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36B1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36B1
KR101950736B1 KR1020120140125A KR20120140125A KR101950736B1 KR 101950736 B1 KR101950736 B1 KR 101950736B1 KR 1020120140125 A KR1020120140125 A KR 1020120140125A KR 20120140125 A KR20120140125 A KR 20120140125A KR 101950736 B1 KR101950736 B1 KR 10195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ing
beverage container
vehicl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2514A (en
Inventor
오동훈
지용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736B1/en
Publication of KR2014007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과 아울러 외부로의 열손실 없이 냉,온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장고 기능을 겸비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갖는 공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 케이스로부터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조 덕트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며, 상기 공조 덕트의 토출구에는 그릴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조 덕트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공조 덕트 내부에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공조 종기를 이용해 음료 용기를 냉장 또는 온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로의 열손실이 없이 공조품에 의해 음료 용기 전체가 대류 열전달되어 빠르게 냉온장이 가능하며, 공조 덕트 내부로 음료 용기를 집어 넣음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both a cold and warm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a cold and warm function without occupying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nd without heat loss to the outside is disclosed.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es an air inlet,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to the vehicle interior, and a vent doo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A grill can be opened and closed at a discharge port of the air duct,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air duct. Accordingly, since the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the beverage container is cooled or warmed by using the air conditioner, the entire beverage container can be convectively heated by the air conditioning product without heat loss to the outside, By inserting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air duct, it is possible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by not occupy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공조 공기를 이용하여 냉,온장고 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configured to accommodate various beverage containers and to combine functions of cold and warm-up using air.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이다. 즉,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차량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Evaporator)를 통과한 후 템프도어의 개폐에 따라 히터코어(Heater Core)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도어에 의해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되도록 구성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n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a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or circulating air in the room to heat or cool the room. That is,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ir is introduced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a blower, the inflow air passes through an evaporator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nd then selectively passes through a heater cor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emp door, And is selectively blown to each part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the doo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조 케이스(10)와, 블로어 유닛(미도시)과, 증발기(15) 및 히터코어(16)와, 템프 도어(17)로 구성된다.1,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 a blower unit (not shown), an evaporator 15 and a heater core 16, a thermostat door 17 .

공조 케이스(10)는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1)를 구비하고, 출구 측에 다수의 공기토출구를 구비한다. 공기토출구는 공기유입구(11)로부터 이어져 안내벽(12)에 의해 구획되며, 구획된 공기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18) 및 페이스 벤트(19)로 안내되고 구획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플로어 벤트(20,21)로 안내되어 다수의 도어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11 on the inlet side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on the outlet side. The air outlet extends from the air inlet 11 and is defined by the guide wall 12 and a portion of the compartmented air is directed to the defrost vent 18 and the face vent 19 and another portion of the compartmented air flows into the floor vent (20, 21) and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vehicle interior by a plurality of doors.

블로어 유닛은 공조 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설치되며, 증발기(15) 및 히터코어(16)는 블로어 유닛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10)의 내부에 순차로 배치됨으로써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 케이스(10)의 내부로 송풍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다. 템프 도어(17)는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유입구(11)로부터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6)를 우회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16)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The blower unit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and the evaporator 15 and the heater core 16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lower unit and are arrang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n sequence The air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by the blower unit is cooled and heated. The tempo door 17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15 and the heater core 16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5 from the air inlet 11 passes through the coolant passage 16 bypassing the heater core 16. [ (P1) and the heater core (16).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18), 페이스 벤트(19) 및 플로어 벤트(20,21)에는, 냉,난방 모드 시 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등의 각 송풍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벤트들(18,19,20,21)을 개폐하기 위한 디프로스트벤트 도어(22), 페이스벤트 도어(23) 및 플로어벤트 도어(24)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defrost vent 18, the face vent 19 and the floor vents 20 and 21 are selectively supplied with vents (for example, air, air, and air) according to respective blowing modes such as a defrost mode, a face mode, 18, 19, 20, and 21), a face vent door 23, and a floor vent door 24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블로어 유닛의 송풍기에 의해 공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템프 도어(17)의 회동에 의해 히터코어(16)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며, 이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도어들(22,23,24)의 개폐 동작에 의해 각 벤트들(18,19,20,21)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난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벤트들(18,19,20,21)에는 덕트가 연결되어 차량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air that has f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hrough the blower of the blower unit and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5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heater core 16 by the rotation of the tempo door 17 And the air heated or cooled is discharged 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vents 18, 19, 20, and 21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s 22, , Heating is done. In this case, a duc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vents 18, 19, 20, and 21 to supply air to the vehicle interior.

한편, 최근 차량 실내에는 각종 음료 용기를 보관하여 여름철 음료 용기를 냉장하고 겨울철 음료 용기를 온장하는 냉,온장고가 설치되며, 이러한 냉,온장고는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33295호(1999.05.15)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0146318호(1999.02.25)에 개시된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는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설치되어 벤틸레이터 그릴(12) 부근에 링형상의 홀더부(16)가 삽입 설치되고, 홀더부(16) 후단에 지지부(14)가 회동되게 연결됨으로써, 그릴(12)을 통과한 공기에 의해 컵(18)이 냉온 된다.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stalled cold and warm stores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beverage containers in the vehicle cabin and for cooling the beverage containers in summer and warming the beverage containers in winter. Such cold and warm store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9-0033295 (1999.05. 15)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46318 (Feb. 25, 1999).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holder for a vehicle. 2, a conventional cup holder for a vehicle is mounted on a vehicle instrument panel 10, and a ring-shaped holder portion 16 is inserted in the vicinity of the ventilator grill 12, and a rear end of the holder portion 16 So that the cup 18 is cooled b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rill 12.

또한, 도 3은 종래의 컵홀더 일체형 에어벤트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본체(1)는 그릴(3,3')을 구비하고, 상부에 자석(4,4',4'')이 내장된 삽입홈(5)이 형성되며, 링크유동홀(6,6',6'')이 형성되어 있다. 덕트 커버(2)는 덕트 본체(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 컵받이홈(8,8')을 형성하고 절개공(18,18')이 마련된다. 또한, 3개의 링크(10,10',10'')가 호를 형성하여 내면에 고정되고, 전면에 손잡이(11)가 고정된다. 자석 인서트부(9)의 끝에는 자석편(12,12',12'')이 인서트 성형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holder-integrated air vent duct. 3, the duct body 1 is provided with a grille 3, 3 ', an insertion groove 5 in which magnets 4, 4', 4 "are embedded, Link flow holes 6, 6 ', 6 " are formed. The duct cover 2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uct body 1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cup-receiving grooves 8 and 8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cut-out holes 18 and 18' are provided. Further, the three links 10, 10 ', 10 " form a call and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and the handle 11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The magnet pieces 12, 12 'and 12' 'are insert-molded at the ends of the magnet insert portion 9.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33295호에 개시된 차량용 컵홀더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0146318호에 개시된 컵홀더 일체형 에어벤트 덕트는 모두 차량용 공조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조 공기를 이용하여 냉,온장고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음료의 보관 시 차량 실내의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효용성이 떨어지며, 외부 공기로의 열손실이 발생해 속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33295 and the cup holder-integrated air vent duct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146318 all function as a cooling / warming function using air-conditioned air discharged from a vehicle air conditioner However, when the beverage is stored, it occupies a space in a vehicle interior and the space efficiency is lowered.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33295호(1999.05.15)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33295 (May 15, 1999)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0146318호(1999.02.25)Patent Document 2: Utility Model No. 0146318 (Feb. 25, 1999)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과 아울러 외부로의 열손실 없이 냉,온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장고 기능을 겸비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 cold / warm-up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a cold / warm function without occupying a vehicle interior space and without heat loss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갖는 공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 케이스로부터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조 덕트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며, 상기 공조 덕트의 토출구에는 그릴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조 덕트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inlet,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toward the vehicle interior, and a vent doo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indoor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unit; do.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 덕트 내부에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공조 종기를 이용해 음료 용기를 냉장 또는 온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로의 열손실이 없이 공조품에 의해 음료 용기 전체가 대류 열전달되어 빠르게 냉온장이 가능하며, 공조 덕트 내부로 음료 용기를 집어 넣음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beverage containe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to cool or warm the beverage container using the air conditioning boiler so that the entire beverage container is convectively heat-transferred by the air conditioning article without heat loss to the outsid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quickly cool and warm the room and insert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air duct to occupy the vehicle interior space, thus improving space utiliza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컵홀더 일체형 에어벤트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에 음료 용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에 음료 용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음료 용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holder for a vehicl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holder-integrated air vent duct,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mounted on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mounted on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8,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8,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everage container of Fig. 12 mounted.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 케이스(50)와, 블로어 유닛(미도시)과, 증발기(91) 및 히터코어(92)와, 템프 도어(93)로 구성된다.4,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50, a blower unit (not shown), an evaporator 91 and a heater core 92, And a tempo door 93.

공조 케이스(50)는 입구 측에 공기 유입구(51)를 구비하고, 출구 측에 다수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한다. 공기 토출구는 공기 유입구(51)로부터 이어져 안내벽(52)에 의해 구획되며, 구획된 공기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53) 및 페이스 벤트(54)로 안내되고, 구획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플로어 벤트(55,56)로 안내되어 다수의 도어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The air conditioning case 50 has an air inlet 51 at the inlet side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 ports at the outlet side. The air outlet port extends from the air inlet port 51 and is defined by the guide wall 52. A part of the divided air is led to the defrost vent 53 and the face vent 54, And is guided to the vents 55 and 56, and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vehicle interior by a plurality of doors.

블로어 유닛은 공조 케이스(50)의 공기 유입구(51)에 설치된다. 증발기(91) 및 히터코어(92)는 블로어 유닛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50)의 내부에 순차로 배치됨으로써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 케이스(50)의 내부로 송풍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다. 템프 도어(93)는 증발기(91)와 히터코어(92)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 유입구(51)로부터 증발기(91)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92)를 우회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9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The blower unit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5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50. The evaporator 91 and the heater core 92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lower unit and are arrang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50 in order so that the air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50 by the blower unit Cool and heat. The tempo door 93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91 and the heater core 92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91 from the air inlet 51 passes through the coolant passage 92 bypassing the heater core 92, (P1) and the heater core (92).

또한, 디프로스트 벤트(53), 페이스 벤트(54) 및 플로어 벤트(55,56)에는, 냉방 및 난방 모드 시 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등의 각 송풍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벤트들(53,54,55,56)을 개폐하기 위한 디프로스트벤트 도어(57), 페이스벤트 도어(58) 및 플로어벤트 도어(59)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각 벤트들(53,54,55,56)에는 공조 덕트가 연결되어 차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한다.The defrost vent 53, the face vent 54 and the floor vents 55 and 56 are selectively provided with vents (not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blowing modes such as the defrost mode, the face mode, and the floor mode in the cooling mode and the heating mode A defrost vent door 57, a face vent door 58, and a floor vent door 5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s 53, 54, 55 and 56, respectively. In this case, air vent ducts are connected to the vents 53, 54, 55, and 56 to discharge air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에 음료 용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에 음료 용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mounted on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mounted on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에는 그릴(26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299)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공조 덕트(200)는 벤트 덕트이거나 콘솔 덕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릴(260)을 열어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 음료 용기(299)를 수용한 후 그릴(260)을 닫으면, 공조 덕트(200)를 통해 토출되는 공조풍으로 음료 용기(299) 전체가 대류 열전달 되어 빠르게 냉장 및 온장 된다. 아울러, 공조 덕트(200) 내부로 음료 용기(299)를 집어넣음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함이 없이 보관이 가능하다.5 to 10, a grill 260 is installed on a discharge port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In addition,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In this case,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may be a vent duct or a console duct. Therefore, when the grill 260 is opened and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received in the air duct 200 and then the grill 260 is closed, the entire air of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exhausted through the air duct 200 Is convectively transferred and rapidly cooled and warmed. In addition,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inserted into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so that it can be stored without occupying the vehicle interior space.

또한, 공조 덕트(200)에는 힌지부(250) 및 손잡이부(270)가 구비된다. 힌지부(250)는 공조 덕트(200)와 그릴(26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그릴(260)을 공조 덕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힌지부(250)는 그릴(260)의 단부와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 일 측을 연결하여, 그릴(260)이 힌지부(25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를 개폐한다. 손잡이부(270)는 그릴(260)의 양단부 중 힌지부(250)의 반대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그릴(260)의 회전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이 경우, 손잡이부(270)가 형성된 그릴(260)의 단부 측에 자석, 걸림 돌기 등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를 폐쇄 시 공조 덕트(200)에 견고히 고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힌지부(250) 및 손잡이부(270)를 통해, 그릴(260)의 개폐를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250 and a handle portion 270. The hinge part 250 connects the air duct 200 and the grill 260 and rotatably connects the grill 260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The hinge unit 250 connects the end of the grill 260 and one side of the air outlet duct of the air duct 200 so that the grill 260 is rotated about the hinge unit 250, Respectively. The grip portion 270 is fix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grill 260 opposite the hinge portion 250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rill 260. In this case, fixing means such as a magnet and a locking protrusion are provided on the end side of the grill 260 on which the handle portion 270 is formed to securely fix the discharge port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t the time of closing It is also possible. As a result, opening and closing of the grill 260 can be easily implemented through the hinge portion 250 and the handle portion 270.

수용부는 슬라이딩 받침대(220) 및 고정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받침대(2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공조 덕트(200)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결합되어, 음료 용기(299)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음료 용기(299)를 공조 덕트(200) 내부에 수용할 때 좁은 공조 덕트(200) 내부에 손을 집어 넣지 않고 슬라이딩 받침대(220)를 외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음료 용기(299)를 고정부에 고정시킨 후 다시 슬라이딩 받침대(220)를 공조 덕트(200)내부로 인입시키는 동작에 의해 음료 용기(299)를 공조 덕트(200) 내부로 용이하게 수용이 가능하다.The receiving portion has a sliding pedestal 220 and a fixing portion. The sliding pedestal 2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The fix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sliding pedestal 220 and functions to detachably couple the beverage container 299. [ Therefor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received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base 220 is drawn out without putting a hand into the narrow air duct 200 The beverage container 299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to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by an operation of pulling the sliding pedestal 220 back into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fter fixing it to the door.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 및 제2 슬라이드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는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공조 덕트(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제2 슬라이드 구동부(230)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설치되어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에 슬라이딩 안내된다. 이 경우,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와 제2 슬라이드 구동부(230)의 사이에 원활한 슬라이드를 유도하는 롤러(215)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드를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slide driver 210 and a second slide driver 230. The first slide driving unit 210 is formed in a rail shape and is elongat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edestal 220 and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to guide the sliding of the sliding pedestal 220. The second slide driving part 230 is fixed to the sliding pedestal 220 and is slidably guided to the first slide driving part 210. In this case, a roller 215 for guiding a smooth slid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lide driving part 210 and the second slide driving part 23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lide of the sliding pedestal 220 can be realize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a stable structure.

한편, 상기 고정부는 음료 용기(299)를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안정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데, 그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가지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fixing un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tably and easily fix the beverage container 299 to the sliding pedestal 220, and its shape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ree embodiments.

먼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240)로 구성된다. 링 부재(240)는 슬라이딩 받침대(22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상부를 향해 환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반원형의 띠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 부재(240)는 음료 용기(299)의 외측면을 탄력 지지하여, 음료 용기(299)를 링 부재(240)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음료 용기(299)를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음료 용기(299)를 뺄때도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음료 용기(299)를 슬라이딩 받침대(220)에서 분리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fixing portion is composed of at least one ring member 240. Fig. The ring member 24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trip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from an upper portion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sliding pedestal 220 and bent upward in an annular shape. The ring member 240 elastically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299 and can easily push the beverage container 299 to the sliding base 220 by only pushing the beverage container 299 into the ring member 240 The beverage container 299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liding pedestal 220 only by pulling the beverage container 299 when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pulled out.

또한, 링 부재(240)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즉, 링 부재(240)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두께 부위가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그 두께도 비교적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조 덕트(200)의 내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고 공기의 유동 방향은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링 부재(240)가 공조 공기의 유동에 저항체로 작용하지 말아야 한다. 결국, 공조 공기의 풍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ring member 240 is formed to be thin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edestal 220. That is, the ring member 2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nd, but the thickness portion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and the thickness is also preferably formed relatively th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nnouncement air discharged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edestal 220 so that the ring member 240 does not act as a resistor to the air- do. As a result,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air can be ensured.

다음으로, 도 11은 도 8의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Next,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8.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종격벽부재(242)와, 상기 종격벽부재(242)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횡격벽부재(241)를 포함한다. 상기 종격벽부재(242)와 횡격벽부재(241) 사이에 음료 용기(299)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종격벽부재(242)와 횡격벽부재(24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원기둥 형상의 음료 용기 뿐 아니라 사각 기둥 또는 그 밖의 다른 다양한 형상의 음료 용기를 수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종격벽부재(242) 및 횡격벽부재(241)는 공조 공기의 풍량이 저하되지 않도록 저항을 최소화하여 두께 부분이 얇게 형성되도록 한다.11, the fixed portion includes a longitudinal partition wall member 242 spaced apart from the sliding base 220 in the sliding direction, a transverse partition wall member 241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artition wall member 242, . A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partition wall member 242 and the transverse partition wall member 241. [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not only a cylindrical beverage container but also a square pillar or other various beverage containers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partition wall member 242 and the transverse partition wall member 241.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partition wall member 242 and the transverse partition wall member 241 minimize the resistance so that the air volume of the air-conditioned air is not reduced, so that the thickness portion is formed thin.

마지막으로, 도 12는 도 8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덕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음료 용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8, and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everage container of Fig. 12 mounted.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부는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48)와, 지지부재(248)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246)와, 슬라이딩 부재(246)를 지지부재(248)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243)를 포함한다. 결국, 상기 지지부재(248)와 슬라이딩 부재(246) 사이에 음료 용기(299)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원기둥 형상 뿐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프링 부재(24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음료 용기(299)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12 and 13,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248 fixed to the sliding pedestal 220, a sliding member 246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member 248 in the sliding direction, a sliding member 246 And a spring member 243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upport member 248 against the support member 248. As a result, the beverage container 299 can be fix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248 and the sliding member 246.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beverage containers of various shapes as well as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beverage container 299 can be stably fixed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243.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 덕트 내부에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공조 종기를 이용해 음료 용기를 냉장 또는 온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로의 열손실이 없이 공조품에 의해 음료 용기 전체가 대류 열전달되어 빠르게 냉온장이 가능하며, 공조 덕트 내부로 음료 용기를 집어 넣음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beverage containe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to cool or warm the beverage container using the air conditioning boiler so that the entire beverage container is convectively heat-transferred by the air conditioning article without heat loss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ool and warm room quickly, and by putting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air duct, it does not occupy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so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200 : 공조 덕트 250 : 힌지부
260 : 그릴 270 : 손잡이부
220 : 슬라이딩 받침대 210 : 제1 슬라이드 구동부
230 : 제2 슬라이드 구동부 240 : 링 부재
299 : 음료 용기
200: air conditioning duct 250: hinge part
260: grille 270: handle portion
220: Sliding pedestal 210: First slide driving part
230: second slide driver 240: ring member
299: Beverage container

Claims (7)

공기 유입구(51)와, 상기 공기 유입구(51)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갖는 공조 케이스(50)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 케이스(50)로부터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조 덕트(200)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에는 그릴(26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대(220); 및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결합되어 음료 용기(299)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종격벽부재(242)와, 상기 종격벽부재(242)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횡격벽부재(241)를 포함하고, 상기 종격벽부재(242)와 횡격벽부재(241) 사이에 음료 용기(299)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50) having an air inlet (51),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51)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 vent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ischarging cold air or warm air selectively blown from an air conditioning case (50) to a vehicle interior side through an air conditioning duct (200)
A grill 260 is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at a discharge port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air duct 200,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sliding pedestal 220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nd a fixing unit fixedly coupled to the sliding pedestal 220 to detachably couple the beverage container 299,
The fixing part includes a longitudinal partition wall member 242 spaced apart from the sliding pedestal 220 in the sliding direction and a transverse partition wall member 241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artition wall member 242, And a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partition wall member (242) and the transverse partition wall member (241).
공기 유입구(51)와, 상기 공기 유입구(51)로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갖는 공조 케이스(50)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 케이스(50)로부터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조 덕트(200)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토출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 덕트(200)의 토출구에는 그릴(26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대(220); 및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결합되어 음료 용기(299)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48)와, 상기 지지부재(248)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246)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246)를 지지부재(248)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243)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248)와 슬라이딩 부재(246) 사이에 음료 용기(299)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50) having an air inlet (51),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51)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 vent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ischarging cold air or warm air selectively blown from an air conditioning case (50) to a vehicle interior side through an air conditioning duct (200)
A grill 260 is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at a discharge port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air duct 200,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sliding pedestal 220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nd a fixing unit fixedly coupled to the sliding pedestal 220 to detachably couple the beverage container 299,
The fixing unit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248 fixed to the sliding pedestal 220, a sliding member 246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member 248 in the sliding direction, And a spring member (243) elastically urged against the sliding member (248)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299) is fixed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 (248) and the sliding member (24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260)을 공조 덕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50); 및
상기 그릴(260)에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hinge part 250 rotatably connecting the grill 260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nd
And a handle (270) fixed to the grill (26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공조 덕트(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 및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동부(210)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제2 슬라이드 구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slide driving part 210 fixedly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00; And
And a second slide driver (230) fixed to the sliding base (220) and guided by the first slide driver (2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받침대(220)로부터 연장되고 상부를 향해 환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음료 용기(299)의 외측면을 탄력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ring member (240) extending from the sliding pedestal (220) and curved in an annular shape upward to elastically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299) .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40125A 2012-12-05 2012-12-05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50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25A KR101950736B1 (en) 2012-12-05 2012-12-05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25A KR101950736B1 (en) 2012-12-05 2012-12-05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14A KR20140072514A (en) 2014-06-13
KR101950736B1 true KR101950736B1 (en) 2019-02-21

Family

ID=5112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125A KR101950736B1 (en) 2012-12-05 2012-12-05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7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700B1 (en) * 2003-03-05 2004-08-25 조성호 The automobile ventilator has the separate frame and accept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068A (en) * 1995-12-14 1997-07-22 김태구 Coolant device for automobile beverage using air vent
KR19980018643U (en)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Cold and hot storage system using vehicle's air conditioner grill
KR19990033295A (en) 1997-10-24 1999-05-15 양재신 Cup holder of car
KR101467262B1 (en) * 2008-08-13 2014-12-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700B1 (en) * 2003-03-05 2004-08-25 조성호 The automobile ventilator has the separate frame and accep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14A (en)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2998B1 (en) Cooled instrument panel compartment for a vehicle
US20110121599A1 (en) Integrated Center of Dash Food and Beverage Warmer/Cooler
US948122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KR2014002849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30058094A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for vehicles
KR10195073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30048486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08009761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172694B1 (en) A car rear air conditioning device
KR20090066420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4162778B2 (en) Instrument panel container holder
KR20190030513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80036670A (en) Front door trim with cup holder for automobile
KR200331118Y1 (en) Coldness and warmth apparatus using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JP3783540B2 (en) Multipurpose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s
JPH0131546Y2 (en)
KR2013007980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3004848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H09207643A (en) Container holder for console box
KR101351780B1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of rear seat for vehicle which has an air purifier function
KR20100020797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090067619A (en) Cool and hot storage device of vehicle
JP2004203341A (en) Cup holde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07179121A (en) Structure of glove compartment box for automobile
KR20110055827A (en)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heating-cooling deposit boxs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