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757B1 -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757B1
KR101960757B1 KR1020170082891A KR20170082891A KR101960757B1 KR 101960757 B1 KR101960757 B1 KR 101960757B1 KR 1020170082891 A KR1020170082891 A KR 1020170082891A KR 20170082891 A KR20170082891 A KR 20170082891A KR 101960757 B1 KR101960757 B1 KR 101960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love
peony
golde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800A (ko
Inventor
성민규
최원석
정영필
이기범
윤경식
함세라
Original Assignee
(주)셀아이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아이콘랩 filed Critical (주)셀아이콘랩
Priority to KR102017008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7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고 지방 분해량을 증가시키며, 지방세포의 중성지방을 분해함으로써 피하 지방층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LIPOLYSIS EFFECT}
본 발명은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지방 세포 내에 축적된 지방을 분해할 수 있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우리 인체 내에서 외부 환경과 가장 밀접하게 접하고 있으며, 인체 내부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이러한 피부는 표피(epdi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으로 크게 나뉜다.
여기서, 피하지방은 에너지를 지방으로 저장하는 지방조직을 이루는 지방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체 내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피하 지방은 에너지의 수요보다 공급이 많을 경우에는 지방세포 내에 중성지방으로 저장되었다가, 에너지가 고갈되었을 때 유리 지방산과 포도당으로 분해된다.
한편, 최근 현대 사회에서는 경제성장에 따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운동부족 및 고단백 위주의 식사 문화로 인한 비만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비만에 따른 질병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운동요법, 식이용법 및 약물요법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생활에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에는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으로 비만 및 비만에 대한 질병을 해결하기에는 적절한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더욱이, 지방세포는 한번 만들어지면 크기를 줄일 수는 있지만 자연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인체에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지방분해를 도울 수 있는 안전한 피부 외용제(예컨대 연고, 화장품 등)를 개발하여 병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최근에는 천연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동시에 한방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한방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들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능을 가진 식물소재로 연구되고 있으나, 대부분 단일 천연물이거나 천연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활용한 지방 분해 관련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품에 대한 것은 전문한 실정이다.
이에, 지방 세포에 남아있는 지방을 분해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지방 분해 관련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41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07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지방합성을 억제하고 지방 분해량을 증가시키며 지방세포의 중성지방을 분해함으로써 피하 지방층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백편두 추출물 : 상기 작약 추출물 : 상기 정향 추출물 : 상기 황금 추출물 : 상기 향유 추출물이 0.9~1.1 : 0.9~1.1 : 0.9~1.1 : 0.9~1.1 : 0.9~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 상기 작약 추출물, 상기 정향 추출물, 상기 황금 추출물 및 상기 향유 추출물은 서로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백편두 추출물, 상기 작약 추출물, 상기 정향 추출물, 상기 황금 추출물 및 상기 향유 추출물은,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 각각의 시료를 분쇄하여 추출 용매에 침적시켜 열수 추출한 후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 성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상기 각각의 시료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배로 제공되고, 상기 추출 용매에 대한 침적 온도 및 침적 시간은 각각 40 내지 70℃ 및 2~7 시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에 침적시켜 열수 추출한 수득물은 1 내지 3일 동안 방치한 후 100㎛ 이하의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키고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기를 통해 동결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시료를 혼합한 후 추출하거나,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시료에 대해 각각의 추출물을 얻은 후 이들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 추출물 혹은 복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지방합성을 억제하고 지방 분해량을 증가시키며 지방세포의 중성지방을 분해함으로써 피하 지방층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 각각의 단독 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안전한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천연물질로부터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에 도포 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혼합 추출물이 3T3-L1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혼합 추출물 처리 시 3T3-L1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TG)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효능을 갖은 화장료 조성물에서 혼합 추출물 처리 시 3T3-L1 세포 내에 형성되는 지방의 축적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 이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백편두(Dolichos Lablab)는 일명, 까치콩, 제비콩, 작두, 나물콩 등으로 불리우며, 콩과의 잘 익은 씨이다. 이러한 백편두는 서사(暑邪)를 제거하고 습을 빼내고 중초(中焦)를 편안하게 하며 기운을 아래로 내리고 비위(脾胃)를 따듯하게 한다. 또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h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에서 간압 세포주(HepG2)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작약(Paeonia Lactiflora)은 작약과(paeon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일부와 한국의 일대에 자생하고 있으며, 한약규격집에는 백작약과 적작약을 Paeonia lactiflora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를 말한다. 작약은 모노터펜 배당체(monoterpene glycoside), 아시딕 폴리사카라이드(acidic polysaccharide), 탄닌(tannin)류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진정작용, 혈소판응직억제 작용, 순화계에 대한 작용, 항종양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 작용 등이 있다. 또한, 작약은 알파-글루코시데이즈를 강하게 억제하여 혈당강하 및 인슐린 분비 증가의 효과를 갖는다.
정향(Syzygium Aromaticum)은 도금양과 식물로서, 유제놀(eugenol), 아세틸 유제놀(acetyl eugenol), 차비콜(chavicol), 유제놀 살실레이드(eugenol salcylate), 베타-카리오필렌(beta-caryophyllene) 및 후물렌(humulene) 등을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이러한, 정향은 위가 차가워서 생기는 구도, 위암, 복통, 소화불량과 성기능 증대, 잇몸염증 및 잇몸통증에 쓰이며,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진통, 향경련, 향염, 향산화, 항혈전, 항균, 구충, 혈압강하작용 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정향은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써 체중감소, 항염증 활성 저지혈 활성을 나타내어 당뇨, 비만, 동맥경화, 고지혈증을 나타내는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속썩은 풀의 뿌리로써,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을 말한다. 황금은 냄새가 거의 없고 약간 쓴맛이 난다. 황금은 항당뇨 효과 및 향비만 효과 증진으로 지방축적 억제를 통한 비만 치료 및 당뇨병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항유(Elsholtzia Ciliata)는 향여, 야소, 야어향 이라고도 불리우며, 한해살이풀로 온몸에서 강한 향기를 풍긴다. 향유는 열매를 포함한 지상부를 모두 약재로 사용하며, 꽃이 아름다운 자줏빛으로 피는 꽃향유와 가는 잎향유도 함께 쓰인다. 향유는 1% 정도의 정유를 함유하는데, 엑스콜치아케톤(Elscholtziaketon)이고 그밖에 세스퀴테르핀(Sesquiterpen)도 함유한다. 이러한 향유는 해열, 발한, 이수의 효능이 있고 위를 편안하게 해주기 때문에 감기와 오한, 두통, 복통, 구토, 설사 등을 다스리는 약으로 쓴다. 또한, 땀이 나지 않는 증세나 온몸에 부종이 생기는 증세, 각기, 종기, 등의 치료약으로도 쓰인다. 더욱이, 항유는 지방 축적을 저해하는 한약재로도 알려져 있어 비만 치료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백편두, 작약,정향, 황금 및 향유로부터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휴 혼합 추출물은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 각각의 시료를 분쇄하여 추출 용매에 침적시켜 열수 추출한 후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 성상으로 제공된다. 참고로, 시료는 그늘에서 건조한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뿌리를 의미한다.
우선,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뿌리를 세척하고 건조한다. 다시 말해서,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뿌리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다음, 그늘에서 일정시간 건조한다.
그 다음,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건조물을 추출용기에 넣고 일정량의 추출 용매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이때, 추출하는 용매에 따라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 각각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 용매는 에탈올 수용액으로 사용된다. 사용되는 에탄올 수용의 양은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 각각의 시료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배로 제공된다.
한편, 추출 용매에 대한 침적 온도는 4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5℃로 유지하는데, 이는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추출 용매에 대한 침적 시간은 2 ~ 7 시간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4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추출방법에는 예컨대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열수 추출, 상온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열수 추출을 방법을 이용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은 침적에 의한 수득물 즉,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추출물을 1 내지 3일 동안 방치하는데, 2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 2일 동안 방치된 수득물을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이때,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종이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2일 동안 방치된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추출물을 100 ㎛ 이하의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시킨다. 참고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도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과정을 추가로 거칠 수도 있다.
그 다음, 불순물이 여과된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추출물을 60℃ 이하에서 갑압하여 농축하고 건조한다. 그러면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추출물로부터 파우더 성상(형태)이 된다.
이때,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추출물은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감압건조, 동결건조 등을 이용하여 건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추출물은 동결 건조기에 의해 동결 건조된다. 참고로, 필요에 따라 최종 건조된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추출물을 분쇄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추출물을 간단히 설명한다.
백편두 추출물의 제조
음지(그늘)에서 건조하고 숙성시킨 백편두를 분쇄한 뒤, 500 g을 10배 가량의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 가온 열수 추출하고 냉침한 후, 100 ㎛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된 추출액을 60℃이하에서 감압농축 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해 완전히 건조시켜 백편두 추출물 103 g을 수득하였다.
작약 추출물의 제조
음지(그늘)에서 건조한 작약을 분쇄한 뒤, 500 g을 10배 가량의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 가온 열수 추출하고 냉침한 후, 100 ㎛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된 추출액을 60℃이하에서 감압농축 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해 완전히 건조시켜 작약 추출물 165 g을 수득하였다.
정향 추출물의 제조
음지(그늘)에서 건조시킨 정향을 분쇄한 뒤, 500 g을 10배 가량의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 가온 열수 추출하고 냉침한 후, 100 ㎛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된 추출액을 60℃이하에서 감압농축 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해 완전히 건조시켜 정향 추출물 124 g을 수득하였다.
황금 추출물의 제조
음지(그늘)에서 건조시킨 황금을 분쇄한 뒤, 500 g을 10배 가량의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 가온 열수 추출하고 냉침한 후, 100 ㎛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된 추출액을 60℃이하에서 감압농축 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해 완전히 건조시켜 황금 추출물 88 g을 수득하였다.
향유 추출물의 제조
음지(그늘)에서 건조시킨 향유를 분쇄한 뒤, 500 g을 10배 가량의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 가온 열수 추출하고 냉침한 후, 100 ㎛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된 추출액을 60℃이하에서 감압농축 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해 완전히 건조시켜 향유 추출물 130 g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혼합 추출물은,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이 각각 0.9~1.1 : 0.9~1.1 : 0.9~1.1 : 0.9~1.1 : 0.9~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즉,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된다.
또한,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 나노캡슐, 나노좀 등의 제형으로 용액 또는 파우더 형태로 존재한다면 당업자는 상기 농도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내에 이 용액 또는 파우더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 화장수가 있다. 더욱이,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과학 부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전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에 대해 추가로 지방 물질, 용해제, 유기 용매,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농축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비타민, 보존제, 차단제, 필수오일, 염료, 습윤화제, 발포제,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 등의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의 실험방법 및 실험결과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 설명된 실험방법 및 실험결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은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시료를 혼합한 후에 추출할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이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시료에 대해 각각의 추출물을 얻은 후에 각각의 추출물을 이를 혼합할 수도 있다.
한편,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조 과정을 통해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을 얻은 후에 각각의 추출물들을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방법 및 실험결과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쥐의 섬유아세포주(fibroblast)인 3T3-L1 전지방세포에서 혼합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MTT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혼합 추출물을 confluent 상태의 3T3-L1 전지방 세포에 농도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PBS에 용해된 2mg/ml의 MTT를 200μg/ml로 DMEM 배지에 희석하여 추가로 37℃ incubator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DMSO 300μl를 첨가하여 보라색의 formazan을 용해시켰다. 용해된 formazan은 96-well plate에 100μl 씩 넣어 microplate reader을 이용하여 54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처리하지 않은 3T3-L1 전지방세포의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 of control)하고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서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 = (실험군 540 nm 흡광도 / 대조군 540 nm 흡광도) * 100
실험군의 세포 독성
구분 세포 생존율(%)
대조군 100
각각 혼합 추출물(10ug/ml) 97.3
각각 혼합 추출물(50ug/ml) 92.6
상기 [표 1] 및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서의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에서 독성도가 없음이 확인되어 안전한 원료임을 확인하였다.
세포 배양 및 분화
생쥐의 섬유아세포주(fibroblast cell line)인 3T3-L1 세포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 배지가 담긴 6웰 배양 플레이트(culture plate)에 1x105 cells/well로 부착시켰다. 2일이 지난 후 다시 새로운 DMEM(10% FBS 함유) 배지로 교환하고 2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다시 1㎍/㎖ 인슐린(insulin), 0.5mM IBMX 및 0.25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함유한 DMEM(10% FBS 함유)로 분화 유도를 하고 2일이 경과한 후 다시 인슐린이 포함된 DMEM으로 교환하여 5일 동안 배양하였다. 5일 후 다시 정상 배지(DMEM, 10% FBS 함유)로 교환한 뒤, 혼합 추출물을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상기 세포가 형태적으로 지방세포로 변화할 때까지 관찰하면서 배양하였다.
Triglyceride 함량 측정
혼합 추출물의 3T3-L1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억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riglyceride assay Kit를 사용하여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3T3-L1 세포를 6-well plate에 7 × 104 cells/mL로 분주하고, 6일 동안 세포를 분화시키면서 각각의 샘플을 처리하였다. 2일 동안 샘플 처리 후 PBS로 세척한 후 scraper를 이용하여 세포를 모아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세포 내 중성지방을 추출하였다. 원심분리(12,000 rpm, 15분, 4℃) 하여 중성지방이 포함된 상층액을 회수 한 뒤, triglyceride kit를 이용하여 중성지방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구분 TG LEVEL
분화 세포 대조군 100
백편두 (50ug/ml) 80
작약 (50ug/ml) 69.7
정향 (50ug/ml) 76.8
황금 (50ug/ml) 70.3
향유 (50ug/ml) 64.5
혼합 추출물 (50ug/ml) 52.1
혼합 추출물 (50ug/ml) 30.2
상기 [표 2] 및 [도 2]를 참조하면, 혼합 추출물에 의한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TG) 함량의 감소 정도를 측정한 결과, 혼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 내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고 시료 처리 농도인 50㎍/㎖에서 대조군(control) 대비 약 70 %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의 감소를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이 지방 세포 내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총 지질량 측정(Oil red 0 염색)
혼합 추출물의 3T3-L1 세포에 대한 분화억제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Oil Red O 염색법을 사용하여 총 지질량을 측정하였다. 3T3-L1 세포를 6-well plate에 7 × 104 cells/mL로 분주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 혼합 추출물을 48시간 처리 한 다음 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하였다. 세포를 고정시키기 위해 4% Paraformaldehyde를 500μL씩 각 well에 넣고, 4℃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그 후에 Paraformaldehyde를 제거하고, PBS로 3번 세척한 후 Oil Red O 염색약을 400 μL씩 넣고, 상온에서 어두운 상태로 30분간 염색한 후 PBS로 3번 세척하였다. well 당 200 μL의 2-propanol을 넣어 지방세포 내 염색된 염색약을 추출하여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Lipid accumulation(%)
분화 세포 대조군 100
백편두 (50ug/ml) 70
작약 (50ug/ml) 68
정향 (50ug/ml) 79.5
황금 (50ug/ml) 71.1
향유 (50ug/ml) 60.5
혼합 추출물 (50ug/ml) 40.5
혼합 추출물 (50ug/ml) 25.8
상기 [표 3] 및 [도 3]을 참조하면, 혼합 추출물의 지질 함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향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세포 내 지방축적 억제 효능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백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향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백편두 추출물 : 상기 작약 추출물 : 상기 정향 추출물 : 상기 황금 추출물 : 상기 향유 추출물이 0.9~1.1 : 0.9~1.1 : 0.9~1.1 : 0.9~1.1 : 0.9~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에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 상기 작약 추출물, 상기 정향 추출물, 상기 황금 추출물 및 상기 향유 추출물은 서로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편두 추출물, 상기 작약 추출물, 상기 정향 추출물, 상기 황금 추출물 및 상기 향유 추출물은,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 각각의 시료를 분쇄하여 추출 용매에 침적시켜 열수 추출한 후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 성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상기 각각의 시료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배로 제공되고,
    상기 추출 용매에 대한 침적 온도 및 침적 시간은 각각 40 내지 70℃ 및 2~7 시간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에 침적시켜 열수 추출한 수득물은 1 내지 3일 동안 방치한 후 100㎛ 이하의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키고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기를 통해 동결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시료를 혼합한 후 추출하거나, 백편두, 작약, 정향, 황금 및 향유의 각각의 시료에 대해 각각의 추출물을 얻은 후 이들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82891A 2017-06-29 2017-06-29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0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91A KR101960757B1 (ko) 2017-06-29 2017-06-29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91A KR101960757B1 (ko) 2017-06-29 2017-06-29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00A KR20190002800A (ko) 2019-01-09
KR101960757B1 true KR101960757B1 (ko) 2019-03-22

Family

ID=6501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891A KR101960757B1 (ko) 2017-06-29 2017-06-29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7254A (zh) * 2020-03-23 2021-05-18 上海铮信生物科技有限公司 皮肤修复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426A1 (ko) 2014-10-13 2016-04-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729B1 (ko) 2005-09-02 2008-03-11 주식회사 엠이엘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KR20120120736A (ko) 2011-04-25 2012-11-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426A1 (ko) 2014-10-13 2016-04-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건희 "지방분해효소 작용을 억제하는 차세대 다이어트 식품소재 개발"(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00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93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702056B1 (ko)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00010316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9407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CN105997827A (zh) 复方山茶油保湿液及其制备方法
WO200700477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 available ingredient the extracts of equisetum arvense l.
KR102215254B1 (ko) 손상 모발 개선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1685251B1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1532001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
KR100769302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50292B1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0757B1 (ko)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3396B1 (ko) 개꼬시래기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90020946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20180087592A (ko)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1742B1 (ko) 사황산으로 코팅된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9147824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WO2022169066A1 (ko) 금화규 유래 콜라겐아미노산을 이용한 기능성 콜라겐 조성물
JP2017518335A (ja) 紅葉した大豆の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WO200708386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pinus koraiensis as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