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36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36B1
KR101950736B1 KR1020120140125A KR20120140125A KR101950736B1 KR 101950736 B1 KR101950736 B1 KR 101950736B1 KR 1020120140125 A KR1020120140125 A KR 1020120140125A KR 20120140125 A KR20120140125 A KR 20120140125A KR 101950736 B1 KR101950736 B1 KR 10195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ing
beverage container
vehicl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514A (ko
Inventor
오동훈
지용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7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과 아울러 외부로의 열손실 없이 냉,온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장고 기능을 겸비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갖는 공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 케이스로부터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조 덕트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며, 상기 공조 덕트의 토출구에는 그릴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조 덕트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공조 덕트 내부에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공조 종기를 이용해 음료 용기를 냉장 또는 온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로의 열손실이 없이 공조품에 의해 음료 용기 전체가 대류 열전달되어 빠르게 냉온장이 가능하며, 공조 덕트 내부로 음료 용기를 집어 넣음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공조 공기를 이용하여 냉,온장고 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이다. 즉,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차량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Evaporator)를 통과한 후 템프도어의 개폐에 따라 히터코어(Heater Core)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도어에 의해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조 케이스(10)와, 블로어 유닛(미도시)과, 증발기(15) 및 히터코어(16)와, 템프 도어(17)로 구성된다.
공조 케이스(10)는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1)를 구비하고, 출구 측에 다수의 공기토출구를 구비한다. 공기토출구는 공기유입구(11)로부터 이어져 안내벽(12)에 의해 구획되며, 구획된 공기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18) 및 페이스 벤트(19)로 안내되고 구획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플로어 벤트(20,21)로 안내되어 다수의 도어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블로어 유닛은 공조 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설치되며, 증발기(15) 및 히터코어(16)는 블로어 유닛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10)의 내부에 순차로 배치됨으로써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 케이스(10)의 내부로 송풍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다. 템프 도어(17)는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유입구(11)로부터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6)를 우회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16)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18), 페이스 벤트(19) 및 플로어 벤트(20,21)에는, 냉,난방 모드 시 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등의 각 송풍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벤트들(18,19,20,21)을 개폐하기 위한 디프로스트벤트 도어(22), 페이스벤트 도어(23) 및 플로어벤트 도어(24)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블로어 유닛의 송풍기에 의해 공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템프 도어(17)의 회동에 의해 히터코어(16)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며, 이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도어들(22,23,24)의 개폐 동작에 의해 각 벤트들(18,19,20,21)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난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벤트들(18,19,20,21)에는 덕트가 연결되어 차량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최근 차량 실내에는 각종 음료 용기를 보관하여 여름철 음료 용기를 냉장하고 겨울철 음료 용기를 온장하는 냉,온장고가 설치되며, 이러한 냉,온장고는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33295호(1999.05.15)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0146318호(1999.02.25)에 개시된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는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설치되어 벤틸레이터 그릴(12) 부근에 링형상의 홀더부(16)가 삽입 설치되고, 홀더부(16) 후단에 지지부(14)가 회동되게 연결됨으로써, 그릴(12)을 통과한 공기에 의해 컵(18)이 냉온 된다.
또한, 도 3은 종래의 컵홀더 일체형 에어벤트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본체(1)는 그릴(3,3')을 구비하고, 상부에 자석(4,4',4'')이 내장된 삽입홈(5)이 형성되며, 링크유동홀(6,6',6'')이 형성되어 있다. 덕트 커버(2)는 덕트 본체(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 컵받이홈(8,8')을 형성하고 절개공(18,18')이 마련된다. 또한, 3개의 링크(10,10',10'')가 호를 형성하여 내면에 고정되고, 전면에 손잡이(11)가 고정된다. 자석 인서트부(9)의 끝에는 자석편(12,12',12'')이 인서트 성형된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33295호에 개시된 차량용 컵홀더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0146318호에 개시된 컵홀더 일체형 에어벤트 덕트는 모두 차량용 공조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조 공기를 이용하여 냉,온장고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음료의 보관 시 차량 실내의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효용성이 떨어지며, 외부 공기로의 열손실이 발생해 속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33295호(1999.05.15)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0146318호(1999.02.25)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과 아울러 외부로의 열손실 없이 냉,온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장고 기능을 겸비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갖는 공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 케이스로부터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조 덕트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며, 상기 공조 덕트의 토출구에는 그릴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조 덕트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 덕트 내부에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공조 종기를 이용해 음료 용기를 냉장 또는 온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로의 열손실이 없이 공조품에 의해 음료 용기 전체가 대류 열전달되어 빠르게 냉온장이 가능하며, 공조 덕트 내부로 음료 용기를 집어 넣음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컵홀더 일체형 에어벤트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에 음료 용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에 음료 용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음료 용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 케이스(50)와, 블로어 유닛(미도시)과, 증발기(91) 및 히터코어(92)와, 템프 도어(93)로 구성된다.
공조 케이스(50)는 입구 측에 공기 유입구(51)를 구비하고, 출구 측에 다수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한다. 공기 토출구는 공기 유입구(51)로부터 이어져 안내벽(52)에 의해 구획되며, 구획된 공기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53) 및 페이스 벤트(54)로 안내되고, 구획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플로어 벤트(55,56)로 안내되어 다수의 도어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블로어 유닛은 공조 케이스(50)의 공기 유입구(51)에 설치된다. 증발기(91) 및 히터코어(92)는 블로어 유닛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50)의 내부에 순차로 배치됨으로써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 케이스(50)의 내부로 송풍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다. 템프 도어(93)는 증발기(91)와 히터코어(92)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 유입구(51)로부터 증발기(91)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92)를 우회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9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또한, 디프로스트 벤트(53), 페이스 벤트(54) 및 플로어 벤트(55,56)에는, 냉방 및 난방 모드 시 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등의 각 송풍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벤트들(53,54,55,56)을 개폐하기 위한 디프로스트벤트 도어(57), 페이스벤트 도어(58) 및 플로어벤트 도어(59)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각 벤트들(53,54,55,56)에는 공조 덕트가 연결되어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에 음료 용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에 음료 용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에는 그릴(26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299)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공조 덕트(200)는 벤트 덕트이거나 콘솔 덕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릴(260)을 열어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 음료 용기(299)를 수용한 후 그릴(260)을 닫으면, 공조 덕트(200)를 통해 토출되는 공조풍으로 음료 용기(299) 전체가 대류 열전달 되어 빠르게 냉장 및 온장 된다. 아울러, 공조 덕트(200) 내부로 음료 용기(299)를 집어넣음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함이 없이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공조 덕트(200)에는 힌지부(250) 및 손잡이부(270)가 구비된다. 힌지부(250)는 공조 덕트(200)와 그릴(26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그릴(260)을 공조 덕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힌지부(250)는 그릴(260)의 단부와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 일 측을 연결하여, 그릴(260)이 힌지부(25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를 개폐한다. 손잡이부(270)는 그릴(260)의 양단부 중 힌지부(250)의 반대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그릴(260)의 회전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이 경우, 손잡이부(270)가 형성된 그릴(260)의 단부 측에 자석, 걸림 돌기 등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를 폐쇄 시 공조 덕트(200)에 견고히 고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힌지부(250) 및 손잡이부(270)를 통해, 그릴(260)의 개폐를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다.
수용부는 슬라이딩 받침대(220) 및 고정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받침대(2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공조 덕트(200)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결합되어, 음료 용기(299)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음료 용기(299)를 공조 덕트(200) 내부에 수용할 때 좁은 공조 덕트(200) 내부에 손을 집어 넣지 않고 슬라이딩 받침대(220)를 외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음료 용기(299)를 고정부에 고정시킨 후 다시 슬라이딩 받침대(220)를 공조 덕트(200)내부로 인입시키는 동작에 의해 음료 용기(299)를 공조 덕트(200) 내부로 용이하게 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 및 제2 슬라이드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는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공조 덕트(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제2 슬라이드 구동부(230)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설치되어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에 슬라이딩 안내된다. 이 경우,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와 제2 슬라이드 구동부(230)의 사이에 원활한 슬라이드를 유도하는 롤러(215)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드를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음료 용기(299)를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안정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데, 그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가지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240)로 구성된다. 링 부재(240)는 슬라이딩 받침대(22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상부를 향해 환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반원형의 띠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 부재(240)는 음료 용기(299)의 외측면을 탄력 지지하여, 음료 용기(299)를 링 부재(240)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음료 용기(299)를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음료 용기(299)를 뺄때도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음료 용기(299)를 슬라이딩 받침대(2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240)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즉, 링 부재(240)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두께 부위가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그 두께도 비교적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조 덕트(200)의 내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고 공기의 유동 방향은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링 부재(240)가 공조 공기의 유동에 저항체로 작용하지 말아야 한다. 결국, 공조 공기의 풍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은 도 8의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종격벽부재(242)와, 상기 종격벽부재(242)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횡격벽부재(241)를 포함한다. 상기 종격벽부재(242)와 횡격벽부재(241) 사이에 음료 용기(299)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종격벽부재(242)와 횡격벽부재(24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원기둥 형상의 음료 용기 뿐 아니라 사각 기둥 또는 그 밖의 다른 다양한 형상의 음료 용기를 수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종격벽부재(242) 및 횡격벽부재(241)는 공조 공기의 풍량이 저하되지 않도록 저항을 최소화하여 두께 부분이 얇게 형성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12는 도 8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음료 용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부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48)와, 지지부재(248)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246)와, 슬라이딩 부재(246)를 지지부재(248)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243)를 포함한다. 결국, 상기 지지부재(248)와 슬라이딩 부재(246) 사이에 음료 용기(299)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원기둥 형상 뿐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프링 부재(24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음료 용기(299)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 덕트 내부에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공조 종기를 이용해 음료 용기를 냉장 또는 온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로의 열손실이 없이 공조품에 의해 음료 용기 전체가 대류 열전달되어 빠르게 냉온장이 가능하며, 공조 덕트 내부로 음료 용기를 집어 넣음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공조 덕트 250 : 힌지부
260 : 그릴 270 : 손잡이부
220 : 슬라이딩 받침대 210 : 제1 슬라이드 구동부
230 : 제2 슬라이드 구동부 240 : 링 부재
299 : 음료 용기

Claims (7)

  1. 공기 유입구(51)와, 상기 공기 유입구(51)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갖는 공조 케이스(50)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 케이스(50)로부터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조 덕트(200)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에는 그릴(26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대(220); 및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결합되어 음료 용기(299)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종격벽부재(242)와, 상기 종격벽부재(242)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횡격벽부재(241)를 포함하고, 상기 종격벽부재(242)와 횡격벽부재(241) 사이에 음료 용기(299)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공기 유입구(51)와, 상기 공기 유입구(51)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갖는 공조 케이스(50)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 케이스(50)로부터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조 덕트(200)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에는 그릴(26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대(220); 및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결합되어 음료 용기(299)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48)와, 상기 지지부재(248)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246)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246)를 지지부재(248)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243)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248)와 슬라이딩 부재(246) 사이에 음료 용기(299)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260)을 공조 덕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50); 및
    상기 그릴(260)에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 및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제2 슬라이드 구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로부터 연장되고 상부를 향해 환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음료 용기(299)의 외측면을 탄력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20140125A 2012-12-05 2012-12-05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5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25A KR101950736B1 (ko) 2012-12-05 2012-12-05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25A KR101950736B1 (ko) 2012-12-05 2012-12-0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14A KR20140072514A (ko) 2014-06-13
KR101950736B1 true KR101950736B1 (ko) 2019-02-21

Family

ID=5112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125A KR101950736B1 (ko) 2012-12-05 2012-12-0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7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700B1 (ko) * 2003-03-05 2004-08-25 조성호 분리된 그릴 프레임과 수납부를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068A (ko) * 1995-12-14 1997-07-22 김태구 에어벤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음료수 냉온장치
KR19980018643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차량의 에어콘디셔너 그릴을 이용한 냉,온장 보관장치
KR19990033295A (ko) 1997-10-24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컵홀더
KR101467262B1 (ko) * 2008-08-13 2014-12-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700B1 (ko) * 2003-03-05 2004-08-25 조성호 분리된 그릴 프레임과 수납부를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14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2998B1 (en) Cooled instrument panel compartment for a vehicle
US20110121599A1 (en) Integrated Center of Dash Food and Beverage Warmer/Cooler
US948122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KR2014002849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58094A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KR1019507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484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976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2694B1 (ko) 자동차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KR200900664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162778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容器ホルダ
KR201900305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36670A (ko)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트림 부설 컵 홀더
KR200331118Y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 장치
JP3783540B2 (ja) 車両用多目的収納構造
JPH0131546Y2 (ko)
KR20130079801A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130048485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920764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容器ホルダ
KR101351780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KR2010002079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67619A (ko) 자동차의 냉온장장치
JP2004203341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空調装置
JPH07179121A (ja) 自動車の小物入れボックス構造
KR20110055827A (ko) 냉온장용 수납함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