm의 3종류, 길이가 300mm, 400mm, 500mm, 600mm, 700mm, 800mm, 1000mm의 7종류의 탄성판(22), 따라서, 합계 21종류의 탄성판(22)을 준비했다. 그리고, 무게가 6.0그램(g), 11.5g, 23.5g, 48.0g, 92.0g의 5종류의 웨이트를 준비하여, 그들을 상기 21종류의 탄성판(22)의 양단에 장착하여, 105종류의 시료(120)로 했다(도 20의 (b) 참조). 그리고, 도 2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판(22)의 돌출부(223)를 이토 정밀기계 주식회사제의 마쯔다이라식 진동 시험기(103)에 의해 사이에 끼워 시료(12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진폭 20mm인 각종의 진동을 부여하고, 탄성판(22)의 좌우 양측의 암에 가장 큰 진폭이 생겼을 때의 1초당 부여 진동수를 상기 표 1에 기록했다. 공진이 생겼을 때의 부여 진동수의 값은, 상기 진동 시험기(103)의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의 표시에 따랐다. 또, 공진의 유무는, 눈으로 보고 따랐다.
그리고, 전술한 각종의 시료(120)를 상기 진동 시험기(103)로부터 떼어내고, 탄성판(22)의 돌출부(223)에, 마우스피스(41)를 장착했다. 마우스피스(41)는, 상기 물림 지지부(24)와 크기 및 경도가 동등한 것으로, 그 물림 지지부(24)에 상당한다. 그러한 시료(120)에 대해 10명의 피험자에 의해서 체감 시험을 행하고,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결과를 4단계로 랭크를 정했다. 그 4단계는, 6명 이상의 피험자가, 공진시킬 수 없다(랭크 4), 공진시키기 어렵다(랭크 3), 공진시키기 쉽다(랭크 2), 특히 공진시키기 쉽다(랭크 1)라고 느낀 결과에 따랐다. 「공진시킬 수 없다」는, 암(31)을 공진시킬 수 없다, 「공진시키기 어렵다」는, 공진시킬 수 있지만 공진시키는 것에 숙달을 필요로 하다고 느낀 것을 나타낸다. 또, 표 1 내의 「측정 불가」는, 측정 기기의 측정 범위 밖이었기 때문에, 공진하는 주파수가 판명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1초당 진동수가 1.17 이하에서도 탄성판(22)의 암이 공진되는 것이 있는 것을 확인되고 있다.
Figure 112017089923407-pat00001
Figure 112017089923407-pat00002
표 1 및 표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마우스피스(41)가 6.50헤르츠(Hz) 미만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탄성판(22)의 암이 공진하는 시료(120)의 경우에, 사용자는 공진시키기 어렵기는 하지만, 암을 공진시킬 수 있어, 안면근의 단련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우스피스(41)가 5.00Hz 미만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의 경우에, 사용자는 암을 용이하게 공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마우스피스(41)가 3.50Hz 미만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의 경우에, 사용자는 암을 더 용이하게 공진시킬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상의 조건하에서, 마우스피스(41)가 4.67Hz를 넘는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의 경우에, 사용자는 암을 공진시키기 어렵기는 하지만, 공진시킬 수 있어, 안면근의 단련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우스피스(41)가 3.33Hz를 넘는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하는 시료(120)의 경우에, 사용자는 암을 용이하게 공진시킬 수 있어, 안면근의 단련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우스피스(41)가 1.17Hz 이상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하는 시료(120)의 경우에, 상기 암이 특히 공진되기 쉬워, 특히 바람직하다. 1.17Hz 미만이라도, 공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암이 1초당 진동하는 횟수가 적고, 운동 효과가 낮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마우스피스(41)가 6.33Hz 이하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하는 시료(120)의 경우에, 공진시키기 어렵기는 하지만, 사용자는 암을 공진시킬 수 있어, 안면근의 단련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우스피스(41)가 3.50Hz 이상 또한 4.67Hz 이하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마우스피스(41)가 1.17Hz 이상 또한 3.33Hz 이하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우스피스(41)가 1.17Hz 이상 또한 3.40Hz 이하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도 바람직하다. 마우스피스(41)가 1.17Hz 이상 또한 4.80Hz 이하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라도 좋다. 마우스피스(41)가 1.17Hz 이상 또한 6.40Hz 이하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에서도 단련 가능하다.
게다가, 다른 관점으로부터 보면, 상기 마우스피스(41)가 1.17Hz 이상 또한 6.33Hz 이하의 범위 내의 진동수로 진동할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를 단련에 이용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41)가 5.0Hz 이상 또한 6.33Hz 이하의 범위 내의 진동수로 진동한 경우에 암이 공진된다.
마우스피스(41)가 3.50Hz 이상 또한 6.33Hz 이하의 범위 내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의 경우도 바람직하다. 마우스피스(41)가 1.17Hz 이상 또한 4.67Hz 이하의 범위 내의 진동수로 진동했을 때에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의 경우가 더 바람직하다.
표 3은, 두께가 0.6mm, 0.8mm, 1.0mm의 3종류이고, 전체 길이가 400mm, 500mm, 600mm, 700mm, 800mm, 1000mm의 6종류인 합계 18종류의 탄성판(22)과, 무게가 6.0g, 11.5g, 23.5g, 48.0g, 92.0g의 5종류 웨이트와의 조합에 의한 90종류의 시료(120)로 했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연 상태에서의 탄성판(22)의 좌우의 암의 휨량 a를 mm단위로 측정하고, 그 수치를 탄성판(22)의 암의 길이 b에 대한 비율, 즉 휨률로서 표 3에 기록했다. 그리고, 이들의 각종의 시료(120)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10명의 피험자에 의해서 체감 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 2와 마찬가지로 표 4에서 4단계로 랭크를 정했다.
Figure 112017089923407-pat00003
Figure 112017089923407-pat00004
따라서, 암의 정지(靜止) 상태에서의 휨률이 4.8%를 넘는 시료(120)인 경우에 사용자는 암을 공진시킬 수 있다. 휨률이 8.1%를 넘는 시료(120)인 경우에 암을 공진시키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다. 휨률이 15.0%를 넘는 시료(120)인 경우에 암을 특히 공진시키기 쉽게 되어, 더 바람직하다. 또, 휨률이 8.3% 미만인 경우에 공진하기 어렵기는 하지만, 공진시킬 수 있다. 휨률이 15.2% 미만인 경우에 공진시키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다. 휨률이 60.8% 미만인 경우에 특히 공진시키기 쉽게 되어, 더 바람직하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보면, 휨률이 5.0% ~ 60.8%인 경우에 공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세하게는 휨률이 5.0% ~ 8.1%인 경우에 공진시킬 수 있고, 휨률이 8.3% ~ 60.8%인 경우에 용이하게 공진시킬 수 있으며, 8.3% ~ 15.0% 및 60.8%인 경우에 공진시키기 쉽고, 15.2% ~ 48.8%인 경우에 특히 공진시키기 쉽다고 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휨률이 60.8%인 경우에는 공진시키기 쉽기는 하지만, 휨률이 이 수치, 60.8%를 크게 넘으면, 마우스피스(41)의 움직임이 탄성판(22)에 전해지기 어렵게 되어, 공진시키기 어려운 것이 추측된다.
표 5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두께가 0.6mm, 0.8mm, 1.0mm의 3종류, 전체 길이가 400mm, 500mm, 600mm, 700mm, 800mm, 1000mm의 6종류인 합계 18종류의 탄성판(22)과, 무게가 6.0g, 11.5g, 23.5g, 48.0g, 92.0g의 5종류의 웨이트와의 조합에 의한 90종류의 시료(120)로 했다. 그리고, 도 2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판(22)의 돌출부(223)를 진동 시험기(103)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 지지하여, 그 진동 시험기(103)에 의해 상기 표 1의 경우와 동일 조건으로 탄성판(22)을 상하로 진동시킨다. 이 때, 시료(120)에 작용하는 최대 부하를 변형(스트레인(strain)) 센서(104)로부터 검출했다. 변형 센서로서는, 주식회사 도쿄 측기(測器)연구소의 제품명 Strain Gauges TYPE:FLA-5-11-3L이 이용되었다. 덧붙여서, 시료(120)에 작용하는 부하는, 탄성판(22) 및 웨이트의 하중과, 탄성판(22)의 반발력과, 진동에 의해서 부가되는 가속도에 의해 좌우된다. 그리고, 시험기(103)는 정지(靜止) 상태에서의 변형 센서(104)의 출력을 기준값인 제로로 설정하고, 변형 센서(104)로 검출되는 탄성판(22)의 변형량으로부터 탄성판(22)의 돌출부(223)에 가하는 부하가 계측된다. 게다가 탄성판(22)에 걸리는 중력의 작용분을 더하고,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부하의 최대값이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각 시료(12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10명의 피험자에 의해서 체감 시험이 행해지고, 그 결과를, 공진시킬 수 없다(랭크 3), 공진시키기 어렵지만, 가능하다(랭크 2), 공진시키기 쉽다(랭크 1)의 3 단계로 랭크를 정했다. 표 6은, 그 랭크를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17089923407-pat00005
Figure 112017089923407-pat00006
그 결과, 부하가 7.4N 미만으로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의 경우에 사용자는 암을 공진시킬 수 있고, 부하가 3.9N 미만으로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의 경우에 특히 공진시키기 쉽다. 또, 부하가 1.5N 미만으로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의 경우도 공진시키기 쉬운 것은 추측 가능하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보면, 또 마우스피스(41)에 걸리는 부하가 3.9N ~ 7.1N의 범위 내에서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인 경우에 사용자는 암을 공진시킬 수 있고, 동일 부하가 1.5N ~ 3.8N의 범위 내에서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인 경우에 특히 암을 공진시키기 쉽다. 부하가 1.5N ~ 3.85N의 범위 내에서 암이 공진되는 시료(120)인 경우에도, 암을 공진시킬 수 있다. 부하가 1.5N 미만의 경우에는 암을 공진시킬 수 있지만, 부하량이 적고, 운동 효과가 적다.
따라서, 안면근 단련구(21)의 암(31)의 길이, 웨이트(30)의 무게 등의 각종의 조건을 임의로 설정하면, 표 1 ~ 표 6에 기록된 각종의 거동을 나타내는 안면근 단련구(21)가 구체화된다. 이러한 안면근 단련구(21)는, 상기 검증 결과와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 표 7에는, 상기 각종 시험에서 이용된 탄성판(22)으로서, 두께가 0.6mm, 0.8mm, 1.0mm의 3종류, 전체 길이가 300mm, 400mm, 500mm, 600mm, 700mm, 800mm, 1000mm의 7종류의 합계 21종류의 탄성판(22)의 스프링 정수(g/mm)가 기재되어 있다. 표 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스프링 정수는, 0.23g/mm이고, 가장 높은 스프링 정수는, 39.35g/mm이다. 이들 스프링 정수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스프링 정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표 7의 스프링 정수나 임의의 스프링 정수의 탄성판(22)을 이용하여 안면근 단련구를 구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임의의 스프링 정수는, 표 7의 스프링 정수의 각 수치 사이를 메우는 수치의 스프링 정수나, 표 7의 최대 스프링 정수의 값을 넘는 값의 스프링 정수 또는 최소의 스프링 정수의 값 미만의 값의 스프링 정수이다.
Figure 112017089923407-pat00007
그런데, 연령이 20 ~ 70대의 남녀 67명을 대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를 이용하여 1회 30초씩 매일 2회를 8주간 연속으로 사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 그 검증의 조건과 결과가 도 21 ~ 도 26에 나타내어져 있다. 검증에 사용한 안면근 단련구(21)는, 웨이트(30)를 제외한 안면근 단련구(21)의 본체, 즉, 탄성판(22), 피복(23), 코어(27) 및 마우스피스(28)로 구성되며, 그 본체의 중량이 120g, 전체 길이가 540mm, 탄성판(22)의 길이가 380mm이고 두께가 0.6mm,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피복(23)의 두께가 평균 6mm, 웨이트(30)의 무게가 18g, 23g, 28g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검증 시험전, 즉 사용전과, 검증 시험 종료후, 즉 사용후에 피험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그 사진 화상을 2차원 피부 표면 해석 소프트웨어인 미국의 Canfield Scientific사제(社製)의 상표명 「Mirror」를 이용하여 검증 시험 전후의 변화의 상태를 계측하며, 그 결과를 그래프화했다.
도 21의 (a) 및 (b) 및 도 22는, 피험자의 구각(口角)의 거상(擧上)을 검증한 것이다. 즉, 사용전, 사용후의 사진에서, 67명의 피험자의 구각과 눈가와의 사이의 거리(106)를 측정하고, 사용전, 사용후의 거리(106)의 변화를 산출했다. 그리고, 67명의 사용전 및 사용후의 산출 결과를 각각 평균하고, 도 22에서 그래프화했다. 도 2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사용후는 사용전에 대해서, 상기 거리(106)가 평균으로 약 0.6mm 짧게 되어 구각이 거상하여, 단련 효과가 인정되었다.
도 23의 (a) 및 (b) 및 도 24는 협부의 거상을 검증한 것이다. 즉, 67명의 사용전, 사용후의 옆 얼굴 사진에서, 귀의 주간절흔(珠間切痕)을 통과하는 수평선(107)과, 구각을 통과하는 수평선(108)을 설정함과 아울러, 양 수평선(107, 108)의 사이에서 주간절흔을 기점(起点)(109)으로 하는 뺨의 윤곽 상의 최장점(最長点)(110)을 결정하고, 기점(109)으로부터 최장점(110)까지의 거리에 대해서, 사용전, 사용후의 상태를 측정했다. 다만, 주간절흔이나 뺨의 윤곽부가 불명료한 9명은 검증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58명의 데이터를 평균화했다. 이 경우, 단련의 결과, 최장점(110)의 위치는 상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67명의 사용전, 사용후의 변화를 산출하고, 도 23에서 그래프화했다. 도 2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사용후는 사용전에 대해서, 상기 거리가 평균 약 0.7mm 짧게 되어, 단련 효과가 인정되었다.
도 25의 (a) 및 (b) 및 도 26은, 페이스라인의 조임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즉, 67명의 사용전, 사용후의 정면 사진에서, 비익각(鼻翼脚, 콧망울 다리)의 밑부분을 통과하는 수평선(111)을 설정함과 아울러, 그 수평선(111)의 하측의 얼굴의 윤곽(112)을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전 및 사용후에서의 상기 수평선(111)과 윤곽(112)과의 사이의 면적을 산출함과 아울러, 그 변화를 산출하고, 도 26에서 그래프화했다. 다만, 이 경우는, 얼굴의 윤곽(112)이 불명료한 11명의 사진은 검증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56명의 데이터를 평균화했다. 도 2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사용전은 사용후에 대해서 평균 약 0.7평방 센티미터의 면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이상과 같이, 안면근 단련구(21)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얼굴의 각 부의 치수가 짧게 되어, 회춘 효과가 인정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웨이트(30)를 생략한 것이다. 그리고, 탄성판(22)의 양단부에 대면적부(122)가 형성되어, 이 대면적부(122)에 의해 웨이트(30)를 대신한 하중 기능을 갖게 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도시는 하지 않지만 탄성판(22)에 관통공(222)이나 부시(26)가 마련되며, 부시(26)는 대면적부(122)의 선단부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구성이 간이화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상기 각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21 내지 도 26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23)의 양단부에는 동일 피복(23)으로 이루어지는 대면적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판(22)은, 대면적부(122)의 중앙부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판(22)은, 그 두께 치수 및 폭 치수가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면 단련구의 대면적부(122)의 양단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웨이트편(330)이 매설(埋設)되어 있다. 웨이트편(330)에는 하나의 제1 투공(透孔)(331)과, 한 쌍의 제2 투공(332)이 형성되고, 제2 투공(332)은 피복(23)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2 투공(332)에는 피복(23)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가 진입하여, 웨이트편(330)과 피복(23)과의 결합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웨이트편(330)의 표리 양면에서, 피복(23)의 양단에는 노치(33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투공(331)이 이 노치(333)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노치(333) 내에는 합성 수지제의 장식 클립(334)이 끼워져 있고, 이 장식 클립(334)은 피복(23)과는 다른 색으로 착색됨과 아울러, 그 외표면이 피복(23)의 외표면과 연속하고 있다. 도 24 ~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 클립(334)에서는, 한 쌍의 협지편(挾持片)(335)이 연결부(338)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고, 협지편(335)은 전체로서 측면이 예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협지편(335)의 연결부분에는 협지 돌기(336)가 형성되고, 이들의 협지 돌기(336)에 의해서 상기 웨이트편(330)이 협지(挾持, 끼워 지지)되어 있다. 양 협지편(335)의 선단 내면에는 감합 돌기(337)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 돌기(337)는 웨이트편(330)의 제1 투공(331) 내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 감합에 의해 장식 클립(334)이 웨이트편(330)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안면근 단련구(21)는 상기 실시 형태의 안면근 단련구(21)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있다.
(1)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본체와 별체의 웨이트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가 적게 되고, 제조 코스트의 다운이 가능하게 된다.
(2) 암(21)의 양단에 웨이트편(330)이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이 웨이트편(330)의 중량을 이용하여 암(21)의 양단부를 크게 진동시킬 수 있어, 단련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3) 암(21)의 양단과 웨이트편(330)과의 사이에 간격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간격 부분의 합성 수지가 휘기 쉽고, 이 휨을 이용하여 암(21)의 양단부가 진동하기 쉽게 되며, 이 특성을 이용하여 단련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암(21)의 양단과 웨이트편(330)과의 사이에 간격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웨이트편(330)의 움직임에 의해서 웨이트편(330)이나 그 주위의 피복(23)에서 단련에 별로 관여하지 않는 작은 진동이 발생해도, 그 진동의 일부 또는 대부분이 상기 간격의 부분의 피복(23)에 의해서 흡수된다. 따라서, 암(21)의 휨 운동이 유연하게 되어,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4) 탄성판(22)의 두께 치수 및 폭 치수가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판(22)의 양단부가 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암(21)의 양단부를 크게 진동시킬 수 있어, 탄성판(22)의 양단부의 탄성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단련을 행할 수 있다.
(5) 피복(23)의 성형을 함에 있어서는, 웨이트편(330)이 도시하지 않은 성형형 내에서 중심 클립에 의해 중공 상태로 파지된다. 그리고, 성형 종료에 따르는 탈형(脫型)에 의해, 피복(22)의 양단에 웨이트편(330)이 노출한 노치(3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노치(333)를 이용하여 디자인상의 엑센트가 되는 장식 클립(334)을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변경예)
또,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ㆍ탄성판(22)을 피복하는 피복(23)을 마련하지 않고, 탄성판(22)을 노출 상태로 함과 아울러, 웨이트부(25)를 구성하는 웨이트(30)를 탄성판(22)에 직접 고정하는 것. 이 경우, 웨이트(30)의 고정은, 나사를 이용하거나, 웨이트(30)에 형성한 돌기를 탄성판(22)의 구멍에 감합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웨이트(30)는, 웨이트(30)를 탄성판(22)의 단부를 요구되는 중량이 되도록 감아 돌리거나, 절곡하거나, 혹은 대면적으로 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해도 괜찮다.
ㆍ탄성판(22)의 재질을 강판을 대신하여, 카본 파이버, FRP(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다른 재질로 변경하는 것.
ㆍ상기와 같이, 탄성판(22)의 재질을 강판을 대신하여, 카본 파이버, FRP(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다른 재질로 변경하고, 또, 피복(23)을 생략하는 것.
ㆍ탄성판(22)의 피복(23)을 생략하는 것.
ㆍ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구멍(29)의 근방에서의 탄성판(22)의 양단 위치에 완화 부재(32)를 마련하는 것. 이 완화 부재(32)는 피복(23)보다 경질(硬質)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피복(23)의 표면과 연속하는 표면을 가지도록 피복(23)에 매설되어 있다. 또, 이 완화 부재(32)의 내측면에 돌출된 도시하지 않은 핀이 탄성판(22)의 양단의 작은 구멍(224)에 감합되어 완화 부재(32)가 고정된다. 완화 부재(32)는, 탄성판(22)의 양단에 작용하는 집중 응력을 완화하여, 피복(23)의 균열 등을 방지한다.
ㆍ탄성판(22)의 피복(23)으로서, 탄성판(22)의 표리의 편면 혹은 양면에 합성 수지판을 접착하거나, 표리의 편면 혹은 양면에 합성 수지를 시트 모양으로 사출하거나, 혹은 탄성판(22)에 테이프를 감아 돌리거나 하는 것.
21 - 안면근 단련구 22 - 탄성판
24 - 물림 지지부 25 - 웨이트부
31 - 암

Claims (5)

  1. 입에 물려진 상태로 탄성 변형시키는 장척(長尺) 모양의 안면근(顔面筋) 단련구(鍛鍊具)에 대해서, 상기 안면근 단련구의 중앙부에 돌출 마련된 물림 지지부의 코어에, 코어의 반대 측이 닫힌 상태로 코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中空) 형상을 이루며, 요철의 감합(嵌合) 관계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마우스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면근 단련구의 돌출부에 대해서 장착되는 마우스피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의 요철에 걸림 가능한 요철부를 내주면에 형성한 마우스피스.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입에 의해서 물려지는 덴트부(dent部)를 외주면에 형성한 마우스피스.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보다 연질(軟質)의 합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마우스피스.
KR1020177026106A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1974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4318 2014-04-30
JPJP-P-2014-094318 2014-04-30
PCT/JP2014/081512 WO2015166604A1 (ja) 2014-04-30 2014-11-28 顔面筋鍛錬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103A Division KR20160146488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593A KR20170107593A (ko) 2017-09-25
KR101974766B1 true KR101974766B1 (ko) 2019-05-02

Family

ID=5435835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106A KR101974766B1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57011103A KR20160146488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77026110A KR20170107594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77026107A KR20170108175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77026108A KR101974767B1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77026109A KR20170109074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103A KR20160146488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77026110A KR20170107594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77026107A KR20170108175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77026108A KR101974767B1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KR1020177026109A KR20170109074A (ko) 2014-04-30 2014-11-28 안면근 단련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70050077A1 (ko)
EP (1) EP3138611A4 (ko)
JP (1) JP6523258B2 (ko)
KR (6) KR101974766B1 (ko)
CN (2) CN105246555A (ko)
AU (1) AU2014392933A1 (ko)
CA (1) CA2943481A1 (ko)
HK (2) HK1215689A1 (ko)
RU (1) RU2016141660A (ko)
SG (1) SG11201607387PA (ko)
TW (1) TWI640343B (ko)
WO (1) WO2015166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7621B2 (en) * 2012-11-07 2016-08-30 Ronald L. Dristle Face and lips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7596639B (zh) * 2017-10-24 2022-06-21 尚久茜 人体口腔颌面部肌力康复训练装置
CN112770818B (zh) * 2018-06-08 2022-04-01 普伦蒂斯·卡普里·麦克吉 用于加强患者面部骨骼和肌肉的设备及使用方法
KR102248336B1 (ko) * 2019-02-28 2021-05-07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압력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근력 향상장치 제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120B2 (ja) * 1990-10-12 1999-10-12 正利 笠間 ダイビング用マウスピース
KR200407773Y1 (ko) * 2005-11-21 2006-02-03 유태영 안면 근육 운동기구
JP2010264132A (ja) * 2009-05-15 2010-11-25 Nobuhiro Kubo 表情筋鍛錬具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782A (en) * 1911-06-29 1912-01-02 John Koch Mechanical vibrator.
CH303454A (fr) * 1953-11-05 1954-11-30 Keller Cordone Lidia Appareil pour développer les muscles faciaux.
US3805771A (en) * 1972-05-19 1974-04-23 J Wright Facial muscle exerciser
JPH01223289A (ja) 1988-02-29 1989-09-06 Komatsu Ltd シールド掘進機の切羽前方土質検知装置
US5147262A (en) * 1988-10-28 1992-09-15 Bruce Hymanson Isokinetic oscillating exercise apparatus
US4964633A (en) * 1988-10-28 1990-10-23 Bruce Hymanson Isokinetic oscillating exercise apparatus
JP3123289B2 (ja) * 1993-03-04 2001-01-09 ソニー株式会社 ビタビ復号装置
US6217495B1 (en) * 1994-01-03 2001-04-17 Theodore Yalch Symmetrical exercise apparatus
DE4416575A1 (de) * 1994-05-11 1995-11-16 Ulrich H Prof Dr Med Cegla Therapiegerät
JPH08131578A (ja) * 1994-11-07 1996-05-28 Nobuyoshi Ueno 顔の筋肉トレーニング器
GB9611102D0 (en) * 1996-05-28 1996-07-31 Deac Titus Exercise device
AT404227B (de) * 1996-07-15 1998-09-25 Berger Erwin Jun Wechselmechanik für beruhigungssauger
US6280364B1 (en) * 1997-05-28 2001-08-28 Titus Deac Method for exercising
JP3075856U (ja) * 2000-08-24 2001-03-06 ボディーブレー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運動用具および運動用具セット
US20020155933A1 (en) * 2001-04-18 2002-10-24 Sherry Chen Exercise and massage device
US20030073542A1 (en) * 2001-10-12 2003-04-17 Patton Julie L. Mechanism to exercise and strengthen the facial muscles that control and form the embouchure
US6872174B2 (en) * 2003-05-27 2005-03-29 Tony Benach Arm and upper torso exercise device
JP1223289S (ko) * 2004-02-10 2004-11-22
JP2005230490A (ja) * 2004-02-18 2005-09-02 Akio Toshima 顔・首用筋力トレーニング具
JP4597702B2 (ja) * 2005-02-24 2010-12-15 ピジョン株式会社 ***閉鎖具
US20070135275A1 (en) * 2005-12-08 2007-06-14 Oates Robert F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GB2441584A (en) * 2006-09-05 2008-03-12 South Bank Univ Entpr Ltd Breathing device
DE102007027960B4 (de) * 2007-06-19 2011-06-01 Mapa Gmbh Sauger
TWM342869U (en) * 2008-02-26 2008-10-21 zhen-gang Zhu Two-sectioned exercising elastic bar
DE202008003266U1 (de) * 2008-03-06 2008-07-10 CALIFORNIAN PRODUCTS (HK) LTD., Tai Kok Tsui Gymnastikgerät
US8252023B2 (en) * 2009-11-16 2012-08-28 Pacif-Air, Llc Pacifier
DE102009060303A1 (de) * 2009-12-23 2011-06-30 Klein, Frank, 81669 Fitness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201578525U (zh) * 2010-01-19 2010-09-15 王莎乐 瘦脸美容仪
US8376912B1 (en) * 2010-02-03 2013-02-19 Ball It, Inc. Facial muscle exercise ball-like device and method
JP6284884B2 (ja) 2011-11-25 2018-02-28 ビルギチ,マフムト 吸入装置
JP6221208B2 (ja) * 2012-03-19 2017-11-0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口腔機能のトレーニング用器具
JP5982908B2 (ja) * 2012-03-19 2016-08-3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口腔機能のトレーニング用器具
US20130260963A1 (en) * 2012-03-29 2013-10-03 Shu-Chen TSAI Oral rehabilitation device
AU2013205102B2 (en) * 2012-03-29 2016-07-14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Oral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JP2014087478A (ja) * 2012-10-30 2014-05-15 Mtg:Kk 顔面筋鍛錬具
SG11201501802VA (en) * 2012-10-30 2015-05-28 Mtg Co Ltd Implement for training facial muscle
KR101360157B1 (ko) * 2013-05-31 2014-02-12 박균섭 안면 운동기
CN105530904B (zh) * 2013-09-18 2019-01-15 株式会社Jms 口腔机能训练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120B2 (ja) * 1990-10-12 1999-10-12 正利 笠間 ダイビング用マウスピース
KR200407773Y1 (ko) * 2005-11-21 2006-02-03 유태영 안면 근육 운동기구
JP2010264132A (ja) * 2009-05-15 2010-11-25 Nobuhiro Kubo 表情筋鍛錬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4144A (zh) 2015-12-01
TWI640343B (zh) 2018-11-11
KR20170107593A (ko) 2017-09-25
CA2943481A1 (en) 2015-11-05
HK1215689A1 (zh) 2016-09-09
RU2016141660A3 (ko) 2018-06-20
SG11201607387PA (en) 2016-10-28
CN105013146A (zh) 2015-11-04
US20170050077A1 (en) 2017-02-23
AU2014392933A1 (en) 2016-09-22
KR20170107594A (ko) 2017-09-25
KR101974767B1 (ko) 2019-05-02
JP6523258B2 (ja) 2019-05-29
RU2016141660A (ru) 2018-05-30
KR20170109074A (ko) 2017-09-27
EP3138611A4 (en) 2017-12-13
HK1215688A1 (zh) 2016-09-09
KR20170108175A (ko) 2017-09-26
KR20160146488A (ko) 2016-12-21
CN105246555A (zh) 2016-01-13
WO2015166604A1 (ja) 2015-11-05
EP3138611A1 (en) 2017-03-08
CN105013146B (zh) 2018-12-04
KR20170109073A (ko) 2017-09-27
JPWO2015166604A1 (ja)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766B1 (ko) 안면근 단련구
US20100307511A1 (en)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US992477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lamping member of a hair clip, the clamping member, and a hair clip including two clamping members
CN203874385U (zh) 面部肌肉锻炼器
US11291527B2 (en) Tool for seating an orthodontic align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5221199A (ja) 顔面筋鍛錬具
KR101530512B1 (ko) 안면근 단련구
JP2004016632A (ja) 歯列矯正装置
WO2019151170A1 (ja) 顔面筋鍛錬具
CN204745520U (zh) 面部肌肉锻炼器
JP2020022716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製造装置及び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製造方法
JP6359330B2 (ja) カバー及び顔面筋鍛錬具セット
JP3024961U (ja) 眼 鏡
JP2016087227A (ja) 運動用具
JPH0744657U (ja) 手首の曲り矯正用練習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