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849B1 - 차량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849B1
KR101925849B1 KR1020120071807A KR20120071807A KR101925849B1 KR 101925849 B1 KR101925849 B1 KR 101925849B1 KR 1020120071807 A KR1020120071807 A KR 1020120071807A KR 20120071807 A KR20120071807 A KR 20120071807A KR 101925849 B1 KR101925849 B1 KR 101925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mitting device
semiconductor light
light emitting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176A (ko
Inventor
타츠야 세키구치
카즈유키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4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1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complete annular areas
    • F21S41/3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complete annular areas with dis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8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having surface portions added to its general conc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21S41/365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successively reflecting th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8Optical design with elliptical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8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overhead 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차량 조명치는 렌즈를 차량 앞의 소정 관점(수평선 위의 소정 관점)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열된 렌즈를 통해 관찰된 광의 광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조명장치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 제 1 광축에 배치된 제 1 렌즈; 제 2 광축에 배치되고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초점이 차량 후방측에 있는 제 2 렌즈; 상기 제 1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의 후면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위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의 기본 광축에 대해 좁은 각 방향으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1 반사면에 입사하도록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 위에 배치된 제 1 반사면; 제 1 렌즈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양;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의 기본 광축에 대해 넓은 각 방향으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2 반사면에 입사하도록 상기 제 1 렌즈와 제 1 반사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반사면; 제 2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 사이에 배치된 제 3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고, 좁은 각 방향으로 방출되고 제 1 반사면에 입사한 광은 넓은 각 방향으로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입사한 광보다 광도가 더 크다. 차량 조명장치에서, 제 1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에 또는 부근에 제 1 초점과 제 1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에 또는 부근에 제 2 초점을 갖는 회전 타원체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에 또는 부근에 제 1 초점과 제 2 반사면과 제 3 반사면 사이에 제 2 초점을 갖는 회전 타원체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반사면은 상기 제 3 반사면의 차량 전단 가장자리가 제 2 광축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반사면의 차량 후방측 가장자리가 제 2 광축 위에 위치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제 2 반사면과 제 3 반사면 사이에 제 2 반사면의 제 2 초점은 대칭면으로 사용되는 제 3 반사면에 대해 제 2 광축 아래 위치에 대칭인 위치에 있다. 제 3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반사면의 제 2 초점에서 집속되고, 제 3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렌즈를 지난 광이 수평면에 대해 기설정된 상향각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조절된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Description

차량 조명장치{VEHICLE LIGHTING UNIT}
본 발명은 차량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배열렌즈를 포함한 차량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직배열렌즈를 포함한 차량램프들이 제안되었다(가령, 일본특허 No. 4666160 또는 일본특허에 대응하는 미국특허 No. 7,325,954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특허 No. 4666160에 기술된 차량램프(200)는 수직배열렌즈(210A 및 201B), HID 전구(220), 상부 반사면(230A), 하부 반사면(230B)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램프(200)에서, HID 전구(220)로부터 방출된 상향광은 상부 반사면(230A)에 의해 반사되고, 상부 렌즈(210A)를 지난 후 앞쪽으로 투사될 수 있다. HID 전구(220)로부터 방출된 하향광은 하부 반사면(230B) 등에 의해 반사되고, 하부 렌즈(210B)를 지난 후 앞쪽으로 투사될 수 있다.
최근, 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들이 전력절감 등의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차량램프 분야에서, 이는 또한 HID 전구 등을 대신해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를 방향 특성을 갖는 광원이라 한다. 보다 상세하게, 광원의 광도는 광축에서 최대가 되고 광축에 대한 기울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다(도 6 참조). 따라서, HID 전구(220)는 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 단순히 교체될 경우, 상부 렌즈를 통과하는 광도(휘도)와 하부 렌즈를 통과하는 광도 간의 차는 렌즈를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 위의 관점, 가령, 차량 앞에 있는 보행자 또는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관점)에서 볼 때 현저해질 수 있다. 이는 렌즈를 통해 관찰된 휘도가 서로 다르다는데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이들 및 다른 문제들과 특징 면에서 그리고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차량 조명장치는 렌즈를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 위의 소정 관점)에서 볼 때 수직배열렌즈를 통해 관찰된 광의 광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차량 조명장치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 제 1 광축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 1 광축 아래에 위치된 하부 제 2 광축을 가질 수 있고, 제 1 광축에 배치되고 초점이 차량 후방측에 있는 제 1 렌즈; 제 2 광축에 배치되고 초점이 차량 후방측에 있는 제 2 렌즈; 상기 제 1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의 후면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위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며 기본 광축을 갖는 반도체 발광디바이스;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의 기본 광축에 대해 좁은 각 방향으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1 반사면에 입사하도록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 위에 배치된 제 1 반사면; 제 1 렌즈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양;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의 기본 광축에 대해 넓은 각 방향으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2 반사면에 입사하도록 상기 제 1 렌즈와 제 1 반사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반사면; 제 2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 사이에 배치된 제 3 반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좁은 각 방향으로 방출되고 제 1 반사면에 입사한 광은 넓은 각 방향으로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입사한 광보다 광도가 더 크다. 이 구성에서, 제 1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에 또는 부근에 제 1 초점과 제 1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에 또는 부근에 제 2 초점을 갖는 회전 타원체 반사면일 수 있고, 제 2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에 또는 부근에 제 1 초점과 제 2 반사면과 제 3 반사면 사이에 제 2 초점을 갖는 회전 타원체 반사면일 수 있다. 더욱이, 제 3 반사면은 상기 제 3 반사면의 차량 전단 가장자리가 제 2 광축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반사면의 차량 후방측 가장자리가 제 2 광축 위에 위치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반사면과 제 3 반사면 사이에 제 2 반사면의 제 2 초점은 대칭면으로 사용되는 제 3 반사면에 대해 제 2 광축 아래 위치에 대칭인 위치에 있고, 제 3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반사면의 제 2 초점에서 집속되고, 제 3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렌즈를 지난 광이 수평면에 대해 기설정된 상향각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조절된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조명장치에서,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의 경사각은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 위의 관점)에서 렌즈를 볼 때 제 1 및 제 2 렌즈를 통해 관찰된 광의 광도(휘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를 지나는 광의 수평면에 대한 상향각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 위의 소정 관점)에서 렌즈를 볼 때 제 1 및 제 2 렌즈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게 할 수 있다.
차량 조명장치의 상기 구성에서,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의 경사각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반사면의 제 2 초점에서 집속되고, 제 3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렌즈를 지난 광이 수평면에 대해 2°에서 4°의 상향각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조명장치에서,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의 경사각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를 지나는 광이 수평면에 대해 2°에서 4°의 상향각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제 1 및 제 2 렌즈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 위의 관점)에서 렌즈를 볼 때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버헤드 표지영역이 광으로 비추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버헤드 표지영역은 차량의 전단 앞에 약 25m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상에 있고, 수평선 위에 위치해 있으며, 2°에서 4°에 대응하고, 도로 가이드, 도로 표지 등이 있을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차량 조명장치의 상기 구성에서, 수직방향으로 하부 가장자리에 제 1 렌즈와 상부 가장자리에 제 2 렌즈 사이의 거리는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조명장치에서,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는 단일 발광영역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차량 조명장치의 상기 구성에서, 좁은 각 방향은 기본 광축에 대해 ±60°이내의 범위일 수 있고, 넓은 각 방향은 기본 광축에 대해 ±60°밖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조명장치를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 위의 소정 관점)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열된 렌즈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게 하는 차량 조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성,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광축을 포함한 수직면을 따라 취해진 종래 차량램프(200)의 수직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예시된 실시예의 차량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차량 조명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차량 조명장치(10)의 제 1 광축(AX11A) 및 제 2 광축(AX11B)을 포함한 수직면을 따라 취해진 차량 조명장치(10)의 수직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에서 LED 칩(12a)의 방향 특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차량 조명장치(10)에 의해 형성된 로우빔 배광패턴(P1)과 오버헤드 표지 배광패턴(P2)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광원이 제 2 렌즈(11B)의 제 2 광축(AX11B) 아래에 그리고 제 2 렌즈(11B)의 차량 후방측 초점에 또는 부근에 위치될 경우 점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모든 광선들이 제 2 광축(AX11B)에 대해 상향각(θ) 방향으로 지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렌즈(11A 및 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일치하도록 설정된 가상 관점(E)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차량 조명장치에 대한 설명이 하기에 이루어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상방), 하부(하방), 좌, 우, 앞(전방), 및 뒤(후방) 방향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차량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 차량 바디의 일반적인 위치를 기초로 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차량 조명장치(10)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바디의 전면 좌우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차량 헤드라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잘 알려진 조준 장치들(미도시)은 광축이 조절되도록 각각의 차량 조명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차량 조명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정면도이다. 도 4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 제 1 광축(AX11A)과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부 제 2 광축(AX11B)을 포함한 수직면을 따라 취한 차량 조명장치(10)의 수직 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조명장치(10)는 로우빔 배광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젝터 타입 램프일 수 있다. 차량 조명장치(10)는 차량 후방측에 초점(F11A)을 갖는 제 1 렌즈(11A); 제 1 렌즈(11A) 아래에 배치되고 차량 후방측에 초점(F11B)을 갖는 제 2 렌즈(11B); 제 1 렌즈(11A)의 차량 후방측 초점(F11A)에 또는 부근에 배치되고 제 1 광축(AX11A)에 또는 부근에 위치되는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 위에 배치된 제 1 반사면(13); 제 1 렌즈(11A)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며 제 1 반사면(13)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양(14); 제 1 렌즈(11A)와 제 1 반사면(13) 사이에 배치된 제 2 반사면(15); 제 2 렌즈(11B)와 차량의 후방측 초점(F11B) 사이에 배치된 제 3 반사면(16); 방열판(17); 렌즈 홀더(18); 장식부재로 사용된 신장부(19); 장식부재(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렌즈(11A)는 방열판(17)에 고정된 렌즈 홀더(18)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의 제 1 광축(AX11A)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렌즈(11B)는 렌즈 홀더(18)에 의해 보유될 수 있고,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부의 제 2 광축(AX11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렌즈(11A) 아래 위치에 이로부터의 이격거리(h)로 놓여질 수 있다. 거리(h)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예컨대, 10㎜)이다. 이 구성으로, 제 1 렌즈(11A) 및 제 2 렌즈(11B)는 단일 발광영역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각각의 광축(AX11A 및 AX11B)은 단일 수직면에 포함되며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렌즈(11A 및 11B)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동일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게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제 2 광축(AX11B)은 상기 제 2 광축(AX11B)이 후방측에서보다 차량의 전방측에 더 높게(또는 더 낮게) 수평면에 대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렌즈(11A 및 11B)는 수직으로 배열되고 다른 방향들로 지향되어 있게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각각의 광축(AX11A 및 AX11B)은 단일 수직면에 포함될 수 없고 다른 수직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렌즈(11A 및 11B)는 수직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게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렌즈(11A 및 11B) 각각은 예컨대 그 전면에 볼록면과 후면에 평편면을 갖는 평볼록 비구면 투사렌즈일 수 있다. 제 1 렌즈(11A) 및 제 2 렌즈(11B)는 동일 형태, 동일 크기, 및 동일 초점길이를 갖는 투사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렌즈(11A) 및 제 2 렌즈(11B)는 다른 형태, 다른 크기, 및 다른 초점길이를 갖는 투사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렌즈(11A 및 11B)는 정면에서 볼 때 육각형으로 절단된 외주를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 각각의 렌즈(11A 및 11B)는 원형, 타원체형, 또는 n(n은 3 이상의 정수)면 다각형 또는 다른 형태를 갖는 투사렌즈일 수 있다.
제 1 렌즈(11A) 및 제 2 렌즈(11B)는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수지를 몰드에 주입하고 단단히 하도록 상기 수지를 냉각시켜 몰딩될 수 있다. 제 1 렌즈(11A) 및 제 2 렌즈(11B)는 일체로 몰딩될 수 있어, 단일부재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하라. 이는 제 1 렌즈(11A) 및 제 2 렌즈(11B)가 별개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구성부품들의 개수를 줄이고, 각 렌즈(11A 및 11B) 부착단계를 간소하게 하며, 각 렌즈(11A 및 11B)의 부착 에러 등을 줄이게 한다. 제 1 렌즈(11A) 및 제 2 렌즈(11B)는 일체로 몰딩되지 않고 의도한 적용에 따라 별개의 구성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갹각의 렌즈(11A 및 11B)는 신장부(19)에 형성된 개구(19a)를 통해 나타날 수 있고, 렌즈 외주 가장자리는 신장부(19)로 덮여질 수 있다.
제 1 렌즈(11A)의 하단과 제 2 렌즈(11B)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도 4의 도면에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11C)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으로 뻗어 있는 장식부재(20)가 오목부(11C)에 배치될 수 있다. 장식부재(20)의 표면은 알루미늄 기상증착과 같은 미러마감처리될 수 있다. 장식부재(20)는 본딩 또는 피팅과 같은 잘 알려진 부착수단에 의해 오목부(11C)에 고정될 수 있다. 오목부(11C)와 장식부재(20)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거리(h)(예컨대, 10㎜) 이하일 수 있다.
도 5는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의 사시도이다.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는, 예컨대, 복수의 LED 칩들(12a)(예컨대, 4개의 1㎜ 정사각형 청색 LED 칩들)이 패키지된 단일 광원일 수 있다. LED 칩들(12a) 각각은 형광체(예컨대, YAG 형광(황색 형광))로 덮여질 수 있다. LED 칩들(12a)은 4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1에서 3 또는 5 이상일 수 있다.
각각의 LED 칩들(12a)은 광이 실질적으로 위로 방출되도록 방열판(17)의 상부면(17a)에 고정된 기판(K)에 장착될 수 있다(도시된 예에서, 광은 도 4에 도시된 대각선 후방 및 상방으로 방출된다). LED 칩들(12a)은 제 1 렌즈(11A)의 차량 후방측 초점(F11A)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1 광축(AX11A)에 또는 부근에 놓여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칩들(12a)은 제 1 광축(AX11A)에 대해 대칭이도록 상기 제 1 광축(AX11A)에 수직이 수평선을 따라 가장자리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행으로(도 4의 도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기판(K)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K)의 차량 전단면(Ka)은 차량 후단면(Kb)보다 더 높다(도 4 참조). 그러므로, LED 칩들(12a)의 기본 광축(AX12a)은 대각선으로 후방 및 상방일 수 있다. 이는 기판(K)이 차량 전단측(Ka)과 차량 후단측(Kb)이 동일 수평면에 있도록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전력케이블(C)이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일정한 전류가 상기 전력케이블(C)을 통해 제공될 경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는 전압을 받을 수 있어, 광을 방출한다.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발생된 열은 방열판(17)을 통해 소산될 수 있다.
도 6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에 있는 LED 칩들(12a) 중 하나의 방향 특성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방향 특성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에서 LED 칩(12a)의 기본 광축(AX12a)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에서의 광도의 비를 의미하며, LED 칩(12a)의 기본 광축(AX12a)에 대한 광도는 100%로 설정된다. 방향 특성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에서 LED 칩(12a)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확산을 나타낸다. 광도의 비율이 50%인 각도는 반치각이다. 도 6에서, 반치각은 ±60°이다.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는 실질적으로 점발광칩으로 사용된 면발광칩을 포함한 광원 디바이스인 한 LED 칩(12a)을 포함하게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는 LED 칩과는 다른 발광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사면(13)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에 또는 부근에 제 1 초점(F113)과 제 1 렌즈(11A)의 차량 후방측 초점(F11A)에 또는 부근에 제 2 초점(F213)을 갖는 회전 타원체 반사면(예컨대, 회전 타원체면 또는 이와 유사한 자유곡면)일 수 있다.
제 1 반사면(13)은 제 1 렌즈(11A)를 향해 (도 4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의 일측으로 뻗고 위에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를 덮을 수 있다. 제 1 반사면(13)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의 기본 광축(AX12a)에 대해 좁은 각 방향으로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실질적으로 위로 방출된 상대적으로 고광도의 광(예컨대, 약 반치각 내의 광, 즉, 도 6에서 ±60°이내의 광)이 제 1 반사면(13)에 입사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차양(14)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를 향해 제 1 렌즈(11A)의 차량 후방측 초점(F11A)에서 뻗어 있는 미러면(14a)을 포함할 수 있다. 차양(14)의 전면 가장자리는 구배지고 제 1 렌즈(11A)의 차량 후방측 초점을 포함하는 면을 따라 오목해질 수 있다. 미러면(14a)에 입사하여 위로 반사된 광은 제 1 렌즈(11A)에 의해 굴절되어 노면을 향해 지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미러면(14a)에 입사한 광은 컷오프라인 아래로 지향되도록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컷오프라인 아래 배광패턴에 겹쳐진다. 이런 식으로, 컷오프라인(CL)을 포함한 로우빔 배광패턴(P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반사면(15)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에 또는 부근에 제 1 초점(F115)과 제 2 반사면(15) 및 제 3 반사면(16) 간의 제 2 초점(F215)을 가질 수 있는 회전 타원체 반사면(가령, 회전 타원체면 또는 이와 유사한 자유곡면)일 수 있다.
제 2 반사면(15)은 제 1 반사면(13)의 전단 부근에서 제 1 렌즈(11A)를 향해 뻗어 있고 제 1 렌즈(11A)와 제 3 반사면(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반사면(15)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의 기본 광축(AX12a)에 대해 넓은 각 방향으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실질적으로 위로 방출된 상대적으로 저광도의 광(예컨대, 반치각 부근의 값을 벗어난 광, 즉, 도 6에서 ±60°밖의 광)이 제 2 반사면(15)에 입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좁은 각 방향으로 방출되고 제 1 반사면에 입사하는 광은 넓은 각 방향으로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입사하는 광보다 더 큰 광도를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 2 반사면(15)은 전단이 제 1 반사면(13)에 의해 반사되고 제 1 렌즈(11A)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설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반사면(13) 및 제 2 반사면(15)은 단일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알루미늄 증기증착과 같은 미러마감처리를 위해 몰드를 이용해 반사면 기저 재료가 일체로 몰딩되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반사면(13 및 15)이 별개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구성부품들의 개수를 줄이고, 반사면(13 및 15)을 부착하는 단계를 간소화하며, 반사면(13 및 15) 등의 부착 에러를 줄이게 한다. 제 1 반사면(13)과 제 2 반사면(15)은 일체로 몰딩되지 않고 의도된 응용에 따라 별개의 구성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반사면(15)의 제 2 초점(F215)은 주로 다음 2개의 물리적 현상을 고려해 설정될 수 있다.
첫째, 점광원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렌즈(11B)의 제 2 광축(AX11B) 아래 위치에 및 제 2 렌즈(11B)의 차량 후방측 초점면에 또는 부근에 배치될 경우, 점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11B)를 통과한 모든 광선들이 수평면에 대해 상향각(θ)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각(θ)은 제 2 렌즈(11B)의 차량 후방측 초점(F11B)으로부터 점광원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점광원이 도 8에서 제 2 렌즈(11B)의 차량 후방측 초점면에 또는 부근 위치(A1)에 배치될 경우, 위치(A1)에서 점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11B)를 지난 광선(RayA1)은 수평면에 대해 상향각(θA1)(예컨대, 5°)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예컨대, 점광원이 도 8에서 제 2 렌즈(11B)의 차량 후방측 초점면에 또는 부근 위치(A2)에 배치될 경우, 위치(A2)에서 점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11B)를 지난 광선(RayA2)은 수평면에 대해 상향각(θA2)(예컨대, 10°)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현상을 기초로, 제 2 반사면(15)의 초점(F215)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첫째, 점광원이 제 2 광축(AX11B)에 대해 제 2 렌즈(11B)를 지난 광선의 상향각(θ)이 타겟각(예컨대, 5°)이 되게(가령, 제 2 광축(AX11B) 아래 위치(A1)가 선택되게) 설정되어야 한다. 다음, 대칭면으로 사용된 제 3 반사면(16)(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 3 반사면(16) 참조)에 대해 상기 선택된 위치(가령, 위치(A1))에 대칭인 위치는 제 2 반사면(15)의 제 2 초점(F215)으로 설정되어야 한다(도 4 참조).
제 2 초점(F215)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경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15)에 반사되어, 제 2 초점(F215)에 집속되고 제 3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은 위치(A1)에 배치되고(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된 광의 경로와 동일한 광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15)에 반사되어, 제 2 초점(F215)에 집속되고 제 3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모든 광선들은 수평면에 대해 상향각(θA1)(예컨대, 5°)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제 2 렌즈(11B)는 이로써 그 전체 부분이 광을 방출하도록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는 실제로 점광원이 아니라 소정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은 퍼질 수 있다.
제 2 반사면(15)에 의해 반사되고 제 2 초점(F215)에 집속된 광이 제 3 반사면(16)에 입사할 수 있도록 제 2 렌즈(11B)와 차량 후방측 초점(F11B) 사이에 제 3 반사면(16)이 배치될 수 있다.
제 3 반사면(16)은 예컨대 평면미러일 수 있고, 제 3 반사면(16)의 차량 전방측 가장자리(16a)가 제 2 광축(AX11B) 아래에 위치되고 차량 후방측 가장자리(16b)가 제 2 광축(AX11B) 위에 위치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제 2 광축(AX11B)에 대해 제 2 렌즈(11B)를 통과한 광선의 상향각(θ)의 조절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반사면(16)이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기울어지면,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제 3 반사면(16)에 대한 제 2 반사면(15)의 제 2 초점(F215)에 대칭인 위치는 제 2 광축(AX11B) 아래 위치(A1)이다.
이 경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15)에 의해 반사되어 제 2 초점(F215)에 집속되고, 제 3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모든 광선들은 수평면에 대해 상향각(θA1)(예컨대, 5°)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도 4 및 도 8 참조).
제 3 반사면(16)이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기울어지면,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제 3 반사면(16)에 대한 제 2 초점(F215)에 대칭인 지점은 위치(A1)보다 아래의 위치(A2)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15)에 의해 반사되어 제 2 초점(F215)에 집속되고, 제 3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모든 광선들은 위치(A2)에 배치될 것으로 추측되는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선들의 광경로와 동일한 광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15)에 의해 반사되어 제 2 초점(F215)에 집속되고, 제 3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모든 광선들은 수평면에 대해 상향각(θA2)(예컨대, 10°)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도 4 및 도 8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해 제 3 반사면(16)의 경사각(α)을 조절함으로써(도 4 참조), 수평면에 대해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선의 상향각(θ)이 조절될 수 있다.
제 1 렌즈(11A)와 제 2 렌즈(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를 일치(또는 거의 일치)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15)에 의해 반사되어 제 2 초점(F215)에 집속되고, 제 3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의 기본 광축(AX12a)에 대해 넓은 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위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된 상대적으로 저광도의 광(예컨대, 반치각 근처의 값 밖의 광, 즉, 도 6에서 ±60°밖의 광)일 수 있다.
차량 조명장치를 차량 앞에 있는 관점(수평선(H-H) 위의 관점, 예컨대, 차량 앞에 있는 보행자 또는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관점)에서 볼 때, 제 1 렌즈(11A)를 통해 눈부신 광이 관찰될 수 있다. 눈부신 광은 미광(stray light)을 말하며, 미광의 예는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 부근의 제 1 렌즈(11A)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후 차양(14)의 표면, 반사면(제 1 반사면(13) 및 제 2 반사면(15)), 및 하우징에 의해 반복해서 반사되어 수평선(H-H) 위에 나타나는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를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H-H) 위의 관점, 예컨대, 차량 앞에 있는 보행자 또는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관점)에서 볼 때, 제 1 및 제 2 렌즈(11A 및 11B)를 통한 광의 광도(휘도)차가 커질 수 있다. 이는 렌즈(11A 및 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서로 다르다는데 문제를 야기한다.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문제를 고려해, 렌즈(11A 및 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는 다음과 같이 일치(또는 거의 일치)될 수 있다.
첫째, 차량 앞에서의 가상 관점(E)(수평선(H-H) 위의 관점)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다. 다음, 가상 관점(E)을 통해 볼 때 제 1 렌즈(11A)를 통과한 광도(휘도)가 결정된다. 그런 후,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16)의 경사각(α)은 렌즈들을 가상 관점(E)에서 볼 때 렌즈(11A 및 11B)를 통한 광도(휘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수평면에 대해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의 상향각(θ)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가상 관점(E)에서 볼 때 제 1 렌즈(11A)를 통한 광도가 300cd인 경우,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16)의 경사각(α)은 가상 관점(E)에서 볼 때 제 2 렌즈(11B)를 통한 광도가 가상 관점(E)에서 볼 때 제 1 렌즈(11A)를 통한 광도(300cd)와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수평면에 대해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의 상향각(θ)이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16)의 경사각(α)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수평면에 대해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의 상향각(θ)을 조절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차량 앞에서의 가상 관점(E)(수평선(H-H) 위의 관점)에서 볼 때 제 1 및 제 2 렌즈(11A 및 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실제 관점이 가상 관점(E) 앞 또는 뒤의 한 점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된 관점에서 렌즈를 볼 때 렌즈(예컨대, 제 1 렌즈(11A)) 및 다른 렌즈(예컨대, 제 2 렌즈(11B)) 중 하나를 통한 광도(휘도)차는 이동된 관점과 가상 관점(E) 간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나, 상향각(θ)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렌즈(11A 및 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에서의 변화는 각(θ)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변화 만큼이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은, 바람직한 각(θ) 범위를 설명한다.
바람직하기로, 각(θ)은 제 2 렌즈(11B)를 지난 광의 방출 방향이 실질적으로 차량 앞에 있는 보행자 또는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보기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렌즈를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H-H) 위의 관점, 예컨대, 차량 앞에 있는 보행자 또는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관점)에서 볼 때, 렌즈(11A 및 11B)를 통한 광도(휘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되게 조절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 각(θ)은 광의 방출 방향이 운전자 등의 보기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0°(배타적)에서 6°(예컨대, 4°± 2°)범위 내에 조절될 수 있고, 제 1 렌즈(11A)로부터 눈부신 광(미광)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 각 범위에서, 차량 앞에 있는 보행자 또는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램프를 종종 보는 영역에서 관찰된 광도가 일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 각(θ)은 제 2 렌즈(11B)를 지난 광의 방출 방향이 오버헤드 표지영역(A)을 향해 지향된 각(2°에서 4°범위)으로 조절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는 제 1 및 제 2 렌즈(11A 및 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H-H) 위의 관점, 예컨대, 차량 앞에 있는 보행자 또는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관점)에서 볼 때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버헤드 표지영역(A)이 광으로 비추어지게 한다. 오버헤드 표지영역(A)은 차량의 전단 앞에 약 25m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상에 있고, 수평선 위에 위치해 있으며, 2°에서 4°에 대응하고, 도로 가이드, 도로 표지 등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도 7 참조).
제 2 렌즈(11B)를 통과한 광이 전체 오버헤드 표지영역(A)에 투사될 수 없으면, 제 2 렌즈(11B)를 마주한 오목 또는 중공 반사면(또는 이와 유사한 자유곡면 등)이 제 2 렌즈(11B)를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통과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제 3 반사면(16)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전체 오버헤드 표지영역(A)이 비추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수평선(H-H) 위로 광의 광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수평선(H-H) 위 영역이 각각의 렌즈(11A 및 11B)로부터 광으로 비춰지기 때문에, 수평선(H-H) 위쪽 영역에서의 광도는 특정 값(예컨대, 625cd)을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렌즈(11B)를 마주한 오목 또는 중공 반사면(또는 이와 유사한 자유곡면 등)이 제 2 렌즈(11B)를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통과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제 3 반사면(16)으로서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수평선(H-H) 위 영역에서의 광도는 특정 값(예컨대, 625cd) 이하 이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 1 광축(AX11A) 방향으로 제 2 반사면(1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선(H-H) 위 영역에서의 광도가 또한 특정 값(예컨대, 625cd) 이하 이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수평선(H-H) 위 영역에서의 광도는 가령 유럽(ECE 규제)에 요구되는 상한(예컨대, 625cd) 이하이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조명장치(10)로, 제 2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1 반사면(13)에 입사한 광은 제 1 반사면(13)에 의해 반사되고, 제 1 렌즈(11A)의 차량 후방측 초점(F11A)에 집속되며, 제 1 렌즈(11A)를 통과한 후 전방으로 투사될 수 있다. 컷오프라인(CL)을 포함한 로우빔 배광패턴(P1)이 이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차량 전단 앞 약 25m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에 형성된다.
제 2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15)에 입사한 광은 제 2 반사면(15)에 의해 반사되고, 제 2 초점(F215)에 집속되며, 제 3 반사면(16)에 의해 반사되고, 제 2 렌즈(11B)를 지난 후 수평면에 대해 상향각(θ)(예컨대, 2°에서 4°범위)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이로써 오버헤드 표지 배광패턴(P2)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차량 전단 앞 약 25m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상의 오버헤드 표지영역(A)에 형성될 수 있다.
차량 조명장치(10)의 광축은 각각의 배광패턴(P1 및 P2)이 가상 수직 스크린상의 적절한 영역들에 투사되도록 잘 알려진 조준장치(미도시)를 이용해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차량 조명장치(10)에서,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16)의 경사각(α)은 제 1 및 제 2 렌즈(11A 및 11B)를 통한 광의 광도(휘도)가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H-H) 위의 관점)에서 렌즈를 볼 때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수평면에 대해 제 2 렌즈(11B)를 지난 광의 상향각(θ)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H-H) 위 관점)에서 렌즈를 볼 때 제 1 및 제 2 렌즈(11A 및 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게 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차량 조명장치(10)에서,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16)의 경사각(α)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12)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렌즈(11B)를 지나는 광이 수평면에 대해 상향각(θ=2°에서 4°) 방향으로 지향되게 조절되었다. 이는 제 1 및 제 2 렌즈(11A 및 11B)를 통해 관찰된 광도가 차량 앞의 관점(수평선(H-H) 위의 관점)에서 볼 때 일치(또는 거의 일치)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버헤드 표지영역(A)이 비추어지게 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차량 조명장치(10)에서, 제 1 렌즈(11A)의 하단과 제 2 렌즈(11B)의 상단 간의 수직 거리는 15㎜이하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렌즈(11A)와 제 2 렌즈(11B)는 단일 발광영역으로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및 변경들이 본 발명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인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내에 있다면 본 발명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상술한 모든 관련 기술의 참조문헌들은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5)

  1.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 제 1 광축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 1 광축 아래에 위치된 하부 제 2 광축을 갖는 차량 조명장치로서,
    제 1 광축에 배치되고 초점이 차량 후방측에 있는 제 1 렌즈와,
    제 2 광축에 배치되고 초점이 차량 후방측에 있는 제 2 렌즈와,
    상기 제 1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의 후면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위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며 기본 광축을 갖는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와,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의 기본 광축에 대해 좁은 각 방향으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1 반사면에 입사하도록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 위에 배치된 제 1 반사면과,
    제 1 렌즈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양과,
    상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의 기본 광축에 대해 넓은 각 방향으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 2 반사면에 입사하도록 상기 제 1 렌즈와 제 1 반사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반사면과,
    제 2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 사이에 배치된 제 3 반사면을 구비하고,
    좁은 각 방향으로 방출되고 제 1 반사면에 입사한 광은 넓은 각 방향으로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입사한 광보다 광도가 더 크며,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는 제 1 렌즈와 교차하는 대각선 상방으로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의 축을 가지며 축을 중심으로 한 지향 특성을 가지고,
    제 1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에 또는 부근에 제 1 초점과 제 1 렌즈의 차량 후방측 초점에 또는 부근에 제 2 초점을 갖는 회전 타원체 반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에 또는 부근에 제 1 초점과 제 2 반사면 및 제 3 반사면 사이에 제 2 초점을 갖는 회전 타원체 반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광원보다 상방 및 제 1 반사면의 전방 단부보다 제 1 렌즈 측에 위치하고,
    제 3 반사면은 제 3 반사면의 차량 전단 가장자리가 제 2 광축 아래에 위치되고 제 3 반사면의 차량 후방측 가장자리가 제 2 광축 위에 위치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된 평면 미러이며,
    제 2 반사면과 제 3 반사면 사이에 제 2 반사면의 제 2 초점은 대칭면으로 사용되는 제 3 반사면에 대해 제 2 광축 아래 위치에 대칭인 위치에 있고,
    제 3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반사면의 제 2 초점에서 집속되고, 제 3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렌즈를 지난 광이 수평면에 대해 기설정된 상향각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수평면에 대한 평면 미러의 경사각이 조절되어 있는 차량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면에 대한 제 3 반사면의 경사각은 반도체 발광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고, 제 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반사면의 제 2 초점에서 집속되고, 제 3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며, 제 2 렌즈를 지난 광이 수평면에 대해 2°에서 4°의 상향각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조절되는 차량 조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제 1 렌즈의 하부 가장자리와 제 2 렌즈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15㎜ 이하인 차량 조명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좁은 각 방향은 기본 광축에 대해 ±60°이내 범위이고, 넓은 각 방향은 기본 광축에 대해 ±60°밖 범위인 차량 조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좁은 각 방향은 기본 광축에 대해 ±60°이내 범위이고, 넓은 각 방향은 기본 광축에 대해 ±60°밖 범위인 차량 조명장치.
KR1020120071807A 2011-06-30 2012-07-02 차량 조명장치 KR101925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6159A JP5716576B2 (ja) 2011-06-30 2011-06-30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JP-P-2011-146159 201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76A KR20130004176A (ko) 2013-01-09
KR101925849B1 true KR101925849B1 (ko) 2018-12-06

Family

ID=4646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807A KR101925849B1 (ko) 2011-06-30 2012-07-02 차량 조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58049B2 (ko)
EP (1) EP2541135B1 (ko)
JP (1) JP5716576B2 (ko)
KR (1) KR101925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1788B2 (ja) * 2011-07-01 2015-12-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ユニット
US8931938B2 (en) 2011-08-29 2015-01-13 J.W. Speaker, Corporation Locomotive LED/optics headlight assembly
DE102012102435A1 (de) * 2012-03-22 2013-09-26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6154169B2 (ja) * 2013-03-29 2017-06-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US9696008B2 (en) * 2013-07-02 2017-07-0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Reflector for directed beam LED illumination
FR3011311B1 (fr) * 2013-09-27 2018-05-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clairage a deux fonctions d'eclairement assurees par un meme groupe de source(s) de lumiere et des fuites de lumiere
DE102014207024A1 (de) * 2014-04-11 2015-10-15 Osram Gmbh Leuchtvorrichtung mit Lichtquelle und beabstandetem Leuchtstoffkörper
FR3022866B1 (fr) * 2014-06-30 2018-01-26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vehicule automobile a glace diffusante perfectionnee
KR101683969B1 (ko) * 2014-07-01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등화 장치
CN104359064A (zh) * 2014-10-29 2015-02-18 东莞德里特光电科技有限公司 汽车led前照灯
JP6651797B2 (ja) * 2015-11-09 2020-02-19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AT518286B1 (de) * 2016-02-24 2017-11-15 Zkw Group Gmbh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6709655B2 (ja) * 2016-03-25 2020-06-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当該車両用灯具を備えた車両
KR20170129445A (ko) * 2016-05-17 2017-1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우빔 구현용 렌즈 조립체
JP6817044B2 (ja) * 2016-11-28 2021-01-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KR102392310B1 (ko) * 2017-07-24 2022-05-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장치
CN109519865B (zh) * 2019-01-03 2024-01-26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增加光型宽度的方法、装置、模组单元、车灯及汽车
KR20200141248A (ko) * 2019-06-10 2020-12-1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7196A (ja) * 2004-11-16 2006-06-08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9032694A (ja) 2007-07-25 2009-02-12 Valeo Vision 横断方向に設けられた光源を備える自動車用照明モジュール
JP2009099413A (ja) 2007-10-17 2009-05-0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JP2009179121A (ja) 2008-01-29 2009-08-1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JP2009217937A (ja) 2008-03-06 2009-09-24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0123301A (ja) * 2008-11-17 2010-06-03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及び車両用前照灯
JP2010188727A (ja) 2009-02-17 2010-09-02 E I Du Pont De Nemours & Co 振動エネルギーを用いて印刷版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7762B2 (ja) * 2000-08-04 2007-06-1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ヘッドランプ
JP4093534B2 (ja) * 2002-03-15 2008-06-0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2006344521A (ja) * 2005-06-09 2006-12-21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US7325954B2 (en) 2005-09-26 2008-02-05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ight
JP4666160B2 (ja) 2006-02-06 2011-04-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458067B2 (ja) * 2006-05-17 2010-04-2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749968B2 (ja) * 2006-07-31 2011-08-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KR20090032578A (ko) * 2007-09-28 200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광원 유닛
JP5227674B2 (ja) * 2008-06-18 2013-07-0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5281359B2 (ja) * 2008-10-30 2013-09-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
JP5323449B2 (ja) * 2008-10-30 2013-10-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
JP5524470B2 (ja) * 2008-11-12 2014-06-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
EP2322848B1 (en) * 2009-11-12 2017-09-27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ight
JP5620714B2 (ja) * 2010-05-17 2014-11-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ロービーム用灯具ユニット
JP5501878B2 (ja) * 2010-07-08 2014-05-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ユニット
JP5831788B2 (ja) * 2011-07-01 2015-12-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7196A (ja) * 2004-11-16 2006-06-08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9032694A (ja) 2007-07-25 2009-02-12 Valeo Vision 横断方向に設けられた光源を備える自動車用照明モジュール
JP2009099413A (ja) 2007-10-17 2009-05-0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JP2009179121A (ja) 2008-01-29 2009-08-1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JP2009217937A (ja) 2008-03-06 2009-09-24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0123301A (ja) * 2008-11-17 2010-06-03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及び車両用前照灯
JP2010188727A (ja) 2009-02-17 2010-09-02 E I Du Pont De Nemours & Co 振動エネルギーを用いて印刷版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1135B1 (en) 2019-09-11
EP2541135A3 (en) 2018-03-21
US20130003401A1 (en) 2013-01-03
US8858049B2 (en) 2014-10-14
KR20130004176A (ko) 2013-01-09
JP5716576B2 (ja) 2015-05-13
EP2541135A2 (en) 2013-01-02
JP2013016259A (ja)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849B1 (ko) 차량 조명장치
KR101962298B1 (ko) 차량 조명장치
US10359169B2 (en) Lamp unit and vehicle headlamp
US8690405B2 (en) Vehicle lighting unit
EP1705422B1 (en) Vehicle lamp unit and vehicle headlamp using the same
WO2015040671A1 (ja) 車載用前照灯
US8376598B2 (en) Light source unit and vehicular lamp
JP5874901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10209979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108368981B (zh) Led前照灯投影照明设备
JP2011181277A (ja) 車両用前照灯
JP2011181279A (ja) 車両用前照灯
KR10197957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5765626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2015006814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122412B1 (ko) 차량용 램프
JP6048773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20150068143A (ko) 차량용 헤드 램프
WO2023162906A1 (ja) 車両用灯具
KR10210532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13486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959794B1 (ko) 차량용 램프
JP2020004585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