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23B1 -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23B1
KR101359523B1 KR1020130098641A KR20130098641A KR101359523B1 KR 101359523 B1 KR101359523 B1 KR 101359523B1 KR 1020130098641 A KR1020130098641 A KR 1020130098641A KR 20130098641 A KR20130098641 A KR 20130098641A KR 101359523 B1 KR101359523 B1 KR 101359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frame
footrest
unit
joi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안정길
장현재
Original Assignee
(주)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 filed Critical (주)엠디
Priority to KR102013009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의 부력파이프와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하부측 계류구조물을 설치하고, 상기 계류구조물의 상부측에 폴리에틸렌 재질의 발판과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선박용 접안시설이나 부잔교 또는 부유식 방파제 등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계류장치를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계류유닛으로 분할시키는 한편, 각각의 계류유닛을 신축이음유닛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각각의 계류유닛을 육상에서 제작한 다음 이를 내륙의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 등지로 운반시켜 요구하는 길이만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수상에서 요구되는 위험하고 까다로운 작업을 최소화시켜 계류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키고, 계류장치의 제작에 필요한 부지확보 등의 추가적인 부담을 미연에 방지하며, 특히 그 길이가 길게 되는 선박용 접안시설이나 부잔교 또는 부유식 방파제 등의 구조물에 최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신축이음식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이음식 계류장치{A mooring apparatus with expandable connecting uni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의 부력파이프와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하부측 계류구조물을 설치하고, 상기 계류구조물의 상부측에 폴리에틸렌 재질의 발판과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선박용 접안시설이나 부잔교 또는 부유식 방파제 등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한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계류장치를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계류유닛으로 분할시키는 한편, 각각의 계류유닛을 신축이음유닛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신축이음식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륙의 호소(湖沼)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과 같은 수역(水域)에서 수상낚시터 시설이나 소형선박의 접안시설로 설치되는 계류장치는,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엮은 계류물을 설치한 다음, 이 계류물상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 및 선박의 접안에 필요한 선박결속비트 등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를 사용하여 계류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계류장치의 설치 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도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력재가 쉽게 파손됨에 따라, 계류장치의 수명과 안전성이 저하됨은 물론, 계류장치가 설치된 수역이 부력재로부터 떨어져 나온 파편들에 의하여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조립 및 접착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의 부력파이프 및 연결브라켓을 토대로 한 계류장치가 적용되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 재질의 부력파이프와 연결브라켓을 기초로 한 계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 개의 부력파이프(3)가 연결브라켓(4)에 의하여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도록 연결 설치됨으로서 하부측의 계류구조물(2)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계류구조물(2)의 상부측에는 사용자의 이동과 보호를 위한 발판(5)과 안전난간(6)을 설치한 것이며,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출원인이 2009년 특허출원 제 51031호로 선출원하여 제 10-0935240호로 특허등록된 다목적 계류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계류장치(1)에 사용되는 연결브라켓(4)은 그 종류나 형태가 매우 다양하지만, 통상 부력파이프(3)와 조립되는 1개 내지 3개 정도의 파이프링이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링의 상부나 외부측에 보강용 지지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살의 상단부에 발판(5)과 안전난간(6) 등을 조립시키기 위한 조립단부가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5)은 사각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다수 개의 발판프레임(5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난간(6)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발판(5)의 주연부에 배치된 레일포스트(6a)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드레일(Guard rail)(6b)이 연결 설치된 구조가 되며, 상기 계류구조물(2)의 모서리측에는 계류밴드(7)에 의하여 계류로프(8)와 연결되는 계류파이프(3a)가 설치되고, 계류구조물(2)의 외곽측에는 완충용 범퍼프레임(9)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상기 계류장치(1)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다른 계류장치는 그 전체적인 길이가 10~30m 정도인 수상낚시터 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 등의 용도로 설치하기에는 별다른 무리가 없었으나, 그 전체적인 길이가 100m 이상이 되는 대형 부잔교(浮棧橋: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잔교)나 접안시설 또는 부유식 방파제 등의 용도로 설치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다시 말해서, 100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대형 부잔교나 접안시설 또는 부유식 방파제 등은 육상에서 계류장치(1)를 제작하여 내륙의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 등으로 운반할 수 없기 때문에, 계류장치(1)를 제작 및 설치하는 대부분의 작업이 수상(水上)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수상작업은 날씨 상황에 따라 중단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파랑(波浪) 등에 의한 요인으로 작업 자체가 매우 위험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계류장치(1)의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소요된다는 것이다.
물론,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의 주변에 부지를 확보하여 계류장치(1)를 육상에서 제작한 다음 이를 요구하는 수역으로 진수(進水)시킬 수도 있으나, 100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대형 구조물의 제작이 가능한 넓은 부지의 확보가 쉽지 않을 뿐더러, 날씨의 상황에 구애를 받지 않고 계류장치(1)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지에 별도의 건물 또한 부설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부지의 확보와 건물의 부설에 막대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대형 구조물이 되는 계류장치(1)를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의 주변에서 제작한다고 하더라도, 엄청난 무게를 가지는 대형의 계류장치(1)를 수상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역시 고가의 중장비를 이용한 매우 난해하고 어려운 작업이 되며, 계류장치(1)의 운반 과정에서 계류장치(1)를 이루는 각종 부품의 파손 우려 또한 매우 높게 된다.
특히, 계류장치(1)의 운반 과정에서 파손되는 부위가 계류구조물(2)을 이루는 부력파이프(3)나 연결브라켓(4) 부분이 될 경우에는 계류장치(1)의 시설강도와 안전성 및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없게 되고, 각각의 부품이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조립 및 접착되는 계류장치(1)의 특성상 현장에서의 수리나 유지보수 또한 매우 까다롭게 되며, 파손이 심한 경우에는 계류장치(1)를 설치하지 못하고 처음부터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계류장치(1)를 이루는 폴리에틸렌 소재가 플라스틱의 일종이므로 열팽창 계수가 비교적 크게 되며, 계류장치(1)의 발판(5)을 이루는 발판프레임(5a)의 경우는 부력파이프(3)에 비하여 그 두께가 얇고 직경이 작을 뿐만 아니라, 계류구조물(2)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직사광선이나 외부 고온 등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하절기의 열팽창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발생하는 부분이다.
특히, 100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대형 계류장치(1)의 경우에는, 하절기의 열팽창에 의하여 발판프레임(5a)이 늘어나는 변형폭이 다소 크게 되므로, 발판(5) 전체의 조립강도 및 발판(5)의 외관상태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이고, 심한 경우에는 계류장치(1)의 전체적인 시설강도를 저하시켜 계류장치(1)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22218호(등록일자: 2009년 10월 0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35240호(등록일자: 2009년 12월 2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계류장치를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계류유닛으로 분할시키는 한편, 각각의 계류유닛을 신축이음유닛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각각의 계류유닛을 육상에서 제작한 다음 이를 내륙의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 등지로 운반시켜 요구하는 길이만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수상에서 요구되는 위험하고 까다로운 작업을 최소화시켜 계류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키고, 계류장치의 제작에 필요한 부지확보 등의 추가적인 부담을 미연에 방지하며, 특히 그 길이가 길게 되는 선박용 접안시설이나 부잔교 또는 부유식 방파제 등의 구조물에 최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신축이음식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계류유닛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측에 "工"자형 단면의 연결프레임을 설치하거나, 계류유닛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각각의 발판프레임 끝단부에 요철(凹凸) 형상으로 맞물리는 이음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일측 계류유닛의 발판프레임 끝단부와 타측 계류유닛의 발판프레임 끝단부 사이에 상기 연결프레임 또는 이음부재에 의한 완충간격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계류유닛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 부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동시에, 하절기시 발생하는 발판의 열팽창 현상을 적절하게 완충시켜 발판의 변형이나 조립강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계류장치의 전체적인 시설강도와 사용수명을 보장하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부력파이프가 연결브라켓으로 연결 설치되어 하부측의 계류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계류구조물의 상부측에는 발판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발판 및 레일포스트와 가드레일로 이루어지는 안전난간이 연결브라켓의 상부면을 따라 조립 설치된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계류유닛으로 분할되는 한편, 각각의 계류유닛이 신축이음유닛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된 것이고, 상기 신축이음유닛은, 계류유닛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계류구조물을 이루는 부력파이프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파이프와, 계류유닛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부력파이프의 끝단에 설치되어 연결파이프와 조립되는 멀티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링은 중앙측 센터판의 전방측에 연결파이프와 조립되는 연결링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판의 후방측에 부력파이프와 조립되는 조립파이프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은 센터판의 중앙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신축이음유닛의 연결파이프에는 계류장치용 연결브라켓이 보강브라켓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강브라켓은 부력파이프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연결파이프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축이음유닛의 연결파이프와 조립된 각각의 보강브라켓은 보강프레임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연결파이프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보강브라켓 상단측에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계류유닛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측에는 연결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발판조립부가 돌출 형성된 "工"자형 단면의 프레임이 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발판조립부 내측을 통하여 각 계류유닛의 발판을 이루는 발판프레임의 끝단부가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발판조립부로 삽입되는 발판프레임의 끝단부는 소정의 완충간격을 두고 메인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을 대신하는 발판용 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계류유닛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측에는 마감용 이음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이음부재는, 일측 계류유닛의 발판을 제공하는 각각의 발판프레임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제 1이음부재와, 타측 계류유닛의 발판을 제공하는 각각의 발판프레임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제 2이음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이음부재와 제 2이음부재는 소정의 완충간격을 두고 요철 형상으로 맞물리는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이음부재와 제 2이음부재는 조립핀에 의하여 발판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 1이음부재와 제 2이음부재의 후단부는 발판프레임의 끝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조립부위가 되고, 상기 조립부위에는 조립핀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조립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그 길이가 길게 되는 선박용 접안시설이나 부잔교 또는 부유식 방파제 등의 계류장치를 다수 개의 계류유닛으로 분할시켜 각각의 계류유닛을 육상에서 제작한 다음, 이를 내륙의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 등지로 운반시켜 요구하는 길이만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로 인하여 수상에서 요구되는 위험하고 까다로운 작업을 최소화시켜 계류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키는 동시에, 계류장치의 제작에 필요한 부지확보 등의 추가적인 부담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류유닛간의 발판측 이음부에 "工"자형 단면의 연결프레임 또는 요철 형상으로 맞물리는 이음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발판프레임의 끝단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프레임 또는 이음부재를 기초로 하는 완충간격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계류유닛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 부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동시에, 하절기시 발생하는 발판의 열팽창 현상을 적절하게 완충시켜 발판의 변형이나 조립강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계류장치의 전체적인 시설강도와 사용수명을 보장하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계류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식 계류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식 계류장치의 하부측 계류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유닛에 사용되는 멀티링의 평면도와 측면도 및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축이음유닛의 요부 발췌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신축이음유닛의 조립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축이음유닛의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판용 이음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이음부재의 조립도.
도 1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판프레임을 종류별로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파이프(3)와 연결브라켓(4)에 의하여 제공되는 하부측 계류구조물(2)과, 상기 계류구조물(2)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발판(5) 및 안전난간(6)으로 이루어지는 계류장치(1)를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계류유닛(1a)으로 분할시키는 한편, 각각의 계류유닛(1a)이 신축이음유닛(10)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를 선박용 접안시설이나 부잔교 등의 용도에 맞추어 제작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된 안전난간(6)을 따라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통로간격(도면상 총 6개소)이 제공되어 있으며, 총 3개의 계류유닛(1a)이 2개의 신축이음유닛(10)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는 도면상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위치하는 계류유닛(1a)의 사이에 중앙측 계류유닛(1a)을 다수 개로 배치하여 각각의 계류유닛(1a)을 신축이음유닛(10)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요구하는 길이만큼 계류장치(1)를 보다 더 길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본 출원인이 2009년 특허출원 제 51040호로 선출원하여 제 10-0922218호로 특허등록된 반잠수식 소파장치와 같은 부유식 방파제 등의 구조물에도 본 발명의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를 부유식 방파제와 같은 용도로 설치할 경우, 부유식 방파제의 하부측에서 다수 개의 층을 이루는 부력파이프(3)의 배치상태에 맞추어, 부력파이프(3)가 형성하는 각각의 층마다 신축이음유닛(10)이 적용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가 적용되는 수상구조물의 종류나 용도에 맞추어 상기 안전난간(6)은 필요시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 개의 부력파이프(3)가 연결브라켓(4)에 의하여 규칙적인 배열(도면상 5열의 배치)을 이루도록 연결 설치됨으로서 하부측의 계류구조물(2)을 제공하며, 상기 계류구조물(2)의 상부측에는 사용자의 이동과 보호를 위한 발판(5)과 안전난간(6)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브라켓(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파이프(3)와 조립되는 1개의 파이프링(4a)이 사각 형태의 외곽프레임 하측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링(4a)의 외부측에는 방사상의 지지살(4b)이 형성되는 한편, 파이프링(4a)의 상부측에는 아치형의 지지살(4b)과 수직 방향의 지지살(4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곽프레임의 상단측에 발판(5)과 안전난간(6) 등의 설치를 위한 조립단부(4c)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파이프링(4a)의 외주연부를 따라 총 4개의 보조링(4d)이 방사상의 지지살(4b)을 기초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보조링(4d)은 필요시 부력파이프(3)보다 작은 직경의 보조파이프를 조립시켜 계류장치(1)에 요구되는 부력과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외곽프레임의 양측 상부에는 연결브라켓(4)간의 조립을 위하여 돌출되는 지지살 구조가 추가로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에 사용되는 연결브라켓(4)의 종류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각종 계류장치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종류나 형태의 연결브라켓(4)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하부측 계류구조물(2)을 이루는 부력파이프(3)와 연결브라켓(4)의 배치 및 조립구조 역시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축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발판(5)은 도 13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사각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다수 개의 발판프레임(5a)이 연결브라켓(4) 상단의 조립단부(4c)를 따라 조립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발판프레임(5a)의 상부측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면(5b)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전난간(6)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발판(5)의 주연부에 배치된 레일포스트(Rail post)(6a)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드레일(Guard rail)(6b)이 연결 설치된 구조가 된다.
이와 더불어, 도 2 및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류구조물(2)은 내부측에 위치하는 3열(列)의 부력파이프(3)와, 이를 에워싸는 형태의 외곽측 부력파이프(3)로 이루어지고, 내부측 부력파이프(3)의 끝단부는 "T"자형의 멀티링(13)에 의하여 외곽측 부력파이프(3)와 연결 설치되며, 외곽측 부력파이프(3)의 모서리 부분에는 계류밴드에 의하여 계류로프(8)와 연결되는 계류파이프(3a)가 설치되고, 계류구조물(2)의 외곽측에는 완충용 범퍼프레임(9)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멀티링(13)과 계류밴드에 관한 자세한 기술적 사항은 본 출원인이 2008년 특허출원 제 51488호로 선출원하여 제 10-0935937호로 특허등록된 기술내용과, 본 출원인이 2009년 특허출원 제 51024호로 선출원하여 제 10-0935238호로 특허등록된 기술내용을 참조하기 바라며, 앞서 선행기술문헌란에 언급된 2개의 문헌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 및 특허등록된 문헌으로서, 해당 문헌에도 멀티링(13)과 계류밴드에 대한 기술적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요부에 해당하는 상기 신축이음유닛(10)은 도 6 내지 도 10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치(1)를 이루는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계류구조물(2)을 이루는 부력파이프(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파이프(11)와,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부력파이프(3)의 끝단에 설치되어 연결파이프(11)와 조립되는 멀티링(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파이프(11)는 계류장치(1)용 부력파이프(3)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며, 상기 멀티링(13)은 도 7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측 센터판(13a)의 전방측에 연결파이프(11)와 조립되는 연결링(13b)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판(13a)의 후방측에 부력파이프(3)와 조립되는 조립파이프(13c)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13b)은 센터판(13a)의 중앙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신축이음유닛(10)에 사용되는 멀티링(13)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T"자형 멀티링(13)의 구조에서 연결링(13b)의 위치를 합리적으로 개선시킴에 따라,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부력파이프(3)의 끝단에 멀티링(13)을 설치한 다음, 각각의 멀티링(13)을 연결파이프(11)와 조립시키는 과정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연결링(13b)이 지그재그식으로 어긋나도록 하여, 신축이음유닛(10)에 의한 계류유닛(1a)의 연결작업시 멀티링(13)끼리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8에서와 같이 각각의 멀티링(13)이 조립되는 부력파이프(3)의 끝단부는 멀티링(13)의 후방측 조립파이프(13c)가 내측으로 끼워지는 조립단부(3b)를 제공토록 하되, 부력파이프(3)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조립단부(3b)가 돌출되는 부력파이프(3)의 끝단부는 막힌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멀티링(13) 또한 폴리에틸렌 재질을 사용하여 각각의 부력파이프(3) 및 연결파이프(11)와 열융착 방식으로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신축이음유닛(10)이 설치되는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보다 더 우수한 구조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서, 신축이음유닛(10)을 이루는 연결파이프(11)를 따라 다수 개(도면상 4개)의 보강브라켓(14)이 설치되는 한편, 각각의 보강브라켓(14)이 다수 개(도면상 2개)의 보강프레임(15)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브라켓(14)과 보강프레임(15) 역시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에 사용되는 연결브라켓(4)과 발판프레임(5a)을 적용시키는 것이 경제적이며, 각각의 보강브라켓(14)은 부력파이프(3)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연결파이프(11)와 조립 설치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5)은 연결파이프(1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보강브라켓(14) 상단측에 조립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브라켓(14)의 상부 내측에는 보강프레임(15)이 끼움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조립용 보강살(14a)이 제공되어 있으며, 연결브라켓(4)을 보강브라켓(14)으로 활용할 경우, 보강브라켓(14)의 상단면에는 연결브라켓(4)과 같은 조립단부(4c)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발판프레임(5a) 및 이후에 설명될 연결프레임(12)이 보강브라켓(14)의 상단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 2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2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5)측에 연결프레임(12)을 설치하되, 상기 연결프레임(12)을 중앙측 메인프레임(12a)의 양측에 발판조립부(12b)가 돌출 형성된 "工"자형 단면의 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연결프레임(12)의 발판조립부(12b) 내측으로 각 계류유닛(1a)의 발판(5)을 이루는 발판프레임(5a)의 끝단부가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는 다수 개로 분할된 계류유닛(1a)을 신축이음유닛(10)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각의 계류유닛(1a)이 연결되는 이음부에서는 발판(5)의 형태 또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단된 형태가 되며,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계류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이고, 발판(5) 이음부 사이의 간격에 사용자의 발이 걸리거나 각종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 등의 단점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발판(5) 이음부에 대한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판(5) 이음부의 마감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工"자형 단면의 연결프레임(12)을 적용한 것이고, 하절기시에 발생하는 발판프레임(5a)의 열팽창을 완충시킬 수 있는 구조 또한 연결프레임(12)에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보다 더 유리하며, 이를 위하여 도 10의 확대된 부분에서와 같이 연결프레임(12)의 발판조립부(12b)로 삽입되는 발판프레임(5a)의 끝단부는 소정의 완충간격(12c)을 두고 중앙측 메인프레임(12a)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도 11은 발판(5)용 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5)측에 마감용 이음부재(16)를 설치한 것이며, 상기 이음부재(16)는, 일측(도면상 좌측) 계류유닛(1a)의 발판(5)을 제공하는 각각의 발판프레임(5a) 끝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 1이음부재(17)와, 타측(도면상 우측) 계류유닛(1a)의 발판(5)을 제공하는 각각의 발판프레임(5a)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제 2이음부재(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는 발판프레임(5a)의 열팽창에 따른 변형(늘어남)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완충간격(16a)을 두고 요철(凹凸) 형상으로 맞물리는 구조가 되며, 이로 인하여 발판(5)의 이음부를 따라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가 파형(波形)의 지그재그식 완충간격(16a)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파형의 완충간격(16a)은 직선형 절단간격에 비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이 걸리거나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더불어,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를 조립핀(17b)(18b)에 의하여 발판프레임(5a)과 연결 설치하되,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의 후단부가 발판프레임(5a)의 끝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조립부위가 되도록 하는 한편, 해당 조립부위에는 조립핀(17b)(18b)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조립공(17a)(18a)을 형성시키는 방식이 보다 더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를 발판프레임(5a)과 조립시키게 되면,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의 사이에 제공된 완충간격(16a)과 더불어 조립공(17a)(18a)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d)이 발판프레임(5a)의 열팽창을 추가로 완충시킬 수 있는 여유간격을 제공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하절기시 발판프레임(5a)의 열팽창이 발생하여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가 밀착됨에 따라,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의 사이에 제공된 완충간격(16a)이 상쇄되더라도, 각각의 발판프레임(5a)이 조립핀(17b)(18b)과 함께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의 조립공(17a)(18a)을 따라 늘어날 수 있으므로, 발판프레임(5a)의 열팽창에 따른 변형량(늘어남)을 추가로 완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식 계류장치(1)에 의하면, 그 길이가 약 100m 정도로 길게 되는 선박용 접안시설이나 부잔교 또는 부유식 방파제 등의 대형 수상구조물을 20~30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 개의 계류유닛(1a)으로 분할시켜 각각의 계류유닛(1a)을 육상에서 제작한 다음, 이를 내륙의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 등지로 운반시켜 신축이음유닛(10)으로 요구하는 길이만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대형 수상구조물이 되는 계류장치(1)의 설치시에도, 대부분의 작업을 육상에서 수행할 수 있고, 수상에서 요구되는 위험하고 까다로운 작업은 최소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계류장치(1)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고, 대형 계류장치(1)의 제작을 위하여 넓은 부지를 별도로 매입하거나, 해당 부지에 별도의 건물을 부설하는 것과 같은 막대한 비용부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계류유닛(1a)간의 발판(5)측 이음부에 "工"자형 단면의 연결프레임(12)을 설치하거나, 각각의 발판프레임(5a) 단부측에 요철 형상으로 맞물리는 이음부재(16)를 설치함으로서,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5) 부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동시에, 발판(5) 이음부 사이의 절단간격에 사용자의 발이 걸리거나 각종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프레임(12) 또는 이음부재(16)를 기초로 하여 발판프레임(5a)의 열팽창에 따른 변형량을 보상하는 완충간격(12c)(16a)이 발판(5)용 이음부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하절기시 발생하는 발판(5)의 열팽창 현상을 적절하게 완충시켜 발판(5)의 변형이나 조립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계류장치(1)의 전체적인 시설강도와 사용수명을 보장하는 측면에도 기여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 : 계류장치 1a : 계류유닛 2 : 계류구조물
3 : 부력파이프 3a : 계류파이프 3b,4c : 조립단부
4 : 연결브라켓 4a : 파이프링 4b : 지지살
4d : 보조링 5 : 발판 5a : 발판프레임
5b : 논슬립면 6 : 안전난간 6a : 레일포스트
6b : 가드레일 7 : 계류밴드 8 : 계류로프
9 : 범퍼프레임 10 : 신축이음유닛 11 : 연결파이프
12 : 연결프레임 12a : 메인프레임 12b : 발판조립부
12c,16a : 완충간격 13 : 멀티링 13a : 센터판
13b : 연결링 13c : 조립파이프 14 : 보강브라켓
14a : 보강살 15 : 보강프레임 16 : 이음부재
17 : 제 1이음부재 17a,18a : 조립공 17b,18b : 조립핀
18 : 제 2이음부재

Claims (7)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열(列)로 배치되는 부력파이프(3)가 연결브라켓(4)으로 연결 설치되어 하부측의 계류구조물(2)을 제공하고, 상기 계류구조물(2)의 상부측에는 발판프레임(5a)으로 이루어지는 발판(5) 및 레일포스트(6a)와 가드레일(6b)로 이루어지는 안전난간(6)이 연결브라켓(4)의 상부면을 따라 조립 설치된 계류장치(1)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치(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계류유닛(1a)으로 분할되는 한편, 각각의 계류유닛(1a)이 신축이음유닛(10)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된 것이며,
    상기 신축이음유닛(10)은,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계류구조물(2)을 이루는 부력파이프(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파이프(11)와,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부력파이프(3)의 끝단에 설치되어 연결파이프(11)와 조립되는 멀티링(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링(13)은 중앙측 센터판(13a)의 전방측에 연결파이프(11)와 조립되는 연결링(13b)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판(13a)의 후방측에 부력파이프(3)와 조립되는 조립파이프(13c)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13b)은 센터판(13a)의 중앙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유닛(10)의 연결파이프(11)에는 계류장치(1)용 연결브라켓(4)이 보강브라켓(14)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강브라켓(14)은 부력파이프(3)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연결파이프(11)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유닛(10)의 연결파이프(11)와 조립된 각각의 보강브라켓(14)은 보강프레임(15)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강프레임(15)은 연결파이프(1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보강브라켓(14) 상단측에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5)측에는 연결프레임(12)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2)은 메인프레임(12a)의 양측에 발판조립부(12b)가 돌출 형성된 "工"자형 단면의 프레임이 되며,
    상기 연결프레임(12)의 발판조립부(12b) 내측을 통하여 각 계류유닛(1a)의 발판(5)을 이루는 발판프레임(5a)의 끝단부가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12)의 발판조립부(12b)로 삽입되는 발판프레임(5a)의 끝단부는 소정의 완충간격(12c)을 두고 메인프레임(12a)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닛(1a)간의 이음부에 해당하는 발판(5)측에는 마감용 이음부재(16)가 설치되며,
    상기 이음부재(16)는, 일측 계류유닛(1a)의 발판(5)을 제공하는 각각의 발판프레임(5a)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제 1이음부재(17)와, 타측 계류유닛(1a)의 발판(5)을 제공하는 각각의 발판프레임(5a)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제 2이음부재(18)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는 소정의 완충간격(16a)을 두고 요철(凹凸) 형상으로 맞물리는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는 조립핀(17b) (18b)에 의하여 발판프레임(5a)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의 후단부는 발판프레임(5a)의 끝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조립부위가 되며,
    상기 제 1이음부재(17)와 제 2이음부재(18)의 조립부위에는 조립핀(17b) (18b)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조립공(17a)(18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1020130098641A 2013-08-20 2013-08-20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101359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641A KR101359523B1 (ko) 2013-08-20 2013-08-20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641A KR101359523B1 (ko) 2013-08-20 2013-08-20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523B1 true KR101359523B1 (ko) 2014-02-11

Family

ID=5027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641A KR101359523B1 (ko) 2013-08-20 2013-08-20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963B1 (ko) 2016-02-17 2016-09-09 주식회사 지주 방오 기능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가진 부유식 수상 구조물
KR101681289B1 (ko) 2016-01-19 2016-12-05 주식회사 지주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미끄럼방지기능과 난연성능을 가진 발판부재, 그 발판부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91552B1 (ko) 2018-02-26 2018-08-29 이현상 수상 구조물용 부력자동보상 기능을 가진 지능형 부력관
KR101959564B1 (ko) * 2018-07-18 2019-07-04 신영석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249A (ja) 2002-05-23 2003-11-28 Jfe Engineering Kk ジャケット式海上構造物
KR100922218B1 (ko) 2009-06-09 2009-10-20 (주)엠디 반잠수식 소파장치
KR100935240B1 (ko) 2009-06-09 2010-01-06 (주)엠디 다목적 계류장치
KR100944183B1 (ko) 2009-06-09 2010-02-26 (주)엠디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 연결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249A (ja) 2002-05-23 2003-11-28 Jfe Engineering Kk ジャケット式海上構造物
KR100922218B1 (ko) 2009-06-09 2009-10-20 (주)엠디 반잠수식 소파장치
KR100935240B1 (ko) 2009-06-09 2010-01-06 (주)엠디 다목적 계류장치
KR100944183B1 (ko) 2009-06-09 2010-02-26 (주)엠디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 연결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289B1 (ko) 2016-01-19 2016-12-05 주식회사 지주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미끄럼방지기능과 난연성능을 가진 발판부재, 그 발판부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55963B1 (ko) 2016-02-17 2016-09-09 주식회사 지주 방오 기능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가진 부유식 수상 구조물
KR101891552B1 (ko) 2018-02-26 2018-08-29 이현상 수상 구조물용 부력자동보상 기능을 가진 지능형 부력관
KR101959564B1 (ko) * 2018-07-18 2019-07-04 신영석 신축성 이음부를 이용한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523B1 (ko)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100935240B1 (ko) 다목적 계류장치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0956519B1 (ko)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이용한 부잔교
US9206570B2 (en) Floating marine dock and connection system therefor
KR101311221B1 (ko) 콘크리트 부유체 고정구 및 콘크리트 부유체
KR101211865B1 (ko)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US5044296A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KR101298679B1 (ko) 부력파이프 교차식 고강도 부잔교
KR200482319Y1 (ko) 계류장치용 발판의 신축이음유닛
RU62578U1 (ru) Пла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KR20100005101U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US4947780A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1634698B1 (ko) 세굴방지와 생태보호 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시공 방법
JP6630105B2 (ja) 浮桟橋用浮体の連結構造
AU2014204501A1 (en) Pontoon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CN113136848A (zh) 一种水下隔物帘及其安装方法
US7263736B2 (en) Sand dune bridges and methods of protecting sand dunes
KR101384447B1 (ko) 도교
KR200447721Y1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KR20180003898A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어셈블리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CN212890837U (zh) 一种漂浮式水上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