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916B1 -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916B1
KR101952916B1 KR1020180011032A KR20180011032A KR101952916B1 KR 101952916 B1 KR101952916 B1 KR 101952916B1 KR 1020180011032 A KR1020180011032 A KR 1020180011032A KR 20180011032 A KR20180011032 A KR 20180011032A KR 101952916 B1 KR101952916 B1 KR 101952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magnet
fixing ring
voice coil
acous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박민구
김하림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916B1/ko
Priority to CN201811526641.5A priority patent/CN110099338B/zh
Priority to JP2018239004A priority patent/JP2019134411A/ja
Priority to US16/248,715 priority patent/US106942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자기력을 집중시키는 요크, 음향 정보를 가진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에 밀착되어 있고,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판, 진동판과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위에 위치하여 진동판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포함하되, 고정링의 단면은 너비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ACOUSTIC DEVICE WITH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본 발명은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진동부의 면적을 넓혀 음압을 향상시키고, 컬링 공법으로 접착제 없이 조립할 수 있으며, 내부 체적을 증가시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출력을 향상시킨 음향기기에 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음향기기, 예컨대 이어폰 또는 스피커는 마그넷 및 요크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마그넷과 요크 사이의 갭(Gap)에 보이스 코일을 위치시키고, 보이스 코일에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이 자기회로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음향기기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의 음향기기는 하우징(100), PCB 회로(110), 요크(120), 마그넷(130), 플레이트(140), 고정링(150), 진동판(160), 보이스 코일(170) 및 가압부(18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음향기기의 외관을 구성한다. 하우징(100)은 PCB 회로(110), 요크(120), 마그넷(130), 플레이트(140), 고정링(150), 진동판(160), 보이스 코일(170) 및 가압부(18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미감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구매욕을 높인다.
PCB 회로(110)는 오디오 장치의 전기신호를 보이스 코일(170)에 인가한다. PCB 회로(110)는 음향기기의 디자인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하우징(100)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마그넷(130)은 자성을 지닌 물체로서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마그넷(130)은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넷(130)은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그넷(130)이 링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외(外)자형이라고 하고, 마그넷(130)이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내(內)자형이라고 한다.
요크(120)는 마그넷(130)에서 발생한 자기력을 집중시켜 고밀도의 균일한 자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요크(120)는 마그넷(13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마그넷(130)이 링 모양인 외(外)자형의 경우 요크(120)는 마그넷(130) 중앙에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130)이 원기둥 모양인 내(內)자형의 경우 요크(120)는 마그넷(130)을 둘러싸는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170)은 마그넷(130)과 요크(120) 사이에 위치한다. 보이스 코일(170)에는 마그넷(13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이 투과한다. 보이스 코일(170)에 자기력이 투과하고 있는 상태에서 보이스 코일(170)에 음향 정보를 가진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170)이 자기회로와의 전자기 작용에 의해 진동한다.
진동판(160)은 보이스 코일(170)과 일부분이 붙어 있으며, 그로 인해 보이스 코일(170)이 진동하면 진동판(160)도 함께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
플레이트(140)는 마그넷(130) 위에 위치하여 고정링(150) 및 진동판(160)을 고정하기 위한 뼈대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링(150)은 플레이트(140) 상단에 붙어 있고, 가압부(180)는 하우징(100) 하단에 붙어 있다. 고정링(150)과 가압부(180)는 양 방향에서 진동판(160)의 일부를 눌러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진동판(160)의 테두리 부분(이하, '고정부')이 고정링(150)과 가압부(180) 사이에서 끼여 고정되고, 진동판(160)의 나머지 부분(이하, '진동부')이 진동하며 소리를 발생시킨다.
진동이 발생하고 소리를 출력하고 있을 때 진동판(160)이 떨어지지 않게 하려면 고정부의 면적이 충분하여야 한다. 예컨대 진동판(160)의 테두리 중 0.35 mm 정도를 고정링(150)과 가압부(180) 사이에 끼워 가압하면 진동판(160)이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의 면적이 너무 넓으면 진동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진동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음압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진동판(160)의 테두리 부분을 단단히 고정하면서도 진동판(160)에서 진동부의 면적을 넓히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432596호(발명의 명칭: 스피커, 공개: 2006.11.28)가 있다.
동 문헌은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요크와, 상기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 플레이트에서 발생한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되, 외부의 PCB 터미널과 리드선으로 연결된 코일과, 상기 코일과 일체로 결합되어 코일의 진동에 의해 함께 진동하여 소리를 재생하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진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일단부는 원주를 따라 외벽이 형성되어, 상기 외벽에 의해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의 내주연에는 상부로 개방되되, 일정 높이 및 폭을 갖는 단턱을 절단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턱에 의해 진동판의 양단이 상하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더 제공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개시하고 있다.
동 문헌에 개시된 스피커는 요크의 구조를 변경하여 진동판에서 진동부의 면적을 넓히고 있다. 그러나 동 문헌에 의하면 요크의 구조를 변경하는 성형 공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요크의 구조 변경이 음향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압이 향상된 음향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착제 없이 조립할 수 있는 음향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출력이 향상된 음향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자기력을 집중시키는 요크, 음향 정보를 가진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에 밀착되어 있고,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판, 진동판과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위에 위치하여 진동판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포함하되, 고정링의 단면은 너비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상기 자기력을 집중시키는 상자성체를 포함하는 요크, 음향 정보를 가진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위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판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링의 단면은 너비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이며, 상기 진동판의 단부가 고정링의 상단면 전부에 밀착되며, 상기 진동판의 단부에 연속하여 안쪽으로 연장된 내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링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진동판의 진동 시 밀착된 고정면이 증가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링의 내측면에 밀착된 만큼 진동부가 확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진동판에서 진동부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컬링 공법을 이용하여 접착제 없이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공진 제어를 위하여 내부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낮은 주파수 대역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향기기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결합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결합도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음향 성능 실험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종래의 음향기기에서 각 부의 고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에서 각 부의 고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내부 체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내부 체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음향 성능 실험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하우징(200), PCB 회로(210), 요크(220), 마그넷(230), 플레이트(240), 고정링(250), 진동판(260) 및 보이스 코일(27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음향기기의 외관을 구성한다. 하우징(200)은 PCB 회로(210), 요크(220), 마그넷(230), 플레이트(240), 고정링(250), 진동판(260), 보이스 코일(270) 및 가압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미감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구매욕을 높인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은 조립시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컬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PCB 회로(210)는 오디오 장치의 전기신호를 보이스 코일(270)에 인가한다. PCB 회로(210)는 음향기기의 디자인에 따라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하우징(200)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B 회로(210)는 요크(220)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PCB 회로(210)는 요크(220) 하단 이외에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PCB 회로(210)의 구조 및 위치는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그넷(230)은 자성을 지닌 물체로서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마그넷(230)은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넷(230)은 링 모양일 수도 있고, 원기둥 모양일 수도 있다.
이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마그넷(230)이 링 모양인 외(外)자형 음향기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내(內)자형 음향기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요크(220)는 마그넷(230)에서 발생한 자기력을 집중시켜 고밀도의 균일한 자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요크(220)는 철(Fe) 등의 상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자성체란 자기장 안에 넣으면 자기장 방향으로 약하게 자화하고 자기장이 제거되면 자화하지 않는 물질이다.
요크(220)는 마그넷(23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마그넷(230)이 링 모양인 경우 요크(220)는 링의 중앙에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230)이 원기둥 모양인 경우 요크(220)는 마그넷(230)을 둘러싸는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요크(220)가 원기둥 모양이고, 마그넷(230)은 요크(220)를 둘러싼 링 모양이며, 보이스 코일(270)은 마그넷(230)의 안쪽에 배치된 구조의 음향기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마그넷(230)이 원기둥 모양이고, 요크(220)는 마그넷(230)을 둘러싼 링 모양이며, 보이스 코일(270)은 마그넷(230)의 바깥쪽에 배치된 구조의 음향기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270)은 마그넷(230)과 요크(220) 사이에 위치한다. 보이스 코일(270)에는 마그넷(23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이 투과한다. 보이스 코일(270)에 자기력이 투과하고 있는 상태에서 보이스 코일(270)에 음향 정보를 가진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270)이 자기회로와의 전자기 작용에 의해 진동한다.
진동판(260)은 보이스 코일(270)과 일부분이 붙어 있으며, 그로 인해 보이스 코일(270)이 진동하면 진동판(260)도 함께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 진동판(260)과 보이스 코일(270)이 붙어 있는 부분은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레이트(240)는 마그넷(230) 위에 위치하여 고정링(250) 및 진동판(260)을 고정하기 위한 뼈대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링(250)은 플레이트(240) 상단에 붙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고정링(250)의 형상이 종래의 음향기기와 상이하다. 도 1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종래의 음향기기는 고정링(250)의 단면이 정사각형 형태이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고정링(250)의 단면이 너비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 형태이다.
도 1에 예시된 종래의 음향기기는 고정링(150)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별도의 가압부(180)를 구비하여, 진동판(160) 아래에서는 고정링(150)이 진동판(160)을 받치고, 진동판(160) 위에서는 가압부(180)가 진동판(160)을 눌러 진동판(160)의 테두리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고정링(250)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서 가압부 없이 고정링(250)이 진동판(260)을 받치고, 진동판(260) 위에서는 하우징(200)이 진동판(260)을 눌러 진동판(260)의 테두리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진동 발생시 진동판(260)이 떨어지지 않게 하려면 진동판(260)에서 고정된 부분의 면적이 충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고정링(250)의 단면이 너비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 형태이므로 진동판(260)에서 고정링(250)의 상단면과 하우징(200) 사이에 끼여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이 종래의 음향기기보다 좁다. 따라서 진동판(260)의 추가 부분을 고정링(250)의 내측면에 접착하여 추가적인 고정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진동판(260)의 추가 부분과 고정링(250)의 내측면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진동판(260)의 추가 부분을 고정링(250)의 내측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충분한 고정 면적을 확보하여 진동 발생시 진동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판(260)이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진동판(260)의 일부가 고정링(250)의 상단면에 밀착되고, 진동판(260)의 다른 일부가 고정링(25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진동판(260)의 일부가 고정링(250)의 상단면 전부에 밀착되고, 진동판(260)의 다른 일부가 고정링(250)의 내측면 일부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밀착 방법에 있어서, 진동판(260)의 일부를 고정링(250)의 상단면과 하우징(200) 사이에 끼워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판(260)의 일부를 고정링(250)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결합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결합도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하우징(200), 진동판(260), 고정링(250), 보이스 코일(270), 플레이트(240), 마그넷(230), 요크(220) 및 PCB 회로(210)의 순서로 조립된다.
조립 과정에서 진동판(260)의 테두리 일부가 하우징(200)과 고정링(250) 사이에 끼여 고정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음향 성능 실험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5의 그래프에서 x축은 주파수의 크기를 나타내고, y축은 출력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5에서 파란 선은 종래의 음향기기의 음향 성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빨간 선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음향 성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진동판(260)에서 진동하는 부분의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출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음향기기에서 각 부의 고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의 음향기기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 부를 접착시켜 각 부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음향기기는 요크(120)와 마그넷(130)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고(191a), 마그넷(130)과 플레이트(14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며(191b), 플레이트(140)와 고정링(150)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고(191c), 고정링(150)과 진동판(160), 및 진동판(160)과 가압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다(191d).
종래의 음향기기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 부를 고정시키므로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좁은 면적에 접착제를 발라 각 부를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넘쳐 흘러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정링(150)과 진동판(160) 및 진동판(160)과 가압부를 접착할 때는 진동판(160) 테두리의 좁은 부분에 접착제를 발라야 하기 때문에 접착제가 쉽게 넘쳐 흘러 진동판(160)을 오염시키고, 그 결과 음향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에서 각 부의 고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하우징(200)의 말단을 컬링(Curling, 둥그렇게 감는 것)시켜 각 부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요크(220), 마그넷(230), 플레이트(240), 고정링(250) 및 진동판(260)을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하우징(200)의 말단을 컬링시켜 요크(220), 마그넷(230), 플레이트(240), 고정링(250) 및 진동판(260)을 양 방향에서 가압하여 접착제 없이 각 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컬링 공법을 이용하여 각 부를 고정시키므로 실링(sealing) 및 접착 본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각 부의 고정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접착제 사용에 따른 공정의 복잡성 및 접착제 사용에 다른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잇게 되어 전체 수율 또한 우수해진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진동 발생시 진동판(260)이 떨어지지 않게 하려면 진동판(260)에서 고정된 부분의 면적이 충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고정링(250)의 단면이 너비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 형태이므로 진동판(260)에서 고정링(250)의 상단면과 하우징(200) 사이에 끼여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이 좁다. 따라서 진동판(260)의 추가 부분을 고정링(250)의 내측면에 고정시켜 충분한 고정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진동판(260)의 추가 부분과 고정링(250)의 내측면은 하우징(200)의 말단을 컬링하더라도 고정되지 않으므로, 진동판(260)의 추가 부분과 고정링(250)의 내측면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내부 체적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진동판(260), 플레이트(240), 마그넷(230) 및 요크(220) 사이에 빈 공간(293a)을 가지고 있다. 진동판(260) 안쪽에 형성된 빈 공간(293a)에서는 공진이 발생하는데, 공간의 크기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좋은 음색의 공진을 일으킨다.
진동판(260) 안쪽에 형성된 공간이 좁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일어나 높은 주파수 대역의 출력이 강화되고, 진동판(260) 안쪽에 형성된 공간이 넓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일어나 낮은 주파수 대역의 출력이 강화된다. 사람의 목소리, 노래 소리 등 중요한 소리 정보는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에 몰려 있으므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출력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그를 위하여 진동판(260) 안쪽에 형성된 공간을 넓힐 필요가 있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내부 체적을 예시한 도면이다.
음향기기는 기본적으로 진동판(260) 아래에 기본 공간(293a)이 존재한다. 도 9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마그넷(230)과 하우징(200) 사이 또는 요크(220)와 하우징(200) 사이에 다른 공간(293b)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40)에 추가 공간(293b)으로 통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마그넷(230)과 하우징(200) 사이 또는 요크(220)와 하우징(200) 사이에 추가 공간(293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40)에 추가 공간(293b)으로 통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내(內)자형의 경우에는 기본 공간(393a) 외에, 요크(320)와 하우징(300) 사이에 추가 공간(393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40)에 추가 공간(393b)으로 통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기본 공간(293a, 393a)과 추가 공간(293b, 393b)이 연결되게 되며, 그 결과 음향기기의 전체 내부 체적이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추가 공간(293b, 393b)의 확보에 따라 진동판(260, 360) 안쪽에 형성된 내부 체적이 넓어지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일어나, 낮은 주파수 대역의 출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음향 성능 실험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의 그래프에서 x축은 주파수의 크기를 나타내고, y축은 출력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파란 선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음향 성능 실험 결과를 예시한 것이고, 빨간 선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성능 실험 결과를 예시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공진 제어를 위한 추가 공간 확보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출력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PCB 회로
120: 요크 130: 마그넷
140: 플레이트 150: 고정링
160: 진동판 170: 보이스 코일
180: 가압부 200: 하우징
210: PCB 회로 220: 요크
230: 마그넷 240: 플레이트
250: 고정링 260: 진동판
270: 보이스 코일

Claims (10)

  1. 음향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상기 자기력을 집중시키는 상자성체를 포함하는 요크;
    음향 정보를 가진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위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판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링의 단면은 너비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이며,
    상기 진동판의 단부가 고정링의 상단면 전부에 밀착되며,
    상기 진동판의 단부에 연속하여 안쪽으로 연장된 내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링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진동판의 진동 시 밀착된 고정면이 증가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링의 내측면에 밀착된 만큼 진동부가 확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일부가 상기 고정링의 상단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끼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상기 마그넷의 안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상기 마그넷의 바깥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말단이 컬링되어 상기 진동판, 상기 고정링, 상기 플레이트,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요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과 상기 하우징 사이 또는 상기 요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추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추가 공간으로 통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KR1020180011032A 2018-01-30 2018-01-30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 KR101952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032A KR101952916B1 (ko) 2018-01-30 2018-01-30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
CN201811526641.5A CN110099338B (zh) 2018-01-30 2018-12-13 提高音响性能的音响设备
JP2018239004A JP2019134411A (ja) 2018-01-30 2018-12-21 音響性能が向上した音響機器
US16/248,715 US10694295B2 (en) 2018-01-30 2019-01-15 Acoustic device with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032A KR101952916B1 (ko) 2018-01-30 2018-01-30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916B1 true KR101952916B1 (ko) 2019-02-28

Family

ID=6558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032A KR101952916B1 (ko) 2018-01-30 2018-01-30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94295B2 (ko)
JP (1) JP2019134411A (ko)
KR (1) KR101952916B1 (ko)
CN (1) CN1100993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99Y1 (ko) * 2019-09-26 2020-11-11 부전전자 주식회사 향상된 방수구조를 갖는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754946U (zh) * 2020-11-11 2021-07-20 东莞泉声电子有限公司 音感佳的单体式自带音腔喇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885A (ja) * 2000-11-14 2002-05-24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3143676A (ja) * 2001-10-30 2003-05-16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75781A (ko) * 2007-02-13 2008-08-19 코트론 코포레이션 마이크로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1534B2 (ja) * 2006-11-17 2012-01-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
CN105050005A (zh) * 2008-02-25 2015-11-11 日本先锋公司 扬声器装置
JP2014033328A (ja) * 2012-08-03 2014-02-20 Daiwa Onkyo Kk スピーカ
EP3166337B1 (en) * 2014-07-04 2019-06-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oudspeaker and mobile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CN204498359U (zh) * 2015-03-21 2015-07-2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振膜组件及设有该振膜组件的扬声器
CN105744444A (zh) * 2016-02-04 2016-07-06 深圳市赛音微电子有限公司 音箱振动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885A (ja) * 2000-11-14 2002-05-24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3143676A (ja) * 2001-10-30 2003-05-16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75781A (ko) * 2007-02-13 2008-08-19 코트론 코포레이션 마이크로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99Y1 (ko) * 2019-09-26 2020-11-11 부전전자 주식회사 향상된 방수구조를 갖는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4295B2 (en) 2020-06-23
US20190238992A1 (en) 2019-08-01
CN110099338A (zh) 2019-08-06
CN110099338B (zh) 2020-11-27
JP2019134411A (ja)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0283B (zh) 具有線性振動結構的微型揚聲器及其製造方法
KR101584651B1 (ko) 슬림형 스피커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186074A (ja) 多機能型発音体
JP5700704B2 (ja) スピーカ装置
JPH05260595A (ja) 横ギャップを備えた平衡化された電機子変換器
US10136220B2 (en) Bluetooth neck band headset including vibration speaker
KR101952916B1 (ko)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
JP6108649B2 (ja) スピーカ装置
WO2019010726A1 (zh) 一种发声装置
KR101997688B1 (ko) 스피커
EP3376777A1 (en) Electroacoustic diaphragm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ing same
JP2005204215A (ja) 電気音響変換器
JP2009010806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1707167B1 (ko)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진동 스피커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9049762A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およびスピーカ装置
KR101468629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모듈
KR101518607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JP4962713B2 (ja) 磁気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動電型スピーカー
TWI491274B (zh) 多功能微型揚聲器(二)
JP3957443B2 (ja) スピーカ装置のドライバユニット
JP4514273B2 (ja) 多機能型発音体
KR100775941B1 (ko) 트랙형 스피커
JP5977978B2 (ja) スピーカー装置
WO2016158285A1 (ja) 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