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636B1 -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636B1
KR101960636B1 KR1020180080487A KR20180080487A KR101960636B1 KR 101960636 B1 KR101960636 B1 KR 101960636B1 KR 1020180080487 A KR1020180080487 A KR 1020180080487A KR 20180080487 A KR20180080487 A KR 20180080487A KR 101960636 B1 KR101960636 B1 KR 101960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nnel
belt portion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원
노두현
박준성
김건완
Original Assignee
김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원 filed Critical 김근원
Priority to KR102018008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636B1/ko
Priority to PCT/KR2019/006599 priority patent/WO20200134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0Double-walled hoses, i.e. two concentric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파이프로의 조립이 용이하고, 규격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제1드럼대차와, 상기 제1파이프보다 직경이 작은 제2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제2드럼대차와, 상기 제1드럼대차로부터 상기 제1파이프를 기설정 속도로 인출함과 동시에 인출시 장력이 조절되는 제1파이프인출기와, 상기 제1파이프인출기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파이프를 인입시켜서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고 절단함과 같이, 상기 제1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제2파이프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파이프를 인입시키는 파이프조립본체기와,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설정 길이만큼 절단된 제1파이프의 단부를 척킹하고, 척킹된 상기 제1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측에 상기 제2파이프의 인입 위치와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위치 이동시켜서 상기 제1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제2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파이프체인지기와, 상기 파이프체인지기로부터 조립된 이중파이프를 가이드하고 거치하는 테이블선반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Dual pipe assembly device for piping}
본 발명은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파이프에 보다 직경이 작은 다른 하나의 파이프를 내측에 삽입시켜서 조립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보일러 배관, 유체 이송로, 열교환기 등에서 이중파이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파이프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료를 압출하여 제조되며, 내,외주면이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지고 단일한 관벽을 가지지만, 이중파이프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관 내에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관이 삽입된 형태로서 두 겹의 관벽을 가지며, 작은 관의 내부 공간, 그리고 작은 관과 큰 관 사이의 공간을 각각 유체의 유동로로 활용하거나, 후자의 공간에 단열재를 충전 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거나, 관벽이 이중이므로 외부 충격에 강한 관체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보일러나 열교 환기에 적용할 경우 두 공간을 흐르는 유체 사이에 열교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파이프의 제작방법으로 대략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첫째로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파이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한 뒤 조립하여 이중파이프를 제조하는 방식으로서, 그 일예로 선행기술로 특허 제10-1162957호는 내관의 외주면에 스페이서를 일체로 형성한 뒤 외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서, 외관은 통상적인 단일벽 관체이지만 내관은 통상적인 단일벽 관체와는 달라서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조립을 위 한 작업 공수가 과다하게 소요되기도 하다.
둘째는 압출을 통해 두 겹의 관벽을 가진 이중관을 한 번에 제조하는 방식이다. 공개특허 제10-2016-0022954호가 이런 방식인데, 특정한 형태의 압출 다이스를 통해 압출재료를 압출함으로써 두 겹의 관벽을 가진 이중관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조립과 같은 공정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지만, 역시 통상적인 단일벽 관체와 달리 별도의 제조장치를 구비하여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중파이프로의 조립이 용이하고, 규격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제1드럼대차와, 상기 제1파이프보다 직경이 작은 제2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제2드럼대차와, 상기 제1드럼대차로부터 상기 제1파이프를 기설정 속도로 인출함과 동시에 인출시 장력이 조절되는 제1파이프인출기와, 상기 제1파이프인출기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파이프를 인입시켜서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고 절단함과 같이, 상기 제1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제2파이프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파이프를 인입시키는 파이프조립본체기와,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설정 길이만큼 절단된 제1파이프의 단부를 척킹하고, 척킹된 상기 제1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측에 상기 제2파이프의 인입 위치와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위치 이동시켜서 상기 제1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제2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파이프체인지기와, 상기 파이프체인지기로부터 조립된 이중파이프를 가이드하고 거치하는 테이블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파이프인출기는,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가 최초 진입하는 상,하 진입롤러와, 상기 상, 하 진입롤러로부터 진입된 상기 제1파이프를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의 상측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출되는 상기 제1파이프의 외경 크기에 맞춰 승하강되는 승강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승강롤러의 전단측에 설치되어 인출되는 상기 제1파이프를 상부측에서 눌려줘서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에서 당겨지는 인출 장력을 조절하게 되는 장력조절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 하진입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승강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1파이프가 동시에 진입 가능하도록 연속하여 나란히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력조절지지대는, 실린더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바와, 상기 한 쌍의 측바를 연결하며, 상기 제1파이프를 누르게 되는 지지대와, 상기 측바의 회전부측에는 상기 제1파이프의 늘어짐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포텐션메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조립본체기는, 조립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제1파이프입구터널 및 제1파이프출구터널과, 상기 제1파이프입구터널과 상기 제1파이프출구터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를 사이에 두어 면접촉되어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와, 상기 제1파이프출구터널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를 통과한 기설정 길이의 상기 제1파이프를 상방측에서 커터날이 하강하여 절단하게 되는 제1파이프커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프레임의 상면 상에 상기 제1파이프입구터널 및 제1파이프출구터널로부터 나란히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2파이프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제2파이프입구터널 및 제2파이프출구터널과, 상기 제2파이프입구터널과 상기 제2파이프출구터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파이프를 사이에 두어 면접촉되어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와, 상기 제2파이프출구터널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를 통과한 기설정 길이의 상기 제2파이프를 상방측에서 커터날이 하강하여 절단하게 되는 제2파이프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파이프입구터널과 상기 제2파이프입구터널 측에는 제품유무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1, 2파이프의 최초 인입 여부와 인입이 마감되는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와 상기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에는 면접촉되는 로타리엔코더가 더 설치되어, 상기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와 상기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여 통과하는 상기 제1,2 파이프의 길이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와 상기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는,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 이동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체인지기는, 체인지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로부터 컷팅된 상기 제1파이프의 단부를 척킹하고, 척킹된 상기 제1파이프를 상기 제2파이프가 위치된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측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위치 이동시키는 클램프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인지프레임의 하부측에는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제1,2파이프의 최초 시작점 설정하기 위하여 커팅된 부분을 담아두게 되는 회수통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부는 상기 체인지프레임상에 설치된 LM세로레일과 LM가로레일을 통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선반은, 상기 파이프체인지기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조립으로 완성된 상기 이중파이프를 상기 테이블선반으로 인계를 돕는 상,하부가이드플레이트와, 테이블프레임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이중파이프가 위치되도록 상, 하부거치틀과, 상기 상부거치틀이 일방향으로 회전 개방되어 상기 이중파이프가 추출되도록 상기 상부거치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개방용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부가이드플레이트는 이동되는 상기 파이프체인지기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가이드축과 실린더를 통해 상기 테이블선반측으로 이동과 복귀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하부가이드플레이트는 각각 별도로 구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에서는, 이중파이프로의 조립이 용이하고, 규격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공정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에서 제1파이프인출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파이프인출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파이프인출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중 파이프조립본체기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서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중 파이프조립본체기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체인지기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서의 테이블선반의 입구측 일부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에서 제1파이프인출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파이프인출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파이프인출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중 파이프조립본체기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서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중 파이프조립본체기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체인지기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서의 테이블선반의 입구측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로서, 제2파이프(2)에 보다 직경이 크고 주름진 다른 제1파이프(1) 내측에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조립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는 크게 제1파이프(1)가 권취되어 있는 제1드럼대차(100)와, 제1파이프(1)보다 직경이 작은 제2파이프(2)가 권취되어 있는 제2드럼대차(110), 제1파이프(1)를 인출하는 제1파이프인출기(200)와, 제1,2 파이프(1)(2)를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고 절단시키는 파이프조립본체기(300)와, 제1,2 파이프(1)(2)의 실질적인 조립이 이루어지는 파이프체인지기(400)와, 제1,2 파이프(1)(2)가 조립된 이중파이프(10)를 가이드하고 거치하는 테이블선반(5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파이프(1)는 근래에 보일러 배관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주름관으로 배관의 신축 팽창도가 뛰어나다.
이러한 제1파이프(1)가 제1드럼대차(100)에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의 제1드럼대차(100)에는 제1파이프(1)가 권취된 드럼이 나란히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고, 여분의 제1드럼대차(100)가 추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드럼대차(100)에는 바닥면에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또는 바퀴가 마련되어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대차(100)와 같이 제2드럼대차(110)에는 보일러 배관에 많이 사용되는 폴리부틸렌재의 제2파이프(2)가 권취될 수 있으며, 제2파이프(2)는 제1파이프(1)보다는 직경이 작아 제1파이프(1)의 내측에 삽입되어 이중파이프(10)로 조립될 수 있다.
제2드럼대차(110)에도 역시 바닥면에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또는 바퀴가 마련되어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제2파이프(2)가 권취된 드럼이 나란히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고, 여분의 제2드럼대차(110)가 추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파이프인출기(200)는 제1드럼대차(100)로부터 제1파이프(1)를 기설정 속도로 인출함과 동시에 인출시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파이프인출기(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진입롤러(210)(220)와 한 쌍의 가이드롤러(230), 승강롤러(240) 그리고 제1파이프(1)의 인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지지대(250)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파이프인출기(200)는 사각의 프레임(201)에 바퀴(202)가 구비되어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프레임(201)에는 롤러 등의 구동에 필요한 모터와 각종 전기선 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1)의 상면 중 제1드럼대차(100)를 향하는 일측 방향으로 상, 하 진입롤러(210)(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 하 진입롤러(210)(220)는 홈이 파인 롤러로 복수의 제1파이프(1)가 동시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연속하여 나란히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면 상에서는 4가닥의 제1파이프(1)가 동시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하 진입롤러(220)에 상방에서 마주하여 상 진입롤러(210)가 위치하여 상, 하 진입롤러(210)(220)의 사이로 제1파이프(1)의 진입을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복수의 상, 하 진입롤러(210)(220)는 양측판에 자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 하 진입롤러(210)(220)로부터 진입된 제1파이프(1)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30)가 상, 하 진입롤러(210)(220)의 전단측의 프레임(201) 상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230) 역시 가운데 홈이 파인 롤러로 복수개가 나란히 연속하여 설치되며, 이와 같은 복수개의 가이드롤러(230)가 나란히 한 쌍이 설치되며, 구동은 프레임(201)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부호) 등에 의하여 정, 역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롤러(230)의 상부측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승강롤러(240)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롤러(240) 역시 가운데 홈이 파인 롤러로 가이드롤러(230)와 대응되는 한 쌍으로 설치되되, 승강롤러(240)의 중심과 가이드롤러(230)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승강롤러(240)는 인출되는 제1파이프(1)가 가이드롤러(230)와 승강롤러(240)의 사이를 통과할 때, 제1파이프(1)가 그 사이에서 면접촉되지만, 제1파이프(1)의 외경 크기에 맞추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승하강될 수 있다.
승강롤러(240)의 승하강 이동을 위하여 프레임(201)에 수직한 수직축(241)이 다수개 설치되고, 이 수직축(241)을 따라 이동되도록 승강롤러(240)에 구동수단으로 실린더(24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장력조절지지대(250)는 프레임(201)의 상면 중 상, 하 진입롤러(210)(220)가 설치된 반대측으로 돌출 설치될 수 있으며, 인출되어 이동하는 제1파이프(1)를 상부측에서 눌려줘서 전단의 파이프조립본체기(300)에서 당겨지는 인출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장력조절지지대(250)는,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마주하여 한 쌍의 측바(252)가 설치되고, 이 한 쌍의 측바(252)의 단부측을 연결하는 지지대(253)가 설치되어 "ㄷ"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장력조절지지대(250)의 측바(252)중 어느 하나에는 프레임(201)에 고정된 실린더(251)가 설치되어 측바(252)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롤러(230)와 승강롤러(240)의 사이를 통과한 제1파이프(1)는 측바(252)의 사이로 유도되어 어느 정도 늘어져서 전단의 파이프조립본체기(300)로 진입이 되고, 그 사이에서 장력조절지지대(250)의 지지대(253)에 의하여 일정 압력으로 눌려지게 된다.
여기서 측바(252)의 회전부측에는 포텐션메타(25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포텐션메타(254)에서는 파이프조립본체기(300)에서 주름관인 제1파이프(1)를 계속 잡아 당기고 있기에 길이가 의도치 않게 늘어날 수 있에 잡아당기는 장력을 측정하게 된다.
즉, 파이프조립본체기(300)에서 어느 정도의 힘으로 제1파이프(1)를 잡아당기는 지를 포텐션메타(254)에서 측정하여 지지대(253)의 눌림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지지대(253)의 눌림 정도는 실린더(251)에 의한 회전 반경일 수 있다.
덧붙여, 지지대(253)의 눌림 정도의 압력이 강해도 안되고, 약해도 안되며, 이는 제1파이프(1)가 늘어지거나 수축됨 없이 원래의 길이대로 통과하여 파이프조립본체기(300)로 진입이 이루어지게 함이 중요하다.
제1파이프인출기(200)의 전단에 파이프조립본체기(300)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단이라 함은 조립 공정의 진행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파이프조립본체기(300)는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6 또는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며, 제1파이프인출기(200)로부터 인출된 제1파이프(1)를 인입시켜서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고 절단함과 같이, 제1파이프(1)의 내측으로 상기 제2파이프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제2파이프(2)를 인입시키는 장치이다.
하면에 바퀴(302)가 마련된 사각의 조립프레임(301)을 가지며, 조립프레임(301)의 상면 상에 제1파이프입구터널(310)과 제1파이프출구터널(312) 그리고 제1파이프입구터널(310)과 제1파이프출구터널(3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20)(321), 제1파이프(1)를 절단하는 제1파이프커팅부(322)를 크게 구성하며, 이와 같이 조립프레임의 상면 상에는 나란히 제2파이프입구터널(330)과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이 설치되고, 제2파이프입구터널(330)과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의 사이에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40)(342), 제2파이프(2)를 절단하는 제2파이프커팅부(343)를 크게 구성할 수 있다.
먼저, 파이프 형태로 양방향이 개구된 제1파이프입구터널(310)이 조립프레임(301)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20)(321)측을 향하여 개구부가 완만하게 이어질 수 있다.
제1파이프입구터널(310)에는 앞서 제1파이프인출기(200)에서 설명한 상, 하 진입롤러(210)(220)와 같은 상, 하 진입롤러(302)(303)가 설치되어 제1파이프인출기(200)로부터 이어지는 제1파이프(1)의 진입이 가이드될 수 있다.
더욱이 제1파이프입구터널(310) 측에는 제품유무감지센서(350)가 설치되어 제1파이프(1)의 최초 인입 여부와 제1드럼대차(100)에서 제1파이프(1)가 다 풀려서 더 이상의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파이프입구터널(310)의 전단으로는 조립프레임(301)상에 제1파이프 하부벨트부(321)가 고정 설치되며, 제1파이프 하부벨트부(321)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는 조립프레임(301)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판상의 평판프레임(301a)으로부터 이어지는 축 상에 설치되며, 승하강실린더(320a)에 의하여 승하강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의 승강 이동은 제1파이프(1)의 외경에 맞추어 기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이동 되어지게 된다.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와 제1파이프 하부벨트부(321)는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벨트가 무한궤도로 순환 회전하는 것으로서, 특히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에는 평판프레임(301a)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로터리엔코더(360)가 설치될 수 있다
로터리엔코더(360)는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에 면접촉되어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와 같이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제1파이프 하부벨트부(321)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여 통과하는 제1파이프(1)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20)(321)는 통과하는 제1파이프(1)에 동일한 힘으로 면접촉되어 기설정된 길이만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파이프출구터널(312)은 제1파이프입구터널(310)과 같이 파이프 형태로 양방향이 개구되어 조립프레임(301)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20)(321)측을 향하여 개구부가 완만하게 이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1파이프출구터널(312)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20)(321)를 통과한 기설정 길이의 제1파이프(1)를 상방측에서 커터날(323)이 하강하여 절단하게 되는 제1파이프커팅부(322)를 구성할 수 있다.
제1파이프커팅부(322)는 조립프레임(301)으로부터 수직하게 이어진 판상의 프레임에 지지 설치되며, 커터날(323)이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으로 제1파이프(1)를 커팅하게 된다.
한편, 이들 제1파이프입구터널(310) 및 제1파이프출구터널(312)과,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20)(321)과 같이 옆에 나란히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2파이프(2)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제2파이프입구터널(330) 및 제2파이프출구터널(332)과, 제2파이프입구터널(330)과 제2파이프출구터널(332) 사이에 설치되며, 제2파이프(2)를 사이에 두어 면접촉되어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40)(342)와,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40)(342)를 통과한 기설정 길이의 제2파이프(2)를 상방측에서 커터날(344)이 하강하여 절단하게 되는 제2파이프커팅부(343)를 구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파이프 형태로 양방향이 개구된 제2파이프입구터널(330)이 조립프레임(301)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40)(342)측을 향하여 개구부가 완만하게 이어질 수 있다.
제2파이프입구터널(330)에는 상, 하 진입롤러(302)(303)가 설치되어 제2드럼대차(110)에 권취되어 있는 제2파이프(2)의 진입을 가이드 하게 된다.
역시 제2파이프입구터널(330) 측에는 제품유무감지센서(350)가 설치되어 제2파이프(2)의 최초 인입 여부와 제2드럼대차(110)에서 제2파이프(2)가 다 풀려서 더 이상의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파이프입구터널(330)의 전단으로는 조립프레임(301)상에 제2파이프 하부벨트부(342)가 고정 설치되며, 제2파이프 하부벨트부(342)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는 조립프레임(301)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판상의 평판프레임(301a)으로부터 이어지는 축 상에 설치되며, 승하강실린더(340a)에 의하여 승하강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의 승강 이동은 제2파이프(2)의 외경에 맞추어 기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이동되어 지게 된다.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와 제2파이프 하부벨트부(342)는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벨트가 무한궤도로 순환 회전하는 것으로서, 역시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에도 평판프레임(301a)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로터리엔코더(360)가 설치될 수 있다
로터리엔코더(360)는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에 면접촉되어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와 같이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제2파이프 하부벨트부(342)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여 통과하는 제2파이프(2)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은 파이프 형태로 양방향이 개구되어 조립프레임(301)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40)(342)측을 향하여 개구부가 완만하게 이어질 수 있다.
또,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340)(342)를 통과한 기설정 길이의 제2파이프(2)를 상방측에서 커터날(344)이 하강하여 절단하게 되는 제2파이프커팅부(343)를 구성할 수 있다.
제2파이프커팅부(343)는 조립프레임(301)으로부터 수직하게 이어진 판상의 프레임에 지지 설치되며, 커터날(344)이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으로 제2파이프(2)를 커팅하게 된다.
파이프조립본체기(300)의 전단에 설치되는 파이프체인지기(400)는, 기설정 길이만큼 절단된 제1파이프(1)의 단부를 척킹하고, 척킹된 제1파이프(1)를 파이프조립본체기(300)의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측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위치 이동시켜서 제1파이프(1)의 내측으로 제2파이프(2)가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금속재로 금형 제작된 틀 형상의 클램프부(410)를 구성하며, 체인지프레임(401)상에 상기 클램프부(410)는 반원의 상, 하판(411)(412)이 실린더 등으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 하판(411)(412)이 마주하여 형합되면, 그 사이에 제1파이프(1)가 위치되어 척킹될 수 있다.
클램프부(410)에서는 파이프조립본체기(300)로부터 컷팅된 제1파이프(1)의 단부를 척킹하고 이동시키게 된다.
클램프부(410)의 이동은 체인지프레임(401)상에 설치된 LM세로레일(420)과 LM가로레일(430)을 통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파이프(1)를 척킹한 클램프부(410)를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측으로 이동을 시키게 된다.
즉, 클램프부(410)는 LM세로레일(420)을 따라 테이블선반(500)측으로 이동했다가 LM가로레일(430)을 따라 옆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LM가로레일(430)로부터 이어지는 LM세로레일(420)을 따라 후단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이프체인지기(400)의 체인지프레임(401)에는 하부 공간에 파이프조립본체기(300)로부터 유입되는 제1,2파이프(1)(2)의 최초 시작점을 셋팅하기 위하여 커팅된 부분을 담아 보관하게 되는 회수통(4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회수통(440)은 수동으로 인출되어 비울 수 있으며, 제1파이프커팅부(322)와 제2파이프커팅부(343)로부터 미도시되었지만 가이드플레이트가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회수통(440)으로 커팅된 부분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체인지기(400)로부터 조립된 이중파이프(10)를 가이드하고 거치하는 테이블선반(500)이 파이프체인지기(400)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테이블선반(500)에는 제1파이프(1)와 제2파이프(2)의 조립으로 완성된 이중파이프(10)를 상기 테이블선반(500)으로 인계를 돕는 상,하부가이드플레이트(510)(512)가 설치되고, 내부에 이중파이프(10)가 위치되는 테이블프레임(501)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 하부거치틀(520)(521)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거치틀(520)이 일방향으로 회전 개방되어 이중파이프(10)가 추출되도록 상부거치틀(52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개방용실린더(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하부가이드플레이트(510)(512)는 도 9의 확대도와 같이, 이동되는 파이프체인지기(400)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가이드축(522)과 실린더(523)를 통해 테이블선반(500)측으로 이동과 복귀가 가능한 것이다.
더 나아가 상부가이드플레이트(510)와 하부가이드플레이트(512)는 각각 별도로 구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예컨대 4가닥의 이중파이프(10)중 각각 길이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태그를 붙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하부가이드플레이트(512)는 그대로 있고, 상부가이드플레이트(510)가 구동되어 이중파이프(10)의 단부 일부가 드러나서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의 작동은, 다시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드럼대차(100)에 권취되어 있는 제1파이프(1)의 단부를 작업자가 잡고서, 제1파이프인출기(200)에 최초 진입을 시키게 된다.
이때, 제1파이프(1)는 하나의 파이프 또는 복수의 파이프일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 따르면 4가닥의 파이프가 맞대어져 있는 상, 하진입롤러(210)(220)의 사이로 동시 진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파이프인출기(200)의 전원 인가에 따라 제어패널(미도시)의 기설정된 신호에 따라 각종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가이드롤러(230)가 구동을 시작하여 제1파이프(1)를 잡아 당기게 된다.
여기서 승강롤러(240)는 가이드롤러(230)와의 구동전에 진입하는 제1파이프(1)의 외경에 맞추어 승하강 작동되어 위치 고정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 하진입롤러(210)(220)를 통해 승강롤러(240)와 가이드롤러(230) 사이로 진입된 제1파이프(1)의 진입 단부는 장력조절지지대(25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바(252) 사이로 이어져서 파이프조립본체기(300)의 상, 하 진입롤러(302)(303)로 이어지게 된다.
최초 제1파이프(1)의 제1파이프인출기(200)와 파이프조립본체기(300)로의 진입은 작업자의 도움을 받게 된다.
그리고 장력조절지지대(250)를 따라 파이프조립본체기(300)의 상, 하 진입롤러(302)(303)로 이어진 제1파이프(1)는 실린더(251)의 작동에 의한 지지대(253)의 누름 정도에 따라 장력이 조절되며, 이는 측바(252)의 회전부측에 설치된 포텐션메타(254)에서 파이프조립본체기(300)에서 잡아 당기는 장력을 측정하여 장력조절지지대(250)의 회전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지지대(253)의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주름관 형태인 제1파이프(1)의 늘어짐이나 수축 현상이 방지된 상태에서 파이프조립본체기(300)의 상, 하 진입롤러(302)(303)를 통해 제1파이프입구터널(310)로 진입되고, 이 진입 여부를 제품유무감지센서(350)에서 감지하여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와 제1파이프 하부벨트부(321)를 구동시키게 된다.
제1파이프(1)는 상하로 마주하는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와 제1파이프 하부벨트부(321)의 사이로 진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여기서 제1파이프(1)가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와 제1파이프 하부벨트부(321)의 사이로의 진입 이전에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는 승하강실린더(320a)에 의하여 축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면서 제1파이프(1)의 외경에 맞추어 기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이동되어 위치 고정되어져 있게 된다.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와 제1파이프 하부벨트부(321)의 사이에서 균등하게 면접촉되면서 이동되는 제1파이프(1)는 제1파이프출구터널(312)로 이어져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파이프출구터널(312)로 빠져나온 제1파이프(1)는 제1파이프커팅부(322)의 커터칼(323)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파이프(1)의 절단 정도는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에 접촉되어 있는 로터리엔코더(360)에 의하여 카운트 되어 요구되는 제1파이프(1)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가능하고, 측정된 길이에 따라 커터날(323)의 하강하여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파이프(1)의 절단 공정과 같이, 파이프조립본체기(300)에 또 하나 마련된 상, 하진입롤러(302)(303)에 제2파이프(2)의 진입이 시작되며, 진입된 제2파이프(2)는 제2파이프입구터널(330)을 통해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와 제2파이프 하부벨트부(342)의 사이로의 진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 역시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320)의 승하강 이동과 같이 제2파이프(2)의 외경에 따라 승하강 이동되어 제2파이프(2)가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와 제2파이프 하부벨트부(342) 사이에서 면접촉되면서 이동을 하도록 돕게 된다.
또한,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의 무한궤도의 회전 정도를 로터리엔코더(360)에서 측정하게 된다.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와 제2파이프 하부벨트부(342)를 통과한 제2파이프(2)의 시작 단부는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에서 일단 대기를 하게 된다.
그리고 제1파이프커팅부(322)에서 커팅된 제1파이프(1)의 절단 단부는 파이프체인지기(400)의 상, 하판(412)(414)으로 구성되는 클램프부(410)에 척킹되고, 제1파이프(1)를 척킹한 클램프부(410)는 LM세로레일(420)을 따라 테이블선반(500)측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LM가로레일(430)을 따라 수평이동하며, 다시 LM가로레일(430)로부터 이어지는 LM세로레일(420)을 따라 이동하여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의 전방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클램프부(410)의 이동 시 전방측에 위치된 상, 하부가이드플레이트(510)(512)도 같이 실린더(523)에 의하여 가이드축(522)을 따라 테이블선반(500)측으로 전, 후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파이프(1)가 클램프부(410)에 척킹되어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와 제2파이프 하부벨트부(342)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제2파이프(2)가 이동하여 제2파이프출구터널(332)을 통해 전방에 위치한 제1파이프(1)의 내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파이프(1)로의 제2파이프(2) 삽입이 이루어지면,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340)에 접촉되어 있는 로터리엔코더(360)에서 제2파이프(2)의 길이를 측정하고, 제2파이프커팅부(343)의 커터날(344)이 하강하여 제2파이프(2) 역시 커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파이프(1)내에 제2파이프(2)가 삽입된 이중파이프(10)는 상, 하부가이드플레이트(510)(512)의 안내를 받으면서 테이블선반(500)을 구성하는 상부거치틀(520)과 하부거치틀(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조립이 완료된 이중파이프(10)의 추출을 위해서는 개방실린더(530)에 의하여 상부거치틀(520)이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위치된 이중파이프(10)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중파이프(10)로의 조립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미설명된 제어패널을 통해 일련 작동이 제어되어 조립 공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면,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이중파이프의 조립이 용이하고, 규격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조립 공정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제1파이프 2 : 제2파이프
10 : 이중파이프 100 : 제1드럼대차
110 : 제2드럼대차 200 : 제1파이프인출기
300 : 파이프조립본체기 400 : 파이프체인지기
500 : 테이블선반

Claims (14)

  1. 제1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제1드럼대차와,
    상기 제1파이프보다 직경이 작은 제2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제2드럼대차와,
    상기 제1드럼대차로부터 상기 제1파이프를 기설정 속도로 인출함과 동시에 인출시 장력이 조절되는 제1파이프인출기와,
    상기 제1파이프인출기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파이프를 인입시켜서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고 절단함과 같이, 상기 제1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제2파이프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파이프를 인입시키는 파이프조립본체기와,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설정된 길이만큼 절단된 제1파이프의 단부를 척킹하고, 척킹된 상기 제1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측에 상기 제2파이프의 인입 위치와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위치 이동시켜서 상기 제1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제2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파이프체인지기와,
    상기 파이프체인지기로부터 조립된 이중파이프를 가이드하고 거치하는 테이블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이프인출기는,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가 최초 진입하는 상,하 진입롤러와, 상기 상, 하 진입롤러로부터 진입된 상기 제1파이프를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의 상측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출되는 상기 제1파이프의 외경 크기에 맞춰 승하강되는 승강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승강롤러의 전단측에 설치되어 인출되는 상기 제1파이프를 상부측에서 눌려줘서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에서 당겨지는 인출 장력을 조절하게 되는 장력조절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체인지기는,
    체인지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로부터 컷팅된 상기 제1파이프의 단부를 척킹하고, 척킹된 상기 제1파이프를 상기 제2파이프가 위치된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측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위치 이동시키는 클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진입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승강롤러는,
    상기 제1파이프가 복수개 동시에 진입 가능하도록 연속하여 나란히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지지대는,
    실린더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바와,
    상기 한 쌍의 측바를 연결하며, 상기 제1파이프를 누르게 되는 지지대와,
    상기 측바의 회전부측에는 상기 제1파이프의 늘어짐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포텐션메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는,
    조립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제1파이프입구터널 및 제1파이프출구터널과,
    상기 제1파이프입구터널과 상기 제1파이프출구터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를 사이에 두어 면접촉되어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와,
    상기 제1파이프출구터널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파이프 상, 하부벨트부를 통과한 기설정 길이의 상기 제1파이프를 상방측에서 커터날이 하강하여 절단하게 되는 제1파이프커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프레임의 상면 상에 상기 제1파이프입구터널 및 제1파이프출구터널로부터 나란히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2파이프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제2파이프입구터널 및 제2파이프출구터널과,
    상기 제2파이프입구터널과 상기 제2파이프출구터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파이프를 사이에 두어 면접촉되어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와,
    상기 제2파이프출구터널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파이프 상, 하부벨트부를 통과한 기설정 길이의 상기 제2파이프를 상방측에서 커터날이 하강하여 절단하게 되는 제2파이프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입구터널과 상기 제2파이프입구터널 측에는 제품유무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1, 2파이프의 최초 인입 여부와 인입이 마감되는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와 상기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에는 면접촉되는 로타리엔코더가 더 설치되어,
    상기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와 상기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여 통과하는 상기 제1,2 파이프의 길이를 측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상부벨트부와 상기 제2파이프 상부벨트부는,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지프레임의 하부측에는 상기 파이프조립본체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제1,2파이프의 최초 시작점 설정하기 위하여 커팅된 부분을 담아두게 되는 회수통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체인지프레임상에 설치된 LM세로레일과 LM가로레일을 통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선반은,
    상기 파이프체인지기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조립으로 완성된 상기 이중파이프를 상기 테이블선반으로 인계를 돕는 상,하부가이드플레이트와,
    테이블프레임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이중파이프가 위치되도록 상, 하부거치틀과,
    상기 상부거치틀이 일방향으로 회전 개방되어 상기 이중파이프가 추출되도록 상기 상부거치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개방용실린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가이드플레이트는 이동되는 상기 파이프체인지기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가이드축과 실린더를 통해 상기 테이블선반측으로 이동과 복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하부가이드플레이트는 각각 별도로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KR1020180080487A 2018-07-11 2018-07-11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KR10196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487A KR101960636B1 (ko) 2018-07-11 2018-07-11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PCT/KR2019/006599 WO2020013446A1 (ko) 2018-07-11 2019-05-31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487A KR101960636B1 (ko) 2018-07-11 2018-07-11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636B1 true KR101960636B1 (ko) 2019-03-21

Family

ID=6603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487A KR101960636B1 (ko) 2018-07-11 2018-07-11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0636B1 (ko)
WO (1) WO20200134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46A1 (ko) * 2018-07-11 2020-01-16 김근원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2376B (zh) * 2019-05-13 2021-04-06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管材传输***及应用其的自动化管材加工生产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067A (ja) * 2005-08-26 2007-03-08 Bridgestone Corp 流体輸送用チューブ
KR20110106695A (ko) * 2010-03-23 2011-09-29 부국산업주식회사 열수축튜브 삽입장치
KR20140007044A (ko) * 2012-07-05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 장치
KR20160116682A (ko) * 2015-03-31 2016-10-10 한일튜브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512A (ko) * 2009-08-26 2011-03-04 김유진 이중관 제조장치
KR101960636B1 (ko) * 2018-07-11 2019-03-21 김근원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067A (ja) * 2005-08-26 2007-03-08 Bridgestone Corp 流体輸送用チューブ
KR20110106695A (ko) * 2010-03-23 2011-09-29 부국산업주식회사 열수축튜브 삽입장치
KR20140007044A (ko) * 2012-07-05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 장치
KR20160116682A (ko) * 2015-03-31 2016-10-10 한일튜브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46A1 (ko) * 2018-07-11 2020-01-16 김근원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446A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636B1 (ko) 배관용 이중파이프 조립장치
CN108146746B (zh) 一种导管卷绕组装机
KR101453987B1 (ko) 필름용 정량 권취 장치
CN110524067A (zh) 棒料推料装置
US69395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pipes of thermoplastics with transverse profile features
CN111153589A (zh) 一种特种光纤预制棒延伸及毛细管拉制的牵引设备
JPH09507432A (ja) 心合せ装置を備えた連続金属ストリップ製造
KR19990066353A (ko) 전자동 인발시스템의 인발장치
CN210616688U (zh) 一种克拉管定长切割设备
JP2016097479A (ja) 切断装置
KR100275280B1 (ko) 파이프 인발장치
CN211814167U (zh) 一种特种光纤预制棒延伸及毛细管拉制的牵引设备
KR100257783B1 (ko) 전자동 인발시스템의 가공소재 배출장치
CN111934060A (zh) 一种动力电池单体异构兼容的拆解方法及装备
CN112440487A (zh) 一种用于复合管材的缠绕机
CN218664499U (zh) 一种共挤吹膜机的收卷导向装置
CN221064022U (zh) 无缝钢管弯管机
CN110589055B (zh) 一种梅花落收线铜杆捆扎设备
JPH0645045B2 (ja) 線条体押し出し機
CN217701829U (zh) 一种牵引、成型及激光焊接***
CN218428796U (zh) 一条自动化钻孔加工生产线
CN220011549U (zh) 帘布裁断递布装置
CN218930245U (zh) 不锈钢管水压试验机的支撑送管机构
CN216899933U (zh) 一种包装材料拉力检测夹具
CN212798903U (zh) 工业布灯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