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79B1 -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glycyrrizae radix extract, astragali radix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glycyrrizae radix extract, astragali radix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879B1
KR101966879B1 KR1020170105582A KR20170105582A KR101966879B1 KR 101966879 B1 KR101966879 B1 KR 101966879B1 KR 1020170105582 A KR1020170105582 A KR 1020170105582A KR 20170105582 A KR20170105582 A KR 20170105582A KR 101966879 B1 KR101966879 B1 KR 101966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lood
lily
estroge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0874A (en
Inventor
김성규
강진숙
최재석
Original Assignee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79B1/en
Publication of KR2019002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 구체적으로 백합 열수 추출물 및 계혈등 열수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백합 및 계혈등을 추출대상으로 하고, 가장 무해한 추출용매인 물을 추출용매로 한 추출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부작용이 없을 뿐 아니라, 2개 식물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의해 폐경기 증후군 개선 효과, 구체적으로 폐경기성 골다공증 개선 효과가 가장 뛰어나, 폐경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which comprises, as an active ingredient, a mixtur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and specifically, a mixture of hot water extract of lily and hot water extract such as blood, The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female menopausal syndro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xtract a harmless lily and blood, etc. in the human body, and has no side effects by using an extract of water as the most harmless extraction solvent as an extraction solvent , And 2 plant extracts showed the best effect of improving postmenopausal syndrome and specifically improving postmenopausal osteoporosis.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postmenopausal syndrome.

Description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GLYCYRRIZAE RADIX EXTRACT, ASTRAGALI RADIX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an extract of Liliaceae,

본 발명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a composition for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specifically a component derived from a natural product.

여성은 나이가 들면서 성적으로 성숙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시기를 사춘기(puberty)라고 한다. 이는 한 개인의 신체적 구조와 정서가 그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말한다. 사춘기 이후 여성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을 분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이 신호를 전달하면 월경주기를 조절하고, 임신을 가능하게 하는 호르몬인 난포자극호르몬(Folliocle Stimulating Hormone; FSH)과 황체형성호르몬 (Lutenizing Hormone; LH)이 분비되며, 상기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은 다시 난소에 작용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게 된다.Women go through a series of sexual maturation as they get older. This period is called puberty. This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an individual's physical structure and emotions reach a state where they can fulfill their original functions. After puberty, women secrete estrogen and progesterone, the female hormones. Specifically, when the gonadotropin secreted by the pituitary gland transfers a signal, it regulates the menstrual cycle and releases hormones such as Folliocle Stimulating Hormone (FSH) and Lutenizing Hormone (LH) ), And th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the luteinizing hormone act on the ovary again to secrete estrogen and progesterone.

상기 에스트로겐은 난소 내의 난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생식기를 발육시키고 그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여 제2차 성징을 발달시키며 자궁 발육, 내막 증식, 젖샘 발육, 규칙적 월경 등을 촉진한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난소 이외에도 태반을 비롯하여 부신피질이나 정소로부터 소량 분비되는데,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및 인체에서 볼 수 있는 에스트리올 등 3 종류의 스테로이드가 알려져 있다.The estrogen is a hormone secreted from the follicles in the ovary. I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reproductive organs and functions to develop secondary sex and promotes uterine growth, endometrial hyperplasia, development of the mammary gland, regular menstru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ovaries, the estrogen is secreted in a small amount from the adrenal cortex and testes, including the placenta. Three kinds of steroids such as estrone, estradiol and estriol found in the human body are known.

상기 에스트로겐 중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게 가장 많으면서 강력한 에스트로겐인 17 베타-에스트라디올(E2)은 난포를 만들어내면서 합성되고, 혈액으로 분비되어 부분적으로 성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과 결합하여 몸 전체의 세포로 흐르게 된다. 상기 에스트라디올 대사의 주요 경로는 상기 에스트라디올이 약한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론(E1)으로 가역 산화된 후 에스트리올(E3)로 변하는 것이다. Among the above estrogens, 17 beta-estradiol (E2), the most abundant and strongest estrogen in women before menopause, is synthesized while producing follicles and secreted into the blood to partially bi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flow to cells throughout the body . The main pathway of the estradiol metabolism is that the estradiol is reversibly oxidized to estrone (E1) which is a weak estrogen and then converted to estriol (E3).

상기 에스트로겐은 자궁 내막, 자궁 근육, 질 및 요도 상피의 성장을 자극하고, 생식기의 혈관 흐름을 원활히 하며, 자궁선 분비를 증가시키고, 프로게스테론과 황체형성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에스트로겐은 여성 생식 기관의 발달과 제2차 성징 발현 외에도, 골격 성장과 발달, 여성의 지방 분배, 지질 대사 등에 영향을 주며, 피부와 콜라겐 조직, 뉴런, 심혈관계 등에도 작용한다.The estrogen stimulates the growth of endometrium, uterine muscle, vagina and urethral epithelium, smoothes vascular flow in the reproductive tract, increases secretion of uterine glands, and induces progesterone and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expression.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female reproductive organs and secondary manifestations, the estrogen affects skeletal growth and development, female fat distribution and lipid metabolism, and also acts on skin and collagen tissues, neurons and cardiovascular system.

여성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난소의 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에스트로겐 분비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 상기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로 인해, 난포자극호르몬 및 황체형성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감소하고, 초기 난포기가 단축되어 월경주기가 더욱 단축되며, 배란기가 더욱 단축되고, 프로게스테론 생성이 감소된다. 결국, 난포가 반응하지 못하게 되어 에스트로겐을 생성하지 못하게 된다.In women, the function of the ovaries declines with age, and this leads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estrogen secretion. Due to the reduced secretion of estrogen, the response to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is reduced, the initial follicle shortening is shortened, the menstrual cycle is further shortened, the ovulation phase is further shortened, and progesterone production is reduced. Eventually, the follicle becomes unresponsive and does not produce estrogen.

이처럼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갱년기(climacteric)라 하고, 갱년기의 한 과정으로 난소기능의 정지 후에 배란이 중단되어 월경이 사라지는 것 즉, 생리의 영구적인 정지를 폐경(menopause)이라 한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갱년기를 난소의 기능이 상실되어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없어지고 더 이상 임신할 수 없는 시기이며, 성년기가 끝나고 노년기로 가는 과도기로 정의하였다.It is known that climacteric is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physiological function and sexual function are reduced or eliminated due to an overall and gradual decrease of ovarian function, and ovulation is stopped after ovarian function is stopped as a part of menopausal period, A permanent stop is called menopause. On the other h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ed menopause as a period when ovarian function is lost and estrogen secretion is no longer conceived, and that the transition from adulthood to old age is over.

상기한 바와 같이, 여성은 난소기능이 점차 감소하는 갱년기가 40세 이후부터 서서히 시작되며 여성의 평균수명이 점차 연장됨에 따라 호르몬 결핍기간은 수명의 약 1/3 내지 1/2을 차지하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women gradually start ovarian function gradually from the age of 40 after the menopausal period, and the average life span of women is gradually extended, the period of hormone deficiency is about 1/3 to half of the life span.

경제수준의 발달과 더불어 과학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구고령화의 속도가 매우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 진행속도가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여성 노인들의 폐경기 이후 건강한 삶의 보장이 필요한 실정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ic level, the pace of population aging has progressed very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Especially, the pace of aging in Korea is progressing at a very rapid pace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ensure a healthy life after menopause.

일 예로, 우리나라의 경우 2019년에 인구 전체의 14%가 넘는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여성의 평균수명은 남성의 평균수명 보다 높아, 2011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여성들의 평균수명은 무려 84세이고, 이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여성들의 삶 전체를 놓고 보면, 폐경 이후에 40년 이상의 삶을 살아야 하며, 이러한 점에서 폐경기 이후 여성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For example, Korea is expected to become an aged society with more than 14% of the population in 2019. In particular,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women is higher tha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men. According to the 201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women in Korea is 84, which is also in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if we look at the whole life of women, we should live more than 40 years after menopause, and the interest of women in health after menopause is increasing.

상기 폐경 또는 그 이전을 포함하여 갱년기 동안 호르몬의 변화, 구체적으로 에스트로겐 생성의 감소, 난포자극호르몬 및 황체화호르몬의 상승으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변화에 따른 급만성 증상을 폐경기 증상 또는 갱년기 증상이라 한다.The chronic chronological symptoms due to changes in the body during the menopausal period, including the menopause or previous menstrual changes due to changes in hormones, specifically estrogen productio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are called menopausal symptoms or menopausal symptoms.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여성의 비뇨기, 생식기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영향을 미치므로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는 신체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particular, the decrease in estrogen affects not only the female urinary system, genitalia but also other parts of the body, so estrogen secretion decreases greatly throughout the body.

일 예로, 갱년기 여성의 대부분은 안면홍조(Hot Flush), 빈맥, 발한, 불안 이나 수면장애 등의 여성호르몬 급성결핍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일부 여성에서는 만성적인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하여 심혈관질환, 갱년기 증후군증 등의 만성 질환으로 인해 곤란을 겪고 있다.For example, most menopausal women are experiencing acute female hormone deficiency symptoms such as hot flush, tachycardia, sweating, anxiety or sleep disorder, and some women have chronic cardiovascular disease, menopausal syndrome And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구체적으로, 상기 폐경기 증상으로는 열성홍조(hot flush), 야간 발한(night sweat), 빈맥 또는 두통 등의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의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으며,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불안증세 및 현기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다.Specifically, symptoms of menopausal symptoms include symptoms due to vascular changes such as hot flush, night sweat, tachycardia or headache, and symptoms due to musculoskeletal changes such as myalgia, joint pain and back pain , Memory loss, depression, loss of concentration, anxiety, and dizziness.

또한,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아 피부와 질 점막의 탄력과 수분을 잃게 된다. 일 예로 눈, 코 또는 입의 점막이 마르는 경우, 눈이 불편하거나, 목이 타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strogen is reduced, the supply of blood is not smoothly performed and the elasticity and moisture of the skin and vaginal mucosa are lost. For example, when the mucous membranes of the eyes, nose, or mouth are dry, they may experience uncomfortable eyes or thirsty burns.

또한, 폐경 수년 내에 나타나는 질 건조증, 요로감염, 빈뇨 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뇨생식기의 변화에 의한 증상 및 표피증상이 있고, 폐경 수년 후에 나타나는 갱년기 증후군증, 아테롬성 심장질환과 같은 심혈관 질환 또는 뇌혈관 질환 등이 있다.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심장질환은 가장 큰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 폐경 후의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급속한 골 손실로 인해 다수의 여성이 갱년기 증후군증으로 겪고 있다.In addition, symptoms such as vaginal dryness, urinary tract infections, urinary frequency or urinary incontinence appearing within several years of menopause and epidermal symptoms, menopausal syndrome, atherosclerosis or cerebrovascular disease such as atherosclerosis . In particular, heart disease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death in postmenopausal women, and many women suffer from menopausal syndrome due to rapid bone loss due to postmenopausal estrogen deprivation.

상기와 같이 폐경기 여성에 대한 치료의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이러한 폐경기 여성의 증상 즉,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여러 방법이 검토되어 왔으며, 이 중 상기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폐경기 여성에게 인위적으로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 HRT)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ecessity of treatment for postmenopausal wome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studied for the treatment of the symptoms of postmenopausal women, namely, postmenopausal syndrome.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syndromes,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is widely used to administer estrogen.

에스트로겐은 천연에스트로겐과 합성에스트로겐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합성에스트로겐 호르몬제제의 투여는 경구투여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며, 비경구투여법으로는 경피패취, 경피 크림, 또는 젤, 질크림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There are two types of estrogen: natural estrogen and synthetic estrogen. Oral administration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of administering the synthetic estrogen hormone preparation,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s transdermal patches, transdermal cream, gel, and vaginal cream.

그러나, 이러한 인위적인 합성에스트로겐의 경우, 갱년기 증상 개선에는 효과적이나 장기간 사용시 암 유발 유전자의 활성을 증가시켜 자궁암이나 유방암 등의 발병 위험이 있고, 정맥혈전증이나 담낭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However, such an artificial synthetic estrogen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nopausal symptoms, but it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cancer-inducing gene in the long-term use, thereby posing a risk of uterine cancer or breast cancer and possibly causing venous thrombosis or gallbladder disease. Is being heat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호르몬 대체요법에 사용되는 합성에스트로겐의 대체물로서 합성에스트로겐과 비슷한 활성은 가지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 에스트로겐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Accordingly, studies have been made actively to find a estrogen derived from a natural product having a similar activity to a synthetic estrogen as a substitute for the synthetic estrogen used in the above-mentione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hile having a less side effect.

천연물 유래 에스트로겐으로, 동물성 천연 제품인 말의 오줌으로부터 제조된 프레마린은 임상적 실험에서 에스트라디올과 에스트론 농도를 월경기 정도로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HI(Women's Health Initiative) 임상결과, 실험대상 여성 중 유방암이 26%, 심장마비가 29% 및 졸도가 44% 증가하였고, 혈액응고가 2배 증가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어, 임삼시험 자체가 5년 만에 종료되었으며, 미국 식품의약안정청(FDA)은 2003년 이 호르몬 의약품에 대해 경고 문구를 넣도록 조치하기에 이르렀다.Premarin, made from natural product-derived estrogens and from the animal's natural urine,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levels of estradiol and estrone in clinical trials to a monthly level. However, there have been reports of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increased breast cancer (26%), heart attack (29%) and fainting (44%), and blood coagulation (2 times) It ended itself in five years, and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decided in 2003 to put a warning on hormone medicines.

이러한 합성에스트로겐 및 동물성 에스트로겐 제품과 같은 기존 호르몬 대체제의 복용을 통해 전반적인 폐경기 증상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지만,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Although the use of conventional hormone replacement agents such as synthetic estrogen and animal estrogen products can cope with overall menopausal symptoms, there is a problem that their use is limited due to serious side effects.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호르몬 대체요법에 사용되는 합성에스트로겐의 대체물로서 합성에스트로겐과 비슷한 활성은 가지면서, 부작용이 적은 식물 유래의 천연에스트로겐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Therefore, there is a trend toward research on natural estrogen derived from plant having a similar activity to synthetic estrogen as a substitute for synthetic estrogen used in the above-mentione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having less side effects.

특히, 식물 유래의 천연에스트로겐을 흔히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라고 칭한다.In particular, plant-derived natural estrogens are often referred to as phytoestrogens.

상기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란 일반적으로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기능 및 구조가 유사한 식물로부터 유래한 비스테로이드성 화합물을 지칭하며, 식물의 줄기, 뿌리, 꽃이나 종자에서 발견된다.The vegetable estrogen refers to a non-steroidal compound derived from a plant which is generally similar in function and structure to female hormone estrogen, and is found in the stem, root, flower or seed of a plant.

상기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예로는 크게 콩과 칡에서 유래한 이소플라본(isoflavone), 클로버에서 유래한 쿠메스탄(coumestan), 아마종자에서 유래한 리그난(lignan) 등이 있다. 그 외, 플라바논(flavanones), 플라본(flavones), 디하이드로칼콘(dihydrocalchones)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above vegetable estrogens include isoflavone derived from soybean and bean, coumestan derived from clover, and lignan derived from flax seed. In addition, there are flavanones, flavones, dihydrocalchones, and the like.

일 예로, 이소플라본은 식물 내에서는 바이오카닌 A(biochanin A)와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의 비활성형 배당체로 존재하나, 체내로 흡수되어 장내 박테리아의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에 의해 각각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제니스테인(genistein)과 다이드제인(daidzein)으로 변환되어 에스트로겐과 같은 활성을 나타내게 된다.For example, isoflavones exist as inactive glycosides of biochanin A and formononetin in plants, but are absorbed into the body and are similar to estrogen by glucosidase in intestinal bacteria (Genistein) and daidzein (daidzein), resulting in estrogen-like activity.

상기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대표적인 예인 제니스테인은 세포의 단백질 타이로신 인산화효소(protein tyrosine kinase)를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그러나, 효과가 없거나 자궁암 및 유방암의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오히려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도 보도된 바 있다. 따라서, 제니스테인의 부작용과 같은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 새로운 식물성에스트로겐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그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자원들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여성 폐경기 증후군에 대한 치료, 개선 또는 예방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Genistein,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vegetable estrogen,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the protein tyrosine kinase of cells and thus to inhibit the growth of cancer cells. However,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it may cause cancer in people who have no effect or who have a genetic predisposition for uterine cancer and breast cancer.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new phytoestrogenic estrogens having excellent estrogenic activity without side effects such as the side effects of genistein. Due to this necessity, it is urgently required to objectively verify the natural resource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food and have proved its safety, and to develop a natural substance having a therapeutic, improving or preventive effect on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10-1067028B10-1067028B 10-1075554B10-1075554B 10-1141194B10-1141194B 10-0934022B10-0934022B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treating, ameliorating or preventing a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which comprises a natural product effective for treating, preventing or ameliorating a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식품조성물 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ndrome.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the female menopausal syndrome may be a food com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합(Lilium lancifolium) 및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백합 추출물 추출밀 및 계혈등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Lilium lancifolium ) and bloodthirsty ( Spatholobus suberectus ), preferably a mixture of a lily extract-extracting wheat and a bloo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용매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용매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The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lily and the blood can be a solvent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and the solvent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Lt; / RTI >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폐경기성 골다공증, 안면홍조 또는 정맥혈전증, 바람직하게는 폐경기성 골다공증인 것일 수 있다.The female menopausal syndrome may be menopausal osteoporosis, facial flushing or venous thrombosis, preferably menopausal osteoporosis.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성식품일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e syndrome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구체적으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백합(Lilium lancifolium) 구근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40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0℃에서 180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6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백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백합 추출물 제조 단계;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40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0℃에서 180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6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계혈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계혈등 추출물 제조 단계; 및 상기 백합 추출물 및 상기 계혈등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 : 1(백합 추출물 : 계혈등 추출물)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혼합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the female menopausal syndrome comprises the steps of:Lilium lancifolium) 1,400 parts by weight of water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ulb pulverized product, and the mixture was subjected to hot extraction at 100 DEG C for 180 minutes. The extract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60 DEG C and lyophilized to prepare a lily extract Lily extract; Bloodthirsty (Spatholobus suberectus) After adding 1,4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ulverized product, the mixture was subjected to hot extraction at 100 DEG C for 180 minutes, and then the extract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60 DEG C and lyophilized to prepare a blood- A step of preparing an extract such as blood-borne; And a step of preparing a mixed extract by mixing the lily extract and the blood red blood extract at a ratio of 1: 1 (lily extract: blood extract etc.) on the basis of weight to produce a mixed extract.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기존 호르몬 대체제에 사용되는 합성에스트로겐이나 동물성 에스트로겐과 같이 부작용과 같은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고, 독성도 문제되지 아니한 식물성에스트로겐을 개발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한약재 또는 식품으로 사용되어 그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자원인 한약원료 70 여종을 대상으로 연구 하던 중, 기존에 폐경기성 질환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은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이 다른 한약재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구체적으로 인간 유래 조골세포주인 MG-63 세포주에서 폐경기성 골다공증과 관련이 있는 조골세포 세포막이 당단백질인 알카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가 특히,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 : 1로 혼합한 경우에 각각 처리한 경우에 비해 ALP 활성 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phytoestrogen which exhibits excellent estrogenic activity but does not cause side effects such as synthetic estrogens or animal estrogens used in conventional hormone replacement agents and has no toxicity, In studying about 70 kinds of herbal medicines, which are proven safe natural resources, the extracts of lilies and blood extracts which are not known specifically for menopausal diseases have remarkably superior estrogen analogues Specifically, the osteoblast cell membrane associated with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MG-63 cell line, a human osteoblast cell lin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glycoprotein,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effect can remarkably improve the ALP activit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ly extract and the blood extract were mixed at a ratio of 1: 1 on the weight basis, Thereby completing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여성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 구체적으로 에스트로겐과 같은 활성 또는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active ingredient refers to a component that provides a therapeutic, ameliorative, or preventive effect, particularly an estrogen-like or estrogen-like activity, in a composition, particularly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of a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do.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추출물이란 식물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 또는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결과물을 의미하며, 식물 자체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 결과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 extract " means an extract obtained by treating an extractive solvent with a plant or a product prepared by the method of producing an extract,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extract may be formulated ) Results.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포함한다.The extract has the meaning of being used as a crude extract, but broadly includes fractions obtained by further fractionating the extract. 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extract includes not only an extract obtained by using an extraction solvent, but also an extract obtained by additionally applying a purification process thereto. For example, the extract may contain a fraction obtained by passing the extract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a fraction obtained by various chromatographies (prepa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Further comprising fractions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에스트로겐(estrogen)은 주로 동물의 난소 안에 있는 여포와 황체에서 주로 분비되며, 태반에서도 분비되어 생식주기에 영향을 주는 여성호르몬을 의미한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벤젠 고리를 가지고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에스트론(E1), 에스트라디올(E2) 및 에스트리올(E3)의 세 종류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생식주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월경에 이상이 왔을 때의 치료법으로 사용되거나, 피임약에도 사용되기도 하며, 여성이 폐경에 이르게 되면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또는 폐경기 증후군의 주된 원인이 에스트로겐 부족이기 때문에 갱년기 장애 또는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호르몬 요법에 사용되기도 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estrogen is a female hormone that is mainly secreted in the follicles and progesterone in the ovary of an animal, and is also secreted in the placenta and affects the reproductive cycle. The estrogen is a steroid hormone with a benzene ring and is chemically very stable. Three kinds of estrone (E1), estradiol (E2) and estriol (E3) are well known. Since estrogen directly affects the reproductive cycle, it can be used as a treatment for abnormalities in menstruation, in contraceptive pills, and because menopause or menopausal syndrome i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when women become menopausal, It may also be used in hormone therapy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orders or postmenopausal syndromes.

상기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은 척추동물의 암컷의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여포호르몬(발정호르몬)의 하나로, 세포핵에 들어가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고, 세포의 증식을 일으키는 작용이 있으며, 난소나 자궁의 발육부전이나 갱년기 장애 또는 폐경기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 등을 위해 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여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은 주로 에스트라디올이다. 일 예로, 상기 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에스트라디올은 오바호르몬, 페라닌, 페미논, 프로기논 등이 있다.The estradiol is a steroid hormone secreted from the female ovary of vertebrate animals. It is one of the follicle hormones (estrogenic hormones). It enters the cell nucleus and promotes the synthesis of new proteins, causes cell proliferation, Estrogen is mainly estradiol, a female hormone that is marketed as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uterine growth disorder, menopausal disorder, or menopausal syndrome. For example, estradiol,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as the above-mentioned medicines, includes the overhormones, the peranin, the feminin, and the proginone.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폐경기 증후군 또는 갱년기 증상은 폐경기 여성에게서 호르몬 생산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증상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골다공증, 안면홍조, 발한, 수면 중 발한, 피부 건조, 질 건조증, 질 위축, 하부 요도 위축, 성교통,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소, 성욕 감퇴, 근육통, 관절통 또는 갱년기 증후군증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menopausal syndrome or menopausal symptoms refers to symptoms resulting from a decrease in hormone produ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and is generally understood to include osteoporosis, facial flushing, sweating, sweating during sleep, dry skin, vaginal dryness Is a concept that includes vaginal atrophy, lower urinary tract atrophy, dyspareunia, vaginitis, cystitis, dysentery, urinary incontinence, intensive impairment, short term memory impairment, anxiety, nervousness, memory loss, libido, myalgia, arthralgia or menopausal syndrome.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치료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treatment or amelioration refers to any action by which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improves or alleviates symptoms of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여성 폐경기 증후군 증상을 억제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 prophylactic " means any action that inhibits the symptoms of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administration means to provide any desired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to the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여성 폐경기 증후군에 걸린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을 포함한 모든 동물, 구체적으로 포유류에 속하는 동물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ny animal, particularly a mammal, including humans, monkeys, dogs, goats, pigs or rats, who have undergone female hormone syndrome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a female postmenopausal syndrome.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e syndrome may b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may include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and the like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백합(Lilium lancifolium)은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로 참나리(Tiger lily, Easter lily)라고도 불리운다. 주로, 대륙성 냉온대 기후에서 난온대 기후에 분포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일본, 중국 및 만주 등 유라시아 대륙의 동단에 식생하고,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암벽 틈, 제방 돌 틈, 산지 개울 바위 틈바구니 등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산지 암벽식생 또는 이차초원식생 여러해살이 식물이다.The lily (Lilium lancifolium ) is a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Liliaceae, also known as Tiger lily (Easter lily). It is mainly distributed in temperate climates in continental cold and warm climates. It is distributed in the temperate climatic regions of Korea, including Japan, China, and Manchuria, and is rooted in rock walls, banks of rocks, Mountain climbing rocky vegetation or secondary grassland vegetation is a perennial plant.

상기 참나리의 줄기는 흑자색 반점이 있고, 원줄기 아래 땅속에 둥근 비늘줄기가 발달하며, 땅에 떨어진 구슬눈에서 발아한다. 또한, 상기 참나리 잎은 어긋나며, 창끝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 짙은 갈색의 구슬눈이 있고, 상기 참나리의 꽃은 7월 내지 9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밑을 향해 달리며, 짙은 황적색 바탕에 흑자색 반점이 있고, 뒤로 말리며, 상기 참나리의 열매는 캡슐열매를 만들지만, 주로 비늘줄기와 구슬눈으로 번식한다. 또한, 상기 참나리의 구근은 긴 타원형, 피침형 혹은 긴 삼각형으로, 각질성 인편이며 중심부는 두꺼우나 가장자리는 얇고 주름져 있거나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구근의 바깥면은 유백색 또는 엷은 황갈색으로 광택이 조금 있고 반투명하며, 상기 인편에는 여러 줄의 평행맥이 있고 질은 단단하나 쉽게 부서지고 꺾은 면은 매끈하다.The stem of the Cygnus sinensis has dark purple spots, and the stem of the round scales develops in the ground under the main stem and germinates in the eye of the beads falling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Korean cypress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with a dark brown beaded eye on the leaf axilla in the shape of a lanceolate. The bulbaceae flowers run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branch and the main stem at July to September and have dark purple spots And dried back, the fruit of the Korean squid produces a capsule fruit, but it mainly grows with scaly stem and bead eyes. In addition, the bulb of the Cygnus sinensis is long elliptical, lanceolate, or long triangle, and it is keratinous scaly. Its central part is thick, its edges are thin, wrinkled or curved in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bulb is milky white or light yellowish brown with a slight gloss and translucency. There are several lines of parallel veins on the scales, the vagina is hard, but easily broken, and the folded surface is smooth.

상기 백합은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및 구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근일 수 있다.The lily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af, flower, fruit, stem, root and bulb, preferably bulb.

상기 백합 구근 즉, 참나라 구근은 냄새가 없고 맛은 조금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상기 백합 구근은 예로부터, 진액을 생성시키고 폐를 윤택하게 하여 오랜 기침이나 마른 기침을 멈추게 하며, 정신을 안정시킬 수 있어서, 사고력, 언어, 행동, 미각 등이 상실되고 입맛이 없고 소변이 붉은 증상에 사용하여 왔다.The lily bulb, that is, the true bulb, has no smell, has a slightly sweet taste, and is of low quality. The lily bulbs have been known for a long time to produce laxatives and enrich the lungs to stop long coughing and dry coughing and to stabilize their minds so that they lose thinking, language, behavior, and taste, have no appetite, .

또한, 상기 백합 구근의 약리작용으로는 약리작용은 진해작용, 강장작용, 항산화작용, 진정작용 및 항알레르기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나,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 또는 조골세포에서 알카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개선능에 대해서는 보고되어 있지 아니하다. In addition,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e lily bulbs have been reported to be pharmacological actions such as acne action, tonic action, antioxidative action, sedative action and antiallergic action, but estrogen-like activity or alkaline phosphatase (ALP) improvement in osteoblast It is not reported.

상기 계혈등은 콩과의 밀화두(Spatholobus suberectus)의 덩굴줄기를 의미한다. 상기 계혈등이란 이름은 밀화두의 덩굴줄기의 즙액이 마치 닭의 피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상기 밀화두의 신선한 줄기를 자르면 적갈색의 닭의 피 같은 액즙이 흘러나오는데, 이 액즙이 마르면 굳어지고 딱딱해지며, 꺽으면 박편상으로 된다. 상기 계혈등은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The blood-drawing means the vine stem of Spatholobus suberectus . The name "blood-blood" is the name given to the juice of the vine stalks of wheat tongue as if it were the blood of a chicken. When the fresh stem of the wheat earthen is cut, juice like reddish brown chicken blood flows out. When the juice dries, it hardens and hardens, and when it turns, it becomes flaky. The blood and blood are slightly odorous, taste is sweet, and the quality is warm.

상기 계혈등은 혈액순환촉진 작용이 있어 사지마비동통에 효과가 있으며, 허약하고 빈혈이 있는 경우에도 활용하고, 고혈압, 심장병, 협심증에도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계혈등의 약리작용으로 소염작용, 진통작용, 관상동맥 확장 작용, 백혈구 증가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The blood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limb paralysis due to the blood circulation promoting action, and it is used even in the case of fragile anemia, and it is also known to have an effect on hypertension, heart disease and angina.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on, the analgesic action, the coronary artery dilating action, the leukocyte increasing action,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 이의 건조물 또는 이의 분쇄물, 이의 착즙액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mentioned lilies and blood-red blood cells may be on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plant extract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and blood, Or by adding a fraction solvent to the crude extract prepared by adding an extraction solvent to the pulverized material and juice thereof or by extract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채취한 것,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생육단계 중 모든 시기가 사용가능하다.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and blood is not limited, such as collected, cultivated, or marketed,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lily and the blood, Available.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구체적으로 용매추출법, 초임계추출법, 아임계추출법, 고온추출법, 고압추출법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흡착수지는 일 예로 XAD 또는 HP-20 등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 예로 용매추출법일 수 있다.The method for preparing the above extract can be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plant extract, specifically a solvent extraction method,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a subcritical extraction method, a high 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a high pressure extraction method or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Resin. ≪ / RTI > The adsorption resin may be, for example, XAD or HP-20.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extract may be, for example, a solvent extraction method.

상기 용매추출법은 열 추출법,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초임계 추출기, 아임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The solvent extraction method may be a heat extraction method, a cold extraction method, a warm-up extraction method, or the like, and a conventional extraction device, an ultrasonic pulverizing extractor, a supercritical extractor, a subcritical extractor or a fractionator may be used.

상기 용매추출법에 의해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용매추출법에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상기 알코올 희석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알코올 희석수는 알코올 50%(v/v) 내지 99.9%(v/v)로 물에 희석한 것 일 수 있다.When one or more kinds of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blood are produced by the solvent extraction method,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n the solvent extraction method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organic solv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organic solvent may be a polar solvent such as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diluted alcohol, ethylacetate or acetone, a nonpolar solvent such as ether, chloroform, benzene, hexane or dichlorometh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The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may be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isopropanol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lcohol-diluted water may be diluted with water in an amount of 50% (v / v) to 99.9% (v / v) of alcohol.

본 발명의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알코올 희석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은 일 예로, 50℃ 내지 200℃, 또는 75℃ 내지 150℃, 또는 90℃ 내지 11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24시간, 또는 30분 내지 12시간, 또는 1시간 내지 5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extraction solvent of the extract of at least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s having 1 to 5 carbon atoms, alcohol diluted water, and mixtures thereof. More preferably,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mixtures thereof, and still more preferably water. The extra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t, for example, 50 ° C to 200 ° C, or 75 ° C to 150 ° C, or 90 ° C to 11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traction tim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10 minutes to 24 hours, 30 minutes to 12 hours, or 1 hour to 5 hours.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한 분획물일 수 있다.The extract may be a fraction prepared by extract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or extract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and fractionating the extract with a fraction solvent.

상기 분획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것 일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 각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The fraction is extracted with an extraction solvent and extracted with any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ne, methylene chloride, acetone, ethyl acetate, ethyl ether, chloroform, water and mixtures thereof, preferably hexane, methylene chloride and ethyl acetate And the fractionation process is further carried out with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wo or more kinds of solvents may be used for the fractionation, and fractions of each extract may be prepared by sequentially using them or by mixing them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solvent.

상기 분획과정은 일 예로, 4℃ 내지 120℃, 또는 50℃ 내지 90℃, 또는 60℃ 내지 8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raction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t 4 ° C to 120 ° C, or 50 ° C to 90 ° C, or 60 ° C to 8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 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 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or the fraction obtained by performing the fractionation process may be filtered, concentrated or dried to remove the solvent, and may be subjected to both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can do. Specifically, the filt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filter paper or a vacuum filter, and the concentration can be reduced by using a vacuum concentrator, for example, a rotary evaporator. The drying can be performed by, for example, freeze drying.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일 예로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와 함께 추출용기에 넣어 추출 및 여과 한 것을 감압농축하고 다시 동결 건조한 분말형태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One or more kinds of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etc. are extracted and filtered by putting in an extraction container together with an extraction solve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etc., and the mixture i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It can be of the form. The extracts obtained can be stored in a deep freezer until use.

또한,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천연식물로부터 분리된 천연물 또는 이와 동일하게 이를 가공한 가공물로서 식품의 식재료로 오랫동안 사용되었고,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원재료 데이터베이스(DB)에 식용가능 식물로 등재되어, 안정성이 문제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In addition, the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was used for a long time as a food material as a natural product isolated from a natural plant or a processed product thereof, ,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bility was not a problem.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조골세포에서 ALP 활성 개선능이 우수한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식품의 식재료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으로 안정성이 문제되지 않으므로,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바람직하게는 폐경기성 골다공증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추출물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It has been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lily and the blood is excellent in the ability to improve ALP activity in osteoblasts,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female menopausal syndrome, preferably postmenopausal osteoporosis. From this point of view,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brai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gredient of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of an extract.

상기 추출물 중 ALP 활성 개선능과 관련하여,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 : 1(백합 추출물 : 계혈등 추출물)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 : 1(백합 추출물 : 계혈등 추출물)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As to the ability to improve ALP activity among the above extracts, it was found that a mixture of extracts obtained by mixing the extract of Liliaceae with the extract of Liliaceae at a ratio of 1: 1 by weight (extract of Liliaceae: extract of Bacillus) was the most preferable. In this respect, the above extract may be a mixture of extracts obtained by mixing the extract of Liliaceae with the extract of Bacillus, etc. in a ratio of 1: 1 on the weight basis (extract of Liliaceae: extract of Bacillus).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includes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and the like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postenopausal syndrome)은 폐경기뿐만 아니라 전폐경기(perimenopausal) 및 후폐경기(postmenopausal) 시기에 발생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모든 증상을 의미한다.The term postenopausal syndrome refers to all symptoms caused by a decrease in estrogen not only in menopause but also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periods.

상기 전폐경기는 실제적인 폐경이 시작되기 전의 시기로, 상기 전폐경 시기에는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불규칙하게 되며, 여성의 가임능력이 크게 감소된다. 상기 전폐경기는 몇 개월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전폐경기에도 갱년기(climacteric)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The full-blown competition is a period before the actual menopause starts. During the entire menopausal period, the generation of estrogen is irregular, and the fertility of the woman is greatly reduced. The full-closed event may last for several months or several years, and climacteric symptoms may occur in the full-closed event.

상기 폐경기 증후군은 골다공증, 성교통증, 질건조증(vaginal dryness), 수면 장애(sleep disorder), 집중력 이상(mental awareness problem), 관절통, 근골격 질환, 소화불량, 요실금, 피로, 혈관 운동 난조로 인한 신열, 안면홍조, 야간의 발한, 심계항진(palpitations), 우울증, 불안증(anxiety) 및 과민성(irritability) 등의 갱년기(climacteric) 증상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서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해 발생되는 심각한 질환이나 현상들, 일 예로 갱년기 증후군증, 비뇨생식기계 질환, 심혈관계 질환, 치매, 치아손실 또는 피부 콜라겐 손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nopausal syndromes ar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osteoporosis, vaginal dryness, sleep disorder, mental awareness problem, arthralgia, musculoskeletal disease, dyspepsia, urinary incontinence, fatigue, Climacteric symptoms such as facial flushing, night sweats, palpitations, depression, anxiety and irritability, and furthermore severe diseases or condition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Menopausal syndrome, genitourinary disorders, cardiovascular disease, dementia, tooth loss or skin collagen loss, and the like.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은 바람직하게는 폐경기성 골다공증, 안면홍조 및 정맥혈전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폐경기성 골다공증일 수 있다.The female menopausal syndrom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nopausal osteoporosis, facial flushing, and venous thrombosis, preferably menopausal osteoporosis.

상기 골다공증(osteoporosis)이란 골소공증 또는 골 조송증이라고도 하며, 동일 연령과 성별의 정상인에 비해 골 량이 현저히 감소된 상태로 골의 구성성분의 양적감소를 주 병변으로 하는 대사성 골 질환을 의미한다.The term osteoporosis, also referred to as osteoporosis or osteoporosis, refers to a metabolic bone disease in which the bone mass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a normal person of the same age and sex, with a quantitative reduction of bone constituents as a major lesion.

상기 골다공증에는 폐경기성 골다공증, 노인성 골다공증 및 골 취약증을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폐경기성 골다공증일 수 있다. 상기 골다공증은 주로, 뼈조직의 감소로 뼈에 구멍이 나거나 칼슘염의 감소로 기인하여 뼈가 얇아지고 약해지는 현상을 수반한다. 따라서,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는 뼈의 골절이 잘 발생하게 된다. The osteoporosis may include menopausal osteoporosis, senile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 preferably menopausal osteoporosis. The osteoporosis mainly involves a phenomenon in which bone is thinned and weakened owing to a decrease in bone tissue and a decrease in calcium salt. Therefore, patients with osteoporosis will have bone fractures.

상기 골다공증, 특히 폐경기성 골다공증은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월경이 일어나지 않는 폐경 상태에서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며, 상기의 에스트로겐의 분비량의 감소는 뼈의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을 증가시켜 뼈의 파괴를 촉진하고 뼈의 칼슘침작을 감소시키며, 콜라겐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e osteoporosis, particularly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estrogen secretion. More specifically, in a menopausal state in which menstruation does not occur, secretion of estrogen, a female hormone, is reduced. The decrease in the secretion amount of estrogen increases the activity of osteoclasts in the bone, thereby promoting bone destruction. Reduce calcium precipitation, and reduce the amount of collagen produced.

보다 상세하게는, 골 형성을 위해서는 칼슘(Ca)의 공급 및 콜라겐(Collagen)의 합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는 하나, 갱년기 즉, 여성의 폐경기성 골다공증의 경우 골 자체의 형성 문제보다는 골 흡수와 관련된 체내의 비정상적 호르몬 현상에 기인한 것이므로 칼슘의 부족 보다는 에스트로겐의 부족에 따른 콜라겐 합성의 저해가 원인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즉, 폐경기에 의해 에스트로겐이 부족하게 되면 콜라겐의 합성이 줄어들고 칼슘의 골 침착이 감소하므로 골 흡수가 증가되어 골다공증이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폐경기성 골다공증은 단순한 칼슘의 식이 섭취만으로는 이를 치유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ly of calcium (Ca) and the synthesis of collagen are indispensably required for bone formation. However, in the case of menopausal osteoporosis in women, And it is reported that inhibition of collagen synthesis due to lack of estrogen is caused by the inhibition of calcium rather than calcium deficiency. In other words, when estrogen is inadequate due to menopause, the synthesis of collagen is decreased and the bone resorption of calcium is decreased, so that it is reported that osteoporosis can be caused by increased bone resorption. Therefore, it has been reported that menopausal osteoporosis can not be cured by simple dietary calcium intake.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0.1 중량%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and blood, as an active ingredi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By weight to 99%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에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물질, 구체적으로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 이외에 공지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화합물 또는 천연물에 대한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A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and blood red blood as an active ingredient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lily and the blood, Or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and the like,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lily and the blood,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known women's menopausal syndrome improvement Or a compound having a prophylactic effect or an extract for a natural product.

또한, 상기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성식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e syndrome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The term " food " means a natural product or a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preferably a state of being able to be eaten directly through a certain degree of processing, Beverages, food additives, beverage additives, and the like.

상기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Such foods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may contain special nutritional foods (e.g., crude oil, spirits, infant food, etc.), meat products, fish products, tofu, jelly, noodles (Such as soy sauce, soybean paste, hot pepper paste, mixed sauce), sauces, confectionery (eg snacks), dairy products (eg fermented milk, cheese), other processed foods, kimchi, pickled foods (E.g., fruit, vegetable beverages, two-oil beverages, fermented beverages, etc.), seasonings (e.g., ramen soup, etc.). The food, the health functional food, the beverage, the food additive and the beverage additive can be produced by a usual production method.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중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The above-mentioned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group to which the function of the food is added to a specific purpose by physical, biochemical, and biotechnological techniques, and to control the bio-defense rhythm of the food composition, Means a food which has been designed and manufactured so that the weight control function related to the living body is sufficiently expressed to the living body.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include food-acceptable food supplementary additives, and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상기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The drink refers to a generic term for eliminating thirst or drinking to enjoy a taste, and is intended to include a health functional drink. The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ains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and blood, etc.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s an active ingredient. Various ingredients such as ordinary drinks,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as additional components.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또는 5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di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s, cyclodextrins and the like, and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Natural flavors (tau mar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flavor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generally about 1 to 20 g, or 5 to 12 g per 100 ml of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drink, Can also be added.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lavoring agent such as a variety of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gents and thickening agent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n additive is not so important, but may be selected from the range of 0 to 200,00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and blood red blood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The health-functional beverage is used to control the bio-defense rhythm of the beverage group or beverage composition to which the added value is imparte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beverage functions for a specific purpose by physical, biochemical, biotechnological, or the like, Means a beverage which has been designed so as to sufficiently express the body controlling function related to the living body.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ains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o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ssential ingredients in the indicated ratios,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as additional components.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이다.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di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s, cyclodextrins and the like, and xylitol , Sorbitol, and erythritol. Natural flavors (tau mar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flavor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5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0002 g 내지 5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 and the like, wherein the effective ingredi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01% by weight to 10% And the beverage composition may be included at a ratio of 0.00002 g to 5 g based on 100 ml.

본 발명의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실험결과를 통해, 조골세포에서 알카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폐경기성 골다공증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하기 위해 시행하는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종래의 여성 폐경기 증후군에 대한 치료제와 달리 안전성도 문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백합 및 계혈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오래전부터 한약재 또는 식품으로 사용될 정도로 부작용이 적고, 안전한 물질이므로, 종래 여성 폐경기 증후군, 구체적으로 폐경기성 골다공증에 대한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ly and blood-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in osteoblasts, (HRT), which is used to prevent, alleviate or cure postmenopausal osteoporosis caused by deficiency, and it is not safe to use th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unlike conventional treatments for postmenopausal syndrome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mentioned lily and blood-borne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medicinal herb or food, and has a low side effect and is a safe substance. Therefore, it has excellent effect on improvement of the conventional female menopausal syndrome, specifically menopausal osteoporosi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합 및 계혈등 각각과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처리한 추출물의 농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성대조군(무처리)을 기준으로 측정된 세포의 생존 정도를 나타내며, 도 1a는 백합 추출물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1b는 계혈등 추출물의 결과를 나타내며, 도 1c는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의 혼합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합 및 계혈등 각각과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항염활성을 확인한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처리한 추출물의 농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측정된 세포의 NO 분비 정도를 나타내며, LPS는 LPS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을 의미하고, Control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양성대조군을 의미하며, 도 2a는 백합 추출물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2b는 계혈등 추출물의 결과를 나타내며, 도 2c는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의 혼합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합 및 계혈등 각각과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조골세포에서 알카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 개선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처리한 추출물의 농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측정된 조골세포의 ALP 활성 정도를 나타내며, 0.05 μM estradiol은 0.05 μM 함량의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을 의미하고, Control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의미하며, 도 3a는 백합 추출물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3b는 계혈등 추출물의 결과를 나타내며, 도 3c는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의 혼합물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 1 is a graph showing cytotoxicity of a hot-water extract of each of a mixture of a lily and a blood m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aph, the abscissa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of the treated extract and the ordinate represents the negative control (untreated) FIG. 1 a shows the results of the lily extract, FIG. 1 b shows the results of the blood extract, and FIG. 1 c shows the results of the mixture of the lily extract and the blood extract.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hot-water extract of each of the compounds and the mixture such as lily and bl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 abscissa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of the treated extract and the ordinate represents the NO secretion LPS represents a nega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LPS, Control represents a positive control group to which no treatment is applied, Fig. 2a shows the results of the lily extract, Fig. 2b shows the results of the blood extract and the like, Figure 2c shows the results of a mixture of lily extract and blood extract.
FIG. 3 is a graph showing an improvement effect of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on osteoblasts of hot-water extracts of each and mixture such as lily and bl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aph,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level of ALP activity of the measured osteoblasts. 0.05 μM estradiol means a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0.05 μM of estradiol, and Control represents a negativ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FIG. 3A shows the results of the extract of Liliaceae, FIG. 3B shows the results of the extracts of the blood and blood, and FIG. 3C shows the results of the mixture of the extract of Liliaceae and the extract of Bacillu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든 데이터는 5개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으로부터 평균 ± S.E.M.으로 제시하였다. 그룹 간의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스튜던츠 투 테일드 t-테스트(Student's two tailed t-test)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P < 0.05; **, P < 0.01).
All data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as mean + -SEM from five or more independent experi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was calculated using the Student's two tailed t-test (*, P <0.05; **, P <0.01).

<< 실시예Example 1. 백합 및  1. Lilies and 계혈등Bloodbath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

백합 및 계혈등 추출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And extracts such as lysozyme and blood extract were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구체적으로, 국내에서 재배된 것을 구입한 백합 구근 및 밀화두 덩굴줄기인 계혈등을 구입한 후, 유수에서 3회 씻어내어 불순물을 제거하고, 상기 백합 및 계혈등 각각을 -3℃ 내지 -5℃의 온도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였다.Specifically, after purchasing the lily bulbs purchased from the domestic market and the blood flow, which is a stem of wheat tobacco, they are washed three times in the water to remove impurities, and the lily and the blood are respectively stored at a temperature of -3 ° C to -5 ° C , And then pulverized by a pulverizer to prepare a pulverized product.

상기 각각의 백합 및 계혈등 분쇄물 250 g에 3차 증류수 3.5 L를 각각 가하고 균질화시킨 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100℃에서 180분 동안 열수 추출한 후에, 각각 150 mesh의 여과지를 필터로 이용하여 조여과한 후, 감압농축기(Filter Press, Koreafilter, KFP-600MM-25-16-S,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60℃에서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시킨 백합 및 계혈등 각각의 추출액을 -2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증류수에 녹여 각각 백합 및 계혈등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한 백합 및 계혈등 추출물 시료는 사용시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각각 건조시킨 후, 사용시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3.5 L of the third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250 g of each of the above lysobacterium and cerebrospinal fluid, and homogenized. Then, the mixture was subjected to hot extraction at 100 ° C for 180 minutes using an extraction device, followed by tightening 150 mesh filter paper using a filter After that, the mixtur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60 ° C using a vacuum condenser (Filter Press, Koreafilter, KFP-600MM-25-16-S, Korea). The concentrated extracts of lily and blood were lyophilized at -20 ° C for 72 hours to prepare a powdery crude extract. The extracts were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o prepare extracts such as lilies and blood, respectively. The extracts of the extracts of lily and blood were prepared at -20 ° C until used. The extracts were dried and stored at -20 ° C until use.

<< 실시예Example 2. 백합 및  2. Lilies and 계혈등Bloodbath 추출물의 세포 독성 확인> Cytotoxicity of extracts>

ATCC에서 분양 받은 MG-63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MTT(methylthiazol terazolium bromide) Assay를 수행하였다.MTT (methylthiazol terazolium bromide) assay was performed to confirm cytotoxicity using MG-63 cells distributed from ATCC.

우선, 상기 MG-63 세포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의 세포배양기에서 2 내지 3일 마다 배지를 교환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MG-63 세포를 72시간 배양하고, 0.25% trypsin-EDTA로 처리하여 세포를 플라스크에 수집한 후, 세포수를 1×104 cell/mL의 농도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96-well plate에 100 μL/well씩 분주하였다.First, the MG-63 cell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while exchanging media every 2-3 days in a cell incubator under the conditions of 37 ° C and 5% CO 2 using DMEM medium. The MG-63 cells were cultured for 72 hours and then treated with 0.25% trypsin-EDTA to collect the cells in a flask. The cells were adjusted to a concentration of 1 × 10 4 cells / mL, mu] L / well.

상기 분주한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의 세포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 후, 전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배지 90 μL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백합 구근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및 백합 구근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 : 1로 혼합한 추출물 혼합물을 각각 200, 400, 600, 800, 1000 μg/mL 농도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인 용액시료 10 μL씩을 첨가하였다. 상기 시료를 첨가한 후, well plate에서 세포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음성대조구로는 시료대신 PBS 10 μL를 첨가하였다. 상기 MTT Assay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상기 시료 첨가 후, 배양이 끝나기 4시간 전에 MTT 시약을 PBS에 5 mg/mL의 농도로 녹인 후 여과 멸균하여 제조한 MTT 용액을 10 μL씩 각각의 well plate에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형성된 formazan 침전에 PBS 완충액 50 μL와 dimethyl sulfoxide(DMSO)를 각 well 당 100 μL씩 첨가하고 완전히 녹인 후, 5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세포생존율은 시료의 흡광도를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The cultured cells were cultured in a DMEM medium for 24 hours in a cell incubator under the condition of 37 ° C and 5% CO 2 , and then the medium used for the pre-culture was removed, and 90 μL of the medium and the lily bulbs Extracts, blood extracts, and extracts of lily bulbs and blood extracts were dissolved in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at concentrations of 200, 400, 600, 800 and 1000 μg / mL, respectively, 10 μL of each solution sample was added. After the addition of the above samples, the cells were cultured in a well plate for 48 hours and MTT assay was performed. As a negative control, 10 μL of PBS was added instead of the sample. The MTT assays were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10 μL of the MTT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the MTT reagent in PBS at a concentration of 5 mg / mL was added to each well plate 4 hours before the end of the incubation, in an incubator of% CO 2 condition were cultured for a further 4 hours. After the incubation, 50 μL of PBS buffer and 100 μL of dimethyl sulfoxide (DMSO) were added to the formazan precipitate, which was completely dissolved and stirred for 5 minutes. After the agitation,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using an ELISA reader, and the cell viability was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absorbance of the sample into the percentage of the absorbance of the negative control to which no sample was add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 .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합 추출물(도 1a)의 경우에는 50 ㎍/ml 범위부터 세포독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계혈등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의 농도가 100 ㎍/ml 이상 사용할 때에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경우 100 ㎍/ml일 때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200 ㎍/ml일 때 약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As shown in FIG. 1,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Liliaceae (FIG. 1A) had cytotoxicity from the range of 50 μg / ml, and in the case of the extract of blood and blood, the cytotoxicity was observe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was 100 μg /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mixture of lily extract and blood extract was not cytotoxic until 100 ㎍ / ml and slightly cytotoxic when it was 200 ㎍ / ml.

<< 실시예Example 3. 백합 및  3. Lilies and 계혈등Bloodbath 추출물의 항염활성 확인> Identific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의 항염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질산염(NO) 소거능 측정을 수행하였다.The nitrite (NO)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lily extract and the blood extract of Example 1.

구체적으로, 상기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은 Kato (1987)의 방법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우선, 1 mM NaNO3 1mL에 각각의 농도별로 해당용매에 녹인 백합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및 중량을 기준으로 1 : 1로 혼합한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의 혼합물 시료 1mL를 첨가한 후 0.1 N HCl (pH 1.2)로 10 mL이 되도록 정용하였다. 이를 37℃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액 1 mL를 취하여 tesr tube에 옮긴 후 2% Acetic acid 5 mL과 griess시약을 400 μL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 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에 의한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아질산염 소거능을 확인하고, 백합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및 중량을 기준으로 1 : 1로 혼합한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의 혼합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as follows by modifying the method of Kato (1987). First, 1 mL of 1 mM NaNO 3 , 1 mL of a mixture of lily extract, blood extract, and 1: 1 mixture of lily extract and blood extract, which were dissolved in the respective solvents, was added to each concentration. Then, 0.1 N HCl (pH 1.2). After reacting at 37 ° C for 1 hour, 1 mL of the reaction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test tube, and then 5 mL of 2% acetic acid and 400 μL of griess reagent were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5 minutes.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absorbance at 540 nm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the sample. FIG. 2 show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mixture of the lily extract, the blood extract, and the mixture of the lily extract and the blood extract, which were mixed at a ratio of 1: 1 on the basis of the weight, based on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합 추출물(도 2a), 계혈등 추출물(도 2b) 및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도 2c)의 경우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아질산염 소거능 즉, 항염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계혈등 추출물, 혼합물 및 백합 추출물 순으로 항염활성이 확인되어, 계혈등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mixture of the lily extract (FIG. 2A), the blood extract (FIG. 2B) and the mixture of the extract of Liliaceae and the blood extract (FIG. 2C), nitrite scavenging activity, , And the anti - inflammatory activity was confirmed to be in the order of extract, mixture and lily extract.

<< 실시예Example 4. 백합 및  4. Lilies and 계혈등Bloodbath 추출물의  Extract AlkalineAlkaline phosphatase포스화제 ( ( ALPALP )활성 확인>) Active verification>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백합 추출물과 계혈등 추출물의 ALP 활성 개선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ALP를 측정을 수행하였다.To measure the ALP activity improving ability of the lily extract and the blood extract of Example 1, ALP was measured.

우선, MG-63 세포를 6 well plate에 배양한 후 석회화 유도를 위해 분화유도 배지로 5일간 배양한 뒤 농도별로 준비된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여 0.2% triton X-100을 첨가하여 30분간 세포를 용해시켰다. 단백질량은 표준시료로 Bovine Serum Albumin(BSA)를 이용한 Bradford법을 사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한 후 정량하였다. 여기에 0.1N glycine과 100 mM p-nitrophenylphosphate (p-NPP)를 첨가한 뒤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0.1N NaOH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ALP 효소에 의해 p-nitrophenol로 전환된 양을 산출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MG-63 cells were cultured on a 6-well plate and cultured for 5 days with induction medium for induction of calcification. After culturing for 24 hours, 0.2% triton X-100 was added to the cells for 30 minutes . The amount of protein was determined by standard curve formation using Bradford method using Bovine Serum Albumin (BSA) as a standard sample. After addition of 0.1 N glycine and 100 mM p-nitrophenylphosphate (p-NPP), reaction was carried out at 37 ° C for 30 minutes. After the reaction, 0.1N NaOH was added to stop the reaction, and the absorbance at 405 nm was measured and converted to p-nitrophenol by ALP enzym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Fig.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합 및 계혈등 추출물의 혼합물 농도가 100 ㎍/ml 이상의 농도에서 약 238%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폐경 후, 발생하는 골다공증의 치료를 위하여 에스트로겐(estrogen)을 투여하는데 이는 에스트로겐이 조골세포의 estrogen receptor α(ER α) 혹은 β(ER β)와 결합한 뒤 핵 내로 이동하여 골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전사활성을 조절해 ALP 활성을 높이고 insulin-like growth factor I(IGF-I)와 같은 성장인자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aximum activity of the extract was found to be about 238%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 / ml or more. Estrogen is administered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Estrogen is combined with osteoclast estrogen receptor α (ER α) or β (ER β) It is known that it enhances ALP activity by regulating the activity and promotes the production of growth factors such as insulin-like growth factor I (IGF-I).

본 연구에서 백합 추출물의 경우에 50 ㎍/ml 농도에서 약 128%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어 0.05 μM 함량의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을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고, 계혈등 추출물의 경우에는 100 ㎍/ml 농도에서 약 166%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어 0.05 μM 함량의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을 처리한 양성대조군 보다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각 추출물이 상기 최대 활성을 나타낸 농도 보다 높은 함량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오히려 효과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세포독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In the present study, the maximum activity of about 50% at 50 μg / ml of L.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0.05 μM of estradiol, ㎍ / ml,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0.05 μM of estradiol. However, when each of the extracts was treated at a content higher than the maximum activity, the effect was rather reduced, and this effect was presumed to be related to cytotoxicity.

한편,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 농도가 100 ㎍/ml인 경우에 약 238%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 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의 각각의 세포독성과 관련된 부분 및 각 추출물 사용에 비해 혼합 사용에서 상승 효과가 발생된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예상은 백합 추출물이 실질적으로 50 ㎍/ml 사용되는 농도가 200 ㎍/ml인 실험군에서 ALP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결과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ixture of the extract of lily and the extract of blood and blood, the maximum activity was about 238% when the concentration was 100 ㎍ / m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remarkably superior to the positive control. These effects were expected to have a synergistic effect in the mixed use compared to the parts of the lily extract and the extracts related to cytotoxicity of each extract and the use of each extract. This prediction was supported by a significant reduction in ALP act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a concentration of 200 μg / ml at which 50 μg / ml of lily extract was actually used.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여성 폐경기성 골다공증 개선 효과에 있어서, 백합 및 계혈등을 1 : 1로 혼합한 혼합물이 ALP 개선 활성이 가장 우수하며, 세포독성도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ALP 개선 활성은 항염 활성 즉, NO 소거능과 다른 경향에 관한 것으로, 세포독성뿐만 아니라 ALP 개선 활성에서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 개선 정도가 인정되었으므로, 향후 제품 생산에 있어서도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을 1 : 1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ixture of 1: 1 mixture of lily and blood was the best in improving the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female, and showed the highest ALP improving activity and the lowest cytotoxic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und of formula (I), which comprises the step of mixing a 1: 1 mixture of a lily extract and a blood extract, etc. It was evaluated to be preferable.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6)

백합(Lilium lancifolium) 구근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40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0℃에서 180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6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백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백합 추출물 제조 단계;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400 중량부를 첨가하고, 100℃에서 180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6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계혈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계혈등 추출물 제조 단계; 및
상기 백합 추출물 및 상기 계혈등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 : 1(백합 추출물 : 계혈등 추출물)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혼합 추출물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폐경기성 골다공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1,400 parts by weight of water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Lilium lancifolium bulb pulverization product, and the mixture was subjected to hot extraction at 100 DEG C for 180 minutes. Then, the extract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60 DEG C, A step of preparing a lily extract to produce a lily extract;
Gyehyeol including adding 1,400 parts by weight of water for (Spatholobus suberectus) pulverized product 100 parts by weight, concentrated and extracted hot water at 100 ℃ for 180 minutes under reduced pressure. The extract from the next, 60 ℃ filtered through a filter paper and freeze-dried A step of preparing an extract such as a blood-brain extract to produce an extract such as a blood-brain extract; And
The lily extract and the blood extract are mixed with each other at a ratio of 1: 1 (extract of lily: blood extract etc.) on the basis of weight to prepare a mixed extract
&Lt; RTI ID = 0.0 &gt; osteoporosis &lt; / RTI &gt;
백합(Lilium lancifolium) 열수 추출물 및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열수 추출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 : 1(백합 추출물 : 계혈등 추출물)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성 골다공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A mixture of Lilium lancifolium hot-water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hot-water extract at a ratio of 1: 1 by weight (extract of lily extract: blood extract etc.)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enopausal osteoporosis &Lt; / RTI &g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경기성 골다공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여성 폐경기성 골다공증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성식품인 폐경기성 골다공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the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women.
삭제delete
KR1020170105582A 2017-08-21 2017-08-21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glycyrrizae radix extract, astragali radix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 KR101966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82A KR101966879B1 (en) 2017-08-21 2017-08-21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glycyrrizae radix extract, astragali radix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82A KR101966879B1 (en) 2017-08-21 2017-08-21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glycyrrizae radix extract, astragali radix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74A KR20190020874A (en) 2019-03-05
KR101966879B1 true KR101966879B1 (en) 2019-04-09

Family

ID=6576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82A KR101966879B1 (en) 2017-08-21 2017-08-21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glycyrrizae radix extract, astragali radix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87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455A (en) * 2010-06-15 2012-01-05 Kanpo Shika Igaku Kenkyusho:Kk Prophylactic or therapeutic drug for osteoporosis, and health fo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65A (en) * 2002-02-01 2003-08-09 김도영 lily containing rice manufacturing method.
KR100934022B1 (en) 2007-10-10 2009-12-28 한국식품연구원 Composition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isolated from Bogolgol extract or Bogolgol extract excellent in estrogen activity
KR101141194B1 (en) 2008-12-26 2012-07-09 (주)내츄럴엔도텍 Phytoestrogenic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Symptoms Associated with Menopause
KR101067028B1 (en) 2010-02-12 2011-09-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in women containing wild herbs extract
KR101075554B1 (en) 2010-02-25 2011-10-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extracts or fractions of Aceriphyllum rossii as an effective ingredi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455A (en) * 2010-06-15 2012-01-05 Kanpo Shika Igaku Kenkyusho:Kk Prophylactic or therapeutic drug for osteoporosis, and health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74A (en)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821B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of menopausal symptoms and improving blood circulation
KR101563577B1 (en) Functio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hypoestrogenism of women experiencing menopause
JP2003192605A (en) Lipase inhibitant
KR101515915B1 (en) Phytoestrog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Climacteric Syndrome and manufacturaring process for the same
JP4937445B2 (en) Bone metabolism improving agent and fo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CN102273679A (en) Preparation method of beverage
CN107582899B (en) Mongolian medicine for clearing heat and stopping bleeding and its preparing process
KR101626941B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Osteogenesi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KR101917363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germinated gemmule of bea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disorder
KR101067028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in women containing wild herbs extract
KR102087033B1 (en) Compositions for reducing weight comprising Oenothera extract or its fraction as effective component
KR101600751B1 (en) Method of preparing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deer antlers for treating infertility in women
WO2014123305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male climacteric containing dandelion extract or composite extract containing dandelion as active ingredient
KR20150037208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postmenopausal syndrome
KR101966879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glycyrrizae radix extract, astragali radix extract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
JP4993817B2 (en) Bone metabolism improving agent and fo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KR101822834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enopausal symptom
KR101795261B1 (en) Medicinal-Herb Composition Comprising Chinese matrimony vine for Treatmenting and Protecting the Insomniac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679290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201 crude drug complex as an effective ingredient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JP2007186483A (en) Food product for treatment of menopausal symptom
KR102025470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herb extract
CN107596247B (en) Mongolian medicine for treating lung disease and its preparing process
KR20170140592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ost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honey berry
KR101456127B1 (en) A composition for increasing bone growth
KR101344189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fermented or non-fermented Lonicerae Flos and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