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592A -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592A
KR20180087592A KR1020170011752A KR20170011752A KR20180087592A KR 20180087592 A KR20180087592 A KR 20180087592A KR 1020170011752 A KR1020170011752 A KR 1020170011752A KR 20170011752 A KR20170011752 A KR 20170011752A KR 20180087592 A KR20180087592 A KR 2018008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inseng
skin
lotion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경 filed Critical 김보경
Priority to KR102017001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592A/ko
Publication of KR2018008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증구포 인삼추출물은 0.1 내지 10 % 로 사용하고, 상기 수용성 진주는 5 내지 50 mg 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승 효과에 의하여 피부피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에 효과가 있어 화장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Co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ti-wrinkle and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nine times-steaming ginseng extract and water-soluble pearl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주로 한방에서 다년생 초본류의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는 식물이며, 고려인삼(Panax ginseng)으로 불리우고 있다. 인삼의 성분과 화학적 및 약리학적 특성은 사포닌(ginsenoside), 페놀 컴파운드(phenol compounds), 폴리아세틸렌(polyacethylene),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등과 같은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특히 인삼에는 사포닌 성분으로 대표되는 생체의 기능조절에 유효한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사포닌(ginsenoside) 성분은 면역기능, 항암작용, 항산화 활성, 신경장애 개선 혹은 당뇨와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의 예방과 증상개선 또는 치료 등에 유용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과 관련된 인삼 혹은 홍삼의 생리활성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ginsenoside-Rb2, ginsenoside-Rg3, Rh1 및 Rh2 등이 높은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비사포닌계 화합물(다당체 및 폴리펩티드)도 면역 기능의 조절과 종양의 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인삼이 대량으로 재배되어 체질증강과 면역력 보강을 위하여 전통적인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국내와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인삼에서 추출한 사포닌 성분(ginsenoside)을 의약품화하거나 의약원료로 응용하기 위한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삼의 생리활성을 좌우하는 주요성분은 사포닌(ginsenoside)으로 사포닌의 함량과 종류에 따라 효능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인삼의 생리활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로서 인삼에 열을 가하여 훈증하는 방식을 통해 사포닌 성분의 화학적 변화와 농축을 유도하여 생리활성의 강화는 물론 새로운 생리활성의 창출도 가능하다. 한 예로서 인삼을 1회 훈증하여 만든 것을 홍삼이라 부르며, 홍삼은 인삼보다 생리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을 1회 열처리하여 만드는 홍삼은 열처리에 의한 성분의 변화에 의해 면역력과 기력 증강 등의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홍삼은 국내외에서 인삼제품의 대표적인 브랜드로서 인식되어져 있다. 한편 최근 국내에서는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인삼 가공법에 의해 인삼의 효능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수삼을 정선하여 껍질이 존재하는 상태로 증숙(찜)과 건조과정을 9회 반복하여 만드는 구증구포(九蒸九暴) 가공법이 도입되었다. 구증구포 과정을 거치면서 검은 색을 띠게 되어 흔히 흑삼(黑蔘)이라 불리우며, 인체에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주는 수산생물인 조개류로부터 얻어지는 보석으로, 주요성분은 탄산칼슘이 대략 90% 이상이고, 기타의 유기물 및 수분을 포함한다. 유기물은 대부분이 골격성 단백질로 알려진 콘키올린(conchiolin)으로, 콘키올린은 7 내지 14종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천연단백질로서 진주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을 서로 결합시켜 진주의 형태를 형성시키는 자연결합성 물질이다. 진주는 고대로 한방 약재로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진주는 섭취할 경우 뼈를 강화하며 혈압을 낮추고 소화촉진 및 건위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3901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증구포 인삼추출물은 0.1 내지 10 %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진주는 5 내지 50 mg 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25 mg/ml 내지 25 mg/ml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g/ml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는 상승 효과에 의하여 피부피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에 효과가 있어 화장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구중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에 대한 세포 독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구중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에 대한 티로시나아제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구중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에 대한 PIP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구중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에 대한 wound healing assay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wound healing assay 에서의 healing area를 계산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9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01~30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1.1.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의 준비
인삼(수삼)은 4년근 이상 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먼저, 수삼을 엄선하여 선택하고, 세척과 수분제거를 한 후, 85℃ 이하로 장시간 저온 증숙하고, 30~40℃의 상온에서 장시간 자연건조하는 과정을 9회 반복하면 수삼이 홍삼으로, 홍삼이 구증구포 인삼(흑삼)으로 변하게 하였다.
상기 증숙된 인삼은 그늘진 곳에서 자연건조 숙성시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파동에너지를 방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는 세라믹 블록을 사용하였다. 즉, 상기한 세라믹 블럭은, 75%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증숙삼을 3일간 건조숙성하는 동안 곰팡이와 세균발생을 억제하여 자연건조 숙성시에 증숙된 삼이 충분한 숙성시간을 가지고 숙성되어 최상의 인삼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와 Rg2 및 유기게르마늄(Ge) 등의 성분 함량을 극대화시켰다.
이후, 구증구포 인삼을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 500 메시(mesh)이상의 분말로 분쇄한 다음, 구증구포 인삼 분말 500그램과 80중량% 에탄올 5리터를 10리터 플라스크에 취한 후, 환류 냉각기를 부착하여 멘털히터에 설치하고 50℃에서 12시간 교반 추출한 다음, 왓트만페이퍼 1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모아 1차 추출물을 만들었다. 이후, 추출액을 분리한 구증구포 인삼 잔류물에 50중량% 에탄올 4리터를 첨가하고 80℃에서 10시간 동안 재추출하여 1차 추출물 과정과 동일하게 여과한 후 2차 추출액을 분리한다. 상기 2차 추출과정을 1회 더 반복하여 3차 추출물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증류수 2.5리터를 첨가하여 9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여 4차 추출물을 만들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1차에서 4차 추출과정을 경유하여 분리한 추출액을 합쳐서 60℃ 이상에서 감압농축한 후, 원심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건조 분말화함으로써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1.2. 수용성 진주의 준비
수용성 진주는 파인펄 주식회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6721호와 같다. 간단하게, 살균 세척하고 건조한 진주를 진주를 제트빌 분쇄기에 투입하여 1차 분쇄시키고, 미세분말로 분쇄시키는 단계를 거치며, 미세분말에 20-30%의 식용 초산을 넣어 반죽하고, 12시간 정도 숙성시켰다. 이후, 숙성된 분말에 정제수를 넣고 200rpm으로 교반하여 초산 냄새를 제거하고 칼슘성분 및 단백질 성분의 수용성 액을 얻는 단계를 거친 후, 수용성 액을 필터 페이퍼를 통해 정제한 후 고온 100-200 ℃에서 1차 건조를 시켰다. 이후, 저온 50-80℃에서 다시 건조하여 30-35%의 수용성 진주 분말을 취득하였다.
1.3. 세포독성 평가 ( MTT assay)
세포독성의 평가는 MTT assay로 수행하였고, 예비실험을 통하여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효과가 있는 3개 이상의 시료의 농도 범위를 결정하였다. ㅅ세포는 피부세포인 HaCaT (human keratinocyte) 세포 및 Detroit551 (human fibroblast) 세포를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는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의 상태로 분주한 후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와 함께 시험 물질을 최종 농도에 맞게 세포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5 mg/ml MTT 용액을 각 well에 4 μl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DMSO (Dimethyl sulfoxide) 용액 200 μl씩 넣고 10분간 흔들어 준 다음 100 μl를 96 well plate에 취하였다. 이후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 정도에 따른 생존률은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Cell viability (%) = (시험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x 100
1.4. 미백 효능평가 ( Tyrosinase assay)
0.1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에 처리하고자 하는 시료를 여러 농도로 준비하고, 또한 동일한 buffer로 50 μg/ml mushroom tyrosinase를 만든 후 아래의 표와 같이 96 well plate에 넣어 혼합하였다. 그 후 1.5mM L-Tyrosine을 각 well에 20μl씩 첨가하여 혼합한 뒤,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놓아둔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ample blank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 50 μl 60 μl
50 μg/ml mushroom tyrosinase 20 μl
시험물질 10 μl
저해율 %= (1 - 시료 용액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100
1.5. 항주름 효능평가 결과(PIP assay)
Detroit551 (human fibroblast) 세포는 48 well plate에 5×104/well의 상태로 분주한 후,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와 함께 시험 물질을 최종 농도에 맞게 각 세포에 처리하였다. 물질 처리 24시간 후, antibody coated microtiter plate를 얼음에 둔 상태에서 100 μl의 peroxidase 표식 antibody solution을 각 well에 첨가하였다. 세포가 평판 되어 있는 플레이트의 각 웰에서 취한 배지를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 20 μl를 antibody coated microtiter plate의 각 웰에 첨가하고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지를 제거하여 250 μl의 ice-cold PBS로 4회 세척한 후, 각 well에 100 μl의 substrate solution을 첨가하고 차광한 상태에서 15분간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100 μl stop solution (1N H2SO4)을 첨가하고,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농도곡선을 작성하여 Human Procollagen I형의 C-말단 peptide (PIP) 특이 항체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분비된 배지 내의 Procollagen 함량을 검출하였다.
1.6. 상처치유 효능평가 (wound healing assay)
HaCaT (human skin keratinocyte) 세포는 12well plate에 1.5×105/well로 분주한 후,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가 90% 이상의 증식한 상태에서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로 갈아주었다. 각 well에 200P tip을 이용해 스크래치를 내어 wounded area를 만든 후 시험 물질을 최종 농도에 맞게 처리하였다. 물질 처리 후 0시간대에 세포 이미지를 현미경 사진으로 찍고 16-20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배지를 제거하고 fixing solution (4% paraformaldehyde)을 넣어 15분간 상온에서 incubation하고 PBS로 3번 washing 하였다. Wound healing이 된 정도는 현미경으로 사진을 찍어 Image J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2. 세포 독성 결과
구증구포 인삼, 수용성 진주 및 상기 두 가지 물질을 혼합물에 대한 세포독성 여부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인삼추출물,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 수용성 진주 및, 구증구포 인삼추출물와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에 대하여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3. 미백 결과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닌 생산을 조절하는 효소로서, 구증구포 인삼 및 수용성 진주에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 구증구포 인삼추출물의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약 35%로 증가하였고, 수용성 진주의 경우 25 mg/ml일 때 35% 이상으로 증가하였다(도 2). 그런데, 구증구포 인삼추출물과 수용성 진주를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는 농도를 낮게 하더라도 각 단일성분을 높게 처리한 효과보다 미백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즉, 저농도의 1% 구증구포 인삼추출물과 6.25 mg/ml의 수용성 진주를 혼합한 경우에는 고농도의 5%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또는 25 mg/ml 수용성 진주를 처리한 경우보다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상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따라서,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은 상승 효과에 의하여 각 단일성분으로 처리한 것에 비하여 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항주름 결과
본 발명자들은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에 대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PIP(procollagen I 형의 C-말단 peptide)의 양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또는 수용성 진주는 농도가 동일한 경우, 대조군 또는 인삼추출물에 비해 효과가 약간 상승하였고,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각 성분에 대한 효과보다 상승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3). 특히, 5% 구중구포 인삼추출물 및 25 mg/ml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의 경우 95 ng/ml의 PIP 양이 측정되었고, 이는 대조군인 60 ng/ml 에 비하여 158%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은 상승 효과에 의하여 각 단일성분으로 처리한 것에 비하여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세포재생(상처치유) 결과
본 발명자들은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에 대한 세포의 재생효과(상처치유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wound healing assay 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또는 수용성 진주는 대조군에 비해 세포 재생 효과가 있었고, 이에 비해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각 단일성분을 처리한 것에 비해 현저하게 상승된 피부 재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4). 특히, 5%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또는 25mg/ml 수용성 진주를 처리한 경우 47%의 healing area가 형성되었으나,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저농도의 1%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6.25mg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을 사용하더라도, 각 단일성분을 고농도로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의 세포재생이 일어났고, 3%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12.5mg/ml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 또는 5%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25mg/ml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의 경우에는 각 단일성분을 처리한 경우보다 현저하게 세포 재생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5).
따라서,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의 혼합물은 상승 효과에 의하여 각 단일성분으로 처리한 것에 비하여 세포재생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증구포 인삼추출물은 0.1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진주는 5 내지 50 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011752A 2017-01-25 2017-01-25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7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752A KR20180087592A (ko) 2017-01-25 2017-01-25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752A KR20180087592A (ko) 2017-01-25 2017-01-25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592A true KR20180087592A (ko) 2018-08-02

Family

ID=6325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752A KR20180087592A (ko) 2017-01-25 2017-01-25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75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824B1 (ko) 2019-06-25 2020-02-19 홍화영 골드펄(황금진주)프로테인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8823B1 (ko) 2019-06-25 2020-02-19 홍화영 블루펄(푸른진주)프로테인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2940A (ko) * 2018-08-24 2020-03-04 (주)아모레퍼시픽 상온 진공건조공법으로 얻은 수삼 증숙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108B1 (ko) 2012-03-30 2014-04-28 김명숙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108B1 (ko) 2012-03-30 2014-04-28 김명숙 구증구포 인삼 추출물과 천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940A (ko) * 2018-08-24 2020-03-04 (주)아모레퍼시픽 상온 진공건조공법으로 얻은 수삼 증숙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78824B1 (ko) 2019-06-25 2020-02-19 홍화영 골드펄(황금진주)프로테인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8823B1 (ko) 2019-06-25 2020-02-19 홍화영 블루펄(푸른진주)프로테인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188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US20110236512A1 (en) Stress-reducing agent including plant-derived polyamine-containing extract serving as active component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7315985B2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KR20200121828A (ko) 안티폴루션제 및 피부외용 조성물
WO2021005941A1 (ja) ネムノキ抽出物含有組成物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20180087592A (ko)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094739A (ja) 肌のキメ改善剤並びに該キメ改善剤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85251B1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8699A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527715B2 (ja) 黒生姜含有組成物
JP2019147824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JP2003137801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線維芽細胞増殖作用剤及び皮膚化粧料並びに美容用飲食品
KR20200114810A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6131558A (ja)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102545718B1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CN109715137A (zh) 用于抑制皮脂分泌的包含桃芽提取物的组合物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160139632A (ko) 생리활성을 가지는 달래추출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229211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미세먼지 유발 염증 개선, 및 모공축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