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64B1 -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64B1
KR101959564B1 KR1020180083717A KR20180083717A KR101959564B1 KR 101959564 B1 KR101959564 B1 KR 101959564B1 KR 1020180083717 A KR1020180083717 A KR 1020180083717A KR 20180083717 A KR20180083717 A KR 20180083717A KR 101959564 B1 KR101959564 B1 KR 10195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joint
flexible joint
buoyancy pip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석
안정길
Original Assignee
신영석
안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석, 안정길 filed Critical 신영석
Priority to KR102018008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 가능한 부유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유부와, 부유부 상부에 형성되는 계류부를 포함하는 계류유닛이 선택되는 수로 연결되는 계류장치에 있어서, 부유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며, 신축성 이음부는 온도 변화에 따른 파이프의 길이 변화 및 파도 등의 외력에 의한 파이프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실링을 유지할 수 있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Mooring System Using Flexible Joint}
본 발명은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 가능한 부유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유부와, 부유부 상부에 형성되는 계류부를 포함하는 계류유닛이 선택되는 수로 연결되는 계류장치에 있어서, 부유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며, 신축성 이음부는 온도 변화에 따른 파이프의 길이 변화 및 파도 등의 외력에 의한 파이프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실링을 유지할 수 있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류장치는 일반적으로 부유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부유부와, 부유부 상부면에 선박의 접안시설, 수영구조물 등을 포함하는 계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부유부는 나무, 스티로폼과 같은 부유 가능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상술된 재질로 형성되는 계류장치는 파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계류장치의 수명과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내부식성과 강도가 우수한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부유 가능한 부유파이프를 이용하여 부유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계류장치의 부유부를 플라스틱 수지 계열의 부유파이를 형성할 시, 사출성형이 용이하여 수월하게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정 길이의 파이프를 형성하고, 이들 간의 접합을 통해 선택되는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부유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운반성과 조립성이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부유파이프를 이용하여 부유부를 형성할 시, 기온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부유파이프가 팽창 및 수축하게 되며, 이는 파이프의 형상 변형에 따른 계류부와의 결합이 탈락될 우려가 있다.
특히, 길이가 긴 계류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지는 부유부와 계류부를 포함하는 계류유닛을 선택되는 길이만큼 연결하여 계류장치를 형성할 시, 부유파이프간 서로 연결된 부위에서 외부의 해수 또는 담수가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어 부유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또한, 파도 등 지속적인 외력에 의해 서로 연결된 부유파이프의 일부가 위치가 변형되게 되면, 계류유닛간의 결합이 탈락될 우려와 함께, 부유파이프간 서로 연결된 부위에서의 파손이 발생함으로써, 부유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5240호(2009.12.2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 가능한 부유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유부와, 부유부 상부에 형성되는 계류부를 포함하는 계류유닛이 선택되는 수로 연결되는 계류장치에 있어서, 부유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며, 신축성 이음부는 온도 변화에 따른 파이프의 길이 변화 및 파도 등의 외력에 의한 파이프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실링을 유지할 수 있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는 선택되는 외경과 길이를 가지는 부력파이프(111)가 다수 배열되어 연결브라켓(112)에 의해 고정되는 부유부(110)와, 상기 부유부(110) 상부에 형성되는 계류부(120)를 포함하는 계류유닛(100); 및 상기 계류유닛(100)의 부력파이프(111)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신축성 이음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파이프(111)는 선택되는 외경과 길이를 가지는 부력파이프몸체(111-1)와, 상기 부력파이프몸체(111-1)의 길이 방향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에 내경이 커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턱부(111-2) 및 상기 단턱부(111-2)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실링홈(111-3)에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실링부(111-4)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이음부(200)는 상기 단턱부(111-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과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이음부몸체(210)와, 상기 이음부몸체(2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상기 부력파이프몸체(111-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111-4)는 상기 실링홈(111-3)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1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철부(111-5)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부몸체(210)는 길이 방향 중심으로 둘로 형성되되, 서로 면접하여 결합되는 결합부(2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부몸체(210)는 결합부(211)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보조부(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파이프(110)와 이음부(200)는 플라스틱 소재 계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111-4)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는 선택되는 수의 계류유닛간 연결을 위해 부유부를 형성하는 부유파이프를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부유파이프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실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날씨 변화에 대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는 파도 등의 지속적인 외력에 의해 부력파이프의 위치 등의 변형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므로, 부유파이프간 서로 연결된 연결부위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해수 또는 담수가 부유파이프 내부로 유입되어 부유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는 계류유닛을 형성하고,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는 계류장치를 수월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운반성이 뛰어나고 계류장치의 형성에 따른 제조비용 및 넓은 제조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계류유닛을 투시평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계류유닛을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계류유닛을 정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부분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부분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계류유닛을 투시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계류유닛을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계류유닛을 정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부분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1000)는 크게 선택되는 수로 연결되어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계류유닛(100)과, 계류유닛(100)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신축성 이음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계류유닛(100)은 크게 부유부(110)와 계류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부유부(110)는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선택되는 외경과 길이를 가지는 부력파이프(111)가 다수 배열되어 위치되며, 연결브라켓(11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수면 위에 부상할 수 있다.
계류부(120)는 부유부(110) 상부 즉, 연결브라켓(112) 상부에 위치되며, 안전난간(121) 등이 구비되고, 선택되는 구조물의 설치 및 선박의 계류 등이 가능한 구조물의 구비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계류부(1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선박의 계류, 수중구조물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는 계류장치(1000)는 상술된 계류유닛(100)이 선택되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는 계류장치(100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력파이프(111)는 선택되는 외경과 길이를 가지는 부력파이프몸체(111-1)를 포함하며, 부력파이프몸체(111-1)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내경이 커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턱부(111-2)와, 상기 단턱부(111-2)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실링홈(111-3)에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실링부(1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축성 이음부(200)는 단턱부(111-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과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이음부몸체(210)와, 이음부몸체(2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부력파이프몸체(111-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부유부(111)의 부력파이프몸체(111-1)가 이음부몸체(210) 내부로 삽입되되, 단턱부(111-2)가 이음부(20)의 걸림부(220)에 의해 부력파이프몸체(111-1)가 이음부몸체(21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실링부(111-4)에 의해 부력파이프몸체(111-1) 또는 이음부몸체(210)가 위치 이탈시에도 실링부(111-4)의 신축에 의해 부력파이프몸체(111-1) 또는 이음부몸체(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부력파이프(111)와 부력파이프(111)의 위치 고정 및 계류부(120)와의 고정을 위한 연결브라켓(11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플라스틱 수지 계열로 형성되는 부유부(110)와 신축성 이음부(200)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기온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된다.
이는 부유부(110) 또는 신축성 이음부(200)의 형상 변형 또는 파손에 의해 부유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신축성 이음부(200)가 계류유닛(100)의 부유파이프(111)와 연결된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되어 계류유닛(100)과 신축성 이음부(200)가 서로 이탈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100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실링부(111-4)에 의해 부력파이프몸체(111-1) 또는 이음부몸체(210)가 수축 또는 팽창할 시, 실링부(111-4)의 신축에 의해 부력파이프몸체(111-1)와 이음부몸체(210) 간의 결합을 일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파도 등의 외력에 의해 부력파이프몸체(111-1) 또는 이음부몸체(210)의 위치가 일정 이탈될 시에도, 실링부(111-4)에 의해 부력파이프몸체(111-1)와 이음부몸체(210) 간의 결합을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부력파이프몸체(111-1)와 이음부몸체(210)가 파도 등의 외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력파이프몸체(111-1)와 이음부몸체(210) 간의 결합을 일정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계류유닛(100)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계류유닛을 이루는 부유부(110) 내부로 해수 또는 담수가 유입되어 부유가 어려워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111-4)는 신축성이 뛰어나고 실링이 용이하다면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링부(111-4)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염화비닐수지 계열의 재질에 비해 냄새가 덜 하고, 내구성이 좋아 오래 사용할 수 있어, 계류장치에 적용되어 부유되더라도 장기간의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아 효율적인 계류장치의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부분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1000)의 실링부(111-4)는 실링홈(111-3)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111-5)를 더 포함한다.
즉, 요철부(111-5)는 실링홈(111-3) 외부로 돌출되어 이음부몸체(210)와의 결합이 증대됨으로써, 단턱부(111-2)와 이음부몸체(210) 간의 실링을 더욱 더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요철부(111-5)의 형상은 단턱부(111-2)와 이음부몸체(210)간의 실링을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완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요철부(111-5)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1000)의 실링부(111-4)는 요철부(111-5)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실링을 2중 이상으로 수행하여, 단턱부(111-2)와 이음부몸체(210)간의 결합을 더욱 더 견고히 하여 내부로 해수 또는 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의 신축성 이음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1000)의 이음부몸체(210)는 길이 방향 중심으로 둘로 형성되며, 서로 면접하여 결합되는 결합부(2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음부몸체(210)는 길이 방향 중심으로 둘로 형성됨으로써, 내측으로부터 부력파이프몸체(111-1)를 삽입하여, 부력파이프(111)의 단턱부(111-2)가 이음부(210)의 걸림부(220)에 걸려 결합되도록 하고, 이음부몸체(210)와 브략파이프몸체(111-1)의 결합이 수행된 후, 이음부몸체(210)들을 결합부(211)를 통해 서로 연결하여 신축성 이음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부력파이프몸체(111-1)를 이음부몸체(210)의 외측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걸림부(22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부력파이프(111)의 단턱부(111-2)에 의해 삽입이 어려운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이음부몸체(210)는 서로 접합되는 면인 결합부(211)를 통한 융착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음부몸체(210)간의 결합의 다양한 방법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이음부몸체(210)는 결합부(211)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보조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212)는 결합부(211)의 원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이음부몸체(210) 간의 결합 시, 작업자로 하여금 결합을 위한 접합 작업이 수월하도록 함과 함께, 결합보조부(212)를 통해 이음부몸체(210)간의 결합을 더욱 더 견고히 함으로써, 이음부몸체(21) 사이로 유체(해수 또는 담수 등)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0 :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100 : 계류유닛
110 : 부유부
111 : 부력파이프
111-1 : 부력파이프몸체 111-2 : 단턱부
111-3 : 실링홈 111-4 : 실링부
111-5 : 요철부
112 : 연결브라켓
120 : 계류부
200 : 신축성 이음부
210 : 이음부몸체
211 : 결합부 212 : 결합보조부
220 : 걸림부

Claims (7)

  1. 선택되는 외경과 길이를 가지는 부력파이프(111)가 다수 배열되어 연결브라켓(112)에 의해 고정되는 부유부(110)와, 상기 부유부(110) 상부에 형성되는 계류부(120)를 포함하는 계류유닛(100); 및
    상기 계류유닛(100)의 부력파이프(111)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신축성 이음부(200);를 포함하는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력파이프(111)는,
    선택되는 외경과 길이를 가지는 부력파이프몸체(111-1)와,
    상기 부력파이프몸체(111-1)의 길이 방향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에 내경이 커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턱부(111-2) 및
    상기 단턱부(111-2)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실링홈(111-3)에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실링부(11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성 이음부(200)는,
    상기 단턱부(111-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과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이음부몸체(210)와,
    상기 이음부몸체(2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상기 부력파이프몸체(111-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음부몸체(210)는 길이 방향으로 둘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나뉘어진 양단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211)가 형성되며,
    하나의 부력파이프(111)를 분할된 이음부몸체(210) 중 하나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삽입시켜 부력파이프(111)의 단턱부(111-2)가 신축성 이음부(200)의 걸림부(220)에 걸려 결합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부력파이프(111)를 분할된 이음부몸체(210) 중 다른 하나의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삽입시켜 부력파이프(111)의 단턱부(111-2)가 신축성 이음부(200)의 걸림부(220)에 걸려 결합되도록 한 후,
    면접하는 분할된 이음부몸체(210)의 결합부(211)를 융착을 통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걸림부(22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단턱부(111-2)를 포함하는 부력파이프몸체(111-1)를 수월하게 이음부몸체(210)에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단턱부(111-2)가 걸림부(22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걸려 결합되어 수축 또는 팽창 등에 의한 형상 변화에도 부력파이프(111)가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111-2)에 형성되는 실링부(11-4)의 신축을 통해 상기 부력파이프몸체(111-1)와 이음부몸체(210) 간의 결합을 일정 유지할 수 있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111-4)는
    상기 실링홈(111-3)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111-5)를 포함하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11-5)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몸체(210)는
    결합부(211)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보조부(212)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파이프(111)와 이음부(200)는 플라스틱 소재 계열로 형성되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111-4)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으로 형성되는,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KR1020180083717A 2018-07-18 2018-07-18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KR10195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17A KR101959564B1 (ko) 2018-07-18 2018-07-18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17A KR101959564B1 (ko) 2018-07-18 2018-07-18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564B1 true KR101959564B1 (ko) 2019-07-04

Family

ID=6725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17A KR101959564B1 (ko) 2018-07-18 2018-07-18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473A (ja) * 1992-08-04 1994-03-01 Nippon Steel Corp 管継手
KR200344287Y1 (ko) * 2003-12-15 2004-03-12 우양호 차량배관의 플랙시블 관이음구조
KR200359265Y1 (ko) * 2004-05-25 2004-08-16 주식회사 에스피 파이프 연결구
KR100935240B1 (ko) 2009-06-09 2010-01-06 (주)엠디 다목적 계류장치
KR101359523B1 (ko) * 2013-08-20 2014-02-11 (주)엠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473A (ja) * 1992-08-04 1994-03-01 Nippon Steel Corp 管継手
KR200344287Y1 (ko) * 2003-12-15 2004-03-12 우양호 차량배관의 플랙시블 관이음구조
KR200359265Y1 (ko) * 2004-05-25 2004-08-16 주식회사 에스피 파이프 연결구
KR100935240B1 (ko) 2009-06-09 2010-01-06 (주)엠디 다목적 계류장치
KR101359523B1 (ko) * 2013-08-20 2014-02-11 (주)엠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JP2016510287A (ja) 組立式ポンツーン
US11732821B2 (en) Protection apparatus
KR101959564B1 (ko)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KR102030558B1 (ko) 수상 구조물의 부력관용 연결체
KR101815251B1 (ko) 수상구조물용 부력관의 밀폐용 연결소켓과 이를 이용한 부력조립체
KR19980025273A (ko)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R20220101788A (ko)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101270949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
JP5703093B2 (ja) プロファイル
ES2946068T3 (es) Junta estanca y método para instalar una junta estanca
KR102136876B1 (ko) 플로트 조립체
US20110079312A1 (en) Sectional Hose Float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JP2652336B2 (ja) 管路用漏水補修伸縮可撓継手
KR102266319B1 (ko) 수상구조물용 부력관의 멀티캡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상구조물
KR1004688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시공이음부의 지수판과 신축 이음부의 익스펜숀죠인트부재와의 접속 부위에 사용하는 지수판 접속부재
KR20190000769U (ko)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KR102460710B1 (ko) 선박 계류시스템
KR102337086B1 (ko) 탄성 계류 로프
KR101137648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0690626B1 (ko) 합성수지 관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합성수지 통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