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02B1 -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302B1
KR100769302B1 KR1020060050051A KR20060050051A KR100769302B1 KR 100769302 B1 KR100769302 B1 KR 100769302B1 KR 1020060050051 A KR1020060050051 A KR 1020060050051A KR 20060050051 A KR20060050051 A KR 20060050051A KR 100769302 B1 KR100769302 B1 KR 100769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innamon
extract
effect
pruri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호
이은진
오동현
한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Priority to KR102006005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효과, 항히스타민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생합성 효과 및 섬유아세포증식 효과를 갖는 괄루근(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계피(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세신(Asari Herba), 호장근(Japanese knotweed) 및 정향(Caryophylli Flos)을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은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 약제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항염, 항히스타민, 항산화, 섬유아세포, 약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 for treating and improving scar pruritus }
본 발명은 괄루근, 계피, 당귀, 세신, 호장근 및 정향을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산화(antioxidation)란 체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산화작용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산화작용은 체내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불포화 지방산이 산소에 의해 산화되면 과산화 지질이라고 하는 물질이 생성되고 이것이 증가하면 노화 현상이 촉진되는 현상을 말한다. 인간의 질병 및 노화는 체내 대사과정 중 발생하는 O2 -(superoxide), NO(nitric oxide), NO2(nitrogen dioxide), OH(hydroxyl), ROO(proxyl), RO(alkoxyl), HO2(hydroperoxyl) 라디칼(radical) 등의 산화반응에 기인하며 생체 내에서는 이런 유해한 라디칼인 유리기로부터 생체를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SOD, 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CAT; catal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SHpx; glutathione peroxidase) 등의 항산화 효소나 비타민 E, 글루타치온 등의 항산화 물질이 존재하여 유리기를 제거함으로써 생체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Tiidus PM. et al, Sports Med, 20, pp12-13, 1995). 그러나 이러한 항산화 방어계가 유리기 생성을 조절할 수 없을 정도로 저하될 때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손상이 촉진되며 체내에서 생성된 과잉의 유리기와 지질 과산화물은 단백질의 산화, DNA 손상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증가시킨다(Kumar CT, et al, Mol. Cell Biochem., 111, pp109-115, 1992). 그러므로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해 많은 합성 또는 천연 항산화 물질이 개발되어 왔으나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Branen, A.L, J. Am. Oil. Chem. Soc., 55, 123-126, 1975; Ito, N., et al, J. Natl. Cancer Inst., 70, pp343-349, 1983), 최근에는 각종생약과 식용식물 추출물 등에서 보다 안전하며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Lim, D.K., et al,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pp83-89, 1996)
염증(inflammation)은 여러 가지 형태의 감염(infection)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대한 생체 내 방어기전의 발현이라 할 수 있고, 다양한 화학적 매개체가 염증의 발현 기전에 관여하고 있으며, 그 병인도 매우 복잡하다. 기존의 항염증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구분되며, 이중 대부분의 합성 항염증제는 주작용 이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적은 항염증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벌레에 물렸을 시 면역반응 중 제 3과민반응결과 염증반응이 나 타나 부종과 발적반응이 나타나는데 원래는 항체가 항원과 반응하여 항원-항체복합체 (immune complex)를 형성하고, 식균세포나 보체에 의하여 항원이 제거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양의 면역복합체가 형성되면 완전히 청소되지 못하고 조직에 손상을 주는 제 3형 과민반응이 유도된다. 만일 이러한 반응이 복합체가 있는 일부지역에서만 나타나면 국소적인 과민반응이 나타난다. 제 3형 과민반응이 유도되면 보체가 활성화되어, C3a, C4a, C5a 등과 같은 아나필라톡신(anaphylatoxin)이 만들어지고, 이들이 근처의 비만 세포를 활성화하여 혈관의 변화가 유도된다. 이들 아나필라톡신(anaphylatoxin)은 또한 호중성 백혈구를 유인하여 호중구가 면역복합체가 있는 곳에 모이게 한다. 그 후, 이들 호중구로부터 분비된 물질들에 의하여 조직손상이 유도된다. 또한 보체활성화에 의하여도 조직손상이 유도되며, 혈소판 활성화로 인하여 혈전이 형성되기도 한다.
항원을 동물의 피부에 주사하면, 국소적인 면역복합체의 형성이 나타나며, 결과적으로 그곳에 과민반응이 유도된다. 이러한 반응을 아루투스 반응 (arthus reaction)이라고 부르며, 제 3형 과민반응의 국소적인 모델이 된다. 이 반응에서 주사한 자리에 항원-항체 복합체가 형성되고, 보체활성화와 호중구의 유인으로 인하여 염증반응이 나타나 부종과 발적반응이 나타난다. 이러한 반응은 벌레 물렸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다.
외부에 의한 피부 손상 시 상처 치유는 손상을 받은 직후로부터 시작되는데, 이러한 피부 손상의 치유(wound healing)은 표피와 진피의 손상을 받은 표피가 벗겨져 있으며 신경말단이 노출되어 통증이 심하고, 촉촉한 상처 표면을 갖게 된다. 기저막이 노출되어 있으면서 표피가 소실된 상처에서는 상처 표면이 밝은 선홍빛을 띤다. 피부 손상 회복에서의 주요 구성 요소는 초기 염증반응, 상피세포의 증식과 이주, 정상적인 세포 기증이 회복된 표피층의 복구로 이루어져 있다. 진피가 소실된 상처일 경우에는 상피세포 회복과 동시에 결체조직의 복구도 함께 일어난다.
염증반응 중에서 먼저 혈관성반응이 일어난다. 조직 손상이 발생하고 응고 인자가 활성화됨으로서 나오게 되는 히스타민과 같은 물질의 방출로 주변 혈관들이 확장되면서 혈관 울혈이 생기고 장액성 삼출물이 상처의 기저부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상처에 홍반(erthema), 부종(edma), 열감(warmth), 삼출물(exudate), 통증(pain)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세포성반응으로 혈소판에 의해 생성된 화학물질들, 활성화된 응고 인자들, 피브린 파괴 산물로 인해 상처의 기저부로 백혈구가 오게 된다. 손상 후 4일 내에 대식세포가 나타나 점차로 백혈구를 대치하고 백혈구와 대식세포는 식균작용 및 괴사조직을 없애는 방어작용을 한다.
새로운 결체조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새로운 혈관 생성과 콜라겐 합성과정이 있다. 콜라겐 합성(collagen synthesis)과정에서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콜라겐 합성 및 기타 결체 조직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세포이므로 상처 복구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섬유아세포는 혈소판, 대식세포 등에 의해 염증기에 생성된 산물과 성장 인자 등에 반응하여 움직이고 증식하며 염증기 후반부에 상처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일차 치유양식에 의한 상처치유는 아주 소량이 교원질만으로도 손상 받은 부위를 채울 수 있으며 교원질 합성이 표피세포 이동과 거의 동시에 발생한다.
종래 사용되던 호르몬제 또는 화합물 제제들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최근에는 천연물 제제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로 조성된 제제는 부작용이 적고, 그 작용이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지속적이며 보조성분으로 난용성 성분이 이용성 성분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생분해성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괄루근(Trichosanthes kirilowii Maxim)은 하늘타리 뿌리의 약명으로 하늘타리는 외과의 다년생 덩굴성 초본이며, 길이 5m 쯤 뻗어나가며 단풍잎처럼 5∼7 개로 갈라지는데, 각 절편에 톱니가 있다. 잎의 표면에는 짧은 털이 많이 돋아 있다. 7월경에 꽃이 피는데, 꽃은 흰색이며 5개의 꽃잎이 달려 있고 각 꽃잎은 실같이 가늘게 갈라진다. 대개는 우리나라의 중남부 지방에서 자라고 있다. 땅속의 괴근이 비대하여 전분을 만들어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하늘타리의 뿌리를 토과근 또는 천화분이라 하고, 과루근열매를 토과실, 괄루종자를 괄루인이라고 한다. 괄루인을 달여 마시면 기침, 천식을 치유하며 젖이 잘 나오게 한다.
계피(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는 녹나무(Lauraceae)과에 속하는 생약으로, 중국 남부와 북 베트남이 주산지이고, 신나모멈 카시아(Cinnamomum cassia), 실론 계피(Cinnamomum zeylanicum), 자바 계피(Cinnamomum burmanii), 베트남 계피(Cinnamomum obtusifolium), 사이공 계피(Cinnamomum sieboldii) 등의 신나모멈속식물의 수피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주피를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하열, 중추억제, 지속적인 말초혈관확장, 혈소판응집억제, 피부 흑화(skin darkening) 방지, 혈액순환증진 등의 작용을 가지며 주로 발한 해열, 방향건위, 진 토효과로 인해 감기, 진통, 진경 등에 사용되고 있다.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승검초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서 한당귀라고도 한다. 승검초는 산형과의 다년초로서 줄기의 높이가 1m 가량되며, 깃털 모양의 잎이 마주난다. 당귀의 주성분으로는 디크루시놀, 디크루신이 있고, 한방에는 심혈과 간혈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안면창백, 입술과 손톱에 광채가 없고 머리와 눈이 어지러우면서 가슴이 뛰는 증상에 보혈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부기를 빼 주고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을 다스리므로 외과에도 활용된다.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하며 항염증, 진통작용이 나타나며, 비특이성 면역 촉진 작용이 있어서 단핵 대식세포의 탐식능력을 높이고 항산화 작용, 항방사능 작용이 있고, 기관지천식에도 유효하며, 간 기능 보호 작용과 여러 종류의 세균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세신(Asari Herba)은 방울풀과(Aristolochiaceae)에 속하는 민족두리풀 및 족두리풀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흔히 족두리풀뿌리라고 일컫는다. 고르지 않게 구부러진 노끈모양을 이르고 길이 2~4cm, 지름 2~3mm의 황갈색의 마디가 진 뿌리줄기에 길이 약 15cm, 지름 약 1mm의 뿌리가 많이 달린다.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혀를 약간 마비시킨다. 그 성분으로는 리그난 화합물인 l-세사민, 1.9∼3.4%의 정유가 들어 있으며, 정유에는 메틸에우게놀, 팔미틴산, 사프롤, 피넨, 치네올, 에우카르본 등이 들어있다. 해열, 진정, 진통, 항염, 항알레르기 작용, 국소마취작용 및 억균작용이 있다.
호장근(Japanese knotweed)은 높이 1~2m 정도 되는 여뀌과의 여러해살이 초 본이며 넓은 난형의 잎이 어긋나게 붙고, 줄기는 굵고 속이 비었고, 자주색 무늬가 있다. 한의학에서는 그 뿌리를 호장근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성분으로는 뿌리에 배당체인 폴리고닌이 있고 이를 물분해하면 에모딘과 당으로 된다. 그리고 에모딘, 에모딘모노메틸에테르, 크리소파놀 등이 있으며 잎에는 에모딘, 레우노우트린 등이 있다. 한의에서는 통경약, 이뇨약, 완하약으로써 월경과다, 방광염, 황달 등에 쓰고 민간에서는 감초와 함께 달여 달고 신맛이 있는 청량음료로 또는 기침약으로 쓴다.
정향(Caryophylli Flos)은 도금양과 식물인 정향의 꽃 내지는 꽃을 증류해서 얻어지는 휘발성 오일과 과실로 성직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독이 없다.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곽란, 신기, 분돈기와 냉기로 배가 아프고 음낭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성기능을 높이고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반위증을 낫게 하고 술독과 풍독을 없애며 여러 가지 종기를 낫게 한다. 치감을 낫게 하며 여러 가지 향기를 낸다. 또한 항산화 효과 및 유해산소 제거효과가 탁월하다.
따라서, 외부 자극으로 인한 피부 상해 치료제의 필수 항목인 항염 효과, 항히스타민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생합성 효과 및 섬유아세포증식 효과 등을 부작용 없이 제공하는 탁월한 상해 피부용 외용제가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염 효과, 항히스타민 억제효과, 항산화효과, 콜라겐 합성효과, 섬유아세포 증식율 효과 실험을 통해 상처 치유 및 피부소양증의 예방 및 개선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 효과, 항히스타민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생합성 효과 및 섬유아세포증식 효과를 갖는 상처 치유 및 피부소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염 효과, 항히스타민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생합성 효과 및 섬유아세포증식 효과를 갖는 괄루근(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계피(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세신(Asari Herba), 호장근(Japanese knotweed) 및 정향(Caryophylli Flos)을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피부 외용 약제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치료 및 개선효과는 항염 효과, 항히스타민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생합성 효과 및 섬유아세포증식 효과를 통한 약리 기전으로 발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괄루근, 계피, 당귀, 세신, 호장근 및 정향의 건조 중량비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용매를 1 내지 20배 부피량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부피량을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추출 온도에서 2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으로 1 내지 7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 추출한 후 여과하고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생약 성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합 생약의 배합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괄루근 1 내지 10%, 계피 1 내지 20%, 당귀 1 내지 10%, 세신 1 내지 10%, 호장근 1 내지 10%, 정향 1 내지 10%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괄루근 1 내지 5%, 계피 1 내지 10%, 당귀 1 내지 5%, 세신 1 내지 5%, 호장근 1 내지 5%, 정향 1 내지 3%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괄루근 1 내지 3%, 계피 1 내지 5%, 당귀 1 내지 3%, 세신 1 내지 3%, 호장근 1 내지 3%, 정향 1 내지 2%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약제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복합 생약 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 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제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 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염 효과, 항히스타민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생합성 효과 및 섬유아세포증식 효과를 갖는 괄루근(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계피(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세신(Asari Herba), 호장근(Japanese knotweed) 및 정향(Caryophylli Flos)을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 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 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 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 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이외의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형예,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실시예 1. 단일 생약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괄루근 200g, 계피 200g, 당귀 200g, 세신 200g, 호장근 200g, 정향 200g을 각각 증류수 2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에서 3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고 최종적으로 0.3㎛ 필터로 여과 및 건조하여 괄루근 50g, 계피 50g, 당귀 50g, 세신 50g, 호장근 50g, 정향 50g의 단일 생약 추출물을 각각 얻어 이를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복합 생약 추출물(ST-1)의 제조
건조된 괄루근 50g, 계피 100g, 당귀 50g, 세신 50g, 호장근 50g, 정향 25g을 각각 증류수 2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에서 3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고 최종적으로 0.3㎛ 필터로 여과 및 건조하여 복합 생약 추출물(ST-1)을 얻었고, 이를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항염증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들의 항염증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S.S.Kim, Life Science, 73 , pp.337-348, 2003)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10% FBS-DMEM에 현탁하여 1 x 105 cells/㎖로 96 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200 ㎕씩 가하고 2시간 배양하였다. PBS로 2회 세척한 후 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각 well 에 1㎍/㎖의 LPS가 포함된 배지 190㎕씩을 넣고, 검색 시료를 10 ㎕ 처리하여 16시간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회수하여 유리된 프로스타글란딘 양을 키트(Cayman chemical)을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프로스타글란딘 분비억제율을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억제율(%) = [1 - ( 비교군의 흡광도/ 대조군의 흡광도 )]* 100
추출물 (처리농도 1%) 염증 억제율 (%)
괄루근 -
계피 57
당귀 -
세신 -
호장근 73
정향 17
실시예 2의 ST-1 86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추출물의 1% 농도 처리시, 계피, 호장근 및 정향의 단일 추출물에서 탁월한 염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들 개개의 단일추출물보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인 ST-1이 86%의 억제율로 가장 뛰어난 염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항히스타민 억제효과 실험
시험관 내 (In vitro)에서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만세포를 48 웰 플레이트에 웰 당 1x106개가 되도록 분주하고 2시간이 지난 후 항 - DNP를 DMEM 배지와 1:1,000 비율로 1㎖을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다. 그 다음, 증류수에 녹인 조성물을 농도별로 50㎕ 씩 첨가하여 10분간 배양한 후 DNP BSA를 1㎍/㎖을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배양하여 히스타민이 세포 밖으로 유리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유리된 히스타민은 히스타민 키트(Neogen)를 사용하여 엘라이자(ELISA)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 유리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억제율(%) = [1 - ( 비교군의 흡광도/ 대조군의 흡광도 )]* 100
추출물 (처리농도 0.5 %) 히스타민 억제율 (%)
괄루근 31
계피 14
당귀 39
세신 23
호장근 -
정향 12
실시예2의 ST-1 40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추출물 0.5% 처리시 괄루근, 계피, 당귀. 세신 및 정향에서 뛰어난 히스타민 억제 효과를 보였고, 실시예 2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인 ST-1이 탁월한 히스타민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산화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들의 항산화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Y.O.SON,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1 , pp.1421-1428, 2003)
2 X 10-4 M 농도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시켜 제조한 자유 라디칼인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 이하 DPPH) 160㎕ 에 추출조성물 시료 40㎕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엘라이자(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DHHP 라디칼 소거활성율은 하기 수학식 3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 [1-(A / B) * 100]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추출 처리농도(%)
1.25 2.5 5
괄루근 - - 2.5
계피 61 82 85
당귀 9 29 44
세신 - 17 25
호장근 79 85 86
정향 72 82 87
실시예 2의 ST-1 53 62 86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단일 추출물인 괄루근, 계피, 당귀, 세신, 호장근 및 정향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고, 실시예 2에서 얻은 혼합추출물인 ST-1이 80%이상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콜라겐 합성효과 실험
96 웰 플레이트에 정상 섬유아세포(Skin fibroblast cell)을 동일한 양으로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시료를 가하여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한다. 배양된 배양액을 1.5 ㎖ tube로 옮기고 1㎖의 sircol dye solution을 첨가한다. 3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10,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콜라겐 접합 입자(collagen binding pellet)을 모은다. 상등액을 버리고 99% 에탄올로 2회 세척하고 알칼리 시약을 1㎖ 첨가하여 540nm에서 엘라이자(ELI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콜라겐 생합성율은 하기 수학식 4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생합성율(%) = ( 비교군의 흡광도/ 대조군의 흡광도 ) * 100
추출물 (처리농도 1.25 %) 콜라겐 생합성율(%)
괄루근 22
계피 40
당귀 11
세신 41
호장근 47
정향 42
실시예 2의 ST-1 40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추출물 1.25%의 농도로 처리하여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시험한 결과, 괄루근, 계피, 당귀, 세신, 호장근 및 정향에서 탁월한 콜라겐 생합성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실시예 2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인 ST-1이 뛰어난 콜라겐 합성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섬유아세포 증식율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들의 섬유아세포 증식율을 실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M.J.Kim,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4(6) , pp.898-902, 2006)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대수증식기의 정상 쥐 섬유아세포 4 × 104 cells/well를 접종하여 DMEM 배지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2에서 얻은 혼합 추출물 ST-1이 처리된 5% 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하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50 ㎕ (5 ㎎/㎖)씩 첨가하고 4 시간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DMSO를 100 ㎕씩 첨가한 후 570 ㎚에서 엘라이자(ELI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섬유아세포 증식율은 하기 수학식 5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세포증식률(%)= (비교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추출물 처리농도(%) 섬유아세포 증식율(%)
0.625 % 1.25 % 2.5 %
괄루근 98 101 98
계피 90 90 65
당귀 109 109 109
세신 102 101 98
호장근 100 100 93
정향 110 110 100
실시예 2의 ST-1 103 93 90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괄루근, 당귀, 세신, 호장근 및 정향의 경우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피의 경우 최고농도 2.5%에서 약간의 세포성장억제를 나타내었으나, 실시예 2에서 얻은 혼합추출물인 ST-1이 처리농도 0.625%에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나타내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제제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유연 화장수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2의 ST-1 0.5
2 부틸렌 글리콜 4.0
3 글리세린 8.0
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6
5 디소디움 에틸렌디아민테르라아세틱에시드 0.01
6 에탄올 7.0
7 트리에탄올아민 0.2
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8
9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
10 페닐트리메티콘 3.5
11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3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2. 영양화장수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2의 ST-1 0.5
2 스테아린산 1.0
3 세틸알코올 1.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7 유동파라핀 4.0
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9 스쿠알란 3.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11 부틸렌글리콜 5.0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5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3. 영양크림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2의 ST-1 0.5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코올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1 스쿠알란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7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8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4. 에센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 2의 ST-1 0.5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100.0
제조예 5.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실시예 2의 ST-1 0.5 -
2 실시예 2의 ST-1 - 0.5
3 백색 바세린 250 250
4 스테아릴 알콜 220 220
5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0.25
6 프로필렌 글리콜 120 120
7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15
8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0.1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염 효과, 항히스타민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생합성 효과 및 섬유아세포증식 효과를 갖는 괄루근(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계피(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세신(Asari Herba), 호장근(Japanese knotweed) 및 정향(Caryophylli Flos)을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은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 약제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괄루근(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계피(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세신(Asari Herba), 호장근(Japanese knotweed) 및 정향(Caryophylli Flos)을 포함하는 복합 생약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 약제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의 배합 중량비는 괄루근 1 ~ 10 : 계피 1 ~ 20 : 당귀 1 ~ 10 : 세신 1 ~ 10 : 호장근 1 ~ 10 : 정향 1 ~ 10의 중량비인 약제 조성물.
  3. 삭제
  4. 괄루근(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계피(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세신(Asari Herba), 호장근(Japanese knotweed) 및 정향(Caryophylli Flos)을 포함하는 복합 생약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060050051A 2006-06-02 2006-06-02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69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51A KR100769302B1 (ko) 2006-06-02 2006-06-02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51A KR100769302B1 (ko) 2006-06-02 2006-06-02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302B1 true KR100769302B1 (ko) 2007-10-24

Family

ID=3881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051A KR100769302B1 (ko) 2006-06-02 2006-06-02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3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602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064570B1 (ko) * 2010-07-15 2011-09-14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고삼, 계피, 삼백초 및 탱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CN104784455A (zh) * 2015-04-30 2015-07-22 姜振玲 一种用于腹部术后防瘢痕形成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646559B1 (ko) 2015-08-07 2016-08-0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083168A1 (ko) * 2017-10-27 2019-05-02 한약진흥재단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602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720739B1 (ko) * 2009-11-30 2017-04-11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064570B1 (ko) * 2010-07-15 2011-09-14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고삼, 계피, 삼백초 및 탱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CN104784455A (zh) * 2015-04-30 2015-07-22 姜振玲 一种用于腹部术后防瘢痕形成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646559B1 (ko) 2015-08-07 2016-08-0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083168A1 (ko) * 2017-10-27 2019-05-02 한약진흥재단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CN111356469A (zh) * 2017-10-27 2020-06-30 韩国韩医药振兴院 包含虎杖根及桂心的用于抗血栓的组合物
US11273196B2 (en) 2017-10-27 2022-03-15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Antithrombo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and Cinnamomum cassia blume
CN111356469B (zh) * 2017-10-27 2022-05-27 韩国韩医药振兴院 包含虎杖根及桂心的用于抗血栓的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4644787B2 (ja) リパーゼ阻害活性且つ抗酸化性を有する抗肥満剤
KR100795225B1 (ko) 독일붓꽃, 병풀, 캐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JP6921440B2 (ja) アザミ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メラニン生成促進用組成物
JP4162898B2 (ja) ラミニン5産生促進剤およびインテグリンα6β4産生促進剤を含む組成物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769302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9013058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00491A (ko) 곰보배추 추출물, 느릅나무 추출물, 노나무 추출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예방 및 코막힘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93676B1 (ko)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5494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JP4585227B2 (ja) 痩身用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