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837B1 - 경동 가능한 체어 - Google Patents

경동 가능한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837B1
KR101930837B1 KR1020187000139A KR20187000139A KR101930837B1 KR 101930837 B1 KR101930837 B1 KR 101930837B1 KR 1020187000139 A KR1020187000139 A KR 1020187000139A KR 20187000139 A KR20187000139 A KR 20187000139A KR 101930837 B1 KR101930837 B1 KR 10193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at
tilting
pressing portion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670A (ko
Inventor
카미야 나리아키
오카자키 도시하루
하세다 미투루
Original Assignee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3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2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connected only by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 and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소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할 수 있는 스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스툴은 바닥면 근처에 경동수단(10)을 설치하여 시트부(1)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시트부(1)는 가스실린더(4)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가스실린더(4)의 하단은 스프링누름부(11)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경동수단(10)은 코일웨이브스프링(13)을 스프링누름부(11)와 스프링받이부(12)로 끼우고, 중심을 부착볼트(16)로 경동 가능하게 체결한 것이다. 그리고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12)에 볼트(14c)로 부착된 상면이 원추형상인 걸림부재(14)와, 그 상부에 대향하여 스프링누름부(11)에 볼트(15c)로 부착된 하면이 평탄한 접촉부재(15)가 설치되고, 일정 각도 기울어지면 걸림부재(14)가 접촉부재(15)에 맞닿아 그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경동 가능한 체어
본 발명은 바닥면 근처에 경동(傾動)수단을 구비하고,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기울어짐 이동) 가능하게 한 체어, 특히 스툴(stool) 또는 라운지 체어(lounge chair)에 관한 것이다.
등받이가 없는 일인용 의자를 스툴이라고 부르는데, 다양한 타입의 것이 있으며 최근에는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도 보인다.
이러한 종류의 스툴에는 시트의 바로 아래에 경동수단을 설치한 것과 바닥면 근처에 경동수단을 설치한 것(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툴은 가스실린더를 내부에 삽입한 지주의 상단에 시트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지주가 감합(嵌合, 끼워맞춤)고정된 제1 요동링크와, 이것에 고정된 기판과, 기대(기초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제1 요동링크를 직교하는 방향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한 제2 요동링크와, 상기 기판과 상기 기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7-26811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요동 가능한 스툴은 지주를 제1과 제2의 요동링크로 지지한 상태에서 스툴의 받침대인 기대부분에 접속함으로써 탄성부재에 대하여 착석한 사람의 체중이 직접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탄성부재의 반발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요동동작 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동기구는 제1과 제2의 링크로 유니버설로 하고, 코일스프링을 6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경동하는 방향에 따라 경동의 느낌이 달라지고,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도 많고, 고가의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경동하는 한도각은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너무 기울어서 위험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소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할 수 있고, 또한 기울기의 한도를 착석자가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경동 가능한 스툴 또는 라운지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발명의 경동 가능한 스툴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바닥면 근처에 경동수단을 설치하여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경동수단은 코일웨이브스프링을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로 끼우고, 스프링누름부가 경동 가능하게 중심이 부착볼트로 체결되고, 시트가 소정 각도 경사지면 맞닿는 볼록원추형의 걸림부재가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누름부 또는 스프링받이부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시트는 가스실린더를 내장한 각주(脚柱)의 상단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각주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스툴은 상하로 신축할 수 있도록 가스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높이는 임의이지만, 높은 것에 적합하다. 또한 가스실린더는 회동(回動)이 자유롭지만, 시트에 방향성을 구비한 경우에는 회전 자동복귀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경동수단은 코일웨이브스프링을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로 끼우고, 스프링누름부가 경동할 수 있도록 중심을 부착볼트로 체결한다. 그리고 스프링누름부가 소정 각도 경사지면 그 이상 경사지지 않도록 맞닿는 걸림부재를 상기 스프링누름부 또는 스프링받이부에 설치한다.
스프링받이부는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 상에 고정설치되고, 스프링누름부는 각주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코일웨이브스프링은 JSMA(일본스프링공업회의 규격) SB009에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 띠형상의 스프링강을 코일형상으로 권회(卷回)함과 함께 스프링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물결형을 형성한 압축형 코일스프링이다.
또한 코일웨이브스프링만으로는 탄성지지력이 부족하거나 느낌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의 사이에 시트가 경사지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면 된다. 탄성부재로서는 경질고무나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시트의 경동에 수반하여 코일웨이브스프링이 휘어서 스프링누름부가 기울어지도록 부착볼트에는 구면(球面)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스프링누름부 또는 스프링받이부에는 상기 구면부재에 감합되는 오목구면부를 형성한다.
이 오목구면부는 스프링누름부 근처 또는 스프링받이부 근처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한다. 스프링누름부 근처에 형성한 경우에는 스프링누름부가 경동하여도 부착볼트는 경동하지 않지만, 스프링받이부 근처에 설치한 경우에는 부착볼트가 경동한다.
청구항 2 발명의 경동 가능한 스툴은 바닥면 근처에 경동수단을 설치하여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경동수단은 코일웨이브스프링을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로 끼우고, 스프링누름부가 경동 가능하게 중심이 부착볼트로 체결되고, 시트가 소정 각도 경사지면 맞닿는 볼록원추형의 걸림부재가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누름부 또는 스프링받이부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시트는 고정 길이의 각주의 상단 또는 절구형 냄비형상의 지지체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각주 또는 지지체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의 이면에는 회동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스툴은 시트의 높이가 일정한 스툴이고, 경동수단은 베이스에 회동부재를 통해 설치하고 있다. 높이가 500mm 이상인 것의 경우에는 각주의 상단에 시트를 고정설치하고, 하단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경동수단의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한다.
시트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절구형 냄비형상의 지지체의 상단에 시트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지지체의 하단을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는 회동부재를 통해 베이스에 고정설치한다.
또한 회동부재는 코일웨이브스프링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받이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스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툴에서는 착석자가 경동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도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코일웨이브스프링에 회전력을 부하시키지 않는 의미도 있다.
지지체를 절구형 냄비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지지체 안을 물품의 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지체의 상단의 시트를 착탈 가능하게 하거나 시트를 지지체의 상단에 고정설치하여 지지체의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하면 된다.
또한 지지체는 절구형 냄비형상, 즉 시트의 외주 지름의 원통형의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쪽으로 점차 커지는 것이나 중앙부를 좁힌 것 등도 포함된다. 또한 디자인 상의 관점에서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청구항 4 발명은 혼자서 편안하게 앉는 의자인 라운지체어로서, 바닥면 근처에 경동수단을 설치하여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경동수단은 상기 발명과 마찬가지로 코일웨이브스프링을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로 끼우고, 스프링누름부가 경동 가능하게 중심이 부착볼트로 체결되고, 시트가 소정 각도 경사지면 맞닿는 볼록원추형의 걸림부재가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누름부 또는 스프링받이부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상단에 팔걸이가 고정설치된 지지체를 시트의 아래쪽부터 시트의 양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의 하단을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한다. 또는 등받이와 일체인 시트의 하부에 지지대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을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받이부는 베이스 상에 회동부재를 통해 부착하고 있다. 이 라운지체어는 모든 방향으로 경동할 수 있으며 회전시킬 수도 있다.
시트가 경동할 수 있는 한도는 둥근 의자와 같이 전후좌우의 방향성이 없는 경우에는 일정한 각도이면 되지만, 라운지체어와 같이 등받이가 있는 경우에는 걸림부재의 원추모양의 형상을 변경하여 등 쪽의 경동 한도각을 앞 및 좌우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시트의 경동 한도각은 체격이나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달라서 착석자에 따라 바꾸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경동수단의 걸림부재가 맞닿았을 때의 각도를 최대로 하여 이보다 작게 한 복수의 경동 한도각을 착석자가 적절히 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코일웨이브스프링의 외측으로 동심원형상으로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걸림볼록부를 사방에 형성한 걸림링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누름부의 이면에 상기 걸림볼록부에 맞닿는 스토퍼를 사방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걸림링에는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를 부설하여 시트의 경동 한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걸림링의 회동수단은 안내부재에 걸림링을 가이드시켜 회동시키는 등 여러 구조를 생각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경동 한도각은 2 내지 4종이면 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걸림볼록부를 사방에」라는 의미는 원을 십자형상으로 사분할하고, 각 영역에 높이가 상이한 걸림볼록부를 한 세트씩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시트를 어느 방향으로 기울여도 경사 한도각이 되면 스프링누름부의 스토퍼가 동일한 높이의 걸림볼록부에 맞닿는다.
경동 한도각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한도각의 걸림볼록부가 스프링누름부의 스토퍼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걸림링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을 간편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걸림링의 외주에 걸어맞춤홈과 복수개의 걸림구멍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외주의 외측에 스프링으로 상기 걸림구멍에 감합되는 걸림부재를 설치하고, 시트의 경동 한도각을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링을 회동시켰을 때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구멍에 감합되어 걸림링이 위치 결정되는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의 경동에 대한 반력의 정도도 앉은 기분에 영향을 미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코일웨이브스프링의 부착상태, 즉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 조정은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프링누름부의 상면 중앙 또는 스프링받이부의 이면 중앙에 고정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된 부착볼트의 선단에 회동레버를 부설하여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경동수단의 부착볼트가 머리부를 위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받이부의 아래쪽에서 조정하게 되기 때문에 베이스의 중앙을 끌어올려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면 된다.
청구항 1 발명의 경동 가능한 스툴은 바닥면 근처에 설치하는 경동수단이 코일웨이브스프링을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로 끼우고, 중심이 부착볼트로 경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시트가 소정 각도 경사지면 맞닿는 걸림부재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설치된 것으로, 시트는 가스실린더를 내장한 각주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각주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트러니언이나 유니버설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콤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힘으로 경동하기 때문에 느낌이 매우 좋다.
또한 청구항 2 발명은 바닥면 근처에 설치하는 경동수단을 청구항 1 발명과 동일하게 하고, 승강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시트의 높이는 일정하고, 각주의 상단에 시트가 고정설치되고, 각주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는 회동부재를 통해 베이스에 고정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웨이브스프링에 회전력이 부하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절구형 냄비형상의 지지체의 상단에 시트를 고정설치한 경우에는 지지체 내를 수납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 발명은 바닥면 근처에 설치하는 경동수단을 청구항 2 발명과 동일하게 하고, 시트의 아래쪽에 설치한 지지대 또는 지지체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는 베이스 상에 회동부재를 통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 경동시킬 수 있고, 회전도 자유롭기 때문에 종래에는 없는 라운지체어로 되었다.
도 1은 청구항 1 발명의 경동 가능한 스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정면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시트의 경사 한도각 전환수단을 부설한 단면도이고, 시트가 3도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B-B선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경동수단 및 경동각 전환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코일웨이브스프링의 경동에 대한 강성의 조정수단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다른 경동 가능한 스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다.
도 8은 경동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다.
도 9는 탄성부재를 추가한 경동수단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청구항 2 발명의 경동 가능한 스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다.
도 11은 청구항 2 발명의 다른 경동 가능한 스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다.
도 12는 경동수단 및 회동부재의 상세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3은 시트부를 경동시켰을 때의 경동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청구항 2 발명의 다른 경동 가능한 스툴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청구항 4 발명의 라운지체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청구항 4 발명의 다른 라운지체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경동 가능한 스툴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청구항 1 발명의 스툴의 전체를 도시한 정면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경사각도 전환수단을 설치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경동수단, 경동각 전환수단 및 코일웨이브스프링의 경동에 대한 강성의 조정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코일웨이브스프링의 경동에 대한 강성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설명도이다.
이 스툴은 가스실린더(4)를 내장한 각주(2)의 상단에 시트부(1)가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하단은 경동수단(10)을 통해 베이스(8)에 부착되어 있다. 시트부(1)의 하부에 설치한 레버(6)를 조작함으로써 가스실린더(4)가 작동하여 시트는 승강한다. 또한 가스실린더(4)는 상하 2개의 상커버(3a), 하커버(3b)로 덮여 있다. 또한 스툴의 전체 높이는 여기서는 840mm이며 상하동의 스트로크는 260mm로 하고 있다.
경동수단(10)은 스프링누름부(11)와 스프링받이부(12)로 코일웨이브스프링(13)을 상하에서 끼워 그 중앙을 부착볼트(16)로 체결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12)에 볼트(14c)로 부착된 상면이 원추형상인 걸림부재(14)와, 그 상부에 대향하여 스프링누름부(11)에 볼트(15a)로 부착된 하면이 평탄한 접촉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재(14) 및 접촉부재(15)는 원반형상이며 외주부는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스프링 안내로 되어 있고, 중앙부에 구멍이 뚫리고, 부착볼트(16)가 아래쪽으로부터 끼워 삽입되어 스프링누름부(11)에 고정설치된 고정설치너트(11b)에 체결되어 있다. 부착볼트(16)는 하단측을 머리부로 하고, 네크부에는 구면부재(17)가 설치되고, 걸림부재(14)에는 구면부재(17)가 감합되는 오목구면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18은 회전을 멈추기 위한 너트이다.
경동수단(10)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석자가 어느 한 방향으로 체중을 가하여 기울이면 코일웨이브스프링(13)이 휘고, 각주(2)가 경동하여 스프링누름부(11)가 기울어진다. 이때 부착볼트(16)의 구면부재(17)가 걸림부재(14)의 오목구면부(14a)에 감합되어 부착볼트(16)가 기울어진다. 그리고 시트부(1)가 소정 각도(여기서는 8도로 하였음) 기울어지면 걸림부재(14)의 원추형상의 상면이 평탄한 접촉부재(15)의 하면에 맞닿아 그 이상은 경동하지 않는다.
경동의 정도는 전도의 우려 등으로부터 소정 각도에 제한할 필요가 있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경동 최대각도를 8도로 하고, 이때 걸림부재(14)가 접촉부재(15)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이 경동 각도는 착석자에 따라서도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착석자가 조정할 수 있는 경동각으로서 6도와 4.5도와, 3도로 전환되는 경동각 전환수단(20)을 구비한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이 경동각 전환수단(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외측에 동심원형상으로 설치한 걸림링(21)과, 그 외주에 배치된 링가이드(25)와, 경동 한도각을 전환하는 전환기(26)와, 스프링누름부(11)의 이면에 고정설치한 스토퍼(11c)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링(21)은 외주에 가이드홈(22)이 형성되고, 링가이드(25)에 설치한 걸림재(25a)에 걸어맞춰져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링(21)에는 이것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23)가 부설되어 있다.
또한 걸림링(21)의 상면에는 경동 제한각도가 여기서는 3도, 6도일 때에 스토퍼(11c)와 맞닿는 높이가 상이한 걸림볼록부(21a, 21b)와, 8도 이상(여기서는 10도로 하였음)에서 스토퍼(11c)에 맞닿는 걸림볼록부(21c)가 4분의 1원마다 원주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걸림볼록부(21c)를 선택하였을 때에는 경사각도가 8도가 되면 걸림부재(14)가 접촉부재(15)에 맞닿아 그 이상 경동하지 않는다.
링가이드(25)는 원호형상이고, 걸림링(21)의 외주의 2개소에 배치되고, 가이드홈(22)에 걸어맞춰지는 걸림재(25a)를 구비하고 있다.
전환기(26)는 걸림링(21)을 회동시켜 원하는 경동 한도각의 걸림볼록부가 스토퍼(11c)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하는 것으로, 링가이드(25)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스프링과 볼로 이루어진 스토퍼(26a)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26a)는 걸림링(21)에 형성한 홈과 걸림구멍으로 이루어진 위치결정 가이드(24)와 걸어맞춰지고, 소정 위치에 오면 스토퍼(26a)의 볼이 위치결정 가이드(24)의 걸림구멍에 감합되어 걸림링(21)의 위치를 유지한다.
경동각 전환수단(20)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석자는 한 번 어느 한 방향으로 신체를 쓰러뜨려서 시트부(1)를 경동시키고, 스프링누름부(11)의 스토퍼(11c)가 걸렸을 때의 경동 한도각이 적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버(23)를 조작하여 전환할 수 있다.
레버(23)를 조작하여 걸림링(21)을 회동시키면 스토퍼(11c)와 대향하는 걸림볼록부(21a∼21c)의 위치가 바뀌고, 스토퍼(26a)가 위치결정 가이드(24)에 걸어맞춰져서 소정 위치(스토퍼(11c)의 바로 아래)에 오면 로크된다. 그 경동 각도가 적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림링(21)을 회동시켜 경동 한도각을 다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에 시트를 경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경동 강성)의 조정을 수행하는 스프링 강성 조정수단(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그 설명도이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경동각 전환수단(20)은 생략하고 있다.
이 스프링 강성 조정수단(30)은 코일웨이브스프링(13)을 끼워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누름부(11)와 스프링받이부(12)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으로, 스프링누름부(11)의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된 고정설치너트(11b)에 나사 결합된 부착볼트(16)를 헐겁게 체결함으로써 수행하고 있다.
즉, 도 6에 있어서 스프링 강성 조정수단(30)은 부착볼트(16)의 상단에는 웜휠(31)이 부설되고, 이것에 웜축(33)에 고정설치된 웜기어(34)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웜축(33)에는 스패너(35)가 감합되는 육각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웜휠(31), 웜축(33), 웜기어(34)는 기어케이스(32)에 장착되고(도 5 참조), 외측은 스프링누름부(11)에 고정설치된 브래킷(7) 및 그 바깥쪽에서 끼워진 하커버(3b)에 덮여 있기 때문에 육각봉 스패너(35)를 삽입할 수 있도록 브래킷(7) 및 하커버(3b)에는 개구(7a, 3c)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강성 조정수단(30)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패너(35)로 웜축(33)을 회동시킴으로써 부착볼트(16)가 회동하여 스프링누름부(11)를 상하동시킬 수 있다. 스프링누름부(11)가 내려가면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경동에 대한 강성이 증가하여 경동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스프링누름부(11)가 올라가면 경동에 대한 강성이 약해져서 경동하기 쉬워진다.
다음에 높이가 바뀌는 경동 가능한 스툴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스툴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외관이 다를 뿐 구성부품은 마찬가지이다. 즉, 시트부(40)에는 가스실린더(43)의 상단이 고정설치되고, 하단은 베이스(8)에 부착된 상기 설명한 경동수단(10)에 연결되어 있다.
가스실린더(43)의 상단부에는 신축시키기 위한 레버(44)가 설치되고, 측면이 상커버(41)와 한 단계 직경이 작은 하커버(42)로 덮여 있다. 또한 이 스툴의 크기는 여기서는 전체 높이는 400mm, 스트로크는 55mm로 하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경동각 전환수단(20) 및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경동에 대한 강성의 조정수단(30)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지만, 구성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커버(41)는 시트부(40)의 경동에 수반하여 경동하지만, 하커버(42)는 경동하지 않는다. 그래도 하커버(42)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레버(23)나 육각봉 스패너(35)를 삽입하는 개구(42a)는 하커버(42)의 근처까지 연장시키고 있다.
다음에 경동수단(10)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경동수단(10A) 의 정면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스프링누름부(11)와 스프링받이부(12)로 코일웨이브스프링(13)을 끼워 그 중앙을 부착볼트(16)로 체결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12)에 볼트(15a)로 부착된 상면이 평탄한 접촉부재(15)와, 그 상부에 대향하여 스프링누름부(11)에 볼트(14c)로 부착된 하면이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재(14) 및 접촉부재(15)는 원반형상이며 외주부는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스프링 안내로 되어 있고, 중앙부에 구멍이 뚫리고, 부착볼트(16)가 머리부를 위로 해서 끼워 삽입되어 고정설치너트(8b)에 체결되어 있다. 부착볼트(16)의 네크부에는 구면부재(17)가 설치되며 걸림부재(14)에는 이것이 감합되는 오목구면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16a는 칼라이며, 스프링누름부(11)와 스프링받이부(12)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경동에 대한 강성의 조정수단(3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거한다.
경동수단(10A)은 상기 경동수단(10)과는 부착볼트(16)가 머리부를 위로 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여기서는 생략하지만, 경동각 전환수단(20) 및 스프링의 강성 조정수단(30)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치할 수 있다.
경동수단(10A)은 착석자가 시트를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이면 그에 수반하여 각주(2)가 경동하고, 이것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스프링누름부(11)가 기울어진다. 이때 걸림부재(14)가 스프링누름부(11)에 수반해서 경동하여 오목구면부(14a)가 부착볼트(16)의 구면부재(17)와 감합되어 움직이고, 부착볼트(16)는 경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프링누름부(11)가 소정 각도(여기서는 8도) 기울어지면 걸림부재(14)의 하면이 접촉부재(15)에 맞닿아 그 이상은 경동하지 않는다.
도 9는 경동수단(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단면도이다.
이 경동수단(10B)은 경동수단(10A)에 탄성부재(13a)를 추가한 것이다.
즉, 스프링받이부(12) 상의 접촉부재(15)와 위쪽의 걸림부재(14)의 사이에 원통형상의 합성고무제 탄성부재(13a)가 설치되고, 접촉부재(15)에는 이것을 지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프링용 홈(15b)이 형성되고, 대항하는 걸림부재(14)에도 마찬가지의 스프링용 홈(14d)이 형성되어 있다.
경동수단(10B)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탄성부재(13a)를 사용함으로써 지지 스프링력이나 경동에 대한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2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0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시트의 높이가 일정하며 높은 경동 가능한 스툴의 전체를 도시한 정면단면도이고, 도 11은 시트가 낮은 스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경동수단(10C)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시트부(50, 55)를 경동시켰을 때의 경동수단(10C)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스툴은 각주(51)의 상면에 시트부(50)가 고정설치되고, 각주(51)의 하부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경동수단(10C)이 설치되고, 받침대(52)에 회동부재(19)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시트의 높이는 승강할 수 없지만, 회동부재(19)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다.
도 11에 도시한 스툴은 절구형 냄비형상의 지지체(56)의 상단에 시트부(55)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지지체(56)의 하부에는 경동수단(10C)이 설치되고, 받침대(57)에 회동부재(19)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시트의 높이는 낮으며 승강하지 않는다. 또한 지지체(56)의 내부는 공동이고, 시트부(55)는 지지체(56)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경동수단(10C)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누름부(11)와 스프링받이부(12)로 코일웨이브스프링(13)을 끼우고, 그 중앙을 부착볼트(16)로 체결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12)에 볼트(12b)로 부착된 상면이 평탄한 접촉부재(15)와, 그 상부에 대향하여 스프링누름부(11)에 볼트(14c)로 부착된 하면이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재(14) 및 접촉부재(15)는 원반형상이며 중앙부에 구멍이 뚫리고, 부착볼트(16)가 머리부를 위로 해서 끼워 삽입되며 베이스(8)의 이면의 고정설치너트(8b)에 체결되어 있다.
부착볼트(16)의 네크부에는 구면부재(17)가 설치되며, 걸림부재(14)에는 구면부재(17)가 감합되는 오목구면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받이부(12)의 이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15c는 깔판, 16a는 칼라, 18은 너트이다.
경동수단(10C)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석자가 시트부(50)를 어느 한 방향으로 체중을 가하여 기울이면 코일웨이브스프링(13)이 휘고, 각주(51) 및 스프링누름부(11)가 기울어진다. 이때 걸림부재(14)도 함께 기울어져서 오목구면부(14a)가 부착볼트(16)의 구면부재(17)에 감합되어 걸림부재(14)가 움직이고, 부착볼트(16)는 수직인 채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시트부(50)가 소정 각도(여기서는 8로 하고 있음) 기울어지면 걸림부재(14)의 원추형상의 하면이 평탄한 접촉부재(15)의 상면에 맞닿아 그 이상은 경동하지 않는다.
도 13은 시트부(50)를 경동시켰을 때의 경동수단(10C)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시트부(50)에 회전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이 힘은 스프링누름부(11)로부터 코일웨이브스프링(13)의 상단에 전달되지만, 스러스트 베어링(19)에 의해 회동하여 코일웨이브스프링(13)이 비틀리는 일은 없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의 경동수단(10C)은 도 1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한 스툴은 도 11과 마찬가지로 지지체(61)의 상면에 시트부(60)가 고정설치되고, 지지체(61)의 하부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경동수단(10C)이 설치되고, 베이스(62)에 회동부재(19)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지지체(61)는 시트부(60)로부터 약간 팽창부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공동이며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개구부(61a)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경동수단(10C)은 상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청구항 4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5 및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라운지체어는 등받이에 경사가 있는 일인용으로 편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등받이(71a)와 일체인 시트부(71)가 지지체(72)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지지체(72)는 베이스(73)에 고정설치된 받침대(74)에 경동수단(10C)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지지체(72)는 라운지체어(70)의 정면에서 볼 때 시트부(71)의 아래쪽부터 시트부(71)의 양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팔걸이(72a)가 설치되어 있다.
경동수단(10C)은 상기 도 1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라운지체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6의 (a)의 라운지체어(80)는 등받이(81a)와 일체인 시트부(81)의 하부에 지지대(83)가 고정설치되고, 경동수단(10C)을 통해 베이스(8)에 부착되어 있다. 경동수단(10C)은 상기 도 11에 도시한 것으로 스러스트 베어링(19)도 부설되어 있다. 또한 82는 팔걸이이다.
또한 도 16의 (b)의 라운지체어(90)는 등받이와 일체인 시트부(91)의 하부에 지지대(93)가 고정설치되고, 경동수단(10C)을 통해 베이스(8)에 부착되어 있다. 경동수단(10C)은 상기 도 11에 도시한 것으로 스러스트 베어링(19)도 부설되어 있다.
라운지체어(70, 80, 90)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석자가 시트부(71, 81, 91)에 앉아 어느 한 방향으로 체중을 옮기면 그에 수반하여 경동한다. 그리고 소정 각도(8도)까지 기울어지면 걸림부재(14)의 원추형상의 하면이 평탄한 접촉부재(15)의 상면에 맞닿아 그 이상은 경동하지 않는다. 또한 스러스트 베어링(19)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경동각 전환수단(20) 및 스프링 강성 조정수단(30)은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치할 수 있다.
1: 시트부 2: 각주
3a: 상커버 3b: 하커버
3c: 개구 4: 가스실린더
5: 커버 6: 레버
7: 브래킷 7a: 개구
8: 베이스 8a: 볼트
8b: 고정설치너트 10: 경동수단
10A: 경동수단 10B: 경동수단
10C: 경동수단 11: 스프링누름부
11a: 너트 11b: 고정설치너트
11c: 스토퍼 11d: 볼트
12: 스프링받이부 12a: 너트
12b: 볼트 13: 코일웨이브스프링
13a: 탄성부재 14: 걸림부재
14a: 오목구면부 14b: 원추면
14c: 볼트 14d: 스프링용 홈
15: 접촉부재 15a: 볼트
15b: 스프링용 홈 15c: 깔판
16: 부착볼트 16a: 칼라
17: 구면부재 18: 너트
19: 스러스트 베어링 20: 경동각 전환수단
21: 걸림링 21a, 21b, 21c: 걸림볼록부
22: 가이드홈 23: 레버
24: 전환 가이드 25: 링가이드
25a: 볼록부 26: 전환기
26a: 스토퍼 30: 스프링의 강성 조정수단
31: 웜휠 32: 기어케이스
33: 웜축 34: 웜기어
35: 스패너 40: 시트부
41: 상커버 42: 하커버
42a: 개구 43: 가스실린더
44: 레버 50: 시트부
51: 각주 52: 받침대
55: 시트부 56: 지지체
57: 받침대 60: 시트부
61: 지지체 61a: 개구부
62: 베이스 70: 라운지체어
71: 시트부 71a: 등받이
72: 지지체 72a: 팔걸이
73: 베이스 74: 받침대
80: 라운지체어 81: 시트부
81a: 등받이 82: 팔걸이
83: 지지대 90: 라운지체어
91: 시트부 93: 지지대

Claims (8)

  1. 바닥면 근처에 경동수단을 설치하여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경동수단은 코일웨이브스프링을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로 끼우고, 스프링누름부가 경동 가능하게 중심이 부착볼트로 체결되고, 시트가 소정 각도 경사지면 맞닿는 볼록원추형의 걸림부재가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누름부 또는 스프링받이부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시트는 가스실린더를 내장한 각주(脚柱)의 상단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각주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외측으로 동심원형상으로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걸림볼록부를 사방에 형성한 걸림링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누름부의 이면에 상기 걸림볼록부에 맞닿는 스토퍼를 사방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걸림링에는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를 부설하여 시트의 경동 한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동 가능한 체어.
  2. 바닥면 근처에 경동수단을 설치하여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경동수단은 코일웨이브스프링을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로 끼우고, 스프링누름부가 경동 가능하게 중심이 부착볼트로 체결되고, 시트가 소정 각도 경사지면 맞닿는 볼록원추형의 걸림부재가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누름부 또는 스프링받이부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시트는 고정 길이의 각주의 상단 또는 절구형 냄비형상의 지지체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각주 또는 지지체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의 이면에는 회동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외측으로 동심원형상으로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걸림볼록부를 사방에 형성한 걸림링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누름부의 이면에 상기 걸림볼록부에 맞닿는 스토퍼를 사방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걸림링에는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를 부설하여 시트의 경동 한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동 가능한 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구형 냄비형상의 지지체의 상단에 설치하는 시트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체 안을 물품의 수납공간으로 하거나 또는 시트를 지지체의 상단에 고정설치하여 지지체의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동 가능한 체어.
  4. 바닥면 근처에 경동수단을 설치하여 시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한 의자로서, 상기 경동수단은 코일웨이브스프링을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로 끼우고, 스프링누름부가 경동 가능하게 중심이 부착볼트로 체결되고, 시트가 소정 각도 경사지면 맞닿는 볼록원추형의 걸림부재가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누름부 또는 스프링받이부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상단에 팔걸이가 설치되고, 시트의 아래쪽에서 시트의 양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체를 설치하거나 또는 등받이와 일체인 시트의 하부에 지지대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지지체 또는 지지대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누름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는 베이스 상에 회동부재를 통해 부착되되,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외측으로 동심원형상으로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걸림볼록부를 사방에 형성한 걸림링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누름부의 이면에 상기 걸림볼록부에 맞닿는 스토퍼를 사방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걸림링에는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를 부설하여 시트의 경동 한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동 가능한 체어.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의 사이에 시트가 경사지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동 가능한 체어.
  6. 삭제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의 경동 한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링을 회전시킬 때 걸림볼록부가 간편하게 소정 위치에 이동되도록 상기 걸림링의 외주에 걸어맞춤홈과 복수개의 걸림구멍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외주의 외측에 스프링으로 상기 걸림구멍에 감합(嵌合)되는 걸림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걸림링을 회동시켰을 때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구멍에 감합되어 위치 결정되는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동 가능한 체어.
  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웨이브스프링의 경동에 대한 강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누름부의 상면 중앙 또는 상기 스프링받이부의 이면 중앙에 고정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된 부착볼트의 선단에 회동레버를 부설하여 스프링누름부와 스프링받이부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동 가능한 체어.
KR1020187000139A 2016-08-18 2017-08-01 경동 가능한 체어 KR101930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0618 2016-08-18
JPJP-P-2016-160618 2016-08-18
PCT/JP2017/027823 WO2018034139A1 (ja) 2016-08-18 2017-08-01 傾動可能なスツールまたはラウンジチェ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670A KR20180031670A (ko) 2018-03-28
KR101930837B1 true KR101930837B1 (ko) 2018-12-19

Family

ID=6119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139A KR101930837B1 (ko) 2016-08-18 2017-08-01 경동 가능한 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33644B2 (ko)
EP (1) EP3476255B1 (ko)
JP (1) JP6709475B2 (ko)
KR (1) KR101930837B1 (ko)
CN (1) CN108289547B (ko)
WO (1) WO20180341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116B1 (ko) * 2019-02-11 2019-12-23 주식회사 아이체 경동 의자
KR20220089830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포머스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5244B2 (en) * 2016-05-24 2021-02-02 Maria Terese ENGELL Balance chair
USD853163S1 (en) * 2017-05-15 2019-07-09 Bock 1 Gmbh & Co. Kg Office chair
CN108371436B (zh) * 2018-04-25 2023-10-27 严澄宇 弹力跷跷板式的自由倾仰机构及自由调节转椅
KR102203145B1 (ko) * 2018-09-13 2021-01-14 주식회사 미도화학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JP7078263B2 (ja) * 2018-10-26 2022-05-31 有限会社ルネセイコウ 椅子
EP3701839B1 (en) * 2019-02-27 2022-11-1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ontrol mechanism for a chair
IT201900003255A1 (it) * 2019-03-06 2020-09-06 Donati Spa Base di appoggio per una seduta oscillante
CN110101234A (zh) * 2019-05-08 2019-08-09 宋为民 一种椅子
WO2020250155A1 (en) * 2019-06-10 2020-12-17 Inventor Group Gmbh Tiltable stool
KR102082352B1 (ko) * 2019-06-25 2020-02-27 주식회사 아이체 의자의 전방위 탄성지지 기구
KR102439019B1 (ko) * 2022-04-15 2022-08-31 손원희 노약자용 승강식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785A1 (en) * 1996-01-30 1997-08-07 Ergonomix Armdec Pty. Ltd. Swivelling and tilting chair
US20050225141A1 (en) * 2004-04-09 2005-10-13 Denis Marchand Seating device
KR101500616B1 (ko) * 2013-06-03 2015-03-18 정대훈 허리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7619C (ko) *
DE7531129U (de) * 1975-10-02 1976-03-18 Schuckmann, Alfred Von, 5657 Haan Arbeits-sitz
JPS5491304U (ko) * 1977-12-08 1979-06-28
JPS56137657U (ko) * 1980-03-19 1981-10-19
DE4210098C2 (de) * 1992-03-27 1995-10-19 Josef Gloeckl Aktivdynamische Sitzvorrichtung
US6209843B1 (en) * 1999-06-14 2001-04-03 R. Brantley Smith, Jr. Pivotal rocking chair base
US6834916B2 (en) * 2001-05-11 2004-12-28 White Pine Concepts, Llc Gardening stool
DE202004005366U1 (de) * 2004-04-05 2004-06-24 VS Vereinigte Spezialmöbelfabriken GmbH & Co. Stuhl mit Wippmechanik
US7547067B2 (en) * 2004-12-01 2009-06-16 Keilhauer (Partnership) Tilt and swivel chair and mechanism therefor
US7100983B1 (en) * 2004-12-09 2006-09-05 Gant Richard A Lumbar flexing seating apparatus
DE102005005089A1 (de) * 2005-02-03 2006-08-10 Josef GLÖCKL Tragelement für ein Sitzmöbel
CA2600002C (en) * 2005-03-01 2014-02-18 Haworth, Inc.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KR100678653B1 (ko) * 2005-05-16 2007-02-05 기 석 우 다기능 의자
JP2007007249A (ja) * 2005-07-01 2007-01-18 Houtoku:Kk 椅子
US7533506B2 (en) * 2006-01-11 2009-05-19 Platt Robert E Bracket for mounting and vertically leveling a post on a surface
JP2007268118A (ja) * 2006-03-31 2007-10-18 Takara Belmont Co Ltd 座部が揺動可能なスツール
KR200432389Y1 (ko) * 2006-08-30 2006-12-05 심승용 의자용 좌판의 완충구조
KR20080006155U (ko) * 2007-06-08 2008-12-11 임이재 의자방향 복원장치
KR200437095Y1 (ko) * 2007-08-16 2007-11-01 고진옥 수납 공간을 가지는 의자
NO328660B1 (no) * 2008-04-02 2010-04-19 Sapdesign As Anordning ved stol
DE202009017844U1 (de) * 2009-12-23 2010-07-22 Topstar Gmbh Kippvorrichtung für einen Stuhl
DE102010020503A1 (de) * 2010-05-14 2011-11-17 Josef Glöckl Sitzvorrichtung mit beweglichem Sitz
CN201798301U (zh) * 2010-06-15 2011-04-20 王柏荣 万向摇摆椅
TWM394748U (en) * 2010-07-28 2010-12-21 chang-zhen Lin Rocking chair
DE102011101388B3 (de) * 2011-05-12 2012-11-15 Stephan Meyer Sitzmöbel
CN203789496U (zh) * 2014-03-28 2014-08-27 安徽久工健业股份有限公司 摇摆椅
JP6339841B2 (ja) * 2014-03-31 2018-06-06 飛騨産業株式会社 椅子
JP6376683B2 (ja) * 2014-04-16 2018-08-22 株式会社オカムラ 椅子
JP6462442B2 (ja) * 2015-03-19 2019-01-30 株式会社エルゴジャパン 椅子用座の支持構造体及びそれを備える椅子
CN105852487B (zh) * 2016-05-31 2019-01-22 厦门康乐佳运动器材有限公司 健身座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785A1 (en) * 1996-01-30 1997-08-07 Ergonomix Armdec Pty. Ltd. Swivelling and tilting chair
US20050225141A1 (en) * 2004-04-09 2005-10-13 Denis Marchand Seating device
KR101500616B1 (ko) * 2013-06-03 2015-03-18 정대훈 허리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116B1 (ko) * 2019-02-11 2019-12-23 주식회사 아이체 경동 의자
KR20220089830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포머스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89547A (zh) 2018-07-17
US20190116979A1 (en) 2019-04-25
JP6709475B2 (ja) 2020-06-17
EP3476255A4 (en) 2020-01-01
WO2018034139A1 (ja) 2018-02-22
KR20180031670A (ko) 2018-03-28
US10433644B2 (en) 2019-10-08
JPWO2018034139A1 (ja) 2019-06-13
CN108289547B (zh) 2021-09-24
EP3476255B1 (en) 2021-01-06
EP3476255A1 (en)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837B1 (ko) 경동 가능한 체어
US5590930A (en) Active dynamic seat
US5464274A (en) Chair seat tilt adjustment and locking mechanism
US6209958B1 (en) Universal tilt mechanism for a chair
US5884976A (en) Chair swivel arm rest
US5113851A (en) Chair equipped with a singing seat
US4709894A (en) Slip connector for weight actuated height adjustors
CA2550837A1 (en) Dynamic seating device
US20120306249A1 (en) Multifunctional chair
US6755472B2 (en) Neckrest for a chair
JP6357674B2 (ja) 椅子
JP2003225136A (ja) 椅 子
CN219353430U (zh) 摇臀式马鞍座
JP7382187B2 (ja) 椅子
US20160360890A1 (en) Chair with variable positioning and support
CN213216100U (zh) 椅子及其椅脚
KR102437284B1 (ko)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KR102624522B1 (ko) 허리통증 완화를 위한 재활 훈련용 의자
EP3632266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 seat
JP4695353B2 (ja) 椅子
CN118056508A (zh) 摇臀式马鞍座
JPH06319629A (ja) 体格適合型回転椅子
KR101669221B1 (ko) 의자
JP2023056925A (ja) 椅子
KR20230157152A (ko) 암레스트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