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327B1 -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327B1
KR101901327B1 KR1020180057354A KR20180057354A KR101901327B1 KR 101901327 B1 KR101901327 B1 KR 101901327B1 KR 1020180057354 A KR1020180057354 A KR 1020180057354A KR 20180057354 A KR20180057354 A KR 20180057354A KR 101901327 B1 KR101901327 B1 KR 10190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ler
limit value
voltag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수
임승범
변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to KR1020180057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2001/00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ESS 기능과 UPS 기능의 동시 수행을 위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제어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전압 제어 방식 및 전류 제어 방식 간 전환과 단방향 제어 및 양방향 제어 간 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과도 상태를 최소화하여 중요 부하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가능 하게 하여 UPS 기능에 문제가 없도록 제어할 수 있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DC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와 입력단 교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d축 및 q축 전류 PI 제어기(Id_PI, Iq_PI)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UPS(Uninterruptible Power System: 무정전전원공급장치)의 입력 컨버터 제어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한값과 하한값이 가변 가능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를 통해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령값을 출력하는 지령값 출력 단계(S10)와;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지령값이 입력 컨버터 제어기로 전송되면 해당 모드별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계산하는 상하한값 산출 단계(S20)와; 계산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과 하한값에 기초하여 해당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INPUT CONVERTER CONTROLLING METHOD FOR UPS OF DOUBLE CONVERSION TYPE INCLUDING ESS FUNCTION}
본 발명은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ESS 기능과 UPS 기능의 동시 수행을 위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제어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전압 제어 방식 및 전류 제어 방식 간 전환과 단방향 제어 및 양방향 제어 간 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과도 상태를 최소화하여 중요 부하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가능 하게 하여 UPS 기능에 문제가 없도록 제어할 수 있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PS(Uninterruptible Power System : 무정전전원공급장치)는 기본적으로 입력 컨버터(정류부), 인버터 및 축전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입력 컨버터(정류부)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면서 동시에 인버터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인버터는 직류 전원을 다시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중요 부하에 정전압 정주파수의 무정전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기존 UPS는 단방향으로만 제어되며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전압 제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양방향 AC-DC 컨버터와 축전지로 구성되어져, 양방향 AC-DC 컨버터의 경우 충전시 계통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고 방전시 축전지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기존 ESS는 양방향으로 제어되며 충방전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 방식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 IT 산업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안정적인 전력공급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무선통신 업계, 반도체, LCD 생산 라인 등에서는 잠시의 정전이나 전원장애에 의해서도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므로 항상 안정된 무정전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UPS가 설치되어 연중무휴로 운영되고 있으며, UPS는 크게 Passive-Standby, Line-Interactive, Double-Conversion(이중변환) 방식으로 구분되고, 이 중에서 이중변환 방식은 가장 신뢰성이 높은 방식으로 중대용량 UPS의 대부분은 이중변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전력산업은 기존의 발전설비 투자에 근거한 공급위주에서 수요관리 중심으로 그 중요성이 변화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하절기 및 동절기 피크수요에 대한 대응력 확보가 주요한 이슈임에 따라, 경부하시에 전력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전력 피크시에 사용할 수 있는 ESS 시스템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위와 같은 최근의 전력관리 동향에 부합하도록 기존의 이중변환 방식 UPS에 ESS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중요 부하에 항상 안정된 무정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경부하시에 전력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전력 피크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의 중복 설비 투자를 감소시킬 수 있고 설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술된 사항을 고려해 보면,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의 입력 컨버터에는 ESS 기능 구현에 필요한 양방향 전류 제어 방식으로의 전환이 가능함과 동시에 UPS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의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제어 방법의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26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62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ESS 기능과 UPS 기능의 동시 수행을 위한 제어 프로세스의 구현과 더불어 전압 제어 방식 및 전류 제어 방식 간 전환과 단방향 제어 및 양방향 제어 간 전환시 발생 가능한 과도 상태를 예방하여 UPS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C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압 PI 제어기와 입력단 교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d축 및 q축 전류 PI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UPS(Uninterruptible Power System: 무정전전원공급장치)의 입력 컨버터 제어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한값과 하한값이 가변 가능한 DC 전압 PI 제어기를 통해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령값을 출력하는 지령값 출력 단계와;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지령값이 입력 컨버터 제어기로 전송되면 해당 모드별 DC 전압 PI 제어기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계산하는 상하한값 산출 단계와; 계산된 DC 전압 PI 제어기의 상한값과 하한값에 기초하여 해당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 단계에서는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간의 전환 시 상한값과 하한값을 점진적으로 가변하는 과정에 전환 모드를 두며, 상기 전환 모드에서는 축전지 연결 스위치를 ON 또는 OFF 하여 각 모드 전환에 따른 과도상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 충전, 대기 및 전환 모드에 대한 상한값과 하한값은 아래의 조건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기 모드: 상한값=(UPS 최대 입력 용량)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하한값=0
방전 모드: 상한값={(UPS 부하 유효 전력) - (방전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하한값=상한값이 0보다 크면 0이거나 상한값이 0보다 작으면 상한값과 동일
충전 모드: 상한값={(UPS 부하 유효 전력) + (충전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하한값=0
전환 모드: 상한값=(UPS 부하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하한값=0
추가적으로, 3상 4선식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입력 컨버터 제어기는 (+)단과 (-)단의 균형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압 균형 PI 제어기와 0상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0상 전류 PI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DC 전압 균형 PI 제어기에서 출력된 0상 전류 지령값은 0상 전류 제어기의 지령값이 되어 입력 0상 전류를 제어하며, 상기 d축, q축 및 0상 전류 PI 제어기에서 지령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출력된 값들은 ABC 좌표축으로 변환되어 입력 컨버터의 IGBT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은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의 입력 컨버터에 필요한 ESS 기능과 UPS 기능의 동시 수행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고, 제어 모드 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과도 상태를 최소화하며, ESS 모드의 동작 여부에 상관없이 중요 부하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UPS 기능의 동작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이중변환 방식 UPS의 ESS 기능과 UPS 기능 동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 전력변환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의 입력 컨버터 제어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중 상하한값 전환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 전력변환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의 전력변환부는 IGBT PWM 방식의 입력 컨버터 및 인버터와 DC 단과 축전지(BATTERY)를 연결하여 주는 축전지 연결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DC 단과 축전지 연결 회로는 반도체 스위치(IGBT) 및 다이오드나 기계적인 스위치 및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ESS 모드 충방전 동작 알고리즘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지령값 출력 단계(S10)와, 상하한값 산출 단계(S20)와, 모드 전환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DC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의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와 입력단 교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의 d축 및 q축 전류 PI 제어기(Id_PI, Iq_PI)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UPS(Uninterruptible Power System: 무정전전원공급장치)의 입력 컨버터 제어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한값과 하한값이 가변 가능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를 통해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령값을 출력하는 지령값 출력 단계(S10)와,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지령값이 입력 컨버터 제어기로 전송되면 해당 모드별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계산하는 상하한값 산출 단계(S20)와, 계산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과 하한값에 기초하여 해당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의 입력 컨버터 제어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지령값 출력 단계(S10)에서는 기술된 바와 같이 DC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의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와 입력단 교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의 d축 및 q축 전류 PI 제어기(Id_PI, Iq_PI)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컨버터 제어기를 통해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령값을 출력하게 되며, 입력컨버터 제어기는 3상 4선식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 (+)단과 (-)단의 균형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압 균형 PI 제어기(V0_PI)와 내부에 0상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0상 전류 PI 제어기(I0_P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d축 및 q축은 ABC 좌표축에 해당하는 3상 교류 R, S, T상의 값을 입력 주파수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dq 좌표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d축 성분과 q축 성분은 90°의 위상차를 가진 벡터 성분을 의미한다.
d축 또는 q축 성분 중 한쪽이 유효성분과 동일하게 되도록 dq축의 위상각을 정의하면 다른 성분은 물리적으로 무효성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q축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d축 성분을 무효성분이 되도록 qd축의 위상각을 정의하면 입력 컨버터 제어기에서 유효성분을 의미하는 q축 성분의 크기를 결정하고 무효성분을 의미하는 d축 성분의 크기를 결정한 후, 이를 다시 ABC 좌표축의 R, S, T상 제어값으로 변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은 먼저 DC 전압 PI 제어기(Vdc_PI)로 DC 전압 지령값을 DC 전압 측정값과 비교하여 제어기 출력값, 즉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 유효 전류의 지령값을 생성하게 되며 ESS 기능을 갖는 UPS의 동작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DC 전압 PI 제어기(Vdc_PI)는 상한값과 하한값이 가변되는 구조의 PI 제어기를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DC 전압 PI 제어기(Vdc_PI)는 비례적분 제어기로 이루어져 DC 전압 지령값 및 DC 전압 측정값 비교 시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하한값 산출 단계(S20)에서는 방전, 충전, 대기 모드에 대한 지령이 입력 컨버터 제어기로 전송되면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충방전량 계산 및 상하한값 전환 알고리즘을 통해 지령에 따른 대기, 방전, 충전에 대한 운전 모드와 이전 운전 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모드별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계산하며, 계산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과 하한값은 급격한 운전 모드 변경에 의한 과도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환 알고리즘에 따라 적용된다.
상기 모드 전환 단계(S30)에서는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간의 전환 시 상한값과 하한값을 점진적으로 가변하는 과정에 전환 모드를 두게 되는데, 이러한 전환 모드에서는 축전지(BATTERY) 연결 스위치를 ON 또는 OFF 하여 각 모드 전환에 따른 과도상태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방전, 충전, 대기 및 전환 모드에 대한 상한값과 하한값은 아래와 같은 표 1에 의해 규정된다.
상한값 하한값
대기 모드 (UPS 최대 입력 용량)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0
방전 모드 {(UPS 부하 유효 전력) - (방전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상한값이 0보다 크면 0, 상한값이 0보다 작으면 상한값과 동일
충전 모드 {(UPS 부하 유효 전력) + (충전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0
전환 모드 (UPS 부하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0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중 상하한값 전환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 및 하한값이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변경되면 입력 컨버터의 운전 모드는 방전, 충전, 대기 지령에 따라서 전압 제어 방식 및 전류 제어 방식 간 전환과 및 단방향 제어 및 양방향 제어 간 전환이 이루어지며 전환시의 과도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방전, 충전, 대기의 각 모드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량 계산 및 상하한값 전환 알고리즘의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지령 운전 모드가 방전인 경우의 상하한값 전환 알고리즘, 도 4 참조>
1. 방전 지령 수신
2. 이전 운전 모드를 확인하여 방전 모드인 경우
1) 방전 모드시의 설정된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2) 변경 완료 여부 확인
3) 변경 완료되면 방전 모드 전환 완료
3. 이전 운전 모드를 확인하여 방전 모드가 아닌 경우
1) 전환 모드시의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2) 변경 완료 여부 확인
3) 변경 완료되면 축전지 연결 회로 스위치 ON 여부 확인
4) 축전지 연결회로 스위치가 ON인 경우 축전지 연결 회로 스위치를 OFF 시킴
5) 방전 모드시의 설정된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6) 변경 완료 여부 확인
7) 변경 완료되면 방전 모드 전환 완료
<지령 운전 모드가 충전인 경우의 상하한값 전환 알고리즘, 도 5 참조>
1. 충전 지령 수신
2. 이전 운전 모드를 확인하여 충전 모드인 경우
1) 충전 모드시의 설정된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2) 변경 완료 여부 확인
3) 변경 완료되면 충전 모드 전환 완료
3. 이전 운전 모드를 확인하여 충전 모드가 아닌 경우
1) 전환 모드시의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2) 변경 완료 여부 확인
3) 변경 완료되면 축전지 연결 회로 스위치 ON 시킴
4) 충전 모드시의 설정된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5) 변경 완료 여부 확인
6) 변경 완료되면 충전 모드 전환 완료
<지령 운전 모드가 대기인 경우의 상하한값 전환 알고리즘, 도 6 참조>
1. 대기 지령 수신
2. 전환 모드시의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3. 변경 완료 여부 확인
4. 변경 완료되면 축전지 연결 회로 스위치 ON 여부 확인
5. 축전지 연결 회로 스위치가 OFF인 경우
1) 대기 모드시의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2) 변경 완료 여부 확인
3) 변경 완료되면 대기 모드 전환 완료
6. 축전지 연결 회로 스위치가 ON인 경우
1) 축전지 연결 회로 스위치 OFF 시킴
2) 대기 모드시의 상하한값으로 점진적 변경
3) 변경 완료 여부 확인
4) 변경 완료되면 대기 모드 전환 완료
상한값과 하한값 가변 구조의 상기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에서 출력된 입력 유효 전류의 지령값은 q축 입력 전류 제어기(Iq_PI)의 지령값이 되고, 입력 무효 전류 지령값은 d축 입력 전류 제어기(Id_PI)의 지령값이 된다. 3상 4선식의 경우는 DC 전압 균형 PI 제어기(V0_PI)에서 출력된 0상 전류 지령값이 0상 전류 제어기(I0_PI)의 지령값이 되어 입력 0상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d축/q축/0상 전류 PI 제어기(Id_PI, Iq_PI, I0_PI)에서 지령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출력된 값들은 입력 컨버터의 벡터 제어 블록도(도 3)에 표시된 사항에 따라 연산된 후에 ABC 좌표축으로 변환되어 입력 컨버터의 IGBT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와 마찬가지로 d축/q축/0상 전류 PI 제어기(Id_PI, Iq_PI, I0_PI) 또한 비례적분 제어기로 이루어져 d축/q축/0상에 대해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DC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와 입력단 교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d축 및 q축 전류 PI 제어기(Id_PI, Iq_PI)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UPS(Uninterruptible Power System: 무정전전원공급장치)의 입력 컨버터 제어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한값과 하한값이 가변 가능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를 통해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령값을 출력하는 지령값 출력 단계(S10)와;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지령값이 입력 컨버터 제어기로 전송되면 해당 모드별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계산하는 상하한값 산출 단계(S20)와;
    계산된 DC 전압 PI 제어기(Vdc_PI)의 상한값과 하한값에 기초하여 해당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단계(S30);를 포함하되,
    상기 모드 전환 단계(S30)에서는 방전, 충전 또는 대기 모드간의 전환 시 상한값과 하한값을 점진적으로 가변하는 과정에 전환 모드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모드에서는 축전지(BATTERY) 연결 스위치를 ON 또는 OFF 하여 각 모드 전환에 따른 과도상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 충전, 대기 및 전환 모드에 대한 상한값과 하한값은 아래의 조건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대기 모드: 상한값=(UPS 최대 입력 용량)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하한값=0
    방전 모드: 상한값={(UPS 부하 유효 전력) - (방전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하한값=상한값이 0보다 크면 0이거나 상한값이 0보다 작으면 상한값과 동일
    충전 모드: 상한값={(UPS 부하 유효 전력) + (충전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하한값=0
    전환 모드: 상한값=(UPS 부하 유효 전력) / 3 / (입력 상전압의 평균값), 하한값=0
  5. 청구항 1에 있어서,
    3상 4선식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입력 컨버터 제어기는 (+)단과 (-)단의 균형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압 균형 PI 제어기(V0_PI)와 0상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0상 전류 PI 제어기(I0_PI)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DC 전압 균형 PI 제어기(V0_PI)에서 출력된 0상 전류 지령값은 0상 전류 제어기(I0_PI)의 지령값이 되어 입력 0상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d축, q축 및 0상 전류 PI 제어기(Id_PI, Iq_PI)에서 지령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출력된 값들은 ABC 좌표축으로 변환되어 입력 컨버터의 IGBT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KR1020180057354A 2018-05-18 2018-05-18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KR10190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54A KR101901327B1 (ko) 2018-05-18 2018-05-18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54A KR101901327B1 (ko) 2018-05-18 2018-05-18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327B1 true KR101901327B1 (ko) 2018-09-21

Family

ID=6372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354A KR101901327B1 (ko) 2018-05-18 2018-05-18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3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28B1 (ko) * 2018-10-12 2020-03-30 한국전력공사 전력 계통으로 비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비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CN111987963A (zh) * 2020-07-16 2020-11-24 深圳市正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油田自适应节能控制***及其方法
KR102297964B1 (ko) * 2021-04-30 2021-09-02 이길호 3상 4선식 구조를 갖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638961B1 (ko) * 2023-09-25 2024-02-21 주식회사 이온 고속 운전모드 전환과 고속 기동이 가능한 인버터 장치 및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39B1 (ko) * 2008-11-06 2009-06-15 주식회사 이온 3상 igbt형 무정전전원장치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40164A (ja) * 2015-01-27 2016-08-04 ニチコン株式会社 双方向イ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39B1 (ko) * 2008-11-06 2009-06-15 주식회사 이온 3상 igbt형 무정전전원장치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40164A (ja) * 2015-01-27 2016-08-04 ニチコン株式会社 双方向イ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28B1 (ko) * 2018-10-12 2020-03-30 한국전력공사 전력 계통으로 비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비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CN111987963A (zh) * 2020-07-16 2020-11-24 深圳市正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油田自适应节能控制***及其方法
KR102297964B1 (ko) * 2021-04-30 2021-09-02 이길호 3상 4선식 구조를 갖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3372B1 (ko) * 2021-04-30 2022-09-14 이길호 무정전 전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638961B1 (ko) * 2023-09-25 2024-02-21 주식회사 이온 고속 운전모드 전환과 고속 기동이 가능한 인버터 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327B1 (ko) Ess 기능을 갖는 이중변환 방식 ups를 위한 입력 컨버터 제어 방법
Khadkikar et al. Generalised single-phase pq theory for active power filtering: simulation and DSP-based experimental investigation
KR101837742B1 (ko) 무순단 절체 기능을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 시스템
US105053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power interface
US20100172166A1 (en) Plug-in neutral regulator for 3-phase 4-wire inverter/converter system
WO2017148150A1 (zh) 不间断电源***及其控制方法
EP3116096B1 (en) Ups circuit
US20040095789A1 (en) Power transfer system with reduced component ratings
CN103647286A (zh) 一种模块化多电平换流器孤岛切换控制方法
JP2006246676A (ja) 電力変換装置、この電力変換装置を用いた自励式無効電力補償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1112261A (ja) 交流電源装置
CN110829584B (zh) 一种基于电池状态的不间断电源动态功率分配***
CN116247751A (zh) 一种功率变换器的构网控制方法和功率变换器
CA3082983A1 (en) Converter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10110120A (ja) 交流電源システム
TW201539930A (zh) 智慧型微電網電力品質管理的操作系統
CN113765128A (zh) 一种高压直挂式储能变流器
US20240055973A1 (en) Power Supply Device
KR101506010B1 (ko) 무정전 전원장치의 직류단 전압 불평형 제어 장치
CN114825367A (zh) 一种柔性直流输电***孤岛运行的控制方法
US20240006912A1 (en) Optimized ups power architecture for power augmentation type of applications
KR102162298B1 (ko) 계통전원 상태 기반 3웨이 운전모드 자동전환 기능을 구비한 무정전전원장치
KR102638961B1 (ko) 고속 운전모드 전환과 고속 기동이 가능한 인버터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12222A (ko) 강인추종제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무정전 전원장치
US11616388B1 (en) Uninterruptible power apparatus with function of forced disconnection path and method of forcing disconnection path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